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606B1 - 세탁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606B1
KR101443606B1 KR1020070048044A KR20070048044A KR101443606B1 KR 101443606 B1 KR101443606 B1 KR 101443606B1 KR 1020070048044 A KR1020070048044 A KR 1020070048044A KR 20070048044 A KR20070048044 A KR 20070048044A KR 101443606 B1 KR101443606 B1 KR 10144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binet
washing tub
moving bod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377A (ko
Inventor
우기철
김나은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06B1/ko
Priority to EP09015496.4A priority patent/EP2189566B1/en
Priority to PCT/KR2008/002725 priority patent/WO2008143427A2/en
Priority to CN200880024924.8A priority patent/CN102007243B/zh
Priority to EP08753521.7A priority patent/EP2155947B1/en
Priority to US12/122,044 priority patent/US8136896B2/en
Publication of KR2008010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탁, 건조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와 상기 캐비닛이 설치된 설치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확보하도록 세탁조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세탁, 건조, 세탁물 처리장치, 키높이 부재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Device for treating laundry}
도 1은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세탁물 처리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세탁물 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의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의 하우징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도 3의 고정수단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세탁물 처리장치 110 : 캐비닛
114 : 캐비닛 후벽 115 : 홀
118 : 캐비닛 저면 120 : 세탁조
122 : 터브 124 : 드럼
130 : 모터 140 : 도어
170 : 고정수단 172 : 볼트
174 : 연성부재 200 : 키높이 부재
210 : 하우징 212 : 상부베이스
214 : 하부베이스 216 : 리브
220 : 이동체 230 : 가이드
232 : 보강부재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탁, 건조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의류 등을 세탁하는 가전 기기이며, 건조기는 젖은 의류 등을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최근에는 세탁기 및 건조기의 기능이 복합된 가전 기기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탁기와 건조기 및 이들의 기능이 복합된 가전 기기를 통칭하여 세탁물 처리 장치라고 칭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넣는 위치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뉜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나무나 시멘트 및 타일과 같은 바닥면에 직접 설치되는데, 프런트 로딩 방식의 세탁물 처리 장치는 그 입구가 낮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고 빼기가 불편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 밑에 키높이 부재(2)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위와 같이, 상기 키높이 부재(2) 위에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가 올려져 사용되는 경우,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키높이 부재(2)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중량 전체를 지지해야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하며, 이는 상기 키높이 부재(2)의 제작 비용 및 무게를 증가시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작 비용 및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와 상기 캐비닛이 설치된 설치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확보하도록 세탁조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그 저면이 캐비닛의 저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체가 구비되는 공간과 세척조 사이를 구획하는 상부베이스;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과 캐비닛의 저면 을 이루는 하부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체가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서로 결합된 막대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를 하우징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양측면의 중앙부 보다 아래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저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와 상기 하우징 내측면의 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캐비닛이 후면을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체결되는 볼트;상기 볼트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의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진동을 절연하며, 하우징과 터브와의 제작공차를 상쇄시켜주는 연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세탁조의 입구 위치를 소정 높이로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세탁조와 상기 하부 베이스 사이를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체는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세탁조의 키높임을 위한 하우징과 캐비닛이 일체가 되어 세탁물 처리장치의 미관이 보다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높임을 위한 하우징이 캐비닛과 일체가 되므로 다수개의 부품들이 삭제될 수 있으며, 강도가 증가되고, 조립단계가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전면을 이루는 프론트 커버(112)와 양 측면을 이루는 측벽(미도시), 후면을 이루는 후벽(114), 상면을 이루는 탑 플레이트(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캐비닛(110)의 프론트 커버(112)에는 도어(140)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조(120)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122)와 상기 터브(122)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1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브(122) 및 드럼(124)은 상기 도어(140)가 개방되었을 때 세탁물의 인출입을 위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럼(124)은 모터(130)에 의해 회전되며, 내면에 다수의 리프트(126)가 구비됨으로써 회전시 드럼(124) 내부의 세탁물을 들어올린후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세탁을 진행한다.
상기 터브(122)에는 급수호스를 통해 외부의 물이 내부에 공급된 후 저장되며, 상기 터브(122)내에 저장된 물은 배수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터브(122)에는 또한 순환호스(162)가 연결되는데, 상기 순환호스(162)의 중간에는 순환펌프(164)가 설치된다. 상기 순환펌프(164)가 작동하면 상기 터브(122)내의 물은 터브(122) 외부로 인출된 후 상기 순환호스(162)에 의해 상기 터브(122)내로 분사된다. 이와같이 터브(122) 내의 물을 펌핑하여 다시 터브(122)내로 분사하는 것은 상기 드럼(124) 내에 다양한 수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물 분사를 통해 충격력을 가하고 마찰을 유발함으로써 세탁력과 헹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도어(140)가 캐비닛(110)의 전면에 형성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세탁조(120) 내부에 세탁물을 집어넣거나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혀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허리를 과도하게 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세탁조(120)가 소정높이 이상에 위치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100)에 의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도어(140) 및 세탁조(120)의 위치를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세탁물을 용이하게 집어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세탁조(120)와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설치면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확보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이격공간은 상기 세탁조(120)와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설치면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210)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도어(140) 및 세탁조(120)의 위치를 높이기 위해 상기 세탁조(120)와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설치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는 키높이 부재(200)인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은 적어도 일측면에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는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개구부를 통해 캐비닛(110)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22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체(220)는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키높이를 위한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 서랍과 유사하게 인출과 수납이 가능하며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이동체(220)를 구비함으로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이동체(220)가 반드시 서랍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소용량의 세탁기나 건조기등의 소형 가전제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이 상기 캐비닛(110)의 저면(118) 또한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우징(210)은 캐비닛(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210)의 저면이 캐비닛(110)의 저면(118)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물론, 하우징(210)이 캐비닛(110) 내부에 배치되면서 하우징의 저면과 캐비닛의 저면이 서로 각각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이동체(220)가 구비되는 공간과 상기 세탁조(120)가 구비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상부베이스(212)와, 상기 상부베이스(212)와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베이스(212)의 하측에 결합되고 하우징(210)의 저면을 이루는 하부베이스(2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베이스(212)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과 측면 및 후면을 일체로 이루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베이스(214)는 대략 판형의 판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베이스(212)의 상측에는 상기 세탁조(120)를 지지하는 댐퍼(154)등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베이스(212)에는 상기 댐퍼(15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다수의 리브(216)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브(216)에 의해 강도가 보강된 부분에 댐퍼(154)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키높이 부재(200)의 역할을 하는 하우징(210)은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중량 전체를 지지하던 종래의 키높이 부재(2 : 도 1참조)와는 달리 상기 세탁조(120) 및 세탁조에 장착된 부품들의 무게만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캐비 닛(110) 및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는 부품들의 무게는 상기 하우징(210)이 지지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10)은 종래의 키높이 부재(2 : 도 1참조)보다 적은 중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214)은 캐비닛의 저면을 동시에 이루고 있으므로 종래보다 부품수가 줄어들어 재료비가 저렴해지고 작업공수도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무게 또한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하우징은 전술한 바와같이 상부베이스(212)와 하부베이스(214)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체(220)가 구비되며 세탁조(120)의 위치를 높이도록 설치면과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1개 이상의 막대형상의 부재(321)가 서로 결합된 형태의 프레임 구조(31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세탁조(120)를 지지하는 댐퍼(154)등은 상기 프레임(310)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면에는 상기 이동체(220)의 원할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이동체(2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30)는 레일의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하우징(210)의 측벽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체(220)의 무게가 상기 가이드(230)를 통해 상기 하우징(210)의 측벽에 작용되므로, 상기 하우징(210)의 측벽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상기 가이드(230)와 하우징의 측벽 사이에 보강부재(232)가 덧대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220)의 무게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측벽에 작용하는 우력을 최소화 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230)는 하우징(210)의 측벽의 상측이 아닌 측벽의 중앙보다 하측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동체(220)의 무게가 작용되는 지점과 하우징(210) 측벽의 지지점과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발생되는 우력을 최소화 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가이드(430)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하우징의 측벽부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의 저면(214)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과 캐비닛(110)의 후벽(114)을 고정하는 고정수단(17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수단(170)은 상기 캐비닛(110)의 후벽(114)에 형성되는 홀(115)과,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에 형성되는 보스(218) 및 상기 캐비닛(110)의 홀(115)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보스(218)에 체결되는 볼트(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볼트(172)가 상기 캐비닛(110)의 홀(115)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에 형성된 보스(218)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하우징(210)과 캐비닛(110)의 후벽(114)을 상호 고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볼트(172)가 상기 캐비닛(110)의 홀(115)을 관통하여 하우 징(210)의 후면에 형성된 보스(218)에 체결된 경우, 상기 하우징(210) 또는 캐비닛(110)의 진동이 상기 볼트(172)에 의해 상호간에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이 사출형식으로 제작되고 캐비닛(110) 후벽(114)이 프레스형식으로 제작된 경우 제작공차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캐비닛(110)후벽(114)의 홀(115)과 하우징(210) 후면의 보스(218)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게 되는경우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172)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172)와 캐비닛(110)의 홀(115) 사이에 구비되는 연성부재(17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성부재(174)는 연성을 가지고 상기 볼트(172)와 캐비닛(110)의 홀(115)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볼트(172)를 통해 전해지려는 진동을 절연하며, 또한 상기 캐비닛(110)의 홀(115)과 하우징(210)의 보스(218)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연성부재(174)가 변형이 가능하므로 소정범위의 제작공차는 상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세탁조와 세탁물 처리장치의 설치면 사이에 하우징이 구비되므로 세탁조와 도어의 높이가 상승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과도하게 굽히지 않아도 세탁물을 집어넣거나 빼는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키높이 부재의 역할을 하는 하우징의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세탁기의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하우징의 저면이 세탁물 처리장치의 저면을 겸하므로 세탁물 처리장치의 저면을 따로 구비하거나 조립할 필요가 없어 재료와 제작공수가 절감되어 재료비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하우징에 세탁조 및 세탁조에 장착된 무게만이 작용되며 캐비닛에 장착된 부품의 무게는 작용되지 않으므로 하우징에 작용되는 중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하우징이 파손될 염려도 줄어들며 그에따라 하우징을 이루는 재료가 불필요하게 강한 강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필요가 없어 결과적으로 제작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하우징이 세탁물 처리장치와 일체화 됨으로써 진동이 보다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기 이동체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등이 형성되므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하우징 후면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됨으로 전체 적인 진동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덟째, 상기 고정수단의 볼트와 캐비닛의 홀 사이에 연성부재가 구비되므로, 볼트를 통해 전해지는 진동을 절연할 수 있으며, 제작시 발생하는 제작공차를 상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를 지지하고, 상기 세탁조와 상기 캐비닛이 설치된 설치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확보하도록 세탁조 하부에 배치되며, 저면이 상기 캐비닛의 저면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물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체가 구비되는 공간과 세척조 사이를 구획하는 상부베이스;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과 캐비닛의 저면을 이루는 하부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이동체가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서로 결합된 막대로 이루어진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를 하우징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양측면의 중앙부 보다 아래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와 상기 하우징 내측면의 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캐비닛이 후면을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체결되는 볼트;
    상기 볼트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의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진동을 절연하며, 하우징과 터브와의 제작공차를 상쇄시켜주는 연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세탁조의 입구 위치를 소정 높이로 높여줄 수 있도록 상기 세탁조와 상기 하부 베이스 사이를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측면 및 후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하부베이스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측에는 상기 세탁조를 지지하는 댐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측에는 상기 댐퍼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베이스 상면의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세탁조를 지지하는 댐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070048044A 2007-05-17 2007-05-17 세탁물 처리장치 KR10144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044A KR101443606B1 (ko) 2007-05-17 2007-05-17 세탁물 처리장치
EP09015496.4A EP2189566B1 (en) 2007-05-17 2008-05-16 Laundry treating machine
PCT/KR2008/002725 WO2008143427A2 (en) 2007-05-17 2008-05-16 Laundry treating machine
CN200880024924.8A CN102007243B (zh) 2007-05-17 2008-05-16 衣物处理机
EP08753521.7A EP2155947B1 (en) 2007-05-17 2008-05-16 Laundry treating machine
US12/122,044 US8136896B2 (en) 2007-05-17 2008-05-16 Laundry tre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044A KR101443606B1 (ko) 2007-05-17 2007-05-17 세탁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377A KR20080101377A (ko) 2008-11-21
KR101443606B1 true KR101443606B1 (ko) 2014-09-23

Family

ID=4028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044A KR101443606B1 (ko) 2007-05-17 2007-05-17 세탁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1962B (zh) * 2011-08-31 2017-05-10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3100A1 (en) * 2001-01-26 2002-08-21 CANDY S.p.A. Washing machine for household use with two compartments
KR20030031342A (ko) * 2001-10-15 2003-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세탁기
KR20050086205A (ko)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이 구비된 드럼 세탁기
EP1726703A1 (en) 2003-03-28 2006-11-29 Indesit Company s.p.a. A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in particular of the front loading type, with lower hou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3100A1 (en) * 2001-01-26 2002-08-21 CANDY S.p.A. Washing machine for household use with two compartments
KR20030031342A (ko) * 2001-10-15 2003-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세탁기
EP1726703A1 (en) 2003-03-28 2006-11-29 Indesit Company s.p.a. A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in particular of the front loading type, with lower housing
KR20050086205A (ko)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이 구비된 드럼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377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896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EP2063014B1 (en) Washing machine
EP2063013B1 (en) Washing machine
TWI484082B (zh) 洗衣機
US9267228B2 (en) Laundry treating device
US20050252253A1 (en) Drum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EP2155948B1 (en) Laundry machine
US20090139273A1 (en) Laundry machine
US20090139275A1 (en) Laundry machine
US8028548B2 (en) Laundry machine with height increasing member and drainage filter servicing section
KR101443606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396970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와 세탁물 처리 장치용 키높이 부재
KR101387483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세탁물 처리 장치를 위한 장식용프론트 커버
KR101443607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KR101467749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KR10142200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43579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80101375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52696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35649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80101381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80101398A (ko) 세탁물 처리 장치
KR20110009916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