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131B1 -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131B1
KR101445131B1 KR1020120128186A KR20120128186A KR101445131B1 KR 101445131 B1 KR101445131 B1 KR 101445131B1 KR 1020120128186 A KR1020120128186 A KR 1020120128186A KR 20120128186 A KR20120128186 A KR 20120128186A KR 101445131 B1 KR101445131 B1 KR 101445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base
base portion
ground
gravit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048A (ko
Inventor
지성현
김동준
최재형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1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은 내부에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중력부; 상기 중력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중공부를 형성하되,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지반에 삽입되는 삽입기초부; 지반으로부터 상기 삽입기초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기초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중력식 파일과 석션형 파일을 조합하여 지반에 관입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HYBRID-TYPE SUCTION PI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에 관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어떠한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기초 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물막이 공사를 통해 바닷물을 막은 상태에서 일반적인 육지에서의 시공 과정과 동일하게 기초 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수중항타장비를 이용하여 기초파일을 관입시켜 시공한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수심이 그리 깊지 않은 바다에서는 시공하는데 곤란함이 없지만, 1000m 이상의 수심이 깊은 바다에서는 이 시공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고, 또한 이러한 시공방법은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거나 시공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공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 제안된 것이 석션 파일을 이용한 시공방법이다.
석션 파일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밀폐된 석션 파일에 수중 펌프를 설치하는데, 상기 수중 펌프는 석션 파일의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수상에는 바지선 혹은 일반 선박을 이용해 작업대가 마련되는데, 상기 작업대에는 석션 파일의 설치를 위한 크레인과 수중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측정장비 등이 마련된다.
크레인을 이용해 석션 파일을 수중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에, 수중 펌프를 작동시켜 파일 내부의 물을 밖으로 배출시키면, 수중과 석션 파일 내부 간에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 압력차에 의해 파일은 지면에 박히게 된다. 이와 같은 석션 파일의 시공원리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석션파일의 경우에 상부구조물에 의한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석션파일이 해상풍력 구조물기초 또는 심해용 해양플랜트 기초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바람에 의한 수평력 및 상부구조물 간 연결 케이블/파이프라인의 장력과 같은 수평방향의 외력에 대한 지지력 및 전도에 대한 저항력도 상당히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력식 파일과 석션형 파일을 조합하여 지반에 관입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중력부; 상기 중력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중공부를 형성하되,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지반에 삽입되는 삽입기초부; 지반으로부터 상기 삽입기초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기초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종단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마련되고, 지반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수평력에 대항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중력부는 상기 삽입기초부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관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중력부의 하면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삽입기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복수개가 상기 삽입기초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는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삽입기초부의 외주면 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기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종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력식 구조물과 석션형 구조물이 조합되는 형태의 파일을 구성하여 지반에 관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이 제공된다.
또한, 중력식 구조물인 중력부에 스커트부를 장착하여, 지반에 삽입되도록 하여 지반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삽입기초부의 외주면에 판형의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심해에서 지반에 수평한 방향의 외력 및 전도에 저항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삽입기초부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파일의 인발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반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도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의 시공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의 시공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100)은 지반에 관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되는 석션 파일로서, 중력부(110)와 스커트부(120)와 삽입기초부(130)와 블레이드(140)를 포함한다.
상기 중력부(110)는 지반에 관입되는 삽입기초부(130)에 하중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된다. 한편, 큰 하중을 가하기 위하여 중력부(1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콘크리트(C)가 채워진다.
또한, 지반과 접촉하는 접지면적을 증가시켜 중력부(1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력부(110)의 외경은 후술하는 삽입기초부(130)의 외경보다 크게 마련된다.
상기 스커트부(120)는 중력부(11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삽입기초부(130)와 함께 지반에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지반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커트부(120)는 중력부(110) 하면의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중력부(110)와 일체로 제작되나, 별도로 제작되어 중력부(11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기초부(130)는 지반에 실질적으로 관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중력부(1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삽입기초부(130)는 내부에 중공부(131)를 형성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중력부보다 작은 외경의 관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블레이드(140)는 삽입기초부(130)와 함께 지반에 삽입되어, 심해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수평력에 대항하여 삽입기초부(130)의 관입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구조물로서, 삽입기초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140)는 판상으로 삽입기초부(130)의 외주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된다. 복수개의 블레이드(140))는 삽입기초부(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비되며, 블레이드의 개수는 삽입기초부(130)의 길이, 관입되는 곳의 수심, 가해지는 수평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레이드(140)의 종단부는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지반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의 시공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관입될 장소에 본 실시예의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100)을 위치시키고, 소정의 펌프 등을 이용하여 삽입기초부(130)의 중공부(131) 내에 수용되는 물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킨다.
수용되던 물이 삽입기초부(130)로부터 배출됨에 따라, 삽입기초부(130) 중공부(131)의 내외부 간의 압력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압력차에 의하여 삽입기초부(130)는 지반으로 관입된다. 삽입기초부(130)가 지반에 관입됨과 동시에 삽입기초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블레이드(140)도 지반에 삽입된다.
이때, 블레이드(140)는 지반 삽입시 마찰저항을 최소화되도록 단부가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지반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기초부(130) 및 블레이드(140)가 지반에 완전히 삽입되면, 중력부(110)의 하면은 지반에 밀착되고, 중력부(110) 하면에 형성되는 스커트부(120) 역시 지반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공정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100)의 관입이 완료된 후의 지지력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삽입기초부(130)와 함께 삽입되는 블레이드(140)는 수평 방향의 외력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지반에 삽입된 스커트부(120) 역시 수평외력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관입된 삽입기초부(130) 상에 콘크리트(C)를 포함하는 중력부(110)가 마련되어 삽입기초부에 하중을 가하고 있으므로, 삽입기초부의 관입 상태는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200)은 지반에 관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대해서 견고하게 지지되는 석션 파일로서, 중력부(110)와 스커트부(120)와 삽입기초부(130)와 블레이드(240)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중력부(110)와 스커트부(120)와 삽입기초부(13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240)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삽입기초부(130)의 외주면을 감는 나선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블레이드(240)는 삽입기초부(130)의 전체에 걸처 형성되지 않고 삽입기초부(130)의 일부에만 설치됨으로써, 지반으로 삽입시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존 실시예에서 삽입기초부(130)는 블레이드(240)의 종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나선형 삽입기초부(130)의 피치 및 두께는 삽입시 지반과의 마찰저항, 삽입된 후의 지지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의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의 시공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200)의 관입공정은, 먼저, 중공부(131)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블레이드(240)가 형성되지 않는 삽입기초부(130)의 종단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된다.
지속적인 배출공정과 함께 블레이드(240)와 지반이 접촉하게 되면, 삽입기초부(130)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의 블레이드(240)에 의하여 회전하며 관입된다.
즉, 삽입기초부(130)는 일부구간은 회전없이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나머지구간에서만 회전하며 삽입되므로, 삽입시 지반과 블레이드(240)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저항은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나선형의 블레이드(240)에 의하여 지반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힘에 대한 저항력 및 지지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관입 후 지반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중력부 120 : 스커트부
130 : 삽입기초부 140 : 블레이드

Claims (6)

  1. 내부에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중력부;
    상기 중력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중공부를 형성하되,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지반에 삽입되는 삽입기초부;
    지반으로부터 상기 삽입기초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기초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종단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마련되고, 지반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수평력에 대항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부는 상기 삽입기초부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관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중력부의 하면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삽입기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복수개가 상기 삽입기초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삽입기초부의 외주면 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초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종단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KR1020120128186A 2012-11-13 2012-11-13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KR101445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86A KR101445131B1 (ko) 2012-11-13 2012-11-13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86A KR101445131B1 (ko) 2012-11-13 2012-11-13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48A KR20140061048A (ko) 2014-05-21
KR101445131B1 true KR101445131B1 (ko) 2014-09-29

Family

ID=5089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186A KR101445131B1 (ko) 2012-11-13 2012-11-13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1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8727A (zh) * 2015-05-05 2015-08-05 福建永福工程顾问有限公司 一种单桩-重力式联合海上风电基础
US11441289B2 (en) * 2018-10-05 2022-09-13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Hybrid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turbines
EP4060121A1 (en) 2021-03-18 2022-09-21 Subsea 7 Limited Subsea found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05423A1 (en) * 2018-01-08 2020-07-16 Andrew NIEMZCYK Device and method for loosening soil
CN110397070A (zh) * 2019-07-01 2019-11-01 天津大学 一种筒边桩式海上风电基础
CN110439024A (zh) * 2019-07-26 2019-11-12 天津大学 一种用于海上风机的螺旋桩复合筒型基础及其施工方法
CN110670617A (zh) * 2019-09-03 2020-01-10 东南大学 一种预制重力式吸力式沉箱基础
CN110670618A (zh) * 2019-09-03 2020-01-10 东南大学 一种带有翼板的预制重力式吸力式沉箱基础
CN110670621B (zh) * 2019-09-03 2021-03-09 东南大学 一种装配重力式加翼吸力式沉箱基础
CN110670616A (zh) * 2019-09-03 2020-01-10 东南大学 一种现浇重力式吸力式沉箱基础
CN110670620A (zh) * 2019-09-03 2020-01-10 东南大学 一种带有翼板的现浇重力式吸力式沉箱基础
KR102348552B1 (ko) * 2020-06-29 2022-01-07 한국전력공사 해상 풍력 발전 장치의 버킷과 이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 발전 장치 및 해상 풍력 발전 장치의 설치 방법.
CN115324052A (zh) * 2022-10-17 2022-11-11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大直径混凝土圆筒下沉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072Y1 (ko) * 2002-02-15 2002-05-01 (주)대우건설 플랜지가 구비된 석션파일
KR20120064774A (ko) * 2010-12-10 2012-06-20 현대건설주식회사 후크 돌출형 석션 파일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65672A (ko) * 2010-12-13 2012-06-21 주식회사 포스코 부유식 석션 파일
KR20120120642A (ko) * 2011-04-25 2012-11-02 한국해양연구원 관입용 선단 슈가 설치된 석션파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072Y1 (ko) * 2002-02-15 2002-05-01 (주)대우건설 플랜지가 구비된 석션파일
KR20120064774A (ko) * 2010-12-10 2012-06-20 현대건설주식회사 후크 돌출형 석션 파일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65672A (ko) * 2010-12-13 2012-06-21 주식회사 포스코 부유식 석션 파일
KR20120120642A (ko) * 2011-04-25 2012-11-02 한국해양연구원 관입용 선단 슈가 설치된 석션파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8727A (zh) * 2015-05-05 2015-08-05 福建永福工程顾问有限公司 一种单桩-重力式联合海上风电基础
US11441289B2 (en) * 2018-10-05 2022-09-13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Hybrid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turbines
US20230175228A1 (en) * 2018-10-05 2023-06-08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Hybrid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turbines
US11885093B2 (en) * 2018-10-05 2024-01-30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Method of installing a hybrid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turbines
EP4060121A1 (en) 2021-03-18 2022-09-21 Subsea 7 Limited Subsea found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48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131B1 (ko) 하이브리드형 석션 파일
KR101777199B1 (ko) 해양구조물 고정용 석션파일
DK3178996T3 (en) PILE FOR A OFFSHORE MONOPILE FOUNDATION
KR102455887B1 (ko) 중력식 석션 앵커
US9428876B2 (en) Multi-suction-pile anchor and flat plate anchor having suction piles
US20160047107A1 (en) Underwater support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101772508B1 (ko) 해양시설의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A2942790A1 (en) Pile foundations for supporting power transmission towers
KR101398912B1 (ko) 내외부 석션 관부재의 이중배치에 의한 복합구조를 가지는 석션기초와 그 시공방법
KR101177396B1 (ko) 스파이럴 파일 고정식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794280B1 (ko) 급속 시공을 위한 셕션 파일
KR102443891B1 (ko) 해저면의 모노파일 관입용 지그 어셈블리 및 이것을 이용한 모노파일 관입 방법
KR20150050618A (ko) 석션 파일
KR101341176B1 (ko) 해상 지지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977979B1 (ko) 버킷 기초를 활용한 해양 말뚝 보강장치
JP2016084660A (ja) 洋上風力発電装置の基礎構造
KR20130028312A (ko) 부력형성부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399090B1 (ko) 중량체 가이드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복수개의 관 부재로 이루어진 석션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1495572B1 (ko) 다중석션파일 앵커
KR100979256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횡 지지력 보강 계류방법
JP6826266B2 (ja) 洋上風車用モノパイル基礎補助構造物および洋上風車用モノパイル基礎補助構造
JP2022547147A (ja) 1つまたは複数の構造物をアンカリングするための軟弱地盤アンカー装置および軟弱地盤にアンカーを配置する方法
KR101237983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06273A (ko) 해양구조물 지지장치
KR101237986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