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926B1 - 장치간 협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의사소통 장치 - Google Patents

장치간 협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의사소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926B1
KR101444926B1 KR1020130010067A KR20130010067A KR101444926B1 KR 101444926 B1 KR101444926 B1 KR 101444926B1 KR 1020130010067 A KR1020130010067 A KR 1020130010067A KR 20130010067 A KR20130010067 A KR 20130010067A KR 101444926 B1 KR101444926 B1 KR 101444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otiation
triple
information
rdf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902A (ko
Inventor
송도규
Original Assignee
(주)센솔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솔로지 filed Critical (주)센솔로지
Priority to KR102013001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926B1/ko
Priority to US14/035,165 priority patent/US20140214746A1/en
Publication of KR2014009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2Knowledge representation; Symbol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리소스 디스크립션 프레임워크(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기반으로 상대방 장치에 협의를 요청하여 협의 결과를 도출하는 의사소통 장치로서, 의사 결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RDF 트리플로 변환하여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트리플들을 관리하는 사용자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 사용자로부터 협의를 요청하는 입력문을 입력받고, 입력문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며, 입력문을 RDF 트리플로 변환하여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생성하는 입력문 분석부,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서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을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 상기 키워드, 그리고 상기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상기 상대방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상대방 장치로부터 수신한 협의 트리플을 검토하고 수정하여 최종 협의 트리플을 추출하는 협의부, 그리고 최종 협의 트리플을 기초로 협의 문장을 작성하는 협의 결과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치간 협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의사소통 장치{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간 협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의사소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편리한 의사소통 수단이 사람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언어는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한다.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상대 컴퓨터에게 상세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전달하고 이를 전달받은 컴퓨터가 그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여 처리할 수 있다면 사람을 대신한 컴퓨터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사람을 대신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컴퓨터는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중요한 구성요소이고, 생활을 편리하게 향상시키며 인류의 생활양식에 좋은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자연언어가 가지는 유연성과 풍부한 표현력을 컴퓨터가 충분히 다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포맷인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트리플로 변경하여 지식과 정보의 의미를 전달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RDF 트리플은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 W3C)이 관장하는 국제 표준으로서, 지식과 정보를 서브젝트[Subject(resource)], 프레디키트[Predicate(property)], 오브젝트[(Object(literal)]의 세 쌍으로 나타내는 형식이다. 그러나, 현재 RDF 트리플을 이용하여 장치간 의사 소통을 원활히 구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07760(2012년01월20일 공고) 지능형 질의 응답 검색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RDF 트리플 기반의 장치간 협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의사소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디스크립션 프레임워크(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기반으로 상대방 장치에 협의를 요청하여 협의 결과를 도출하는 의사소통 장치로서, 의사 결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RDF 트리플로 변환하여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트리플들을 관리하는 사용자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 사용자로부터 협의를 요청하는 입력문을 입력받고, 입력문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며, 입력문을 RDF 트리플로 변환하여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생성하는 입력문 분석부,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서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을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 상기 키워드, 그리고 상기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상기 상대방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상대방 장치로부터 수신한 협의 트리플을 검토하고 수정하여 최종 협의 트리플을 추출하는 협의부, 그리고 최종 협의 트리플을 기초로 협의 문장을 작성하는 협의 결과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협의부는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 상기 키워드, 그리고 상기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포함하는 협의 정보를 생성하는 협의 정보 결정부, 상기 협의 정보를 상기 상대방 장치로 전송하는 협의 정보 전송부, 그리고 상기 상대방 장치로부터 협의 트리플을 수신한 경우, 협의 트리플이 상기 협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충돌하는 지 검토하고, 충돌하지 않는 경우, 수신한 협의 트리플을 최종 협의 트리플로 결정하는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는 수신한 협의 트리플이 상기 협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충돌하는 경우, 수신한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여 상기 상대방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협의 결과 출력부는 상기 협의 문장에 동의하는지를 문의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동의함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협의 문장을 최종 협의 결과로 출력하며, 상기 협의 문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협의 결과 출력부는 상기 협의 문장에 동의하지 않음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최종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도록 상기 협의부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협의부는 상기 최종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여 상기 상대방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디스크립션 프레임워크(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기반으로 협의 요청 장치와 통신하여 협의 결과를 도출하는 의사소통 장치로서, 의사 결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RDF 트리플로 변환하여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트리플들을 관리하는 사용자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 그리고 상기 협의 요청 장치로부터 협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협의 정보와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들을 비교하여 협의 트리플을 작성하고, 상기 협의 트리플을 상기 협의 요청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협의 요청 장치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기초로 상기 협의 트리플을 검토하거나 협의 문장을 출력하는 협의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의 정보는 상기 협의 요청 장치에 입력된 입력문에 관계된 트리플들을 포함한다.
상기 협의 정보는 상기 입력문의 키워드, 상기 입력문을 RDF 트리플로 변환한 입력문의 트리플 집합,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은 상기 협의 요청 장치에 RDF 트리플로 변환되어 저장된 의사 결정 정보 중에서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일 수 있다.
상기 협의부는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들 중에서, 상기 협의 정보의 서브젝트 그리고 프레디키트와 일치하는 트리플의 오브젝트를 추출하여, 협의 트리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협의부는 상기 응답이 문장인 경우, 상기 문장을 최종 협의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협의부는 상기 응답이 문장이 아닌 경우, 상기 응답과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들을 비교하여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협의부는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 경우, 상기 응답을 수정하여 상기 협의 요청 장치로 전송하고, 충돌하는 트리플이 없는 경우, 상기 응답에 동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협의 요청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디스크립션 프레임워크(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기반으로 제1 의사소통 장치가 제2 의사소통 장치와 협의하는 방법으로서,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입력문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그리고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서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상기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 그리고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을 포함하는 협의 정보를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부터 상기 협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협의 트리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 그리고 상기 협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협의 트리플을 비교하여 상기 협의 트리플을 검토하는 단계, 그리고 검토 결과 충돌하는 트리플이 없는 경우, 상기 협의 트리플을 협의 문장으로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협의 트리플을 검토하는 단계는 상기 협의 트리플 중에서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 그리고 상기 협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지 검토할 수 있다.
상기 협의 방법은 검토 결과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 경우, 상기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는 단계, 그리고 수정한 협의 트리플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의 방법은 상기 협의 문장에 동의하는지를 문의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협의 문장에 동의함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협의 문장을 최종 협의 결과로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협의 문장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의 방법은 상기 협의 문장에 동의하지 않음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는 단계, 그리고 수정한 협의 트리플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디스크립션 프레임워크(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기반으로 제1 의사소통 장치가 제2 의사소통 장치와 협의하는 방법으로서,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부터 협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 정보와 상기 협의 정보를 비교하여 협의 트리플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협의 트리플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부터 수신한 응답을 기초로 협의 문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협의 정보는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에 입력된 입력문에 관계된 트리플들을 포함한다.
상기 협의 정보는 상기 입력문의 키워드, 상기 입력문을 RDF 트리플로 변환한 입력문의 트리플 집합,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은 상기 협의 요청 장치에 RDF 트리플로 변환되어 저장된 의사 결정 정보 중에서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일 수 있다.
상기 협의 문장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이 문장인 경우, 상기 문장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협의 문장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이 문장이 아닌 경우, 상기 응답과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들을 비교하여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지 판단하고,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 경우, 상기 응답을 수정하여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고, 충돌하는 트리플이 없는 경우, 상기 응답에 동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사소통 장치가 사람을 대신하여 상대방의 의사소통 장치와 대화하여 양측의 사용자가 만족하는 결과를 협의해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사소통 장치가 상대방의 의사소통 장치와 통신하여 약속 정하기, 일정 수립, 승낙 여부, 동의 여부, 계약 여부, 메일/전화 확인, 자료 주고받기, 선물 정하기 등을 협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사소통 장치가 사람을 대신해 협의를 수행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한 생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의사소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협의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온톨로지부와 연동하는 의사소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간 협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간 협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간 협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간 의사소통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의사소통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의사소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의사소통 장치(100)는 사용자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110), 입력문 분석부(130), 협의부(150), 그리고 협의 결과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110)는 RDF 트리플 변환부(111), 그리고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안자(A)의 의사소통 장치는 의사소통 장치(100a)로 표시하고, 상대방(B)의 의사소통 장치는 의사소통 장치(100b)로 표시한다. 의사소통 장치(100a)와 의사소통 장치(100b)는 통신하여 제안자(A)와 상대방(B)의 의사에 적합한 협의 결과를 출력한다. 앞으로, 의사소통 장치(100a)가 의사소통 장치(100b)로 협의를 제안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110a)는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협의부(150a, 150b)에서 이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113a)에 저장한다. 사용자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110a)는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RDF 트리플로 변환하고, 트리플의 삭제, 갱신, 정렬 및 검색 등의 관리를 한다.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는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표 1과 같이 어느 항목에 대한 취향, 즉 선호 또는 비선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협의부에서 이용할 수 있는 형식은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트리플일 수 있다. 여기서, RDF 트리플은 단위 지식과 의미를 서브젝트[Subject(resource)], 프레디키트[Predicate(property)], 오브젝트[(Object(literal)]의 세 쌍으로 표현하는 형식이다.
취향
항목
선호 비선호
음식 면류 중식
영화 멜로 공포/액션
음료 커피
관람 영화 운동경기
장소 카페 주점
여가 산책 음주
여행 바다
RDF 트리플 변환부(111a)는 표 1과 같은 형태로 입력된 정보를 표 2와 같은 RDF 트리플로 변환하여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113a)에 저장한다. RDF 트리플 변환부(111a)는 표의 레코드를 서브젝트로, 필드를 프레디키트로, 데이터를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113a)는 특정 서브젝트의 집합을 도메인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메인: 취향
서브젝트 프레디키트 오브젝트
음식 선호 면류
음식 비선호 중식
영화 선호 멜로
영화 비선호 공포/액션
음료 선호 커피
음료 비선호
공연 선호 영화
공연 비선호 운동경기
장소 선호 카페
장소 비선호 주점
여가 선호 산택
여가 비선호 음주
여행 선호 바다
여행 비선호
입력문 분석부(130a)는 사용자로부터 협의를 요청하는 문장, 즉 입력문을 입력받는다. 입력문 분석부(130a)는 텍스트, 음성, 이미지, 신호 등 사용자가 원하는 바를 표현할 수 있는 형태로 입력문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문 분석부(130a)는 입력문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한다. 이때, 입력문 분석부(130a)는 입력문을 형태소 분석과 구문 분석을 수행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문 분석부(130a)는 입력문을 분석하여 입력문을 RDF 트리플 집합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입력문 분석부(130a)는 사용자로부터 "다음주 수요일에 유재석씨와 여의도 근처에서 약속 잡아줘"라는 입력문을 입력받는다. 입력문 분석부(130a)는 입력문을 분석하여, "약속"이라는 키워드를 추출한다. 그리고, 입력문 분석부(130a)는 입력문을 표 3과 같은 RDF 트리플 집합으로 변환한다.
서브젝트 프레디키트 오브젝트
약속 일시 20121004;?
약속 상대 유재석
약속 장소 여의도
협의부(150a)는 입력문, 그리고 사용자 의사결정 정보를 기초로 상대방의 의사소통 장치(100b)와 협의하여, 협의 결과를 도출한다.
협의부(150a)는 상대방의 의사소통 장치(100b)로 협의 정보를 전송한다. 협의 정보는 상대방의 의사소통 장치(100b)가 상대방의 의사결정 정보와 충돌하는 지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로서, 입력문의 키워드,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 그리고 입력문에 관계된 트리플 집합을 포함한다. 입력문에 관계된 트리플 집합은 키워드, 또는 키워드의 유사 키워드에 관계된 키워드 연관 트리플 집합으로서,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113a)에 저장된 RDF 트리플들 중에서 추출된다. 협의부(150a)는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113a)에 저장된 RDF 트리플들 중에서, 키워드 연관 트리플 집합을 추출한다. 이때, 협의부(150a)는 키워드 "약속"에 연관된 내용을 도메인으로 가지는 트리플들을 키워드 연관 트리플 집합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대방의 협의부(150b)는 협의 정보에 포함된 트리플들과 자신의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113b)에 저장된 의사 결정 정보를 비교하여 협의 트리플을 추출한다. 즉, 상대방의 협의부(150b)는 자신의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113b)에 저장된 트리플들 중에서, 협의 정보의 서브젝트 그리고 프레디키트와 일치하는 트리플의 오브젝트를 추출한다. 상대방의 협의부(150b)는 사용자(A)의 취향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A)가 선호하는 정보로 구성된 협의 트리플을 생성한다. 또한, 상대방의 협의부(150b)는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113b)에 저장된 정보와 충돌하지 않는 협의 트리플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대방의 협의부(150b)는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113b)에 표 4와 같은 의사 결정 정보가 있는 경우, 약속1과 약속2에 충돌하지 않는 협의 트리플을 생성한다.
도메인: 일정
서브젝트 프레디키트 오브젝트
약속1 장소 서울역
약속1 일시 20121004;10:00-11:30
약속2 장소 강남역
약속2 일시 20121004;15:00-?
예를 들면, 협의부(150b)는 표 5와 같은 협의 트리플을 협의 결과로 생성한다.
서브젝트 프레디키트 오브젝트
약속 일시 20121004;13:00
약속 장소 PAUL 여의도점
약속 종류 커피전문점
협의부(150a)는 상대방의 의사소통 장치(100b)로부터 표 5와 같은 협의 트리플을 수신한다. 협의부(150a)는 협의 트리플이 자신의 의사 결정 정보와 충돌하는 경우,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여 상대방의 의사소통 장치(100b)로 전송한다. 이렇게, 협의부(150a)와 협의부(150b)는 협의 트리플이 자신의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의사 결정 정보와 충돌하지 않을 때까지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고 검토한다.
협의부(150a, 150b)는 상대방이 전송한 협의 트리플을 승낙하는 경우, 상대방으로 동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협의 트리플을 확정한다.
협의 결과 출력부(170a, 170b)는 최종 협의 트리플을 기초로 협의 문장을 출력한다. 협의 결과 출력부(170)는 최종 협의 트리플의 서브젝트에 있는 어휘를 A, 프레디키트에 있는 어휘를 B, 오브젝트에 있는 어휘를 C라고 하면, "A B는 C" 형태의 문장으로 변환하여 나열한다. 예를 들면, 협의 결과 출력부(170a, 170b)는 "약속 시간은 2012년10월4일 13시 약속 장소는 PAUL 여의도점 약속 종류는 커피전문점"이라고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협의부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협의부(150)는 협의 정보 결정부(151), 협의 정보 전송부(153),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155), 그리고 협의 트리플 송수신부(157)를 포함한다.
협의 정보 결정부(151)는 제안자(A)가 입력문을 입력하는 경우, 동작한다. 협의 정보 결정부(151)는 사용자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110) 그리고 입력문 분석부(130)의 정보를 기초로 협의 정보를 생성한다. 협의 정보는 상대방의 의사소통 장치가 상대방의 의사결정 정보와 충돌하는지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로서, 입력문의 키워드,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 그리고 입력문에 관계된 트리플 집합을 포함한다. 협의 정보 결정부(151)는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113)에 저장된 RDF 트리플들 중에서 키워드, 또는 키워드의 유사 키워드에 관계된 키워드 연관 트리플 집합을 입력문에 관계된 트리플 집합으로 추출한다.
협의 정보 전송부(153)는 협의 정보를 입력문에 포함된 상대방(B), 예를 들면 "유재석"의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한다.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155)는 상대방과 협의할 협의 트리플을 작성하거나, 상대방이 작성한 협의 트리플을 검토한다. 예를 들어,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155)는 협의 정보와 자신의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의사 결정 정보를 기초로 협의 트리플을 작성한다. 그리고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155)는 상대방에게 협의 트리플을 전송한다. 또한,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155)는 상대방이 전송한 협의 트리플이 자신의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의사 결정 정보와 충돌하는지 판단한다. 충돌하는 경우,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155)는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여 상대방에게 수정한 협의 트리플을 전송한다.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155)는 협의 트리플이 자신의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의사 결정 정보와 충돌하지 않을 때까지 상대방과 협의하여 협의 결과를 도출한다.
협의 트리플 송수신부(157)는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155)에서 생성한 협의 트리플을 상대방으로 전송하거나, 상대방이 전송한 협의 트리플을 수신하여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155)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온톨로지부와 연동하는 의사소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온톨로지부(200)는 의사소통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정형 포맷으로 저장한다. 온톨로지부(200)는 키워드 수신부(210), 키워드 온톨로지 처리부(230), 온톨로지 저장부(250), 온톨로지 처리 결과 송신부(270)를 포함한다.
협의부(150)는 온톨로지부(200)와 연동하여 협의 트리플을 작성하고 검토한다. 협의부(150)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협의 정보,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과 형태적으로 정확히 일치하는 항목이 없는 경우,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협의 정보, 또는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과 밀접한 내용을 추출한다.
사용자로부터 "10월4일 김태희씨와 데이트 일정 뽑아줘"라는 입력문을 입력받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협의부(150)는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서, 입력문의 키워드인 "데이트"에 관계된 정보의 도메인에 해당하는 RDF 트리플들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협의부(150)는 표 6과 같은 영화 도메인, 표 7과 같은 식당 도메인의 RDF 트리플들을 추출한다.
도메인 : 영화
서브젝트 프레디키트 오브젝트
테이큰2 시간 20121004;10:00-11:30
테이큰2 장소 여의도CGV
본레거시 시간 20121004;10:00-11:30
본레거시 장소 여의도CGV
도둑들 시간 20121004;10:00-11:30
도둑들 장소 여의도CGV
건축학개론 시간 20121004;10:00-11:30
건축학개론 장소 여의도CGV
도메인 : 식당
서브젝트 프레디키트 오브젝트
이탈리아노 종류 스파게티전문점
이탈리아노 전문 스파게티/파스타
이탈리아노 장소 여의도IFC
야래향 종류 중식전문점
야래향 전문 사천요리
야래향 장소 여의도IFC
아웃백 종류 스테이크전문점
아웃백 전문 스테이크
아웃백 장소 여의도백화점
그런데,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식으로 "면류"가 기재되어 있으나, 표 7과 같이 트리플 집합에 "면류"에 해당하는 항목이 없을 수 있다. 그러면, 협의부(150)는 온톨로지부(200)로 키워드 "면류"를 전송하여 "면류"에 관계된 온톨로지 정보를 요청한다.
키워드 수신부(210)는 키워드, 예를 들면 "면류"를 수신한다.
키워드 온톨로지 처리부(230)는 온톨로지 저장부(250)에서 키워드 "면류"와 관련이 있는 정보를 추출한다. 키워드 온톨로지 처리부(230)는 W3C에서 제정한 표준 프라퍼티인 'SubClassOf', 'EquivalentClasses', 그리고 추가 프라퍼티 'SuperClassOf' 관계의 클래스 처리를 수행하여 키워드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용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표 8과 같이 온톨로지 정보가 저장된 경우, 키워드 온톨로지 처리부(230)는 "면류"와 'SubClassOf' 관계인 "파스타"와 "스파게티"를 추출한다.
Declaration( Class( :면류 ) )
Declaration( Class( :파스타 ) )
Declaration( Class( :스파게티 ) )
SubClassOf( :파스타 :면류 )
SubClassOf( :스파게티 :면류 )
온톨로지 처리 결과 송신부(270)는 협의부(150)로 "면류"와 관계있는 정보인 "파스타"와 "스파게티"를 전송한다.
협의부(150)는 식당 도메인에 "면류"에 해당하는 항목이 없더라도, "파스타"와 "스파게티"에 관계된 정보에 해당하는 스파게티전문점인 "이탈리아노"를 식사 장소로 선택할 수 있다. 협의부(150)는 표 9와 같이 협의 트리플을 생성할 수 있다.
도메인 : 데이트
서브젝트 프레디키트 오브젝트
영화 시간 20121004;10:00-11:30
영화 장소 여의도CGV
영화 제목 건축학개론
식사 시간 20121004;12:00-13:30
식사 장소 여의도IFC이탈리아노
식사 종류 스파게티/파스타
산책 시간 20121004;13:30-14:30
산책 장소 여의도공원
음료 시간 20121004;15:00-16:00
음료 장소 PAUL여의도점
음료 종류 커피
협의 트리플이 최종 협의 결과로 확정되면, 협의 결과 출력부(170)는 최종 협의 트리플을 기초로 협의 문장을 출력한다. 협의 문장은 "영화 시간은 2012년10월4일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영화 장소는 여의도CGV 영화 제목은 건축학개론, 식사 시간은 2012년10월4일 12시부터 13시 30분까지 식사 장소는 여의도IFC이탈리아노 식사 종류는 스파게티와 파스타, 산책 시간은 2012년10월4일 13시 30분부터 14시 30분까지 산책 장소는 여의도공원, 음료 시간은 2012년10월4일 15시부터 16시까지 음료 장소는 PAUL여의도점 음료 종류는 커피"일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간 협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의사소통 장치(100a)와 의사소통 장치(100b)가 협의하여 입력문에 해당하는 협의 결과를 도출한다.
의사소통 장치(100a)와 의사소통 장치(100b) 각각은 자신의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S110, S111). 의사소통 장치(100a)와 의사소통 장치(100b) 각각은 표 형태로 정리된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RDF 트리플로 변환한다.
의사소통 장치(100a)는 협의를 요청하는 입력문을 입력받는다(S120).
의사소통 장치(100a)는 입력문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그리고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추출한다(S130).
의사소통 장치(100a)는 입력문의 키워드, 그리고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포함하는 협의 정보를 의사소통 장치(100b)로 전송한다(S140). 협의 정보는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서 추출된 입력문에 관계된 트리플 집합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입력문에 관계된 트리플 집합은 키워드, 또는 키워드에 연관된 내용을 도메인으로 가지는 트리플들을 포함한다.
의사소통 장치(100b)는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서 협의 정보에 관계된 트리플들을 수집한다(S150).
의사소통 장치(100b)는 수집한 트리플들과 협의 정보를 비교하여 협의 정보를 만족하는 협의 트리플을 생성한다(S160).
의사소통 장치(100b)는 협의 트리플을 의사소통 장치(100a)로 전송한다(S170).
의사소통 장치(100a)는 저장된 트리플 집합과 협의 트리플을 비교하여 충돌되는 트리플이 있는지 판단한다(S180). 저장된 트리플 집합은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들, 그리고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과 협의 트리플을 포함한다.
충돌되는 트리플이 없는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a)는 협의 트리플을 협의 문장으로 작성한다(S190).
충돌되는 트리플이 있는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a)는 협의 트리플을 수정한다(S200).
의사소통 장치(100a)는 수정한 협의 트리플을 의사소통 장치(100b)로 전송한다(S210).
의사소통 장치(100b)는 저장된 트리플 집합과 수정한 협의 트리플을 비교하여 충돌되는 트리플이 있는지 판단한다(S220).
충돌되는 트리플이 없는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b)는 의사소통 장치(100a)로 동의 메시지를 전송한다(S230). 그러면, 의사소통 장치(100a)는 단계(S190)를 진행한다.
충돌되는 트리플이 있는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b)는 협의 트리플을 재수정한다(S240).
의사소통 장치(100b)는 재수정한 협의 트리플을 의사소통 장치(100a)로 전송한다(S250). 그러면, 의사소통 장치(100a)는 단계(S180)를 진행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S190) 이후, 의사소통 장치(100a)는 사용자에게 협의 문장에 동의하는지 문의한다(S260).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a)는 협의 문장을 최종 협의 결과로 출력한다(S270).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은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a)는 단계(S200)으로 이동하여 협의 트리플을 수정한다.
의사소통 장치(100a)는 협의 문장을 의사소통 장치(100b)로 전송한다(S280).
의사소통 장치(100b)는 의사소통 장치(100a)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문장인지 판단하여, 수신한 문장, 즉 협의 문장을 최종 협의 결과로 출력한다(S290).
수신한 정보가 문장이 아닌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b)는 저장된 트리플 집합과 수신한 정보가 충돌하는 지 판단하여 수신한 정보에 동의하거나 수신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간 협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의사소통 장치(100a)는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S310).
의사소통 장치(100a)는 입력문을 입력받는다(S320).
의사소통 장치(100a)는 입력문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그리고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추출한다(S322).
의사소통 장치(100a)는 입력문의 키워드, 그리고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포함하는 협의 정보를 의사소통 장치(100b)로 전송한다(S330).
의사소통 장치(100a)는 의사소통 장치(100b)로부터 협의 트리플을 수신한다(S340).
의사소통 장치(100a)는 저장된 트리플 집합과 협의 트리플을 비교하여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지 판단한다(S342). 저장된 트리플 집합은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 집합 그리고 협의 정보를 포함한다.
충돌되는 트리플이 있는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a)는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여, 의사소통 장치(100b)로 전송한다(S350).
충돌되는 트리플이 없는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a)는 협의 트리플을 협의 문장으로 작성한다(S360).
의사소통 장치(100a)는 사용자에게 협의 문장에 동의하는지 문의한다(S370).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a)는 협의 문장을 최종 협의 결과로 출력한다(S380).
의사소통 장치(100a)는 협의 문장을 의사소통 장치(100b)로 전송한다(S382).
사용자가 동의하지 않은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a)는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여, 의사소통 장치(100b)로 전송한다(S390).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간 협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의사소통 장치(100b)는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S410).
의사소통 장치(100b)는 의사소통 장치(100a)로부터 협의 정보를 수신한다(S420). 협의 정보는 입력문의 키워드,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 그리고 입력문에 관계된 트리플 집합을 포함한다.
의사소통 장치(100b)는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서 협의 정보에 관계된 트리플들을 수집한다(S430).
의사소통 장치(100b)는 수집한 트리플들과 협의 정보를 비교하여 협의 정보를 만족하는 협의 트리플을 생성한다(S440).
의사소통 장치(100b)는 협의 트리플을 의사소통 장치(100a)로 전송한다(S450).
의사소통 장치(100b)는 의사소통 장치(100a)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S460).
의사소통 장치(100b)는 응답이 문장인지 판단한다(S470).
응답이 문장인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b)는 협의 문장을 최종 협의 결과로 출력한다(S472).
응답이 문장이 아닌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b)는 저장된 트리플 집합과 응답이 충돌하는 지 판단한다(S480). 문장이 아닌 응답은 수정된 협의 트리플을 포함한다.
충돌되는 트리플이 있는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b)는 응답을 수정하여, 의사소통 장치(100a)로 전송한다(S490).
충돌되는 트리플이 없는 경우, 의사소통 장치(100b)는 동의 메시지를 의사소통 장치(100a)로 전송한다(S492).
지금까지, 의사소통 장치(100a)가 협의 정보를 전송하고 의사소통 장치(100b)가 협의 트리플을 생성하는 의사소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의사소통 장치(100a)가 먼저 협의 트리플을 생성하고, 의사소통 장치(100b)가 협의 트리플에 동의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사소통 장치가 사람을 대신하여 상대방의 의사소통 장치와 대화하여 양측의 사용자가 만족하는 결과를 협의해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사소통 장치가 상대방의 의사소통 장치와 통신하여 약속 정하기, 일정 수립, 승낙 여부, 동의 여부, 계약 여부, 메일/전화 확인, 자료 주고받기, 선물 정하기 등을 협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사소통 장치가 사람을 대신해 협의를 수행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한 생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1)

  1. 리소스 디스크립션 프레임워크(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기반으로 상대방 장치에 협의를 요청하여 협의 결과를 도출하는 의사소통 장치로서,
    의사 결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RDF 트리플로 변환하여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트리플들을 관리하는 사용자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
    사용자로부터 협의를 요청하는 입력문을 입력받고, 입력문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며, 입력문을 RDF 트리플로 변환하여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생성하는 입력문 분석부,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서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을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 상기 키워드, 그리고 상기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포함하는 협의 정보를 상기 상대방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상대방 장치로부터 상기 협의 정보의 응답에 해당하는 협의 트리플을 수신하고, 수신한 협의 트리플을 검토하고 수정하여 최종 협의 트리플을 추출하는 협의부, 그리고
    최종 협의 트리플을 기초로 협의 문장을 작성하는 협의 결과 출력부
    를 포함하는 의사소통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협의부는
    상기 협의 정보를 생성하는 협의 정보 결정부,
    상기 협의 정보를 상기 상대방 장치로 전송하는 협의 정보 전송부, 그리고
    상기 상대방 장치로부터 협의 트리플을 수신한 경우, 협의 트리플이 상기 협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충돌하는 지 검토하고, 충돌하지 않는 경우, 수신한 협의 트리플을 최종 협의 트리플로 결정하는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
    를 포함하는 의사소통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협의 트리플 작성 및 검토부는
    수신한 협의 트리플이 상기 협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충돌하는 경우, 수신한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여 상기 상대방 장치로 전송하는 의사소통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협의 결과 출력부는
    상기 협의 문장에 동의하는지를 문의하는 정보를 표시하고, 동의함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협의 문장을 최종 협의 결과로 출력하며, 상기 협의 문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의사소통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협의 결과 출력부는
    상기 협의 문장에 동의하지 않음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최종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도록 상기 협의부에 요청하는 의사소통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협의부는
    상기 최종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여 상기 상대방 장치로 전송하는 의사소통 장치.
  7. 리소스 디스크립션 프레임워크(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기반으로 협의 요청 장치와 통신하여 협의 결과를 도출하는 의사소통 장치로서,
    의사 결정에 이용되는 정보를 RDF 트리플로 변환하여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트리플들을 관리하는 사용자 의사결정 정보 관리부, 그리고
    상기 협의 요청 장치로부터 협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협의 정보와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들을 비교하여 협의 트리플을 작성하고, 상기 협의 트리플을 상기 협의 요청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협의 요청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고, 수신한 응답이 문장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거나 협의 문장을 출력하는 협의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의 정보는 상기 협의 요청 장치에 입력된 입력문에 관계된 트리플들을 포함하는 의사소통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협의 정보는
    상기 입력문의 키워드, 상기 입력문을 RDF 트리플로 변환한 입력문의 트리플 집합,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은 상기 협의 요청 장치에 RDF 트리플로 변환되어 저장된 의사 결정 정보 중에서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인 의사소통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협의부는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들 중에서, 상기 협의 정보의 서브젝트 그리고 프레디키트와 일치하는 트리플의 오브젝트를 추출하여, 협의 트리플을 생성하는 의사소통 장치.
  10. 제7항에서,
    상기 협의부는
    상기 응답이 문장인 경우, 상기 문장을 최종 협의 결과로 출력하는 의사소통 장치.
  11. 제7항에서,
    상기 협의부는
    상기 응답이 문장이 아닌 경우, 상기 응답과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들을 비교하여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지 판단하는 의사소통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협의부는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 경우, 상기 응답을 수정하여 상기 협의 요청 장치로 전송하고, 충돌하는 트리플이 없는 경우, 상기 응답에 동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협의 요청 장치로 전송하는 의사소통 장치.
  13. 리소스 디스크립션 프레임워크(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기반으로 제1 의사소통 장치가 제2 의사소통 장치와 협의하는 방법으로서,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입력문을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 그리고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서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 상기 입력문의 RDF 트리플 집합, 그리고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을 포함하는 협의 정보를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부터 상기 협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협의 트리플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 그리고 상기 협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협의 트리플을 비교하여 상기 협의 트리플을 검토하는 단계, 그리고
    검토 결과 충돌하는 트리플이 없는 경우, 상기 협의 트리플을 협의 문장으로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협의 트리플을 검토하는 단계는
    상기 협의 트리플 중에서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 그리고 상기 협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지 검토하는 협의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서,
    검토 결과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 경우, 상기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는 단계, 그리고
    수정한 협의 트리플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협의 방법.
  16. 제13항에서,
    상기 협의 문장에 동의하는지를 문의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협의 문장에 동의함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협의 문장을 최종 협의 결과로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협의 문장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협의 방법.
  17. 제16항에서,
    상기 협의 문장에 동의하지 않음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는 단계, 그리고
    수정한 협의 트리플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협의 방법.
  18. 리소스 디스크립션 프레임워크(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기반으로 제1 의사소통 장치가 제2 의사소통 장치와 협의하는 방법으로서,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부터 협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 정보와 상기 협의 정보를 비교하여 협의 트리플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협의 트리플을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부터 수신한 응답이 문장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협의 트리플을 수정하거나 협의 문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협의 정보는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에 입력된 입력문에 관계된 트리플들을 포함하는 협의 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협의 정보는
    상기 입력문의 키워드, 상기 입력문을 RDF 트리플로 변환한 입력문의 트리플 집합,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을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은 상기 협의 요청 장치에 RDF 트리플로 변환되어 저장된 의사 결정 정보 중에서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트리플 집합인 협의 방법.
  20. 제18항에서,
    상기 협의 문장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이 문장인 경우, 상기 문장을 출력하는 협의 방법.
  21. 제18항에서,
    상기 협의 문장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이 문장이 아닌 경우, 상기 응답과 상기 RDF 트리플 리파지토리에 저장된 트리플들을 비교하여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지 판단하고, 충돌하는 트리플이 있는 경우, 상기 응답을 수정하여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고, 충돌하는 트리플이 없는 경우, 상기 응답에 동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의사소통 장치로 전송하는 협의 방법.
KR1020130010067A 2013-01-29 2013-01-29 장치간 협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의사소통 장치 KR101444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067A KR101444926B1 (ko) 2013-01-29 2013-01-29 장치간 협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의사소통 장치
US14/035,165 US20140214746A1 (en) 2013-01-29 2013-09-24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pparatuse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067A KR101444926B1 (ko) 2013-01-29 2013-01-29 장치간 협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의사소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902A KR20140096902A (ko) 2014-08-06
KR101444926B1 true KR101444926B1 (ko) 2014-10-07

Family

ID=5122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067A KR101444926B1 (ko) 2013-01-29 2013-01-29 장치간 협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의사소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14746A1 (ko)
KR (1) KR101444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5858B (zh) * 2017-09-01 2020-10-20 鼎富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文本分类后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11663683B2 (en) * 2020-01-01 2023-05-30 Rockspoon, Inc. System and method for image-based food item, search, design, and culinary fulfillment
JP6998525B1 (ja) * 2020-03-03 2022-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方法、情報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21176742A1 (ja) * 2020-03-03 2021-09-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方法、情報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20383433A1 (en) * 2021-05-26 2022-12-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taste palate profi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50A (ko) * 2001-06-26 2003-01-06 오클리스 주식회사 의사 결정 및 전략 회의 장치 및 방법
KR100978740B1 (ko) * 2010-04-16 2010-08-3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df 탐색기반 질의응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84059A (zh) * 2004-04-14 2005-10-1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信息文件的编辑方法和装置
US8190643B2 (en) * 2008-05-23 2012-05-2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statements
US20090313270A1 (en) * 2008-06-17 2009-12-17 Microsoft Corporation Semantic frame store
KR101107760B1 (ko) * 2009-08-24 2012-01-20 송도규 지능형 질의 응답 검색 시스템 및 방법
US8983990B2 (en) * 2010-08-17 2015-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forcing query policies over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50A (ko) * 2001-06-26 2003-01-06 오클리스 주식회사 의사 결정 및 전략 회의 장치 및 방법
KR100978740B1 (ko) * 2010-04-16 2010-08-3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df 탐색기반 질의응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902A (ko) 2014-08-06
US20140214746A1 (en)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1155B2 (ja) 会話型相互作用におけるユーザの意図の曖昧性の解消
KR101444926B1 (ko) 장치간 협의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의사소통 장치
Wilcke et al. The knowledge graph as the default data model for learning on heterogeneous knowledge
US8868468B2 (en) Intelligent decision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ntelligent decisions and classifying text using classifiers trained to define different semantic standards
US2019022047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ng with Mobile Device
US20130132481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social activities
CN105373619B (zh) 一种基于用户大数据的用户群体分析方法和系统
US10573322B2 (en) Establishment of audio-based network sessions with non-registered resources
CN106779146A (zh) 一种用于提供推荐旅游路线的旅游服务系统
CN109308315A (zh) 一种基于专家领域相似度与关联关系的协同推荐方法
CN112199478A (zh) 自动问答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166875A (zh) 基于元路径增强的异质图神经网络的双向跨域推荐方法
Fang et al. Implicit Feedback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User‐Generated Content
KR101132974B1 (ko) 멀티모달 소셜 네트워크의 온톨로지 구축 장치 및 방법
Guerreiro et al. New avenues in mobile tourism
CN112528130A (zh) 一种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Galitsky et al. Recommendation by joining a human conversation
CN108962398A (zh) 医院信息获取方法及装置
AU2012100405A4 (en) Social search engine
Deokar et al. Smart recipe-AN innovative way to cook
Galitsky et al. Recommendation via Entering a Human Conversation
Pan et al. Data collection and modeling of personal social behaviors
Hao et al. A semi-supervised solution for cold start issue on recommender systems
Li et al. Beyond Relevance: Factor-level Causal Explanation for User Travel Decisions with Counterfactual Data Augmentation
Zhang et al. Hotel Review Classification Based on the Text Pretraining Heterogeneous Graph Neural Network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