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480B1 -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480B1
KR101445480B1 KR1020130019279A KR20130019279A KR101445480B1 KR 101445480 B1 KR101445480 B1 KR 101445480B1 KR 1020130019279 A KR1020130019279 A KR 1020130019279A KR 20130019279 A KR20130019279 A KR 20130019279A KR 101445480 B1 KR101445480 B1 KR 101445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late
housing
slider
locker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260A (ko
Inventor
이병노
Original Assignee
이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노 filed Critical 이병노
Priority to KR1020130019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48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단 잠금장치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별도의 금속재 덮개 및 단일체의 승강편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문짝에서 손잡이의 축공까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l"형태의 손잡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볍고 콤팩트화된 다단 잠금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심에 슬라이더가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부(38a) 및 래치 설치공(38b)이 구비된 제1 하우징(38)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상, 하부에 각각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는 제2,3 하우징(22a)(22b)과, 상기 제2,3 하우징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록킹홈(23a) 및 걸림홈(23b)이 형성된 캠판(23)과, 상기 캠판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제2,3 하우징 및 캠판 사이에 각각 설치된 토션스프링(25)과, 상기 제2,3 하우징의 내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코일스프링(27)으로 탄력 설치되어 캠판(23)에 형성된 걸림홈(23b)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걸려 캠판(23)의 회동을 제어하는 록커(26)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앙에 코일스프링(41)에 의해 복원력을 갖으며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40)와,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누름편(31a)이 슬라이더(40)의 단턱(40a)에 접속되는 래치(31)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 및 록커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슬라이더의 하강 시 캠판의 잠금상태를 동시에 해제시키는 제1,2 작동레버(42)(43)와, 상기 제1,2,3 하우징을 폐쇄하는 제1,2,3 커버(44a)(44b)(44c)로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더(40)의 양단에 제1,2 작동레버(42)(43)의 일단이 끼워지는 삽입홈(40b)을 각각 형성하고 제1,2 작동레버의 일단에는 삽입홈에 끼워지는 절곡편(42a)(43a)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 작동레버(42)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절곡편(42b)은 록커(26)의 안착턱(26d)에 걸리고, 제2 작동레버(43)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절곡편(43b)은 또 다른 록커(26)의 상면에 접속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omitted}
본 발명은 미닫이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거실과 바란다 사이 등에 설치되는 문짝의 변형 정도 또는 미닫이문(門)에 설치된 잠금장치의 조립공차 등에 의해 문짝과 미닫이문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완전히 없애줄 수 있는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및 실외를 구획하는 미닫이문에는 미닫이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침입하지 못하도록 잠금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종래의 미닫이문에는 미닫이문의 중첩부에 걸림고리와 걸림편을 각각 고정하여 미닫이문이 닫힌상태에서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어 잠금장치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장치는 걸림고리와 걸림편의 고정위치 및 미닫이문의 조립정도에 따라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 수 없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즉, 걸림고리와 걸림편의 고정위치가 부정확하거나, 미닫이문의 조립정도가 불량할 경우에는 걸림고리를 걸림편에 걸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음은 물론 사용중 부주의로 걸림고리와 걸림편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이 파손될 경우에도 잠금장치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잠금장치와는 별도로 원활한 개폐작동을 위해서는 별도의 손잡이를 미닫이문에 부착하여야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새로운 타입의 미닫이문 잠금장치가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특허 제421692호로 등록 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 제421692호는 열려 있던 미닫이문을 닫기만 하면 걸림쇠가 캠판의 록킹홈에 걸리고 캠판은 래치에 지지되어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미닫이문이 닫힌 상태에서 외부의 침입자가 미닫이문을 통해 침입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을 갖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통상 문짝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한 부품을 사용하여 제작됨에 따라 압출 성형된 부품이 소성되는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문짝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변형됨에 따라 미닫이문을 닫았을 때 문짝과 미닫이문 사이의 틈새가 발생되지만, 잠금장치는 록킹되는 지점이 정해져 있어 건물을 시공할 때 완벽한 단열시공을 하더라도 문짝과 미닫이문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없앨 수 없게 되므로 결국 건물의 에너지 등급이 떨어지게 된다.
둘째, 설령 문짝의 수치를 정확하게 제작하였더라도 잠금장치가 록킹된 상태에서 통상 2 - 3mm 정도의 조립공차를 두고 있어 조립공차에 따른 틈새를 해소할 수 없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셋째, 잠금장치를 미닫이문에 1개만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미닫이문이 큰 경우에는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출원인은 미닫이문을 다단으로 잠글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미닫이문 잠금장치를 개발하여 특허 제2011-11139호로 출원한 바 있다.(2013. 01.30. 등록 결정)
도 1은 특허 제2011-11139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써, 미닫이문 프레임(21)의 상,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상부 전면에 록킹홈(23a)을 갖는 캠판(23)이 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캠판(23)의 하부에는 다단의 걸림홈(23b)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캠판(23)은 미닫이문이 닫혀 하우징(2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22)의 사이에 설치된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5)에 의해 복원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캠판(23)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우징(22)에는 캠판(23)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걸림홈(23b)에 끼워지는 록커(26)가 또 다른 탄성부재(27)인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있어 록커(26)가 어느 하나의 걸림홈(23b)에 걸린 상태에서는 캠판(23)의 록킹홈(23a)으로 문짝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8)의 돌출부(28a)가 끼워져 미닫이문의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잠금해제수단이 록커(26)를 하강시켜 캠판(23)의 걸림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미닫이문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캠판(23)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22)에는 캠판(23)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9)가 설치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잠금해제수단은 록커(26)의 측면에 수용공간(26b)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에 손잡이(30)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는 래치(31)의 누름편(31a)이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다단 잠금장치(33)는 손잡이(30)를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2개의 다단 잠금장치(33)의 잠금상태가 동시에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다단 잠금장치(33)는 손잡이(30)를 잡아당기는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래치(31)가 미닫이문 프레임(21)의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래치에 형성된 돌기(31b)는 각 다단 잠금장치(33)의 후방에 설치되는 승강편(34)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승강편(34)의 상, 하부에는 각 록커(26)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26c)가 끼워져 있어 손잡이(30)를 잡아당겨 승강편(34)을 하강시킴에 따라 2개의 록커(26)가 또 다른 탄성부재(27)를 누르면서 하강하여 캠판(23)의 록킹상태를 동시에 해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로써, 다른 실시예는 록커(26)가 승,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축(36)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미닫이문을 닫으면 문짝의 변형정도 또는 다단 잠금장치(33)의 조립공차 등에 구애받지 않고 캠판(23)에 형성된 록킹홈(23a)으로 스트라이커(28)의 돌출부(28a)가 끼워져 미닫이문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는데, 이 때 문짝(35)과 미닫이문의 틈새가 좁으면 도 4a와 같이 록커(26)가 캠판(23)의 저면에 위치하는 1번째 걸림홈(23b)에 걸려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지만, 문짝(35)과 미닫이문의 틈새가 넓을수록 록커(26)가 도 4b와 같이 2번째 위치하는 걸림홈(23b)에 걸려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문짝(35)과 미닫이문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실내의 온기 또는 냉기가 틈새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닫이문이 닫혀 잠긴 상태에서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5)가 눌려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캠판(23)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려는 힘을 갖게 됨은 물론이고 다단 잠금장치(33)를 구성하는 각각의 캠판(23)에 형성된 록킹홈(23a)으로 문짝(35)의 상, 하부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8)의 돌출부(28a)가 끼워지게 되므로 미닫이문의 상, 하부에서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록커(26)가 캠판(23)의 저면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걸림홈(23b)에 걸려 미닫이문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상태에서 미닫이문을 열기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30)를 파지한 다음 미닫이문의 개방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잠금해제수단인 래치(31)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래치(31)에 형성된 누름편(31a)이 록커(26)를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누름편(31a)이 록커(26)를 누르면, 록커(26)가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7)를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스트라이커(28)의 돌출부(28a)와 록킹홈(23aa)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캠판(23)은 압축되어 있던 또 다른 탄성부재(25)의 복원력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록킹홈(23a)이 스트라이커(28)의 돌출부(28a)에서 빠져나와 미닫이문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므로 미닫이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를 갖는 다단 잠금장치는 다단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미닫이문틀의 홈은 규격화되어 있는 반면, 승강편 및 덮개의 두께로 인해 손잡이의 축이 끼워지는 래치의 축공을 최대한 우측으로 배치하는데 한계가 있어 손잡이와 문짝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야 되지만, 손잡이와 문짝 사이의 간격이 좁아 "l"자 형태의 손잡이를 적용하지 못하고 부득이 꺾인 타입의 손잡이를 적용할 수밖에 없는 결함을 나타낸다.
또한, 승강편 및 덮개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또한 1m로 길어 무거워 작업성이 저하되었음은 물론이고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으로 작용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다단 잠금장치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별도의 금속재 덮개 및 단일체의 승강편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문짝에서 손잡이의 축공까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l"형태의 손잡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볍고 콤팩트화된 다단 잠금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중심에 슬라이더가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부 및 래치 설치공이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상, 하부에 각각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는 제2,3 하우징과, 상기 제2,3 하우징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록킹홈 및 걸림홈이 형성된 캠판과, 상기 캠판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제2,3 하우징 및 캠판 사이에 각각 설치된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2,3 하우징의 내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코일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어 캠판에 형성된 걸림홈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걸려 캠판의 회동을 제어하는 록커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앙에 코일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을 갖으며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누름편이 슬라이더의 단턱에 접속되는 래치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 및 록커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슬라이더의 하강 시 캠판의 잠금상태를 동시에 해제시키는 제1,2 작동레버와, 상기 제1,2,3 하우징을 폐쇄하는 제1,2,3 커버로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더의 양단에 제1,2 작동레버의 일단이 끼워지는 삽입홈을 각각 형성하고 제1,2 작동레버의 일단에는 삽입홈에 끼워지는 절곡편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 작동레버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절곡편은 록커의 안착턱에 걸리고, 제2 작동레버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절곡편은 또 다른 록커의 상면에 접속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다단 잠금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금속재 덮개 및 단일체의 승강편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문짝에서 손잡이의 축공까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l"형태의 손잡이를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외관을 미려하게 함은 물론이고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제1 하우징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길이가 짧아 소형 경량화로 인해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록커가 캠판에 형성된 걸림홈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제1,2,3 커버를 분리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6 내지 도 7d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제1,2,3 커버를 분리한 상태도로써, 본 발명은 제1 하우징(38)의 중심에 슬라이더가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부(38a) 및 래치 설치공(38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 하부에는 제2,3 하우징(22a)(22b)이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어 스크류(39)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 다단 잠금장치의 경량화를 위해 내구성이 필요하지 않는 제1 하우징(38)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고,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제2,3 하우징(22a)(22b)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미닫이문의 2중(상, 하부) 잠금장치에서 잠금 간격을 법으로 규제하고 있는 40cm를 충족하기 위해 전체의 높이를 40cm 내외로 함으로써, 종래의 1m보다 그 길이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부품의 경량화(종래 1kg, 본 발명 400g)는 물론이고 콤팩트(compact)화의 실현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제2,3 하우징(22a)(22b)의 내부에 록킹홈(23a) 및 걸림홈(23b)이 형성된 캠판(23)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3 하우징 및 캠판 사이에는 캠판에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토션스프링(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캠판(23)의 하부에는 캠판(23)에 형성된 걸림홈(23b)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걸려 캠판(23)의 회동을 제어하는 록커(26)가 승, 하강 가능하게 코일스프링(27)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3 하우징(22a)(22b)의 내부에 설치된 캠판(23) 및 록커(26)의 구성은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특허 제2011-11139호로 출원된 다단 잠금장치와 극히 유사함을 밝히는 바이다.
상기 제1 하우징(38)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부(38a)에 슬라이더(40)가 코일스프링(41)에 의해 복원력을 갖으며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하우징(38)에 형성된 래치 설치공(38b)에는 래치(3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치의 누름편(31a)이 슬라이더(40)의 단턱(40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40)의 일단 및 록커(26)의 사이에는 슬라이더의 하강 시 캠판(23)의 잠금상태를 동시에 해제시키는 제1,2 작동레버(42)(4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2,3 하우징(38)(22a)(22b)은 제1,2,3 커버(44a)(44b)(44c)에 의해 폐쇄되어 스크류(45)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슬라이더(40)의 일단 및 록커(26)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2 작동레버(42)(43)의 양단을 이들에 각각 고정하여도 되지만, 조립의 편리성 및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더(40)의 양단에 제1,2 작동레버(42)(43)의 일단이 끼워지는 삽입홈(40b)을 각각 형성하고 제1,2 작동레버의 일단에는 삽입홈에 끼워지는 절곡편(42a)(43a)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 작동레버(42)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절곡편(42b)은 록커(26)의 안착턱(26b)에 걸리고, 제2 작동레버(43)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절곡편(43b)은 또 다른 록커(26)의 상면에 접속되도록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한편, 슬라이더(40)의 승, 하강 시 제1,2 작동레버(42)(43)가 보다 안정적으로 승, 하강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38)에 복수 개의 수평 격벽(4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수평격벽에는 제1,2 작동레버(42)(43)의 승, 하강을 안내하는 안내요홈(46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제1 하우징(38)의 상, 하부에 캠판(23) 및 록커(26)가 내장된 제2,3 하우징(22a)(22b)을 각각 결합하여 스크류(39)로 체결함과 함께 제1 하우징(38)의 중심에 슬라이더(40) 및 래치(31)를 위치시킨 후 슬라이더(40)의 상, 하부 및 록커(26)의 사이에 제1,2 작동레버(42)(43)를 위치시키고 제1,2,3 하우징(38)(22a)(22b)을 제1,2,3 커버(44a)(44b)(44c)로 폐쇄함에 따라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조립된 본 발명의 다단 잠금장치는 제1 하우징(38)이 가벼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어 경량화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 크기(길이)가 약 40cm 내외로 짧아 취급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단 잠금장치는 종래와 같이 승강편 및 커버가 필요하지 않아 손잡이의 축이 끼워지는 래치(31)의 축공(31c)을 도면 상 우측으로 최대한 멀리 위치시킬 수 있어"l"의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갖는다.
따라서 미닫이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손잡이에 외력이 제거되어 있어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캠판(23)이 도면 상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더(40)는 코일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미닫이문을 닫으면 문짝(35)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8)에 의해 각각의 캠판(23)이 부딪혀 토션스프링(25)을 압축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록킹홈(23a)으로 문짝(35)에 고정된 스트라이커(28)의 돌출부(28a)가 끼워지게 되므로 미닫이문의 상, 하부에서 잠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문짝(35)과 미닫이문의 간격이 좁으면 도 7b와 같이 록커(26)가 캠판(23)에 형성된 첫 번째 걸림홈(23b)에 걸리고, 문짝(35)과 미닫이문의 간격이 넓으면 도 7c와 같이 록커(26)가 캠판(23)에 형성된 두 번째 걸림홈(23b)에 걸리게 되므로 문짝(35)과 미닫이문의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게 된다.
한편, 닫혔던 미닫이문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미닫이문의 손잡이(도시는 생략함)를 파지한 상태에서 미닫이문의 개방방향(도면 상 반 시계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래치(31)에 형성된 누름편(31a)이 슬라이더(40)의 단턱(40a)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40)가 코일스프링(41)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슬라이더(40)가 하강하면 상기 슬라이더(40)의 상, 하부에는 제1,2 작동레버(42)(43)의 일단이 각각 끼워져 있고 제1 작동레버(42)의 다른 일단은 상부에 위치하는 록커(26)의 안착턱(26d)에 걸려 있으며 제2 작동레버(43)의 다른 일단은 하부에 위치하는 록커(26)의 상부면에 걸려 있어 상, 하부에 위치하는 2개의 록커(26)가 동시에 코일스프링(27)을 압축하면서 하강하여 캠판(23)에 형성된 걸림홈(23b)으로부터 이탈되어 도 7d와 같이 스트라이커(28)와 캠판(23)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트라이커(28)의 돌출부(28a)에 걸려 있던 캠판(23)이 토션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미닫이문의 개방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22a : 제2 하우징 22b : 제3 하우징
23 : 캠판 26 : 록커
38 : 제1 하우징 38a : 공간부
38b : 래치 설치공 40 : 슬라이더
40a : 단턱 42 : 제1 작동레버
43 : 제2 작동레버 44a, 44b, 44c : 제1,2,3 커버
46 : 수평격벽 46a : 안내요홈

Claims (4)

  1. 삭제
  2. 중심에 슬라이더가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부(38a) 및 래치 설치공(38b)이 구비된 제1 하우징(38)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상, 하부에 각각 대칭되게 고정 설치되는 제2,3 하우징(22a)(22b)과, 상기 제2,3 하우징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록킹홈(23a) 및 걸림홈(23b)이 형성된 캠판(23)과, 상기 캠판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제2,3 하우징 및 캠판 사이에 각각 설치된 토션스프링(25)과, 상기 제2,3 하우징의 내부에 승, 하강 가능하게 코일스프링(27)으로 탄력 설치되어 캠판(23)에 형성된 걸림홈(23b)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걸려 캠판(23)의 회동을 제어하는 록커(26)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중앙에 코일스프링(41)에 의해 복원력을 갖으며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40)와, 상기 제1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누름편(31a)이 슬라이더(40)의 단턱(40a)에 접속되는 래치(31)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 및 록커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슬라이더의 하강 시 캠판의 잠금상태를 동시에 해제시키는 제1,2 작동레버(42)(43)와, 상기 제1,2,3 하우징을 폐쇄하는 제1,2,3 커버(44a)(44b)(44c)로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더(40)의 양단에 제1,2 작동레버(42)(43)의 일단이 끼워지는 삽입홈(40b)을 각각 형성하고 제1,2 작동레버의 일단에는 삽입홈에 끼워지는 절곡편(42a)(43a)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 작동레버(42)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절곡편(42b)은 록커(26)의 안착턱(26d)에 걸리고, 제2 작동레버(43)의 다른 일단에 형성되는 절곡편(43b)은 또 다른 록커(26)의 상면에 접속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38)에 복수 개의 수평 격벽(46)을 형성하고 상기 각 수평격벽에는 제1,2 작동레버(42)(43)의 승, 하강을 안내하는 안내요홈(4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4. 삭제
KR1020130019279A 2013-02-22 2013-02-22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KR10144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279A KR101445480B1 (ko) 2013-02-22 2013-02-22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279A KR101445480B1 (ko) 2013-02-22 2013-02-22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260A KR20140105260A (ko) 2014-09-01
KR101445480B1 true KR101445480B1 (ko) 2014-09-26

Family

ID=5175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279A KR101445480B1 (ko) 2013-02-22 2013-02-22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4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302A (ja) * 1995-06-23 1997-01-07 Sankyo Alum Ind Co Ltd 障子の引き寄せロック装置
KR20090011802A (ko) * 2007-07-27 2009-02-02 김재식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20100053020A (ko) * 2008-11-12 2010-05-20 임식규 안전도어 및 안전바 동시 잠금장치
KR20120090616A (ko) * 2011-02-08 2012-08-17 이병노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302A (ja) * 1995-06-23 1997-01-07 Sankyo Alum Ind Co Ltd 障子の引き寄せロック装置
KR20090011802A (ko) * 2007-07-27 2009-02-02 김재식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20100053020A (ko) * 2008-11-12 2010-05-20 임식규 안전도어 및 안전바 동시 잠금장치
KR20120090616A (ko) * 2011-02-08 2012-08-17 이병노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260A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441B2 (en) Operating device for lock
US7874598B2 (en) Auto latch for window sash
US8839562B2 (en) Mortise lock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US7837241B2 (en) Two point lock for doors and windows
RU2717892C2 (ru) Лабораторный шкаф
EP2330270A2 (en) Side hung and bottom hung double-opening window, structure, and control device thereof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200477705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20160052486A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180006213A (ko)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KR101237642B1 (ko)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KR200476646Y1 (ko) 훅 방향 전환식 여닫이 도어 잠금장치
US11674334B2 (en) Magnetically-triggered lock mechanism
CN107690503B (zh) 用于滑动窗的打开辅助装置
KR101445480B1 (ko) 미닫이문의 다단 잠금장치
KR10082302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및 잠금 해제장치
KR101743238B1 (ko) 잠금키가 구비된 창호용 핸들장치
KR20140147594A (ko) 미닫이창용 잠금장치
KR101206563B1 (ko) 창호용 잠금장치
US20080256992A1 (en) Two Point Lock for Doors and Windows
KR101446682B1 (ko)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
KR101318204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101209895B1 (ko) 창호의 자동 잠금장치
EP1266112B1 (en) Improved sliding latch for window and door frames
KR200386711Y1 (ko) 창문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