KR101447599B1 - Rice was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ice was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599B1
KR101447599B1 KR1020120149130A KR20120149130A KR101447599B1 KR 101447599 B1 KR101447599 B1 KR 101447599B1 KR 1020120149130 A KR1020120149130 A KR 1020120149130A KR 20120149130 A KR20120149130 A KR 20120149130A KR 101447599 B1 KR101447599 B1 KR 101447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ice
washing
clean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9930A (en
Inventor
우선웅
Original Assignee
우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선웅 filed Critical 우선웅
Priority to KR102012014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599B1/en
Publication of KR2014007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9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5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과 세척수가 담기는 용기 상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손을 직접 닿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쌀을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의 회오리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영양소의 손실없이 쌀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 장치는, 세척수 및 쌀을 담기 위한 세척용기와, 상기 세척용기 상부를 막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회전손잡이와, 상기 본체판의 하부로 길게 연장 형성된 세척봉이 구비된 세척기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기는 상기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킨 경우, 상기 본체판과 상기 세척봉이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서 상기 회전손잡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washing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o a rice washing apparatus which can conveniently b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container containing rice and washing water, so that rice can be conveniently washed without touching the han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washing apparatus that can clean rice without any loss of nutrients.
The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shing vessel for containing washing water and rice, a main plate detachably provid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vessel, a rotating knob for rotating the main plate, And a washing machine having a cleaning rod extend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wherein the washing machine rotates the body plate and the cleaning rod integrally with the rotary knob in the cleaning vessel when the rotary knob is rotated .

Description

쌀 세척 장치{RICE WASHING APPARATUS}RICE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과 세척수가 담기는 용기 상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손을 직접 닿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쌀을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의 회오리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영양소의 손실없이 쌀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was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ce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niently washing rice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han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washing apparatus that can clean rice without any loss of nutrients.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밥을 짓기 위해 쌀을 세척할 경우, 쌀을 담기 위한 용기에 쌀과 세척수를 넣고 용기에 손을 투입한 후 세척수와 쌀의 유동마찰에 의해 쌀을 세척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세척에 사용된 오염수는 용기를 옆으로 기울여 버리도록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when rice is washed at home to cook rice, rice and washing water are put into the container for rice, and the rice is washed by the flow friction between the washing water and the rice, A method of leaning the container sideways is widely used.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은 세척 후 오염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쌀이 함께 흘러나오게 되어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으로, 그에 따른 세척 작업의 반복이 많아지게되어 시간이 오래걸리게 되는 것과 동시에, 세척강도에 따라 쌀의 영양소가 세척수에 씻겨 유실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쌀을 씻기가 힘들었으며, 뜨겁거나 찬물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general method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hat the rice is flowed out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water after washing. Therefore, it takes much time to repeat the washing operation, The nutrients of rice can be washed away in the washing water, and it is difficult to wash the rice in the state that the foreign substance is on the hands, and when the hot or cold water is used, it causes damage to the user's skin .

이에, 종래의 기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167호 '바가지용 쌀세척보조기'와 같은 기술에서는 바가지의 상단에 걸림판을 고정시키고, 내부에 빗살 형태의 세척살을 구비시켜 걸림판의 상단에서 손잡이와 손잡이지지대를 통해 세척빗살을 회전시켜 세척수와 쌀의 유동마찰에 의해 쌀이 세척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in a technique such as a conventional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32167, 'Rice Washing Orthosis Machine for Bargains', a holding plate is fixed to the top of a barb, and a comb- Discloses a technique for rotating a cleaning brush through a handle and a handle support to clean the rice by the flow friction between the cleaning water and the ri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하기가 번거롭고, 가정에서 각각의 구성을 결합하여 사용하기가 까따로운 구조일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들간의 틈새가 많이 존재하여 수분 접촉에 따른 이물질이 고착될 염려가 있는 구성이며, 바가지의 전체 공간을 세첫빗살이 휘저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쌀의 영양소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입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are complicated in construction, are cumbersome to manufacture, are not so simple to use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t home, and there are many gaps between the respective structures, There is a risk that the foreign matter coming from the contact may stick, and the entire space of the barb is made up of the structure that the third comb can swirl so that the nutrients of the rice can easily escap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쌀과 세척수가 담기는 용기 상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손을 직접 닿지 않고서도 쌀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용기의 둘레 부분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원통형의 세척봉을 구성하여 세척수의 회오리 현상을 통해 영양소의 손실없이 쌀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용기를 기울여 오염된 세척수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쌀이 세척용기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되는 쌀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asily cleaning rice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hands, A cylindrical washing rod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can be used to clean the rice without losing nutrients through the whirling phenomenon of the washing water, And a rice purging device in which a discharge hole is formed so that the rice does not flow out of the washing contain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 장치는, 세척수 및 쌀을 담기 위한 세척용기와, 상기 세척용기 상부를 막도록 가장자리면이 상기 세척용기 내주면에 이웃하게 상기 세척용기 내부로 출입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회전손잡이와, 상기 본체판의 하부로 길게 연장 형성된 세척봉이 구비된 세척기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기는 상기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킨 경우, 상기 본체판과 상기 세척봉이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서 상기 회전손잡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shing vessel for containing wash water and rice; and an edge surface which is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shing vessel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vessel, And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cleaning rod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plate, wherein the wash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rotary knob for rotating the rotary knob The main plate and the cleaning rod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knob in the cleaning contai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봉이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용기 내부로 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용기 상단에 안착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세척기는 상기 본체판이 상기 가이드판 상부를 막도록 상기 가이드판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봉이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 가이드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late formed with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leaning vessel so as to allow the cleaning rod to pass therethrough and seated on the top of the cleaning vessel, And the cleaning rod is gu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plate so as to close the upper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 장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용기 상부를 막도록 상기 세척용기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세척기는 상기 본체판이 상기 덮개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손잡이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축 지지되고, 상기 덮개판은 상하 관통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late formed in a hollow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wash vessel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 vessel, The rotary knob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hollow so that the rotary knob is pivotally supported in the hollow, and the cover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 장치는, 상기 본체판에는 상하 관통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봉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판의 중심에서 외측 둘레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상호간에 소정 간격으로 적어도 한 쌍이상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손잡이는 상기 본체판의 중심에서 편심되도록 적어도 한 번 이상 꺾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측에 상기 덮개판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plate ha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penetrating vertically and vertically, and the wash bars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erein the rotary knob is formed to be bent at least once so as to be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plate, and a latch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so as to engage with the upper end of the lid plate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 장치는 쌀과 세척수가 담기는 용기 상부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손을 직접 닿지 않고서도 쌀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수의 회오리 현상을 유도하여 영양소의 손실없이 쌀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쌀이 세척용기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하여 세척용기를 기울여 오염된 세척수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veniently be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rice and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rice can be conveniently washed without touching the hands. It is possible not only to clean the rice without loss, but also to lean the cleaning vessel by preventing the rice from flowing out of the washing vessel, thereby easily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를 도시한 일부단면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 세척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를 도시한 일부단면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1)는 세척용기(10), 세척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rice was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vessel 10 and a washing machine 20.

상기 세척용기(10)는 쌀 및 세척수가 담기기 위한 원통형의 용기인 것으로, 상기 세척용기(10)는 압력밥솥, 전기밥솥 등에 바로 삽입할 수 있는 용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0)는 본 발명 쌀 세척 장치(1)의 일부 구성으로, 쌀 및 세척수가 담기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데, 그 공간 크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밥솥에 일체로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규격의 밥솥에 맞는 크기와 재질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한 재질로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용기(10)의 상단에는 후술하기 위한 세척기(20)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외측으로 소정 돌출되게 형성된 플랜지부(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shing vessel 10 is a cylindrical vessel for containing rice and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vessel 10 can be used as a vessel that can be directly inserted into a pressure cooker or an electric rice cooker. 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10 is a part of the rice wash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ner space for storing rice and washing water is formed. The space size of the container body 10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rice cooker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materials suitable for a rice cooker of a widely used standard, and a preferable material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The flange 11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leaning vessel 10 so as to protrude outwardly so that a washing machine 2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seated.

상기 세척기(20)는 상기 세척용기(10)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용기(10) 내부에 담긴 쌀 및 세척수를 휘저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세척기(20)는 본체판(21), 회전손잡이(22), 세척봉(23)이 구비된다.The washing machine 20 is installed on the washing vessel 10 to stir rice and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vessel 10. The washing machine 20 includes a body plate 21, a rotary knob 22, and a cleaning rod 23.

상기 본체판(21)은 원반 형태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척기(20)의 몸체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손잡이(22)는 상기 본체판(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판(21) 상부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세척봉(23)은 상기 본체판(21)의 하부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판(21)이 회전되면서 상기 세척용기(10) 내부에서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된다.The body plate 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plate to serve as a body of the washing machine 20. The rotary knob 22 is for rotating the main plate 21 and is formed vertically on the main plate 21. The cleaning rod 23 is formed so as to exten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plate 21 and is rotatable together with the main plate 21 while being rotated in the cleaning vessel 10.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1)는 상기 세척기(20) 즉, 상기 본체판(21), 회전손잡이(22), 세척봉(23)이 일체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기(20)가 상기 세척용기(10) 내부에 간편하게 삽입되어 상기 회전손잡이(22)를 통해 상기 세척봉(23)이 회전되도록 하면서 쌀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본체판(21)은 상기 세척용기(10) 상부를 막도록 가장자리면이 상기 세척용기(10) 내주면에 이웃하게 상기 세척용기 내부로 출입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22)는 상기 본체판(10)의 중심에서 편심되도록 상방과 측방으로 적어도 한 번이상 꺾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본체판(10)을 멧돌을 회전시키는 방법과 같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봉(23)은 회전 시 세척수와의 마찰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단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판(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판(10)의 중심 방향에서 외측 둘레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상호간에 소정 간격으로 적어도 한 쌍이상 다수개로 구성된다.The rice wash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machine 20, that is, the main plate 21, the rotary knob 22, and the cleaning rod 23 are integrally rotated As shown in FIG. 2, the washing machine 20 is easily inserted into the washing vessel 10, so that the washing rod 23 is rotated through the rotary handle 22, . The body plate 21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leaning container 10 so that the edge surface thereof is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eaning container 10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container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ry knob 22 is formed so as to be eccentric at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10 at least once and laterally upwardly and laterally from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10, So that it is possible to rotate easily as in the method of rotating the billet. The cleaning rod 23 is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plate 10 so as to smooth the friction between the main body plate 10 and the cleaning water. And at least one pair or more of the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be shif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세척기(20)의 구성은 상기 본체판(21), 회전손잡이(22) 및 세척봉(23)의 구성이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작이 간편해지고, 그에 따른 사출 작업이 간소화되어 제작 단가 등이 저렴해지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20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late 21, the rotary knob 22, and the cleaning rod 23,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2)는 상기 세척봉(23)이 상하방향으로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용기(10) 내부로 통하는 관통공(25a)이 형성된 가이드판(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The rice washing apparatus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plate 25 having a through hole 25a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leaning vessel 10 so that the cleaning rod 23 can pass in the vertical direction ). ≪ / RTI >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판(25)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ㄱ" 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둘레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하 관통된 관통공(25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25)은 상기 본체판(21)의 외측 하단부가 상단에 걸릴 수 있는 안착면을 갖도록 상기 관통공(25a)의 내경의 크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관통공(25a)의 내측에 상기 세척봉(23)의 외측 단부가 맞닿아 상기 세척봉(23)의 회전시 가이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3, the guide plate 25 is formed so as to have a circumferential section having an "a" -shaped cross section protruding outwardly, and a through hole 25a penetrating through the guide plate 25 is formed therein. Preferably, the guide plate 25 has a siz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hole 25a so that the outer lower end of the main plate 21 has a seating surface capable of being hooked to the upper end. More precisely,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cleaning rod 23 abuts against the inside of the hole 25a to be guided when the cleaning rod 23 rotates.

또한, 상기 본체판(21)은 상하 관통된 다수의 배출공(21a)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세척기(20)는 상기 본체판(21)이 상기 가이드판(25)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봉(23)이 상기 관통공(25a)의 내주연에 가이드되며 회전되어 쌀 및 세척수를 휘저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염된 세척수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세척용기(10)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상기 본체판(21)에 의해 쌀이 상기 세척용기(10) 바깥으로 흘러나오지 않으면서 상기 다수의 배출공(21a)을 통해 세척에 사용된 오염수를 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The body plate 2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21a passing through the body plate 21. The body plate 2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25, The cleaning rod 23 is guid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25a and rotated to stir the rice and the washing water. Therefore, when the cleaning vessel 10 is tilted to one side to discharge the polluted washing water,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21a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washing vessel 10 by the main plate 21,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harge the contaminated water used for cleaning.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3)는 중공(30a)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용기(10) 상부를 막도록 상기 세척용기(1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다.The rice washing apparatus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3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vessel 10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vessel 10, (30).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ice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3)는 상기 세척기(20)의 상기 본체판(21)이 상기 덮개판(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덮개판(30)이 상기 세척용기(10)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판(21)이 상기 세척용기(10)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회전손잡이(22)는 상기 덮개판(30)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30a)에 삽입되어 축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손잡이(22)는 상방과 측방으로 꺾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덮개판(30)과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판(21)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판(21)과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되는 체결수단은 방수성을 갖는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부식성에 강하고,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4, the rice washing apparatus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uch that the main plate 21 of the washer 20 is positioned below the cover plate 3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main plate 21 is provided inside the cleaning vessel 10 in a state where the cover plate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leaning vessel 10. The rotary knob 22 is inserted into the hollow 30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plate 30 to be pivotally supported. In this case, since the rotary knob 22 is bent upward and laterally, it is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plate 21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cover plate 30, And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plate 21. Bolts or the like having waterproof property may be used as the fastening means used therein,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means is resistant to corrosiveness and is harmless to human body.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쌀 세척 장치(3)는 상기 회전손잡이(22)의 하측에는 상기 덮개판(30)에 상기 회전손잡이(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손잡이(22)가 중공(30a)에 축 지지된 부분이 내려가지 않도록 상기 덮개판(21) 상단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22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걸림부(22a)는 본 발명에서 꼭 필요한 구성은 아닌 것으로, 측방으로 꺾이게 형성된 상기 회전손잡이(22)의 축 지지된 부분을 짧게 구성한 경우 상기 회전손잡이(22)의 꺾임면(22b)이 상기 덮개판(30)의 상단에 걸리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22a)가 굳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세척기(20)를 회전시키는 효과는 동일하게 발생될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판(30)은 상하 관통된 다수의 배출공(31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오염된 세척수를 쉽게 배출시키는 효과가 동일하게 발생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일실시예에서의 본체판(21)의 배출공(21a)과 상기 덮개판(30)의 배출공(31a)은 상기 본체판(21) 및 덮개판(20)의 중심에서 어느 일측에 편중되게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과, 표면 전체에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 어떠한 것도 무방할 것이다.The rice washing apparatus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otary knob 22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knob 22 in a state where the rotary knob 22 is engaged with the cover plate 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ver plate 21 so that the portion of the cover plate 21 supported on the hollow 30a does not descend. In the meantime, if the shaft-supported portion of the rotary knob 22 formed to be laterally bent is made short, the bent portion 22a of the rotary knob 22 is not necessary, Can be hooked on the upper end of the cover plate 30, the effect of rotating the washing machine 20 will be the same even if the latching portion 22a is not formed. In addition, since the cover plate 30 is formed with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31a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effect of easily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is gener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scharge hole 21a of the main plate 21 and the discharge hole 31a of the lid plate 30 at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21 and the lid plate 20 Configuration,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it is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쌀 세척 장치(1,2,3)는 상기 세척봉(23)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판(21)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치우치도록 소정 간격으로 적어도 한 쌍이상 다수개로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다수개의 세척봉(23)은 상기 세척용기(10)의 둘레 부분에서만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세척용기(10)에 담긴 세척수의 회오리 현상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세척봉(23)과 쌀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여 쌀 및 세척수의 유동마찰에 의해 쌀이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세척 시 쌀의 영양소가 유실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In the rice washing apparatuses 1, 2 and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rods 23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21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lurality of cleaning rods 23 are configured to be rotated only at the periphery of the cleaning vessel 10 so that the plurality of cleaning rods 23 are contained in the cleaning vessel 10 And the rice is washed by the flow friction of the rice and the washing water avoiding the direct contact between the washing rod 23 and the rice so that the nutrients of the rice are lost during washing A minimizing action effect is generated.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쌀 세척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rice wash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embodiments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2,3 쌀 세척 장치.
10 세척용기
11 플랜지부
20 세척기
21 본체판
21a 다수의 배출공
22 회전손잡이
22a 걸림부
22b 꺽임면
23 세척봉
25 가이드판
25a 관통공
30 덮개판
30a 중공
31a 다수의 배출공
<Brief Description of Main Drawings>
1,2,3 Rice washing device.
10 Cleaning vessel
11 flange portion
20 washer
21 Body plate
21a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2 Rotary knob
22a,
22b
23 Cleaning Rod
25 guide plate
25a through hole
30 Cover plate
30a hollow
31a multiple discharge holes

Claims (4)

세척수 및 쌀을 담기 위한 세척용기와,
상기 세척용기 상부를 막도록 가장자리면이 상기 세척용기 내주면에 이웃하게 상기 세척용기 내부로 출입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본체판과, 상기 본체판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회전손잡이와, 상기 본체판의 하부로 길게 연장 형성된 세척봉이 구비된 세척기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기는 상기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킨 경우, 상기 본체판과 상기 세척봉이 상기 세척용기 내부에서 상기 회전손잡이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A washing vessel for containing washing water and rice,
A main body plate tha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cleaning vessel and which has an edge surface adjacent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eal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cleaning vessel; And a washer having a cleaning rod extended downwardly,
Wherein the washing machine rotates the body plate and the washing rod integrally with the rotary knob in the washing vessel when the rotary knob is rot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봉이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용기 내부로 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용기 상단에 안착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세척기는 상기 본체판이 상기 가이드판 상부를 막도록 상기 가이드판 상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봉이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 가이드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uide plate having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cleaning vessel so as to allow the cleaning rod to pass therethrough and being seated on the top of the cleaning vessel,
Wherein the washing machin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hole in a state where the main plat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용기 상부를 막도록 상기 세척용기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세척기는 상기 본체판이 상기 덮개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손잡이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축 지지되고,
상기 덮개판은 상하 관통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vessel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leaning vessel,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 rotatable handle inserted into the hollow so that the main plate is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plate,
Wherein the cover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판에는 상하 관통된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봉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판의 중심에서 외측 둘레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상호간에 소정 간격으로 적어도 한 쌍이상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손잡이는 상기 본체판의 중심에서 편심되도록 적어도 한 번 이상 꺾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측에 상기 덮개판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ody plate has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vertically penetrating therethrough,
The cleaning rods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 at least one pair or more of the cleaning ro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Wherein the rotary knob is formed to be bent at least once more so as to be eccentric from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plate while a latch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so as to be hooked on the upper end of the lid plate.
KR1020120149130A 2012-12-20 2012-12-20 Rice washing apparatus KR1014475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130A KR101447599B1 (en) 2012-12-20 2012-12-20 Rice was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130A KR101447599B1 (en) 2012-12-20 2012-12-20 Rice was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930A KR20140079930A (en) 2014-06-30
KR101447599B1 true KR101447599B1 (en) 2014-10-07

Family

ID=5113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130A KR101447599B1 (en) 2012-12-20 2012-12-20 Rice was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5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698B1 (en) 2018-09-12 2019-10-16 이우경 Food wash container
KR102267960B1 (en) 2021-03-22 2021-06-21 오후석 Rice wash and Steam Cook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3544U (en) * 1977-11-24 1979-06-13
KR800001072Y1 (en) * 1979-03-15 1980-07-16 장갑석 Rice washing tool
KR200238500Y1 (en) 2001-04-13 2001-10-11 곽미선 Vertical Bar Bending Machine
KR100891197B1 (en) 2008-09-29 2009-04-02 설상준 Rice wash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3544U (en) * 1977-11-24 1979-06-13
KR800001072Y1 (en) * 1979-03-15 1980-07-16 장갑석 Rice washing tool
KR200238500Y1 (en) 2001-04-13 2001-10-11 곽미선 Vertical Bar Bending Machine
KR100891197B1 (en) 2008-09-29 2009-04-02 설상준 Rice wash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698B1 (en) 2018-09-12 2019-10-16 이우경 Food wash container
KR102267960B1 (en) 2021-03-22 2021-06-21 오후석 Rice wash and Steam Coo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930A (en)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8961B2 (en) Household appliances for food cooking comprising a processing container having a basket for steaming cooking
US6167799B1 (en) Tamale and vegetable steaming device
WO2008044831A1 (en) Automated rice cooking system
US9756983B2 (en) Salad spinner
JP4647037B1 (en) Food cleaning equipment
KR101447599B1 (en) Rice washing apparatus
CN105395100A (en) Egg beater easy to wash
US20150196153A1 (en) Pasta pot and strainer combination
KR101379754B1 (en) Removable Handle for Cover of Cookware
KR101392481B1 (en) Rice washing vessel having cleaning cover
KR20100114290A (en) A lid of heating pot
CN111436879B (en) Cleaning machine
KR102032698B1 (en) Food wash container
US1905523A (en) Dishwashing machine
KR200470731Y1 (en) Grill
KR101923819B1 (en) 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onsumption of cleaning block
KR101020601B1 (en) Pot lid for preventing overflow broth
US449746A (en) Dish-washer
CN211243042U (en) Hand-operated vegetable washing basket
CN205181167U (en) Easily wash egg -whisk
CN205181169U (en) Novel eggbeater
CN205181168U (en) Manual eggbeater
KR200427620Y1 (en) Washing net of a washer
CN209984323U (en) H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operating room
CN210433323U (en) Anti-overflow electric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