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621B1 -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products and hot press formed product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products and hot press formed product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621B1
KR101439621B1 KR1020120101306A KR20120101306A KR101439621B1 KR 101439621 B1 KR101439621 B1 KR 101439621B1 KR 1020120101306 A KR1020120101306 A KR 1020120101306A KR 20120101306 A KR20120101306 A KR 20120101306A KR 101439621 B1 KR101439621 B1 KR 10143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layer
hot press
buffer layer
p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5033A (en
Inventor
손일령
김동진
이승복
김종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01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621B1/en
Publication of KR20140035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0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6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08Deep-drawing by heating the blank or deep-draw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된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강재에 대한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용 부품 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간 프레스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금 강재의 도금층 상부에 버퍼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t press molded product for a plated hot press forming steel product, and a hot press molded product which can be suitably used for automobile parts and the like, and a hot press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forming a buffer layer on the plating layer of the plated steel.

Description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간 프레스 성형품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PRODUCTS AND HOT PRESS FORMED PRODUCTS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t press molded article,

본 발명은 도금된 열간 프레스 성형용 강재에 대한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용 부품 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간 프레스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t press molded product for a plated hot press forming steel product, and a hot press molded product which can be suitably used for automobile parts and the like, and a hot press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열간 프레스 성형(Hot Press Forming, HPF) 기술은 형상이 복잡한 고강도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자동차용 부품 등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Hot press forming (HPF) technology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member having a complicated shape and is used for manufacturing automotive parts and the like.

통상, HPF 기술은 900℃ 전ㆍ후의 온도로 강판을 가열한 후, 금형(mold)에서 프레스 가공하는 기술로서, 성형 및 소입 열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Generally, the HPF technology is a technique of heating a steel sheet at a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900 ° C and then press-molding it in a mold, which is simultaneously subjected to molding and quenching heat treatment.

HPF 기술에는 소입 강도가 높은 성분을 갖는 강재가 사용되며, 상기 강재는 탄소(C) 및 망간(Mn)의 함량이 높은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강판에 HPF 기술을 적용할 시, 고온 가열 공정으로부터 강판 표면의 보호 및 내식성의 향상을 위해 용융도금 또는 용융합금도금을 적용할 수 있다. The HPF technology uses a steel having a high crush strength, and the steel has a high content of carbon (C) and manganese (Mn). When HPF technology is applied to such a steel sheet, hot-dip galvanizing or gold plating can be applied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from high temperature heating and to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현재, 아연 도금을 적용한 열간 프레스 부재는 고강도를 갖고, 복잡한 형상으로의 성형이 가능하고, 이에 더불어 고내식 특성을 보이므로 자동차용 부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At present, a hot press member to which zinc plating is applied has a high strength, can be molded into a complicated shape, and exhibits high corrosion resistance characteristics, and is therefo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automotive part.

그러나, 용융도금 또는 용융합금도금으로 형성시킨 아연계 도금층을 갖는 도금 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HPF)함에 있어서, 가공도가 심하고 금형과의 표면마찰이 심한 심가공(deep drawing) 부위에서는 표면 응력에 의해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발생된 균열의 크기는 수μm 내지 수십μm 정도의 크기이며, 이러한 균열은 도금층에서 시작하여 소지강판의 표면까지 연결되어 형성된다.
However, in the hot-press forming (HPF) of a plated steel material having a zinc-based plated layer formed of a hot-dip galvanizing or a hot-dip galvanizing, the surface stress in a deep drawing region, There is a problem that minute cracks are generated. The size of cracks generated is of the order of several μm to several tens of μm, and these cracks are formed from the plating layer to the surface of the base steel sheet.

따라서, 아연계 도금층을 갖는 도금 강재를 부품으로 HPF 성형할 시 발생되는 미세한 균열은 부품의 내구성을 저해할 소지가 있으므로, 균열 발생을 완전히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letely eliminate or minimize the occurrence of cracks because fine cracks generated when HPF molding of a plated steel material having a zinc-based plated layer as a component may hinder durability of part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열간 프레스용 도금 강재를 이용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 시, 소지강판 및 도금층의 계면 구조를 최적화시킴으로써, 도금층에서 발생한 미세한 균열(micro crack, 미소크랙)이 소지강판으로 전파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을 이용한 열간 프레스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timize the interfacial structure of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during hot press forming by using the hot-pressing plated steel material so that micro cracks (microcracks) generated in the plating layer are propagated to the base steel sheet And to provide a hot press molded article using the above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 및 상기 소지강판과 도금층의 계면에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하고,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steel sheet; And a buffer layer formed on an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상기 버퍼층은 평균 두께가 0.3~5.0μm인 열간 프레스 성형품을 제공한다.
The buffer layer provides a hot press molded product having an average thickness of 0.3 to 5.0 占 퐉.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도금 강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도금 강재를 가열로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도금 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 및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으로서,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ated steel sheet, Heating the plated steel material in a heating furnace; And a step of hot-pressing and cooling the heated plated steel materi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가열하는 단계에서의 가열로내 전체 유지시간과 상기 도금 강재의 표면온도가 880~980℃에 도달하였을 때 유지시간이 각각 6~15분 및 2~10분이며, The holding time is 6 to 15 minutes and 2 to 10 minutes when the total holding time in the heating furnace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lated steel material reach 880 to 980 DEG C in the heating step,

상기 가열 후 상기 소지강판과 도금층의 계면에 이들로부터 확산되어 형성된 버퍼층이 존재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nd a buffer layer formed by diffusing therefrom is present at an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after the he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소지강판과 상기 소지강판 상에 형성된 도금층을 포함하는 도금 강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도금 강재를 가열로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도금 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 및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으로서,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ated steel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plated steel sheet comprising a base steel sheet and a plating layer formed on the base steel sheet; Heating the plated steel material in a heating furnace; And a step of hot-pressing and cooling the heated plated steel materi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가열로내에서 상기 도금 강재를 가열하는 온도와 시간은 상기 소지강판과 도금층의 계면에 이들로부터 확산되어 버퍼층이 0.3~5.0μm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설정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Wherein the temperature and time for heating the plated steel material in the heating furnace are set so that the buffer layer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0.3 to 5.0 mu m by diffusion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ed layer.

본 발명에 의하면, 도금 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함에 있어서 가열로에서의 가열 시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소지강판과 도금층의 계면 상에 버퍼층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의 버퍼층은 도금 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시 심가공 부위의 도금층에서 발생되는 미소크랙이 소지강판으로 전파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t press forming of the plated steel material, the heating time in the heating furnace can be suitably controlled to have a buffer layer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and the buffer layer can be formed by hot- And serves to prevent microcracks generated in the plating layer at the machining site from propagating to the steel shee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열간 프레스 부재는 내구성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the hot press membe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excellent durability.

도 1은 열간 프레스 성형시 사용되는 형상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상기 도 1의 형상으로 열간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상기 도 2a에 따라 열간 프레스 성형 전ㆍ후의 A 및 B 영역의 냉각속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발명예 4의 단면을 전자주사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발명예 2의 단면을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발명예 3과 비교예 2의 단면을 관찰한 것으로, 미소크랙의 발생 형태를 전자주사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shows an example of a shape used in hot press forming.
FIG. 2A shows a process of performing hot press forming in the shape of FIG. 1, and FIG. 2B is a graph showing cooling rates of regions A and B before and after hot press forming according to FIG. 2A.
3 shows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cross-section of Inventive Example 4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4 shows the result of observation of a section of Inventive Example 2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generation of microcracks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by observing the cross sections of Inventive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2. Fig.

본 발명자들은 도금 강재를 이용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 공정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공도가 심하고 금형과의 표면마찰이 심한 심가공 부위에서 미소크랙(micro crack)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proposed a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 of micro crack occurring in a deep processing region where the degree of machining is high and the surface friction between the metal mold and the die is severe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hot press forming process using the plated steel material do.

미소크랙(micro crack)은 도금 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시 금형에 의해 도금층 표면에서 발생한 마찰력이 도금층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때, 균열은 도금층과 소지강판 사이의 계면을 지나 소지강판으로까지 전파되며, 도금층에서 시작한 균열이 계면에서 분산되지 못하거나 소지강판 표면에서 흡수되지 못할 경우, 소지강판 방향으로 10μm 또는 그 이상으로 전파하게 된다.
Micro cracks cause cracks in the plating layer due to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plating layer by the die during hot press forming of the plated steel. At this time, the crack propagates to the base steel sheet through the interface between the plating layer and the base steel sheet. If the crack starting from the plating layer is not dispersed at the interface or can not be absorbed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steel sheet, propagation .

보다 구체적으로, 도금 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시 도금층에 미소크랙(micro crack)이 발생되는 메카니즘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echanism by which a micro crack is generated in the plating layer during hot press forming of the plated steel can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열간 프레스 성형시 일 예로 도 1의 형상을 이용하는 경우, 가열로에서 가열된 도금 강재를 도 2a와 같은 금형 내에 도금 강재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금형 내부에 도금 강재를 위치시킬 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HPF 적용 전의 A 영역은 상온상태인 금형의 영향을 받아 냉각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며, B 영역은 A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형과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냉각 진행이 A 영역에 비해 더디게 진행된다. 즉, 금형 내에 위치시킨 도금 강재의 영역별로 서로 다르게 냉각이 진행된다. 특히, A 영역 중에서도 중심부에 비해 표층부가 금형과 거의 밀접하게 위치되어 있어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When the shape of Fig. 1 is used as an example in the hot press forming, the plated steel material heated in the heating furnace can be positioned in the metal mold as shown in Fig. 2A. 2A, when the plated steel material is placed in the mold, the area A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HPF is in the cooling state under the influence of the mol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area B is relatively more Since the mold is separated from the mold, the cooling progress progresses more slowly than in the area A. That is, the cooling progresses differently for each region of the plated steel material placed in the mold. Particularly, in the region A, the surface layer is more closely adhered to the mold than the center portion, which is more influential.

이러한 도금 강재에 HPF를 적용하게 되면, A 영역과 B 영역의 냉각패턴이 달라지게 된다. 즉, A 영역은 HPF 적용 전 금형 온도의 영향으로 이미 냉각이 진행된 상태이므로 HPF 적용시점의 온도가 B 영역에 비해 낮으며, 이는 도 2b의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공이 시작되면 상태도에서 페라이트 영역이 확대되므로 가공 변형이 시작될 때 A 영역 소지강판의 표층부에 연한 페라이트상이 형성되며, 이때 A 영역의 도금층에 형성된 미소크랙(micro crack)은 페라이트상이 형성된 부위를 따라 전파됨을 알 수 있다 (도 2b에서 A 영역의 단면 결과 참조).When the HPF is applied to the plated steel, the cooling pattern of the area A and the area B becomes different. That is, since the area A has already been cool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old temperature before application of the HPF,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application of the HPF is lower than that of the area B, which can be confirmed from the graph of FIG. Since the ferrite region is enlarged in the state diagram when machining is started, a soft ferrite phase is formed in the surface layer portion of the A region-bearing steel sheet at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deformation. At this time, a micro crack formed in the plating layer of the A region forms a ferrite- (See the cross-sectional result of region A in Fig. 2B).

즉, A 영역 중 cut direction 방향에 속하는 부위는 성형시 가공을 심하게 받는 심가공(deep drawing) 부위로서, 이 부위는 가공도가 심하고 금형과의 표면 마찰이 크기 때문에 이 부위의 도금층 표면에는 미세한 크랙(micro crack; 미소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A 영역의 도금층에서 발생된 미소크랙은 소지강판으로까지 전파되는데, 이때 소지강판 표층부가 연질의 페라이트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미소크랙이 쉽게 전파하게 된다. 그러나 B 영역의 경우에는 전체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형성되어 있어 미소크랙(micro crack)이 소지강판까지 전파되더라도 표층부에서 그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도 2b에서 B 영역의 단면 결과 참조).
That is, the portion of the region A that belongs to the cut direction is a deep drawing region that is severely subjected to processing during molding. Since this region is highly processed and has a large surface friction with the mold, (micro crack) is generated. At this time, microcracks generated in the plated layer in the region A are propagated to the steel sheet. At this time, since the surface layer portion of the steel sheet is formed into a soft ferrite phase, minute cracks are easily propagat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B region, the entire martensite structure is formed, so that even if a micro crack propagates to the steel sheet, the propagation can be blocked in the surface layer portion (see the sectional view of the region B in FIG.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금층 및 소지강판의 계면 구조에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얇은 층의 버퍼층을 형성시킨다면 크랙의 전파를 저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러한 버퍼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강재의 제조 및 강재의 가열조건을 제어하여야 함을 인지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etermined that if a buffer layer of a thin layer capable of alleviating the impact on the interface structure of the plated layer and the base steel sheet is formed, crack propagation can be prevented.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roduction of the steel and the heating conditions of the steel.

여기서 버퍼층이란, 열간 프레스 성형시 금형과의 마찰 등에 의해 도금층으로부터 시작된 미세한 크랙이 소지강판 내부로 전파되는 것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층을 의미하며, 상기 버퍼층은 소지강판과 비교하여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조성에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계적 물성은 상온에서 각각의 미소경도를 측정하여 보면 버퍼층의 경도값이 소지강판의 경도값에 비해 높고, 화학적 조성에 있어서 버퍼층은 2~12중량%의 Zn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buffer layer means a layer capable of mitigating the spread of fine cracks originating from the plating layer into the steel sheet due to friction with the metal mold during hot press forming, and the buffer layer has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More specifically, when measuring the microhardness at room temperature, the hardness value of the buffer layer is higher than the hardness value of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buffer layer may contain 2 to 12 wt% of Z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Hot Press Molded Parts]

먼저,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열간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Firs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t press molded article which is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은, 소지강판 상에 도금층이 형성된 도금 강재를 준비한 후, 상기 도금 강재를 가열로의 조건을 제어하여 가열한 후, 열간 프레스 성형 및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t press formed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of preparing a plated steel material having a plated layer formed on a base steel sheet, heating the plated steel material by controlling the conditions of the heating furnace, .

본 발명의 열간 프레스 성형품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소지강판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인 열간 프레스 성형에 적용되는 강판이면 충분하다. The base steel sheet to be applied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steel sheet applicable to general hot press forming is sufficient.

예를들면, 탄소(C): 0.19~0.30 중량%, 망간(Mn): 0.5~4.0중량%로 포함하고, 실리콘(Si), 보론(B) 등의 원소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며, 열간 프레스 성형 후 1300MPa 이상의 소재 강도 등의 물성을 얻을 수 있는 적절한 성분계를 갖는 강재가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의 함량이 0.01~0.10 중량%인 강재를 열간 프레스 적용 후 500~800MPa 정도의 소재 강도를 갖는 소재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Si), boron (B), or the like, and further contains, for example, 0.19 to 0.30 wt% of carbon (C) and 0.5 to 4.0 wt% of manganese A steel material having an appropriate component system capable of obtaining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 material strength of 1300 MPa or more can be used as well as a steel material having a C content of 0.01 to 0.10% by weight is subjected to hot press application to a material having a material strength of about 500 to 800 MPa .

상기 소지강판을 열간 프레스 성형품으로 제조하기에 앞서, 상기 소지강판을 도금하여 도금 강재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금 강재는 아연계 도금 강재이고, 도금 방법은 용융도금, 합금화 용융도금 또는 전기도금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Preferably, the base steel sheet is plated with a plated steel material before the base steel sheet is produced as a hot press formed product, and the plated steel material is a zinc-based plated steel material, and the plating method is a hot-dip galvanizing method, And the lik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도금 후 형성된 도금층은 용융아연 도금층 또는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일 수 이 있다.
The plating layer formed after plating may be a hot-dip galvanized layer or a hot-dip galvanized layer.

상기 도금 강재는 소지강판 상에 아연계 도금층을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소지강판과 도금층 사이에는 알루미늄(Al) 농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ated steel material may include a zinc-based plated layer on a base steel sheet and an aluminum (Al) -concentrated layer between the base steel and the plated layer.

상기 Al 농화층은 이후의 상기 도금 강재를 가열로에서 가열함에 있어서 버퍼층을 형성시키는 데에 중요한 요소로서, 상기 Al 농화층은 열간 프레스 성형을 위해 도금 강재를 가열할 시, 도금층 표면으로 Al이 확산하여 선택 산화함으로써 치밀하고 얇은 산화물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Al-enriched layer is an important factor for forming a buffer layer in the subsequent heating of the plated steel material in a heating furnace. When the plated steel material is heated for hot press forming, the Al- So as to form a dense and thin oxide layer.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퍼층은 도금 강재를 가열할 때 소지강판의 Fe과 도금층의 Zn이 상호 확산되는 계면에서 형성된다. 이때, Al 농화층이 미세하고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금 강재를 가열시 Al 농화층이 쉽게 분해되어 Fe 및 Zn의 상호 확산을 빠르고 균일하게 진행시킴으로써 균일한 버퍼층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Al 농화층이 불균일할 경우에는 합금화가 부분적으로 달라지게 되어 Fe과 Zn의 확산을 방해하므로 버퍼층이 불균일하게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uffer layer is formed at the interface where Fe of the base steel sheet and Zn of the plated layer are mutually diffused when the plated steel material is heated. At this time, when the Al-enriched layer is formed finely and uniformly, the Al-enriched layer is easily decomposed when heating the plated steel material, so that the mutual diffusion of Fe and Zn proceeds quickly and uniformly to obtain a uniform buffer layer. However, when the Al-enriched layer is uneven, the alloying is partly changed, which interferes with the diffusion of Fe and Zn, so that the buffer layer is formed unevenly.

상기 Al 농화층은 30중량% 이상의 Al을 함유하는 조성을 가지고, 미세한 입자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균일한 버퍼층의 형성을 위해 직경 500nm 이상의 입도가 미세한 입자를 100μm2 당 평균 15개 미만으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Al 농화층의 입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도금전 강판을 소둔할 시 소둔온도를 500~700℃ 범위로 제어하거나, 소둔 전에 특정 금속 등으로 전처리 도금을 수행함으로써 소둔시 산화물의 양을 줄이거나 Al 농화층의 형성 속도를 제어하는 등의 방안이 있을 수 있다.The Al concentrated layer is a, the fine particles have a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30 wt% Al had a shape formed continuously,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verage of 15 per a fine particle size diameter of more than 500nm in order to form a uniform buffer layer 100μm 2 Preferably less than. A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grain size of the Al-enriched lay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nnealing temperature in the range of 500 to 700 占 폚 when annealing the pre-plating steel sheet, or to perform pre-treatment plating with a specific metal or the like before anneal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ormation rate of the Al-enriched layer is controlled.

상기 소지강판과 도금층의 계면에서 상기와 같은 Al 농화층의 점유 면적율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합금화가 불균일하게 일어나 버퍼층이 불균일하게 형성되거나, 이후의 열간 프레스 가공시 액상 취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The occupied area ratio of the Al-enriched layer as described abov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is preferably 90% or more, and if it is not satisfied, the alloying becomes uneven and the buffer layer is unevenly formed, Embrittlement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 준비된 도금 강재를 가열로 내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갖는데, 이때 상기 가열에 의해 소지강판과 도금층 계면 사이에 버퍼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ep of heating the prepared plated steel material in a heating furnace, wherein a buffer layer can be formed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interface by the heating.

이때, 가열 조건은 목적하는 두께의 버퍼층이 형성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며, 적용되는 소지강판의 종류 또는 도금층에 따라 가열 조건 즉, 온도 및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condition is set so as to form a buffer layer having a desired thickness, and the heating condition, that is, the temperature and the tim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applied base steel sheet or the plating layer.

일 예로, 목적하는 두께의 버퍼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도금 강재를 가열함에 있어서, 목표 온도를 880~980℃로 설정하면서, 가열로내 전체 유지시간과 상기 도금 강재의 표면온도가 880~980℃에 도달하였을 때 유지시간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heating the plated steel material so as to form a buffer layer having a desired thickness, the total holding time in the heating furnace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lated steel material reach 880 to 980 DEG C while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to 880 to 980 DEG C The holding time can be controlled.

즉, 상기 가열시 가열 시간은 가열로 내에 장입되는 때부터 출강될 때까지 유지되는 시간과 가열로 내에 장입된 강재의 온도가 목표 온도(예컨대, 880~980℃)에 도달한 이후 유지되는 시간으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가열로내 전체 유지시간은 6~15분, 목표 온도 도달 후의 유지시간은 2~10분간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표 온도 도달 후의 유지시간은 4~8분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heating time at the time of heating is a time during which the material is held from being charged into the heating furnace until the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furnace, and the time during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steel material charged into the furnace reaches a target temperature (for example, 880 to 980 ° C) . At this time, the total holding time in the heating furnace is preferably 6 to 15 minutes, and the holding time after reaching the target temperature is preferably 2 to 10 minutes. More preferably, the holding time after reaching the target temperature is preferably set to 4 to 8 minutes.

목표 온도가 880℃ 미만일 경우에는 도금층의 합금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전체 유지시간이 6분 미만이거나 목표 온도 도달 후 유지시간이 2분 미만일 경우에는 도금층 내의 Zn 확산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일정 두께의 버퍼층의 형성이 어렵다. 이에 반면, 목표 온도가 950℃를 초과하게 되면 도금층이 열적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으며, 전체 유지시간이 15분을 초과하거나 목표 온도 도달 후 유지시간이 10분을 초과하게 되면 도금층의 열적 손상 또는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가열시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수행할 경우 목적하는 버퍼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If the target temperature is less than 880 DEG C, alloying of the plating layer may not be sufficiently performed. If the total holding time is less than 6 minutes or the holding time is less than 2 minutes after reaching the target temperature, Zn diffusion in the plating layer becomes insufficient, It is difficult to form the buffer layer. On the other hand, if the target temperature exceeds 950 DEG C, the plating layer may be thermally damaged. If the total holding time exceeds 15 minutes or the holding time exceeds 10 minutes after reaching the target temperature, the thermal damage or productivity . ≪ / RTI > Therefore, when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during heating, a desired buffer layer can be formed.

상기와 같은 가열에 의한 소지강판과 도금층 계면 사이에 버퍼층의 형성은 다음과 같은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The formation of the buffer layer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interface by heating as described above can be explained by the following principle.

아연계 도금층을 갖는 도금 강재를 가열함에 있어서,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소지강판 표면으로 도금층 내의 Zn이 확산되어 내려오고, Zn이 확산된 소지강판 표층부분의 물성이 소지강판 내부의 물성과 차이를 일으키게 되어 일정 두께의 버퍼층을 형성하게 된다.In heating the plated steel with zinc-based plated layer, Zn in the plated layer diffuses down to the surface of the base steel sheet as the heating time becomes longer,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rface layer portion of the base steel sheet, So that a buffer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형성된 버퍼층은 2~12중량%의 Zn과 잔부로 도금층 내의 성분인 Fe, Mn, Si 및 A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The buffer layer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may contain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 Mn, Si, and Al as the components in the plating layer with Zn and the remainder being 2 to 12 wt%.

또한, 버퍼층의 조직은 엡실론 마르텐사이트(epsilon martensite) 조직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통상 도금 강재의 소지강판은 레스 마르텐사이트(lath martensite)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버퍼층은 엡실론 마스텐사이트를 30~100%로 포함한다. 이러한 엡실론 마르텐사이트는 고온에서 소지강판에 Zn이 확산되어 고용됨에 따라 결정격자의 팽창으로 인해 급냉시 형성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tructure of the buffer layer includes epsilon martensite structure. Usually, the coated steel sheet is composed of lath martensite, while the buffe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30 to 100% of epsilon martensite. It is considered that such epsilon martensite is formed during quenching due to the expansion of the crystal lattice as Zn diffuses into the steel sheet at high temperature and is dissolved.

소지강판과 도금층 계면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은 이후의 열간 프레스 성형시 도금층에서 발생되는 미소크랙(micro crack)이 소지강판으로 전파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금층에서 발생된 미소크랙(micro crack)이 소지강판 방향으로 전파하여 버퍼층에 도달하게 되면, 버퍼층이 크랙의 전파되는 응력을 흡수하여 버퍼층 아래의 소지강판으로의 전파가 차단된다. 뿐만 아니라, 버퍼층에 남겨진 크랙의 끝부분이 날카롭지않고 원만한 형태를 가짐에 따라 크랙에 의한 피로균열의 전파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The buffer layer formed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interface can prevent the micro cracks generated in the plating layer from being propagated to the base steel sheet during the subsequent hot press forming. That is, when a micro crack generated in the plating layer propagates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steel sheet and reaches the buffer layer, the buffer layer absorbs the stress that propagates the crack, and the propagation to the base steel sheet below the buffer layer is blocked. In addition,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crack remaining in the buffer layer has a sharp and smooth shape, it has an effect of suppressing propagation of fatigue crack due to cracking.

상기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버퍼층의 평균 두께를 0.3μm 이상으로 형성시킬 필요가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μm 이상으로 형성시킴이 적절하며, 최대 5μm 까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obtain the above effect, it is necessary to form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buffer layer to 0.3 탆 or more, more preferably 0.8 탆 or more, and preferably 5 탆 to the maximum.

버퍼층은 강판의 표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단면을 관찰할 시 평균 70%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버퍼층이 0.3μm 미만의 두께로 형성되거나, 단면 기준 70%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버퍼층에 의한 크랙 전파를 저지하는 특성이 감소하게 되며, 반면 버퍼층이 5μm 두께 이상으로 너무 두껍게 형성되면 크랙 전파 저지에는 큰 효과가 있으나 도금층 내의 Zn이 과도하게 소지강판으로 확산되어 내식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The buffer layer is preferably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buffer layer is 70% or more when the cross section is observed. If the buffer layer is formed to a thickness of less than 0.3 袖 m or less than 70%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uffer layer, the property of preventing crack propagation due to the buffer layer is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fear that the Zn in the plating layer is excessively diffused to the steel sheet and corrosion resistance is deteriorated.

한편, 상기와 같은 버퍼층 상부에 존재하는 도금층은 가열시 Zn이 버퍼층 형성을 위해 확산 되더라도 소지강판의 내식성을 유지하기 위해, 10~25μm의 평균 두께를 갖고, 도금층 내의 Zn의 함량은 평균 20~4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lating layer above the buffer layer has an average thickness of 10 to 25 占 퐉 and Zn content in the plating layer is 20 to 40 占 퐉 in average to maintai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base steel sheet even if Zn is diffused for forming the buffer layer during heating. %.

도금층의 평균 두께가 10μm 미만이거나 도금층 내의 Zn의 함량이 20% 미만일 경우에는 내식성이 충분하지 않게 되고, 반면 평균 두께가 20μm 미만이거나 도금층 내의 Zn의 함량이 40%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후의 열간 프레스 성형시 액상 금속에 의한 취성 파괴(Liquid Metal Embrittlement) 현상이 발생 될 우려가 있다.
If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plated layer is less than 10 占 퐉 or the content of Zn in the plated layer is less than 20%, the corrosion resistance become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if the average thickness is less than 20 占 퐉 or the content of Zn in the plated layer exceeds 40% There is a fear that a brittle fracture (Liquid Metal Embrittlement) phenomenon due to the liquid metal may occur during molding.

이후, 상기 가열에 의해 소지강판과 도금층 계면에 버퍼층을 형성한 도금 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하고, 냉각한다.Thereafter, the plated steel material having the buffer layer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ed layer by the above heating is hot-pressed and cooled.

이때, 상기 성형 및 냉각은 통상의 열간 프레스 성형 방법에 의하면 충분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molding and cooling is sufficien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hot press forming metho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it.

[열간 프레스 성형품][Hot press molded article]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인 열간 프레스 성형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hot press molded article which i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열간 프레스 성형품은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 및 상기 소지강판과 도금층의 계면에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t press formed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steel sheet; A pl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steel sheet; And a buffer layer forme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본 발명의 열간 프레스 성형품은 소지강판과 도금층의 계면 사이에서 버퍼층을 가짐으로써, 최종 성형 후에 도금층의 미소크랙(micro crack)이 소지강판 내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t-pressed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ffer layer between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so that micro cracks of the plating layer after final molding can be prevented from propagating into the base steel sheet.

즉, 종래 도금 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할 시, 도금층에서 형성된 미소크랙(micro crack)이 소지강판으로까지 전파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소지강판과 도금층 계면 사이에 Zn을 함유하는 버퍼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미소크랙(micro crack)의 소지강판으로의 전파를 저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ventional plated steel material is hot-pressed, a micro crack formed in the plated layer propagates to the base steel shee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buffer layer containing Zn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inte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cro crack from propagating to the steel sheet.

이를 위해, 열간 프레스 성형품 내의 버퍼층은 0.3μm 이상의 두께를 갖음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0μm의 두께를 갖음이 바람직하다.
For this purpose, the buffer layer in the hot press-molded article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0.3 탆 or more, more preferably 0.3 to 5.0 탆.

상기 버퍼층은 아연(Zn)을 2~12중량%로 함유하고, 잔부로는 Fe, Mn, Si 및 Al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버퍼층의 미세조직은 분율로 30~100%의 엡실론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The buffer layer may contain zinc (Zn) in an amount of 2 to 12 wt%, and the balance may contain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 Mn, Si and Al. May be in a form containing 30 to 100% epsilon martensite in a fraction.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y way of example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and the matters reasonably inferred therefrom.

(( 실시예Example ))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소지강판으로는 중량%로, C: 0.23%, Si: 0.25%, Mn: 1.25%, Sol.Al: 0.03%, B: 0.0026%, Ti: 0.031%, N: 0.0044%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된 강판을 사용하였다.The base steel sheet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s 0.23% of C, 0.25% of Si, 1.25% of Mn, 0.03% of Sol.Al, 0.0026% of B, 0.031% of Ti, 0.0044% And a steel sheet composed of the remaining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was used.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갖는 소지강판의 표면에 용융아연 도금을 실시하여 도금 강재를 제조한 후, 이 도금 강재를 가열로에서 가열하였다. 가열시, 목표온도는 880~950℃로 설정하였으며, 목표온도에서의 유지시간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하였다. 이후, 가열된 도금 강재를 도 1에 나타낸 형상을 이용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을 수행하였다.The surface of the base steel sheet having the above composition was subjected to hot-dip galvanizing to produce a plated steel material, which was then heated in a heating furnace. At the time of heating, the target temperature was set at 880 to 950 ° C, and the holding time at the target temperature was set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reafter, the hot plated steel sheet was subjected to hot press forming using the shape shown in Fig.

상기 열간 프레스 성형시, 도금 강재의 두께는 1.5mm 이었다.
During the hot press forming, the thickness of the plated steel material was 1.5 mm.

하기 표 1에는 도금 조건, 열처리 조건 및 버퍼층의 형성과 미소크랙(micro crack)의 깊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measurement of plating conditions, heat treatment conditions, formation of a buffer layer and depth of micro cracks.

이때, Al 농화층의 직경은 도금 강재의 도금층만을 산용액으로 용해시킨 후, Al 농화층을 전자주사현미경(SEM)으로 관찰하여 3곳 이상의 농화층을 선정한 후, 이미지 분석기(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이들 농화층의 입도 및 점유 면적율을 측정하였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Al-enriched layer was determined by dissolving only the plated layer of the plated steel with an acid solution, observing the Al-enriched layer with an electron microscope (SEM), selecting three or more dense layers and then using an image analyzer And the particle size and occupied area ratio of these thickened layers were measured.

열처리시, 도금 강재가 가열로에 장입된 시간을 각각 측정하고, 상기 도금 강재의 표면에 열전쌍(thermo couple)을 부착하여 강재의 온도가 목표로 하는 온도에 도달하여 유지되는 열이력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목표온도로 도달한 이후에 목표온도에서 유지되는 시간을 별도로 측정하였다. 또한, 도금 강재가 가열로 내에 장입되어 있던 총 시간, 즉 재로시간도 함께 측정하였다.The time during which the plated steel material was charged into the heating furnace at the time of the heat treatment was measured and a thermo couple wa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lated steel material to measure the heat history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teel reached and reached the target temperature. Based on this, the time to maintain the target temperature after reaching the target temperature was measured separately. Also, the total time during which the plated steel material was charged into the heating furnace, that is, the ash time, was also measured.

소지강판과 도금층 계면에 형성된 버퍼층은 시편의 단면에 대하여 전자현미경(SEM 및 TEM)으로 관찰하였으며, 관찰 결과는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The buffer layer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ubstrate steel and the plated layer was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EM) for the cross section of the specimen. The observation results are shown in FIGS. 3 and 4.

도금층 내의 미소크랙(micro crack)은 도 1의 형상의 cut direction 방향과 수직하게 발생하므로, cut direction 방향과 평행하게 시편을 채취하여 전자주사현미경(SEM)으로 그 단면을 관찰하였으며, 이때 도금층 하부의 소지강판 방향으로 형성된 미소크랙(micro crack)의 깊이를 측정하여 하기 표 1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Since micro cracks in the plating layer occur perpendicularly to the cut direction of the shape of FIG. 1, the specimens were taken parallel to the cut direction and observ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t this time, The depth of a micro crack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steel sheet was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and FIG.

구분division 도금
부착량
Plated
Adhesion
Al 농화층Al concentrated layer 가열로
목표
온도
Heating furnace
goal
Temperature
전체
유지
시간
all
maintain
time
목표온도 도달 후 유지시간Holding time after reaching target temperature 버퍼층
평균두께
Buffer layer
Average thickness
버퍼층
형성율
Buffer layer
Formation rate
미소크랙 최대깊이Smile crack maximum depth
입자수Number of particles 점유면적Occupancy 발명예1Inventory 1 50g/m2 50 g / m 2 5.15.1 94.3%94.3% 880℃880 ℃ 12분12 minutes 8분8 minutes 1.8μm1.8 m 89%89% 3.5μm3.5 m 발명예2Inventory 2 50g/m2 50 g / m 2 5.15.1 94.3%94.3% 900℃900 ℃ 8분8 minutes 4분4 minutes 0.9μm0.9 m 75%75% 8μm8μm 발명예3Inventory 3 60g/m2 60 g / m 2 4.54.5 96.2%96.2% 930℃930 ° C 9분9 minutes 4.5분4.5 minutes 1.1μm1.1 m 78%78% 9μm9μm 발명예4Honorable 4 40g/m2 40 g / m 2 3.43.4 95.4%95.4% 950℃950 ℃ 6분6 minutes 2분2 minutes 0.4μm0.4μm 95%95% 7μm7μm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50g/m2 50 g / m 2 5.15.1 94.3%94.3% 900℃900 ℃ 5분5 minutes 0.5분0.5 minutes -- -- 21μm21 μm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50g/m2 50 g / m 2 5.15.1 94.3%94.3% 930℃930 ° C 5분5 minutes 0분0 minutes 0.1μm0.1 m 34%34% 30μm30μm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70g/m2 70 g / m 2 3838 84%84% 910℃910 ° C 8분8 minutes 4.5분4.5 minutes 0.8μm0.8 m 55%55% 15μm15μm

(상기 표 1에서 도금 부착량은 소지강판 한쪽 면의 도금 부착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며, Al 농화층 입자는 표면 100μm2 당 직경 500nm 이상의 입자의 수를 나타낸 것이며, 버퍼층 형성율은 단면기준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In the above Table 1, the amount of plating adhered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plating on one side of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number of particles of the Al-enriched layer particle having a diameter of 500 nm or more per 100 μm 2 of the surface was measured. .

도 3은 상기 표 1의 발명예 4를 마운팅한 후 표면 연마하여 에칭한 후 이를 전자주사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FIG. 3 shows the results obtained by mounting an inventive example 4 shown in Table 1, polishing the surface by etching, and observing it with an electron microscope (SEM).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금층 아래에 형성된 버퍼층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해 미소 경도계를 이용하여 경도측정을 실시한 결과 버퍼층의 경도값은 소지강판의 경도값에 비해 10~70% 정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FIG. 3, it can be confirmed that a buffer layer formed under the plating layer exists. As a result of hardness measurement using a microhardness meter, it was confirmed that the hardness value of the buffer layer was about 10 to 70% higher than the hardness value of the base steel sheet.

도 4는 버퍼층이 형성된 발명예 2의 단면을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Fig. 4 shows the result of observation of a cross-section of Inventive Example 2 having a buffer layer formed thereon by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지강판과 도금층 사이에 형성된 버퍼층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해 EDS를 이용하여 Z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소지강판에서는 Zn이 발견되지 않으나, 버퍼층에서는 5~10%의 Zn이 검출되었다.
As shown in Fig. 4, a buffer layer formed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can be observ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ntent of Zn using EDS, Zn was not found in the base steel sheet, but 5 ~ 10% of Zn was detected in the buffer layer.

상기 TEM 결과를 통해 조직을 관찰한 결과, 소지강판은 침상형태의 마르텐사이트(Lath martensite)로 형성되어 있으나, 버퍼층은 엡실론 마르텐사이트(Epsilon martensite) 조직이 관찰된다. TEM 결과로는 버퍼층 내의 엡실론 마르텐사이트의 비율을 파악하는 것은 어려우나, 전체적으로 보아 10~90% 정도가 엡실론 마르텐사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Observation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TEM results revealed that the base steel sheet is formed of acicular martensite, but the buffer layer has Epsilon martensite structure. As a result of the TEM,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ratio of epsilon martensite in the buffer layer, but it is estimated that about 10 to 90% is composed of epsilon martensite as a whole.

이와 같이, 소지강판과 도금층의 계면에 형성되는 버퍼층은 소지강판 및 도금층과 물성이 다르기 때문에 도금층에서 시작된 미소크랙(micro crack)이 버퍼층에서 분산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의 미소크랙이 소지강판 내로 전파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미소크랙의 전파 제어는 버퍼층의 두께가 두껍고, 연속적일수록 그 효과가 더 클 것으로 판단된다.
Since the buffer layer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has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rom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micro cracks originating from the plating layer can be dispersed in the buffer layer.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it inhibits propagation into the steel sheet.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the propagation control of the micro crack is thicker and the effect is greater as the buffer layer is thicker.

또한,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명예들의 버퍼층 평균 두께는 모두 0.3μm 이상이고, 이들 버퍼층의 연속성이 70% 이상일 경우 미소크랙(micro crack)의 깊이가 10μm 이내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average thicknesses of the buffer layers of the inventive examples are all 0.3 탆 or more, and when the continuity of these buffer layers is 70% or more, the micro cracks are formed to a depth of 10 탆 or less.

이에 반면, Al 농화층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를 만족하지 못하거나, 가열로에서의 유지시간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들의 경우에는 발생된 미소크랙의 깊이가 15μm 이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s in which the Al-enriched layer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holding time in the heating furnace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depth of micro crack generated is not less than 15 탆 .

상기 발명예 3과 비교예 2의 미소크랙(micro crack) 발생 형태를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The micro crack generation patterns of Examples 3 and Comparative Example 2 were measured and shown in FIG.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2에서는 미소크랙의 최대 깊이가 30μm로서 그 깊이가 매우 깊고, 미소크랙의 끝부분이 날카로운 반면에, 발명예 3의 경우에는 소지강판과 도금층 계면에 버퍼층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미소크랙의 최대 깊이가 10μm 이내로 형성되며, 끝부분이 뭉뚝하여 크랙의 전파가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maximum depth of the microcracks was 30 mu m, the depth was very deep, and the ends of the microcracks were sharp.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 3, So that the maximum depth of minute cracks is formed within 10 占 퐉, and the end portions are clumped to suppress crack propagation.

Claims (9)

소지강판;
상기 소지강판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 및
상기 소지강판과 도금층의 계면에 형성된 버퍼층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은 평균 두께가 0.3~5.0μm이고, 상기 버퍼층의 미세조직은 분율로 30~100%의 엡실론 마르텐사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열간 프레스 성형품.
Base steel sheet;
A pl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steel sheet; And
And a buffer layer forme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Wherein the buffer layer has an average thickness of 0.3 to 5.0 占 퐉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buffer layer comprises 30 to 100% epsilon martensi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아연(Zn)을 2~12중량%로 함유하고, 잔부는 Fe, Mn, Si 및 Al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프레스 성형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layer contains 2 to 12% by weight of zinc (Zn), and the balance contains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 Mn, Si and A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용융아연 도금층 또는 용융아연합금 도금층인 열간 프레스 성형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ting layer is a hot-dip galvanized layer or a hot-dip galvanized lay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평균두께가 10~25μm이고, 상기 도금층 내의 Zn 함량이 20~40%인 열간 프레스 성형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ting layer has an average thickness of 10 to 25 占 퐉 and a Zn content in the plating layer of 20 to 4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01306A 2012-09-13 2012-09-13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products and hot press formed products using the same KR1014396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306A KR101439621B1 (en) 2012-09-13 2012-09-13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products and hot press formed product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306A KR101439621B1 (en) 2012-09-13 2012-09-13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products and hot press formed product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33A KR20140035033A (en) 2014-03-21
KR101439621B1 true KR101439621B1 (en) 2014-09-11

Family

ID=5064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306A KR101439621B1 (en) 2012-09-13 2012-09-13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products and hot press formed product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6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398B1 (en) 2015-11-30 2016-11-18 주식회사 포스코 Steels for hot forming and method of manufacturion component us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345B1 (en) 2016-07-07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Hot press formed member having excellent crack arrest property and duct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917447B1 (en) 2016-12-20 2018-11-09 주식회사 포스코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warm presse formed parts having excellent high temperature elongation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548A (en) 2000-04-07 2001-12-25 Usinor Method of manufacturing formed component having very high mechanical property by standing from covered rolled steel sheet, in particular, covered hot-rolled steel strip
JP2007056284A (en) 2005-08-22 2007-03-08 Nippon Steel Corp Steel formed part, and galvanized steel member
KR101115754B1 (en) * 2010-12-28 2012-03-06 주식회사 포스코 Zn-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surface property, and hot pressed parts using the same
KR101115816B1 (en) 2010-12-29 2012-03-09 주식회사 포스코 Zn-plated high-mn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excellent surface property and hot pressed part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3548A (en) 2000-04-07 2001-12-25 Usinor Method of manufacturing formed component having very high mechanical property by standing from covered rolled steel sheet, in particular, covered hot-rolled steel strip
JP2007056284A (en) 2005-08-22 2007-03-08 Nippon Steel Corp Steel formed part, and galvanized steel member
KR101115754B1 (en) * 2010-12-28 2012-03-06 주식회사 포스코 Zn-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excellent strength and surface property, and hot pressed parts using the same
KR101115816B1 (en) 2010-12-29 2012-03-09 주식회사 포스코 Zn-plated high-mn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excellent surface property and hot pressed parts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398B1 (en) 2015-11-30 2016-11-18 주식회사 포스코 Steels for hot forming and method of manufacturion component u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33A (en)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54B1 (en) Hot stamp-molded high-strength component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fter coa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008042B1 (en) Aluminum Coat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Hot Press Form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49480B1 (en) Vehicle component and vehicle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KR101122754B1 (en) Plated steel sheet and method of hot-pressing plated steel sheet
WO2014171417A1 (en)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ing, process for hot-pressing plated steel sheet and automobile part
KR20190078438A (en) Plated steel for hot press forming, forming part by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51274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parts using hot forming technology
KR101439621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products and hot press formed products using the same
KR101528011B1 (en) Plated steel sheet for hot-press forming and hot-press formed product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13897610B (en) Steel member provided with a coating
Veit et al. Investigation of the Phase Formation of AlSi‐Coatings for Hot Stamping of Boron Alloyed Steel
KR20140035034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products and hot press formed products using the same
KR101719446B1 (en) Press-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8431286B (en) Hot press molded article with suppressed microcrack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61857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products and hot press formed products using the same
KR101406650B1 (en) Hot press formed material having less microcrack
KR102307954B1 (en) Aluminium alloy plate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660052B (en) Titanium plate
KR101461725B1 (en) Steel for hot press forming and manufacturing maehtod the same
KR101560928B1 (en) Hot press formed product and method for manuacturing the same
JP5098352B2 (en) Steel plate for hot press
KR101560915B1 (en) Galvaniz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Suppressed Crack, Hot Pressed Parts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46174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press formed products of coated steel and hot press formed products using the same
KR102031464B1 (en) Co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ot press formed part using th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150061280A (en) Steel for hot press forming and manufacturing maehtod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