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270B1 -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270B1
KR101443270B1 KR1020080032393A KR20080032393A KR101443270B1 KR 101443270 B1 KR101443270 B1 KR 101443270B1 KR 1020080032393 A KR1020080032393 A KR 1020080032393A KR 20080032393 A KR20080032393 A KR 20080032393A KR 101443270 B1 KR101443270 B1 KR 101443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legacy
relay
base st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6960A (ko
Inventor
강현정
타오리 라케쉬
장영빈
손중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270B1/ko
Priority to EP09730558.5A priority patent/EP2263329B1/en
Priority to CN2009801116750A priority patent/CN101981828B/zh
Priority to US12/419,746 priority patent/US8948075B2/en
Priority to PCT/KR2009/001790 priority patent/WO2009125965A1/en
Publication of KR2009010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08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2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하향링크/상향링크 프레임은,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레거시 엑세스존과 레거시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릴레이존과 뉴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뉴존을 포함한다. 그리고 중계국의 하향링크/상향링크 프레임은,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레거시 엑세스존과 뉴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레거시 릴레이존을 포함한다. 이때, 중계국의 하향링크/상향링크 프레임 중,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의 뉴존에 대응하는 영역은 레거시 엑세스존으로 사용하거나, 아이들존(널존)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하향링크/상향링크 프레임중, 레거시존과 뉴존은 시간분할 방식 혹은 주파수분할 방식으로 분할될 수 있다.
릴레이 통신 시스템, 공존 모드, 프레임 구조

Description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IFFERENT SYSTEMS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은 약 100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oS : Quality of Service)의 서비스들을 제공하기를 원한다. 특히, 4G 통신 시스템은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 Local Area Network)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AN : Metropolitan Area Network)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 : BWA)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과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d 통신 시스템 및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d 통신 시스템 및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위해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고정된 기지국과 단말(MS : Mobile Station)간에 직접 링크를 통해 시그널링 송수신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기지국과 단말 간에 신뢰도가 높은 무선 통신 링크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IEEE 802.16e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무선망 구성에 있어서 유연성이 낮으며, 따라서 트래픽 분포나 통화 요구량 변화가 심한 무선 환경에서는 효율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정된 중계국(relay station) 혹은 이동성을 갖는 중계국 혹은 일반 단말을 이용하여 다중 홉 릴레이 형태의 데이터 전달 방식을 상기 IEEE802.16e 통신시스템과 같은 일반 셀룰라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은 통신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으며, 전체 무선망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셀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키고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기지국과 MS 간 채널 상태가 열악한 경우 상기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중계국을 설치하 여 상기 중계국을 통한 다중 홉 릴레이 경로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상태가 보다 우수한 무선 채널을 상기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가 열악한 셀 경계 지역에서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있고, 셀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은 예를 들어 IEEE 802.16j 통신시스템이 될 수 있다.
도 1은 전형적인 IEEE 802.16j 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6 MR-BS : 16 Multi-hop Relay Base Station)은 자신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 있는 단말(16e MS)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계국(16j RS)의 중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릴레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하기 위해서는 기지국과 중계국 그리고 단말이 어느 시점에 데이터를 송수신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물리 프레임 구조가 정의되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의 하향링크 프레임(DL(Downlink) subframe) 및 상향링크 프레임(UL(Uplink) subframe)은 각각 엑세스존(Access Zone)과 릴레이존(Relay zone)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의 엑세스존에서는 기지국 또는 중계국이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하향링크의 릴레이존에서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향링크의 엑세스존에서는 단말이 기지국 또는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향링크의 릴레이 존에서는 중계국이 상기 단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 공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술한 도 1의 시스템은 기지국, 중계국 그리고 단말이 모두 동일한 무선시스템을 따를 경우에 가능하며, 만약 기지국, 중계국 그리고 단말 중 어느 하나라도 두 개 이상의 무선시스템을 따를 경우에는 상기 도 1에 따른 데이터 전송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은 규격 등을 변경하여 기존 시스템 대비 고속의 데이터를 서비스하거나 구현상 이슈를 해결하는 등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진화 과정에서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정도에 따라 다양한 시스템들이 동일한 지역 내에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6e 시스템(legacy 시스템)이 설치된 지역에 기존 시스템보다 진화된 새로운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새로운 시스템은 기존(legacy) 단말뿐 아니라 새로운 단말에게 모두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기존 시스템을 따르는 단말과 새로운 시스템을 따르는 단말이 공존하는 경우, 이 두 단말에게 모두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존 시스템을 따르는 단말과 새로운 시스템을 따르는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의 기지국을 통해 새로운 시스템의 단말 및 기존 시스템의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의 기지국이 기존 시스템의 중계국을 이용해서 기존 시스템의 단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의 기지국을 통해 새로운 시스템의 단말 및 기존 시스템의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기존 시스템의 중계국을 이용하여 기존 시스템의 단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하향링크 프레임내 레거시 엑세스존을 통해 레거시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내 레거시 릴레이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중계국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내 뉴존을 통해 상기 뉴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은, 시간분할 방식으로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레거시(legacy) 엑세스존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과, 상기 뉴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뉴(new)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프레임내 레거시 엑세스존을 통해 레거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내 레거시 릴레이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중계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내 뉴존을 통해 상기 뉴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은,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과, 상기 뉴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뉴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은, 시간분할 방식으로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레거시 엑세스존과, 레거시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레거시 릴레이존과, 뉴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뉴존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을 통해 송신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생성기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을 통해 송신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생성기와, 상기 뉴존을 통해 송신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생성기와, 상기 제1생성기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2생성기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중계국으로 송신하며, 상기 제3생성기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뉴존을 통해 상기 뉴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하향링크/상향링크 프레임은 각각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며, 제3존은 상기 뉴존에 대응되며, 상기 제3존은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존 혹은 아이들 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엑세스존과 뉴존은 시간분할 방식 혹은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엑세스존과 뉴존이 주파수분할 방식으로 분할되는 경우,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은 4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고, 제3존과 제4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뉴존에 대응되며, 상기 제3존은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존이고, 상기 제4존 아이들 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엑세스존과 뉴존이 주파수분할 방식으로 분할되는 경우,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고, 제3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뉴존에 대응되며, 상기 제3존은 아이들 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종 시스템의 엔터티들 모두에게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정의함으로써, 서로 다른 시스템을 따르는 단말들 모두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제안하기로 한다. 특히, 새로운 시스템의 기지국을 통해 새로운 시스템의 단말 및 기존 시스템의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기존 시스템의 중계국을 이용하여 기존 시스템의 단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제안한다.
여기서,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은 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이다.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은 OFDM/OFDMA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서브 캐리어(sub-carrier)들을 사용하여 물리 채널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고속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며, 다중셀(multi-cell) 구조를 통해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을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라 기반의 통신시스템이라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존 시스템을 따르는 단말을 "레거시 단말(legacy MS)"로 칭하고, 새로운 시스템을 따르는 단말을 "뉴 단말(new MS)"로 칭하며, 새로운 시스템을 따르는 기지국을 "뉴 기지국(new BS)"으로 칭하고, 기존 시스템을 따르는 중계국을 "레거시 중계국(legacy RS)"으로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레거시 단말은 IEEE 802.16e를 따르는 단말일 수 있고, 상기 뉴 단말은 IEEE 802.16m을 따르는 단말일 수 있으며, 상기 뉴 기지국은 IEEE 802.16m을 따르는 기지국일 수 있고,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IEEE 802.16j를 따르는 중계국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규격을 따르는 엔터티(entity)들이 공존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2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새로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레거시 단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레거시 중계국을 도입한 경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뉴 기지국(16m BS)과 뉴 단말(16m MS)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뉴 기지국(16m BS)은 상기 뉴 단말(16m MS) 및 레거시 단말(16e MS) 모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이 상기 뉴 기지국(16m BS)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의 데이터는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중계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뉴 기지국(16m BS)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통신이 허용되어야 한다.
상술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프레임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무선 시스템에 속한 엔터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기준으로 두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은 기존 무선시스템을 따르는 레거시 중계국(16j RS)과 기존 무선시스템을 따르는 레거시 단말(16e MS) 간의 통신 혹은 상기 기존 무선 시스템을 따르는 레거시 중계국(16j RS)과 상기 새로운 무선 시스템을 따르는 뉴 기지국(16m BS) 간의 통신 혹은 상기 새로운 시스템을 따르는 뉴 기지국(16m BS)과 상기 기존 시스템을 따르는 레거시 단말(16e MS)간의 통신을 위한 제1 구간(Legacy zone)과, 상기 새로운 무선 시스템을 따르는 뉴 기지국(16m BS)과 상기 새로운 무선 시스템을 따르는 뉴 단말(16m MS) 간의 통신을 위한 제2 구간(M zo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도 2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레임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단말과 레거시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뉴 기지국의 하향링크 프레임(DL subframe)을 살펴보면, 기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엔터티와 통신하는 구간인 레거시존(Legacy zone)(300)과 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엔터티(기지국과 동일한 규격을 사용하는 엔티티)와 통신하는 구간인 뉴존(M zone)(302)으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향링크의 레거시존(300)은 엑세스존(Access zone)(304)과 릴레이존(Relay zone)(306)으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뉴 기지국(16m BS)은 상기 엑세스존(304)을 통해 레거시 단말(16e MS)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존(306)을 통해 레거시 중계국(16j RS)으로 상기 단말(16e MS)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뉴 기지국(16m BS)은 상기 하향링크의 뉴존(302)을 통해 자신과 동일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따르는 뉴 단말(16m MS)에게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살펴보면, 레거시존으로만 구성되며, 상기 레거시존은 엑세스존(310,314)과 릴레이존(312)으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은 상기 엑세스존(310,314)을 통해 상기 기존 단말(16e MS)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존(312)을 통해 상기 뉴 기지국(16m BS)으로부터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에게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상기 뉴 기지국의 하향링크 프레임의 뉴존(302)과 동일한 구간(314)은 상기 레거서 중계국(16j RS)이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엑세스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하향링크 프레임은 상기 엑세스존과 릴레이존이 스위치되는 시점에 상기 레거시 중계국의 송수신을 전환하기 위한 갭(gap)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단말과 레거시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뉴 기지국(16m BS)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살펴보면 상기 도 3에서 설명된 기지국(16m BS)의 하향링크 프레임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하향링크 프레임을 살펴보면, 상기 도 3과 같이 레거시존으로만 구성되며, 상기 레거시존은 엑세스존(410)과 릴레이존(412)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여기서, 레거시 중계국(16j RS)은 상기 엑세스존(410)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존(412)을 통해 상기 뉴 기지국(16m BS)로부터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에게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도 3과 다른 점은, 상기 중계국(16j RS)의 하향링크 프레임 중, 상기 기지국(16m BS)의 하향링크 프레임의 뉴존(402)에 대응하는 구간을 아이들(idle) 구간으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즉,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은 상기 아이들 구간동안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다. 상기 중계국(16j RS)의 하향링크 프레임은 상기 엑세스존과 릴레이존이 스위치되는 시점에 상기 레거시 중계국의 송수신을 전환하기 위한 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단말과 레거시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뉴 기지국(16m BS)의 상향링크 프레임(UL subframe)을 살펴보면, 기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엔터티와 통신하는 구간인 레거시존(500)과 상기 뉴 기지국과 동일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엔터티와 통신하는 구간인 뉴존(502)으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상기 상향링크 레거시존(500)은 엑세스존(504)과 릴레이존(506)으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뉴 기지국(16m BS)은 상기 엑세스존(504)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릴레이존(506)을 통해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으로부터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의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단말(16e MS)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뉴 기지국(16m BS)은 상기 상향링크의 뉴존(502)을 통해 자신과 동일한 무선통신시스템을 따르는 뉴 단말(16m MS)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상향링크 프레임을 살펴보면, 레거시존으로만 구성되며 상기 레거시존은 엑세스존(510,514)과 릴레이존(512)으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은 상기 엑세스존(510,514)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릴레이존(512)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단말(16e MS)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뉴 기지국(16m BS)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뉴 기지국의 상향링크 프레임의 뉴존(502)과 동일한 구간은 상기 중계국(16j RS)이 상기 단말(16e MS)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엑세스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상향링크 프레임은 상기 엑세스존과 릴레이존이 스위치되는 시점에 상기 레거시 중계국의 송수신을 전환하기 위한 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단말과 레거시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뉴 기지국(16m BS)의 상향링크 프레임을 살펴보면, 상기 도 5에서 설명된 상기 뉴 기지국(16m BS)의 상향링크 프레임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상향링크 프레임을 살펴보면, 상기 도 5와 같이 레거시존으로만 구성되며, 상기 레거시존은 엑세스존(610)과 릴레이존(612)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은 상기 엑세스존(610)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릴레이존(612)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뉴 기지국(16m BS)로 전송한다. 상기 도 5와 다른 점은,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상향링크 프레임 중, 상기 뉴 기지국(16m BS)의 상향링크 프레임의 뉴존(602)에 대응하는 구간을 아이들 구간으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즉,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은 상기 아이들 구간동안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다.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상향링크 프레임은 상기 엑세스존과 릴레이존이 스위치되는 시점에 상기 레거시 중계국의 송수신을 전환하기 위한 갭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 내지 도 6의 상향링크 프레임은 시간영역의 자원을 나누어서 레거시존, 뉴존, 엑세스존, 릴레이존을 구성하는 경우이며, 이하 다른 실시예로 주파수영역의 자원을 나누어서 존을 구분하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단말과 레거시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뉴 기지국(16m BS)의 상향링크 프레임을 살펴보면, 상기 기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엔터티와 통신하는 구간인 레거시존(700)과 상기 뉴 기지국과 동일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엔터티와 통신하는 구간인 뉴존(702)으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거시존(700)과 뉴존(702)은 주파수 영역의 자원을 나누어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주파수 영역의 자원을 나눈다는 것은, 서브캐리어의 일부(a portion)를 레거시존 혹은 뉴존에 할당하거나, 서브캐리어의 전체(a bunch)를 레거시존 혹은 뉴존에 할당하거나, 일부 서브캐리어는 새로운 무선통신시스템을 따르는 단말에게 할당하고 일부는 기존 무선통신시스템을 따르는 단말에게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레거시존(700)은 엑세스존(704)과 릴레이존(706)으로 나누어서 구성되고, 상기 엑세스존(704)과 릴레이존(706)은 시간영역의 자원을 나누어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뉴 기지국(16m BS)은 상기 엑세스존(704)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릴레이 존(706)을 통해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으로부터 상기 단말(16e MS)의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단말(16e MS)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뉴 기지국(16m BS)은 상기 상향링크의 뉴존(702)을 통해 자신과 동일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따르는 뉴 단말(16m MS)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상향링크 프레임을 살펴보면, 레거시존으로만 구성되며 상기 레거시존은 엑세스존(710,714)과 릴레이존(712)으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엑세스존(710)과 상기 릴레이존(712)는 시간영역의 자원을 나누어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은 상기 엑세스존(710,714)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릴레이존(712)을 통해 상기 뉴 기지국(16m BS)으로 상기 단말(16e MS)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단말(16e MS)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뉴 기지국(16m BS)의 상향링크 프레임의 뉴존 구간(702)에 대응하는 존(714)은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이 상기 단말(16e MS)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엑세스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뉴 기지국(16m BS)의 상향링크 프레임의 뉴존(702) 구간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이 상기 뉴 기지국(16m BS)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712)이 동일한 시간영역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동일 자원영역은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이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엑세스존으로 사용될 수 없다. 즉, 상기 동일 자원영역은 널(null)존(716)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상향링크 프레임은 상기 엑세스존과 릴레이존이 스위치되는 시점에 상기 레거시 중계국의 송수신을 전환하기 위한 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단말과 레거시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뉴 기지국(16m BS)의 상향링크 프레임을 살펴보면, 상기 도 7에서 설명된 상기 기지국(16m BS)의 상향링크 프레임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상향링크 프레임을 살펴보면, 상기 도 7과 같이 레거시존으로만 구성되며 상기 레거시존은 엑세스존(810)과 릴레이존(812)으로 나누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엑세스존(810)과 상기 릴레이존(812)은 시간영역 자원을 나누어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은 상기 엑세스존(810)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16e MS)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릴레이존(812)을 통해 상기 뉴 기지국(16m BS)으로 레거시 단말(16e MS)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도 7과 다른 점은,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상향링크 프레임 중, 상기 뉴 기지국(16m BS)의 상향링크 프레임의 뉴존(802)에 대응하는 존을 아이들 존으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즉,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은 상기 아이들 존(814) 동안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다. 상기 레거시 중계국(16j RS)의 상향링크 프레임은 상기 엑세스존(810)과 릴레이존(812)이 스위치되는 시점에 상기 중계국의 송수신을 전환하기 위한 갭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새로운 시스템을 따르는 뉴 기지국과 뉴 단말 및 기존 시스템을 따르는 레거시 중계국과 레거시 단말이 공존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지국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프레임과 상기 중계국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있다. 상기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각 상향링크 프레임 구조와 각 하향링크 프레임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중계국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조합은 가능한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 상술한 프레임 구조에 근거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기지국의 하향링크 통신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통신기는 프레임 통신 제어기(900), 레거시(legacy) 엑세스존 송신데이터 생성기(902), 레거시 릴레이존 송신데이터 생성기(904), 뉴(new))존 송신데이터 생성기(906), 다중화기(908), 부반송파 매핑기(910),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기(912),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914) 및 RF(Radio Frequency)송신기(9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레거시 엑세스존 송신데이터 생성기(902)는 레거시 엑세스존을 통해 송신될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 송신데이터 생성기(902)는 레거시(legacy) 단말로 송신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한다. 레거시 릴레이존 송신데이터 생성기(904)는 레거시 릴레이존을 통해 송신될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 송신데이터 생성기(904)는 레거시 중계국으로 송 신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한다. 뉴존 송신데이터 생성기(906)는 뉴존을 통해 송신될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뉴존 송신데이터 생성기(906)는 뉴 단말로 송신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생성기들(902 내지 906) 각각은 해당 규격의 시그널링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예 : MAC처리부), 송신 패킷을 부호 및 변조하기 위한 부호 및 변조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프레임 통신 제어기(900)는 정해진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에 따라 하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중화기(908) 및 부반송파 매핑기(910)를 제어한다.
상기 다중화기(908)는 상기 제어기(900)의 제어하에 상기 생성기들(902 내지 906)의 출력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부반송파 매핑기(910)로 제공한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레거시 엑세스존일 경우, 상기 생성기(902)로부터의 송신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부반송파 매핑기(910)로 제공하고, 레거시 릴레이존일 경우 상기 생성기(904)로부터의 송신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부반송파 매핑기(910)로 제공하며, 뉴존일 경우 상기 생성기(906)로부터의 송신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부반송파 매핑기(91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 및 상기 뉴존은 상술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시간분할 방식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부반송파 매핑기(910)는 상기 다중화기(908)로부터의 송신데이터를 상기 제어기(900)의 제어하에 해당 규격(또는 존)의 퍼뮤테이션 방식(또는 부채널 할당 방식)에 따라 퍼뮤테이션하고, 상기 퍼뮤테이션된 데이터를 부반송파 매핑하여 출력한다.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기(912)는 상기 부반송파 매핑기(910)로부터의 부반송파 매핑된 데이터를 IFFT연산하여 샘플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IFFT연산기(912)는 샘플데이터에 보호구간(예 : Cyclic Prefix)을 삽입하여 OFDM심볼을 발생한다. DAC(914)는 상기 IFFT연산기(912)로부터의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RF송신기(916)는 상기 DAC(914)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RF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기지국의 상향링크 통신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링크 통신기는, 프레임통신 제어기(1000), RF수신기(1002),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004), FFT(Fast Fourier Transform)연산기(1006), 부반송파 디매핑기(1008), 역다중화기(1010), 레거시 엑세스존 수신데이터 해석기(1012), 레거시 릴레이존 수신데이터 해석기(1014), 뉴존 수신데이터 해석기(10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RF수신기(100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ADC(1004)는 상기 RF수신기(1002)로부터의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FFT연산기(1006)는 상기 ADC(1004)로부터의 샘플데이터에서 보호구간(예 : cyclic prefix)을 제거하고, 상기 보호구간이 제거된 샘플데이터를 FFT연산하여 출력한다.
프레임통신 제어기(1000)는 정해진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에 따라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할수 있도록 부반송파 디매핑기(1008) 및 역다중화기(1010)를 제어한다.
상기 부반송파 디매핑기(1008)는 상기 제어기(1000)의 제어하에 상기 FFT연산기(1006)로부터의 데이터를 존별로 구분하고, 각 존의 데이터를 해당 존의 퍼뮤테이션 방식에 따라 재배열하여 출력한다. 이때, 존은 도 5와 도 6과 같이 시간분할 방식으로 구분되거나, 도 7과 도 8과 같이 주파수분할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역다중화기(1010)는 상기 제어기(1000)의 제어하에 상기 부반송파 디매핑기(1008)로부터의 데이터 중 레거시 엑세스존 수신데이터를 선택하여 해석기(1012)로 제공하고, 레거시 릴레이존 수신데이터를 선택하여 해석기(1014)로 제공하며, 뉴존 수신데이터를 선택하여 해석기(1016)로 제공한다.
상기 해석기(1012)는 상기 역다중화기(1010)로부터의 레거시 엑세스존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데이터를 해석한다. 즉,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 수신데이터 해석기(1012)는 레거시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해석한다. 상기 해석기(1014)는 상기 역다중화기(1010)로부터의 레거시 릴레이존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데이터를 해석한다. 즉, 상기 해석기(1014)는 레거시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해석한다. 상기 해석기(1016)는 상기 역다중화기(1010)로부터의 뉴존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고, 상기 복호된 데이터를 해석한다. 즉, 상기 해석기(1016)는 새로운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해석한다. 여기서, 상기 해석기들(1012 내지 1016) 각각은 해당 규격의 시그널링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예 : MAC처리부), 수신 패킷을 복구하기 위한 복조 및 복호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국은 송신데이터 생성기(1100), 부반송파 매핑기(1102), IFFT연산기(1104), DAC(1106), RF송신기(1108), 듀플렉서(1110), RF수신기(1112), ADC(1114), FFT연산기(1116), 부반송파 디매핑기(1118), 수신데이터 해석기(1120), 버퍼(1122) 및 프레임통신 제어기(1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버퍼(1122)는 릴레이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임시 버퍼링한다. 예를 들어, 뉴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레거시 단말로 전송하기 전 임시 버퍼링할 수 있으며, 상기 레거시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뉴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전 임시 버퍼링할 수 있다.
송신데이터 생성기(1100)는 상기 버퍼(1122)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레거시 단말 혹은 뉴 기지국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데이터 생성기(1100)는 레거시 규격의 시그널링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 송신패킷을 부호 및 변조하기 위한 부호 및 변조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프레임 통신 제어기(1124)는 정해진 프레임 구조에 따라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부반송파 매핑기(1102), 부반송파 디매핑기(1118) 및 듀플렉서(1110)를 제어한다.
상기 부반송파 매핑기(1102)는 상기 송신데이터 생성기(1100)로부터의 송신데이터를 상기 제어기(1124)의 제어하에 해당 규격의 퍼뮤테이션 방식(또는 부채널 할당 방식)에 따라 퍼뮤테이션하고, 상기 퍼뮤테이션된 데이터를 부반송파 매핑하여 출력한다. 이때, 정해진 프레임 구조에 따라 상기 부반송파 매핑기(1102)는 전체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거나, 일부 주파수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통신일 경우 도 3과 도 4의 엑세스존 구간과 같이 전체 주파수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통신일 경우, 도 5와 도 6의 릴레이존 구간과 같이 전체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거나, 혹은 도 7과 도 8의 릴레이존 구간과 같이 일부 주파수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IFFT연산기(1104)는 상기 부반송파 매핑기(1102)로부터의 부반송파 매핑된 데이터를 IFFT연산하여 샘플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IFFT연산기(1104)는 샘플데이터에 보호구간(예 : Cyclic Prefix)을 삽입하여 OFDM심볼을 발생한다. DAC(1106)는 상기 IFFT연산기(1104)로부터의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RF송신기(1108)는 상기 DAC(1106)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RF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듀플렉서(1110)로 제공한다.
상기 듀플렉서(1110)는 RF송신기(1108)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RF수신기(1112)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듀플렉서(1110)는 상기 제어기(1124)의 제어하에 송수신 전환을 수행한다.
RF수신기(1112)는 상기 듀플렉서(1110)로부터의 RF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ADC(1114)는 상기 RF수신기(1112)로부터의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FFT연산기(1116)는 상기 ADC(1114)로부터의 샘플데이터에서 보호구간을 제거하고, 상기 보호구간이 제거된 샘플데이터를 FFT연산하여 출력한다.
상기 부반송파 디매핑기(1118)는 상기 제어기(1124)의 제어하에 상기 FFT연산기(1116)로부터의 데이터를 해당 규격의 퍼뮤테이션 방식에 따라 재배열하고, 복호를 원하는 수신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이때, 프레임 구조에 따라 상기 부반송파 디매핑기(1118)는 전체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거나, 일부 주파수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통신일 경우, 도 3과 도 4의 릴레이존과 같이 전체 주파수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통신일 경우, 도 5 내지 도 6의 엑세스존과 같이 전체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거나, 혹은 도 7 내지 도 8의 엑세스존과 같이 일부 주파수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수신데이터 해석기(1120)는 상기 부반송파 디매핑기(1118)로부터의 수신데이터를 복구하고, 상기 복구된 데이터를 릴레이 전송을 위해 상기 버퍼(1122)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데이터 해석기(1120)는 레거시 규격의 시그널링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 및 수신 패킷을 복구하기 위한 복조 및 복호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기지국의 하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도 12의 동작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레거시 엑세스존, 레거시 릴레이존 및 뉴존이 시간분할 방식으로 구분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뉴 기지국은 1201단계에서 하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하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면, 상기 뉴 기지국은 1203단계에서 레거시 엑세스존으로 존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레거시 엑세스존 하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송수신 전환, 퍼뮤테이션 설정 등)를 한다.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으로 스위칭 후, 상기 뉴 기지국은 1205단계에서 레거시 엑세스존 송신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송신데이터를 레거시 엑세스존에 매핑하여 레거시 단말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뉴 기지국은 1207단계에서 레거시 릴레이존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레거시 릴레이존 하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를 한다.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으로 스위칭 후, 상기 뉴 기지국은 1209단계로 진행하여 레거시 릴레이존 송신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송신데이터를 레거시 릴레이존에 매핑하여 레거시 중계국으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기지국은 1211단계로 진행하여 뉴존으로 존 스위칭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뉴존 하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를 수행한 후, 상기 기지국은 1213단계에서 뉴존 송신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송신데이터를 뉴존에 매핑하여 뉴 단말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뉴존 통신이 완료되면, 다음 하향링크 통신 시작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1201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기지국의 상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도 13의 동작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레거시 엑세스존, 레거시 릴레이존 및 뉴존이 시간분할 방식으로 구분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뉴 기지국은 1301단계에서 상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상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면, 상기 뉴 기지국은 1303단계로 진행하여 레거시 엑세스존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레거시 엑세스존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송수신 전환, 퍼뮤테이션 설정 등)를 한다.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으로 스위칭 후, 상기 뉴 기지국은 1305단계로 진행하여 레거시 엑세스존에서 레거시 단말로부터의 수신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를 통해 해석한다.
이후,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뉴 기지국은 1307단계에서 레거시 릴레이존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레거시 릴레이존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를 한다.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으로 스위칭 후, 상기 뉴 기지국은 1309단계로 진행하여 레거시 릴레이존에서 레거시 중계국으로부터의 수신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를 통해 해석한다.
이후,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뉴 기지국은 1311단계로 진행하여 뉴존으로 존 스위칭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뉴존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를 수행한 후, 상기 뉴 기지국은 1213단계로 진행하여 뉴존에서 뉴 단말로부터의 수신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를 통해 해석한 다. 이후, 상기 뉴존 통신이 완료되면, 다음 상향링크 통신 시작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1301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기지국의 상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도 14의 동작은, 도 7과 도 8과 같이 레거시존과 뉴존이 주파수분할 방식으로 구분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뉴 기지국은 1401단계에서 상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상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면, 상기 뉴 기지국은 1403단계로 진행하여 수신신호를 주파수분할 방식에 따라 레거시존 신호와 뉴존 신호로 분리한다. 이후, 상기 분리된 레거시존 신호와 뉴존 신호를 각각 처리한다.
먼저, 레거시존 신호 처리를 살펴보면, 상기 뉴 기지국은 1405단계에서 엑세스존으로 스위칭한다. 즉, 레거시 엑세스존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송수신 전환, 퍼뮤테이션 설정 등)를 한다.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으로 스위칭 후, 상기 뉴 기지국은 1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분리된 레거시존 신호에서 엑세스존 수신데이터(레거시 단말로부터의 수신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를 통해 해석한다.
이후,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뉴 기지국은 1409단계에서 레거시 릴레이존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레거시 릴레이존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를 한다.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으로 스위칭 후, 상기 뉴 기지국은 1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분리된 레거시존 신호에서 릴레이존 수신데이터(레거시 중계국으로부터의 수신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를 통해 해석한다. 이후,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 통신이 완료되면, 다음 상향링크 통신 시작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1401단계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뉴존 신호 처리를 살펴보면, 상기 뉴 기지국은 1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분리된 뉴존 신호에서 뉴 단말로부터의 수신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를 통해 해석한다. 이후, 상기 뉴존 통신이 완료되면, 다음 상향링크 통신 시작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1401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레거시 중계국의 하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도 15의 동작은 도 3과 도 4와 같이 엑세스존과 릴레이존이 시간분할 방식으로 구분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레거시 중계국은 1501단계에서 하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하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면,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503단계에서 엑세스존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엑세스존 하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송수신 전환, 퍼뮤테이션 설정 등)를 한다. 상기 엑세스존으로 스위칭 후,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505단계에서 엑세스존 송신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송신데이터를 엑세스존에 매핑하여 레거시 단말로 릴레이 송신한다.
이후, 상기 엑세스존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507단계에서 릴레이존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릴레이존 하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를 한다. 상기 릴레이존으로 스위칭 후,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509단계로 진행하여 릴레이존에서 뉴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를 통해 해석한다.
이후, 상기 릴레이존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511단계로 진행하여 프레임 구조에 따라 엑세스존(도 3) 혹은 아이들존(도 4)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513단계에서 해당 존의 동작을 수행한 후, 다음 하향링크 통신 시작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1501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레거시 중계국의 상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도 16의 동작은 도 5와 도 6과 같이 엑세스존과 릴레이존이 시간분할 방식으로 구분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레거시 중계국은 1601단계에서 상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상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면,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603단계로 진행하여 엑세스존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엑세스존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송수신 전환, 퍼뮤테이션 설정 등)를 한다. 상기 엑세스존으로 스위칭후,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605단계로 진행하여 엑세스존에서 레거시 단말로부터의 수신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를 통해 해석한다.
이후, 상기 엑세스존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607단계에서 릴레이존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릴레이존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를 한다. 상기 릴레이존으로 스위칭 후,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609단계로 진행하여 릴레이존 송신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송신데이터를 릴레이존에 매핑하여 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릴레이존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611단계로 진행하여 프레임 구조에 따라 엑세스존(도 5) 혹은 아이들존(도 6)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613단계에서 해당 존의 동작을 수행한후, 다음 상향링크 통신 시작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1601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레거시 중계국의 상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도 17의 동작은 레거시 중계국이 도 7과 도 8과 같은 상향링크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레거시 중계국은 1701단계에서 상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상향링크 통신이 시작되면,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703단계로 진행하여 엑세스존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엑세스존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를 한다. 상기 엑세스존으로 스위칭한 후,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705단계로 진행하여 전체 주파수 영역(도 7) 혹은 일부 주파수 영역(도 8)의 수신신호로부터 엑세스존 수신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를 통해 해석한다.
이후, 상기 엑세스존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707단계로 진행하여 릴레이존으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릴레이존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준비를 한다. 상기 릴레이존으로 스위칭 후,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1709단계로 진행하여 릴레이존 송신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송신데이터를 일부 주파수 영역에 매핑하여 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릴레이존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레거시 중계국은 다음 상향링크 통신 시작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1701단계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뉴 기지국과 레거시 단말 사이에 레거시 중계국이 하나 존재하는 2홉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뉴 기지국과 레거시 단말 사이에 하나 이상의 레거시 중계국이 존재하는 다중홉 환경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IEEE 802.16j 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새로운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 시스템의 단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 시스템의 중계국을 도입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의 단말과 기존 시스템의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의 단말과 기존 시스템의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의 단말과 기존 시스템의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의 단말과 기존 시스템의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의 단말과 기존 시스템의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시스템의 단말과 기존 시스템의 단말 모두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기지국의 하향링크 통신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기지국의 상향링크 통신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기지국의 하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기지국의 상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뉴 기지국의 상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레거시 중계국의 하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레거시 중계국의 상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레거시 중계국의 상향링크 통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

Claims (41)

  1. 레거시(legacy) 시스템 및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내 레거시 엑세스존을 통해 상기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하지 아니하는 레거시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내 레거시 릴레이존을 통해 상기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하지 아니하는 레거시 중계국으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내 뉴(new)존을 통해 상기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하는 뉴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기 하향링크 프레임은,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과, 상기 뉴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뉴존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과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과 상기 뉴존은 시간분할 방식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3존은 상기 뉴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이, 상기 제1존 및 상기 제3존을 통해 레거시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이, 상기 제2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로 전송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며, 연이은 제3존은 아이들 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이, 상기 제1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이, 상기 제2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로 전송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이, 상기 제3존에서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제1존 및 상기 제2존 사이에 모드 전환을 위한 갭(gap)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레거시(legacy) 시스템 및 새로운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레거시 엑세스존을 통해 상기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하지 아니하는 레거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레거시 릴레이존을 통해 상기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하지 아니하는 레거시 중계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뉴(new)존을 통해 상기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하는 뉴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은,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과, 상기 뉴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뉴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 및 상기 뉴존은 시간분할 방식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3존은 상기 뉴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이, 상기 제1존 및 상기 제3존을 통해 레거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이, 상기 제2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며, 연이은 제3존은 아이들 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이, 상기 제1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이, 상기 제2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이, 상기 제3존에서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과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은 시간분할방식으로 분할되고,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과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을 포함하는 레거시존과 상기 뉴존은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은 4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고, 제3존과 제4존은 상기 뉴존에 대응되며, 상기 제3존은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존이고, 상기 제4존은 아이들 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고, 제3존은 상기 뉴존에 대응되며, 상기 제3존은 아이들 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레거시(legacy) 시스템 및 새로운 시스템을 수용하는 다중홉 릴레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은, 상기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하지 아니하는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레거시 엑세스존과, 상기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하지 아니하는 레거시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레거시 릴레이존과, 상기 새로운 시스템을 지원하는 뉴(new)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뉴존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과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과 상기 뉴존은 시간분할 방식으로 분할되며,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을 통해 송신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생성기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을 통해 송신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생성기와,
    상기 뉴존을 통해 송신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생성기와,
    상기 제1생성기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제2생성기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중계국으로 송신하며, 상기 제3생성기로부터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뉴존을 통해 상기 뉴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3존은 상기 뉴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하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며, 연이은 제3존은 아이들 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은,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과, 상기 레거시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과, 상기 뉴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뉴존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을 통해 상기 레거시 중계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뉴존을 통해 상기 뉴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부터의 수신된 상향링크 데이터 각각을 해당 규격에 따라 해석하는 해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 및 상기 뉴존은 시간분할 방식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3존은 상기 뉴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며, 연이은 제3존은 아이들 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과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은 시간분할방식으로 분할되고,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과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을 포함하는 레거시존과 상기 뉴존은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은 4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고, 제3존과 제4존은 상기 뉴존에 대응되며, 상기 제3존은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존이고, 상기 제4존 아이들 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레거시 중계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은 3개의 존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거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1존은 상기 기지국을 위한 상향링크 프레임내 상기 레거시 엑세스존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과 레거시 규격으로 통신하기 위한 제2존은 상기 레거시 릴레이존에 대응되고, 제3존은 상기 뉴존에 대응되며, 상기 제3존은 아이들 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KR1020080032393A 2008-04-07 2008-04-07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443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93A KR101443270B1 (ko) 2008-04-07 2008-04-07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
EP09730558.5A EP2263329B1 (en) 2008-04-07 2009-04-0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ifferent system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scheme
CN2009801116750A CN101981828B (zh) 2008-04-07 2009-04-07 在使用多跳中继方案的宽带无线通信系统中支持不同系统的装置和方法
US12/419,746 US8948075B2 (en) 2008-04-07 2009-04-0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ifferent system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scheme
PCT/KR2009/001790 WO2009125965A1 (en) 2008-04-07 2009-04-0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ifferent system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hop relay sche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93A KR101443270B1 (ko) 2008-04-07 2008-04-07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960A KR20090106960A (ko) 2009-10-12
KR101443270B1 true KR101443270B1 (ko) 2014-09-19

Family

ID=4113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393A KR101443270B1 (ko) 2008-04-07 2008-04-07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48075B2 (ko)
EP (1) EP2263329B1 (ko)
KR (1) KR101443270B1 (ko)
CN (1) CN101981828B (ko)
WO (1) WO2009125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5604B1 (en) * 2009-12-23 2013-12-10 Marvell International Ltd. WLAN module test system
WO2011102631A2 (en) * 2010-02-16 2011-08-25 Lg Electronics Inc. Relay nod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according to link operation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2195704B (zh) * 2010-03-19 2016-01-2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中继方法及相应的基站和中继设备
JP6546312B2 (ja) * 2018-03-27 2019-07-17 株式会社Nttドコモ ブロードキャスト配信情報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0232A1 (en) * 2006-03-03 2007-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173A (ko) * 2005-09-14 2007-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홉 릴레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중 링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55225B1 (ko) 2005-09-28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901373B1 (ko) 2005-10-11 2009-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연결식별자 관리 장치 및 방법
EP1848165A3 (en) * 2006-04-19 2011-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852797B2 (en) 2006-05-11 2010-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link zone inform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84756B1 (ko) * 2006-05-11 200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간링크 영역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08049028A1 (en) * 2006-10-17 2008-04-24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artitioning and framing communication signal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s
KR101481592B1 (ko) * 2008-04-04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를 통한 신호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0232A1 (en) * 2006-03-03 2007-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81828A (zh) 2011-02-23
EP2263329A1 (en) 2010-12-22
WO2009125965A1 (en) 2009-10-15
US20090252083A1 (en) 2009-10-08
EP2263329B1 (en) 2019-03-13
EP2263329A4 (en) 2014-08-20
US8948075B2 (en) 2015-02-03
CN101981828B (zh) 2013-08-14
KR20090106960A (ko) 2009-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383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이 구성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전송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48550B1 (ko)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제어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US92641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72419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인접 노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071330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link zone inform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18722A1 (en) Flexible ways to indicate downlink/uplink backhaul subframe configurations in a relay system
WO2017076351A1 (zh) 数据传送方法
KR10148103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길이의 사이클릭 프리픽스를수용하는 효율적인 프레임 구조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443270B1 (ko) 다중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
AU20072506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link zone inform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49986B1 (ko)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제어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542515B1 (ko)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20039847A (ko)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038651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통합 트래픽을 통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78194A (ko) 이종망간 다중화 운영 방법
KR20090106962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0994158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프레임 구조 지원장치 및 방법
KR2010002691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매크로 셀과 펨토 셀간 핸드오버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0974193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정보 해제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84756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간링크 영역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42519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프리앰블 변경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80037976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프레임 제어 메시지에 대한 인코딩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90026011A (ko)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으로 전용 억세스영역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