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426B1 - Riverbank structu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 Google Patents
Riverbank structu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4426B1 KR101444426B1 KR1020140053274A KR20140053274A KR101444426B1 KR 101444426 B1 KR101444426 B1 KR 101444426B1 KR 1020140053274 A KR1020140053274 A KR 1020140053274A KR 20140053274 A KR20140053274 A KR 20140053274A KR 101444426 B1 KR101444426 B1 KR 101444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filter
- embankment
- water
- sens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02B8/026—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king structur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일반적으로 제방구조물은 크게 자연제방구조물과 인공제방구조물로 분류된다. Generally, the embankment structure is largely divided into natural and artificial embankment structures.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연제방은 하천에서 하도의 양측을 따라 토사가 퇴적되어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것을 말하며, 잔디·돌·콘크리트 기타의 호안구조물로 보호되기도 한다. 또한 인공제방은 하천이나 해안, 호수의 물을 일정한 유로 내로 제한하여 범람을 방지하고, 폭풍 및 해일이나 파도로부터 해안 및 항만을 보호하기 위하여 돌과 토사 등을 적층하여 조성한 토목구조물을 말한다.More specifically, natural dikes are naturally formed sediments of sediments along rivers along both sides of the river, and they are also protected by lawns, stones, concrete and other residential structures. Artificial embankment refers to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constructed by stacking stones and soil to prevent flooding by limiting the water of rivers, coasts and lakes to a certain flow rate and to protect coasts and harbors from storms and tidal waves and waves.
상기 인공제방구조물은 일반수위와 위험수위를 계산하여 토사 또는 돌을 적층하여 일정용량 이상의 담수능력을 가지도록 시공된다.The artificial levee structure is constructed so as to have a fresh water capacity of a predetermined capacity or more by stacking soil or stone by calculating the general water level and the danger level.
이러한 종래의 인공제방구조물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수원지에 주변으로 토사 및 돌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방을 시공하고, 수원지가 위치된 제방의 경사면에 하향경사지게 배수관을 관통하여 시공되는 것으로, 여름철 장마로 지속적으로 폭우가 내리게 되면, 위험수위에 도달된 수원지의 물은 배수관을 통해 수원지가 형성된 제방 맞은편으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어 물이 범람하거나 만수된 수원지의 물에 의해 제방이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Such a conventional artificial embankment struct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The artificial embankment structure is constructed by placing soil, stone, or concrete around a water source and constructing the embankment. The slope of the embankment on which the water source is located is downwardly inclined. When continuous rainfall occurs, the water in the source water reaching the dangerous level can be discharged quickly to the side of the embankment where the water source is formed through the drainage pipe, so that the embankment is not collapsed by the water of the flooded water It can be blocked.
하지만 상기 제방구조물의 경우 수원지의 부유물이 배수관으로 유입될 시 부유물의 부피가 클 경우 배수관을 폐쇄할 수 있고, 다량의 부유물이 필터링 과정 없이 수원지 이후의 하천으로 배출되어 수원지 이후의 하천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부유물을 별도로 수거함으로써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복잡한 장치가 필요하고 상기 장치에 부피가 큰 부유물이 침전될 경우 처리하기도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embankment structure, when the floating matter of the source water flows into the drainage pipe, it is possible to close the drainage pipe when the volume of the floating matter is large, and a large amount of floating matter is discharged into the river after the water source without filtering, .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loating matters by separately collecting the floating matters introduced from the drainage pipes. However, in this case, a complicated device for removing the floating matters is required, and when the floating matters are deposited in th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방 배수관으로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수원지로부터의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수원지 이후의 하천 수질이 개선되도록 하는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quality improvement dam structure' for effectively draining water to a dam drainage pipe, effectively treating floating matters from a water sour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원지의 제방(B) 내법면(S)을 관통하여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제방배수관(100):The embankment drainage pipe (100) installed downwardly inclined through the slope (S) in the embankment (B) of the source water source:
제방배수관(100)의 상단에 설치되며 수원지로 돌출되는 연결부(210);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홀(221)과, 둘레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홀(222)을 구비하며, 이동부(210)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유입부(220);를 갖춘 유입관(200):A
측방에 형성되어 제방배수관(1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홀(311)과, 하부에 형성된 제2연결홀(312)을 구비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정화장치본체(310); 정화장치본체(310)의 제2연결홀(312)에 설치되는 정화장치배수관(320); 상하로 관통되며 정화장치배수관(320)에 삽입되는 관통홀(331a), 둘레부에 구비되며 측방으로 개구되어 관통홀(331a)과 연통되는 개구홀(331b),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개구홀(331b)과 연통되는 중부가이드홀(331c),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중부가이드홀(331c)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홀(331b) 및 중부가이드홀(331c)과 연통되는 하부가이드홈(331d),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중부가이드홀(331c)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개구홀(331b) 및 중부가이드홀(331c)과 연통되는 상부가이드홀(331e)를 구비한 필터장치본체(331)와, 하부가이드홈(331d)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가이드부(332a), 상부가이드홀(331e)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가이드부(332b), 일단이 하부가이드부(332a)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부가이드부(332b)에 설치되어 필터장치본체(331)의 개구홀(331b)에 배치되는 그물망 형상의 필터부(332c), 상부가이드부(332b)의 상부에 위치하여 필터장치본체(3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연결부(332d), 상방으로 개구된 고정홈(332e1)과 측방으로 개구되어 고정홈(332e1)과 연통되는 체결홀(332e2)을 구비하여 연결부(332d)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332e)를 갖춘 필터기구(332)를 구비한 필터장치(330); 하단에 측방으로 개구된 체결홀(34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이 필터기구 고정부(332e)의 고정홈(332e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교반축(341)과, 필터기구 고정부(332e)의 체결홀(332e2)과 교반축(341a)의 체결홀(34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필터기구(332)를 교반축(341)에 고정하는 체결부재(342)와, 교반축(341)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교반날개(343)와, 필터장치(330)의 상부에 설치되며 교반축(341)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44)를 갖춘 교반장치(340); 필터장치본체(331)의 개구홀(331b)에 설치되는 지지대(351)와, 지지대(351)로부터 돌출되어 필터기구(332)의 필터부(332c)와 접촉하는 브러쉬(352)를 구비한 이물질제거기구(350);를 갖춘 정화장치(300):A purifier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제방배수관(100)에 내설되는 탄성재질의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An embankment drain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에 공기를 공급하여 제방배수관(400)을 팽창시키는 팬장치(500):A fan apparatus (500) for supplying air to a bank flow channel closing mechanism (400) to expand a bank flow channel (40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개구홀(611)이 구비되어, 정화장치본체(310)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는 감지장치본체(610); 상기 개구홀(61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621)와, 이동부(621)의 하단에 구비되며 감지장치본체(6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력재질의 부력부(622)를 구비한 부력기구(620); 감지장치본체(6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동부(621)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싱장치(630);를 갖춘 배수상태감지장치(600):A
구동장치(344), 팬장치(500), 센싱장치(630)를 작동제어하며, 센싱장치(63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700):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원지에서 제방배수관(100)으로 유입되는 큰 부피의 부유물을 1차로 거르고 작은 부피의 부유물은 정화장치(300)에서 거름으로써 하천으로 보다 정화된 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정화장치(300)의 작동이 보다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배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irstly filter a large volume of suspended solids flowing into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의 유입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의 필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의 필터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A부분 및,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의 팬장치, 배수상태감지장치, 제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 및 교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배수관폐쇄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에서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상태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water level improvement dam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inflow pipe of a bank structur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ilter device of the embankment structur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Figure 4 is a partial detail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front view of Figure 3,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ilter mechanism of the embankment structur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t A of FIG. 1 and a fan unit, a drainage state sens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of a bank structur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ilter device and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mbankment drain pipe clos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rainage is not smoothly performed in the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rainage stat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의 유입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의 필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의 필터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A부분 및,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의 팬장치, 배수상태감지장치, 제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inflow pipe of a dam structur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mbankment structur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3,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ilter mechanism of the embankment structur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t A of FIG. 1 and a fan unit, a drainage state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of the embankment structur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mbankment structur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은 제방배수관(100)과, 유입관(200)과, 정화장치(300)와,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와, 팬장치(500)와, 배수상태감지장치(600)와, 제어유닛(70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quality improvement dam structure for a water quality improvement system including a
제방배수관(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원지의 제방(B) 내법면(S)을 관통하여 하향경사지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유입관(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배수관(100)의 상단에 설치되며 수원지로 돌출되는 연결부(210)와, 연결부(2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유입부(220)를 갖춘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그리고 유입부(220)는 상부에 구비되는 개구홀(221)과, 둘레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홀(222)을 구비하며, 이동부(210)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개구홀(221)은, 수원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유입홀(222)의 한계 유입량을 초과할 시 상기 물을 유입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유입홀(222)은 다수 개가 구비되어 수원지에 부유된 부유물 중 부피가 큰 부유물을 거르는 기능을 한다.The
정화장치(300)는 정화장치본체(310)와, 정화장치배수관(320)과, 필터장치(330)와, 교반장치(340)와, 이물질제거기구(350)를 갖춘다.The
정화장치본체(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에 형성되어 제방배수관(1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홀(311)과, 하부에 형성된 제2연결홀(312)을 구비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정화장치본체(310)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the
정화장치배수관(3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정화장치본체(310)의 제2연결홀(312)에 설치되며, 타단은 하천으로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1, one end of the purification
필터장치(330)는 필터장치본체(331)와, 필터기구(332)를 갖춘다.The
필터장치본체(331)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관통되며 정화장치배수관(32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홀(331a)과, 둘레부에 구비되며 측방으로 개구되어 관통홀(331a)과 연통되는 개구홀(331b)과,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며 개구홀(331b)과 연통되는 중부가이드홀(331c)과,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중부가이드홀(331c)의 하부에 위치하며 개구홀(331b) 및 중부가이드홀(331c)과 연통되는 하부가이드홈(331d)과,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중부가이드홀(331c)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개구되며 개구홀(331b) 및 중부가이드홀(331c)과 연통되는 상부가이드홀(331e)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홀(331b)은 2개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개구홀(331b)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S. 3 to 6, the filter unit
필터기구(332)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이드홈(331d)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가이드부(332a)와, 상부가이드홀(331e)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가이드부(332b)와, 일단이 하부가이드부(332a)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부가이드부(332b)에 설치되어 필터장치본체(331)의 개구홀(331b)에 배치되는 그물망 형상의 필터부(332c)와, 상부가이드부(332b)의 상부에 위치하여 필터장치본체(3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연결부(332d)와, 상방으로 개구된 고정홈(332e1)과 측방으로 개구되어 고정홈(332e1)과 연통되는 체결홀(332e2)을 구비하여 연결부(332d)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332e)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332c)는 수압을 견디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332d)는 판 형상을 이뤄 필터장치본체 관통홀(331a)의 상부를 폐쇄한다. 또한 필터기구(332)는 필터장치본체(33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터부(332c)는 유입관(200)에서 걸러지지 않은 부유물을 거르는 기능을 하며, 필터기구(332)는 필터장치본체(33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필터부(332c)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3 to 6, the
교반장치(34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측방으로 개구된 체결홀(34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이 필터기구 고정부(332e)의 고정홈(332e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교반축(341)과, 필터기구 고정부(332e)의 체결홀(332e2)과 교반축(341a)의 체결홀(34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필터기구(332)를 교반축(341)에 고정하는 체결부재(342)와, 교반축(341)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교반날개(343)과, 필터장치(330)의 상부에 설치되며 교반축(341)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44)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재(342)는 볼트,너트 방식으로 체결되고, 교반날개(343)는 바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교반날개(343)는 정화장치본체(310) 내에서 엉킨 부유물이 잘게 분리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이물질제거기구(3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장치본체(331)의 개구홀(331b)에 설치되는 지지대(351)와, 지지대(351)로부터 돌출되어 필터기구(332)의 필터부(332c)와 접촉하는 브러쉬(35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브러쉬(352)는 필터기구 필터부(332c)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금속과 같은 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4, the foreign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제방배수관(100)의 하단에 내설된다. 그리고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는 팽창 및 수축을 위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는 팬장치(500)로부터의 공기 공급에 따라 제방배수관(100)을 폐쇄 및 개방한다.As shown in FIGS. 1 and 7, the embankment drain
팬장치(5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에 공기를 공급하여 제방배수관(400)을 팽창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팬장치(500)의 설치위치는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위치이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1 and 7, the
배수상태감지장치(600)는 감지장치본체(610)와, 부력기구(620)와, 센싱장치(630)를 갖추고서, 정화장치본체(310) 내의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이를 감지한다.The drainage
감지장치본체(6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개구홀(611)이 구비되어, 정화장치본체(310)의 내부 상면에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7, the
부력기구(620)는 상기 개구홀(61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621)와, 이동부(621)의 하단에 구비되며 감지장치본체(6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력재질의 부력부(62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부력부(622)는 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부(621) 또한 부력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센싱장치(630)는 감지장치본체(6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동부(621)의 이동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센싱장치(630)는 접촉 또는 비접촉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The
제어유닛(7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344), 팬장치(500), 센싱장치(630)를 작동제어하며, 센싱장치(630)로부터 이상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700)의 설치위치는 구동장치(344), 팬장치(500), 센싱장치(630)를 제어할 수 있는 위치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7,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 및 교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방배수관폐쇄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장치에서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상태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lter device and the stir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ank water pipe clos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drainage stat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8 to 11, an operation state of a dam structur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우선 수원지에 물이 유입되어 도 1과 같이 수원지의 수위(W)가 위험수위(W')까지 상승하면, 수원지의 물은 유입관 유입부(220)의 유입홀(222)을 통해 제방배수관(100)으로 유입된다. 이때 수원지에 부유된 부유물 중 나뭇가지와 같은 부피가 큰 부유물은 유입홀(222)에 의해 걸러진다. 여기서 수원지의 수위(W)가 급격히 상승할 경우 유입부(220)의 유입홀(222)로 유입되는 물은 유입홀(222)의 유입 한계를 초과할 수 있다. 이때 계속적으로 상승하는 물은 유입관 유입부(220)의 개구홀(221)로 유입되어 제방배수관(100)으로 이동한다.First, when water flows into the water source and the water level W of the water source rises to the danger level W 'as shown in FIG. 1, the water in the water source passes through the
한편 제방배수관(100)으로 유입된 물은 정화장치본체(310)에 임시 수용되고, 필터기구(332)의 필터부(332c)를 통과하여 정화장치배수관(320)을 통해 하천으로 배출된다. Meanwhile, the water flowing into the dikes discharge
이때 제방배수관(10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필터기구(332)의 필터부(332c)에 의해 걸러진 후 하천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물질은 필터기구(332)의 필터부(332c)에 점착되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 필터기구(332)의 필터부(332c)는 폐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제어유닛(700)이 일정시간에 따라 교반장치(340)의 구동장치(344)를 구동하여, 도 8과 같이 교반장치(340)의 교반축(341)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필터장치(330)의 필터기구(332)는 교반축(341)과 같이 회전하고, 필터기구(332)의 필터부(332)는 이물질제거기구(350)의 브러쉬(352)와 접촉되어 점착된 이물질이 제거된다. 따라서 정화장치본체(310)에 수용된 물은 계속적으로 배수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교반축(341)이 회전하면, 교반날개(343)는 물에 혼합되어 엉켜있는 이물질을 분리하고, 이를 통해 필터기구(332)의 필터부(332c)의 폐쇄가 방지된다.When the agitating
더불어 제어유닛(700)은 교반장치(340)를 구동할 시, 제방배수관(100)을 폐쇄하여 교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제어유닛(700)은 팬장치(500)를 구동하여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로 공기를 공급하고,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이 도 9와 같이 팽창하여 제방배수관(100)을 폐쇄함으로써, 교반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정화장치본체(310)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when the agitating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에도 불구하고 필터기구(332)의 필터부(332c)가 폐쇄되면, 제방배수관(100)으로부터의 물은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화장치본체(310) 내부의 수위는 계속 상승하고, 도 10과 같이 정화장치본체(310) 내부에 물이 가득 차게 된다. 이때 배수상태감지장치 부력기구(620)는 수위의 상승에 따라 도 11과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센싱장치(630)는 부력기구 이동부(621)의 접촉을 확인한다. 그러면 센싱장치(630)는 제어유닛(700)으로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제어유닛(700)은 외부 관리자에게 경고신호를 송출하여 외부 관리자에게 배수상태를 알린다. 이때 외부 관리자는 경고등, 경고벨과 같은 수단을 통해 위험을 확인할 수 있다.If the
이후 관리자는 정화장치(300)를 점검하여, 정화장치본체(310)에 이물질이 많이 축적되어 있을 경우 이를 제거하고, 다른 구성 요소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Thereafter, the manager checks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은 수원지에서 제방배수관(100)으로 유입되는 큰 부피의 부유물을 1차로 거르고, 작은 부피의 부유물은 정화장치(300)에서 거름으로써, 하천으로 보다 정화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정화장치(300)의 작동이 보다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배수 효율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mbankment structu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filters a large volume of suspended solids flowing into a
100; 제방배수관 200; 유입관
300; 정화장치 400; 제방배수관폐쇄기구
500; 팬장치 600; 배수상태감지장치
700; 제어유닛100;
300;
500;
700; The control unit
Claims (1)
제방배수관(100)의 상단에 설치되며 수원지로 돌출되는 연결부(210);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홀(221)과, 둘레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입홀(222)을 구비하며, 이동부(210)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유입부(220);를 갖춘 유입관(200):
측방에 형성되어 제방배수관(1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홀(311)과, 하부에 형성된 제2연결홀(312)을 구비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정화장치본체(310); 정화장치본체(310)의 제2연결홀(312)에 설치되는 정화장치배수관(320); 상하로 관통되며 정화장치배수관(320)에 삽입되는 관통홀(331a), 둘레부에 구비되며 측방으로 개구되어 관통홀(331a)과 연통되는 개구홀(331b),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개구홀(331b)과 연통되는 중부가이드홀(331c),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중부가이드홀(331c)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홀(331b) 및 중부가이드홀(331c)과 연통되는 하부가이드홈(331d),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고 중부가이드홀(331c)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개구홀(331b) 및 중부가이드홀(331c)과 연통되는 상부가이드홀(331e)를 구비한 필터장치본체(331)와, 하부가이드홈(331d)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가이드부(332a), 상부가이드홀(331e)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가이드부(332b), 일단이 하부가이드부(332a)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부가이드부(332b)에 설치되어 필터장치본체(331)의 개구홀(331b)에 배치되는 그물망 형상의 필터부(332c), 상부가이드부(332b)의 상부에 위치하여 필터장치본체(3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연결부(332d), 상방으로 개구된 고정홈(332e1)과 측방으로 개구되어 고정홈(332e1)과 연통되는 체결홀(332e2)을 구비하여 연결부(332d)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332e)를 갖춘 필터기구(332)를 구비한 필터장치(330); 하단에 측방으로 개구된 체결홀(341a)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이 필터기구 고정부(332e)의 고정홈(332e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교반축(341)과, 필터기구 고정부(332e)의 체결홀(332e2)과 교반축(341a)의 체결홀(34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필터기구(332)를 교반축(341)에 고정하는 체결부재(342)와, 교반축(341)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교반날개(343)와, 필터장치(330)의 상부에 설치되며 교반축(341)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44)를 갖춘 교반장치(340); 필터장치본체(331)의 개구홀(331b)에 설치되는 지지대(351)와, 지지대(351)로부터 돌출되어 필터기구(332)의 필터부(332c)와 접촉하는 브러쉬(352)를 구비한 이물질제거기구(350);를 갖춘 정화장치(30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제방배수관(100)에 내설되는 탄성재질의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
제방배수관폐쇄기구(400)에 공기를 공급하여 제방배수관(400)을 팽창시키는 팬장치(50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된 개구홀(611)이 구비되어, 정화장치본체(310)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는 감지장치본체(610); 상기 개구홀(61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621)와, 이동부(621)의 하단에 구비되며 감지장치본체(6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력재질의 부력부(622)를 구비한 부력기구(620); 감지장치본체(6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동부(621)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싱장치(630);를 갖춘 배수상태감지장치(600):
구동장치(344), 팬장치(500), 센싱장치(630)를 작동제어하며, 센싱장치(63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유닛(7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개선용 제방 구조물. The embankment drainage pipe (100) installed downwardly inclined through the slope (S) in the embankment (B) of the source water source:
A connection part 21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mbankment drainage pipe 100 and projecting to the water source; And an inlet 220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210 and protruding upwardly and having an opening hole 221 formed in the upper part and a plurality of inlet holes 222 formed in the periphery, 200):
A purifier main body 310 having a first connection hole 311 formed at the side of the bank discharge pipe 100 and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bank discharge pipe 100 and a second connection hole 312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A purifier drain pipe 320 installed in the second connection hole 312 of the purifier body 310; A through hole 331a which is vertically penetrated and inserted into the purifying device drain pipe 320, an opening hole 331b which is provided in the periphery and opens laterally and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331a, A middle guide hole 331c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guide hole 331b and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hole 331b and the middle guide hole 331c; And an upper guide hole 331e which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guide hole 331c and opens upwar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hole 331b and the middle guide hole 331c. A lower guide portion 332a movably inserted in the lower guide groove 331d, an upper guide portion 332b movably inserted in the upper guide hole 331e, and a lower guide portion 332b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installed in the upper guide portion 332b, and the filter device body 331 A mesh portion 332c disposed in the opening hole 331b of the upper guide portion 332b and a connecting portion 332d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device body 331 and positioned above the upper guide portion 332b, And a filter mechanism 332 having a fixing portion 332e1 and a fixing hole 332e2 which is opened laterally and communicates with the fixing groove 332e1 and has a fixing portion 332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32d A filter device 330; A stirring shaft 341 formed with a coupling hole 341a which opens laterally at the lower end and the lower end of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32e1 of the filter mechanism fixing portion 332e and a filter mechanism fixing portion 332e, A fastening member 342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into a fastening hole 341a of a fastening hole 332e2 and a fastening hole 341a of the stirring shaft 341a to fix the filter mechanism 332 to the stirring shaft 341, A stirring device 340 having a plurality of stirring vanes 343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filter device 330 and a driving device 344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lter device 330 and rotating the stirring shaft 341; A support table 351 provided in the opening hole 331b of the filter device main body 331 and a brush 352 protruding from the support table 351 and in contact with the filter portion 332c of the filter mechanism 332, (300) comprising:
An embankment drain pipe closing mechanism 40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installed in the embankment drain pipe 100:
A fan apparatus (500) for supplying air to a bank flow channel closing mechanism (400) to expand a bank flow channel (400)
A sensing device body 6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urifier body 310 and having an opening hole 611 opened downwar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buoyant portion 62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portion 621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nsing device body 61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moving portion 621, A buoyancy mechanism 620; And a sensing device (630) installed inside the sensing device body (610) and sens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621). The drainage state sensing device (600)
A control unit 7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344, the fan device 500 and the sensing device 630 and outputting a warning signal to the outside when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device 630;
Wherein the water-repellent reinforcing structure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3274A KR101444426B1 (en) | 2014-05-02 | 2014-05-02 | Riverbank structu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3274A KR101444426B1 (en) | 2014-05-02 | 2014-05-02 | Riverbank structu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4426B1 true KR101444426B1 (en) | 2014-10-01 |
Family
ID=5199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3274A KR101444426B1 (en) | 2014-05-02 | 2014-05-02 | Riverbank structu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442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26324A (en) * | 2022-10-31 | 2023-03-03 | 中国海洋大学 | Flood control drainage water conservancy structure based on water source area protection |
CN116905426A (en) * | 2023-07-25 | 2023-10-20 | 宁波建工工程集团有限公司 | River course dike protection structure with water treatment func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3410A (en) * | 2005-11-21 | 2007-05-25 | (주)드림인기술 | The device used both shore protection block and waste disposal apparatus |
KR20080080077A (en) * | 2007-12-28 | 2008-09-02 | 한상관 | A method of naturally purifying polluted water or natural products, a method of separating suspended solids from water, including suspended solids from the method, and a method of producing energy using the separated suspended solids. |
KR100937200B1 (en) | 2009-07-10 | 2010-01-19 |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 Structure for environmental purification |
-
2014
- 2014-05-02 KR KR1020140053274A patent/KR10144442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3410A (en) * | 2005-11-21 | 2007-05-25 | (주)드림인기술 | The device used both shore protection block and waste disposal apparatus |
KR20080080077A (en) * | 2007-12-28 | 2008-09-02 | 한상관 | A method of naturally purifying polluted water or natural products, a method of separating suspended solids from water, including suspended solids from the method, and a method of producing energy using the separated suspended solids. |
KR100937200B1 (en) | 2009-07-10 | 2010-01-19 | (주) 서광건설엔지니어링 | Structure for environmental purificatio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26324A (en) * | 2022-10-31 | 2023-03-03 | 中国海洋大学 | Flood control drainage water conservancy structure based on water source area protection |
CN116905426A (en) * | 2023-07-25 | 2023-10-20 | 宁波建工工程集团有限公司 | River course dike protection structure with water treatment function |
CN116905426B (en) * | 2023-07-25 | 2024-04-30 | 宁波建工工程集团有限公司 | River course dike protection structure with water treatment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78954B1 (en) | Debris collecting apparatus | |
JP4891399B2 (en) | Dust removal control | |
JP4412700B2 (en) | How to remove sediment from sand traps | |
US657614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floating debris | |
KR101444426B1 (en) | Riverbank structu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 |
JP2015014088A (en) | Underground drainage pump facility | |
KR101911497B1 (en) | Non-electric water immersion prevention device | |
KR101837300B1 (en) | A Underground Water Artificial Recharge System | |
US20070020049A1 (en) | Catch basin for salt water sand | |
KR101170528B1 (en) | Water farm tank on the ground | |
JP3483847B2 (en) | Intake structure of river surface water with sloped intake screen installed at floor stop | |
IT201800005132A1 (en) | System of interception and collection of waste and debris in the water | |
JP4889034B2 (en) | Coastal structures | |
KR101709908B1 (en) | Multipurpose Dam For Eco Friendly | |
RU2576964C1 (en) | Drain manifold head | |
JP2008308894A (en) | Triple lake dam structure | |
CN101332382A (en) | Filtering device of self-controlled liquid surface | |
JP6138594B2 (en) | Mobile suspended solids recovery equipment for seawater infiltration. | |
KR100805159B1 (en) | Dam easy to discharge deposit | |
KR20130012544A (en) | Keeping treatment system of primary stage rainwater for valleywater using the water-storage tank | |
KR101283249B1 (en) | Soil and clay removing apparatus | |
KR101926744B1 (en) | Apparatus for inducing storage of purify rainwater and removing pollutant in early rainwater, and combine water processing installation including this same | |
JP2003103113A (en) | Device for removing sand included in pumped up ground water | |
KR200260767Y1 (en) | The catch basin with apparatus for separator oil from water | |
KR101934106B1 (en) | River ecological restoration facilities considering river water leve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