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418B1 - 산화그래핀 및 요소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산화그래핀 및 요소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418B1
KR101442418B1 KR1020130070397A KR20130070397A KR101442418B1 KR 101442418 B1 KR101442418 B1 KR 101442418B1 KR 1020130070397 A KR1020130070397 A KR 1020130070397A KR 20130070397 A KR20130070397 A KR 20130070397A KR 101442418 B1 KR101442418 B1 KR 101442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ic acid
rna
oxidized graphene
urea
graphene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은
박준수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01B32/23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06Preparing nucleic acids for analysis, e.g.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그래핀을 표적 핵산과 접촉시켜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에 요소(urea)를 처리하여 핵산을 산화그래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소의 사용으로 인해 산화그래핀과 높은 결합력으로 결합된 핵산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세포 등에 존재하는 단일가닥 핵산을 저비용 고효율로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산화그래핀 및 요소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Method for Isolating Nucleic Acid Using Urea for Disorption of Nucleic Acid from Graphene Oxide}
본 발명은 산화그래핀 및 요소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 GO)은 탁월한 전자적, 열적, 그리고 역학적 성질을 가진 단일원자-두께 2D 탄소 나노소재인 그라핀의 수용성 형태의 화합물로, 흑연을 산화시켜 제조될 수 있는 경제적인 소재이다. 최근에는 약물전달, 생체감응장치 및 효소활성분석과 같은 생물학적 응용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화그래핀은 이중가닥 핵산에 비하여 단일가닥 핵산과 pi-stacking 상호작용과 수소결합에 의해 선택적인 결합을 하고 인접한 형광물질을 소광(quenching)하는 특성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최근, 산화그래핀에 결합된 핵산은 이에 상보적인 핵산 가닥을 추가하면 분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M. Wu, R. Kempaiah, P. J. Huang, V. Maheshwari and J. Liu, Langmuir, 2011, 27, 2731-2738.) 그러나, 산화그래핀과 핵산과의 상호작용에 대해 이의 특이적 결합을 바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00156호 참조), 단일가닥 핵산을 산화그래핀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어,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화그래핀에 결합된 핵산의 손쉬운 분리방법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산화그래핀을 표적 핵산과 접촉시켜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에 요소(urea)를 처리하여 핵산을 산화그래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소의 사용으로 인해 산화그래핀과 높은 결합력으로 결합된 핵산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세포 등에 존재하는 단일가닥 핵산을 저비용 고효율로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RNA 서열 및 형광 표지된 DNA 서열(a) 및 이의 전기영동 결과이다(b)
도 2는 GO로부터 DNA 및 RNA-DNA 복합체의 결합(a) 및 용액에 따른 분리(b)를 확인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요소를 변성제로 한 프로브 DNA의 분리로 인한 형광 회복을 검토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요소를 변성제로 한 F-DNA-RNA 부분 이중선의 분리로 인한 형광 회복을 검토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산화그래핀 코팅된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a)를 사용하여 이에서 RNA 분리능을 검토한 실험 결과(b)이다.
도 6은 실제 세포 용해물을 대상으로 RNA 분리능을 검토한 실험 결과이다.
본 발명은 산화그래핀을 표적 핵산과 접촉시켜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에 요소(urea)를 처리하여 핵산을 산화그래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산화그래핀과 결합된 핵산을 용이하게 고효율로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던 중, 요소(urea)를 이용하면 산화그래핀과 핵산간의 수소결합 형성을 방해함으로써 산화그래핀에 결합된 단일가닥 핵산을 분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산화그래핀을 코팅한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GO-coated Mesoporous Silica Nano particle, GO-MSN)를 이용하여 세포에서 추출한 단일가닥 핵산을 요소를 이용한 해리작용과 원심분리를 통해 성공적으로 분리 정제할 수 있음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은 단분자 두께(대략 1.1±0.3nm)의 단일층 시트 형태를 가진 산화흑연(graphite oxide)의 일종으로서, 산화된 흑연(graphite)을 염기수용액 내에 분산시켜 생성된 박편을 분리하여 종이 제조하는 것과 같이 누름으로써 제조되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산화그래핀은 공지된 방법[(a) W. S. Hummers and R. E. Offerman, J. Am. Chem. Soc., 1958, 80, 1339; (b) J. Lee, Y. K. Kim and D. H. Min, Anal. Chem., 2011, 83, 8906-8912.]에 의하여, 천연 흑연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또한 기제조된 시판품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그래핀은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표면에 코팅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는 산화그래핀의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여 향후 분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직경 50 내지 5000 nm 크기의 입자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화그래핀이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표면에 코팅된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이는 세포 용해물 등과 혼합되어 선택적으로 표적 핵산과 결합한 후, 원심분리 등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이후 분리된 핵산-산화그래핀-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복합체를 요소와 반응시켜 표적 핵산을 산화그래핀 표면에서 분리하여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핵산은 단일가닥 또는 단일가닥을 포함하는 이중가닥이며, 핵산의 단일가닥 부분과 산화그래핀이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한다. 산화그래핀의 6각형의 셀(cell)과 핵산의 염기 내 링 구조 간의 파이-스태킹 상호작용(pi-stacking interaction) 및 수소결합에 의하여 단일가닥 핵산과 강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데 반하여, 이중가닥 핵산은 음전하로 하전된 인산염 골격에 의하여 염기가 차폐되어 산화그래핀 표면 상에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없다.
핵산이 단일가닥을 포함하는 이중가닥인 경우, 이중가닥 부분이 단일가닥 부분보다 짧아, 단일가닥 부분이 충분히 산화그래핀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핵산은 단일가닥 말단에 형광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형광염료로부터 방출되는 형광방출량의 분석을 통해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의 형성 및 분리를 확인할 수 있다. 형광염료의 여기 상태로부터 그래핀의 파이(pi) 시스템으로 공명 에너지 전이가 일어나고 그 속도는 거리 의존적이므로, 산화그래핀은 근처의 유기 염료의 형광을 효과적으로 소광시킬 수 있다. 이때 형광염료로는 공지의 형광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예로서, FITC, FAM, HEXTM, NEDTM, ROXTM, Texas RedTM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핵산이 단일가닥을 포함하는 이중가닥인 경우, 이중가닥 부분이 단일가닥 부분보다 짧을 수 있으며, 이때 형광염료가 결합하는 부분은 이중가닥을 형성하는 짧은 단일가닥의 말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형광의 소광을 통해 결합이 확인된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는 요소의 처리 후 형광이 수복되는 바, 이를 통해 요소의 처리로 인해 산화그래핀에서 핵산이 분리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요소의 처리는 0.5 내지 20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M 의 요소를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에 1 내지 20분간 처리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후 원심분리를 통해 각 분획을 분리하여 핵산을 분리해 낼 수 있다. 상기 분리는 단시간에 고효율로 이루어지는 바,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세포 내 또는 여러가지 핵산 혼합 풀(pool)에 존재하는 단일가닥 핵산을 쉽고 용이하게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산화그래핀 기판 상의 단일가닥 핵산 결합 및 분리능 검토
1.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그래핀 옥사이드의 준비
플루오레신 이소시아네이트(FITC) 표지된 형광 20-mer DNA 프로브(5'-FITC-CAGGTCTTTTTCGGTCCGCA-3')는 Cosmo genetech(Seoul, Korea)로부터 구입하였다. 94mer RNA(도 1a 의 서열 참조) 는 50 mM Tris-HCl (pH 6.8), 15 mM MgCl2, 2 mM spermidine, 및 5 mM DTT를 포함하는 반응 버퍼에서 T7 R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하여 in vitro 전사로 합성되었다. 그래핀 옥사이드(GO) 또한 (a) W. S. Hummers and R. E. Offerman, J. Am. Chem. Soc., 1958, 80, 1339; (b) J. Lee, Y. K. Kim and D. H. Min, Anal. Chem., 2011, 83, 8906-8912. 에 개시된 바에 따라 준비되었다.
2. 전기영동 이동 분석
FITC 표지된 DNA(1 μM) 및 RNA (1, 5, 10 μM)은 95℃에서 5분간 반응하였고, 상온에서 1시간동안 식혔다. 반응 혼합물은 1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PAGE) 시스템에 로딩되었다(도 1b 참조). 프로브 DNA의 형광 이미지(녹색)는 UV 조사에 따라 획득되었고, RNA는 에티듐 브로마이드(주황색) 염색 후 UV 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상기 전기영동 이동 결과를 분석하면, F-DNA 는 적어도 5배의 추가 RNA가 존재해야 RNA와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GO 로부터 DNA RNA - DNA 복합체의 분리
형광 소광을 위한 최적의 GO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F-DNA를 다양한 농도의 GO 용액과 혼합하였고, 최소 5 μg/mL 의 GO가 0.1 mM F-DNA(FITC-DNA)의 형광 소광에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a 참조).
FITC 표지된 DNA(0.1 μM)을 GO(10μg/mL)와 반응 버퍼에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10분간 상온에서 배양하고, 다양한 용액(water, urea, DMSO, DMF,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톨루엔)을 DNA-GO 복합체에 가하고 추가로 10분간 배양하였다(도 2b 참조). FITC 형광은 여기 파장은 485 nm이며, 방출 파장은 535 nm로 하여 확인되었다. 형광 수복 정도를 나타낸 도 2b를 참조하면, 다양한 용액 중 오직 요소(urea)만이 GO표면에서 ssDNA를 분리하는 데 적합한 용액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용액도 수소결합을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요소의 쌍극자 모멘트가 다른 용액 중에 가장 크므로, 이로 인해 수소 결합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도 2b 참조). 톨루엔은 이의 벤젠 링 특성으로 인해 pi-pi 상호작용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형광 수복이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또한 비극성 용매(즉, n-헥산) 또한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는 단일가닥 핵산이 GO로부터 상호간에 형성된 수소결합이 요소에 의해 차단될 때 분리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후 DNA 또는 RNA-DNA 복합체의 GO로부터의 분리는 요소를 변성제로 하여 시도되었다. DNA 또는 DNA-RNA 복합체는 10μg/mL의 GO와 10분간 결합되었으며, 이후 GO-핵산 복합체는 4M의 요소로 10분간 처리되었다. 프로브 DNA의 분리로 인한 형광 회복은 spectro-uorophotometer (model RF-5301PC; Shimadzu Inc., Kyoto, Japan)를 사용하여 여기 파장을 485nm로, 방출 파장은 535 nm로 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0.1 μM의 FITC-표지된 ssDNA를 10μg/mL의 그래핀 옥사이드(GO)와 반응 버퍼에서 혼합시켰다. 혼합물을 10분간 상온에서 배양하고, 다양한 농도의 요소를 순차적으로 DNA-GO 복합체에 가하였다(도 3, 내삽도 참조). 10분 후, FITC 형광을 multilabel plate reader (VICTOR X3; PerkinElmer)로 측정하였다. 여기 파장은 485 nm이며, 방출 파장은 535 nm로 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535 nm 에서 F-DNA의 형광 방출은 GO의 기저 수준으로 소광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요소의 첨가로 인해, 형광이 수복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요소-의존적인 F-DNA의 GO로부터의 방출은 F-DNA-GO에 처리되는 요소의 농도에 따라 증가됨을 535nm에서 방출되는 형광의 증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내삽도 참조).
RNA와 GO간의 상호작용을 일부 이중선 DNA를 포함하는 F-DNA와 RNA를 대상으로 한 형광 방출 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고,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94-mer RNA 는 초기에 20-mer F-DNA와 결합하여 부분 이중선 구조를 형성하고, 10μg/mL 의 GO가 상기 결합된 F-DNA-RNA 혼합에 추가될 때, RNA의 단일가닥 부분이 GO와 결합한다. 형광 강도는 F-DNA가 RNA에 결합되어 있을 때 유지되나, GO의 추가로 인해 82%의 형광이 소광되는 결과를 보였다. 18%의 RNA-DNA 일부 이중선 결합으로 인한 형광은 소광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F-DNA와의 결합에 사용된 다량의 잔여 RNA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자유 RNA 분자는 GO 표면에 결합하여, F-DNA-RNA 부분 이중선과 GO 간의 결합을 경쟁적으로 저해한다. ssDNA에 대한 도 3의 결과와 유사하게, 4M의 요소가 처리되었을 때, F-DNA-RNA 부분 이중선과 GO와의 결합이 해리되어 소광된 형광이 수복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참조)
< 실시예 2> GO -코팅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를 사용한 단일가닥 핵산 분리능 검토
요소 처리로 인해 GO-결합된 RNA-DNA 복합체에서 확인되는 형광 수복이 F-DNA의 GO로부터의 분리로 인해 유발되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GO 결합된 RNA가 수소결합 저해제, 즉 요소의 처리로 인해 실제로 GO로부터 분리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GO-결합된 RNA와 결합되지 않은 RNA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하의 방법으로 GO-코팅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GO-MSN, 도 5a 참조).
1.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의 합성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MSN)은 이의 간단한 합성법, 구조적 안정성으로 인해 이상적인 코어 물질에 해당하는 바, RNA가 결합하는 GO의 지지체로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를 사용하였다.
우선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TAB, 5.3g)을 메탄올-물(800g, 50/50=w/w) 용액에 용해시켰다. 그 후, 1M NaOH (2.28 mL)를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교반하였다. 테트라메틸 오쏘실리케이트(TMOS, 1.3mL) 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를 하룻밤 동안 정치시키고, 원심분리 한 후, 여과하여 다량의 에탄올 및 물로 세척하였다. 가용 유기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CTAB-포함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100 mg)를 에탄올(10 mL)에 분산시키고, 이에 HCl(2 mL)를 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20시간동안 환류시키고, 상온에서 식힌 후, 여과하고 다량의 에탄올 및 물로 세척하였다.
2. 아민-기능화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의 제조
양이온 하전된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APTES, 0.5 mL)을 톨루엔(10 mL)에 분산된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100 mg)에 가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하룻밤 동안 환류시키고, 상온으로 식힌 후 원심분리하였다. 여과 및 에탄올로 세척 후 기능화된 실리카 하얀 가루를 얻었다.
3. GO - MSN 하이브리드 구조의 제조
GO 분산액(증류수 상에 0.1 mg/mL)에 메조포러스 실리카 나노입자(20 mg)을 가하고 초음파 처리하며 10분간 혼합하고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원심분리로 정제하고, 증류수로 5회 세척하였다. GO-MSN 하이브리드 구조는 증류수에 분산되었고, 이후의 실험에 사용되었다. 이의 SEM 및 TEM 사진을 도 5의 a에 나타내었다. GO-MSN의 사용으로 인해 RNA가 결합된 GO 자체의 분리가 어려웠던 단점을 극복하고, RNA-GO-MSN 입자 침전물 형태로 RNA 및 GO간의 결합을 파괴하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4. GO - MSN 에서 RNA 의 분리
94-mer RNA 1 μg을 in vitro 전사로 합성하였고, 이를 GO-MSN 1.0 mg/mL와 혼합하고 10분간 상온에서 배양하였다.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청액(Sup. 1) 에 존재하는 결합되지 않은 RNA를 제거하였다. 계속하여, 200 μL의 2차 증류수 또는 8M 요소를 펠렛에 가하고, 10분간 상온에서 추가 배양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Sup. 2) 를 펠렛(도 5b의 pellet*)에서 분리하였다. 각각의 분획을 8M 우레아를 포함하는 10% 변성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겔에서 분석하였다. RNA 밴드는 에티듐 브로마이드(주황색) 염색 후 UV 조사를 통해 시각화되었고, Gel-Pro analyzer software (Media Cybernetics, Bethesda, MD)를 사용하여 정량화되었다. 결과를 도 5의 b에 나타내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주입된 RNA의 70% 가 GO-MSN (1.0 mg/mL)에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결합된 RNA(~95%)는 8M 요소에 의해 GO-MSN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탈이온수는 GO-MSN으로부터 RNA를 분리시키는 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결과, 대부분의 RNA는 원심분리 후 GO-MSN과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3> GO - MSN 을 사용한 세포내 RNA 분리능 검토
마우스 프로-B 림프구 세포(Mouse pro-B lymphoid cell, BaF3)는 10% 우태혈청,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되었다. 총 RNA의 추출을 위해, 1ⅹ105 세포를 수득하고, 초음파 처리(Vibra-cell, Sonics & Materials Inc., Newtown, CT; 5초간 pulse 및 10초간 off, 20% amplitude로 3회)로 용해시켰다. RNA는 세포 용해물로부터 산화된 페놀(pH 4.5) 추출로 분리되었고, 이에 다양한 양의 GO-MSN을 가하였다. 상온에서 10분 배양 후, RNA-GO 복합체는 13,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를 통해 결합하지 않은 RNA(Sup. 1)로부터 분리되었다. 이후 200μL의 8M 요소를 펠렛에 가하여, 추가로 상온에서 10분간 배양하였고, 13,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를 통해 프리 RNA(Sup. 2)를 GO(pellet*)로부터 분리하여 각각의 분확을 10% 변성 요소-PAGE로 분석하였고 RNA는 에티듐 브로마이드 염색으로 시각화하였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GO-MSN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내에서 분리되는 RNA 양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O-MSN은 보다 짧은 RNA 분자와의 결합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방법은 miRNA와 같은 세포 내 존재하는 짧은 RNA의 분리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산화그래핀을 표적 핵산과 접촉시켜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에 요소(urea)를 처리하여 핵산을 산화그래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그래핀은 다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표면에 코팅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인,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은 단일가닥 또는 단일가닥을 포함하는 이중가닥이며, 핵산의 단일가닥 부분과 산화그래핀이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인,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단일가닥 말단에 형광염료를 포함하는 것인,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산-산화그래핀 복합체의 형성 및 분리는 표적 핵산의 말단에 포함된 형광염료로부터 방출되는 형광방출량의 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인,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KR1020130070397A 2013-06-19 2013-06-19 산화그래핀 및 요소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KR101442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397A KR101442418B1 (ko) 2013-06-19 2013-06-19 산화그래핀 및 요소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397A KR101442418B1 (ko) 2013-06-19 2013-06-19 산화그래핀 및 요소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418B1 true KR101442418B1 (ko) 2014-09-22

Family

ID=5176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397A KR101442418B1 (ko) 2013-06-19 2013-06-19 산화그래핀 및 요소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4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004B1 (ko) * 2016-11-10 2017-11-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그래핀으로 수식된 자성 비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CN108530952A (zh) * 2018-04-10 2018-09-14 宁波工程学院 一种石墨烯包覆白炭黑纳米复合材料的制备方法
WO2019011322A1 (en) * 2017-07-14 2019-01-17 Capitalbio Corporation SOLID STATE EXTRACTION MATERIAL AND USE THEREOF FOR ENRICHMENT AND DETECTION OF NUCLEIC ACID
CN111549023A (zh) * 2020-04-22 2020-08-18 杭州医学院 一种磁性纳米材料及其在提取人全血基因组dna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ephen Wakeland 등. Carbon. Vol. 48, No. 12, 페이지 3463-3470 (2010.) *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0156호(2012.01.02.)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004B1 (ko) * 2016-11-10 2017-11-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그래핀으로 수식된 자성 비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WO2019011322A1 (en) * 2017-07-14 2019-01-17 Capitalbio Corporation SOLID STATE EXTRACTION MATERIAL AND USE THEREOF FOR ENRICHMENT AND DETECTION OF NUCLEIC ACID
JP2020530764A (ja) * 2017-07-14 2020-10-29 キャピタルバイオ コーポレーションCapitalBio Corporation 固相抽出材及び核酸の濃縮・検出におけるその応用
CN108530952A (zh) * 2018-04-10 2018-09-14 宁波工程学院 一种石墨烯包覆白炭黑纳米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11549023A (zh) * 2020-04-22 2020-08-18 杭州医学院 一种磁性纳米材料及其在提取人全血基因组dna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k et al. Desorption of single-stranded nucleic acids from graphene oxide by disruption of hydrogen bonding
Tang et al. Duplex DNA/graphene oxide biointerface: from fundamental understanding to specific enzymatic effects
Wu et al. Aptamer-based detection of circulating targets for precision medicine
Cheng et al. Mesoporous silica containers and programmed catalytic hairpin assembly/hybridization chain reaction based electrochemical sensing platform for MicroRNA ultrasensitive detection with low background
Han et al. Stability of gold nanoparticle‐bound DNA toward bi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agents
Li et al. Nucleic acid detection using carbon nanoparticles as a fluorescent sensing platform
Nißler et al. Sensing with chirality-pure near-infrared fluorescent carbon nanotubes
Deng et al. Gold nanoparticles with asymmetric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colorimetric detection of DNA sequence
He et al. A graphene nanoprobe for rapid, sensitive, and multicolor fluorescent DNA analysis
Liu et al. A graphene-based biosensing platform based on the release of DNA probes and rolling circle amplification
KR101442418B1 (ko) 산화그래핀 및 요소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
Liu et al. Combination of π–π stacking and electrostatic repulsion between carboxylic carbon nanoparticles and fluorescent oligonucleotides for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thrombin
Ashtari et al. An efficient method for recovery of target ssDNA based on amino-modified silica-coated magnetic nanoparticles
Li et al. Carbon nanospheres for fluorescent biomolecular detection
Liu et al. Controllable oxidative DNA cleavage-dependent regulation of graphene/DNA interaction
Shi et al. Target-catalyzed self-growing spherical nucleic acid enzyme (SNAzyme) as a double amplifier for ultrasensitive chemiluminescence microRNA detection
Yuan et al. Aptamer-conjugated optical nanomaterials for bioanalysis
Zhang et al. Application of nanomaterials in isothermal nucleic acid amplification
Wang et al. Polyvalent DNA–graphene nanosheets “click” conjugates
Song et al. Magnetic graphitic nanocapsules for programmed DNA fishing and detection
Gao et al. Triple-helix molecular switch electrochemiluminescence nanoamplifier based on a S-doped Lu2O3/Ag2S pair for sensitive microRNA detection
Yao et al. Combing DNAzyme with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for detection of Pb (II) in water
Rahnama et al. Comparative study of three magnetic nano-particles (FeSO4, FeSO4/SiO2, FeSO4/SiO2/TiO2) in plasmid DNA extraction
KR20130124196A (ko) 핵산 검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핵산 검출 방법
Robertson et al. Discriminating a single nucleotide difference for enhanced miRNA detection using tunable graphene and oligonucleotide nano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