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399B1 -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399B1
KR101441399B1 KR1020130159218A KR20130159218A KR101441399B1 KR 101441399 B1 KR101441399 B1 KR 101441399B1 KR 1020130159218 A KR1020130159218 A KR 1020130159218A KR 20130159218 A KR20130159218 A KR 20130159218A KR 101441399 B1 KR101441399 B1 KR 101441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insert
tie
fixing plate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찬
최기선
김호룡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n insulating foam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단열재를 건축물 외벽에 설치된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설치된 단열재에 합성폼타이가 관통하도록 하여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측압에 유리하면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는 고정플레이트가 일체화된 연결봉, 체결플레이트, 인서트를 포함하며 GFRP 재질로 제작되어 중단열 벽체의 열교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게 된다.

Description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COMPOSITE FORM-TIE FOR CONCRETE COMPOSITE WAL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건축물 외벽에 설치된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설치된 단열재에 합성폼타이가 관통하도록 하여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측압에 유리하면서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중단열 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크리트벽체 구조에서는 예컨대 도 1a와 같이 건물의 외측벽체(40)의 내측에 단열재(10)를 설치하는 내단열(內斷熱)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바닥 난방(20)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에서는 특히 바닥슬래브(30)를 통하여 외측벽체(40)로 유출되는 난방 에너지의 손실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지구온난화 방지를 목적으로 범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제로에너지ㆍ제로카본 빌딩구조물 구현을 위한 요소기술의 하나인 외단열(外斷熱) 구조는 도 1b와 같이 바닥슬래브(30)를 통하여 외측벽체(40)까지 전달된 난방에너지가 상기 외측벽체(40)의 외측에 설치된 단열재(10)에 의해 차단되므로 높은 에너지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외단열 구조의 경우 단열재(10)를 외측벽체의 외측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외부작업을 위한 비계설치, 보호마감재(50) 추가시공 등의 시공 상의 어려움 및 외기환경에 노출된 단열재의 내구성 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본격적인 실용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내단열구조의 단점과 외단열구조의 장ㆍ단점을 선택적으로 취합하기 위하여 도 1c와 같이 콘크리트벽체(A,B)의 중간에 단열재(10)를 삽입하는 소위 중단열(中斷熱) 구조의 벽체에 대한 개념이 소개된 바 있다.
도 1d 및 도1e는 종래 중단열(中斷熱) 구조의 벽체로서 콘크리트벽체를 갱폼(2)과 유로폼(1)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일예를 사시도와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로폼(1, 콘크리트벽체용 내측거푸집)은 철재(강재)를 소재로 하여 일정규격으로 제작된 패널 형태의 부재이고, 상기 갱폼(2, 콘크리트벽체용 외측거푸집)은 일정 두께를 갖는 평철판(21)과 그 일면에는 각파이프로 된 복수개의 가로바(22)가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각기 하나씩 용접되어 있으며, 또한 여러 줄 형성된 가로바(22)에는 두개가 서로 인접한 상태로 한 쌍을 이루는 세로바(21)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 쌍이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갱폼(2)의 평철판(21)에는 도 1e와 같이 다수의 삽입공이 뚫어져 있는데, 상기한 각 삽입공들은 한쌍을 이루고 있는 두개의 세로바(23)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다수의 삽입공들에는 갱폼지지콘이 각기 하나씩 조립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갱폼(2)과는 분리된 채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갱폼(2)의 외측에서 간격유지구(3)에 나사결합 되어지는 체결구(4)의 평판체결부(42)를 수용하도록 조립설치되는 체결용 지지부재(6)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용 지지부재(6)는 철판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는 것이며, 한쌍으로 된 두개의 세로바(23)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된 지지부(61)와, 상기 지지부(61)의 중심측에서 일측(도면상 갱폼의 반대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보강부(62) 및 상기 돌출보강부(62)의 중심에 체결구(4)의 타단에 형성된 평판체결부(42)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자형으로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체결용 지지부재(6)는 그 관통공을 통해 체결구(4)의 평판체결부(42)가 관통하여 돌출보강부(6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상태에서 평판체결부(42)에 형성된 조립공(43)으로 체결용 웨지핀(5)을 끼워주게 되면 체결용 웨지핀(5)의 일면(도면상 좌측으로서 체결용 지지부재의 반대측)은 조립공(43)의 끝단에 지지되고 타면은 돌출보강부(62)에 밀착 지지되므로서 상기 체결용 웨지핀(5)은 체결구(4)에 결속된 상태에서 체결용 지지부재(6)가 두줄의 세로바(23)를 동시에 밀어주는 작용으로 갱폼(2)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갱폼과 유로폼을 이용하여 중단열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단열재(10, 이점쇄선으로 표시)를 설치하고, 콘크리트(C, 일점쇄선으로 표시)를 타설하여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콘크리트벽체(A,B)가 완성되면 상기 체결용 지지부재(6)를 결속하고 있는 체결용 웨지핀(5)의 하단부를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조립공(43)에서 빼내게 된다.
이에 체결용 지지부재(6)가 세로바(23)에서 자연적으로 떨어지게 되어 체결용 지지부재(6)의 수거가 용이하며, 또한 체결용 지지부재(6)를 분리한 상태에서 체결구(4)를 나사풀림하게 되어 체결구(4)의 해체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간격유지구(3)는 유로폼(1)에 연결된 부위를 역시 망치등으로 타격하여 머리부(3a)가 커팅되면서 유로폼(1)과 함께 해체하게 된다. 이에 머리부(3a)가 제거된 간격유지구(3)는 콘크리트와 단열재에 매립된다.
이때, 도 1e와 같이 상기 단열재(10)와 양 콘크리트벽체(A,B)와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체결구와 간격유지구(강재폼타이)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강재폼타이를 통한 에너지 손실 즉, 열교 현상(heat bridge)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러한 강재폼타이에 의한 열교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단열재 측면에 설치되는 합성연결재(미도시)와 별도로 합성폼타이를 제시한 바 있다.
즉, 양 콘크리트벽체를 서로 이격시켜 연결시키는 연결재 역할을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설치되는 폼타이가 하되 폼타이는 콘크리트벽체로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FRP 폼타이와 강재 폼타이를 연결시켜 설치되는 합성폼타이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합성폼타이는 도 1f와 같이 구속수단(81)이 형성된 FRP 폼타이(82)와 FRP 폼타이의 단부에 일측 강재폼타이(83) 및 구속수단(81)이 형성된 타측 강재폼타이(84)가 서로 연결된 것을 이용하고,
상기 구속수단(81)이 형성된 FRP 폼타이(82)는 단열재(10)를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강재 폼타이(83,84)들은 구속수단이 형성된 FRP 폼타이(82) 양 단부에 연결되어 각각 외측 및 내측 철근조립체(85,86)가 배근된 갱폼(220)과 유로폼(210)에 연장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상기 합성폼타이는 열교 현상을 방지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콘크리트 벽체 높이 및 단면이 커짐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하여 가해지는 측압에 저항하지 못하여 갱폼(2)과 유로폼(1)이 벌어지는 등의 현장 시공상의 문제점과 구속수단이 형성된 FRP 폼타이(82)와 강재 폼타이(83,84)의 체결개소가 많아져 아무래도 현장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건축물의 중단열벽체를 유로폼, 갱폼 및 합성폼타이를 이용하여 시공하되, 특히 열교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콘크리트 측압에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단열재에는 콘크리트벽체로 전달되는 열교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GFRP 재질로 제작된 합성폼타이를 설치하여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단열재가 상기 합성폼타이에 의하여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GFRP 재질의 합성폼타이는 종래 중단열벽체에 사용되는 강재로 제작되는 연결재의 열전도율 보다 약 2/1000~1/100배 작기 때문에 기존의 중단열벽체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에너지 손실(열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유리섬유를 함께 사용함으로서 특히 콘크리트 측압에 저항하기 위한 강도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합성폼타이에는 볼트식 인서트와 원터치식 인서트가 양측 단부에 미리 매립 설치되도록 하여 갱폼 및 유로폼 타이부재가 상기 매립 설치된 인서트들에 간단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단열재를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상기 인서트들을 이용함으로서 합성폼타이에 의하여 단열재가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콘크리트 측압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상기 볼트식 인서트는 유로폼 타이부재 또는 갱폼 타이부재가 볼트 체결식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원터치식 인서트는 유로폼 타이부재 또는 갱폼 타이부재의 걸림홈이 형성된 연결단부가 홀더부에 삽입 후 회전되어 연결되도록 하여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능률이 증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에 사용되는 합성폼타이는 단열재를 통과하는 부위가 GFRP재질의 합성폼타이로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 중단열벽체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에너지 손실(열교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합성폼타이는 그 설치에 있어 현장에서의 작업이 단순하고 간단하여 설치작업 효율성이 증진되며, 합성폼타이의 양 단부에 매립된 인서트들에 직접 타이부재를 연결하여 갱폼과 유로폼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측압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합성폼타이에 제작에 있어서도 간단한 금형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품질관리 및 제작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에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에 있어 작업성이 뛰어난 중단열 벽체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바닥 난방 구조에 있어서, 내단열 구조의 난방 에너지 손실의 개념도,
도 1b는 종래 바닥 난방 구조에 있어서, 외단열 구조에 의한 난방 에너지 손실방지의 개념도,
도 1c는 종래 바닥 난방 구조에 있어서, 중단열 구조에 의한 난방 에너지 손실방지의 개념도,
도 1d 및 도 1e는 종래 갱폼과 유로폼의 조립사시도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벽체 시공단면도,
도 1f는 종래 갱폼과 유로폼에 사용되는 합성폼타이의 시공사시도 ? 구성발췌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방법: 실시예 1]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방법의 시공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 실시예 1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
도 2a는 실시예 1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이다.
상기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는 FRP 수지에 유리섬유를 믹싱한 재료를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재질로 제작하는 이유는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열교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는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 체결플레이트(120), 볼트식 수인서트(130) 및 볼트식 암인서트(140)를 포함한다.
이에 먼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은 일체로 몰드에 의하여 성형된다.
먼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됨을 알 수 있는데 단열재와 접하는 배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콘크리트와 접하는 전면은 곡선형으로 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파손, 충격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연결봉(110)은 고정플레이트(111)의 배면 중앙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봉 형태의 부재인데 표면에는 격자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몰드에 투입되는 GFRP 양을 줄여 경제적이며 중량을 가볍게 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는 체결플레이트(1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예컨대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체결플레이트(120)가 회전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체결플레이트(120)는 전면과 배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내부홈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되 중앙홀에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봉의 연결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쪽에 볼트식 수인서트(130)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쪽에 볼트식 암인서트(140)가 각각 매립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쪽 볼트식 수인서트(130)는 일단부가 연결봉(110)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노출되는데 상기 노출된 타단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에 갱폼 타이부재(150)의 암볼트부(151)가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 쪽 볼트식 암인서트(140)는 연결봉(110) 내부에 일단부가 매립되어 있고 연결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노출되는데 상기 타단부는 내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삽입홈(14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홈(141)에 유로폼 타이부재(160)의 수볼트부(161)가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연결봉(110) 내부에 매립되는 볼트식 수인서트(130)의 일단부와 볼트식 암인서트(140)의 일단부는 볼트머리부등으로 형성시켜 콘크리트 측압에 의한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하는 고정구 역할을 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1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시공방법 ]
도 2b는 실시예 1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즉, 중단열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갱폼(300)을 먼저 설치하고 외측 철근조립체를 배근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갱폼(300)에 갱폼 타이부재(150)를 설치하여 갱폼 타이부재(150)의 암볼트부(151)가 볼트식 수인서트(130)의 노출된 타단부에 체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갱폼(300) 배면쪽으로 외측 철근조립체와 이격되도록 단열재(2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단열재(200)에는 수평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앞서 살펴본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이 상기 수평홀에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고정플레이트(111)의 배면은 단열재(200)의 전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단열재(200)의 수평홀을 관통하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는 단열재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에 돌출된 연결단부에 체결플레이트(120)를 체결시켜 체결플레이트(120)의 전면이 단열재 배면에 접하도록 세팅시켜 놓게 된다.
다음으로는 단열재(200)의 배면과 이격되도록 내측 철근조립체를 배근하고, 내측 철근조립체와 이격되도록 유로폼(400)을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유로폼(400)에 유로폼 타이부재(160)를 설치하여 수볼트부(161)가 단열재(200) 배면으로부터 노출된 볼트식 암인서트(140)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를 간단하게 세팅하게 된다.
이에 갱폼(300)과 유로폼(400) 및 단열재(200)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되면 갱폼 타이부재(150)와 갱폼(300)을 해체하고,
유로폼 타이부재(160) 머리부를 타격하여 유로폼(400)을 해체함으로서 최종 중단열벽체를 완성시키게 된다.
[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방법: 실시예 2]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방법의 시공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 실시예 2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
도 3a는 실시예 2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이다.
상기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는 역시 FRP 수지에 유리섬유를 믹싱한 재료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는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 체결플레이트(120), 원터치식 수인서트(170) 및 원터치식 암인서트(180)를 포함한다.
이에 먼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은 일체로 몰드에 의하여 성형되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에 상기 고정플레이트(11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됨을 알 수 있는데 단열재와 접하는 배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콘크리트와 접하는 전면은 곡선형으로 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파손, 충격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연결봉(110)은 고정플레이트(111)의 배면 중앙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봉 형태의 부재인데 표면에는 격자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몰드에 투입되는 GFRP 양을 줄여 경제적이며 중량을 가볍게 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는 체결플레이트(1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예컨대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체결플레이트(120)가 회전 체결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체결플레이트(120)는 전면과 배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내부홈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되 중앙홀에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봉의 연결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체결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쪽에 원터치식 수인서트(170)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봉(110)의 연결단부쪽에 원터치식 암인서트(180)가 각각 매립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쪽 원터치식 수인서트(170)는 일단부가 연결봉(110)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터치식 수인서트(170)는 판재형태로서 걸림홈(G)이 다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연결봉(110)의 내부로부터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연결봉(110)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홈(G)은 원터치식 수인서트(170)가 콘크리트 측압에 의한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하는 고정전단키 형성 역할을 하고,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위의 걸림홈(G)은 갱폼 타이부재(150)와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전단키 및 콘크리트 합성능력 증진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원터치 방식의 체결은 갱폼 타이부재(150)의 연결단부에 형성된 홀더부(152)에 원터치식 수인서트(170)의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를 삽입시킨 후 회전하여 홀더부(152) 내부에 걸려져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쪽 원터치식 암인서트(180)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노출되는데 상기 노출된 단부의 홀더부(181)에 유로폼 타이부재(160)의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162)가 삽입 후 회전되어 간단하게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 실시예 2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시공방법 ]
도 3b는 실시예 2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즉, 중단열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갱폼(300)을 먼저 설치하고 외측 철근조립체를 배근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갱폼(300) 배면쪽으로 외측 철근조립체와 이격되도록 단열재(2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단열재(200)에는 수평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앞서 살펴본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이 상기 수평홀에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고정플레이트(111)의 배면은 단열재(200)의 전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단열재(200)의 수평홀을 관통하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는 단열재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에 돌출된 연결단부에 체결플레이트(120)를 체결시켜 체결플레이트(120)의 전면이 단열재 배면에 접하도록 세팅시켜 놓게 된다.
다음으로는 유로폼(400)으로부터 유로폼 타이부재(150)를 설치하여 원터치식 수인서트(170)의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가 유로폼 타이부재(150)의 홀더부(152)에 삽입 및 회전시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를 간단하게 세팅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단열재(200)의 배면과 이격되도록 내측 철근조립체를 배근하고, 내측 철근조립체와 이격되도록 유로폼(400)을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유로폼(400)에 유로폼 타이부재(160)를 설치하여 홀더부(181)에 원터치식 수인서트(160)의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162)가 삽입 및 회전되어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가 단열재(200)를 관통하여 갱폼(300)과 유로폼(400) 사이에 고정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갱폼(300)과 유로폼(400) 및 단열재(200)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되면 갱폼 타이부재(150)와 갱폼(300)을 해체하고,
유로폼 타이부재(160) 머리부를 타격하여 유로폼(400)을 해체함으로서 최종 중단열벽체를 완성시키게 된다.
[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방법: 실시예 3]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방법의 시공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 실시예 3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
도 4a는 실시예 3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이다.
상기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는 역시 FRP 수지에 유리섬유를 믹싱한 재료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는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 체결플레이트(120), 원터치식 수인서트(170) 및 볼트식 암인서트(140)를 포함한다.
이에 먼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은 일체로 몰드에 의하여 성형되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에 상기 고정플레이트(11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됨을 알 수 있는데 단열재와 접하는 배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콘크리트와 접하는 전면은 곡선형으로 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파손, 충격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연결봉(110)은 고정플레이트(111)의 배면 중앙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봉 형태의 부재인데 표면에는 격자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몰드에 투입되는 GFRP 양을 줄여 경제적이며 중량을 가볍게 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는 체결플레이트(1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예컨대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체결플레이트(120)가 회전 체결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체결플레이트(120)는 전면과 배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내부홈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되 중앙홀에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봉의 연결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체결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쪽에 원터치식 수인서트(170)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봉(110)의 연결단부쪽에는 볼트식 암인서트(140)가 각각 매립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쪽 원터치식 수인서트(170)는 연결봉(110)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터치식 수인서트(170)는 판재형태로서 걸림홈(G)이 다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연결봉(110)의 내부로부터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연결봉(110) 내부에 위치하는 걸림홈(G)은 원터치식 수인서트(170)가 콘크리트 측압에 의한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하는 고정전단키 형성 역할을 하고,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위의 걸림홈(G)은 갱폼 타이부재(150)와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전단키 및 콘크리트 합성능력 증진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원터치 방식의 체결은 갱폼 타이부재(150)의 연결단부에 형성된 홀더부(152)에 원터치식 수인서트(170)의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를 삽입시킨 후 회전하여 홀더부(152) 내부에 걸려져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 쪽 볼트식 암인서트(140)는 연결봉(110) 내부에 일단부가 매립되어 있고 연결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노출되는데 상기 타단부는 내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삽입홈(14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홈(141)에 유로폼 타이부재(160)의 수볼트부(161)가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연결봉(110) 내부에 위치하는 볼트식 암인서트(140)의 일단부는 볼트머리부등으로 형성시켜 콘크리트 측압에 의한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하는 고정구 역할을 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3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시공방법 ]
도 4b는 실시예 3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즉, 중단열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갱폼(300)을 먼저 설치하고 외측 철근조립체를 배근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갱폼(300) 배면쪽으로 외측 철근조립체와 이격되도록 단열재(2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단열재(200)에는 수평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앞서 살펴본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이 상기 수평홀에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고정플레이트(111)의 배면은 단열재(200)의 전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단열재(200)의 수평홀을 관통하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는 단열재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에 돌출된 연결단부에 체결플레이트(120)를 체결시켜 체결플레이트(120)의 전면이 단열재 배면에 접하도록 세팅시켜 놓게 된다.
다음으로는 갱폼(300)에 갱폼 타이부재(150)를 설치하고 갱폼 타이부재의 홀더부(152)에 노출된 원터치식 수인서트(170)의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가 삽입 회전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를 간단하게 세팅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단열재(200)의 배면과 이격되도록 내측 철근조립체를 배근하고, 내측 철근조립체와 이격되도록 유로폼(400)을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유로폼(400)으로부터 유로폼 타이부재(160)를 설치하여 수볼트부(161)가 단열재(200) 배면으로부터 노출된 볼트식 암인서트(140)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가 관통하도록 설치된 단열재(200)가 갱폼(300)과 유로폼(400) 사이에 고정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갱폼(300)과 유로폼(400) 및 단열재(200)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되면 갱폼 타이부재(150)와 갱폼(300)을 해체하고,
유로폼 타이부재(160) 머리부를 타격하여 유로폼(400)을 해체함으로서 최종 중단열벽체를 완성시키게 된다.
[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방법: 실시예 4]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그 시공방법의 시공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 실시예 4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
도 5a는 실시예 4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이다.
상기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는 역시 FRP 수지에 유리섬유를 믹싱한 재료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는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 체결플레이트(120), 볼트식 수인서트(130) 및 원터치식 암인서트(180)를 포함한다.
이에 먼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은 일체로 몰드에 의하여 성형되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에 먼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됨을 알 수 있는데 단열재와 접하는 배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콘크리트와 접하는 전면은 곡선형으로 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파손, 충격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연결봉(110)은 고정플레이트(111)의 배면 중앙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봉 형태의 부재인데 표면에는 격자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몰드에 투입되는 GFRP 양을 줄여 경제적이며 중량을 가볍게 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는 체결플레이트(1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예컨대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체결플레이트(120)가 회전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체결플레이트(120)는 전면과 배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내부홈이 다수 형성되도록 하되 중앙홀에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앙홍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봉의 연결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쪽 볼트식 수인서트(130)는 일단부가 연결봉(110)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노출되는데 상기 노출된 타단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에 갱폼 타이부재(150)의 암볼트부(151)가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쪽 원터치식 암인서트(180)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노출되는데 상기 노출된 단부의 홀더부(181)에 유로폼 타이부재(160)의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162)가 삽입 후 회전되어 간단하게 체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연결봉(110) 내부에 위치하는 볼트식 수인서트(130)와 원터치식 암인서트(180)의 일단부는 볼트머리부등으로 형성시켜 콘크리트 측압에 의한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하는 고정구 형성 역할을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4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시공방법 ]
도 5b는 실시예 5에 의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즉, 중단열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갱폼(300)을 먼저 설치하고 외측 철근조립체를 배근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갱폼(300) 전면쪽으로 외측 철근조립체와 이격되도록 단열재(2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단열재(200)에는 수평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앞서 살펴본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이 상기 수평홀에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고정플레이트(111)의 배면은 단열재(200)의 전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단열재(200)의 수평홀을 관통하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는 단열재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에 돌출된 연결단부에 체결플레이트(120)를 체결시켜 체결플레이트(120)의 전면이 단열재 배면에 접하도록 세팅시켜 놓게 된다.
다음으로는 갱폼(300)으로부터 갱폼 타이부재(150)를 설치하여 암볼트부(151)에 노출된 볼트식 수인서트(130)의 타단부가 체결되도록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를 간단하게 세팅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단열재(200)의 배면과 이격되도록 내측 철근조립체를 배근하고, 내측 철근조립체와 이격되도록 유포폼(400)을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유포폼(400)에 유로폼 타이부재(160)를 설치하여 걸림홈이 형성된 수볼트부(162)가 단열재(200) 배면으로부터 노출된 원터치식 암인서트(180)의 홀더부(181)에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가 단열재를 관통하여 갱폼(300)과 유로폼(400) 사이에 고정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갱폼(300)과 유로폼(400) 및 단열재(200)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되면 갱폼 타이부재(150)와 갱폼(300)을 해체하고,
유로폼 타이부재(160) 머리부를 타격하여 유로폼(400)을 해체함으로서 최종 중단열벽체를 완성시키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110: 고정플레이트가 일체화된 연결봉
111: 고정플레이트
120: 체결플레이트 130: 볼트식 수인서트
140: 볼트식 암인서트 141: 삽입홈
150: 갱폼 타이부재 151: 암볼트부
152: 홀더부 160: 유로폼 타이부재
161: 수볼트부 162: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
170: 원터치식 수인서트 180: 원터치식 암인서트
200: 단열재 300: 갱폼
400: 유로폼

Claims (8)

  1. 갱폼과 유로폼 사이에 설치된 단열재를 관통하여 갱폼과 유로폼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합성폼타이로서,
    단열재(200) 전면에 고정플레이트(111)의 배면이 접하도록 수평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단열재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 상기 돌출된 연결봉의 연결단부에 조립 설치되어 단열재 배면에 전면이 접하도록 설치된 체결플레이트(12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연결봉의 연결단부에 직접 매립되어 갱폼 타이부재(150)와 유로폼 타이부재(160)와 연결되는 인서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 체결플레이트(120)는 GFRP 재질로 제작되어 중단열 벽체의 열교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1)는 단열재와 접하는 배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콘크리트와 접하는 전면은 곡선형으로 형성된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110)은 고정플레이트(111)의 배면 중앙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봉 형태의 부재로서 표면에 격자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는 체결플레이트(1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체결플레이트(120)가 회전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플레이트(120)는 전면과 배면이 수직면으로 형성되며 내부홈이 형성된 원판형으로서 중앙홀에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가 삽입 체결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고정플레이트(111)쪽에 설치되는 볼트식 수인서트(130)와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에 설치되는 볼트식 암인서트(140)로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쪽 볼트식 수인서트(130)는 일단부가 연결봉(110)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타단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에 갱폼 타이부재(150)의 암볼트부(151)가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 쪽 볼트식 암인서트(140)는 연결봉(110) 내부에 일단부가 매립되고 연결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노출되며, 상기 타단부는 내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삽입홈(14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홈(141)에 유로폼 타이부재(160)의 수볼트부(161)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고정플레이트(111)쪽에 설치되는 원터치식 수인서트(170)와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에 설치되는 원터치식 암인서트(180)로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쪽 원터치식 수인서트(170)는 걸림홈(G)이 형성된 일단부가 연결봉(110) 내부에 매립되며,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노출되며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를 포함하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갱폼 타이부재(150)의 연결단부에 형성된 홀더부(152)에 상기 원터치식 수인서트(170)의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를 삽입시킨 후 회전하여 홀더부(152) 내부에 걸려져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쪽 원터치식 암인서트(180)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노출되는데 상기 노출된 단부의 홀더부(181)에 유로폼 타이부재(160)의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162)가 삽입 후 회전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고정플레이트(111)쪽에 설치되는 원터치식 수인서트(170)와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에 설치되는 볼트식 암인서트(140)로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쪽 원터치식 수인서트(170)는 걸림홈(G)이 형성된 일단부가 연결봉(110) 내부에 매립되며,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노출되며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를 포함하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갱폼 타이부재(150)의 연결단부에 형성된 홀더부(152)에 상기 원터치식 수인서트(170)의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를 삽입시킨 후 회전하여 홀더부(152) 내부에 걸려져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쪽 볼트식 암인서트(140)는 연결봉(110) 내부에 일단부가 매립되고 연결단부로부터 타단부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노출되며, 상기 타단부는 내측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삽입홈(14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홈(141)에 유로폼 타이부재(160)의 수볼트부(161)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고정플레이트(111)쪽에 설치되는 볼트식 수인서트(130)와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에 설치되는 원터치식 암인서트(180)로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쪽 볼트식 수인서트(130)는 일단부가 연결봉(110) 내부에 매립되어 고정플레이트(111)를 관통하여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타단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부에 갱폼 타이부재(150)의 암볼트부(151)가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봉(110)의 연결단부쪽 원터치식 암인서트(180)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A)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노출되는데 상기 노출된 단부의 홀더부(181)에 유로폼 타이부재(160)의 걸림홈이 형성된 타단부(162)가 삽입 후 회전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7. 건축물의 외벽에 갱폼(300)을 먼저 설치하고 상기 갱폼(300) 배면쪽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단열재(200)에 제 1항의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를 설치하고,
    갱폼(300)에 갱폼 타이부재(160)를 설치하여 상기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에 매립된 인서트에 연결시키고,
    상기 단열재(200)의 전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유로폼(400)에 유로폼 타이부재(160)를 설치하여 상기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에 매립된 인서트에 연결시켜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100)가 단열재(200)를 관통하여 갱폼(300)과 유로폼(400) 사이에 고정 세팅되도록 하고,
    이에 갱폼(300)과 유로폼(400) 및 단열재(200) 사이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되면 갱폼 타이부재(150)와 갱폼(300)을 해체하고,
    유로폼 타이부재(160) 머리부를 타격하여 유로폼(400)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200)에는 수평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고정플레이트(111)가 일체화된 연결봉(110)이 상기 수평홀에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고정플레이트(111)의 배면은 단열재(200)의 전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단열재(200)의 수평홀을 관통하는 연결봉(110)의 연결단부는 단열재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돌출된 연결단부에 체결플레이트(120)를 체결시켜 체결플레이트(120)의 전면이 단열재 배면에 접하도록 세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20130159218A 2013-12-19 2013-12-19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441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218A KR101441399B1 (ko) 2013-12-19 2013-12-19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218A KR101441399B1 (ko) 2013-12-19 2013-12-19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399B1 true KR101441399B1 (ko) 2014-09-24

Family

ID=5176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218A KR101441399B1 (ko) 2013-12-19 2013-12-19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39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111A1 (ko) * 2016-03-29 2017-10-05 주식회사 이지아이비스 건식마감이 용이한 외단열 일체형 단열블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89264B1 (ko) 2018-06-26 2018-08-16 박건동 중단열벽체 시공용 거푸집구조
KR101990217B1 (ko) 2017-12-13 2019-06-17 정진 중단열벽체 시공구조
KR101991673B1 (ko) 2018-10-12 2019-06-21 이지범 중단열벽체 시공용 거푸집구조
KR20190070435A (ko) 2017-12-13 2019-06-21 정진 중단열벽체용 단열재고정구
KR20200001389U (ko) * 2018-12-17 2020-06-25 박시환 경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스페이서
KR20200076117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이지아이비스 건축용 중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30046520A (ko) 2021-09-30 2023-04-06 박명숙 중단열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 고정장치
KR102588136B1 (ko) 2023-01-25 2023-10-16 주식회사 미트하임 시공성, 단열성능, 디자인성이 개선된 건축물의 열교차단 중단열재 및 양면 노출 콘크리트 벽체에 패턴이 형성된 건축물의 열교차단 중단열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472A (ja) 2001-06-25 2003-01-08 Chukei Obata 間隔保持部材取付具および型枠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472A (ja) 2001-06-25 2003-01-08 Chukei Obata 間隔保持部材取付具および型枠構造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111A1 (ko) * 2016-03-29 2017-10-05 주식회사 이지아이비스 건식마감이 용이한 외단열 일체형 단열블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10415236B2 (en) 2016-03-29 2019-09-17 Ezibs Co., Ltd. Outer insulation integrated insulating block system easy to dry-finish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by
KR101990217B1 (ko) 2017-12-13 2019-06-17 정진 중단열벽체 시공구조
KR20190070435A (ko) 2017-12-13 2019-06-21 정진 중단열벽체용 단열재고정구
KR101889264B1 (ko) 2018-06-26 2018-08-16 박건동 중단열벽체 시공용 거푸집구조
KR101991673B1 (ko) 2018-10-12 2019-06-21 이지범 중단열벽체 시공용 거푸집구조
KR20200001389U (ko) * 2018-12-17 2020-06-25 박시환 경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스페이서
KR200492750Y1 (ko) * 2018-12-17 2020-12-04 주식회사 운진하이텍 경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스페이서
KR20200076117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이지아이비스 건축용 중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30046520A (ko) 2021-09-30 2023-04-06 박명숙 중단열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 고정장치
KR102588136B1 (ko) 2023-01-25 2023-10-16 주식회사 미트하임 시공성, 단열성능, 디자인성이 개선된 건축물의 열교차단 중단열재 및 양면 노출 콘크리트 벽체에 패턴이 형성된 건축물의 열교차단 중단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399B1 (ko) 중단열벽체용 합성폼타이 및 이를 이용한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CA2843166C (en) Laser configured hook column anchors and anchoring systems utilizing the same
US7752819B2 (en) Assemblage concrete system and methods of constructing thereof
US20110099932A1 (en) Panel interlocking system
KR101214980B1 (ko)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585942B1 (ko)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CN212866401U (zh) 一种便携式保温结构一体化连接件
JP2016501330A (ja) 鋳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鋳型設置方法
KR101253253B1 (ko) 프리캐스트 벽체와 갱폼을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101679316B1 (ko) 단열재폼 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KR101463222B1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 구조체
KR101312992B1 (ko) 소프트 갱폼과 폼타이를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US20150354234A1 (en) Flat tie and method of constructing form using flat tie and nonmetallic form board
KR101292523B1 (ko) 합성 폼타이를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KR20160062785A (ko) 단열 내력패널과 이의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546909B1 (ko) 무용접 날개석빔 트러스
KR201300746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직 전단 연결재
KR102452514B1 (ko) 단열재가 구비된 건축물 일체형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4623A (ko) 조립식 거푸집패널
KR101366503B1 (ko) 콘크리트 측압 저항성능이 증진된 현장타설형 중단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101559919B1 (ko) 삽입돌기형 스페이서가 구비된 단열데크플레이트
KR101286016B1 (ko) 편심 파형 에프알피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현장 중단열벽체 및 그 시공방법
JP4916693B2 (ja) コンクリート壁と断熱パネ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具
KR101679321B1 (ko) 타이 수평 직조립형 단열재폼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