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686B1 -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686B1
KR101442686B1 KR1020120131531A KR20120131531A KR101442686B1 KR 101442686 B1 KR101442686 B1 KR 101442686B1 KR 1020120131531 A KR1020120131531 A KR 1020120131531A KR 20120131531 A KR20120131531 A KR 20120131531A KR 101442686 B1 KR101442686 B1 KR 101442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joint
support bar
support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4324A (en
Inventor
이원규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로시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로시, 김영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로시
Priority to KR1020120131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686B1/en
Publication of KR2014006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3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6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 치료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재활 치료기기는 바닥면에 수직하도록 위치하고 한 단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부를 구비하는 제1 지지봉, 상기 바닥면에 위치하고 경사진 면과 평면을 구비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상기 평면에 비스듬하게 고정되어 위치하는 봉으로, 상기 봉의 상부에 쿠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의 중간 부분에 안장부를 구비하는 제2 지지봉,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봉의 상부에 위치하고, 공회전하는 회전부에 손잡이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돌출부를 갖는 원판인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봉 및 상기 제2 지지봉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재활 치료대상 환자가 편안하고 효과에 효율적인 자세를 통해 재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having a monitor section positioned to be perpendicular to a floor surface and outputting an image at an end thereof, a slope surface having a sloped surface and a plane positioned on the floor surface, A second support rod having a cushion por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rod and having a saddle portion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od and a second support rod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rod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portion for idling through a handl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include at least one length adjuster. Therefore,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can be performed in a comfortable, effective and effective posture of the patient to be rehabilitated.

Description

재활 치료기기{APPARATUS FOR REHABILITATION}{APPARATUS FOR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환자의 재활을 도와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재활 치료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of a patient.

하체 마비로 인해 보행이 자유롭지 못한 환자들의 보행 재활 치료를 위하여, 하니스(harness)를 이용한 보행 재활 치료가 있다.There is a gait rehabilitation treatment using harness for gait rehabilitation of patients who are not free to walk because of lower body paralysis.

하니스는 패러글라이딩에서 오랫동안 비행할 때 앉아서 탈 수 있도록 만든 멜빵 의자 또는 마구(馬具)와 같은 벨트를 사람 몸에 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벨트 형태를 갖는 하니스(harness)는 보행 재활 치료 시 사용되는데, 환자가 몸에 하니스를 착용하여 환자의 체중을 분산시킴으로써 보행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harness is a device for attaching a belt, such as a suspenders chair or harness, to a person's body that allows them to sit and ride when flying in paragliding for a long time. Such a harness having a belt shape is used in the gait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the patient wears a harness on the body and disperses the weight of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 can practice walking.

그러나, 이와 같이 하니스를 이용한 보행 재활 치료는 보행이 불편한 환자의 몸에 하니스를 착용하는 데 불편하고, 하니스 착용을 돕는 데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gait rehabilitation treatment using the harnes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wear the harness on the body of a patient who is uncomfortable to walk, and a lot of manpower is needed to help wear the harness.

그리고, 환자가 하니스를 착용하였을 때 답답함을 호소하여 보행 재활 치료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patient wears a harness, he / she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eatment because of the frustration.

등록특허공보 10-0555990호Patent Registration No. 10-055599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활 치료 대상 환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재활 치료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habilitation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used by a patient to be rehabilitat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재활 치료 대상 환자가 보행 재활 치료를 수행하는 동안 재미를 느끼게 하기 위한 보행 재활 치료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it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for allowing a patient to be rehabilitated to feel fun while performing a gait rehabilitation treatment.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는 바닥면에 수직하도록 위치하고 한 단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부를 구비하는 제1 지지봉, 상기 바닥면에 위치하고 경사진 면과 평면을 구비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상기 평면에 비스듬하게 고정되어 위치하는 봉으로, 상기 봉의 상부에 쿠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의 중간 부분에 안장부를 구비하는 제2 지지봉,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봉의 상부에 위치하고, 공회전하는 회전부에 손잡이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돌출부를 갖는 원판인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봉 및 상기 제2 지지봉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이 조절부를 포함한다.A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which is position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has a monitor section for outputting an image at one end thereof, a slop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n inclined plane and a plane, A second support rod having a cushion por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rod and having a saddle portion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od, and a handle portion which is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rod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portion for idling through a handle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include at least one length adjuster.

상기 제2 지지봉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평면에 수직이 아닌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히 위치하고, 상기 소정의 각도는 90도를 초과하고 135도 이하로서, 상기 안장부는 상기 제2 지지봉에 수직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쿠션부 및 상기 안장부에 걸쳐 위치하는 사람이 어부바 자세를 가지게 된다.Wherein the second support bar is obliquely position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not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inclined plane, the predetermined angle is more than 90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the saddle portion is position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upport rod, The cushion portion and the person positioned over the safety lug have the body posture.

상기 쿠션부는 상부 일측에 제1 상부벨트 및 제2 상부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장부는 하부 일측에 벨트 결합부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벨트 및 제2 상부벨트에 각각 연결된 돌출부는 상기 벨트 결합부에 위치하는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상부벨트 및 상기 제2 상부벨트는 상기 하부벨트와 연결되어 결합되는 것이 좋다.The cushion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upper belt and a second upper belt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saddle por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lower belt connected to a belt engagement portion at a lower side, The protrus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elt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located in the belt engaging portions so that the first upper belt and the second upper belt are connected to the lower belt.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는 한 단부는 상기 안장부가 연결되는 상기 제2 지지봉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한 단부는 제1 관절에 연결되는 좌측 제1부, 한 단부는 상기 제1 관절에 연결되고 다른 한 단부는 제3 관절에 연결되는 좌측 제2부, 상기 제3관절에 연결되고 내부에 힘 감지 센서 및 동력원을 구비하는 제1 신발, 한 단부는 상기 안장부가 연결되는 상기 제2 지지봉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한 단부는 제2 관절에 연결되는 우측 제1부, 한 단부는 상기 제2 관절에 연결되고 다른 한 단부는 제4 관절에 연결되는 우측 제2부, 그리고 상기 제4관절에 연결되고 내부에 힘 감지 센서 및 동력원을 구비하는 제2 신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절 내지 상기 제4 관절은 힌지 조인트인 것이 좋다.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eft first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rod to which the saddle portion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A first shoe connected to the join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rd joint, a first shoe connected to the third joint and having a force sensing sensor and a power source therein, 2 support rod, the other end of the right side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the right second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ourth joint, And a second shoe connected to the fourth joint and having a force sensing sensor and a power source therein, wherein the first joint to the fourth joint are hinge joints.

상기 경사면은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발은 상기 제1 경로 위를 이동하고, 상기 제2 신발은 상기 제2 경로 위를 이동하는 것이 좋다.The inclined surfa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ath and a second path, wherein the first shoe moves on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shoe moves on the second path.

상기 제2 지지봉에 연결되어 위치하는 안장 받침부,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봉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안장 받침부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장 받침부를 지지하는 안장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장 받침부의 상면에 상기 안장부가 연결되는 것이 좋다.Further comprising: a saddle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bar, and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bar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saddle support portion, And the sadd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addle portion.

상기 회전부는 스프링 및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따라서 힘의 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고정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이 없을 때 상기 스프링이 구동되지 않도록 제 자리에 고정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가운데면에 수직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좋다.The rotating part further includes a spring and a fixing device, and the spring is driven in a direction of a force according to a force externally applied, and the fixing device is fixed in place so that the spring is not driven when there is no force externally applied And the projecting portion is position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middle surface of the handle.

상기 제1 신발 및 상기 제2 신발 내부에 위치하는 센서는 압력 감지 센서(force sensing registor) 또는 로드셀(Load cell)인 것이 좋다.The sensors located inside the first shoe and the second shoe may be a force sensing sensor or a load cell.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보행 치료 대상은 안장부 및 쿠션부에 의지하여 보행할 때와 유사한 기립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모니터부에 나오는 영상을 보며 재미있게 보행 재활 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재활 치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feature, the subject of the gait treatment can maintain a standing posture similar to that of walking on the basis of the seat and cushion part, and can enjoy the gait rehabilitation treatment while watching the image on the monitor part, .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재활 치료기기의 일부인 손잡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재활 치료기기의 일부인 관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재활 치료기기에서 관절부 및 장화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재활 치료기기에 따른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쿠션부 및 안장부에 연결된 벨트의 착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portion which is a part of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part which is a part of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joint part and the boar part i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shown in FIG.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shown in FIG. 4.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a cushion part and a belt connected to the seat par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First,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100)는 바닥판(8)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 지지봉(9), 바닥판(8)의 상면에 위치하며 바닥판(8)과 비스듬한 각도를 갖는 경사면(7), 경사면(7)의 상면에 위치하고 안장부(3)와 쿠션부(4), 그리고 손잡이부(6)와 연결되어 있는 제2 지지봉(1)을 구비한다. 1 and 2, a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9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a bottom plate 8, A slant surface 7 having an oblique angle with the bottom plate 8 and a second support member 7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nt surface 7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grip 3 and the cushion 4 and to the grip 6, (1).

바닥판(8)은 바닥 위에 위치하는 평면의 형상의 판으로, 바닥판(8)이 놓여지는 실제 바닥을 바라보지 않는 바닥판(8)의 한 면, 즉 바닥판(8)의 상면에는 제1 지지봉(9)과 경사면(7)이 위치한다.The bottom plate 8 is a plate in the form of a plane positioned on the floor and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8 that does not look at the actual bottom where the bottom plate 8 is placed, 1 The support bar 9 and the slope 7 are located.

제1 지지봉(9)은 봉 형상을 갖는 긴 봉으로서, 제1 지지대(92)를 통해 바닥판(8)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이 때, 제1 지지봉(9)이 제1 지지대(92)와 연결되지 않는 제1 지지봉(9)의 다른 한 단부에 모니터부(10)가 위치한다.The first support rod 9 is a long rod having a rod shape and is fixed to the bottom plate 8 vertically through the first support rod 92. At this time, the monitor 10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9 where the first support bar 9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92.

모니터부(10)는 재활 치료 시 치료 대상 환자가 시청할 수 있는 비디오 영상 등을 출력한다. 모니터부(10)가 출력하는 비디오 영상은 모니터부(1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영상일 수 있다.The monitor unit 10 outputs a video image or the like that can be watched by the patient to be treated i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The video image output by the monitor unit 10 may be an image stored in the monitor unit 10 or receiv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outside.

제1 지지봉 길이 조절부(91)는 제1 지지봉(9)에 위치하여 제1 지지봉(9)의 길이를 조절한다. 제1 지지봉 길이 조절부(91)의 조작을 통해 모니터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부(10)의 높이를 모니터부(10)를 바라보는 치료 대상 환자의 눈높이에 맞출 수 있다.The first support bar length adjuster 91 is positioned on the first support bar 9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bar 9. [ The height of the monitor unit 10 can be adjusted by operating the first support bar length adjusting unit 91. Therefore, the height of the monitor unit 10 can be adjusted to the eye level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which looks at the monitor unit 10.

바닥판(8)의 상면에 위치하는 경사면(7)은 평면 및 경사면을 갖는 구조로, 양 옆에 제1 옆면(71)과 제2 옆면(72)이 위치한다.The inclined plane 7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8 has a planar and an inclined plane, and the first side surface 71 and the second side surface 72 are located on both sides.

경사면(7)은 경사를 갖는 면과 바닥에 평행하는 평면을 갖고 있고, 바닥에 평행하는 평면에 봉 형상을 갖는 긴 막대인 제2 지지봉(1)이 위치한다. 이 때, 제2 지지봉(1)은 제2 지지대(15)를 통해 경사면(7)에 고정된다. 이 때, 제2 지지봉(1)은 경사면(7)에 비스듬한 각도로 고정된다.The slope 7 has a plane having a slope and a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and a second support rod 1, which is a long rod having a rod shape in a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is positioned.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bar (1) is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7) through the second support base (15).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bar 1 is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7 at an oblique angle.

여기서, 제2 지지봉(1)은 경사면(7)의 평면으로부터 수직이 아닌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지지봉(1)은 경사면(7)의 평면으로부터 90도를 초과하고 135도 이하의 각을 갖도록 위치한다.Here, the second support bar 1 is fixed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angle not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inclined surface 7. [ Preferably, the second support bar 1 is positioned to have an angle of more than 90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from the plane of the sloped surface 7.

제1 지지봉(9)의 길이 조절을 위해 제1 지지봉 길이 조절부(91)가 제1 지지봉(9)에 위치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2 지지봉(1)은 길이 조절을 위해 제2 지지봉 길이 조절부(11), 제3 지지봉 길이 조절부(12), 그리고 제4 지지봉 길이 조절부(13)를 구비한다.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bar 9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bar 9 such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bar 9 is positioned on the first support bar 9, A third support bar length adjuster 12, and a fourth support bar length adjuster 13.

안장 받침부(2)는 제2 지지봉(1)에 연결되어 위치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제2 지지봉(1)에서 제2 지지봉 길이 조절부(11) 및 제3 지지봉 길이 조절부(12) 사이에 위치한다. 안장 받침부(2)는 안장부(3)를 제2 지지봉(1)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 지지봉(1)에 연결된 안장 받침부(2)의 한 부분에 안장부(3)가 결합된다.The saddle support part 2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bar 1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second support bar 1 between the second support bar length adjustment part 11 and the third support bar length adjustment part 12 . The saddle support part 2 has a configuration for mounting the securement part 3 on the second support rod 1 and includes a support part 3 on a part of the saddle support part 2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rod 1 .

안장부(3)는 재활 치료기기(100)를 이용하는 재활 치료대상 환자가 걸터 앉기 위한 구조로 자전거에 구비되는 안장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안장부(3) 하단의 한 단부에는 제1 하단벨트(501), 제2 하단벨트(502), 및 벨트 결합부(500)가 연결된다.The backrest 3 may have the same shape as a saddle provided for a bicycle in a structure for seating a patient to be rehabilitated using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 The first lower end belt 501, the second lower end belt 502, and the belt engaging portion 500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wer end of the seat portion 3. [

벨트 결합부(500)는 제1 홈(511)과 제2 홈(512), 제3홈(513), 그리고 제4홈(514)를 구비한다. 제1 홈(511)은 추후 제1 상단벨트(601)의 제1 돌출부(611)와 결합되고, 제2 홈(512)는 추후 제2 상단벨트(602)의 제2 돌출부(612)와 결합되며, 제3홈(513)은 제3 상단벨트(701)의 제3 돌출부(711)와, 그리고 제4홈(514)는 제4 상단벨트(702)의 제4 돌출부(712)와 각각 결합된다. The belt engaging portion 500 includes a first groove 511 and a second groove 512, a third groove 513, and a fourth groove 514. The first groove 511 is later engaged with the first projection 611 of the first upper belt 601 and the second groove 512 is engaged with the second projection 612 of the second upper belt 602 The third groove 513 is engaged with the third projection 711 of the third upper belt 701 and the fourth groove 514 is coupled with the fourth projection 712 of the fourth upper belt 702, do.

여기서 각 홈(511, 512, 513, 514)들과 각 돌출부(611, 612, 711, 712)들의 결합은 안전벨트가 결합되는 것과 같은 원리로 서로 결합된다.Here, the joints of the respective grooves 511, 512, 513, and 514 and the projections 611, 612, 711, and 712 are coupled to each other on the same principle as that of the seat belt.

이 때, 제2 지지봉(1)의 길이 조절을 위해 위치하는 제2 지지봉 길이 조절부(11) 및 제3 지지봉 길이 조절부(1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2 지지봉 길이 조절부(11) 및 제3 지지봉 길이 조절부(12)를 참조하여 안장 받침부(2)의 위치를 설명하였으나, 안장 받침부(2)는 제2 지지봉 길이 조절부(11) 및 제3 지지봉 길이 조절부(12)의 위치에 상관 없이 재활 치료대상 환자가 걸터앉을 수 있을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bar length adjusting portion 11 and the third support bar length adjusting portion 12, which are positioned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bar 1, may be formed at positions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FIG. The position of the saddle support unit 2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support bar length adjuster 11 and the third support bar length adjuster 12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ient to be rehabilitated is located at a height enough to allow the user to sit o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regardless of the positions of the support bar length adjusting portion 11 and the third support bar length adjusting portion 12. [

그리고, 안장부 지지대(21)는 안장부(3) 및 안장 받침부(2)가 제2 지지봉(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안장 받침부(2)의 하부에 위치하여 안장부(3)를 지지한다.The backrest support 21 is positioned below the backrest support 2 so that the backrest 3 and the saddle support 2 are firmly fixed to the second support bar 1, .

쿠션부(4)는 제2 지지봉(1)의 일측에 제2 지지봉(1)과 연결되어 위치한다. 이 때, 쿠션부(4)가 제2 지지봉(1)에 연결되는 위치는 안장부(3)이 형성되는 방향과 동일하다. 즉, 제2 지지봉(1)의 동일한 한 측면에 쿠션부(4)와 안장부(3)가 위치하게 된다.  The cushion part (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rod (1) at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rod (1).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cushion portion 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bar 1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 portion 3 is formed. That is, the cushion portion 4 and the seat portion 3 are positioned on the same sid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rod 1.

예를 들어, 재활 치료 대상 환자가 안장부(3)에 걸터앉았을 때 환자의 가슴 부분이 쿠션부(4)에 닿을 수 있도록 안장부(3) 및 쿠션부(4)가 제2 지지봉(1)에 연결된다. 즉, 쿠션부(4)는 제2 지지봉(1)의 상부에 위치하고, 안장부(3)는 제2 지지봉(1)의 중간 부분 정도에 위치한다.For example, when the patient 3 to be rehabilitated is sitting on the nursing home 3, the nursing portion 3 and the cushioning portion 4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ing bar 1 so that the chest portion of the patient can touch the cushioning portion 4, Lt; / RTI > That is, the cushion portion 4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rod 1, and the secured portion 3 is located on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rod 1. [

여기서, 안장부(3)가 안장 받침부(2) 및 안장부 지지대(21)를 통해 제2 지지봉(1)에 연결되는 것과 같이, 쿠션부(4)는 제1 쿠션 연결부(41) 및 제2 쿠션 연결부(42)를 통해 제2 지지봉(1)에 연결된다. 그러나, 안장부(3) 및 쿠션부(4)는 본 발명과는 다른 형태로 제2 지지봉(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도구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The cushion portion 4 is connected to the first cushion connection portion 41 and the second support rod 1 in the same manner that the seat cushion portion 3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rod 1 through the saddle support portion 2 and the seat support portion 21,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rod 1 through the two-cushion connection portion 42. However, the retaining portion 3 and the cushion portion 4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rod 1 differently from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nection tool.

이와 같이, 쿠션부(4)와 안장부(3)가 제2 지지봉(1)에 위치함으로써 재활 치료대상 환자가 재활 치료기기(1)를 이용할 때 쿠션부(4) 및 안장부(3)에 체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Thus, when the subject to be rehabilitated is placed in the cushion part 4 and the backrest part 3 whe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1 is used, the cushion part 4 and the backrest part 3 are positioned on the second support bar 1, Weight can be dispersed.

이 때, 쿠션부(4)의 상부 일측에 제1 상단벨트(601)가 연결되고 쿠션부(4) 상부의 다른 일측에 제2 상단벨트(602)가 연결된다. 제1 상단벨트(601)의 단부는 제1 돌출부(611)를 구비하고, 제2 상단벨트(602)의 단부는 제2 돌출부(612)를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first upper belt 60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ushion part 4 and the second upper belt 602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ushion part 4. The end of the first upper belt 601 has a first projection 611 and the end of the second upper belt 602 has a second projection 612.

그리고, 쿠션부(4)의 하부 일측에 제3 상단벨트(701)가 연결되고 쿠션부(4)의 하부의 다른 일측에 제4 상단벨트(702)가 연결된다. 제3 상단벨트(701)의 단부는 제3 돌출부(711)를 구비하고, 제4 상단벨트(702)의 단부는 제4 돌출부(712)를 구비한다.A third upper belt 70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cushion part 4 and a fourth upper belt 702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cushion part 4. The end of the third upper belt 701 has a third projection 711 and the end of the fourth upper belt 702 has a fourth projection 712.

제1 돌출부(611), 제2 돌출부(612), 제3 돌출부(711), 그리고 제4 돌출부(714)는 버클 형태를 가지므로, 제1 하단벨트(501)에 연결되어 위치하는 벨트 결합부(500)의 제1 홈(511), 제2 홈(512), 제3홈(513), 또는 제4홈(514)에 각각 결합된다. 이로 인해, 쿠션부(4)에 연결된 제1 상단벨트(601), 제2 상단벨트(602), 제3 상단벨트(701), 및 제4 상단벨트(702)가 안장부(3)에 연결된 제1 하단벨트(501) 및 제2 하단벨트(502)에 각각 연결되므로, 쿠션부(4) 및 안장부(3) 사이에 위치하는 대상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611, the second protrusion 612, the third protrusion 711 and the fourth protrusion 714 have a buckle shape.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611, The second grooves 512, the third grooves 513, or the fourth grooves 514 of the first groove 511, the second groove 512, the third groove 513, or the fourth groove 514, respectively. This causes the first upper belt 601, the second upper belt 602, the third upper belt 701 and the fourth upper belt 702 connected to the cushion portion 4 to be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3 Since the first lower end belt 501 and the second lower end belt 50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bject positioned between the cushion portion 4 and the seat portion 3 can be fixed.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면, 제2 지지봉(1)의 상부에는 회전부(14)가 위치한다. 제2 지지봉(1)에 원형의 봉 형상을 갖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2 지지봉(1)에 연결되는 회전부(14)도 원형의 봉 형상을 갖고 있고, 제자리에서 공회전한다.1 and 2, the rotation part 14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bar 1. [ The rotation part 14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bar 1 has a circular rod shape like the second support rod 1 has a circular rod shape and idles in place.

회전부(14)는 스프링 및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스프링은 약간의 힘이 인가되면 힘의 방향으로 구동되고, 구동 된 상태에서 더 이상 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스프링의 힘으로 제 자리로 돌아온다.The rotating portion 14 is formed including a spring and a fixing device. The spring is driven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when a slight amount of force is applie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force of the spring when no further force is applied in the driven state.

고정 장치는 회전부(14)가 외부의 힘으로 인해 회전 운동을 하지 않을 때 제 자리에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The fastening device ensures that the rotary part 14 is fixed in place when it is not rotating due to external forces.

이와 같이 공회전하는 회전부(14)의 일측에는 손잡이 연결부(5)가 연결되고, 회전부(14)와 연결되지 않는 손잡이 연결부(5)의 한 단부는 손잡이부(6)가 연결된다. A knob connection part 5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part 14 which idles as described above and a knob part 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knob connection part 5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rotation part 14.

손잡이부(6)는 원판 형상을 갖고 있고, 손잡이부(6)의 가운데에 돌출부(61)가 위치한다. 돌출부(61)는 손잡이부(6)는 재활 치료대상 환자가 양손으로 돌출부(61)를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61)에 수직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rip portion 6 has a circular plate shape, and the projection portion 61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grip portion 6.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ortion 61 is formed so that the handle portion 6 protrudes perpendicularly to the handle portion 61 so that the patient to be rehabilitated can hold the protruding portion 61 with both hands.

그리고, 손잡이 길이 조절부(51)가 손잡이 연결부(5)에 위치하고, 손잡이 길이 조절부(51)를 조절하여 손잡이 연결부(5)의 길이를 조절한다. 따라서, 돌출부(61)를 잡는 주체인 재활 치료대상 환자의 팔 길이에 따라 돌출부(61)와 제2 지지봉(1)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The handle length adjusting portion 51 is located at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5 and the length of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5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handle length adjusting portion 51. [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61 and the second support bar 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rm length of the patient to be rehabilitated, which is the main body holding the protruding portion 61.

이 때, 회전부(14)를 통해 손잡이부(6)의 위치가 바뀌는 모습을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Here,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handle 6 is changed through the rotation part 1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잡이부(6)는 회전부(14)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있고, 회전부(14)는 제2 지지봉(1)에 연결되어 위치한다. 회전부(14)가 공회전함에 따라 회전부(14)에 연결된 손잡이부(6)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2, the handle portion 6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portion 14 and the rotation portion 1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rod 1. As shown in Fig. As the rotary unit 14 idles, the knob 6 connected to the rotary unit 14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재활 치료대상 환자가 손잡이부(6)의 돌출부(61)를 잡고 어느 한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손잡이 연결부(5)에 연결된 회전부(14)가 회전하게 되므로, 재활 치료대상 환자는 돌출부(61)의 위치를 이동시키며 척추 근육 또는 등 근육 강화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patient to be rehabilitated is gripped by the projection 61 of the handle 6 and rotated in either one direction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rotation part 14 connected to the knob connection part 5 is rotated, The subject patient moves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61 and can obtain the effect of the lumbar muscle or back muscle strengthening motion.

돌출부(61)에 아주 작은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회전부(14)가 공회전하게 되면 척추 근육 또는 등 근육 강화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므로, 재활 치료대상 환자가 돌출부(61)를 잡은 상태에서 운동 효과가 있을 정도의 힘을 한 방향으로 가했을 때 회전부(14)가 회전하도록 회전부(14)를 설계해야 한다.Even if a slight amount of force is applied to the protrusion 61,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spinal muscles or back muscles can not be expected if the rotating part 14 idles. Therefore, when the subject to be rehabilitated is holding the protrusion 61,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rotation unit 14 so that the rotation unit 14 rotates when the force is applied in one direction.

다음으로,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가 재활 치료기기(100)를 이용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먼저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가 안장부(3)에 걸터앉는다. 그리고, 쿠션부(4) 방향으로 엎드리면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의 가슴 부위가 쿠션부(4)에 닿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가 경사면(7)과 비스듬히 위치하는 제2 지지봉(1)에 기대는 것과 같이 위치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subject 110 using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100, first, the patient 110 to be rehabilitated is placed on the securement 3. When the patient lies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cushion part 4, the chest part of the patient 110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touches the cushion part 4. Therefore, as shown in FIG. 3, the patient 110 to be rehabilitated is positioned as it is leaning on the second support bar 1 located at an angle to the slope 7.

이와 같이,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가 안장부(3)에 걸터앉고 쿠션부(4)에 흉부를 기대게 되면 업히는 자세가 된다. 즉,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는 어부바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어부바 자세에서 보행 연습을 하게 되면 하니스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재활 치료를 하는 것에 비하여 운동 효과가 좋아지고,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가 편안한 자세로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Thus, when the patient 110 to be rehabilitated is placed on the backrest 3 and leans against the cushion part 4, the posture becomes a posture. That is, the patient 110 to undergo rehabilitation treatment takes a posture of the fisher. When exercising in such an abdubar posture, exercise effect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rehabilitation therapy using a tool such as harness, and the rehabilitated patient 110 can perform a rehabilitation exercise in a relaxed posture.

그리고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는 양 손으로 돌출부(61)를 잡고, 일정한 힘을 가하여 손잡이 연결부(5)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n, the rehabilitated patient 110 holds the protruding portion 61 with both hands and applies a constant force to move the handle connecting portion 5 in one direction.

이 때,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의 두 발은 경사면(7)에 닿게 된다. 여기서 재활 치료 대상 환자(110)의 신체 길이로 인해 환자(110)의 발이 경사면(7)에 닿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지지봉 길이 조절부(11)를 조절하여 제2 지지봉(1)의 길이를 줄인다. 따라서, 경사면(7)으로부터의 안장부(3)의 높이가 좀더 낮게 조절되어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의 발이 자연스럽게 경사면(7)에 닿도록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wo feet of the patient 110 to be rehabilitated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7. When the foot of the patient 110 does not touch the slope 7 due to the body length of the patient 110 to be rehabilitated,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bar 1 is reduced by adjusting the second support bar length adjuster 11 . Therefore, the height of the seat portion 3 from the inclined surface 7 can be adjusted to be lower so that the feet of the patient 110 to be rehabilitated can naturally contact the inclined surface 7.

반대로,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의 신체 길이로 인해 환자(110)의 발이 경사면(7)에 불편하게 닿는 경우에는 제2 지지봉 길이 조절부(110)를 조절하여 제2 지지봉(1)의 길이를 늘인다. 따라서, 경사면(7)으로부터 안장부(3)의 높이가 좀더 높게 조절되어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의 발이 자연스럽게 경사면(7)에 닿도록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eet of the patient 110 uncomfortably touch the slope 7 due to the body length of the patient 110 to be rehabilitated,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bar 1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econd support bar length adjuster 110, . Therefore, the height of the seat 3 can be adjusted from the inclined surface 7 to be higher so that the foot of the subject 110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naturally touches the inclined surface 7.

이와 같이 제2 지지봉(1)의 길이가 조절되어 안장부(3)에 걸터앉은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의 두 발이 자연스럽게 경사면(7)에 닿으면,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는 양 손으로 돌출부(61)를 잡은 상태에서 경사면(7) 위를 걷는 연습을 한다.When the two feet of the patient 110 to be rehabilitated and resting on the backrest 3 are adjusted to the inclined face 7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support rod 1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ser can walk on the sloped surface 7 while holding the projecting portion 61 with the user.

이 때, 보행 연습을 하는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는 전방의 모니터부(10)에 출력되는 영상을 보며 재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habilitated patient 110 performing the walking exercise can perform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while watching the image output to the monitor 10 in front.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를 돕는 사람은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의 등 뒤로 쿠션부(4) 및 안장부(3)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상단벨트(601), 제2 상단벨트(602), 제3 상단벨트(701), 제4 상단벨트(702), 제1 하단벨트(501), 제2 하단벨트(502), 및 벨트 결합부(500)를 결합함으로써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가 재활 치료기기(100), 즉 쿠션부(4) 및 안장부(3)에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8, a person who assists the patient 110 to be rehabilitated is placed in the back of the patient 110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the first upper belt (not shown) connected to the cushioning portion 4 and the backrest 3, The first upper belt 601, the second upper belt 602, the third upper belt 701, the fourth upper belt 702, the first lower belt 501, the second lower belt 502, So that the patient 110 to be rehabilitated can be positioned more stably i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that is, the cushion unit 4 and the seat 3.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먼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100a)는 바닥판(8a)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 지지봉(9a), 바닥판(8a)의 상면에 위치하며 바닥판(8a)과 비스듬한 각도를 갖는 경사면(7)a, 경사면(7a)의 상면에 위치하고 안장부(3a)와 쿠션부(4a), 손잡이부(6a)를 포함하는 제2 지지봉(1a), 좌측 제1부(201), 제1 관절(200), 및 좌측 제2부(202)를 통해 제2 지지봉(1a)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신발(210), 우측 제1부(301), 제2 관절(300), 및 우측 제2부(302)를 통해 제2 지지봉(1a)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신발(310), 그리고 경사면(7a)에 위치하는 제1 경로(701)와 제2 경로(702)를 구비한다.4,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9a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a bottom plate 8a, a second support bar 9b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8a, A sloped surface 7a having an oblique angle with the bottom plate 8a and a second support rod 7b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oped surface 7a and which includes the seat portion 3a and the cushion portion 4a, A first shoe 21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bar 1a through a left first part 201, a first joint 200 and a left second part 202, A second shoe 31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bar 1a via the first joint 301, the second joint 300 and the right second part 302, (701) and a second path (702).

도 4에 도시된 바닥판(8a), 제1 지지봉(9a), 경사면(7a), 안장부(3a), 쿠션부(4a), 손잡이부(6a), 그리고 제2 지지봉(1a)은 도 1을 참고로 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도 4를 통한 본 실시예에서는 위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의 구성들 중 도1과 동일한 구성들은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The bottom plate 8a, the first support bar 9a, the slope 7a, the seat portion 3a, the cushion portion 4a, the handle portion 6a, and the second support bar 1a shown in Fig. 1,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 elements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ough FIG. 4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도 4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재활 치료기기(100a)는 제1 신발(210)과 제2 신발(310), 경사면(7a)의 상면에 위치하고 제1 신발(210)이 직접 닿는 제1 경로(701), 그리고 경사면(7a)의 상면에 위치하고 제2 신발(310)이 직접 닿는 제2 경로(702)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hoe 210, a second shoe 310, a first shoe 21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ope 7a, A path 701 and a second path 702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7a and directly contacting the second shoe 310. [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하여 제2 지지봉(1)에 연결되는 제1 신발(2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 제1부(201)의 한 단부는 제2 지지봉(1)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지지봉(1)과 연결되지 않는 좌측 제1부(201)의 다른 한 단부는 제1 관절(200)에 연결된다.First, the first shoe 210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rod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As shown in Fig. 5, one end of the left first part 201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rod 1. As shown in Fig. The other end of the left first part 201,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rod 1, is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200.

제1 관절(200)은 자바라 옷걸이 등에 이용되어 복수의 막대를 핀으로 힌지 결합하는 것과 같은 구조로, 힌지 조인트(hinge joint) 형태를 갖는다. The first joint 200 has a hinge joint shape, such as a bellows hanger, and hinges a plurality of rods by a pin.

본 발명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제1 관절(200), 좌측 제1부(201), 그리고 좌측 제2부(202)는 제1 관절(200)을 중심으로 좌측 제1부(201)와 좌측 제2부(202)가 결합된다. 그리고, 수평 및 연직 이동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좌측 제1부(201) 또는 좌측 제2부(202)가 외부로부터 힘을 받는 경우 제1 관절(200)을 중심으로 자유로운 회전 구동을 한다.The first joint 200, the left first portion 201 and the left second portion 202,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on the left first portion 201 around the first joint 200, And the left second portion 202 are combined. When the first left portion 201 or the second left portion 202 receives a force from the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joints 200 and 200 rotate freely around the first joint 200 .

제1 관절(200)에 연결되지 않는 좌측 제2부(202)의 다른 한 단부는 제1 신발(210)과 제3 관절부(250)를 통해 연결된다. 제1 신발(210)은 신발의 형태를 갖고 있고, 신발 내부면에 센서 및 동력원을 가지며 제1 신발(210)의 바닥면은 경사판(7)에 형성된 제1 경로(701) 위를 이동한다.The other end of the left second part 202,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hoe 210 through the third joint part 250. The first shoe 210 has a shape of a shoe and has a sensor and a power sour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ho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hoe 210 moves on a first path 701 formed in the swash plate 7.

제1 신발(210) 내부의 센서는 제1 신발(210) 내부에 힘이 가해질 때 전방으로 전진하는 것과 같이 구동된다. 제1 신발(210) 내부의 센서가 힘을 감지하면 동력원은 전진하려는 동력을 작동하여 제1 신발(210)이 걷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sensor inside the first shoe 210 is driven as advancing forwar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hoe 210. [ When the sensor in the first shoe 210 senses a force, the power source operates the power to move forward so that the first shoe 210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walking.

제1 신발(210) 내부면에 구비되는 센서는 FSR(force sensing registor)로 제1 신발(210) 내부에 위치하는 재활 치료대상 환자의 발의 움직임, 즉 체중이동을 감지함으로써 보행 의도를 감지한다.The sensor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hoe 210 senses the walking intention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foot of the subject to be rehabilitated, that is, the weight shift, which is located inside the first shoe 210 by a force sensing regulator (FSR).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보행할 때 몸의 좌우로 체중 이동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오른 발이 전방으로 나갈 때는 왼발에 체중이 많이 실리게 되고, 반대로 왼발이 전방으로 나갈 때는 오른발에 체중이 많이 실리게 된다. 제1 신발(210) 및 제2 신발(310)의 내부면에 장착된 FSR 센서는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보행 시 발생하는 환자의 체중 값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환자의 보행 의도를 감지한다.More specifically, weight shift occurs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body when a person is walking. For example, when the right foot goes forward, the left foot gets a lot of we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ft foot goes forward, the right foot gets a lot of weight. The FSR sensor mount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shoe 210 and the second shoe 310 senses a change in the weight value of the patient caused by the walking using this principle, do.

그리고, 경사면(7)에 위치하고 제1 신발(210)이 닿는 제1 경로(701)는 제1 신발(210)이 경사면(7)에 형성된 경사진 면과 평면 위를 지나도록 제1 신발(21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path 701 which is located on the slope 7 and which the first shoe 210 touches is connected to the first shoe 210 such that the first shoe 210 passes over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slope 7, As shown in Fig.

여기서, 재활 치료대상 환자의 잔존 근육 정도에 따라 제1 신발(210)을 수동 또는 능동 조작 모드로 변경하여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활 치료대상 환자가 아주 낮은 수준의 보행만을 구현할 정도로 잔존 근육량이 적은 경우, 제1 신발(210)을 수동으로 구동한다.Here, the first shoe 210 can be changed to a manual or activ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remaining muscle of the patient to be rehabilitated. For example, if the patient to be rehabilitated has a small amount of residual muscle so that only a very low level of walking is achieved, the first shoe 210 is driven manually.

제1 신발(210)이 수동 조작 모드로 구동될 때는, 제1 신발(210) 내부에서 감지되는 힘에 관계 없이 동력원의 구동에 의해 제1 신발(210)이 자동으로 걷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된다. When the first shoe 210 is driven in the manual operation mode, the first shoe 210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that of the first shoe 210 by driving the power source regardless of the force sensed inside the first shoe 210 .

수동 모드에서는 제1 신발(210)이 자동으로 구동됨에 따라 제1 신발(210) 내부에 위치하는 재활 치료대상 환자의 발은 제1 신발(210)의 구동에 의해 수동적으로 움직이게 된다.In the manual mode, as the first shoe 210 is automatically driven, the feet of the patient to be rehabilitated within the first shoe 210 are manually moved by driving the first shoe 210.

예를 들어, 제1 신발(210) 내부의 센서는 보행하려는 방향 및 힘을 감지하고, 센서에서 감지된 보행 의도에 따라 동력원이 제1 신발(210)을 구동함으로써 제1 신발(210)이 걷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한다.For example, the sensor in the first shoe 210 senses the direction and force to walk, and the power source drives the first shoe 210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walking detected by the sensor,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이러한 수동 조작 모드는 재활 치료대상 환자의 보행 의도가 있는 작은 힘을 감지하고 동력원이 환자의 의도를 돕는(서포트, support) 방식으로 수행된다.This manual operation mode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small force having a walking intention of the patient to be rehabilitated is sensed and the power source supports the patient's intention.

다른 예로, 재활 치료대상 환자가 적정 수준의 보행을 구현할 정도의 잔존 근육량을 갖고 있는 경우, 제1 신발(210)을 능동으로 구동한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shoe 210 is actively driven when the subject to be rehabilitated has a residual muscle amount enough to realize an appropriate level of walking.

제1 신발(210)이 능동 조작 모드로 구동될 때는, 제1 신발(210)의 센서 및 동력원의 동작이 중지되고, 재활 치료대상 환자가 스스로 보행을 구현하도록 한다.When the first shoe 210 is driven in the active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of the sensor and the power source of the first shoe 210 is stopped, and the patient to be rehabilitated to implement the walking by himself.

수동모드 또는 능동모드 선택은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의 상태를 판단하는 의사가 적용하고, 모드 변경 조작을 위해 제1 신발(210) 및 제2 신발(310)에 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제1 신발(210) 및 제2 신발(310)의 조작 모드를 변경한다.The manual mode or the active mode selection is performed by the doctor who determines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110a to be rehabilitated and further includes a switch in the first shoe 210 and the second shoe 310 1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shoe 210 and the second shoe 310.

이와 같이 제1 신발(210)이 수동 또는 능동 조작모드로 동작될 때, 제1 신발(210)에 연결되어 위치하는 좌측 제2부(202)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제1 신발(210)의 위치 변동에 따라 좌측 제2부(202)의 위치가 변하는 것은 제1 신발(210)과 좌측 제2부(202)가 제3 관절(400)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이다.Thus, when the first shoe 210 is operated in the manual or active operation mode, the position of the left second portion 202 connected to the first shoe 210 is changed. The reason why the position of the left second part 202 ch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first shoe 210 is that the first shoe 210 and the left second part 202 are connected through the third joint 400 .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관절(400)은 좌측 제1부(201) 및 좌측 제2부(20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관절(200)과 같은 구성으로, 힌지 조인트 형태로 구성된다.6, the third joint 40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joint 200 located between the left first portion 201 and the left second portion 202,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inge joint do.

그리고 좌측 제2부(202)의 위치가 변동되면 좌측 제2부(202)와 제1 관절(200)을 통해 연결되는 좌측 제1부(201)도 위치가 변하게 된다. 즉, 제1 신발(210)의 위치 변동에 의해서, 제1 신발(210)에 연결된 좌측 제2부(202) 및 좌측 제1부(201)의 위치가 연쇄적으로 변하게 된다.When the position of the left second part 202 is changed, the left first part 201 connected to the left second part 202 through the first joint 200 also changes its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s of the left second portion 202 and the left first portion 201 connected to the first shoe 210 are changed in a chain by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first shoe 210.

이러한 연쇄적인 위치 변화로 인해서 좌측 제1부(201), 좌측 제2부(202), 그리고 제1신발(210)은 사람이 다리로 걷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Due to such a series of positional changes, the left first portion 201, the left second portion 202, and the first shoe 210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a person walking on a leg.

위에서 기재한 구성은 사람의 왼쪽 다리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제2 지지봉(1)에는 사람의 오른쪽 다리에 해당하는 우측 제1부(301), 우측 제2부(302), 그리고 제2 신발(310)이 각각 연결되어 위치한다.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corresponds to a left leg of a person. In the second support bar 1, a right first part 301, a right second part 302, and a second shoe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우측 제1부(301)와 우측 제2부(302)는 제4 관절(300)을 통해 결합되고, 제4 관절(300)은 제1 관절(200)과 같이 힌지 조인트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우측 제2부(302)와 제2 신발(310)은 제5관절(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The right first part 301 and the right second part 302 are coupled through a fourth joint 300 and the fourth joint 300 has a hinge joint shape like the first joint 200. The right second part 302 and the second shoe 310 are connected through a fifth joint (not shown).

우측 제1부(301), 우측 제2부(302) 및 제2 신발(310)은 위에서 설명한 좌측 제1부(201), 좌측 제2부(202) 및 제1 신발(210)과 위치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요소로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우측 제1부(301), 우측 제2부(302) 및 제2 신발(310)의 연결 관계 및 수행 동작에 대해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right side first part 301, the right side second part 302 and the second shoe 310 are located only on the left side first part 201, the left second part 202 and the first shoe 210 The same component plays the same role.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and the operation of the right first part 301, the right second part 302, and the second shoe 310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도 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기기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가 재활 치료기기(100a)를 이용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가 재활 치료기기(100a)에 안장부(3a) 및 쿠션부(4a)에 기대어 앉는 동작은 도 3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The patient 110a to be rehabilitated is placed i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100a with the safety part 3a and the cushion part 4a by using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100a, The resting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embodiment of Fig. 3 and is omitted.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가 재활 치료기기(100a)에 어부바 자세로 위치할 때 도 3을 통해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외부의 사람은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의 등을 따라 쿠션부(4a)에 연결된 제1 상부벨트(601a) 및 제2 상부벨트(602a)를 안장부(3a)에 연결된 제1 하부벨트(501a) 및 제2 하부벨트(502a)에 연결함으로써,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가 재활 치료기기(100a)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patient 110a to be rehabilitated is located i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100a in the patient's postu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outside person is placed on the cushioning portion 4a along the back of the patient 110a to be rehabilitated. By connecting the first upper belt 601a and the second upper belt 602a connected to the rehabilitation target patient 110a to the first lower belt 501a and the second lower belt 502a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3a, Can be stably positioned i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a.

그리고 나서, 재활 치료기기(100a)에 안정적으로 걸터앉은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는 왼쪽 발은 제1 신발(210)에, 오른쪽 발은 제2 신발(310) 내부에 넣는다. 이 때,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신발(210) 및 제2 신발(310)을 각각 양쪽 발에 신은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Then, the patient 110a for rehabilitation therapy sitting on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100a stably puts the left foot on the first shoe 210 and the right foot on the inside of the second shoe 310. At this time, the patient 110a to be rehabilitated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hoe 210 and the second shoe 310 are put on both feet,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제1 신발(210) 및 제2 신발(310)을 양쪽 발에 신은 상태에서,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는 걷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는 걷기 위해서 발에 힘을 주게 되고, 제1 신발(210) 또는 제2 신발(310)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센서가 이 힘을 감지한다.Thus, in a state where the first shoe 210 and the second shoe 310 are worn on both feet, the patient 110a to be rehabilitated performs a walking motion. At this time, the rehabilitated patient 110a applies force to the foot to be walked, and a sensor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hoe 210 or the second shoe 310 senses the force.

센서가 감지하는 힘은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의 보행 의지로 판단되고, 제1 신발(210) 또는 제2 신발(310) 내부에 위치하는 동력원(미도시)은 감지된 보행 의지에 따라 앞으로 전진하는 방향 또는 발을 뒤로 거둬들이는 방향으로 신발(210 또는 310)에 힘을 가한다. The force sensed by the sensor is determined as the will of the patient 110a to be rehabilitated and the power source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first shoe 210 or the second shoe 310 is moved forward And applies a force to the shoe 210 or 310 in a direction of forward movement or a direction of pulling back the foot.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의 잔존 근육량에 따라서 환자가 발에 가할 수 있는 힘이 차이가 있으므로, 제1 신발(210) 및 제2 신발(310)의 조작 모드를 수동 모드 또는 능동 모드로 구동하여 환자의 치료 정도에 맞는 재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force applied by the patient to the feet differs according to the amount of remaining muscle of the patient 110a to be rehabilitated,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shoe 210 and the second shoe 310 is driven in the passive mode or the active mode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patient's treatment.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의 보행 의지 및 수동 모드 또는 능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제1 신발(210)은 경사면(7a)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 경로(701) 위를 따라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재활 치료대상 환자(110a)의 보행 의지 및 수동 모드 또는 능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따라 제2 신발(310)은 경사면(7a)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2 경로(702) 위를 따라 이동한다.The first shoe 210 moves along the first path 701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oped surface 7a according to either the walking mode of the patient 110a to be rehabilitated or the mode of either the passive mode or the active mode . Similarly, the second shoe 310 is moved along the second path 702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oped surface 7a according to the mode of either the walking mode of the patient 110a to be rehabilitated and the active mode or the passive mode M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 : 제2 지지봉 2 : 안장 지지부
3 : 안장부 4 : 쿠션부
5 : 손잡이 연결부 6 : 손잡이부
7 : 경사면 8 : 바닥판
9 : 제1 지지봉 100 : 재활 치료기기
110 : 재활 치료대상 환자 200 : 제1 관절
210 : 제1 신발 300 : 제2 관절
310 : 제2 신발
1: second support rod 2: saddle support
3: not secured portion 4: cushion portion
5: Handle connection part 6: Handle part
7: slope 8: bottom plate
9: first support bar 100: rehabilitation treatment device
110: patient subject to rehabilitation 200: first joint
210: first shoe 300: second joint
310: Second shoe

Claims (8)

바닥면에 수직하도록 위치하고 한 단부에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부를 구비하는 제1 지지봉,
상기 바닥면에 위치하고 경사진 면과 평면을 구비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의 상기 평면에 비스듬하게 고정되어 위치하는 봉으로, 상기 봉의 상부에 쿠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봉의 중간 부분에 안장부를 구비하는 제2 지지봉,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봉의 상부에 위치하고, 공회전하는 회전부에 손잡이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돌출부를 갖는 원판인 손잡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봉 및 상기 제2 지지봉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재활 치료기기.
A first support bar having a monitor unit position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outputting an image at one end,
An inclined surfac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and a plane,
A second support bar having a cushion on the top of the rod and having a saddle portion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od,
Which is an original plate,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rod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unit which idles through a knob connection portion and has a protrusion,
Including the
Wherein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include at least one length adjuster.
제1항에서,
상기 제2 지지봉은 상기 경사면의 상기 평면에 대해 90도를 초과하고 135도 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히 위치하고,
상기 안장부는 상기 제2 지지봉에 수직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쿠션부 및 상기 안장부에 걸쳐 위치하는 사람이 어부바 자세를 가지게 되는 재활 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upport bar is positioned at an angle to the plane of the inclined surface with an angle greater than 90 degrees and less than 135 degrees,
Wherein the saddle portion is position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support bar so that a person positioned over the cushion portion and the secure portion has an earbud posture.
제1항에서,
상기 쿠션부는 상부 일측에 제1 상부벨트 및 제2 상부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장부는 하부 일측에 벨트 결합부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벨트 및 제2 상부벨트에 각각 연결된 돌출부는 상기 벨트 결합부에 위치하는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상부벨트 및 상기 제2 상부벨트는 상기 하부벨트와 연결되어 결합되는
재활 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ushion part further includes a first upper belt and a second upper belt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Wherein the saddle port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lower belt connected to a belt engagement portion at a lower side,
The protrus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belt and the second upper belt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located in the belt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upper belt and the second upper belt are connected to and joined to the lower belt
Rehabilitation treatment equipment.
제1항에서,
한 단부는 상기 안장부가 연결되는 상기 제2 지지봉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한 단부는 제1 관절에 연결되는 좌측 제1부,
한 단부는 상기 제1 관절에 연결되고 다른 한 단부는 제3 관절에 연결되는 좌측 제2부,
상기 제3관절에 연결되고 내부에 힘 감지 센서 및 동력원을 구비하는 제1 신발,
한 단부는 상기 안장부가 연결되는 상기 제2 지지봉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한 단부는 제2 관절에 연결되는 우측 제1부,
한 단부는 상기 제2 관절에 연결되고 다른 한 단부는 제4 관절에 연결되는 우측 제2부, 그리고
상기 제4관절에 연결되고 내부에 힘 감지 센서 및 동력원을 구비하는 제2 신발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절 내지 상기 제4 관절은 힌지 조인트인
재활 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rod to which the saddle portion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A left second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hird joint,
A first shoe connected to the third joint and having a force sensing sensor and a power source therein,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rod to which the saddle portion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A right second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ourth joint,
A second shoe connected to the fourth joint and having a force sensing sensor and a power source therein;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joint to the fourth joint are hinge joints
Rehabilitation treatment equipment.
제4항에서,
상기 경사면은
제1 경로 및 제2 경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발은 상기 제1 경로 위를 이동하고, 상기 제2 신발은 상기 제2 경로 위를 이동하는 재활 치료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clined surface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shoe moves on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shoe moves on the second path.
제1항에서,
상기 제2 지지봉에 연결되어 위치하는 안장 받침부,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봉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안장 받침부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장 받침부를 지지하는 안장부 지지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장 받침부의 상면에 상기 안장부가 연결되는
재활 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1,
A saddle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bar, and
A second support rod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rod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addle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saddle support portion,
Further comprising:
The sadd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addle-
Rehabilitation treatment equipment.
제1항에서,
상기 회전부는 스프링 및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따라서 힘의 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고정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이 없을 때 상기 스프링이 구동되지 않도록 제 자리에 고정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가운데면에 수직하도록 위치하는 재활 치료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part further includes a spring and a fixing device
The spring is driven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according to a force externally applied,
The securing device is fixed in place so that the spring is not driven when there is no force externally applied
And the projection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middle surface of the handle.
제4항에서,
상기 제1 신발 및 상기 제2 신발 내부에 위치하는 센서는 압력 감지 센서(force sensing registor) 또는 로드셀(Load cell)인 재활 치료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shoe and the sensor located inside the second shoe are a force sensing sensor or a load cell.
KR1020120131531A 2012-11-20 2012-11-20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KR1014426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531A KR101442686B1 (en) 2012-11-20 2012-11-20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531A KR101442686B1 (en) 2012-11-20 2012-11-20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324A KR20140064324A (en) 2014-05-28
KR101442686B1 true KR101442686B1 (en) 2014-09-26

Family

ID=5089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531A KR101442686B1 (en) 2012-11-20 2012-11-20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68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970A (en) * 2004-11-04 2006-05-10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Tendon-driven power assisting orthosis and control method its
KR100878358B1 (en) 2007-09-06 2009-01-15 김헌섭 A lower part of body undo treatment device
JP2010142550A (en) 2008-12-22 2010-07-01 Toyota Motor Corp Transfer suppor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012808B1 (en) 2010-05-25 2011-02-08 고갑옥 Multi remedial exercise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970A (en) * 2004-11-04 2006-05-10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Tendon-driven power assisting orthosis and control method its
KR100878358B1 (en) 2007-09-06 2009-01-15 김헌섭 A lower part of body undo treatment device
JP2010142550A (en) 2008-12-22 2010-07-01 Toyota Motor Corp Transfer suppor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012808B1 (en) 2010-05-25 2011-02-08 고갑옥 Multi remedial exercis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324A (en)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8653B2 (en) Wearable intelligent exoskeleton seat apparatus
US6220995B1 (en) Exerciser
JP4743557B2 (en) Lower limb function training device
JP5050211B2 (en) Crutches obtained biomechanically
US7789466B2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US6206807B1 (en) Ankle exercise device
US8876741B2 (en) Body weight support device
US20130274640A1 (en) Exercise and gait-training apparatus
KR102384665B1 (en) Seated treadmill and method of use
GB2567512A (en) Portable therapeutic strengthening apparatus using adjustable resistance
KR200438341Y1 (en) Foot support to having exercise function.
WO2009084560A1 (en) Powered exercise equipment for use in standing posture
KR101939582B1 (en) Support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runk of Human Body
US10493322B2 (en) Human hand-crawling apparatus
EP3532004B1 (en) Modular therapeutic vibration rehabilitation system
KR20140121371A (en) Wearable robot to assist muscular strength
US20120232442A1 (en) Gait training device
JP5777018B2 (en) Own weight tow chair
KR101442686B1 (e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JP5204102B2 (en) Position recognition device
US10507360B2 (en) Posture correction and weight balance apparatus
KR101982873B1 (en) Exercise appartus with prone position
Swann Good positioning: the importance of posture
KR20160095886A (en) Assistant harness for dispersion of weight installed Rehabilitation robot for walking
KR102527473B1 (en) An assistive device that supports the musculoskeletal system with adjustable leng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