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519B1 - Device for sterilizing toothbrush - Google Patents

Device for sterilizing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519B1
KR101446519B1 KR1020130038029A KR20130038029A KR101446519B1 KR 101446519 B1 KR101446519 B1 KR 101446519B1 KR 1020130038029 A KR1020130038029 A KR 1020130038029A KR 20130038029 A KR20130038029 A KR 20130038029A KR 101446519 B1 KR101446519 B1 KR 101446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bristles
toothbrush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5563A (en
Inventor
이강오
Original Assignee
씨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346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92257A1/en
Publication of KR2014007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5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5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칫솔 살균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칫솔 살균장치는: 전측에 칫솔의 칫솔모가 진입하는 개방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고, 소독액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본체에 구비되고, 전원부의 전기를 이용하거나 수동방식으로 저장부의 소독액을 흡입관로를 통해 흡입하여 공급관로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관로에 연결되고, 소독액을 칫솔모의 상측,좌측,우측,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공급하여 골고루 적셔주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 toothbrush sterilizer. A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in which a bristle of a toothbrush enters a front side thereof; a storage unit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the disinfectant;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nozzle unit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nd adapted to supply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upper side, left side, right side, and / or rear side of the bristles to wet the same uniformly, .

Description

칫솔 살균장치{DEVICE FOR STERILIZING TOOTHBRUSH}{DEVICE FOR STERILIZING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부에 저장된 살균액을 공급펌프 및 노즐부를 통해 칫솔 가이드에 안치된 칫솔의 칫솔모 내부까지 골고루 공급함으로써 칫솔의 살균효율을 높이고, 칫솔가이드를 통해 칫솔이 안정적으로 진입 및 안치되게 하며, 칫솔가이드를 통과한 소독액을 탈부착방식의 받이부재에 받아 간편하게 버릴 수 있는 칫솔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brush sterilizer which is capable of increasing the sterilizing efficiency of a toothbrush by uniformly supplying a sterilizing liquid stored in a storage portion to a bristles of a toothbrush disposed in a toothbrush guide through a supply pump and a nozz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entering and placing a toothbrush through a toothbrush guide and allowing a disinfectant solution passing through a toothbrush guide to be received by a receiving member of a removable attachment type.

일반적으로, 칫솔 살균기는 칫솔을 사용한 후 칫솔모에 존재하는 세균을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식 또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식으로 살균하여 제거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toothbrush sterilizer is a device that sterilizes and removes bacteria present in the bristles after a toothbrush is used, by a method of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or a method of heating by using heat

기존의 자외선 방식 칫솔 살균기는 본체 내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고, 전원공급장치에서 제공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자외선 램프를 작동시켜 칫솔모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세균을 살균하도록 한다.A conventional ultraviolet toothbrush sterilizer has an ultraviolet lamp installed in a main body and operates ultraviolet lamps using electricity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to sterilize bacteria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bristles.

또한, 기존의 가열방식 칫솔 살균기는 본체 내에 히터를 설치하여 전원공급장치에서 전기를 공급하여 고온의 열기를 발생하여 공급함으로써 칫솔모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하도록 한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heating type toothbrush sterilizer is provided with a heater in the main body, and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to generate hot heat to sterilize bacteria present in the bristle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1407호(고안의 명칭: 휴대용 칫솔 살균기)가 제시되어 있다.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81407 (entitled: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is proposed as a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의 자외선 방식 칫솔 살균기는 자외선램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이 칫솔모의 안 쪽까지 투과되지 않고 자외선이 조사되는 부분에만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살균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ultraviolet ray toothbrush sterilizer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ultraviolet rays generated from the ultraviolet lamp do not penetrate into the inside of the bristles but are sterilized only at the portio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또한, 가열방식 칫솔 살균기는 히터를 이용하여 살균하므로 히터가 데워질 때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고, 히터가 과도하게 가열되어 칫솔모가 구부려져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type toothbrush sterilizer is sterilized by using a heater, it takes a long time until the heater is warmed, and the heater is heated excessively, and the bristles are bent and damaged.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저장부에 저장된 살균액을 공급펌프 및 노즐부를 통해 칫솔 가이드에 안치된 칫솔의 칫솔모 내부까지 골고루 공급함으로써 칫솔의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칫솔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sterilizing efficiency of a toothbrush by uniformly supplying a sterilizing liquid stored in a storage unit to a bristles of a toothbrush disposed in a toothbrush guide through a supply pump and a nozzle unit, Quot;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전측에 마련된 칫솔가이드를 통해 칫솔을 진입하고 안치함으로써 칫솔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칫솔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sterilizer capable of facilitating entry of a toothbrush by entering and positioning the toothbrush through a toothbrush guid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은 칫솔가이드를 통과한 소독액을 탈부착방식의 받이부재에 받아 간편하게 버릴 수 있는 칫솔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disposing a disinfectant solution that has passed through a toothbrush guide on a receiving and detaching attachment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칫솔가이드를 통해 진입한 칫솔을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한 후 소독액을 공급함으로써 소독액 공급시점을 정확히 예측하여 소독액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칫솔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sterilizer capable of accurately estimating a dispensing time of a disinfectant solution by supplying a disinfectant solution after sensing a toothbrush entered through a toothbrush guide using a sensor or a switch, thereby reducing disinfectant was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칫솔 살균장치는, 전측에 칫솔의 칫솔모가 진입하는 개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소독액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전원부의 전기를 이용하거나 수동방식으로 상기 저장부의 소독액을 흡입관로를 통해 흡입하여 공급관로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관로에 연결되고, 상기 소독액을 상기 칫솔모의 상측,좌측,우측,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공급하여 골고루 적셔주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brush steriliz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front portion in which an opening portion into which bristles of a toothbrush enter, A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a disinfectant; A supply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dapted to supply the disinfectant of the storage unit to the supply pipe by sucking the disinfectant of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suction pipe by using electricity of the power unit or manually; And a nozzle unit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nd supply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upper side,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ristles and wetting the same.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소독액의 저장량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투명창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분리되거나 상측에 힌지 연결되는 도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 하측에는 상기 저장부의 상측을 추가적으로 덮어주는 커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which can be visually seen so that the stora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can be visually observed,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oor portion separated upwardly or hing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for opening / And a cover part fo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part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door part.

또한, 상기 저장부 바닥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저장부에 일회용 용기의 덮개필림을 뚫어주어 내부에 수용된 소독액이 흘러나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storage part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upward, and the protruding part pierces the cover film of the disposable container in the storage part so that the disinfectant solution contained therein flows out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part.

또한,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일회용 용기의 덮개필림 진입시 소독액이 원활하게 흘러내리도록 도와주는 소독액 유도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소독액 유도부는 상기 돌기부의 둘레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infectant solution guid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disinfectant solution guiding part for allow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to flow smoothly when the lid of the disposable container enters the protruding part, and the disinfectant solution guiding part is protruded or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ut the protruding part .

또한, 상기 공급부는 공급펌프 또는 수동펌프(manual pum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ly unit may be a supply pump or a manual pump.

또한, 상기 노즐부는, 상기 공급관로와 연결되어 소독액을 일시 수용하는 노즐케이스; 및 상기 노즐케이스에 다수 구비되고, 상기 칫솔모 전체에 소독액을 분사 공급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zzle unit may include a nozzle case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to temporarily store the disinfectant; And a plurality of nozzles provided in the nozzle case for spraying and supplying a disinfectant to the entire bristles.

또한, 상기 개방부에는 상기 칫솔모의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pen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entry of the bristles.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개방부 일측면에 마련되는 발광센서; 및 상기 개방부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센서에서 조사되는 빛의 수용 또는 차단을 통해 상기 칫솔모의 진입을 감지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opening to sense entry of the bristles through receiving or block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개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칫솔모의 진입시 접촉에 의해 감지하는 작동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s an operation switch provided in the opening portion and sensed by contact when the bristles come in.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칫솔모를 적셔준 후 흘러내린 소독액을 받아주는 받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member for receiving the disinfectant flowing down after wetting the bristles.

또한, 상기 받이부재의 상측 테두리에는 상기 소독액의 튐을 방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격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부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되어 센서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partition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on the upper edge of the receiving member so as to prevent the disinfectant from slipping, and a penetra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nsor unit passes is further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portion. .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칫솔모의 진입을 도와주는 칫솔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toothbrush guide for assisting the entry of the bristles.

또한, 상기 칫솔가이드는, 상기 받이부재의 내측 걸림부에 걸려져 안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한 쌍 구비되어 상기 칫솔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판에 상하로 개방되고, 상기 칫솔모에서 흐르는 소독액을 하측으로 통과시키는 통과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toothbrush guide may include a supporting plate that is caught and seated on an inner engaging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A pair of guide portion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the bristles; And a through hole which is vertically opened on the support plate and through which the disinfectant flowing from the bristles flows downward.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개방부 내측으로 진입함에 따라 안내부에 의해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다가 중심부위에서 직진 연결되며,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통과구멍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칫솔모 저면을 받쳐주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is formed to be gradually narrowed by the guide portion as it enters the inside of the open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guide portions face each other, and is linearly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and the support plat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side to support the bristle bottom .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칫솔몸체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칫솔모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부가 포함되고, 상기 진입유도부는 칫솔몸체의 좌우 너비에 따라 가압 위치가 달라짐으로써, 칫솔의 진입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includes an entry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entrance of the bristles by press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toothbrush body. The entry guide portion varies the press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toothbrush body, .

본 발명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살균액을 공급펌프 ? 노즐부를 통해 칫솔 가이드에 안치된 칫솔의 칫솔모 내부까지 골고루 공급함으로써 칫솔의 살균효율을 높일 수 있다.A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comprising: And the toothbrush is uniform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held in the toothbrush guide through the nozzle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sterilizing efficiency of the toothbrush.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전측에 마련된 치솔가이드를 통해 칫솔을 진입하고 안치함으로써 칫솔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y of the toothbrush can be facilitated by entering and positioning the toothbrush through the toothbrush guid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은 칫솔가이드를 통과한 소독액을 탈부착방식의 받이부재에 받아 간편하게 버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ispose the disinfectant solution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oothbrush guide by receiving the detachable attachment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칫솔가이드를 통해 진입한 칫솔을 감지센서 또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한 후 소독액을 공급함으로써 소독액 공급시점을 정확히 예측하여 소독액 낭비를 줄일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othbrush entered through a toothbrush guide is sensed by using a sensor or a switch, and then a disinfectant is supplied, thereby accurately estimating the time of supplying the disinfectant, thereby reducing disinfectant was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의 상측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의 하측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의 부분 정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이부재 및 칫솔가이드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의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에서 일회용 용기를 돌기부로 뚫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의 변형 예들을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이부재 및 칫솔가이드의 조립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top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front elevation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member and a toothbrush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oothbrush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tate in which the disposable container is pierced by the projection in the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member and a toothbrush gu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는, 본체(10), 저장부(20), 공급부(30), 노즐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6,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storage unit 20, a supply unit 30, and a nozzle unit 40.

본체(10)는 본 발명의 칫솔 살균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전측에 칫솔(2)의 칫솔모(4)가 진입하는 개방부(12)가 구비된다. 개방부(12)는 칫솔(2)의 칫솔모(4)가 진입하기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중심부분에 형성된다.The main body 10 is constituted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2 through which the bristles 4 of the toothbrush 2 enter. The opening 12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10 so that the bristles 4 of the toothbrush 2 can easily enter.

저장부(20)는 본체(10)에 구비되고, 소독액을 저장하는 구성이다.The storage unit 2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stores a disinfectant.

저장부(14)는 저장통 형태로 이루어져 가글액통에서 공급되는 가글액을 필요한 량만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0)는 본체(10)의 후측에 상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소독액은 가글액 등과 같이 칫솔모(4)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하고 인체 무해한 액체이면 어떤 액체이든지 적용 가능하다.The storage unit 14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servoir, and can store a required amount of the goggle solution supplied from the goggle solution tank. The storage unit 20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an upper portion thereof is open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 At this time, the disinfectant solution can be applied to any liquid as long as it sterilizes bacteria present in the bristles 4, such as a syringe liquid, and is a harmless liquid.

본체(10)에는 저장부(20)에 저장된 소독액의 량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투명창(18)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18 through which the amount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can be visually observed.

투명창(18)은 저장부(20)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parent window 18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ver the entire section or a part of the section of the storage section 20.

본체(10)에는 저장부(20)를 개폐하도록 본체(10)의 상측으로 분리되는 도어부(14)가 구비된다. 도어부(14)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door portion 14 which is separated upward from the main body 10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portion 2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oor portion 14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that can be held by hand.

도어부(14) 하측에는 저장부(20)의 상측을 추가적으로 덮어주는 커버부(16)가 더 구비된다.A cover portion 16 for furthe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2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portion 14. [

커버부(16)는 도어부(14) 만으로 충분하게 저장부(20)를 밀봉하지 못할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도어부(14)를 통해 저장부(20)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조 도어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어부(16)와 커버부(16)를 통해 저장부(20)가 이중으로 밀폐됨으로써, 이물질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can flow into the storage unit 20 through the door unit 14 when the door unit 14 can not sufficiently seal the storage unit 20, It acts as a hazardous door. Therefore, the storage portion 20 is double-sealed through the door portion 16 and the cover portion 16, so that it is possible to reliably block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공급부(30)는 본체(10)에 구비되고, 전원부(28)에서 제공된 전기를 이용하여 저장부(20)의 소독액을 흡입관로(32)로 흡입하여 공급관로(34)로 공급한다. 공급부(30)는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공급펌프일 수 있다. 또는, 공급부(30)는 손으로 조작하는 수동펌프(manual pump)일 수 있다.The supply unit 3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uses the electricity provided by the power supply unit 28 to suck the disinfectant of the storage unit 20 into the suction pipe path 32 and supply the disinfectant to the supply pipe path 34. The supply unit 30 may be a supply pump driven by a motor. Alternatively, the supply unit 30 may be a manual pump operated by hand.

흡입관로(32)와 공급관로(34)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관로(32)와 공급관로(34)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 이외에 다른 다양한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The suction pipe path 32 and the supply pipe path 34 may be made of one or mor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etal material. Various materials other than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metal material can be applied to the suction pipe path 32 and the supply pipe path 34.

노즐부(40)는 공급관로(34)에 연결되고, 소독액을 칫솔모(4)의 상측, 좌측 우측, 후측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공급하여 골고루 적셔주는 구성이다.The nozzle unit 40 is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34 and is configured to supply the disinfectant liquid in at least any one direction of the upper side, the lef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ristles 4 and wet them evenly.

노즐부(40)는 공급관로(34)와 연결되어 소독액을 일시 수용하는 노즐케이스(42)와, 노즐케이스(42)에 다수 구비되고, 칫솔모(4) 전체에 소독액을 분사 공급하는 분사부(44)를 포함한다.The nozzle unit 40 includes a nozzle case 42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34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isinfectant liquid and a jetting unit 42 for jetting and supplying the disinfectant to the entire bristles 4 44).

노즐부(40)는 일반 노즐과 달리 단시간 내에 칫솔모에 다량의 소독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샤워기 노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노즐부(40)가 상측에 구비된 상태만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좌측, 우측, 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분에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nozzle unit 40 may have a shape of a shower nozzle so as to supply a large amount of disinfectant to the bristles within a short time unlike a general nozzle. Although only the state where the nozzle unit 4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is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and the rear side as required.

노즐케이스(42)는 내부에 소독액을 일시 수용하는 저장 공간을 구비하며, 분사부(42)는 저장공간에서 하측으로 가로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 마련되는 분사구멍이다. 분사부(44)는 노즐케이스(42)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분사구멍이거나, 노즐케이스(42)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에 형성되는 분사구멍일 수 있다.The nozzle case 42 has a storage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isinfectant therein, and the jetting unit 42 is a jetting hole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in a plurality of lengthwise and widthwise directions. The jetting section 44 may be a jetting hol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case 42 or a jetting hole formed in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case 4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2)에는 칫솔모(4)의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부(50)가 구비될 수 있다.4 to 6, the opening portion 12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portion 50 for sensing the entry of the bristles 4.

센서부(50)는 개방부(12) 일측면에 마련되는 발광센서(52)와, 개방부(12) 타측면에 구비되어 발광센서(52))에서 조사되는 빛의 수용 또는 차단을 통해 칫솔모(4)의 진입을 감지하는 수광센서(54)를 포함한다. The sensor unit 50 is configured to receive or block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5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12 and the light emitting sensor 5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12,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54 for detecting the entry of the light source 4.

발광센서(52)에서 조사되는 빛이 수광센서(54)에서 수용되는 경우, 공급부(30)가 작동하지 않는다. 발광센서(52)에서 조사되는 빛이 수광센서(54)에서 차단되는 경우, 공급부(30)가 작동한다.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ssion sensor 52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ption sensor 54, the supply unit 30 is not operated.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ssion sensor 52 is blocked by the light reception sensor 54, the supply unit 30 operates.

발광센서(52)와 수광센서(54)의 주변에는 개방부(12)에 결합되어 센서를 보호하는 보호커버(56)가 구비될 수 있다. 보호커버(56)는 발광센서(52)와 수광센서(54)의 둘레를 감싸는 구멍을 갖는 기둥형태일 수 있다. 센서부(5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근접센서 또는 기타 다른 방식의 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 protective cover 56 may be provided around the light emitting sensor 52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54 to protect the sensor by being coupled to the opening 12. The protective cover 56 may be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 hole that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52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54. The sensor unit 50 may be a proximity sensor or other sensor although not shown.

칫솔모(4)가 칫솔가이드(80)를 통해 진입하는 경우, 발광센서(52)에서 조사되는 빛이 칫솔모(4)에 차단되어 이를 수광센서(54)에서 감지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제어부(90)를 통해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공급부(30)를 가동하고 저장부(20)에 저장된 소독액을 흡입관로(32)를 통해 공급관로(34)로 공급한다.When the bristles 4 enter through the toothbrush guide 80,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52 is blocked by the bristles 4 and i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54, And supplies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to the supply line 34 through the suction line 32. The supply line 30 is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30,

연이어, 공급관로(34)에서 공급된 소독액이 노즐부(40)의 노즐케이스(42)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분사부(44)를 통해 하측으로 널리 퍼지면서 분사되고 칫솔모(4) 내부까지 흠뻑 적셔줌으로써, 칫솔모(4) 내부까지 완벽하게 살균한다.Subsequently, 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supply line 34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nozzle case 42 of the nozzle unit 40 and is spread while spreading downward through the jetting unit 44, so that the inside of the bristles 4 is drenched So that the inside of the bristles 4 is completely sterilized.

따라서, 기존의 자외선 살균방식 또는 가열 살균방식과 다르게, 단시간 내에 칫솔모(4)에 존재하는 세균을 모두 살균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살균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ultraviolet sterilization method or the heat steriliz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ll the bacteria existing in the bristles 4 within a short time,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본체(10)에는 개방부(12)로 삽입되어 칫솔모(4)를 적셔준 후 흘러내린 소독액을 받아주는 받이부재(70)가 더 포함된다.The main body 10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member 70 which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2 to wet the bristles 4 and then receives the disinfectant flowing down.

받이부재(70)는 소독액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The receiving member 70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disinfectant can be stored.

받이부재(70)의 하부에는 본체(10)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끼움부(14)에 삽입되는 삽입부(72)가 형성된다.An insertion portion 7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70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14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받이부재(70) 상측에는 칫솔모(4)의 진입을 도와주는 칫솔가이드(80)가 구비될 수 있다.Above the receiving member 70, a toothbrush guide 80 may be provided to assist in the entry of the bristles 4.

칫솔가이드(80)는, 받이부재(70)의 걸림부(76)에 걸려져 안착되는 지지판(82)과, 지지판(82)의 상측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한 쌍 구비되어 칫솔모(4)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84)과, 지지판(82)에 상하로 개방되고, 칫솔모(4)에서 흐르는 소독액을 받이부재(70)로 통과시키는 통과구멍(86)을 포함한다.The toothbrush guide 8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82 which is caught by the engaging portion 76 of the receiving member 70 and is seated thereon and a pair of the bristles 4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82, And a through hole 86 which is vertically opened on the support plate 82 and through which the disinfectant flowing in the bristles 4 passes to the receiving member 70. The guide member 84 is provided with a through-

지지판(82)은 받이부재(70)에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지지판(72)의 저면 전체 테두리가 받이부재(70)의 걸림부(76)에 걸려 안착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late 82 is seated and supported by the retaining portion 76 of the receiving member 70 so that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72 is caught by the retaining member 76 for stable seating on the receiving member 70.

따라서, 지지판(82)의 사방 테두리가 받이부재(70)의 걸림부(76)에 안착됨과 동시에 측면이 접촉 지지됨으로써, 칫솔가이드(80)가 받이부재(70)에서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다.The side edges of the support plate 82 are seated in the engaging portions 76 of the receiving member 70 and the side surfaces thereof are contacted and supported so that the toothbrush guide 80 is mounted .

칫솔가이드(80)를 받이부재(70)에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칫솔가이드(80)를 잡고서 들어올리면 지지판(52)의 저면 테두리가 걸림부(76)에서 이탈됨으로써 칫솔가이드(80)가 받이부재(70)에서 쉽게 분리된다.When the toothbrush guide 80 is to be drawn out from the receiving member 70, when the toothbrush guide 80 is held and lifted, the bottom edge of the supporting plate 52 is detached from the engaging portion 76, (70).

가이드부(84)는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개방부(12) 내측으로 진입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되다가 진입부위에서 직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가이드부(84)는 진입 부위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응 형성되고, 진입함에 따라 라운드 또는 경사지는 한 쌍의 안내부(85)를 형성한다.The guide portion 84 is formed to be gradually narrowed as it enters the inside of the opening portion 12 in a mutually facing state, and is configured to be linearly connected at the entrance portion. That is, the guide portion 84 is formed on the approaching portion on the basis of the center line, and forms a pair of guide portions 85 that are round or inclined as they enter.

가이드부(84)에는 발광센서(52)에서 조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관통부(87)가 구비된다. 관통부(87)는 사각형상의 구멍으로 도시하였으나, 원형 또는 다양한 형상의 구멍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guide portion 84 is provided with a penetration portion 87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ssion sensor 52 passes. Although the penetrating portion 87 is shown as a rectangular hole, it can be changed into a circular or variously shaped hole.

지지판(82)에는 통과구멍(86)으로 연결되어 칫솔모(4) 저면을 받쳐주는 안착부(88)가 구비된다. 안착부(88)는 통과구멍(86) 상에 떠 있는 상태로 지지판(8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전,후로 연결된다.The support plate 82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88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86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bristles 4. The seating portion 88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82 over the entire length thereof while floating on the through-hole 86.

가이드부(84)의 내측면에는 칫솔몸체(6)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칫솔모(4)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부(8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진입유도부(89)는 칫솔몸체(6)의 좌우 너비에 따라 가압 위치가 달라짐으로써, 칫솔(2)의 진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84 may further include an entry guide portion 89 for guiding the entry of the bristles 4 by press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toothbrush body 6. The entry inducing portion 89 can determine the entry position of the toothbrush 2 by varying the pressing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toothbrush body 6. [

진입유도부(89)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칫솔몸체(6)가 진입함에 따라 서서히 협소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칫솔몸체(6)의 너비에 따라 진입거리가 달라 질 수 있다.The entry inducing portion 89 may be inclined to gradually narrow as the toothbrush body 6 enters, as viewed from above, and the entry d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toothbrush body 6. [

예를 들면, 어린이 칫솔과 같이 칫몰몸체(6)의 너비가 작은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유도부(89)에 접촉될 때까지 가장 많이 진입한다. 그리고, 칫몰몸체(6)의 너비가 중간인 경우, 진입유도부(89)의 중간 위치까지 진입한다. 칫몰몸체(6)의 너비가 큰 경우, 진입유도부(89)의 초기 위치까지만 진입한다. 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toothbrush body 6 is small, such as a child toothbrush, the widest entry is made until the toothbrush body 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try guiding portion 89, as shown in Fig. When the width of the toothbrush body 6 is the middle, it enters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entry guiding portion 89. When the width of the tooth-brush body 6 is large, only the initial position of the entry inducing portion 89 is entered.

진입유도부(89)는 가이드부(84)에서 관통부(87)까지 직선으로 연결되다가 그 이후부터 협소해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entry inducing portion 89 may be formed so as to be linearly connected from the guide portion 84 to the penetrating portion 87 and narrowed thereafter.

안내부(85)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본체(10)의 양측면에 함몰형성되는 함몰부(16)에 안착되는 접촉부(83)가 형성된다.On both sides of the guide portion 85, a contact portion 83 formed to be rounded rearward and seated in a recessed portion 16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접촉부(83)는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려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다가 일부 구간에서 직선형태로 형성된다.
The contact portion 83 is formed to be rounded as it gradually opens toward the rear side, and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a part of the section.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장치는, 본체(110), 저장부(120), 공급부(130), 노즐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7 to 11, a toothbrush steril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storage unit 120, a supply unit 130, and a nozzle unit 140.

본체(110)는 본 발명의 칫솔 살균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전측에 칫솔(2)의 칫솔모(4)가 진입하는 개방부(112)가 구비된다. 개방부(112)는 칫솔(2)의 칫솔모(4)가 진입하기 용이하도록 본체(110)의 중심부분에 형성된다. The main body 110 has a configuration for form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toothbrush steriliz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12 into which the bristles 4 of the toothbrush 2 enter. The opening 112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110 so that the bristles 4 of the toothbrush 2 can easily enter.

저장부(120)는 본체(110)에 구비되고, 소독액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저장부(114)는 저장통 형태로 이루어져 가글액통에서 공급되는 가글액을 필요한 량만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본체(110)의 후측에 상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독액은 가글액 등과 같이 칫솔모(4)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하고 인체 무해한 액체이면 어떤 액체이든지 적용 가능하다.The storage unit 12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stores a disinfectant. The storage unit 114 is formed in a reservoir, and can store a required amount of the goggle solution supplied from the goggle solution tank. The storage unit 120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unit 120 is open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disinfectant solution can be applied to any liquid as long as it sterilizes germs present in the bristles 4, such as a waxy liquid, and is a harmless liquid.

본체(110)에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소독액의 량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투명창(11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투명창(118)은 저장부(120)의 전 구간 또는 일부 구간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window 118 through which the amount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can be visually observed. The transparent window 118 may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ver the entire section or a part of the section of the storage section 120.

본체(110)에는 저장부(120)를 개폐하도록 본체(110)의 상측에 힌지 연결되는 도어부(114)가 구비된다. 도어부(114)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oor part 114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part 12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oor portion 114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that can be held by hand.

도어부(114)에 구비된 힌지는 도어부(114)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저장부(120)에 접하여 본체(110)의 후방 테두리에 구비된다. 도어부(114)의 힌지는 저장부(120)에 접하여 본체(110)의 전방 테두리, 좌측 테두리, 우측 테두리에 구비되어 도어부(114)가 전측,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젖혀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The hinge provided on the door part 114 is provided on the rear edge of the main body 110 in contact with the storage part 120 so that the door part 114 is turned backward. The hinge of the door part 114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edge, the left edge and the right edge of the main body 110 in contact with the storage part 120 so that the door part 114 may be bent in the forward, .

도어부(114) 하측에는 저장부(20)의 상측을 추가적으로 덮어주는 커버부(116)가 더 구비된다.And a cover portion 116 for furthe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20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door portion 114.

커버부(116)는 도어부(114) 만으로 충분하게 저장부(120)를 밀봉하지 못할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도어부(114)를 통해 저장부(120)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중으로 보조 도어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어부(114)와 커버부(116)를 통해 저장부(120)가 이중으로 밀폐됨으로써, 이물질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cover part 116 can not seal the storage part 120 sufficiently only with the door part 114,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an flow into the storage part 120 through the door part 114, And serves as an auxiliary door for double doors. Therefore, the storage portion 120 is double-sealed through the door portion 114 and the cover portion 116,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liably block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소독액은 덮개필림(128)에 의해 입구가 차단되는 일회용 용기(126)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The disinfectant may be supplied through the disposable container 126 whose inlet is blocked by the lid film 128.

그래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4) 바닥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9 and 10, a protrusion 122 protruding upward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114. As shown in FIG.

돌기부(1122)는 저장부(120)에 일회용 용기(126)의 덮개필림(128)을 뚫어주어 일회용 용기(126)에 내부에 수용된 소독액이 흘러나와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돌기부(122)는 원뿔과 같이 상협하광(上狹下廣)하게 형성되어 일회용 용기(126)의 덮개필림(128)을 뚫어줌으로써, 돌기부(122)의 외주면과 덮개필림(128)의 내측면 틈새 사이로 소독액이 흘러 나와 저장부(120)에 저장된다.The protruding portion 1122 pierces the cover film 128 of the disposable container 126 in the storage portion 120 so that the disinfectant contained in the disposable container 126 flows out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120. The protruding portion 122 is formed like a cone so as to be formed in an upwardly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cover film 128 of the disposable container 126 is pierced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22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film 128 The disinfectant flows out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돌기부(122)에는 일회용 용기(126)의 덮개필림(128) 진입시 소독액이 원활하게 흘러내리도록 도와주는 소독액 유도부(124)가 더 구비된다.The protruding portion 122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infectant guiding portion 124 which helps the disinfectant fluid smoothly flow when the lid film 128 of the disposable container 126 enters.

소독액 유도부(124)는 돌기부(122)의 둘레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다. 소독액 유도부(124)는 돌기부(122)의 둘레와 덮개필림(128)의 내측면 사이에 틈새를 더 크게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소독액이 잘 흘러내리도록 도와준다.The disinfecting liquid guiding portion 124 protrudes or sink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protruding portion 122. The disinfecting liquid guiding portion 124 functions to form a larger gap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protrusion 1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film 128, thereby helping the disinfectant to flow down well.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액 유도부(124)가 돌기부(122)의 둘레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으로 함몰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0 (a). The disinfecting liquid guiding portion 124 is recessed i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122.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액 유도부(24)가 돌기부(22)의 둘레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0 (b). The disinfecting solution guiding portion 24 protrudes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iphery of the protruding portion 22.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소독액 유도부(124)는 돌기부(122)의 둘레에서 소독액이 잘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uch, the disinfecting liquid guiding portion 124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so that the disinfectant can flow well around the protruding portion 122.

공급부(130)는 본체(110)에 구비되고, 전원부(128)에서 제공된 전기를 이용하여 저장부(120)의 소독액을 흡입관로(132)를 통해 흡입하여 공급관로(134)로 공급한다. 공급부(130)는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공급펌프일 수 있다. 또는, 공급부(30)는 손으로 조작하는 수동펌프(manual pump)일 수 있다.The supply unit 13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sucks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storage unit 120 through the suction pipe line 132 and supplies the disinfectant solution to the supply pipe line 134 using electricity provided from the power source unit 128. The supply unit 130 may be a supply pump driven by a motor. Alternatively, the supply unit 30 may be a manual pump operated by hand.

흡입관로(132)와 공급관로(134)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관로(132)와 공급관로(134)는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 이외에 다른 다양한 재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The suction pipe path 132 and the supply pipe path 134 may be made of one or mor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etal material. Various materials other than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metal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suction pipe path 132 and the supply pipe path 134.

노즐부(140)는 공급관로(134)에 연결되고, 소독액을 칫솔모(4) 상측에서 공급하여 골고루 적셔주는 구성이다.The nozzle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supply conduit 134 and is configured to supply the disinfectant liquid from the upper side of the bristles 4 and wet the liquid uniformly.

노즐부(140)는 공급관로(134)와 연결되어 소독액을 일시 수용하는 노즐케이스(142)와, 노즐케이스(142)에 다수 구비되고, 칫솔모(4) 전체에 소독액을 분사 공급하는 분사부(144)를 포함한다. 노즐부(140)는 일반 노즐과 달리 단시간 내에 칫솔모에 다량의 소독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샤워기 노즐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nozzle unit 140 includes a nozzle case 142 that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134 to temporarily store the disinfectant solution and a jetting unit 142 that is provided in the nozzle case 142 for spraying and supplying the disinfectant to the entire bristles 4 144). The nozzle unit 140 may have a shape of a shower nozzle so as to supply a large amount of disinfectant to the bristles within a short time, unlike a general nozzle.

노즐케이스(142)는 내부에 소독액을 일시 수용하는 저장 공간을 구비하며, 분사부(142)는 저장공간에서 하측으로 가로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 마련되는 분사구멍이다.The nozzle case 142 has a storage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isinfectant therein, and the jetting unit 142 is a plurality of jetting hole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in the lateral direction.

분사부(144)는 노즐케이스(142)의 하측으로 연결되는 분사구멍이거나, 노즐케이스(142)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에 형성되는 분사구멍일 수 있다.The jetting section 144 may be a jetting hol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case 142 or a jetting hole formed in a protruding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nozzle case 142.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12)에는 칫솔모(4)의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부(50,6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11, the opening portion 112 may be provided with sensor portions 50 and 60 for detecting the entry of the bristles 4.

일 예의 센서부(150)는 개방부(112) 일측면에 마련되는 발광센서(152)와, 개방부(112) 타측면에 구비되어 발광센서(152))에서 조사되는 빛의 수용 또는 차단을 통해 칫솔모(4)의 진입을 감지하는 수광센서(154)를 포함한다. The sensor unit 15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sensor 15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112 and a light emitting sensor 15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112 to receive or block the light.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154 that senses the entry of the bristles 4 through the opening.

발광센서(152)에서 조사되는 빛이 수광센서(154)에서 수용되는 경우, 공급부(130)가 작동하지 않는다. 발광센서(152)에서 조사되는 빛이 수광센서(154)에서 차단되는 경우, 공급부(130)가 작동한다. 발광센서(152)와 수광센서(154)의 주변에는 개방부(112)에 결합되어 센서를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152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154, the supplying unit 130 does not operate.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152 is block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154, the supplying unit 130 operates. A protective cover may be provided around the light emitting sensor 152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154 to protect the sensor by being coupled to the opening 112.

다른 예의 센서부(160)는 개방부(112)에 구비되어 칫솔모(4)의 진입시 접촉에 의해 감지하는 작동스위치이다.Another example of the sensor unit 160 is an operating switch provided in the opening 112 and sensed by contact when the bristles 4 enter.

칫솔모(4)가 칫솔가이드(180)를 통해 진입하는 경우, 발광센서(152)에서 조사되는 빛이 칫솔모(4)에 차단되어 이를 수광센서(154)에서 감지되거나 칫솔모(4)의 누름 작용에 의해 작동스위치(160)가 감지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제어부(190)를 통해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공급부(130)를 가동하고 저장부(120)에 저장된 소독액을 흡입관로(132)를 통해 공급관로(134)로 공급한다.When the bristles 4 enter through the toothbrush guide 180,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152 is blocked by the bristles 4 and i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154 or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bristles 4 The operation switch 160 is activat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ntrol unit 190 to operate the supply unit 130 and supply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to the supply pipe 134 ).

연이어, 공급관로(134)에서 공급된 소독액이 노즐부(140)의 노즐케이스(142)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분사부(144)를 통해 하측으로 널리 퍼지면서 분사되고 칫솔모(4) 내부까지 흠뻑 적셔주므로 칫솔모(4) 내부까지 완벽하게 살균한다.The disinfectant supplied from the supply line 134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nozzle case 142 of the nozzle unit 140 and then spread while spreading downward through the jetting unit 144 to be dripped into the bristles 4 So that the inside of the bristles (4) is completely sterilized.

따라서, 기존의 자외선 살균방식 또는 가열 살균방식과 다르게, 단시간 내에 칫솔모(4)에 존재하는 세균을 모두 살균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살균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ultraviolet sterilization method or the heat steriliz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ll the bacteria existing in the bristles 4 within a short time,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본체(110)의 개방부(112)는 센서부(150)와 센서부(160)를 모두 구비하거나 이중 어느 하나 만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150,16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근접센서 또는 기타 다른 방식의 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opening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both the sensor portion 150 and the sensor portion 160 or only one of them. The sensor units 150 and 160 may be proximity sensors or other sensors although not shown.

본체(110)에는 개방부(112)로 삽입되어 칫솔모(4)를 적셔준 후 흘러내린 소독액을 받아주는 받이부재(170)가 더 포함된다.The main body 110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member 170 which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12 to wet the bristles 4 and then receives the disinfectant flowing down.

받이부재(170)의 상측 테두리에는 소독액의 튐을 방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격벽부(172)가 구비된다. 격벽부(172)는 받이부재(170)의 상측 테두리에서, 전측을 제외한 좌측, 우측, 후측 테두리에 모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dge of the receiving member 17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172 protruding upward to prevent the disinfectant from leak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wall portion 172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and the rear side except for the front side on the upper edge of the receiving member 170.

격벽부(172)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되어 센서부(150,160)의 발광센서(152)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메인관통부(174)가 더 구비된다. 즉, 메인관통부(174)는 센서부(150)의 발광센서(152) 및 수광센서(154)를 위해 사용되도록 양측 격벽부(172)에 2개 형성되고, 센서부(160)의 작동스위치를 위해 사용되도록 후측 격벽부(172)에 1개 형성된다.The partition wall 172 further includes a main penetration portion 174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ssion sensor 152 of the sensor portions 150 and 160 passes laterally. That is, two main penetrating portions 174 are formed on both side wall portions 172 for use with the light emitting sensor 152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154 of the sensor portion 150, One on the rear-side partition wall portion 172 for use for the other.

메인관통부(174)는 사각형상의 구멍으로 도시하였으나, 원형 또는 다양한 형상의 구멍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main penetrating portion 174 is shown as a rectangular hole, it can be changed into a circular or variously shaped hole.

받이부재(170) 상측에는 칫솔모(4)의 진입을 도와주는 칫솔가이드(180)가 구비된다.Above the receiving member 170, a toothbrush guide 180 is provided to assist in the entry of the bristles 4.

칫솔가이드(180)는, 받이부재(170)의 걸림부(176)에 걸려져 안착되는 지지판(182)과, 지지판(182)의 상측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한 쌍 구비되어 칫솔모(4)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84)과, 지지판(182)에 상하로 개방되고, 칫솔모(4)에서 흐르는 소독액을 받이부재(170)로 통과시키는 통과구멍(186)을 포함한다.The toothbrush guide 180 includes a support plate 182 which is held by the retaining portion 176 of the receiving member 170 and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82 and a pair of bristles 4 And a through hole 186 which is vertically opened on the support plate 182 and through which the disinfectant flowing in the bristles 4 is passed to the receiving member 170. [

지지판(182)은 받이부재(170)에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지지판(172)의 저면 전체 테두리가 받이부재(170)의 걸림부(176)에 걸려 안착 지지 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182)의 사방 테두리가 받이부재(170)의 걸림부(176)에 안착됨과 동시에 측면이 접촉 지지됨으로써, 칫솔가이드(180)가 받이부재(170)에서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다.The support plate 182 can be seated and supported by the retaining portion 176 of the receiving member 170 so that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172 is engaged with the retaining portion 176 for stable seating on the receiving member 170. The support plate 182 is mounted on the retaining portion 176 of the receiving member 170 and the side surfaces thereof are abutted and supported so that the toothbrush guide 180 is mounted .

칫솔가이드(180)를 받이부재(170)에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184)를 잡고서 들어올리면 지지판(152)의 저면 테두리가 내측 걸림부(176)에서 이탈됨으로써 칫솔가이드(180)가 받이부재(170)에서 쉽게 분리된다.When the toothbrush guide 180 is to be drawn out from the receiving member 170, when the user holds the guide portion 184 and lifts it, the bottom edge of the supporting plate 152 is disengaged from the inner engaging portion 176, And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ember (170).

가이드부(184)는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개방부(112) 내측으로 진입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되다가 중심부위에서 직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가이드부(184)는 진입 부위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응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부(185)를 형성한다.The guide portion 184 is formed to be gradually narrowed as it enters the inside of the opening portion 112 in a mutually facing state, and is configured to be linearly connected on the central portion. That is, the guide portion 184 forms a pair of inclined surface portions 185 corresponding to the center line on the entering portion.

가이드부(184)에는 격벽부(170)의 메인관통부(174)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광센서(152)에서 조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관통부(187)가 구비된다. 관통부(187)는 메인관통부(174)와 같이 사각형상의 구멍으로 도시하였으나, 원형 또는 다양한 형상의 구멍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guide portion 184 is provided with a penetration portion 187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ssion sensor 152 pass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penetration portion 174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170. Although the penetrating portion 187 is shown as a square hole like the main penetrating portion 174, it can be changed into a circular or variously shaped hole.

지지판(182)에는 통과구멍(186)으로 연결되어 칫솔모(4) 저면을 받쳐주는 안착부(188)가 구비된다. 안착부(188)는 통과구멍(186) 상에 떠 있는 상태로 지지판(18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전,후로 연결된다.The support plate 182 is provided with a seating part 188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86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stles 4. The seating portion 188 is connected back and forth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support plate 182, floating on the through-hole 186.

통과구멍(186)은 가이드부(184)의 너비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갖는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부(184)의 일부 구간 역시 통과구멍(186) 상측에 부양하는 상태로 형성된다.The passage hole 186 is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184 so that a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84 is also floated above the passage hole 186.

그 이유는 가이드부(184) 사이를 통해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소독액이 지지판(182)과 가이드부(184) 사이의 모서리에 잔류하지 않고, 거의 모두 통과구멍(186)으로 통과하여 흘러 내려 받이부재(70)에 저장되도록 도와주기 위함이다.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disinfectant solution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guide portions 184 does not remain on the edge between the support plate 182 and the guide portion 184 but passes almost all through the passage hole 186 to flow down the receiving member 70). ≪ / RTI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110 : 본체 12,112 : 개방부
14,114 : 도어부 16,116 : 커버부
20,120 : 저장부 30,130 : 공급부
32,132 : 흡입관로 34,134 : 공급관로
40,140 : 노즐부 42,142 : 노즐케이스
44,144 : 분사부 50,150,160 : 센서부
52,152 : 발광센서 54,154 : 수광센서
70,170 : 받이부재 80,180 : 칫솔가이드
82,182 : 지지판 83 : 접촉부
84,184 : 가이드부 86,186 : 통과구멍
87,187 : 관통부 88,188 : 안착부
89 : 진입유도부 122 : 돌기부
124 : 소독액 유도부 126 : 일회용 용기
172 : 격벽부 174 : 메인관통부
10, 110: main body 12, 112:
14, 114: door portion 16, 116: cover portion
20, 120: storage unit 30, 130:
32,132: suction line 34,134: supply line
40, 140: nozzle unit 42, 142:
44, 144: jetting part 50, 150, 160:
52, 152: Light emitting sensor 54, 154: Light receiving sensor
70,170: receiving member 80,180: toothbrush guide
82, 182: Support plate 83:
84, 184: guide portion 86, 186: through hole
87, 187: penetrating portion 88, 188:
89: Entry inducing part 122:
124: disinfectant leading portion 126: disposable container
172: partition wall portion 174: main penetration portion

Claims (15)

전측에 칫솔의 칫솔모가 진입하는 개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소독액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전원부의 전기를 이용하거나 수동방식으로 상기 저장부의 소독액을 흡입관로를 통해 흡입하여 공급관로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공급관로에 연결되고, 상기 소독액을 상기 칫솔모의 상측,좌측,우측,후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공급하여 골고루 적셔주는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칫솔모를 적셔준 후 흘러내린 소독액을 받아주는 받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A main body having an opening in which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enter the front side;
A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a disinfectant;
A supply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dapted to supply the disinfectant of the storage unit to the supply pipe by sucking the disinfectant of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suction pipe by using electricity of the power unit or manually; And
And a nozzle unit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nd supplying the disinfectant liquid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ristles,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member for receiving a disinfectant solution flowing down after wetting the bristl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소독액의 저장량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투명창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분리되거나 상측에 힌지 연결되는 도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부 하측에는 상기 저장부의 상측을 추가적으로 덮어주는 커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which can be visually seen so that the stora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can be visually observe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oor portion which is separated upward or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o open / close the storag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ver unit for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storage unit on the lower side of the door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바닥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저장부에 일회용 용기의 덮개필림을 뚫어주어 내부에 수용된 소독액이 흘러나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storage portion,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pierces the cover film of the disposable container in the storage portion, and the disinfectant solution contained therein flows out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일회용 용기의 덮개필림 진입시 소독액이 원활하게 흘러내리도록 도와주는 소독액 유도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소독액 유도부는 상기 돌기부의 둘레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rud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infectant guiding portion for allowing the disinfectant to flow smoothly when the lid of the disposable container enters the film,
Wherein the disinfectant guiding portion is protruded or recessed in a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protrud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공급펌프 또는 수동펌프(manual pu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ly is a supply pump or a manual pum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공급관로와 연결되어 소독액을 일시 수용하는 노즐케이스; 및
상기 노즐케이스에 다수 구비되고, 상기 칫솔모 전체에 소독액을 분사 공급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nozzle unit,
A nozzle case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isinfectant; And
And a plurality of spraying units for spraying and supplying the disinfectant to the entire bristl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에는 상기 칫솔모의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sensor portion for detecting entry of the bristl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개방부 일측면에 마련되는 발광센서; 및
상기 개방부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센서에서 조사되는 빛의 수용 또는 차단을 통해 상기 칫솔모의 진입을 감지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nsor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And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to sense entry of the bristles through receiving or block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개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칫솔모의 진입시 접촉에 의해 감지하는 작동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nsor unit is an operation switch provided at the opening and sensing by contact when the brush bristles enter the brush.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재의 상측 테두리에는 상기 소독액의 튐을 방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격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부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되어 센서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rtition wall portion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on an upper edge of the receiving member to prevent the disinfectant liquid from leaking,
Further comprising a penetrating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partition wall in a lateral direction to allow light emitted from the sensor unit to pass therethroug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칫솔모의 진입을 도와주는 칫솔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toothbrush guide for facilitating entry of the bristles.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가이드는,
상기 받이부재의 내측 걸림부에 걸려져 안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전후 길이 방향으로 한 쌍 구비되어 상기 칫솔모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판에 상하로 개방되고, 상기 칫솔모에서 흐르는 소독액을 하측으로 통과시키는 통과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oothbrush guide includes:
A supporting plate that is caught and seated on an inner engaging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A pair of guide portion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the bristles; And
And a through hole which is vertically opened on the support plate and through which the disinfectant flowing from the bristles flows downwar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개방부 내측으로 진입함에 따라 안내부에 의해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다가 중심부위에서 직진 연결되며,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통과구멍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칫솔모 저면을 받쳐주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guide portion is formed to be gradually narrowed by the guide portion as it enters the inside of the opening portion in a mutually facing state,
Wherein the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seat portion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side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stles.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칫솔몸체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칫솔모의 진입을 유도하는 진입유도부가 포함되고,
상기 진입유도부는 칫솔몸체의 좌우 너비에 따라 가압 위치가 달라짐으로써, 칫솔의 진입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n entrance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entrance of the bristles into the inside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by press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toothbrush body,
Wherein the entry guiding portion determines the entry position of the toothbrush by varying the press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left-right width of the toothbrush body.
KR1020130038029A 2012-12-11 2013-04-08 Device for sterilizing toothbrush KR1014465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3467 WO2014092257A1 (en) 2012-12-11 2013-04-23 Toothbrush steriliz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3662 2012-12-11
KR1020120143662 2012-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563A KR20140075563A (en) 2014-06-19
KR101446519B1 true KR101446519B1 (en) 2014-10-06

Family

ID=5112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029A KR101446519B1 (en) 2012-12-11 2013-04-08 Device for sterilizing tooth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5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152B1 (en) 2017-11-24 2019-12-18 주식회사 블루레오 Oral cleaner
KR102553271B1 (en) * 2022-02-15 2023-07-07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Toothbrush washing steriliz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6052A (en) 2001-05-18 2002-11-26 Tokyo Metal Center:Kk Plug-in toothbrush sterilizer with individual vacuum housing to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6052A (en) 2001-05-18 2002-11-26 Tokyo Metal Center:Kk Plug-in toothbrush sterilizer with individual vacuum housing to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152B1 (en) 2017-11-24 2019-12-18 주식회사 블루레오 Oral cleaner
KR102553271B1 (en) * 2022-02-15 2023-07-07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Toothbrush washing steri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563A (en)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998B1 (en) Sterilizer apparatus for toilet bowl
KR101250058B1 (en) Sterilizing device ofVacuum cleaner for bedding
JP5591637B2 (en) Oral cleaning device
JP6876457B2 (en) Pumps, household appliances with pumps, and methods for operating such household appliances
US20080219883A1 (en) Toothbrush sanitizer
KR101446519B1 (en) Device for sterilizing toothbrush
KR101729571B1 (en) Toilet seat cover have a sterilizing function
KR101622565B1 (en) Apparatus for disinfecting shoes
KR100930512B1 (en) Disinfecting unit, endoscope, rigid
KR101185153B1 (en) Card sterizer
US8366834B2 (en)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KR20200079358A (en) UVC sterilization sanitizing device for shopping cart
CN109131470B (en) Shopping c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429954B2 (en) Dishwasher
KR20140005693A (en) Card sterizer
KR20160115585A (en) Steam sterilizer for toothbrush
KR102463935B1 (en) IoT-applied shoe storage box
KR20230022337A (en) Electric water chiller-heater equipped with bubbl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KR20130004885U (en) Chemical liquid circulaltion apparatus for hair
JP2014036707A (en) Antiseptic solution container and antiseptic solution jetting device
KR101400070B1 (en) Humidifier structure with sanitizing lamps
KR20160045294A (en) Portable Sterilizer for baby goods
JP4135175B2 (en) Cleaning suction device
CN108852112A (en) A kind of toilet article holder in hotel
CN216456510U (en) Steriliz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