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016B1 -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 Google Patents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016B1
KR101444016B1 KR1020130034941A KR20130034941A KR101444016B1 KR 101444016 B1 KR101444016 B1 KR 101444016B1 KR 1020130034941 A KR1020130034941 A KR 1020130034941A KR 20130034941 A KR20130034941 A KR 20130034941A KR 101444016 B1 KR101444016 B1 KR 101444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del
user
module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게코
Priority to KR102013003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41J29/026Stackable

Abstract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는, 미리 모델링된 모델 블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모델 블록을 조합하거나 편집함으로써 3차원 프린터로 제작하고자 하는 사용자 모델을 3차원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에 있어서,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부재를 구비하는 회전 블록과, 다면체 블록을 상기 모델 블록의 예시로서 화면에 메뉴로 제공하는 모델 제공 모듈; 상기 모델 제공 모듈에 의해 제시되는 메뉴에서 사용자가 상기 모델 블록의 종류(다면체 블록인지 회전 블록인지 여부)를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배치하여 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델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델 블록의 종류와 위치와 방향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는 디자인 모듈; 사용자가 상기 모델 제공 모듈과 디자인 모듈을 이용하여 모델링한 상기 사용자 모델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렌더링 모듈; 및 상기 렌더링 모듈에 의해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사용자 모델을 상기 3차원 프린터에서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Modeling Tool for 3-Dimension Printer Using Block}
본 발명은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모델링된 블록을 조합하여 3차원 프린터에서 제작할 수 있는 제품을 3차원 모델링하기 위한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RP(rapid prototype)를 만드는 용도 이외에 다양한 용도로 3차원 프린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3차원 프린터의 적용 범위는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3차원 형상을 제작하는 데에는 전용 모델링 저작 도구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3차원 프린터용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3차원 모델러는 전문가용으로 개발된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사용법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가격도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3차원 프린터의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접할 기회가 넓어지면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3차원 모델링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3차원 프린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는 아니지만 게임이나 엔터테인먼트의 목적으로 개발된 3차원 모델링 도구 중에는 미리 모델링된 블록을 조합하여 3차원 모델링을 하는 것이 있다. 몇 가지 형태의 블록을 미리 모델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와 같은 모델 블록을 조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모델링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블록을 조합하여 3차원 모델링을 하는 방법은 누구나 쉽게 직관적인 방법으로 3차원 모델링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집, 나무, 책상 같은 움직임이 없는 정적인 물건만을 모델링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블록을 조합하여 3차원 모델을 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동적 작동이 가능한 형태의 물건을 3차원 모델링하여 3차원 프린터로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는, 미리 모델링된 모델 블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모델 블록을 조합하거나 편집함으로써 3차원 프린터로 제작하고자 하는 사용자 모델을 3차원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에 있어서,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부재를 구비하는 회전 블록과, 다면체 블록을 상기 모델 블록의 예시로서 화면에 메뉴로 제공하는 모델 제공 모듈; 상기 모델 제공 모듈에 의해 제시되는 메뉴에서 사용자가 상기 모델 블록의 종류(다면체 블록인지 회전 블록인지 여부)를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배치하여 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델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델 블록의 종류와 위치와 방향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는 디자인 모듈; 사용자가 상기 모델 제공 모듈과 디자인 모듈을 이용하여 모델링한 상기 사용자 모델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렌더링 모듈; 및 상기 렌더링 모듈에 의해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사용자 모델을 상기 3차원 프린터에서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는 동적 작동이 가능한 3차원 형상을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3차원 모델링하여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에 의해 3차원 모델링된 사용자 모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 블록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직동 블록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모델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직동 블록이 변환 모듈에 의해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모델이 3차원 프린터에 의해 제작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는 모델 제공 모듈(410)과 디자인 모듈(420)과 렌더링 모듈(430)과 출력 모듈(450)을 구비한다.
모델 제공 모듈(410)은 사용자가 3차원 모델링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미리 모델링된 다양한 기본 모델들을 모델 블록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모델 제공 모듈(410)은 컴퓨터의 모니터, 스마트 기기의 터치 패드 등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모델 블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델 블록의 유형을 화면에 표시한다. 다양한 모델 블록의 유형은 실제 그 모델 블록의 형상으로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키보드, 마우스, 화면 터치 등의 방법으로 모델 블록의 유형을 선택할 수도 있고, 모델 블록의 명칭이 표시된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명칭을 보고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델 블록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는 기본적으로 3가지 유형의 모델 블록을 제공한다. 다면체 블록(10), 회전 블록(20), 직동 블록(30)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3가지 유형의 모델 블록이다. 다면체 블록(10)은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여 3차원 가상 공간 내에 쌓는 방법으로 원하는 형상을 모델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육면체 형상의 다면체 블록(10)을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직육면체, 정십이면체, 삼각뿔 등의 다양한 형상의 다면체 블록(10)을 제공하도록 모델 제공 모듈(410)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모델 제공 모듈(410)은 다면체 블록(10) 이외에 회전 블록(20)과 직동 블록(30)을 추가적인 모델 블록으로서 제공한다. 회전 블록(20)은 회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모델 블록이고, 직동 블록(30)은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모델 블록이다. 이와 같은 회전 블록(20)과 직동 블록(3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회전 블록(20)과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직동 블록(30)을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회전 블록(20)은 제1회전부재(21)와 제2회전부재(22)를 구비한다. 제2회전부재(22)는 제1회전부재(21)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회전 블록(20)은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원통축과 그 원통축이 끼워지는 중공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원통 형상을 3차원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고급 기능이 있는 모델링 도구가 필요하다. 정육면체와 같은 다면체 블록(10)을 쌓아 이와 같은 회전 운동이 가능한 모델링을 하는 것은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고 모델링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전 블록(20)을 미리 모델링하여 모델 제공 모듈(410)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회전 운동이 가능한 형태의 3차원 모델링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회전 블록(20)은 회전 각도 범위의 제한이 없이 360도 회전이 가능한 형태의 회전 블록(20)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회전 블록(20) 이외에 내부에 스토퍼가 구비되어 회전 각도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형태의 회전 블록(20)도 모델 제공 모듈(410)에서 제공할 수 있다. 원 웨이 클러치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만 허용하고 반대쪽 방향으로의 회전은 방지하는 구조의 회전 블록(20)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직동 블록(30)은 제1직동부재(31)와 제2직동부재(32)를 구비한다. 제2직동부재(32)는 제1직동부재(31)에 대해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linear slide motion)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직동 블록(30)은 스토퍼(321)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1직동부재(31)와 제2직동부재(32) 사이의 상대 이동 변위를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직동 블록(30) 역시 다면체 블록(10)을 조합하는 방법으로는 모델링 하기 쉽지 않고, 만족할 만한 작동 성능을 확보하기도 쉽지 않다. 미리 모델링된 직동 블록(30)을 이와 같이 모델 제공 모듈(410)을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직선 운동하는 3차원 형상을 사용자가 쉽게 모델링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델 제공 모듈(410)에서 제공되는 모델 블록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형상의 모델 블록을 디자인 모듈(420)을 이용하여 선택하고, 선택한 모델 블록들을 조합하여 3차원 프린터로 제작하고자 하는 형상의 제품(이하, 사용자 모델(100)이라고 한다.)을 3차원 모델링한다.
디자인 모듈(420)은 마우스, 키보드,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는 모델 블록의 종류(다면체 블록(10), 회전 블록(20), 직동 블록(30) 인지 여부), 그 모델 블록이 배치될 가상 공간 내의 위치, 그 모델 블록이 배치될 방향에 대한 명령을 수신한다. 디자인 모듈(420)은 이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 외에 블록을 조합하고 분할하고 삭제하는 등의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정육면체 형상의 다면체 블록(10)을 배치한 후, 이를 9등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9조각의 정육면체 형상 다면체 블록(10)으로 분할하고 일부 다면체 블록(10)을 삭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마치 조각을 하는 것과 유사하게 3차원 형상을 더욱 정교하게 모델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자인 모듈(420)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3차원 모델링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모델 제공 모듈(410)에서 선택한 모델 블록을 표시 장치의 화면에 드랙하여 드랍하고, 다양한 편집 메뉴에 의해 모델 블록의 종류, 방향 등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도 2는 모델 제공 모듈(410)과 디자인 모듈(42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3차원 형상을 모델링한 일례로서의 사용자 모델(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사용자는 디자인 모듈(420)을 이용하여 모델 블록들을 조합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형상의 사용자 모델(100)을 쉽게 3차원 모델링 할 수 있다.
디자인 모듈(420)은 제1회전부재(21)와 제2회전부재(22) 사이의 상대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를 사용자로부터 명령으로서 입력 받아 회전 블록(20)의 형상을 조정한다. 회전 블록(20)의 회전 각도 범위를 조절하는 방법은 스토퍼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렌더링 모듈(430)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모델 제공 모듈(410)과 디자인 모듈(420)을 이용하여 모델링한 사용자 모델(100)을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렌더링 모델은 사용자 모델(100)에 포함된 회전 블록(20)과 직동 블록(30)을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실제 모델링 형상으로 도시할 수도 있고, 편의상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다면체 모델과 동일한 외곽 형상으로 도시할 수도 있다. 이때, 렌더링 모듈(430)은 미리 약속된 규칙에 따라 회전 블록(20)과 직동 블록(30)을 다면체 블록(10)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거나 다른 표면 질감을 가지도록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 블록(20)과 직동 블록(30)과 다면체 블록(10)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렌더링 모듈(430)이 사용자 모델(100)에 포함된 직동 블록(30)과 회전 블록(20)을 단순화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화면 표시 장치의 연산 부하를 절감하고 화면 표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화면에 표시된 3차원 가상 공간 내에서 사용자 모델(100)을 동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사용자 모델(100)의 3차원 형상을 확인할 때 그래픽 표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자인 모듈(420)에 의해 사용자 모델(100)의 모델링이 완료되고 그 형상을 렌더링 모듈(430)을 이용하여 확인한 후에는 출력 모듈(450)을 이용하여 사용자 모델(100)을 3차원 프린터에서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렌더링 모듈(430)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직동 블록(30) 및 회전 블록(20)의 외형이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다면체 블록(10)과 동일한 형상이라 하더라도, 출력 모듈(450)에 의해 3차원 프린터용 데이터로 변환할 때에는 모델 제공 모듈(410)에서 제공하는 직동 블록(30)과 회전 블록(20)의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의 회전 블록(20) 및 직동 블록(30)으로 변환한다.
디자인 모듈(420)은 렌더링 모듈(430)과 연동하여 작동한다. 디자인 모듈(420)은, 렌더링 모듈(430)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모델 블록의 종류를 변경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렌더링 모듈(430)은 디자인 모듈(420)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모델 블록의 종류를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
디자인 모듈(420)은, 렌더링 모듈(430)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직동 블록(30)의 제1직동부재(31)와 제2직동부재(32) 사이의 상대 이동 가능 범위를 변경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그 상대 이동 범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디자인 모듈(420)이 직동 블록(30)의 작동 범위를 조절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직동 블록(30)의 모델링 데이터를 변경하면, 렌더링 모듈(430)은 디자인 모듈(420)에 의해 변형된 직동 블록(30)의 형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직동 블록(30)들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 경우에는 변환 모듈(440)을 이용하여 이를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하나의 직동 블록(30)으로 치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위 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직동 블록(30)을 서로 직렬로 연결하도록 디자인 모듈(420)을 이용하여 모델링한 후 변환 모듈(440)에 의해 자동으로 변환전 직동 블록(30)들의 길이를 합산한 길이의 하나의 직동 블록(40)으로 치환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단위 길이 또는 단위 부피의 직동 블록(30)을 직렬 연결하는 방법으로 쉽고 직관적으로 원하는 길이의 직동 블록(40)을 모델링하고, 실제 3차원 프린터의 데이터로 출력할 때에는 변환 모듈(440)에 의해 자동으로 합산된 길이의 직동 블록(40)으로 치환하는 것이다. 변환 모듈(440)은 복수의 직동 블록(30)들이 동일 선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직렬 연결된 경우에 이를 동일 길이의 다른 직동 블록(40)으로 치환한다. 만약 직동 블록(30)들이 서로 인접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각 직동 블록(3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이 서로 다르다면 변환 모듈(440)은 이를 치환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직렬 연결된 직동 블록(30)의 단면도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다. 변환 모듈(440)이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직동 블록(30)들을 변환하면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태의 직동 블록(40)으로 치환된다. 이때 변환된 직동 블록(30)의 직선 운동 변위의 범위는 필요한 경우 디자인 모듈(42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다. 치환된 직동 블록(40)도 도 6을 참조하면 제1직동부재(41)와 제2직동부재(42)를 구비한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는 디자인 모듈(420)을 이용하여 변환 모듈(440)이 특정 직동 블록(30)들은 치환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출력 모듈(450)을 작동시키면, 자동으로 변환 모듈(440)에 의해 직동 블록(30)들을 치환한 후 전체 사용자 모델(100)을 3차원 프린터에서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3차원 프린터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프린터로 사용자 모델(100)을 제작하면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의 사용자 모델(200)이 제작된다. 도 7에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 단위 직동 블록(30)들이 각 직동 블록(30)들의 길이가 합산된 길이의 다른 직동 블록(40)으로 치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델 제공 모듈(410)은 회전 블록(20)과 직동 블록(30)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둘 중 하나만을 제공하는 모델 제공 모듈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피봇 운동이 가능한 형태의 피봇 블록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외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제공하는 블록을 모델 제공 블록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도시하여 설명한 형태 이외의 다양한 구조와 형상의 회전 블록과 직동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직동 블록의 경우 가이드 레일의 형태나 에어 실린더의 형태로 구성된 직동 블록을 모델 제공 모듈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는 변환 모듈(440)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환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410: 모델 제공 모듈 420: 디자인 모듈
430: 렌더링 모듈 440: 변환 모듈
450: 출력 모듈 100: 사용자 모델
10: 다면체 블록 20: 회전 블록
21: 제1회전부재 22: 제2회전부재
30, 40: 직동 블록 31, 41: 제1직동부재
32, 42: 제2직동부재 321: 스토퍼

Claims (7)

  1. 미리 모델링된 모델 블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모델 블록을 조합하거나 편집함으로써 3차원 프린터로 제작하고자 하는 사용자 모델을 3차원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에 있어서,
    제1직동부재와 상기 제1직동부재에 대해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linear slide motion)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직동부재를 구비하는 직동 블록과, 다면체 블록을 상기 모델 블록의 예시로서 화면에 메뉴로 제공하는 모델 제공 모듈;
    상기 모델 제공 모듈에 의해 제시되는 메뉴에서 사용자가 상기 모델 블록의 종류(다면체 블록인지 직동 블록인지 여부)를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배치하여 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모델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델 블록의 종류와 위치와 방향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는 디자인 모듈;
    사용자가 상기 모델 제공 모듈과 디자인 모듈을 이용하여 모델링한 상기 사용자 모델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렌더링 모듈;
    상기 렌더링 모듈에 의해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사용자 모델을 상기 3차원 프린터에서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출력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모델에 포함된 상기 모델 블록들 중에 동일 선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직렬 연결된 직동 블록들이 있는 경우, 그 직동 블록들의 단위 길이가 합산된 길이의 하나의 직동 블록으로 상기 직렬연결된 직동 블록들을 치환하는 변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변환 모듈에 의해 직동 블록이 치환된 사용자 모델을 3차원 프린터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제공 모듈은,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부재를 구비하는 회전 블록을 상기 모델 블록의 예시로서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제공 모듈이 제공하는 상기 회전 블록은, 상기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의 상대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를 상기 디자인 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모듈은, 상기 렌더링 모듈에 의해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모델 블록의 종류를 변경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렌더링 모듈은, 상기 디자인 모듈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모델 블록의 종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모듈은, 상기 렌더링 모듈에 의해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직동 블록의 제1직동부재와 제2직동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 가능 범위를 변경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렌더링 모듈은, 상기 디자인 모듈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직동 블록의 제1직동부재와 제2직동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 가능 범위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7. 삭제
KR1020130034941A 2013-03-31 2013-03-31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KR101444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941A KR101444016B1 (ko) 2013-03-31 2013-03-31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941A KR101444016B1 (ko) 2013-03-31 2013-03-31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016B1 true KR101444016B1 (ko) 2014-09-25

Family

ID=5176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941A KR101444016B1 (ko) 2013-03-31 2013-03-31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073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휴엔시스템 구조물 골격 모델링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569A (ko) * 2004-05-12 2005-11-17 이종원 증강현실에서 텐저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모델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569A (ko) * 2004-05-12 2005-11-17 이종원 증강현실에서 텐저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모델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073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휴엔시스템 구조물 골격 모델링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82795B1 (ko) * 2015-02-27 2016-12-20 주식회사 휴엔시스템 구조물 골격 모델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933B2 (en) Manipulating virtual environment using non-instrumented physical object
US9182882B2 (en) Dynamic creation and modeling of solid models
US8040345B2 (en) Systems for hybrid geometric/volumetric representation of 3D objects
KR20140061373A (ko) 사용자-정의 완구 구성 요소를 설계하고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26919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urved extrusions
CN109697002B (zh) 一种在虚拟现实中对象编辑的方法、相关设备及系统
KR20160013928A (ko) Hud 객체 설계 및 방법
US8947429B2 (en) Gestures and tools for creating and editing solid models
US10713826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drawing a polyline in a three-dimensional scene
Izatt et al. Neutrino-KAVE: An immersive visualization and fitting tool for neutrino physics education
Roach et al. Computer aided drafting virtual reality interface
KR101444016B1 (ko)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JP2020166852A (ja) シーンエディタ用の正投影面
Ohnishi et al. Virtual interaction surface: Decoupling of interaction and view dimensions for flexible indirect 3D interaction
Tompkin et al. Interactive light field painting
Adzhiev et al. Augmented sculpture: Computer ghosts of physical artifacts
WO2016153080A1 (ko) 블록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모델링 도구
Wang Researching of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imulation campus scene’s construction technology
Bruno et al. A Virtual Reality desktop configuration for free-form surface sketching
CN102768766A (zh) 一种三维群体动画建模
CN107610243A (zh) 立体图形的调节控制器生成、调节控制方法及相应装置
Yan et al. 3D visual design for mobile search result on 3G mobile phone
Fei et al. 3d animation creation using space canvases for free-hand drawing
Huang et al. Shape acquiring and editing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based computer-aided design system
Ma A Mixed Modeling Environment Exploring Tangible and Digital Interactions for Iterative Design Mod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