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047B1 -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047B1
KR101441047B1 KR1020080089354A KR20080089354A KR101441047B1 KR 101441047 B1 KR101441047 B1 KR 101441047B1 KR 1020080089354 A KR1020080089354 A KR 1020080089354A KR 20080089354 A KR20080089354 A KR 20080089354A KR 101441047 B1 KR101441047 B1 KR 101441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ver
rotation
pie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0416A (en
Inventor
모정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9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047B1/en
Publication of KR2010003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4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0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10)와, 상기 제1커넥터(10)와 상대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레버(30)와, 상기 레버(30)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10)에 결합되는 제2커넥터(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버(30)의 외면에는 상기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20)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걸이편(38)이 구비되어, 상기 레버(30)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일정한 각도로 가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40)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삽입공간(S)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편(38)의 일단을 눌러 상기 레버(30)의 가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고, 또한 상기 제2커넥터(40)의 누름편(47)은 상기 레버(30)의 일측을 눌러 상기 레버(30)를 회전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A lever 3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0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the first connector 10; a second connector 10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0 by the lever 30; And a connector (40). The lever 30 is provided at its outer surface with a hook piece 38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engagement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Is selectively hook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emporarily fixed at an angle. When the second connector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 of the first connector 10, one end of the hook piece 38 is pushed in to fix the lever 30 in a fixed state And the pushing piece 47 of the second connector 40 pushes one side of the lever 30 to move the lever 30 to a rotatable position.

레버타입커넥터어셈블리, 레버, 가고정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lever,

Description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Lever-type connector assembly}Lever-type connector assembly < RTI ID = 0.0 >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를 이용하여 두 커넥터 사이를 결합시키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for coupling between two connectors using a lever.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한 쌍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여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커넥터에 설치되는 터미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간의 결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도 역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에는 레버를 이용하여 커넥터들이 지렛대의 원리로 결합되는 레버타입 커넥터가 사용되었다.Generally, a connector assembly is one in which a pair of connecto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of terminals installed in each of them. As the number of terminals installed in the connector increases, the magnitude of the force required to perform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also increases. Therefore, a lever-type connector is used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talled in the connector, wherein the connector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lever principle using levers.

도 1에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편의상 레버(3)가 설치되는 커넥터를 제 1 커넥터(2), 상기 제 1 커넥터(2)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제 2 커넥터(5)라 칭하도록 한다.For convenience, the connector on which the lever 3 is mounted is referred to as a first connector 2, and the connector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2 is referred to as a second connector 5.

상기 제 1 커넥터(2)는 차량의 도어 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레버(3)는 상기 제 1 커넥터(2)의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레버(3)에는 회전공(3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공(3a)이 상기 회전축(2')에 의 해 관통된다. The first connector 2 is coupled to a door side of the vehicle,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not shown) are installed therein. As shown in FIG. 1, the lever 3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rotation axis 2 'of the first connector 2. As shown in FIG. More precisely, the lever 3 is provided with a rotating hole 3a so that the rotating hole 3a is penetrated by the rotating shaft 2 '.

상기 레버(3)의 외측면에는 결합채널(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3')은 후술할 제 2 커넥터(5)의 결합보스(5")를 안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2,5)의 결합을 안내한다.A coupling channel 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ver 3. The coupling channel 3 'guides the coupling boss 5 "of the second connector 5 to be described later and guides the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 5.

상기 제2커넥터(5)는 차량의 본체 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차량의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2)와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 2 커넥터(5)에는 상기 제 1 커넥터(2)의 터미널과 결합되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 2 커넥터(5)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커넥터(2)가 설치되는 삽입공간(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5')의 내면에는 상기 결합채널(3')에 의해 안내되는 결합보스(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second connector 5 is installed on the body side of the vehicle, and is more precisely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or 2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a panel (not shown) of the vehicle. A plurality of terminals (not shown) to be coupled to the terminals of the first connector 2 are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or 5 and the first connector 2 is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or 5 An insertion space 5 'to be installed is formed. A coupling boss 5 "guided by the coupling channel 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space 5'.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2,5)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가 상기 제 1 커넥터(2)를 상기 제 2 커넥터(5)의 삽입공간(5')에 밀어넣으면, 상기 레버(3)의 결합채널(3')에 상기 제 2 커넥터(5)의 결합보스(5")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레버(3)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채널(3')에 의해 상기 결합보스(5")가 안내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2,5)가 결합된다.When the operator first pushes the first connector 2 into the insertion space 5 'of the second connector 5, the operation of join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 The coupling boss 5 '' of the second connector 5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channel 3 'of the first connector 3. When the lever 3 is rotated in this state, the coupling channel 3' The engaging boss 5 "is guided to engag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 5.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nnector assembly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제1커넥터(2)가 상기 제2커넥터(5)와 결합되기에 앞서, 상기 레버(3)는 상기 제1커넥터(2)와 적절한 각도를 이룬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레버(3)의 결합채널(3')의 입구부(3'')가 상기 제2커넥터(5)의 결합보 스(5'')를 향하도록 상기 레버(3)의 각도가 조절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2,5)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커넥터(5)의 결합보스(5'')가 상기 결합채널(3') 내부로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ior to the engagement of the first connector 2 with the second connector 5, the lever 3 must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angle with the first connector 2. More precisely the angle of the lever 3 so that the inlet 3 '' of the coupling channel 3 'of the lever 3 faces the coupling boss 5' 'of the second connector 5, . This allows the coupling bosses 5 '' of the second connector 5 to be natural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channel 3 'in the course of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 It is for this reason.

하지만, 상기 레버(3)는 상기 제1커넥터(2)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이므로 조립과정이나 운송과정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레버(3)가 임의로 회전될 수 있어, 작업자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2,5)의 조립에 앞서 상기 레버(3)의 각도를 조절해야 하고, 이에 따라 작업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lever 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2, the lever 3 can be arbitrarily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during assembly or transporta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ngle of the lever 3 prior to assembl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 and 5, thereby complicating the opera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돌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레버(3)가 상기 제2커넥터(2)에 가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2,5)의 조립에 앞서 상기 레버(3)가 제1커넥터(2)에 가고정된 상태를 해제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lever 3 may be fixed to the second connector 2 through a structure such as a fixing protrusion (not shown).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 5, the lever 3 needs to be released from the first connector 2,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workpieces.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2)와 제2커넥터(5)가 자동차의 도어와 차체 사이와 같이 협소한 장소에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커넥터(5)의 결합보스(5'')가 상기 레버(3)의 결합채널(3')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first connector 2 and the second connector 5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narrow place such as between the vehicle door and the vehicle body, the engaging boss 5 '' of the second connector 5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onfirm whether or not it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channel 3 'of the lever 3.

만일, 상기 결합채널(3') 내부에 상기 결합보스(5'')가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3)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레버(3)는 상기 제2커넥터(5)를 상기 제1커넥터(2) 방향으로 당겨주지 못한 채로 회전되어 제1커넥터(2)에 고정되므로, 커넥터 사이에 불완전 결합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f the lever 3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boss 5 '' is not correct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channel 3 ', the lever 3 is moved to the second connector 5' Since the first connector 2 is rotated without being pulled toward the first connector 2, it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2, thereby incomplete coupling occurs between the connectors.

또한 작업자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2,5) 사이가 결합되지 않았음을 감지 한다 하더라도, 작업자는 레버(3)를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2커넥터(5)의 결합보스(5'')를 레버(3)의 결합채널(3') 내부로 삽입하고, 레버(3)를 회전시켜 두 커넥터(2,5)사이를 결합시켜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Even if the worker senses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 5 are not engaged, the worker moves the lever 3 to the engagement bosses (not shown) of the second connector 5 5 ''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channel 3 'of the lever 3 and the lever 3 is rotated to connect the two connectors 2 and 5 together, the assembling work becomes very troublesome .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가 커넥터에 일정 각도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대커넥터의 삽입과 함께 레버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lever is coupled to the connector at a certain angle and to allow the lever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insertion of the mating connec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에 상대커넥터가 어느 정도 삽입됨에 따라 레버가 이동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레버와 상대커넥터 사이의 오조립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lever to be moved as the mating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to a certain extent so that the operator can sense misassembly between the lever and the mating connector.

삽입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커넥터와,A first connector formed with an insertion space opened to one side,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와,A second connecto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or,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제2커넥터를 제1커넥터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And a lever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guiding the second connector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through rotation,

상기 레버에는 탄성변형가능한 걸이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에 일정한 위치로 가고정되고,Wherein the lever is provided with a resiliently deformable hook piece so as to be selectively hook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so that the lever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제2커넥터에는 고정해제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걸이편의 일단을 눌러 레버가 제1커넥터에 가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고, 누름편이 구비되어 가고정된 상태가 해제된 상기 레버의 일측을 눌러 상기 레버를 회전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킨다.The second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fixed release portion to release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by pressing one end of the hook in the coupling process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presses one side of the lever to move the lever to a rotatable position.

상기 레버에는 회전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내면에는 상기 회전슬롯에 대응되는 회전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lever is formed with a rotation slot, and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rotation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lot, and the le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상기 레버에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가이드채널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커넥터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제공받는다.A guide channel is formed in the lever and a guid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channel is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or to receive a force to be pulled toward the first connecto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상기 걸이편은 상기 레버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외팔보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내면에 형성된 걸이채널에 걸어진다.The hook piece extends in a cantilevered manner from one side of the lev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ngag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nd is hooked on the hook channel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상기 제2커넥터의 외면에는 고정해제부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걸이채널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걸이편을 탄성변형시킨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a disengaging portion extends along the direction of enga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to be inserted into the hooking channel to elastically deform the hooking piece of the lever.

상기 걸이편이 형성된 위치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내면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가고정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일측에 걸어져 상기 레버의 회전을 방지한다.And one end of the lever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hook piece is provided with a tongue piece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to be hook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to prevent rotation of the lever.

상기 가고정편은 상기 레버에 연결되는 연결브릿지와, 상기 연결브릿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커넥터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커넥터의 고정공에 걸어지고 외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connection bridge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hooked to the fixing hole of the first connector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

상기 가고정편의 돌출부는 그 돌출된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는 사각뿔대형상 또는 원뿔대 또는 반구형상이다.The protrusions of the temporary fixtures ar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horn or a truncated cone or a hemispherical shape in which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becomes smaller toward the projected tip.

상기 레버의 회전경로를 따라 상기 가고정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체결편이 구비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되면 상기 체결편은 상기 제1커넥터의 고정공에 걸어진다.A fastening piece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iece along the rotation path of the lever. When the lever is rotated, the fastening piece is hook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irst connector.

상기 누름편은 상기 제2커넥터의 외면에 탄성변형가능한 외팔보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의 삽입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의 경사면을 탄성으로 밀어준다.The pushing piece is provided in a cantilever shape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elastically pushe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ever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econd connector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상기 레버의 회전슬롯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의 누름편이 상기 레버의 경사면을 눌러 레버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1커넥터의 회전돌기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회전부의 일단으로 이동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가능상태가 된다.Wherein the rotation slot of the lever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coupl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lever, And a rotation part formed to exten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or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lever. When the pushing piece of the second connector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ever to move the lever, the rotation protrusion of the first connector moves from the seating part to the rotation part So that the lever is in a rotatable state.

상기 회전슬롯은 상기 가이드채널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회전슬롯에 대응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The rotation slo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channel, and the rotation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slots.

상기 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의 삽입공간의 양측 내면에 접하고 상기 회전슬롯 및 결합채널이 형성되는 한 쌍의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작동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ever includes a pair of actuating plates contacting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insertion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having the rotation slots and the engagement channels, and a connection plate connecting between the actuating plates.

상기 제2커넥터의 누름편에 의해 눌리는 상기 레버의 경사면 일단에는 분리방지편이 상기 걸이편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는 상기 분 리방지편에 대응되는 분리방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지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걸어진다.A detachment prevention member is provided on one end of an inclined surface of the lever which is pressed by the pressing piece of the second connector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hook piece and a separation prevent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is formed on the first connector, At least a part of the prevention member is inserted and hooked.

상기 분리방지편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도록 두 갈래로 나뉘어져 구비되고, 상기 두 갈래의 분리방지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분리방지공 가장자리에 걸어진다.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is divided into two parts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and a fixing protrusion is protru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ifurcated separation preventing pieces to be hooked on the edg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hole of the first connector .

상기 가이드채널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가이드돌기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선단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돌기를 레버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Wherein the guide channel includes a guid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enga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nd guiding inse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 guide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ip of the guide portion, And a latching par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to the guide projection.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서는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와 결합되기에 앞서, 레버가 제1커넥터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가고정됨과 동시에,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회전가능위치로 이동되므로 조립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second connector is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or, the lever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nector is naturally moved to the rotatable posi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econd connector. There is an improving effect.

특히, 본 발명에서는 레버의 가고정편과 걸이편이 각각 제1커넥터에 걸어져 레버가 적어도 2방향 이상에서 제1커넥터에 가고정되므로, 레버의 가고정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ngue piece and the hook piece of the lever are respectively hooked to the first connector, the lever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in at least two directions, so that the tilting of the lever can be more reliably perform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2커넥터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레버의 위치가 이동 되므로, 작업자는 이를 통해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정확하게 삽입되었음을 감지하고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어, 커넥터 사이가 오조립되거나 재조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lever is moved during the inse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the operator can sense that the second connector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and rotate the l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reassembly.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essential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는 크게 제1커넥터(10)와 레버(30), 그리고 제2커넥터(40)로 구성되는데, 이하에서 차례로 살펴보기로 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is largely composed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leve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which will be described in order below.

상기 제1커넥터(10)의 골격은 제1하우징(1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도 2에서 보듯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는 터미널수납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수납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실장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수납부에는 랜스(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을 걸어 고정시키게 된다. The skeleton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formed by the first housing (11). As shown in FIG. 2, the first housing 11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not shown)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1, and a terminal (not shown) is mounted o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At this time, a lanc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so that the terminal is fixed by hanging.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삽입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S)은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40)의 제2하우징(41) 이 삽입된다. 상기 삽입공간(S)은 상기 터미널수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An insertion space S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1. The insertion space S is formed to open to one side, and the second housing 41 of the second connector 4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The insertion space S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걸이채널(13)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13)은 상기 제1하우징(11)에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의 결합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그 선단에는 후술할 레버(30)의 걸이편(39)이 걸어지고(도 4참조),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10)의 고정해제부(49)가 삽입된다. As shown in FIG. 2, the first housing 11 has a hooking channel 13 formed therein. The hooking channel 13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1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See Fig. 4), and the unlocking portion 49 of the second connector 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는 고정공(1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공(15)은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30)의 가고정편(38) 또는 체결편(37)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공(15)은 상기 삽입공간(S)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나,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관통되지 않고 제1하우징(11)의 내면이 요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A fixing hole (15)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1). The fixing hole 15 is a portion to which the tongue piece 38 or the fastening piece 37 of the lever 30 to be described below is hook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hole 15 is formed to penetrate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space S, but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without being formed in any one side or penetrating.

상기 삽입공간(S)에는 회전돌기(16)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돌기(16)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면이 삽입공간(S)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30)의 회전슬롯(36)에 삽입되어, 레버(30)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돌기(16)는 이격되어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The insertion space (S) is provided with a rotation projection (16). The rotation protrusion 16 is formed by protru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toward the insertion space S and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slot 36 of the lever 30 to be described below, 30 are rotatably suppor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projections 1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에는 플랜지(18)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18)는 상기 제1커넥터(10)가 차량의 패널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만일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가 차량의 패널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18'는 걸이돌기로, 패널에 형성된 패널공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부분이다.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is provided with a flange 18. The flange 18 allows the first connector 10 to be mounted on the panel of the vehicle and i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not installed on the panel of the vehicle May be omitted. Reference numeral 18 'denotes a hooking protrusion, which is hooked to a panel ball edge formed on the panel.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에는 분리방지공(19)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방지공(19)은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30)의 분리방지편(33)이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두 개가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a separation preventing hole 19 is formed. The detachment hole 19 is a portion where the detachment preventing piece 33 of the lever 3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1커넥터(10)에는 제1터미널지지구(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터미널지지구(20)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지지구삽입공(17)을 통해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수납부(11') 내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터미널지지구(20)에는 고정돌기(25)가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터미널이 상기 제1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22는 손잡이부이다.The first connector (10) is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support (20). The first terminal support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11 through the support hole 17 of the first housing 11 so as to hang on one side of the terminal, So that it can be more stably fixed in the inner wall 11 '. That is, the first terminal support 20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25 to support one side of the terminal so as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11.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handle.

다음으로, 레버(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레버(30)는 상기 제1커넥터(1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회전을 통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의 결합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레버(30)는 제2커넥터(40)를 상기 제1커넥터(10) 방향으로 당겨주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 사이가 완전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Next, the lever 30 will be described. The lever 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0 to assist in coupling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through rotation. More precisely, the lever 30 pulls the second connector 4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fully engaged.

상기 레버(30)의 골격은 판상의 작동플레이트(31)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32)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플레이트(3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하우징(11)의 삽입공간(S)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된다.The skeleton of the lever 30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actuating plate 31 and a connecting plate 32 connecting the plate 30 and the actuating plate 31. The operation plates 31 are formed as a pair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insertion space S of the first housing 11.

상기 작동플레이트(31)의 일단에는 분리방지편(33)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방지편(33)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분리방지공(19)에 삽입되어, 레버(30)가 상기 제 1하우징(11)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분리방지편(33)은 그 선단이 두 갈래로 형성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방지편(33)의 두 갈래의 선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고정돌기(33')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33')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분리방지공(19)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상기 분리방지편(33)이 분리방지공(19)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At one end of the actuating plate 31, a detachment preventing member 33 is provided. The detachment preventing piece 33 is inserted into the detachment preventing hole 19 of the first housing 11 so that the lever 3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11. The distal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iece 33 is formed in a bifurcated shape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l end is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 fixing protrusion 33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wo distal ends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iece 33. The fixing protrusion 33 'is hooked on the edge of the detachment hole 19 of the first housing 11 to prevent the detachment preventing member 33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detachment hole 19.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31)에는 가이드채널(3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3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40)에 구비된 가이드돌기(45)를 안내하고, 레버(30)가 회전되면 가이드돌기(45)를 당겨 제2커넥터(40)가 제1커넥터(1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4, a guide channel 35 is formed in the actuating plate 31. The guide channel 35 guides the guide protrusion 45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or 40 to be described below. When the lever 30 is rotated, the guide protrusion 45 is pulled and the second connector 40 To move toward the first connector 10.

상기 가이드채널(35)은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40)의 결합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2커넥터(40)의 가이드돌기(45)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35')와, 상기 안내부(35')에 연결된 걸림부(35'')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부(35')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가이드돌기(45)가 쉽게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된 가이드돌기(45)를 상기 걸림부(35'')까지 안내하게 된다. The guide channel 35 includes a guide 35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engagement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nd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45 of the second connector 40, And a latching portion 35 '' connected to the guide portion 35 '. 5, the leading end of the guide 35 'is formed to be open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45 can be easily inserted, and the guide protrusion 45 inserted into the guide 35' .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안내부(35')와 걸림부(35'')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대략 'L'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제2커넥터(40)의 가이드돌기(45)가 걸림부(35'')에 걸어지면 레버(30)가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돌기(45)는 레버(30)에 의해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채널(35)의 안내부(35')는 상기 작동플레이트(31)에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35'')는 상기 작동플레이트(31)를 관통하여 형성되나, 상기 안내부(35') 역시 작동플레이트(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More precisely, the guide portion 35 'and the engaging portion 3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ubstantially L shape. That is, when the guide protrusion 45 of the second connector 40 is hooked on the latching portion 35 '', the guide protrusion 45 is subjected to the force pulled by the lever 30 as the lever 30 is rotated . In this embodiment, the guiding portion 35 'of the guide channel 35 is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actuating plate 31, and the engaging portion 35' 'is formed through the actuating plate 31 , The guide portion 35 'may also be formed through the actuating plate 31.

상기 작동플레이트(31)에는 회전슬롯(36)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슬롯(36)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회전돌기(16)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작동플레이트(3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A rotation slot 36 is formed in the actuating plate 31. The rotation slot 36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rotation protrusion 16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inserted and is formed through the actuating plate 31 as shown in FIG.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전슬롯(36)은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40)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부(36a',36b')와, 상기 안착부(36a',36b')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회전부(36a'',36b'')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36a',36b')는 그 내부에 상기 회전돌기(16)가 안착되어 레버(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회전부(36a'',36b'')는 상기 회전돌기(16)가 그 내부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레버(30)의 회전이 안내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36a'',36b'')는 직선경로를 따라 형성되나, 곡선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도 있다. More precisely, the rotation slot 36 includes a seating portion 36a ', 36b'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 36b' 'extending in an obliqu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rotation 36a' ', 36b' '. The seating portions 36a 'and 36b' serve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lever 30 due to the rotation protrusion 16 being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s 36a 'and 36b' And the projection (16) is moved along the inside thereof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lever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ry parts 36a '' and 36b '' are formed along a straight line, but they may be curved.

상기 회전슬롯(36)은 상기 하나의 작동플레이트(31)에 쌍을 이루어 두 개(36a,36b)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두 회전돌기(16a,16b)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두 회전슬롯(36a,36b)은 상기 가이드채널(3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rotation slot 36 is provided with two pairs 36a and 36b on the one actuating plate 31. The two rotation slots 36a and 36b correspond to the two rotation projections 16a and 16b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two rotation slots 36a and 36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guide channel 35 therebetween.

상기 작동플레이트(31)에는 체결편(37)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편(37)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고정공(15)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되어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다. 즉, 상기 체결 편(37)은 상기 레버(30)가 회전되어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40)가 완전히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공(15)에 삽입되어 레버(30)가 임의로 반대방향으로 다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operation plate 31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iece 37. The fastening piece 37 is a part of the fastening piece 15 of the first connector 10 which is cantilevered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 That is, the fastening piece 37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5 when the lever 30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fully engaged, It is prevented from rotating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작동플레이트(31)에는 가고정편(38)이 구비된다. 상기 가고정편(38)은 상기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40) 사이가 결합되기에 앞서, 상기 레버(3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가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actuating plate 31 is provided with a tongue piece 38. Before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engaged, the lever 30 is moved to the first connector 1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as shown in the drawing.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고정편(38)은 상기 작동플레이트(31)에 연결되는 연결브릿지(38a)와, 상기 연결브릿지(38a)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커넥터(10)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8b)로 구성된다. 상기 가고정편(38)은 상기 돌출부(38b)가 형성된 선단이 상기 제1커넥터(10)의 고정공(15)을 향해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대략 외팔보 형상으로 된다.2, the fixed piece 38 includes a connection bridge 38a connected to the actuating plate 31 and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10 from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on bridge 38a. And a protruding portion 38b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FIG. The fixed piece 38 has a substantially cantilevered shape so that the tip of the protruding portion 38b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fixing hole 15 of the first connector 10.

즉, 상기 가고정편(38)의 돌출부(38b)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고정공(15)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3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가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projecting portion 38b of the fixed piece 38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5 of the first connector 10 so that the lever 30 can be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10 will be.

이때,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돌출부(38b)는 그 돌출된 선단을 향할수록 횡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돌출부(38b)의 외면에는 경사면(A,A',B,B')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8b)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고정공(15)에 비교적 쉽게 삽입되고 또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된다. 이는 상기 레버(3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가고정되기는 하나, 이를 해제하기 위한 힘이 커지지는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the protruding portion 38b is formed so that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becomes smaller toward the protruding tip end. More precisely, the inclined surfaces A, A ', B and B'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38b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38b is relatively easi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5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also to be able to escape. This is because the lever 30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10, but the force for releasing the lever 30 is not increas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38b)의 형상은 대략 사각뿔대 형상으로 된다. 즉, 상기 돌출부(38b)를 감싸는 4면이 모두 경사진 평면 형상으로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레버(30)가 제1커넥터(10)에 조립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돌출부(38b)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사면(A)에 의해 가고정편(38)이 자연스럽게 탄성변형되면서 돌출부(38b)가 상기 고정공(1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동시에, 상기 레버(30)의 가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과정에서는, 돌출부(38b)의 좌측에 형성된 경사면(B)에 의해 가고정편(38)이 쉽게 탄성변형되어 돌출부(38b)가 상기 가고정공(15)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돌출부(38b)의 형상은 반드시 사각뿔대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원뿔대 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projecting portion 38b is substantially quadrangular pyramidal. That is, all four surfaces surrounding the protruding portion 38b are inclined. This is because when the lever 30 is assembled to the first connector 10, the inclined plane A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38b elastically deforms the fixed piece 38,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5. At the same time, the tongue piece 38 is easily elastically deformed by the inclined surface B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protrusion 38b in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tongue of the lever 30, 15). Of course, the shape of the projecting portion 38b is not limited to a quadrangular pyramid, and may be formed in a frustum or hemisphere shape.

이때, 상기 가고정편(38)과 상기 체결편(37)은 상기 레버(30)의 회전경로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고정편(38)의 돌출부(38b)가 상기 고정공(15)에 걸어진 상태에서 레버(30)가 회전되면 돌출부(38b)는 상기 고정공(15)에서 빠져나오고, 상기 체결편(37)이 상기 고정공(15)에 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tongue piece 38 and the fastening piece 37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otation path of the lever 30. This is because when the lever 30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38b of the fixed piece 38 is hooked on the fixing hole 15, the protruding portion 38b comes out of the fixing hole 15, 37) can be hooked to the fixing hole (15).

상기 레버(30)의 작동플레이트(31)에는 걸이편(39)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편(39)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채널(13)의 일단 가장자리에 걸어져, 상기 레버(30)의 위치를 가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편(39)의 선단에는 걸이돌기(3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operating plate (31) of the lever (30) is provided with a hook piece (39). The hooking piece 39 is hooked on one edge of the channel 13 of the first connector 1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ever 30. [ To this end, hooking protrusions 39 'protrude from the tip of the hooking piece 39.

상기 걸이편(39)은 상기 분리방지편(33)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팔보형상으로 되고, 상기 걸이편(39)의 하단에는 상기 걸이편(39)의 탄성변형을 위한 변형공간(39'')이 형성된다. The hooking piece 39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has a cantilever shape like the separation preventing piece 33, 39, a deformation space 39 '' for elastic deformation of the hooking piece 39 is formed.

다음으로, 제2커넥터(4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2커넥터(40)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구물로서, 그 골격은 제2하우징(41)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41)은 도 2에서 보듯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41)의 내부에는 터미널수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수납부(41')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실장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수납부(41')에는 랜스(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을 걸어 고정시키게 된다. Next, referring to the second connector 40, the second connector 40 is a device that is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or 1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keleton of the second connector 40 includes a second housing 41, .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housing 41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41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41 and a terminal (not shown) is mounted o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41'. At this time,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41 'is provided with a lance (not shown) so that the terminal is fixed by hanging.

상기 제2하우징(41)의 외면에는 가이드돌기(45)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45)는 상기 레버(30)의 가이드채널(35)에 의해 삽입되어 제2커넥터(4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커넥터(40)가 상기 제1커넥터(1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45)는 상기 제2하우징(41)의 양측 외면에 각각 구비된다.A guide protrusion 45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41. The guide protrusion 45 is inserted by the guide channel 35 of the lever 3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connector 40 and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30, 40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guide protrusions 45 are provid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second housing 41, respectively.

상기 제2하우징(41)의 외면에는 누름편(47)이 구비된다. 상기 누름편(47)은 상기 레버(30)의 작동플레이트(31)에 형성된 경사면(31')을 눌러, 상기 레버(30)를 회전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A pressing piece 47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41. The pushing piece 47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31 'formed on the actuating plate 31 of the lever 30 to move the lever 30 to a rotatable position.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누름편(47)은 상기 제2하우징(41)의 외면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40)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삽입공간(S)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플레이트(31)의 경사면(31')을 탄성으로 눌러주어, 상 기 레버(30)가 상기 제2커넥터(40)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면부호 47'는 상기 작동플레이트(31)의 경사면(31')에 실질적으로 접하는 선단에 해당한다.More precisely, the pushing piece 47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41 so that the second connector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lever 30 is mov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40 by pressing the inclined surface 31 'of the operating plate 31 elastically. Reference numeral 47 'corresponds to a tip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1' of the actuating plate 31.

상기 제2하우징(41)에는 고정해제부(39)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해제부(39)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걸이채널(13)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걸이채널(13)의 일단 가장자리에 걸어진 상기 레버(30)의 걸이편(39)을 눌러 걸이편(39)의 걸어진 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housing 41 is provided with a fixed releasing portion 39. The fixing part 39 is inserted into the hooking channel 13 of the first housing 11 so that the hooking piece 39 of the lever 30 hooked to one end of the hooking channel 13 Thereby releasing the hooking piece 39 from being hooked.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해제부(39)는 상기 누름편(47)이 상기 레버(30)의 경사면(31')을 눌러 레버(30)를 이동시키기에 앞서, 상기 레버(30)의 고정상태를 먼저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More precisely, before the pushing piece 47 pushes the inclined surface 31 'of the lever 30 to move the lever 30, the fixed state of the lever 30 It will be released first.

상기 제2하우징(41)에는 일측에 형성된 지지구삽입공(48)에는 제2터미널지지구(50)가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터미널지지구(50)에는 지지돌기(55)가 구비되어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줌으로써,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수납부(41')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면부호 52는 손잡이부이다.A second terminal support (5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48)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41) to support the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support portion 5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55 so that the terminal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terminal accommodating portion 41 'by hanging one side of the terminal. Reference numeral 52 denotes a handl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이 조립순서도로 도시되어 있다. FIGS. 4 to 7 illustrate a process of assembling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which constitu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ssembly flow chart.

이에 따라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가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 저 작업자는 레버(30)를 제1커넥터(10)에 조립한다. 즉, 상기 레버(30)의 작동플레이트(31)에 형성된 회전슬롯(36)에 상기 제1커넥터(10)의 회전돌기(16)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assembled. First, the operator assembles the lever 30 to the first connector 10. That is, the rotation protrusion 16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slot 36 formed in the operation plate 31 of the lever 30.

이때, 상기 회전돌기(16)는 상기 회전슬롯(36)의 안착부(36a',36b')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회전돌기(16)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된 안착부(36a',36b')의 내면에 걸어져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다. At this time, the rotation protrusion 16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s 36a 'and 36b' of the rotation slot 36. [ The rotation protrusion 16 is hook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s 36a 'and 36b' extending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It can not be done.

이와 동시에 상기 레버(30)에 형성된 가고정편(38)의 돌출부(38b)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고정공(15)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레버(30)는 상기 제1커넥터(10)에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가고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레버(30)의 가이드채널(35)의 안내부(35')의 개구된 선단이 제2커넥터(40)의 가이드돌기(45)를 향하도록 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At the same time, the projecting portion 38b of the tongue piece 38 formed on the lever 30 is hooked on the fixing hole 15 of the first connector 10. In this case, the lever 30 is temporarily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10 at an angle. The open end of the guide portion 35 'of the guide channel 35 of the lever 30 is directed toward the guide protrusion 45 of the second connector 40.

그리고, 상기 레버(30)의 걸이편(39)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걸이채널(13)의 일단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30)는 도 4를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걸이편(39)에 의해 방지되고, 레버(30)의 회전은 상기 가고정편(38)에 의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The hooking piece 39 of the lever 30 is hooked on one edge of the hooking channel 13 of the first connector 10. 4, the movement of the lever 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revented by the hooking piece 39, and the rotation of the lever 30 is prevented by the tongue piece 38.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상기 제1커넥터(10)와 레버(30)로 구성되는 조립체가 이송되거나 보관되더라도 상기 레버(30)가 제1커넥터(10)에 가고정된 상태이므로 외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assembly composed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lever 30 is transferred or stored, the lever 30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10 and is prevented from rotating arbitrarily due to external force .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제2커넥터(40)를 상기 제1커넥터(10)에 조립시킨 다. 상기 제2커넥터(40)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삽입공간(S) 내부로 삽입되는데, 그 과정에서 상기 제2커넥터(40)의 가이드돌기(45)가 상기 레버(30)의 가이드채널(35)의 안내부(35')에 삽입된다. Next, the operator assemble the second connector (40) to the first connector (10). The second connector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guide protrusion 45 of the second connector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35 'of the channel 35.

이때, 상기 가이드채널(35)은 상기 레버(30)의 가고정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돌기(45)를 향해 개구된 상태로 되므로, 작업자는 레버(30)의 각도를 재조정할 필요 없이 제2커넥터(40)를 제1커넥터(10)를 향해 단순히 밀어 넣으면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guide channel 35 is opened toward the guide protrusion 45 due to the tightness of the lever 30,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lever 30, 40 may be simply pushed toward the first connector 10.

상기 가이드돌기(45)가 상기 가이드채널(35)을 따라 이동되면, 상기 제2커넥터(40)에 구비된 고정해제부(49)는 상기 레버(30)의 걸이편(39)의 걸이돌기(39')를 누르게 된다. 이는 상기 고정해제부(49)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걸이채널(13)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걸이편(39)의 선단에 형성된 걸이돌기(39')를 정확하게 눌러주기 때문에 가능해진다. When the guide protrusion 45 is moved along the guide channel 35, the securing portion 49 of the second connector 40 is engaged with the hook protrusion 39 of the hook piece 39 of the lever 30 39 ').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unlocking portion 49 moves along the hooking channel 13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pushes the hooking protrusion 39 'formed on the tip of the hooking piece 39 precisely .

상기 걸이편(39)의 걸이돌기(39')가 제2커넥터(40)의 고정해제부(49)에 의해 눌려져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커넥터(40)의 누름편(47)은 도 5의 화살표①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30)의 경사면(31')에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The hooking protrusion 39 'of the hooking piece 39 is pressed and fixed by the unlocking portion 49 of the second connector 40. At the same time, The lever 4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1 'of the lever 30 while moving along the direction of arrow 1 in Fig. This i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2커넥터(40)를 상기 제1커넥터(10) 방향으로 더욱 밀어 넣으면, 상기 누름편(47)의 선단은 상기 레버(30)의 경사면(31')을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레버(30)는 도 5의 화살표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버(30)는 상기 누름편(47)의 탄성력에 의해 눌려지므로, 보다 확실하게 이동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further pushes the second connector 40 toward the first connector 10, the tip end of the pushing piece 47 pushes the inclined surface 31 'of the lever 30 , So that the lever 3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arrow (2) in FIG. At this time, since the lever 30 is pres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essing piece 47, it can be moved more reliably.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가고정편(38)의 돌출부(38b)는 상기 고정공(15)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져나오게 된다. 이는 상기 레버(38)의 가고정편(38)은 상기 고정공(15)에 삽입된 상태이나, 그 외면에 형성된 경사면(B)으로 인해 고정공(15)으로부터 비교적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process, the protruding portion 38b of the fixed piece 38 naturally escapes from the fixing hole 15. This is because the tongue piece 38 of the lever 38 can be relatively easily removed from the fixing hole 15 due to the inclined surface B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hole 15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5 .

상기 레버(30)가 이동되면 상기 제1커넥터(10)의 회전돌기(16)는 상기 레버(30)의 회전슬롯(36)의 안착부(36a',36b')로부터 빠져나와 회전부(36a'',36b'')의 일단에 위치되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커넥터(40)의 가이드돌기(45)는 상기 레버(30)의 가이드채널(35)을 따라 이동하여 걸림부(35'')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When the lever 30 is moved, the rotation protrusion 16 of the first connector 10 comes out of the seating portions 36a 'and 36b' of the rotation slot 36 of the lever 30, ', 36b' ') and is rotatable. At the same time, the guide protrusion 45 of the second connector 40 moves along the guide channel 35 of the lever 30 and is positioned at the latching portion 35 ''. This is shown in FIG.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레버(30)를 회전시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 사이를 완전히 결합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작업자는 상기 레버(30)의 연결플레이트(32)를 도 6의 화살표③방향으로 눌러주어, 상기 레버(3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30)가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채널(35)의 걸림부(35'')에 걸어진 상기 제2커넥터(40)의 가이드돌기(45)는 걸림부(35'')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2커넥터(40)는 제1커넥터(1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40) 사이는 레버(30)의 회전력에 의해 결합되므로, 커넥터 사이를 직접 결합시키는 것에 비해 결합력이 줄어들게 된다. Next, the operator rotates the lever 30 to fully engage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More precisely, the operator presses the connecting plate 32 of the lever 3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③ of FIG. 6, thereby rotating the lever 30. When the lever 30 is rotated, the guide protrusion 45 of the second connector 40 hooked on the hook 35 '' of the guide channel 35 is rotated by the hook 35 ' And as a result, the second connector 4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coupl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30, the coupling force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direct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한편, 상기 레버(30)가 완전히 회전되면, 상기 레버(30)의 체결편(37)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고정공(15)에 걸어져 외력에 의해 레버(30)가 임의로 다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40) 사이가 결합 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When the lever 30 is fully rotated, the fastening piece 37 of the lever 30 is hooked on the fixing hole 15 of the first connector 10 so that the lever 30 can be moved back It is prevented from rotating. Therefore,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coupled can be firmly maintained.

이와 반대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가 서로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상기 레버(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커넥터(10)의 고정공(15)으로부터 레버(30)의 체결편(37)이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레버(30)가 회전되면 상기 제2커넥터(40)의 가이드돌기(45)는 상기 레버(30)의 걸림부(35'')에 걸어진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커넥터(40)는 제1커넥터(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In contrast,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operator rotates the lever 3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fix the fixing hole 15 of the first connector 10, So that the fastening piece 37 of the lever 30 is separated. When the lever 30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protrusion 45 of the second connector 40 is received by the engaging portion 35 '' of the lever 30,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nector 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4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 완전히 분리시키게 된다. In this state, the operator completely pulls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40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상기 레버(30)를 도 6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밀어, 상기 레버(30)가 도 5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레버(3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다시 가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Finally, the operator pushes the lever 30 to the right with reference to Fig. 6 so that the lever 30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That is, the lever 30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10 again.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ll of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4 to 7 are assembly flowcharts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제1커넥터 11: 제1하우징10: first connector 11: first housing

15: 고정공 16: 회전돌기15: Fixing hole 16: Rotation projection

17: 지지구삽입공 18: 플랜지17: Supporting hole 18: Flange

19: 분리방지공 20: 제1터미널지지구19: Separation prevention ball 20: Terminal 1

30: 레버 31: 작동플레이트30: Lever 31: Operation plate

31': 경사면 35: 가이드채널31 ': slope 35: guide channel

36: 회전슬롯 36a',36b': 안착부36: rotation slot 36a ', 36b'

36a'',36b'': 회전부 37: 체결편36a ", 36b " ': rotation part 37:

38: 가고정편 38a: 연결브릿지38: Going straight < tb > 38a:

38b: 돌출부 39: 걸이편38b: protruding portion 39:

39': 걸이돌기 39'': 변형공간39 ': Hook projection 39' ': Variation space

40: 제2커넥터 41: 제2하우징40: second connector 41: second housing

41': 터미널수납부 43: 누름부41 ': Terminal housing part 43:

45: 가이드돌기 50: 제2터미널지지구45: guide projection 50:

S: 삽입공간 S: insertion space

Claims (16)

삽입공간이 일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커넥터와,A first connector formed with an insertion space opened to one side,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와,A second connecto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or,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커넥터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제2커넥터를 제1커넥터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And a lever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guiding the second connector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through rotation, 상기 레버에는 탄성변형가능한 걸이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에 일정한 위치로 가고정되고,Wherein the lever is provided with a resiliently deformable hook piece so as to be selectively hook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so that the lever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제2커넥터에는 고정해제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걸이편의 일단을 눌러 레버가 제1커넥터에 가고정된 상태를 해제하고, 누름편이 구비되어 가고정된 상태가 해제된 상기 레버의 일측을 눌러 상기 레버를 회전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The second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fixed release portion to release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by pressing one end of the hook in the coupling process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lever is moved to a rotatable position by pressing one side of the le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회전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내면에는 상기 회전슬롯에 대응되는 회전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는 상기 제1커넥터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r is formed with a rotation slot, and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rotation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lot, and the le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Type connector assemb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가이드채널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커넥터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guide channel is formed in the lever, and a guide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channel is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or, so that a force to be pulled toward the first connecto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is provided Characterized by a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편은 상기 레버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외팔보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내면에 형성된 걸이채널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ook piece extends in a cantilevered mann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join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t one side of the lever, Wherein the hook-type connector is hooked to the formed hook channe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외면에는 고정해제부가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걸이채널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레버의 걸이편을 탄성변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has an unlock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to be inserted into the hooking channel to elastically deform the hooking piece of the lever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편이 형성된 위치의 타단에 해당하는 상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내면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가고정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일측에 걸어져 상기 레버의 회전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어셈블리.6.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tongue piece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ver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position where the hook piece is formed, Wherein the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includ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편은 상기 레버에 연결되는 연결브릿지와,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torsion bar comprises a connecting bridge connected to the lever, 상기 연결브릿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커넥터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커넥터의 고정공에 걸어지고 외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front end of the connection bridge toward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hooked to a fixing hole of the first connector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편의 돌출부는 그 돌출된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는 사각뿔대형상 또는 원뿔대 또는 반구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The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rotrusions of the temporary fixture have a rectangular-pyramid shape or a frusto-conical shape or a hemispherical shape in which an area of the cross-sectional surface decreases toward its protruding tip.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경로를 따라 상기 가고정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체결편이 구비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되면 상기 체결편은 상기 제1커넥터의 고정공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9. The lever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fastening piece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iece along the rotation path of the lever, and the fastening piece is hook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irst connector when the lever is rotated Connector assembl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은 상기 제2커넥터의 외면에 탄성변형가능한 외팔보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제1커넥터의 삽입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의 경사면을 탄성으로 밀어 줌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10.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ushing piece is provided in a cantilever shape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ever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econd connector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Wherein the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compris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슬롯은 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rotational slot of the lever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착부와,A seating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join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to prevent rotation of the lever, 상기 안착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And a rotation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seat portion in an inclined manner with respect to a direction of enga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nd to guide rotation of the lever, 상기 제2커넥터의 누름편이 상기 레버의 경사면을 눌러 레버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1커넥터의 회전돌기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회전부의 일단으로 이동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가능상태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When the pushing piece of the second connector presse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ever to move the lever, the rotation protrusion of the first connector is moved from the seating portion to the one end of the rotation portion, so that the lever is rotatable. assembl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슬롯은 상기 가이드채널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회전슬롯에 대응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쌍을 이루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12. The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rotation slo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channel, and the rotation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slots.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lever 상기 제1커넥터의 삽입공간의 양측 내면에 접하고 상기 회전슬롯 및 결합채널이 형성되는 한 쌍의 작동플레이트와,A pair of operating plates contacting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insertion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having the rotation slots and the engagement channels formed therein, 상기 작동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And a connection plate for connecting between the operating plate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누름편에 의해 눌리는 상기 레버의 경사면 일단에는 분리방지편이 상기 걸이편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에는 상기 분리방지편에 대응되는 분리방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지편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14.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is provided on on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ever pressed by the pressing piece of the second connector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hook piece,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detachment preventing member is inserted and hook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편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도록 두 갈래로 나뉘어져 구비되고, 상기 두 갈래의 분리방지편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제1커넥터의 분리방지공 가장자리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15.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is divided into two parts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and a fixing protrusion is projec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two- Wherein the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n edge of an anti-tamper bal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채널은 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가이드돌기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부와,A guid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nd guiding inse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of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안내부의 선단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가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돌기를 레버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And a latch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front end of the guide portion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to the guide protrusion when the lever is rotated.
KR1020080089354A 2008-09-10 2008-09-10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KR1014410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354A KR101441047B1 (en) 2008-09-10 2008-09-10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354A KR101441047B1 (en) 2008-09-10 2008-09-10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416A KR20100030416A (en) 2010-03-18
KR101441047B1 true KR101441047B1 (en) 2014-09-17

Family

ID=4218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354A KR101441047B1 (en) 2008-09-10 2008-09-10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04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70A (en) * 1997-07-01 1999-01-29 Yazaki Corp Lever-fitting type connector
US6183277B1 (en) * 1998-09-10 2001-02-06 Yazaki Corporation Lever fitting-type connector
JP2002093543A (en) 2000-09-14 2002-03-29 Sumitomo Wiring Syst Ltd Assembling jig of connector having auxiliary lever
JP2003068397A (en) 2001-08-29 2003-03-07 Molex Japan Co Ltd Lever connection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70A (en) * 1997-07-01 1999-01-29 Yazaki Corp Lever-fitting type connector
US6183277B1 (en) * 1998-09-10 2001-02-06 Yazaki Corporation Lever fitting-type connector
JP2002093543A (en) 2000-09-14 2002-03-29 Sumitomo Wiring Syst Ltd Assembling jig of connector having auxiliary lever
JP2003068397A (en) 2001-08-29 2003-03-07 Molex Japan Co Ltd Lever connection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416A (en)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4816B2 (en) Plug-in connection state inspection method, plug assembly, plug-in connection structure
US9425534B2 (en) Lever-type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ing assurance member
EP2276123A1 (en) Lever type connector
JP5007215B2 (en) Lever type connector
KR20150084004A (en) Connector assembly with automatic secondary lock
US6217358B1 (en)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JP4960853B2 (en) Lever type connector
KR101396303B1 (en) Connector assembly
US10381777B2 (en) Lever-type connector
KR101814008B1 (en)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JP5052322B2 (en) Lever type connector
JP2739627B2 (en) Connector housing coupling mechanism
KR101304942B1 (en) Lever typ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JPH1197106A (en) Connector fixing method and connector used for it
KR101441047B1 (en)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KR101899841B1 (en) Connector assembly
KR20140064289A (en) Lever type connector
KR101839388B1 (en) Lever type connector
KR100995279B1 (en)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KR100995280B1 (en)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KR200466962Y1 (en)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KR20100070174A (en)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KR20100030414A (en)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KR20220094835A (en) Connector assembly
KR100950350B1 (en) Dual Action Mechanical Assiste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