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821B1 - Holder for earring type earphone - Google Patents

Holder for earring type ear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821B1
KR101441821B1 KR20130092443A KR20130092443A KR101441821B1 KR 101441821 B1 KR101441821 B1 KR 101441821B1 KR 20130092443 A KR20130092443 A KR 20130092443A KR 20130092443 A KR20130092443 A KR 20130092443A KR 101441821 B1 KR101441821 B1 KR 101441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mounting
external head
spon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2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영현
서영임
Original Assignee
서영현
서영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현, 서영임 filed Critical 서영현
Priority to KR2013009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821B1/en
Priority to PCT/KR2014/007193 priority patent/WO201502038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8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7Hearing device specific tools used for storing or handling hearing devices or parts thereof, e.g. placement in the ear, replacement of cerumen barriers, repair, cleaning h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n earring type earphone. The holder for the earring typ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ing part to mount or hold a general earphone to enable a listener using the general earphone to use the general earphone as the earring type earphone at need. The holder for the earring type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head part, a support part, an earring part, a sponge part, a connection part which is combined with the support part, and the holding part which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external head part.

Description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Holder for earring type earphone}{Holder for earring type earphone}

본 발명은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이어폰을 탈부착하여 가능하게 하여 평상시에는 패션용으로 귓바퀴에 착용할 수 있고,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 등을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에 연결된 이어폰을 탑재 또는 거치시킨 상태에서 편안하게 음악 등을 청취할 수 있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type earphone-attac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type earphone-attaching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n earphone to be worn on the auricle as a fashion for a normal occas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capable of comfortably listening to music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an earphon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r mounted.

근래에 들어, 휴대폰과 MP3 플레이어 및 CD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이어폰 역시 다양한 형태로써 개발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demand for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MP3 players, and CD players has rapidly increased, and earphones for use in such portable terminals have also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소정길이를 갖는 신호선의 일단에 휴대용 전자제품과 연결되는 잭이 구비되고, 상기 신호선의 타단은 스피커가 설치되는 이어폰 본체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데, 최근에는 단순히 귀에 꽂아 사용하던 것에서 진보하여 귀에 걸어 사용하는 귀걸이형 이어폰이 제안된 바 있다.In general, the earphone has a jack connected to a portable electronic product at one end of a signal lin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other end of the signal line is connected to an earphone main body in which a speaker is installed. In recent years, An earphone type earphone for use in the ear has been proposed.

예컨대, 출원번호가 제2020010039105호이고 고안의 명칭이 귀걸이형 이어폰인 고안이나, 출원번호가 제2020020003819호이고 고안의 명칭이 귀걸이형 이어폰인 고안이나, 출원번호가 제2020000007659호이고 고안의 명칭이 귀걸이형 이어폰인 고안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귀걸이형 이어폰이 개시되고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application number is 2020010039105 and the name of the design is an earring type earphone, the application number is 2020020003819, the design name is an earring type earphone, the application number is 2020000007659, Earphone-type earphones having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as disclosed in, for example, Kobunshi, which is an earphone, are disclosed.

그런데, 일반적인 이어폰과 귀결이형 이어폰은 다음과 같은 장단점을 안고 있다. However, general earphone and earphone earphone have the following merits and demerits.

일반 이어폰의 경우 주변이 조용하거나 혼자만이 듣고 싶을 때에는 매우 유익한 도구이지만, 귓구멍에 이어폰을 삽입하여 음악 등을 청취하는 까닭에 3~4 시간 이상 계속 사용하는 경우 두통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과도하게 자주 사용하는 경우 소음성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In case of general earphone, it is a very useful tool when you want to listen quietly or alone, but because you listen to music by inserting earphone into ear hole, if you continue to use for 3 ~ 4 hours, you have side effects such as headach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noise-induced hearing loss may occur.

한편, 귀걸이형 이어폰의 경우 귀걸이부를 이용하여 귀에 대고 청취할 수 있는 구조(이어폰 스피커가 귓구멍에 직접 삽입되지 않는 구조)인 까닭에 두통이나 소음성 난청의 발생 가능성은 떨어진다는 장점은 있으나, 주변의 소음이 큰 경우 종종 볼륨을 키워서 청취하는 까닭에 주변 사람들에게 소음 피해를 주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earphone type earpho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sibility of headache or noise-induced hearing loss is reduced because of the structure (earphone speaker is not inserted directly into the ear canal) When the noise is large, it is often disadvantageous that the noise is harmed to the surrounding people because the volume is raised and heard.

출원번호: 제2020010039105호, 고안의 명칭: 귀걸이형 이어폰Application No.: No. 2020010039105, Title of Design: Earphone Earphone 출원번호: 제2020020003819호, 고안의 명칭: 귀걸이형 이어폰Application No.: No. 2020020003819, Title of Design: Earphone Earphone 출원번호: 제2020000007659호, 고안의 명칭: 귀걸이형 이어폰Application No.: No. 2020000007659, Title of Design: Earphone Earphon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일반 이어폰과 귀걸이형 이어폰의 단점을 해소하고 장점만을 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device which can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earphone and the earphone-type earphone and take advantage of the advantage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반 이어폰을 사용하는 청취자가 필요에 따라 일반 이어폰을 귀걸이형 이어폰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 이어폰의 탑재 또는 거치가 가능한 거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in which a listener using a general earphone is equipped with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or mounting a general earphone so that a general earphone can be used as an earphone-type earphone if necessary.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장치의 일 실시예는 소정 형상의 외장 헤드부와, 상기 외장 헤드부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부설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귀걸이부와, 상기 외장 헤드부에 대향하여 접하는 스폰지부와, 상기 스폰지부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부설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이어폰 거치를 위하여 상기 스폰지부와 맞닿는 상기 외장 헤드부의 내측부에는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을 상기 거치부에 안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폰지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외장 헤드부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구현된다.An earphone-type earphone-atta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hea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of the external head portion; a earr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portion of the outer head portion which abuts the sponge portion for mounting the earphone, wherein the earphon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outer head portion for contacting the sponge portion, The sponge portion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external head portion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s a central axis so that the sponge portion can be seated on or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소정 형상의 외장 헤드부와, 상기 외장 헤드부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부설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귀걸이부와, 상기 외장 헤드부에 대향하여 접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부설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이어폰 거치를 위하여 상기 커버부 맞닿는 상기 외장 헤드부의 내측부에는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의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출력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hea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support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of the external head portion, a pierc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outer head portion which abuts on the cover portion for mounting the earphone, wherein the cove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And a protrud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so that sound outputted from the earphone can be output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 형상의 테두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장 헤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nnular rim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portion, wherein the fastener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rim portion and has a shape insertable into a hole formed inside the external head portion .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에는 스피커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평상시에는 귀마개 대용 패션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1) Since 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peaker mounted thereon, it can be used as a fashion for an earplug replacement in normal times.

(2) 이어폰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귀에 삽입할 수 있는 일반 이어폰을 사용하다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귀가 아프거나 두통이 있는 경우 등에는 이어폰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의 거치부(140)에 안착시켜 사용함으로써 귀의 고막 등에 가해지는 사운드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 (2) In the case of using only the earphone, if the earphone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but the ear is sore due to long-time use or a headache is present, the earphone may be replaced with the earphone- So that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sound impact applied to the eardrum or the like of the ear.

(3) 본 발명의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는 외장 헤드부(130)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디자인함으로써 하나의 이어폰으로 다양한 귀걸이형 이어폰을 사용하는 효과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3) 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sign various designs of the external head unit 130, thereby enabling the effect of using various earphone-type earphones as one earphone, There is also an effect.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의 외관 사시도, 개방 사시도, 이어폰 안착 상태의 사시도 및 이어폰의 안착후 전체 외관 사이도이다.FIGS. 1 to 4 are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n open perspective view, a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mounted state, and an overall appearance view of 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arphone-type earphone mount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외관 사시도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는 전체적인 외형은 기존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귀걸이형 이어폰과 크게 다르지 않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arphone-type earphones of various types disclosed in the prior art.

즉,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내지 외형은 스폰지가 형성되어 있는 스폰지부(110)와, 스폰지부(110)와 대향하여 위치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되는 외장 헤드부(130)와, 외장 헤드부(130)의 일측에 부설되어 있는 지지부(150)와, 상기 지지부(1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귀걸이부(12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폰지부(110)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환형 형상의 테두리부(112)에 고정되며 이는 일반적인 귀걸이형 이어폰과 동일 유사한 구조이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That is, the overall appearance or appearance of the earphone type ear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onge portion 110 having a sponge, an external head portion 130 positioned opposite to the sponge portion 110 and designed in various shapes, A supporting part 15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xternal head part 130 and a piercing part 120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ing part 150. As shown in the figure, the sponge portion 110 is fixed to a ring-shaped rim portion 112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which is similar in structure to a general earphone-type earphone, and a further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의 스폰지부(110)를 오픈한 상태도이다. FIG. 2 is a state in which the sponge portion 110 of the earphone type earphone mounting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의 스폰지부(110)는 대략 원형 형상으로 귀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스폰지부(110)의 일측에는 지지부(150)의 일측과 연결되어 스폰지부(110)를 외장 헤드부(13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연결부(151: 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외장 헤드부(130)의 내축부에는 이어폰(도 3의 220 참조)을 탑재 또는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2, the sponge portion 110 of the earphone type ear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so as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ear, and a sponge portion 1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ponge portion 110, 3) capable of separating the sponge part 110 from the external head part 130 is formed on the external head part 130 and an earphone 220 (see FIG. 3) (See Fig. 1).

연결부(151)는 지지부(150)의 일측에 연결된 구조로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비사용 상태에서는 스폰지부(110)와 외장 헤드부(130)가 상호 맞닿아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연결부(1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스폰지부(110)를 외장 헤드부(130)로부터 소정 각도까지 이탈시킬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15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50. In a non-use state where the earphone is not used, the connection portion 151 can maintain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sponge portion 110 and the external head portion 130, The sponge portion 110 can be separated from the external head portion 130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51 as a center axis as shown in FIG.

여기서 소정 각도라 함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나 최소한의 각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220)을 거치부(140)에 편하게 거치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되는 각도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Here,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minimum angle is an angle that allows the earphone 220 to be easily mounted on the mount 140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환형 형상의 테두리부(112)의 내측 일측에는 돌기 형상의 체결부(114)가 형성되며 이는 외장 헤드부(130) 내측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32)에 삽입 가능하다. 체결부(114)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스폰지부(110)와 외장 헤드부(130)간의 고정 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어폰이 거치부(140)에 안착된 다음 체결부(114)를 구멍(132)에 삽입함으로써 스폰지부(110)와 외장 헤드부(130)가 상호 밀착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a protruding coupling part 114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annular rim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132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external head part 130 . The fastening part 114 is made of plastic or rubber and is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and enables fixing or separation between the sponge part 110 and the external head part 130. Particularly, the earphone has a function of making the sponge part 110 and the external head part 130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placing the earphone on the mounting part 140 and then inserting the fastening part 114 into the hole 132.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장치의 기본 구조를 전체적으로 요약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and 2, a general structure of 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장치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 내지 금속 재질의 외장 헤드부(130)와, 외장 헤드부(130)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부설되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지지부(150)와, 지지부(1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귀걸이부(151)와, 외장 헤드부(130)에 대향하여 접하며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성을 갖는 스폰지부(110)와, 스폰지부(110)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부설되어 지지부(150)에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연결부(151)와, 이어폰 거치를 위하여 스폰지부(110)와 맞닿는 외장 헤드부(130)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거치부(140)를 포함한다.The earphone-type earphone-atta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uter head part 130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metal such as plastic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 synthetic resin or meta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dge part of the outer head part 130 A sponge portion 110 having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and facing the external head portion 130; A connection part 151 formed on one side of the sponge part 110 and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 150 and a connecting part 151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external head part 130 contacting the sponge part 110 for mounting the earphone And a mounting portion 140 made of synthetic resin.

한편, 이어폰(220)을 거치부(140)에 안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스폰지부(110)는 연결부(1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외장 헤드부(130)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구현되는 것이 자연스럽다.The sponge part 1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40 so that the sponge part 110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external head part 130 with the connection part 151 as a central axis natural.

다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의 거치부(140)에 이어폰(220)을 거치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arphone 22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40 of the earphone type earphone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40)는 이어폰(220)을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어폰(220)과 연결된 이어폰 전선줄(210)을 삽입하거나 이탈시킬 수 있는 틈새 등이 형성될 수 있다.2 and 3, the mounting portion 140 has a structure that can seat the earphone 220 and includes a gap or the like capable of inserting or removing the earphone line 210 connected to the earphone 220 Can be formed.

참고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거치부(140)는 이어폰(220)을 안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 중 하나의 예시적인 경우에 불과하여 외장 헤드부(130)의 내측부에 이어폰의 형상에 대응하는 요철부 등을 형성하여 제작하는 것도 본 발명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에 당연히 포함된다. 2 and 3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of one of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seating the earphone 220, so that the inner part of the outer head part 130 has a shape of an earphone It is naturally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corresponding concavo-convex portion or the like.

도 4는 거치부(140)에 이어폰(220)이 안착된 상태에서 스폰지부(110)을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onge portion 110 is closed in a state where the earphone 220 is seated on the mounting portion 140. FIG.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폰지부(110)를 닫은 경우의 상태는 일반적인 귀걸이형 이어폰의 기본 구조과 사실상 대동소이함을 알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the state when the sponge part 110 is closed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basic structure of a general earphone earphone.

다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Next, 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는 환형 형상의 테두리부(112)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버부(180) 및 커버부(180)의 중앙부에 복수개의 구멍(190)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92)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기본적인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5 includes a cover 180 formed integrally with an annular rim 112 and a protrusion 180 having a plurality of holes 19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180 192 are form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asic structure thereof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s.

참고로, 테두리부(112)와 커버부(180)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현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rim portion 112 and the cover portion 18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rubber, plastic, or aluminum.

도 5에 도시된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에 있어서, 돌출부(192)의 형상은 거치부(140)에 안착된 이어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돌출부(192)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190)을 통하여 귀로 전달된다.5,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ortion 19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arphone that is seated on the mounting portion 140, 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earphone is formed on the protruding portion 192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190 formed.

따라서 도 5에서 제안하는 돌출부(192)의 형상은 또한 귀에 꽂을 수 있는 형상으로 그 외형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는 있으나 이러한 변형 또한 본 발명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Therefore, the shape of the projecting portion 192 proposed in FIG. 5 can also be variously changed in shape to be put on the ear, but such a modification is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to be prot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지금까지 설명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는 외장 헤드부(130)의 내측부에 일반 이어폰(220)을 필요에 따라 안착시킬 수 있는 거치부(140)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40 capable of placing a general earphone 220 on the inner side of the external head portion 130 Main technical idea.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에는 스피커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평상시에는 귀마개 대용 패션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1) Since 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peaker mounted thereon, it can be used as a fashion for an earplug replacement in normal times.

(2) 이어폰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귀에 삽입할 수 있는 일반 이어폰을 사용하다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귀가 아프거나 두통이 있는 경우 등에는 이어폰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의 거치부(140)에 안착시켜 사용함으로써 귀의 고막 등에 가해지는 사운드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 (2) In the case of using only the earphone, if the earphone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but the ear is sore due to long-time use or a headache is present, the earphone may be replaced with the earphone- So that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sound impact applied to the eardrum or the like of the ear.

(3) 본 발명의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는 외장 헤드부(130)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디자인함으로써 하나의 이어폰으로 다양한 귀걸이형 이어폰을 사용하는 효과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3) 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sign various designs of the external head unit 130, thereby enabling the effect of using various earphone-type earphones as one earphone, There is also an effect.

지금까지 설명한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는 일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변경 등은 가능하지만 주지 관용 기술의 단순한 대체 또는 변형 등이 있을지라도 외장 헤드부((130)의 내측부에 이어폰을 안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안착부 또는 거치부를 구현하는 모든 이어폰 거치 장치는 당연히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 The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device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even if there is a simple substitution or modification of the known technology, All earphone mounting devices implementing various types of mounting portions or mounts capable of seating earphones on the inner side are naturally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 스폰지부(110)의 외주면 일측에 부착된 연결부(151)를 지지부(150)의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하거나 고정된 구조로 부설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 개방 가능하게 하는 단순한 변형 등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잔자가 용이하게 대체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단순한 구조적 변경이 있을지라도 이어폰(220)을 선택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모든 형태의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내에서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한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151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nge portion 11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50, or may be a simple deformation And the like can be easily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y type of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electively seating the earphone 220, even if there is such a simple structural chang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10: 스폰지부
120: 귀걸이부
130: 외장 헤드부
140: 거치부
150: 지지부
151: 연결부
210: 이어폰 전선줄
220: 이어폰
110: sponge part
120: Earring section
130: external head part
140:
150: Support
151: Connection
210: Earphone line
220: earphone

Claims (5)

이어폰의 안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로서,
소정 형상의 외장 헤드부와,
상기 외장 헤드부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부설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귀걸이부와,
상기 외장 헤드부에 대향하여 접하는 스폰지부와,
상기 스폰지부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부설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이어폰 거치를 위하여 상기 스폰지부와 맞닿는 상기 외장 헤드부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거치부와,
상기 스폰지부를 안착하기 위한 환형 형상의 테두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장 헤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장치.
1. An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device for enabling seating and separation of earphones,
An external hea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support portion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of the external head portion,
A pierc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 sponge portion abutted against the external head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of the sponge portion and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A mounting portion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outer head portion abutting the sponge portion for mounting the earphone,
And an annular rim for receiving the sponge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im portion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side the external hea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을 상기 거치부에 안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폰지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외장 헤드부로부터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onge portion is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external head portion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s a center axis so that the earphone can be seated on or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삭제delete 이어폰의 안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로서,
소정 형상의 외장 헤드부와,
상기 외장 헤드부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부설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귀걸이부와,
상기 외장 헤드부에 대향하여 접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부 일측에 부설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이어폰 거치를 위하여 상기 커버부 맞닿는 상기 외장 헤드부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거치부와,
상기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환형 형상의 테두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의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출력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장 헤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장치.
1. An earphone-type earphone-mounting device for enabling seating and separation of earphones,
An external hea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support portion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of the external head portion,
A pierc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 cover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head portion so as to face the external head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and coupled to the supporting portion,
A mount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portion of the outer head portion abutting against the cover portion for mounting the earphone,
And an annular-shaped rim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portion
A protrusio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so that sound output from the earphone can be outputted,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im portion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side the external head portion.
삭제delete
KR20130092443A 2013-08-05 2013-08-05 Holder for earring type earphone KR1014418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2443A KR101441821B1 (en) 2013-08-05 2013-08-05 Holder for earring type earphone
PCT/KR2014/007193 WO2015020387A1 (en) 2013-08-05 2014-08-05 Earring-type earphone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2443A KR101441821B1 (en) 2013-08-05 2013-08-05 Holder for earring type ear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821B1 true KR101441821B1 (en) 2014-09-17

Family

ID=5176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2443A KR101441821B1 (en) 2013-08-05 2013-08-05 Holder for earring type earpho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1821B1 (en)
WO (1) WO201502038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884A (en) 2014-12-17 2016-06-27 박현빈 Double Heating-Sound Proofed Earplugs That can Connect Earphon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030Y1 (en) * 2002-02-19 2002-05-21 정영태 A combination hands free and earphone
KR200283124Y1 (en) * 2002-04-19 2002-07-26 박의봉 Ear phone
KR200423975Y1 (en) 2006-05-09 2006-08-14 백성곤 A winterized earplug
KR200430430Y1 (en) 2006-08-02 2006-11-13 백성곤 A winterized earplu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212A (en) * 2000-11-15 2001-02-05 강효동 Self-releasing/mounting earphone with strings for bow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030Y1 (en) * 2002-02-19 2002-05-21 정영태 A combination hands free and earphone
KR200283124Y1 (en) * 2002-04-19 2002-07-26 박의봉 Ear phone
KR200423975Y1 (en) 2006-05-09 2006-08-14 백성곤 A winterized earplug
KR200430430Y1 (en) 2006-08-02 2006-11-13 백성곤 A winterized earpl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884A (en) 2014-12-17 2016-06-27 박현빈 Double Heating-Sound Proofed Earplugs That can Connect Ear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0387A1 (en)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8872B2 (en) Headphone
US9736564B2 (en) Flexible earphone cover for earphones with sensors
US8180090B2 (en) Headset with exchangeable speaker
CN107113487B (en)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guiding device
AU2007326143B2 (en) Face plate, vibration speaker having face plat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WO2009116272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and listening device using same
US20120275635A1 (en) Earphone with mutually obliquely oriented sound holes
US20130177193A1 (en) Earbud or in-ear headphone clip
WO2006070229A2 (en) Earphone
US20070081688A1 (en) Earphone
KR102384246B1 (en) Eartips Having Wax Guards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Mass-Produced Efficiently
KR101535916B1 (en) Earpiece and earphone having sound filter
KR101441821B1 (en) Holder for earring type earphone
KR102020330B1 (en) Earphone assembly
EP3367696A1 (en) Flexible earphone cover for earphones with sensors
US20120002834A1 (en) Earbud Headset Positioning Device
KR20120001104U (en) Earphone with Ear Cover
KR101524764B1 (en) Holder for earring type earphone
JP3143081U (en) Glasses wearing earphone
CN216122820U (en) Earphone set
JPS644398B2 (en)
JPS6379500A (en) Earphone
TW202418820A (en) Bone conduction speaker unit
KR200371712Y1 (en) Insert Earphone
CN203775377U (en) Clip-on type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