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562B1 - Sterilized-water suppling device for dental use - Google Patents

Sterilized-water suppling device for dental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562B1
KR101441562B1 KR1020120006821A KR20120006821A KR101441562B1 KR 101441562 B1 KR101441562 B1 KR 101441562B1 KR 1020120006821 A KR1020120006821 A KR 1020120006821A KR 20120006821 A KR20120006821 A KR 20120006821A KR 101441562 B1 KR101441562 B1 KR 101441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andpiece
water supply
steriliz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85676A (en
Inventor
구자형
Original Assignee
(주) 덴토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덴토존 filed Critical (주) 덴토존
Publication of KR2012008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6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3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using pressurised tap-water, e.g. rin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connected to the main wat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6Treating water for medical or cosmetic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여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치과에 비치되어 있는 어느 유닛체어에라도 연결하여 살균수를 공급하 수 있는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는 케이스; 치과치료에 필요한 핸드피스들이 체결되는 핸드피스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핸드피스 커넥터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로 공급되는 물이 흐르도록 하는 관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 1유체관로를 갖는 커넥터 삽입부; 상기 커넥터 삽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 상기 살균부에서 만들어진 살균수가 핸드피스로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수 공급관; 및 상기 살균수 공급관의 끝단에 형성되고, 핸드피스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핸드피스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관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 2유체관로를 갖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carrying a sterilizing water by connecting to any unit chair provided at any time whenever necessary, .
A dental electrolytic 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 connector insertion portion coupled to a handpiece connector to which the handpieces necessary for dental treatment are fastened and having a first fluid conduit formed in the handpiece connector and corresponding to a tub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the handpiece flows;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inserting unit; A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sterilization water produced by the sterilizing unit to the handpiece; And a second fluid conduit formed at an end of 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pipe 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handpiece can be inserted, the second fluid conduit being formed in the handpiece and connected to a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handpiece, And a connector portion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Description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Sterilized-water suppling device for dental use}≪ Desc / Clms Page number 1 > Sterilized-water suppling device for dental use &

본 발명은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여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치과에 비치되어 있는 어느 유닛체어에라도 연결하여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는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capable of carrying a sterilizing water by connecting to any unit chair provided at any time whenever necessary, .

치과 치료시에는 일반적으로 핸드피스라는 장비를 사용하여 구강내부의 치료 및 치아의 치료를 하게 된다. 핸드피스는 버(bur)를 사용하여 치아를 다듬거나 절삭하는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치료를 위해 환자가 눕게 되는 유닛체어 가까이에 위치하는 핸드피스 거치대에 다양한 종류의 핸드피스들이 걸려 있고, 치과의사가 치료를 하는 도중 거치대에 걸려있는 핸드피스들 중 필요한 핸드피스를 그때그때 선택하여 사용한다.During dental treatment, a device called a handpiece is usually used to treat the interior of the mouth and to treat the teeth. There are various types of handpieces, such as the use of burs to trim or cut teeth. Various types of handpieces are placed on the handpiece holder, which is located near the unit chair where the patient is lying for treatment. During the treatment, the user selects the necessary handpiece from among the handpieces hanging from the holder at that time.

도 1은 종래의 치과용 유닛체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닛체어(1)에는 핸드피스 거치대(2)가 설치되어 있어 치료에 필요한 핸드피스들(4)이 상기 핸드피스 거치대(2)에 매달려 있다. 상기 각 핸드피스(4)는 핸드피스 튜브(3)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피스 튜브(3)에는 물이 흐를 수 있는 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4)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ental unit chair. Referring to FIG. 1, the unit chair 1 is provided with a handpiece rest 2, and handpieces 4 necessary for the treatment are suspended from the handpiece rest 2. Each handpiece 4 is coupled to a handpiece tube 3 and a pipe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is formed in the handpiece tube 3 to supply water to the handpiece 4.

핸드피스(4)에는 유닛체어(1)에 구비된 물 공급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데 이처럼 핸드피스에 공급되는 물이 오염되어 있을 경우 치과진료 도중 오염된 물에 의해 환자가 다른 질병에 감염될 수 있으며, 위생상 매우 좋지 않다.Water is supplied to the handpiece 4 through a water supply system (not shown) provided in the unit chair 1. W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handpiece is contaminated, It can be infected with disease and is not very good hygiene.

따라서, 치과용 유닛체어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소독하거나 살균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보통은 살균을 위해 살균필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Therefor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ental unit chair is often used for sterilization or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filters are often used for sterilization.

이처럼 유닛체어에서 사용하는 물을 살균하여 공급하는 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 10-0904538호가 있다.Korean Patent No. 10-0904538 discloses a related art apparatus for sterilizing and supplying water used in a unit chai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살균수 공급장치는 유닛체어에 살균된 물을 공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유닛체어마다 해당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required to install the sterilizing water in the unit chairs, so that the respective devices need to be installed in each unit chair.

또한 이러한 살균수 공급장치는 유닛체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술실에서 치과수술을 하는 경우와 같이 수술실에서 핸드피스 사용을 위한 살균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술실에서 치과수술을 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구강을 절개해놓은 상태에서 살균되지 않은 일반 물을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환자가 핸드피스에서 사용된 살균되지 않은 물에 의해 다른 세균에 감염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is fixed to the unit chai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used when sterilization water for use of a handpiece is required in the operating room, such as when a dental surgery is performed in an operating room. Therefore, in the case of a dental operation in the operating room, it is necessary to use sterilized general water in the incised mouth of the patient, and as a result, the patient may be infected with the other germs by the sterilized water used in the handpiece .

최근에는 살균필터를 이용하여 물을 살균하는 방법 이외에도 전기분해를 통해 물을 살균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Recently, a method of sterilizing water through electrolysis other than a method of sterilizing water using a sterilizing filte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전기분해를 이용한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 10-2010-0032265호가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32265 discloses a prior art related to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electrolysis.

한국공개특허 제 10-2010-0032265호에는 전기분해식 기능수 발생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분해식 기능수 발생기는 서로 포개어져 설치되는 양극전극, 음극전극 및 양극전극과 음극전극 사이에서 전극사이에 끼워지는 스페이서로 구성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32265 discloses an electrolytic functional water generator. The electrolytic functional water generator includes a cathode electrode, a cath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As shown in Fig.

전기분해를 이용한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와 관련된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 10-2011-0011111호가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11111 discloses another related art related to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electrolysis.

한국공개특허 제 10-2011-0011111호에는 전기분해를 이용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살균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그 구성은 본체, 전극 및 제어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은 전기가 흐른 도체로 이루어지며 양극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어 전극이 물에 잠긴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서 물을 전기분해하게 되고, 이와 같이 물을 전기분해함에 따라 물이 수소 이온(H)과 수산화라디칼(OH)로 분리되어 물속의 이물질을 산화시켜 분해하고 세균을 살균하게 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11111 discloses an apparatus for sterilizing a dental unit chair using electrolysis, which comprises a main body, an electrode, and a control circuit, and the electrode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ductor And the anode is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power is supplied in the state that the electrode is immersed in water, electricity flows between the two electrodes to electrolyze the water. As the water is electrolyzed, And hydroxyl radicals (OH) to oxidize and decompose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to sterilize the bacteria.

물을 전기분해하는 경우에는 기포가 많이 발생하여 분해조가 좁고 오랜 시간 전기분해를 연속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분해조의 압력이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한다.In the case of electrolysis of water, a large amount of bubbles are generated, so that the decomposition tank is narrow, and when the electrolysis is continuously performed for a long time, the pressure of the decomposition tank is increased.

위에서 보인 종래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는 장치가 동작하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전기분해가 진행되게 되고, 이러한 전기분해가 장시간 지속되다 보면 전기분해시 발생하는 기포 등에 의해 분해조의 압력이 상승하여 심한 경우 분해조가 폭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In the conventional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electrolysis as described above, electrolysis continues to proceed while the apparatus is in operation. When the electrolysis is continued for a long time, the pressure of the decomposition tank is increas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composition tank explodes in severe case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2265호(2010.03.2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32265 (Mar. 25, 20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1111호(2011.02.0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1111 (Feb. 201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유닛체어의 물 공급관을 절단하고 기기를 설치해야하는 번거롭고 고정되는 방식이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고, 유닛체어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핸드피스에 직접 탈착할 수 있는 형태의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가 제공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ntal unit chair which is capable of being carried not in a cumbersome and fixed manner in which a water supply pipe of a dental unit chair is required to install a device, There is provided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of a type tha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a handpiece as nee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피스를 사용하는 동안에만 전기분해를 하도록 함으로써 전기분해의 지속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caused by continuation of electrolysis by allowing electrolysis only while using a handpie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는 케이스; 치과치료에 필요한 핸드피스들이 체결되는 핸드피스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핸드피스 커넥터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로 공급되는 물이 흐르도록 하는 관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 1유체관로를 갖는 커넥터 삽입부; 상기 커넥터 삽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 상기 살균부에서 만들어진 살균수가 핸드피스로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수 공급관; 및 상기 살균수 공급관의 끝단에 형성되고, 핸드피스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핸드피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관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 2유체관로를 갖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dental electrolytic 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 connector insertion portion coupled to a handpiece connector to which the handpieces necessary for dental treatment are fastened and having a first fluid conduit formed in the handpiece connector and corresponding to a tub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the handpiece flows;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inserting unit; A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sterilization water produced by the sterilizing unit to the handpiece; And a second fluid conduit formed at an end of 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pipe and adapted to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handpiece, the second fluid conduit being formed in the handpiece and corresponding to a tube for supplying water to the handpiece, And a connector portion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공급되는 물을 양전극과 음전극을 이용하여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기분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erilizing unit includes an electrolyzer for electrolyzing the supplied water us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삽입부와 상기 살균부 사이를 연결하는 살균수 입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 입수관, 상기 커넥터 삽입부, 상기 살균수 공급관 및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다.The sterilizing water inlet pipe, the connector inserting portion,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and the connector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rough the connector insertion portion and the sterilizing portion, And the sterilizing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cas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는 케이스;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저장탱크; 상기 물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 상기 살균부에서 만들어진 살균수가 핸드피스로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수 공급관; 및 상기 살균수 공급관의 끝단에 형성되고, 핸드피스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핸드피스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관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 2유체관로를 갖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dental electrolytic 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water;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sterilization water produced by the sterilizing unit to the handpiece; And a second fluid conduit formed at an end of 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pipe 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handpiece can be inserted, the second fluid conduit being formed in the handpiece and connected to a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handpiece, And a connector portion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는 공급된 물을 양전극과 음전극을 이용하여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기분해부; 상기 전기분해부에서 생성된 전기분해수가 핸드피스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기분해수 공급관; 전기분해부 및 상기 전기분해수 공급관을 통해 상기 핸드피스로 미량의 물이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감지센서; 및 상기 전기분해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ntal electrolytic water supplying apparatus including: an electrolytic unit for electrolyzing supplied water us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electrolytic water generated by the electrolytic unit to the handpiece; A flow rate sensor for detecting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handpiece through the electrolysis unit and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electrolysis uni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센서는: 급수구와 배수구를 갖는 센서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보다 작은 크기의 피스톤; 상기 케이스의 급수구 쪽에 형성되어 피스톤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 및 상기 배수구 쪽에 위치하며, 상기 피스톤을 상기 급수구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ow rate sensor comprises: a sensor case having a water inlet and a drain; A piston position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case to allow flow inside the case; An optical sensor formed on a water supply port side of the case to sense movement of the piston; And an elastic part located on the side of the drain port and pushing the piston toward the water supply por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급수구 쪽이 상기 배수구 쪽보다 폭이 좁은 형태이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케이스와 동일하게 어느 한 쪽이 폭이 좁은 형태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se has a shape in which the water supply port is narrower than the side of the drain port, and the piston has a narrow width like the cas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상기 배수구와 상기 급수구 방향으로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구로 공급된 물은 상기 홈들을 따라 상기 배수구 방향으로 흐른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se ha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herein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port and the water supply port, and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ort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port along the groove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수 공급관에 장착되어 상기 전기분해수 공급관을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부에서 전기분해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t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zed water in the electrolysis sec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급수구 쪽에 형성되고,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빛이 조사되는 맞은 편이면서, 상기 케이스의 급수구 쪽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한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optical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portion formed on a water supply port side of the case and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ort side of the case and s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being irradiated with light.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 센서는 상기 전기분해부로 물이 입수되는 입수관의 소정의 위치 또는 상기 전기분해부로부터 물이 출수되는 출수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ow rate sensor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water inlet pipe through which water is received by the electrolytic unit 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n outlet pipe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tic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유닛체어에 고정되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하고 이동이 가능하여 어느 유닛체어에라도 필요시마다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닛체어마다 살균수 공급장치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어느 유닛체어에서도 살균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fixed to the dental unit chair but can be easily carried and moved, it can be used for any unit chair whenever necessary, so that even if a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is not provided for each unit chai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실에서 치과수술을 하는 동안에도 핸드피스에 본 발명의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를 연결하기만 하면 살균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수술시 발생할 수 있는 물로 인한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ed water can be used simply by connecting the dental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andpiece even during the dental surgery in the operating room, thereby preventing bacterial infection caused by water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를 유닛체어에 연결하지 않고 핸드피스에 직접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핸드피스에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andpiece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unit chair,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ny handpie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피스를 사용하는 동안에만 전기분해를 하도록 함으로써 전기분해의 지속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lysis is performed only while the handpiece is in us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the continuation of electrolysi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피스로 공급되는 살균수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전기분해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상승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to the handpiece,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due to an increase in pressure caused by excessive electrolysis.

도 1은 종래의 치과용 유닛체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10은 도 9의 유량감지센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유량감지센서에서의 물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유량감지센서의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ental unit chair,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tate of use of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ow rate sensor of FIG. 9,
FIG. 1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hange in water flow in the flow sensor of FIG. 9,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case of the flow rate sensor of FIG.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 제 1 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는 커넥터 삽입부(110), 살균부(120), 살균수 공급관(130), 커넥터부(140) 및 케이스(190)로 구성된다.A sterilizing unit 120, a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130, a connector unit 140, and a case 190 (see FIG. 1) ).

상기 커넥터 삽입부(110)는 핸드피스의 커넥터(C110)에 결합된다. 상기 핸드피스의 커넥터(C110)에는 치과치료에 필요한 핸드피스들이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피스의 나사선돌기들이 상기 나사홈을 통해 결합된다.The connector insertion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C110 of the handpiece. The connector C110 of the handpiece is formed with a thread groove on the inner side so that the hand pieces necessary for dental treatment can be fastened through a screw connection, and threaded projections of the handpiece are coupled through the thread groove.

상기 커넥터 삽입부(110)에는 제 1유체관로(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유체관로(111)는 핸드피스로 공급되는 물이 흐르도록 하기 위해 핸드피스의 커넥터(C110)에 형성되는 관(C111)에 대응하여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다.A first fluid conduit 111 is formed in the connector inserting portion 110. The first fluid conduit 111 is formed in a connector C110 of the handpiece to allow water to be supplied to the handpiece to flow therethrough Can be connec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ube C111.

상기 살균부(120)는 상기 커넥터 삽입부(110)의 제 1유체관로(11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살균한다. 상기 살균부(120)는 살균필터 또는 전기분해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살균한다.The sterilizing unit 120 sterilizes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fluid conduit 111 of the connector insertion unit 110. The sterilizing unit 120 sterilizes water supplied through a sterilizing filter or electrolysis.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서는 상기 커넥터 삽입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1차적으로는 살균필터를 이용하여 살균한 후 다시 전기분해를 통해 2차 살균한다.In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inserting unit 110 is primarily sterilized using a sterilizing filter, and then sterilized again through electrolysis .

상기 살균수 공급관(130)은 상기 살균부(120)에서 만들어진 살균수를 핸드피스(H100)로 공급하기 위한 관으로, 상기 살균수 공급관(130)의 일단은 상기 살균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부(120)로부터 살균된 물을 공급받고 타단에는 커넥터부(140)가 연결된다.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pipe 130 is a pipe for supplying the sterilized water generated in the sterilization unit 120 to the handpiece H100 and one end of 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pipe 130 is connected to the sterilization unit 120 Sterilized water is supplied from the sterilizing unit 120 and the connector 14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상기 커넥터부(140)는 핸드피스의 나사돌기 부분(h1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통상적인 핸드피스 커넥터와 동일한 형태로 만들어진다.The connector part 140 has a screw groove formed therein so that the screw projection part h140 of the handpiece can be inserted. The connector part 14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conventional hand piece connector.

상기 커넥터부(140)는 제 2유체관로(141)는 갖는다. 상기 제 2유체관로(141)는 상기 핸드피스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관(h141)에 대응하여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다.The connector portion 140 has a second fluid conduit 141. The second fluid conduit 14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piec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ipe h141 for supplying water to the handpiece.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서는 상기 커넥터 삽입부(110)는 상기 케이스(190)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9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현되었지만, 상기 커넥터 삽입부(110)에 상기 커넥터 삽입부(110)와 상기 살균부(120) 사이를 연결하는 살균수 입수관을 연결하여 상기 살균수 입수관이 상기 케이스(190)의 측면과 이격되어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조로도 구현할 수 있다.In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inserting portion 110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se 190 by being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190, The sterilization water inlet pipe connecting the connector insertion portion 110 and the sterilizing portion 120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portion 110 so that the sterilization water inlet pipe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case 190, Or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FIG. 5 is a state of use of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는 유닛체어와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핸드피스에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병원 내부에 다수 대의 유닛체어가 있는 경우에 살균수가 필요한 유닛체어에 구비되어 있는 핸드피스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를 연결하기만 하면 유닛체어에 살균수 공급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살균수를 이용하여 치과진료를 할 수가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unit chair and is capable of supplying sterilizing water to the handpiece. Therefore, if a plurality of unit chairs are provided in the hospital, only the dental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andpiece provided in the unit chair requiring sterilization water, Even if the supply device is not mounted, dental treatment can be performed using sterilized water.

[ 제 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는 물저장탱크(250), 살균부(220), 살균수 공급관(230), 커넥터부(240) 및 케이스(290)로 구성된다.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torage tank 250, a sterilizing unit 220, a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230, a connector unit 240, and a case 290 ).

상기 물저장탱크(250)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물저장탱크(25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살균부(220)로 공급된다.The water storage tank 250 is for storing water, and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250 is supplied to the sterilizing unit 220.

상기 물저장탱크(25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인 케이스(290), 살균부(220), 살균수 공급관(230) 및 커넥터부(240)의 구성들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케이스(190), 살균부(120), 살균수 공급관(130) 및 커넥터부(140)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The configurations of the case 290, the sterilizing unit 220,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230 and the connector unit 240 except for the water storage tank 25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ase 19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ilizing unit 120,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130, and the connector unit 140, respectively.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발명의 제 2실시예는 살균부에서 살균하는 물을 공급하는 구조가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다.That i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 in the structure for supplying sterilized water in the sterilizing section,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서는 커넥터 삽입부로부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살균부에서 살균되지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서는 물저장탱크(25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살균부(220)에서 살균된다.In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or inserting unit is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unit. However, in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nk 250 is sterilized in the sterilizing section 220.

수술실에서 치과수술을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를 수술실에 비치하면 유닛체어가 아니라 수술침대에서 수술을 하더라도 수술 도중 언제든지 수술시 사용하는 핸드피스에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다.
If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room, it is possible to sterilize the handpiece used for the operation at any time during the operation even if the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operation bed, Can supply.

[ 제 3 실시예 ][Third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유량감지센서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유량감지센서에서의 물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유량감지센서의 케이스의 단면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low rate sensor of FIG. 9, 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case of the flow rate sensor of FIG. 9; FIG.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는 전기분해부(310), 전기분해수 공급관(320), 유량감지센서(330), 압력감지센서(340), 온도감지센서(350) 및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A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lytic unit 310, an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320, a flow rate sensor 330, a pressure sensor 340, A temperature sensing sensor 35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전기전해부(310)는 공급되는 물을 양전극과 음전극을 이용하여 전기분해하기 위한 것이다. 전기분해를 통해 물을 살균하는 방식은 이미 공개되어 있는 통상적인 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알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ectric electrolytic unit 310 is for electrolyzing the supplied water us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The method of sterilizing water through electrolysis is a conventional technique that has been already disclosed,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fully aware of the metho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상기 전기분해수 공급관(320)은 상기 전기분해부(310)에서 생성된 전기분해수가 핸드피스로 공급되도록 하는 관이다.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320 is a pipe through which electrolytic water generated in the electrolytic unit 310 is supplied to the handpiece.

상기 전기분해부(310)에서는 음전극과 양전극이 설치되어 공급되는 물을 전기분해하게 된다. 그런데, 물을 전기분해하는 경우에는 기포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통상 전극들이 설치되어 있는 분해조가 그리 넓지 않고 밀폐된 공간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흐르는 유체가 1.8~2.5kgf/cm2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오랜 시간 전기분해를 연속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분해조의 압력이 급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 분해조가 터져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In the electrolysis unit 310,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are provided to electrolyze the supplied water. However, when water is electrolyzed, a large amount of bubbles are generated. Since a disassembly vessel in which electrodes are installed is not so wide and a fluid flowing at a constant pressure in a closed space is supplied at 1.8 to 2.5 kgf / cm 2, The pressure of the decomposition tank rises rapidly, and in the case of severe decomposition, the decomposition tank bursts and an accident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서는 상기 전기분해부(310)를 항상 동작시키지 않고 핸드피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만들도록 구현한다.Therefore, in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ed water is formed through electrolysis only when the handpiece is used without operating the electrolysis section 310 all the time.

그러기 위해서는 핸드피스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서는 핸드피스로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상기 전기분해부(310)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detect whether or not a handpiece is used. In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lysis unit 310 only while water is being supplied to the handpiece use.

상기 핸드피스로 물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드피스로 물이 흘러들어가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330)를 사용한다.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water is supplied to the handpiece, a flow sensor 330 for sensing whether water is flowing into the handpiece is used.

그런데, 핸드피스에서 사용하는 유량은 50cc/min 이하의 미량으로 일반적인 유량센서로는 핸드피스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기가 어렵다.However, the flow rate used in the handpiece is a little less than 50 cc / min, and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handpiece by a general flow sensor.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서는 아주 미량의 유량도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유량감지센서를 사용한다.Therefore, in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ew type of flow rat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very small amount of flow rate is used.

상기 유량감지센서(330)는 상기 전기분해부(310)로부터 물이 출수되는 출수관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분해부(310)로부터 상기 전기분해수 공급관(320)을 통해 상기 핸드피스로 공급되는 미량의 물의 흐름을 측정한다.The flow rate sensor 330 is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water outlet pipe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sis unit 310 and is supplied to the handpiece through the electrolysis water supply pipe 320 from the electrolysis unit 310 A small amount of water flow is measured.

또는 상기 유량감지센서(330)는 상기 전기분해부(310)로 물이 입수되는 입수관 부분에 설치하여 상기 전기분해부(310)로 입수되는 물의 흐름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flow rate sensor 330 may be installed at a part of the water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unit 310 to measure the flow of water to the electrolytic unit 310.

상기 유량감지센서(330)는 센서케이스(331), 피스톤(332), 광센서(344) 및 탄성부(333)로 구성된다.The flow sensor 330 includes a sensor case 331, a piston 332, an optical sensor 344, and an elastic part 333.

상기 센서케이스(331)는 한 쪽은 폭이 넓고 한쪽은 폭이 좁은 호리병 형태이고, 폭이 넓은 쪽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폭이 좁은 쪽에 급수구가 형성된다.One side of the sensor case 331 is wide and one side is a narrow bottle shape. A drain hole is formed on a wide side and a water hole is formed on a narrow side.

상기 피스톤(332)은 상기 센서케이스(331)와 형태가 동일하고 크기만 약간 작아 상기 센서케이스(331)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332)이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piston 332 has the same shape as the sensor case 331 and is slightly smaller in size so that the piston 332 can move within the sensor case 331.

상기 센서케이스(331)의 내측에는 상기 배수구와 상기 급수구 방향으로 다수 개의 홈(3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케이스(331)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332)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상기 급수구를 통해 공급된 물은 주로 상기 홈들(331a)을 따라 상기 배수구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Inside the sensor case 331, a plurality of grooves 331a are formed in the drain port and the water supply port. Since the piston 332 is inserted into the sensor case 331,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flows mainly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port along the grooves 331a.

상기 급수구 쪽에는 광센서(344)가 장착된다.A light sensor 344 is mounted on the water inlet.

상기 광센서(344)는 발광부(344a)와 수광부(344b)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344a)는 상기 센서케이스(331)의 급수구 쪽에 형성되어 빛을 조사한다. 상기 수광부(344b)는 상기 발광부(344a)의 빛이 조사되는 맞은 편이면서, 상기 센서케이스(331)의 급수구 쪽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344a)에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한다.The optical sensor 344 includes a light emitting portion 344a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344b. The light emitting portion 344a is formed on the water supply port side of the sensor case 331 and emits light.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44b is provided on the water inlet side of the sensor case 331 while sen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344a while being opposite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344a.

상기 피스톤(332)은 불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지고, 상기 피스톤의 폭이 좁은 부분이 상기 발광부(344a)와 수광부(344b)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부(344a)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수광부(344b)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다. The piston 332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and a narrow portion of the piston is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344a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44b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344a is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44b.

상기 급수구를 통해 상기 센서케이스(331)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발광부(344a)와 수광부(344b) 사이를 막고 있던 상기 피스톤(332)은 물의 흐름에 따라 배수구 쪽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발광부(344a)에서 조사된 빛의 조사광령의 변화가 상기 수광부(344b)에서 감지된다.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ensor case 331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the piston 332, which has blocked the gap betwe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344a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44b, moves toward the drain port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The change of the irradiated light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44a i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44b.

상기 탄성부(333)는 상기 센서케이스(331)의 배수구 쪽에 위치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피스톤(332)을 상기 급수구 방향으로 밀어준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서는 상기 탄성부(333)는 스프링으로 구현된다.The elastic portion 333 is located on the drain port side of the sensor case 331 and normally pushes the piston 332 toward the water supply port. In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ortion 333 is realized by a spring.

상기 급수구를 통해 상기 센서케이스(331)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332)은 물의 흐름에 따라 배수구 쪽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는데, 물의 흐름이 멈추면 상기 탄성부(333)는 상기 피스톤(332)을 급수구 방향으로 밀어 올려 상기 피스톤(332)이 다시 상기 발광부(344a)와 상기 수광부(344b)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부(344a)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수광부(344b)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ensor case 331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the piston 332 is pushed toward the drain port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When the flow of water stops, the elastic portion 333 moves the piston 332, The piston 332 is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344a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44b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344a is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portion 344b Stop.

유량감지센서(330)를 사용하여 핸드피스를 사용하는 동안에만 상기 전기분해부(310)가 동작하도록 하더라도, 핸드피스를 오랜 시간동안 계속하여 사용하게 되면 전기분해부(310)의 압력이 상승하여 폭발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Even if the electrolytic unit 310 is operated only while the handpiece is in use by using the flow rate sensor 330, if the handpiece is continuously used for a long time, the pressure of the electrolytic unit 310 rises An explosion may occur.

또한, 이렇게 오랜 시간동안 전기분해부(310)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분해부(310)의 온도가 상승하고 또한 상기 전기분해부(310)에서 전기분해된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electrolytic unit 310 operates for a long tim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unit 310 ris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in the electrolytic unit 310 rises excessively Lt; / RTI >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살균수 공급장치에서는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전기분해수 공급관(320)에 압력감지센서(340)가 장착된다.In the dental sterilizing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e sensing sensor 340 is mounted on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320 to prevent such an accident.

상기 압력감지센서(340)는 상기 전기분해수 공급관(320)을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한다.The pressure sensing sensor 340 measures the pressur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320.

또한, 상기 전기분해부(310)에 온도감지센서(350)를 설치하여 상기 전기분해부(310)의 온도를 측정한다.A temperature sensor 350 is installed in the electrolysis unit 31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sis unit 310.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기분해부(310), 상기 유량감지세서(330), 압력감지센서(340)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35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not shown) controls the electrolysis unit 310, the flow rate sensor 330, the pressure sensor 340, and the temperature sensor 35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감지센서(330)에서 유량이 감지되는 동안에만 상기 전기분해부(310)가 동작하도록 상기 전기분해부(31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340)에서 측정된 압력값이 일정 압력값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전기분해부(310)가 동작을 멈추게 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electrolysis unit 310 so that the electrolysis unit 310 operates only while the flow rate is detected by the flow rate sensor 330. The controll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sis unit 310 when the pressur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34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valu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350)에서 측정된 온도값이 일정 온도값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전기분해부(310)가 동작을 멈추게 한다.Also, the controll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sis unit 310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350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valu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분해부(310)에서 양전극과 음전극이 단락되는 경우 이상작동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전기분해부(310)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전자회로기판을 이용하여 구현된다.In addition, wh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short-circuited in the electrolysis unit 310, the control unit detects an overcurrent flowing in an abnormal operation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sis unit 310. [ Substrat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20, 220 : 살균부
130, 230 : 살균수 공급관
140, 240 : 커넥터부
190, 290 : 케이스
120, 220: sterilizing unit
130, 230: sterilization water supply pipe
140, 240:
190, 290: Case

Claims (15)

케이스;
치과치료에 필요한 핸드피스들이 체결되는 핸드피스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핸드피스 커넥터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로 공급되는 물이 흐르도록 하는 관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 1유체관로를 갖는 커넥터 삽입부;
상기 커넥터 삽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
상기 살균부에서 만들어진 살균수가 핸드피스로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수 공급관; 및
상기 살균수 공급관의 끝단에 형성되고, 핸드피스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핸드피스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관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 2유체관로를 갖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핸드피스로 미량의 물이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량감지센서는:
급수구와 배수구를 갖는 센서케이스; 및
상기 센서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케이스 내부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케이스보다 작은 크기의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case;
A connector insertion portion coupled to a handpiece connector to which the handpieces necessary for dental treatment are fastened and having a first fluid conduit formed in the handpiece connector and corresponding to a tub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to the handpiece flows;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inserting unit;
A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sterilization water produced by the sterilizing unit to the handpiece; And
A second fluid conduit formed at an end of 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pipe 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handpiece can be inserted, the second fluid conduit being formed in the handpiece and connected to a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handpiece; And a connector portion,
Wherein the sterilizing unit further includes a flow rate sensor for sensing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handpiece,
Wherein the flow rate sensor comprises:
A sensor case having a water supply port and a drain port; And
And a piston disposed inside the sensor case and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sensor case so as to be able to flow inside the sensor c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공급되는 물을 양전극과 음전극을 이용하여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기분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rilizing unit comprises an electrolyzer for electrolyzing the supplied water us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삽입부와 상기 살균부 사이를 연결하는 살균수 입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 입수관, 상기 커넥터 삽입부, 상기 살균수 공급관 및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sterilizing water inlet pipe connecting the connector inserting portion and the sterilizing portion,
Wherein the sterilizing water inlet pipe, the connector inserting portion, the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and the connector portion are disposed outside the case, and the sterilizing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case.
케이스;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저장탱크;
상기 물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
상기 살균부에서 만들어진 살균수가 핸드피스로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수 공급관; 및
상기 살균수 공급관의 끝단에 형성되고, 핸드피스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핸드피스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관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 2유체관로를 갖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핸드피스로 미량의 물이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량감지센서는:
급수구와 배수구를 갖는 센서케이스; 및
상기 센서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케이스 내부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케이스보다 작은 크기의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case;
A water storage tank for storing water;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torage tank;
A sterilizing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sterilization water produced by the sterilizing unit to the handpiece; And
A second fluid conduit formed at an end of the sterilization water supply pipe 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handpiece can be inserted, the second fluid conduit being formed in the handpiece and connected to a pipe for supplying water to the handpiece; And a connector portion,
Wherein the sterilizing unit further includes a flow rate sensor for sensing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handpiece,
Wherein the flow rate sensor comprises:
A sensor case having a water supply port and a drain port; And
And a piston disposed inside the sensor case and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sensor case so as to be able to flow inside the sensor cas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공급되는 물을 양전극과 음전극을 이용하여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기분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rilizing unit comprises an electrolyzer for electrolyzing the supplied water us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공급된 물을 양전극과 음전극을 이용하여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기분해부;
상기 전기분해부에서 생성된 전기분해수가 핸드피스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기분해수 공급관;
전기분해부 및 상기 전기분해수 공급관을 통해 상기 핸드피스로 미량의 물이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감지센서; 및
상기 전기분해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감지센서는:
급수구와 배수구를 갖는 센서케이스; 및
상기 센서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케이스 내부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센서케이스보다 작은 크기의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An electrolytic unit for electrolyzing the supplied water us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electrolytic water generated by the electrolytic unit to the handpiece;
A flow rate sensor for detecting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handpiece through the electrolysis unit and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n / off operation of the electrolysis unit,
Wherein the flow rate sensor comprises:
A sensor case having a water supply port and a drain port; And
And a piston disposed inside the sensor case and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sensor case so as to be able to flow inside the sensor cas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급수구 쪽에 형성되어 피스톤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low rate sensor comprises:
And a light sensor formed on a water supply port side of the case to sense a movement of the pist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급수구 쪽이 상기 배수구 쪽보다 폭이 좁은 형태이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케이스와 동일하게 어느 한 쪽이 폭이 좁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ater supply port is narrower than the drain port,
Wherein the piston has a narrow width in the same manner as the case described abov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상기 배수구와 상기 급수구 방향으로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구로 공급된 물은 상기 홈들을 따라 상기 배수구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ase ha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herein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port and the water supply port, and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ort flows along the grooves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por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수 공급관에 장착되어 상기 전기분해수 공급관을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for measuring a pressur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pip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부에서 전기분해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lyzed water in the electrolytic un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급수구 쪽에 형성되고,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빛이 조사되는 맞은 편이면서, 상기 케이스의 급수구 쪽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한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ptical sensor comprises:
A light emitting portion formed on a water supply port side of the case and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on a water supply port side of the case opposite to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dapted to det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 센서는 상기 전기분해부로 물이 입수되는 입수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low rate sensor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water inlet pipe through which water is received by the electrolytic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 센서는 상기 전기분해부로부터 물이 출수되는 출수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low rate sensor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water outlet pipe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electrolytic unit.
제 1항, 제 4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센서는:
상기 배수구 쪽에 위치하며, 상기 피스톤을 상기 급수구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탄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전기분해수 공급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6,
Wherein the flow rate senso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part located on the side of the drain hole and pushing the piston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port.
KR1020120006821A 2011-01-24 2012-01-20 Sterilized-water suppling device for dental use KR1014415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7070 2011-01-24
KR20110006869 2011-01-24
KR1020110006869 2011-01-24
KR1020110007070 2011-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676A KR20120085676A (en) 2012-08-01
KR101441562B1 true KR101441562B1 (en) 2014-09-17

Family

ID=4658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821A KR101441562B1 (en) 2011-01-24 2012-01-20 Sterilized-water suppling device for dental u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1562B1 (en)
WO (1) WO2012102534A2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442A (en) 2014-12-16 2016-06-27 장성만 Electrode and Equipment for seterilizing water of dental clinic
KR101735506B1 (en) * 2015-09-16 2017-05-24 (주) 덴토존 Vertical structure electrolyzed dental wate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of dental cleaning equipment with a Bio-film monitoring device
KR20210059442A (en)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아폴로니아 Dental sterilizing water production equipment for dental ca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505B1 (en) * 2014-04-18 2015-12-28 (주)코리아덴탈솔루션 Water supply for dental unit Chair
CN106137443B (en) * 2016-08-23 2018-01-19 山东大学 A kind of car pin cleaning device and its method of work
KR102101759B1 (en) * 2018-11-12 2020-04-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anoramic imag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471356B2 (en) * 2019-04-17 2022-10-18 A-Dec, Inc. Shelf for dental delivery system
KR102423161B1 (en) * 2020-05-15 2022-07-21 주식회사 파이노 Sterilizing apparatus
KR102283541B1 (en) * 2020-08-26 2021-07-29 김동수 Handpiece typ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including electrod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471A (en) * 1994-10-04 1996-04-23 Osada Res Inst Ltd Dental treatment unit
US6159007A (en) * 1999-03-15 2000-12-12 Sorensen; Jerold R. Autoclaveable dental unit water line and pre-filter
JP2002018441A (en) 2000-07-04 2002-01-22 Terumo Corp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tic water
KR20100069784A (en) * 2008-12-17 2010-06-25 마이크로뱅크(주) Ionized water jet oral-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471A (en) * 1994-10-04 1996-04-23 Osada Res Inst Ltd Dental treatment unit
US6159007A (en) * 1999-03-15 2000-12-12 Sorensen; Jerold R. Autoclaveable dental unit water line and pre-filter
JP2002018441A (en) 2000-07-04 2002-01-22 Terumo Corp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tic water
KR20100069784A (en) * 2008-12-17 2010-06-25 마이크로뱅크(주) Ionized water jet oral-clea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442A (en) 2014-12-16 2016-06-27 장성만 Electrode and Equipment for seterilizing water of dental clinic
KR101735506B1 (en) * 2015-09-16 2017-05-24 (주) 덴토존 Vertical structure electrolyzed dental wate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of dental cleaning equipment with a Bio-film monitoring device
KR20210059442A (en)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아폴로니아 Dental sterilizing water production equipment for dental c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2534A2 (en) 2012-08-02
WO2012102534A3 (en) 2012-12-13
KR20120085676A (en)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562B1 (en) Sterilized-water suppling device for dental use
CN108463437B (en) Fluid delivery system comprising a disinfection device
KR10172667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erilizing water for dental treatments
JP4417374B2 (en) Liquid sterilizer
KR101896201B1 (en) Sink with sterilizing and rinsing water generating system
KR200425129Y1 (en) Movable Disinfectant Generator by Electrolysis
US20240076210A1 (en) Ultrasonic scaler having an ozonated water system
KR101212650B1 (en) A medical suction unit
KR101817093B1 (en) Sterile Water Producing Controlling Method of Sterile Water Producing Apparatus and Sterile Control Method of Bidet
JP2013180808A (en) Water server
KR101971423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dical hypochlorous acid using electrolysis cell
KR101829010B1 (en) Endoscope disinfecting apparatus having eletroysis part and sterilization part
KR101735506B1 (en) Vertical structure electrolyzed dental wate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of dental cleaning equipment with a Bio-film monitoring device
KR100547469B1 (en) Bidet sterilizer
KR102381864B1 (en) Dental electrolytic sterilization water supply device
KR20150019755A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enerating hypochlorons acid
CN215592707U (en) Dry-burning-resistant waterway disinfection device for oral comprehensive treatment table
CN218642537U (en) Waterway disinfection system of oral cavity comprehensive treatment table and oral cavity comprehensive treatment table
KR20050032138A (en) Apparatus for automaically supplying water in dental water tank
CN215626963U (en) Water path disinfection device for oral comprehensive treatment table
CN215130591U (en) Novel oral cavity comprehensive treatment platform water route
CN214734713U (en) Oxygen-activating,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water generator for dentists
CN218521118U (en) Waterway disinfection system of oral cavity comprehensive treatment table and oral cavity comprehensive treatment table
CN212713094U (en) Water treatment facilities, water-using equipment and water heater
KR20100032265A (en) Dental water supplying system in unit chair with function water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