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736B1 -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736B1
KR101444736B1 KR1020140108470A KR20140108470A KR101444736B1 KR 101444736 B1 KR101444736 B1 KR 101444736B1 KR 1020140108470 A KR1020140108470 A KR 1020140108470A KR 20140108470 A KR20140108470 A KR 20140108470A KR 101444736 B1 KR101444736 B1 KR 10144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oking oil
waste cooking
aci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탁
Original Assignee
동위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위기업 (주) filed Critical 동위기업 (주)
Priority to KR102014010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40Thermal non-catalyt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C10G2300/1007Used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50/00Structural features of fuel components or fuel compositions, either in solid, liquid or gaseous state
    • C10L2250/04Additive or component is a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10L2290/547Filtration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절차는 수집된 폐식용유를 자연 침강시켜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제 1 공정; 제 1 공정에서 침전된 침전물을 제외한 폐식용유를 전처리조에 이송시켜 진공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Unsaturated Acid(불포화산)와 Secondary Alcohol(다가알콜)을 반응기에서 10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합성하여 불포화 폴리머를 생성하는 제 2 공정; 제 2 공정에서 수분이 제거된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unsaturated Polymer)를 7.5 : 2.5 중량%의 비율로 합성탱크에 배합하고 160℃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100℃ 온도에서 3시간 동안 냉각하는 제 3 공정; 제 3 공정이 이루어진 후, 시간당 10℃씩 온도를 상승하여 200℃ 까지 상승하도록 하여 고온합성하는 제 4 공정; 제 4 공정이 이루진 후, 코발트 0.4 중량%, 망간 0.2 중량%, 칼슘 0.4 중량%의 비율로 각각 첨가하여 250℃까지 온도 상승후 냉각시키는 제 5 공정;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폐식용유를 재활용하여 건성유를 생성함으로써 자원 재활용을 통해 외화절감 및 생산비 절감효과를 얻고 경제적인 친환경 개질 및 폐식용유 폐기를 통해 발생하는 수질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목재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rying oil using waste cooking oil}
본 발명은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식용유를 전처리하여 불포화산과 다가알코올을 합성하여 불포화 폴리머를 생성하고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를 배합하여 가열, 냉각 및 일정시간 동안 고온합성하여 코발트, 망간, 칼슘을 첨가하여 건성유를 제조함으로써 자원 재활용을 통해 외화절감 및 생산비 절감효과를 얻고 경제적인 친환경 개질 및 폐식용유 폐기를 통해 발생하는 수질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에너지 절약과 공해문제로 인한 연료정책의 일환으로 연료의 황함량을 줄여나가는 저황유의 보급과 고체연료로부터 액체 또는 기체 연료로의 전환에 많은 노력과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석유연료로 인한 대기오염은 생태계에 대한 피해라는 기존의 관점에서 WTO체제 출범과 OECD 및 그린라운드(GR)라는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대체에너지 및 무공해 연료개발 연구에 힘쓰고 있으나, 마땅한 대체 연료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연료유에 물을 첨가한 유화유의 연구는 1950년부터 유럽에서 연구가 시작되어 보일러·가열로 등에 사용하여 중질연료의 연소효율을 높여 연료절약과 연소성을 개선하는 실험이 시작되었고, 최근에는 미국과 일본에서 유화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대체에너지는 석탄, 석유, 원자력 및 천연가스가 아닌 태양 에너지, 바이오매스, 풍력, 수력, 연료전지, 석탄의 액화, 가스화, 해양 에너지, 폐기물 에너지 및 기타로 구분되고 있고, 이외에도 지열, 수소, 석탄에 의한 물질을 혼합한 유동성 연료로 분류되고 있다.
그중, 상기 폐기물 에너지란 사업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폐기물 중 에너지 함량이 높은 폐기물을 열분해에 의한 오일화 기술, 성형 고체연료의 제조기술, 가스화에 의한 가연성 가스 제조기술 및 소각에 의한 열회수 기술 등의 가공처리 방법을 통해 고체연료, 액체 연료, 가스 연료, 폐열 등을 생산하고, 이를 산업생산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재생 에너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폐기물 에너지는 비교적 단기간 내에 상용화가 가능하며, 폐기물 자원의 적극적인 에너지 자원으로의 활용으로 인류 생존권을 위협하는 폐기물 환경문제의 해소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 대체 에너지는 종이, 나무, 플라스틱 등의 가연성 폐기물을 파쇄, 분리, 건조, 성형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 고체연료인 성형 고체연료(RDF), 자동차 폐윤활유 등의 폐유를 이온정제법, 열분해 정제법, 감압증류법 등의 공정으로 정제하여 생산된 재생유인 폐유정제유 플라스틱, 합성수지, 고무, 타이어 등의 고분자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생산되는 청정 연료유인 플라스틱 열분해 연료유 및 가연성 폐기물 소각열 회수에 의한 스팀생산 및 발전, 시멘트 킬른 및 철광석 소성로 등의 열원으로의 이용하는 폐기물 소각열 등 크게 4가지로 분리된다.
상기 폐기물 대체 에너지 중 하나인 폐유 정제유와 관련하여, 폐유의 발생량은 보통 자동차나 산업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판매되는 신유의 판매량을 기준으로 하여 추정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판매량의 70%로 잡고 있다. 이들 폐유는 일반적인 연료유와 달리 소모성 물질이 아니므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어 일찍부터 이의 효율적인 활용방법에 관하여 연구되어 왔고, 현재 상당 부분이 재생 정제유 또는 연료유로 재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폐유 중에는 자체 기름이 분해 또는 외부의 오염으로 Pb, Cd, Cr, Cu, Zn 등 중금속 화합물, Cl, Br 등 염소 화합물, 유황 화합물 등이 있을 수 있어 적절히 재활용하지 못하거나 자연계에 처리 없이 그대로 노출될 경우 폐유의 산화에 따른 유기산 형성으로 토양의 황폐화, 지하수의 오염 등 생태학적 재난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유와 더불어 유탕면 공장에서 나오는 폐식용유, 식용유를 제조할 때 나오는 폐식용유, 비누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식용유, 각종 튀김이나 튀김 닭에서 나오는 폐식용유와 같은 폐식용유의 처리 또한, 환경 및 생태학적 면에서 크게 문제시되고 있다.
폐식용유는 식물성 기름이 열로 인하여 산화된 것으로 주로 비누제조용으로 이용되어져 왔으나 최근 다양한 화학처리 방법을 통하여 바이오디젤 연료로의 가능성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식물성 기름은 그 화학구조상 폴리올과 유사한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지방산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식물성 기름, 즉 폐식용유는 국내에서만 약 60만 톤의 폐식용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BOD가 100만ppm으로 수질환경 파괴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1. 중질유 및 폐유를 이용한 유화연료 제조장치(Mixed oil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heavy oil and waste oil)(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38036호) 2. 폐유로부터 개질경유를 제조하기 위한 고온 열분해 방법(A thermal cracking process for manugacturing thecracking gas oil from the from used oil)(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29560호) 3. 폐유기물제 고체연료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gacturing solid fuel from waste organic substance)(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3390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식용유를 전처리하여 불포화산과 다가알코올을 합성하여 불포화 폴리머를 생성하고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를 배합하여 가열, 냉각 및 일정시간 동안 고온합성하여 코발트, 망간, 칼슘을 첨가하여 건성유를 제조함으로써 자원 재활용을 통해 외화절감 및 생산비 절감효과를 얻고 경제적인 친환경 개질 및 폐식용유 폐기를 통해 발생하는 수질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은, 수집된 폐식용유를 자연 침강시켜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제 1 공정; 제 1 공정에서 침전된 침전물을 제외한 폐식용유를 전처리조에 이송시켜 진공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Unsaturated Acid(불포화산)와 Secondary Alcohol(다가알콜)을 반응기에서 10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합성하여 불포화 폴리머를 생성하는 제 2 공정; 제 2 공정에서 수분이 제거된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unsaturated Polymer)를 7.5 : 2.5 중량%의 비율로 합성탱크에 배합하고 160℃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100℃ 온도에서 3시간 동안 냉각하는 제 3 공정; 제 3 공정이 이루어진 후, 시간당 10℃씩 온도를 상승하여 200℃ 까지 상승하도록 하여 고온합성하는 제 4 공정; 및 제 4 공정이 이루진 후, 코발트 0.4 중량%, 망간 0.2 중량%, 칼슘 0.4 중량%의 비율로 각각 첨가하여 250℃까지 온도 상승후 냉각시키는 제 5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은 상기 제 1 공정에서 폐식용유의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 활성탄필터를 이용하여 침전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은 상기 제 2 공정의 Unsaturated Acid(불포화 산)은 Muconic Acid, Traumatic Acid, Glutaconic Acid, Maleic Aci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은, 상기의 절차에 의해 폐식용유를 재활용하여 건성유를 생성함으로써 자원 재활용을 통해 외화절감 및 생산비 절감효과를 얻고 경제적인 친환경 개질 및 폐식용유 폐기를 통해 발생하는 수질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목재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은, 폐식용유를 건성유로 재사용을 통해 대기오염, 환경오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특정 물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연료로 재 사용함으로써 연료효율 향상 및 대기/환경오염 물질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폐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서,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제조방법에 따른 절차 및 특징을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은 폐식용유를 전처리하여 불포화산과 다가알코올을 합성하여 불포화 폴리머를 생성하고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를 배합하여 가열, 냉각 및 일정시간 동안 고온합성하여 코발트, 망간, 칼슘을 첨가하여 건성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제조방법은 ① 수집된 폐식용유를 자연 침강시켜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과 수분을 제거하고, ② 상기 침전된 침전물을 제외한 폐식용유를 전처리조에 이송시켜 진공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Unsaturated Acid(불포화산)와 Secondary Alcoho(다가알콜) 을 반응기에서 10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합성하여 불포화 폴리머를 생성한다. 이후, ③ 이후, 수분이 제거된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unsaturated Polymer)를 7.5 : 2.5 중량%의 비율로 합성탱크에 배합하고 160℃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100℃ 온도에서 3시간 동안 냉각절차를 진행한다. ④ 상기 가열 및 냉각절차에 의해 배합된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를 시간당 10℃씩 온도를 상승하여 200℃ 까지 상승하도록 하여 고온합성한다.
⑤ 마지막으로, 상기 고온 합성된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 코발트 0.4 중량%, 망간 0.2 중량%, 칼슘 0.4 중량%의 비율로 각각 첨가하여 250℃까지 온도 상승후 냉각시켜 건성유를 제조하게 된다.
이하,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의 세부적인 절차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폐식용유의 화학적 구조를 살펴보면, 하기에 도시된 [수식 1]과 같이,
[수식 1]
Figure 112014078908810-pat00001
여기서 R1, R2, R3의 R은
CH2-O-(O=)C-(CH2)x-(CH=CH)a-(CH2)y-(CH=CH)b-(CH2)z-(CH=CH)c-(CH2)w-CH3와 같은 구조로
x : 1 ~16, y : 0 ~ 7, z : 0 ~ 7, w : 0 ~ 7
a : 0 ~ 1, b : 0 ~1, c : 0 ~ 1 이다
Palmitic Acid(팔미틱산)는 x=14, y, z, w, a, b, c = 0
Stearic Acid(스티애릭산)는 x=16, y, z, w, a, b, c = 0
Oleic Acid(올레익산)와 Linoleic Acid(리놀레익산) 그리고 Linolenic Acid(리놀레닉산)는 각각 x=7, 4, 1, y=7, 1, 1, z=0, 7, 2, w=0, 0, 7, a=1, b=0, 1, 1, c=0, 0, 1로 Glycerol(글리세롤)과 결합된 산이 아닌 에스테르(Ester)의 일종인 Triglyceride(트리글리세리드)이다.
에스테르는
Figure 112014078908810-pat00002
같은 구조로 R-CH2-OH와 같은 알콜과
Figure 112014078908810-pat00003
과 같은 카르복실산이 결합되어 [수식 2]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수식 2]
Figure 112014078908810-pat00004
식용유의 구성 성분
% in
Soybean oil
C수:
Double Bond수
m.w Structure
Palmitic
Acid
10 ~ 11 16 : 0 256.42 CH3-(CH2)n-C(=O)-OH, n=14
Stearic
Acid
4 ~ 6 18 : 0 284.48 CH3-(CH2)n-C(=O)-OH, n=16
Oleic
Acid
23 ~ 25 18 :1 282.46 CH3-(CH2)7-CH=CH-((CH2)7-C(=O)-OH
Linoleic
Acid
50 ~ 55 18 :2 28.45 CH3-(CH2)4-CH=CH-CH2-CH=CH-(CH2)7-C-(=O)-OH
Linolenic
Acid
6 ~9 18 :3 278/43 CH3-CH2-CH=CH-CH2-CH=CH-CH2-CH=CH-(CH2)7-C(=O)-OH
상기 수집된 폐식용유를 자연 침강시켜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과 수분을 제거하고, 침전된 침전물을 제외한 폐식용유를 전처리조에 이송시켜 진공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면, 표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전 식용유 성분과 정제된 폐식용유의 분석물이 나타나게 된다.
정제된 폐식용유의 화학적 분석
항목 단위 사용전 식용유 성분 정제된 폐식용유 분석
Glycerol Triester Glycerol Triester, Glycerik dester and Fatty Acid
Molar Weight g/mol 874 895
Acid Value mgKOH/g 0.13 ~ 0.174 1.257 ~ 1.34
OH Value mgKOH/g 5.9 5.9
Iodine Value 131 113
Acid량/mol g 0.7597 5.448
Viscosty cps(at 20℃) 53 98
한편, 상기 수집된 폐식용유의 침전물은 폐식용유의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 활성탄필터를 이용하여 침전물과 수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침전된 침전물을 제외한 폐식용유를 전처리조에 이송시켜 진공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불포화 폴리머를 생성하기 위해 Unsaturated Acid(불포화산)와 Secondary Alcohol(다가알콜)을 반응기에서 10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합성하고, 수분이 제거된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unsaturated Polymer)를 7.5 : 2.5 중량%의 비율로 합성탱크에 배합하고 160℃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100℃ 온도에서 3시간 동안 냉각절차를 진행한다.
상기 가열 및 냉각절차에 의해 배합된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를 시간당 10℃씩 온도를 상승하여 200℃ 까지 상승하도록 하여 고온합성한다.
폐식용유 온도에 따른 Acid Value(산가변화) (단위: mg KOH/g)
Heating
Condition
Heating
Time(Hr)
Heating Temperature(C)
140 150 160 180 200 220


Unsealed

12 0.03 0.04 0.04 0.05 0.16 0.26
24 0.04 0.05 0.06 0.08 0.26 0.56
36 0.05 0.07 0.07 0.12 0.40 1.00
48 0.06 0.08 0.09 0.16 0.58 1.41
60 0.07 0.09 0.10 0.20 0.95 2.12
폐식용유의 온도에 따른 Acid Value(산가변화)은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당 온도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산가란 시료(식용유) 1g에 존재하는 Acid(Carboxylic Acid : R-COOH)를 중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KOH)의 양으로서, 산가가 높을수록 식용유가 분해되어 유리산(분리된 산)이 많이 생성된 것이며, 튀김 등의 사용과정에서 다른 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유리산(분리된 산)이 불포화인 경우는 식용유의 불포화기 보다 훨씬 빨리 산화제에 의해 고분자화 될 수 있다. 그러나 포화 지방산일 경우는 고분자화된 폴리머의 가소제 역할을 하여 폴리머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폐식용유의 온도에 따른 Iodine Value(요도값) 변화
Heating
Condition
Heating
Time(Hr)
Heating Temperature(C)
140 150 160 180 200 220




12 132 132 131 131 130 128
24 131 131 130 129 127 124
36 130 130 129 128 124 119
48 130 129 128 127 119 114
60 128 128 127 125 114 107
폐식용유의 요오드가는 식용유의 불포화도를 알 수 있는 척도이다.
식물성 오일의 불포화기 R-CH=CH-R'와 요오드(I2)를 반응시키면 R-CH=CH-R' + I2 ---> R-CHI-CHI-R' 가 되므로 요오드가란 유지를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에 함유된 이중결합의 수를 나타내는 수치로, 유지 100g에 흡수되는 요오드의 g수로서 표시한다.
요오드가가 130 이상인 식물유지를 건성유, 100 ~ 130의 것을 반건성유, 100 정도 또는 그 이하의 것을 불건성유라고 한다. 요오드가가 높은 기름은 융점이 낮고, 이중결합이 많기 때문에 반응성이 풍부하고, 산화되기 쉽다.
요오드가가 낮은 기름은 융점이 높고, 산화안정성이 좋다. 유지를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하거나 자동산화가 진행되면 불포화지방산이 분해되므로 요오드가는 낮아진다.
[수식 3]
Figure 112014078908810-pat00005
n은 무한대(고분자화)
상기 고온 합성된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 코발트 0.4 중량%, 망간 0.2 중량%, 칼슘 0.4 중량%의 비율로 각각 첨가하여 250℃까지 온도 상승 후 냉각시켜 건성유를 제조하게 된다.
온도변화에 따른 Fatty Acid(지방산) 변화 (단위 : %)
Heating Temperature(C) Fatty Acid Time
12hr 36hr 60hr

160
C16 :0 12.8 12.8 12.4
C18 :1 19.0 19.1 19.1
C18 :2 51.6 50.9 47.7

180
C16 :0 12.3 12.4 12.1
C18 :1 19.9 19.5 18.7
C18 :2 51.3 49.5 46.3

200
C16 :0 12.6 12.6 12.3
C18 :1 19.3 18.7 18.8
C18 :2 49.2 475 43.3

220
C16 :0 12.9 13.3 13.2
C18 :1 18.9 19.1 19.2
C18 :2 48.9 46.1 38.6
온도에 의해 식용유는 불포화도가 개열하여 고분자화된다. 그런데 온도에 의해 에스테르가 분해하여 [수식 2]와 반대로 산과 알코올로 변할 수 있는데, 그 결과를 [수식 4]와 같이 나타난다.
[수식 4]
Figure 112014078908810-pat00006

온도에 따른 Polymer(중합체)양의 변화(단위%)
Heating
Condition
Heating
Time(Hr)
Heating Temperature(C)
160 180 200 220


Unsealed

12 5.1 7.6 9.0 11.2
24 6.5 8.9 15.1 18.2
36 7.6 10.5 18.7 26.8
48 8.7 12.6 24.1 36.0
60 11.0 14.9 30.0 44.1
식용유를 장시간 가열하면 불포화기가 반응하여 [수식 5]과 같이 고분자화 되면서 요오드가(불포화도)가 낮아지며 점도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폐식용유를 건성유로 화학적 변성을 하기 위해서는 Double Bond를 가지고 있는 Oleic Acid(올레익산)와 Linoleic Acid(리놀레익산) 그리고 Linolenic Acid(리놀레닉산)외에 다량의 폴리머가 필요하며(표 1 ~ 표 6) 이 다량의 폴리머는 높은 요오드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수식 5]
Figure 112014078908810-pat00007
m, n : 1, 2, 3,........ 같거나 또는 같지 않을 수 있음
HOOC-(CH=CH)m-C-(=O)--A--(=O)-C-(CH=CH)n-COOH에서 사용할 수 있는 Unsaturated Acid는 Muconic Acid, Traumatic Acid, Glutaconic Acid, Maleic Acid가 있으며, Alchol로는 1가 또는 2가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코올이 있다.
R1, R2, R3는 Double Bonds를 가지고 있는 CH2-O-(O=)C-(CH2)x-(CH=CH)a-(CH2)y-(CH=CH)b-(CH2)z-(CH=CH)c-(CH2)w-CH3와 같은 구조로
x : 1 ~16, y : 0 ~ 7, z : 0 ~ 7, w : 0 ~ 7
a : 0 ~ 1, b : 0 ~1, c : 0 ~ 1 이다
Palmitic Acid는 x=14, y, z, w, a, b, c = 0
Stearic Acid는 x=16, y, z, w, a, b, c = 0
Oleic Acid와 Linoleic Acid 그리고 Linolnenic Acid는 각각 x=7, 4, 1, y=7, 1, 1, z=0, 7, 2, w=0, 0, 7, a=1, b=0, 1, 1, c=0, 0, 1로 Glycrol과 결합된 Triglyceride이다.
일반적으로 아마인유, 동유 등 건성유는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상기의 절차에 의해 폐식용유를 재활용하여 건성유를 생성함으로써 자원 재활용을 통해 외화절감 및 생산비 절감효과를 얻고 경제적인 친환경 개질 및 폐식용유 폐기를 통해 발생하는 수질환경 파괴를 방지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목재산업의 활성화 및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3)

  1. 수집된 폐식용유를 자연 침강시켜 폐식용유에 함유된 입자상의 침전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제 1 공정;
    제 1 공정에서 침전된 침전물을 제외한 폐식용유를 전처리조에 이송시켜 진공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Unsaturated Acid(불포화산)와 Secondary Alcohol(다가알콜)을 반응기에서 100℃ 온도에서 5시간 동안 합성하여 불포화 폴리머를 생성하는 제 2 공정;
    제 2 공정에서 수분이 제거된 폐식용유와 불포화 폴리머(unsaturated Polymer)를 7.5 : 2.5 중량%의 비율로 합성탱크에 배합하고 160℃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100℃ 온도에서 3시간 동안 냉각하는 제 3 공정;
    제 3 공정이 이루어진 후, 시간당 10℃씩 온도를 상승하여 200℃ 까지 상승하도록 하여 고온합성하는 제 4 공정;
    제 4 공정이 이루진 후, 코발트 0.4 중량%, 망간 0.2 중량%, 칼슘 0.4 중량%의 비율로 각각 첨가하여 250℃까지 온도 상승후 냉각시키는 제 5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에서 폐식용유의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 활성탄필터를 이용하여 침전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정의 Unsaturated Acid(불포화 산)은
    Muconic Acid, Traumatic Acid, Glutaconic Acid, Maleic Aci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
KR1020140108470A 2014-08-20 2014-08-20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 KR10144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470A KR101444736B1 (ko) 2014-08-20 2014-08-20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470A KR101444736B1 (ko) 2014-08-20 2014-08-20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736B1 true KR101444736B1 (ko) 2014-11-04

Family

ID=5228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470A KR101444736B1 (ko) 2014-08-20 2014-08-20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7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586A (ja) * 1996-11-11 1998-09-14 Ronfuoode:Kk 廃食油からのディーゼル燃料油の製造方法
JPH11287418A (ja) * 1998-04-03 1999-10-19 Ronford:Kk 再生オイルの製造方法を融合した一般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廃棄物処理複合システム
KR100592856B1 (ko) * 2004-01-29 2006-06-23 변희준 폐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KR101374629B1 (ko) * 2012-03-22 2014-03-17 한국화학연구원 동식물유 폐자원을 사용한 고순도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586A (ja) * 1996-11-11 1998-09-14 Ronfuoode:Kk 廃食油からのディーゼル燃料油の製造方法
JPH11287418A (ja) * 1998-04-03 1999-10-19 Ronford:Kk 再生オイルの製造方法を融合した一般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廃棄物処理複合システム
KR100592856B1 (ko) * 2004-01-29 2006-06-23 변희준 폐유를 이용한 청정연료유 제조방법
KR101374629B1 (ko) * 2012-03-22 2014-03-17 한국화학연구원 동식물유 폐자원을 사용한 고순도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gharbawy et al. A review on biodiesel feedstocks and production technologies
Kataria et al. Biodiesel production from waste cooking oil using heterogeneous catalysts and it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n variable compression ratio CI engine
Daud et al. Production of biodiesel and its wastewater treatment technologies: a review
Atadashi et al. High quality biodiesel and its diesel engine application: a review
Ngamlerdpokin et al. Remediation of biodiesel wastewater by chemical-and electro-coagulation: A comparative study
Banga et al. Effect of impurities on performance of biodiesel: A review
Lee et al. Optimization study of binary metal oxides catalyzed transesterification system for biodiesel production
Kadapure et al. Optimization of conversion of Pongamia pinnata oil with high FFA to biodiesel using novel deep eutectic solvent
Kushwaha et al. Life cycle assessment and techno-economic analysis of algae-derived biodiesel: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prospects
KR101444736B1 (ko) 폐식용유를 이용한 건성유 제조방법
Reda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diesel from the traditional tannery fleshing wastes
BODDULA Microwaves in Organic synthesis
Boro et al. A review on biodiesel
Inayat et al. Biodiesel production from date seeds via microwave assisted technique
Baloch et al. Application of microwave synthesis in biodiesel production
Pourvosoghi et al. An optimized process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high FFA spent bleaching earth
US10723965B1 (en) Process for making biofuel from spent coffee grounds
KR101392870B1 (ko) 음식물 쓰레기에서 추출한 폐유성분을 이용한 바이오 디젤 생산 방법
Singhabhandhu et al. Life cycle analysis of biodiesel fuel production: Case study of using used cooking oil as a raw material in Kyoto, Japan
Ibifubara et al. Potential of waste vegetable oil for biodiesel in Nigeria
Garção et al. Biodiesel production from residual cooking oils and its purification through adsorption processes using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cork waste
KR100645982B1 (ko) 폐액을 이용한 유화연료의 제조방법
Al-Zaini Biodiesel synthesis from spent frying vegetable oils over heterogeneous inorganic catalysts
KR100959384B1 (ko) 가스화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원료의 전처리 방법
Xia Production, application and future development of biodie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