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940B1 -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 Google Patents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940B1
KR101437940B1 KR1020140026242A KR20140026242A KR101437940B1 KR 101437940 B1 KR101437940 B1 KR 101437940B1 KR 1020140026242 A KR1020140026242 A KR 1020140026242A KR 20140026242 A KR20140026242 A KR 20140026242A KR 101437940 B1 KR101437940 B1 KR 101437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time
specific
reproduction
gu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494A (ko
Inventor
김준환
윤영화
이정연
전성익
황우석
윤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94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3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media transcoding, e.g. video is transformed into a slideshow of still pictures, audio is converted into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가 제공된다. 본 재생시점 변경용 GUI는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특정 시점이 포함된 특정 시구간 내에 위치하는 일부의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나타내고, 나타난 축소영상들 중 선택된 축소영상이 위치한 시점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 포인터를 이용한 재생시점의 변경조작을 수차례 거쳐야 하는 불편 없이도 원하는 시점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Method for providing GUI for converting view time and video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재생시점 변경용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재생하고 있는 시점을 변경하는데 이용되는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현재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그래픽으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이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이다. 프로그레스 바는 동영상의 전체길이를 바 형상으로 상징시키고, 바 상에서 현재 재생시점을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방법에 의해 현재 재생시점을 나타낸다.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 현재 재생시점이 아닌 다른 시점이 선택되게 되면, 재생시점은 선택된 시점으로 변경되게 된다.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 다른 시점에 대한 선택은 포인터를 이용하여 입력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빨리감기(FF)나 되감기(REW)를 통해 재생시점을 변경하는 것보다 빠르게 재생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재생시점이 실시간으로 변경되면서 표시되는 빨리감기(FF)나 되감기(REW)와 달리 프로그레스 바를 이용한 재생시점 변경은 변경된 시점에 대한 화면만이 표시되는 관계로 한 번의 변경에 의해 원하는 시점을 찾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 포인터를 이용한 재생시점의 변경조작을 수차례 거쳐야 하는 불편을 겪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불편은 동영상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더욱 심화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특정 시점이 포함된 특정 시구간 내에 위치하는 일부의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나타내고, 나타난 축소영상들 중 선택된 축소영상이 위치한 시점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할 수 있는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은, 현재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 및 포인터를 생성하여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에 의해 상기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 상에서 특정 시점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시점이 포함된 특정 시구간 내의 시점들 중 일부의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축소영상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현재 재생시점을 선택된 축소영상이 위치한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은, 상기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 상에 나타난 상기 특정 시점과 상기 축소영상들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시구간의 길이는,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의 전체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은,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된 축소영상들이 위치한 시점들과 다른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른 시점들은,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된 축소영상들의 시점들 보다 앞선 시점들 및 뒤진 시점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특정 시구간의 최초 시점, 중간 시점 및 최후 시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터는, 공간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는, 디스플레이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는, GUI를 생성하여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는 GUI 생성부; 및 현재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 및 포인터를 생성하여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포인터에 의해 상기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 상에서 특정 시점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시점이 포함된 특정 시구간 내의 시점들 중 일부의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축소영상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현재 재생시점을 선택된 축소영상이 위치한 시점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 상에 나타난 상기 특정 시점과 상기 축소영상들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시구간의 길이는,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의 전체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된 축소영상들이 위치한 시점들과 다른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른 시점들은, 상기 표시될 영상에 부가된 축소영상들의 시점들 보다 앞선 시점들 및 뒤진 시점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특정 시구간의 최초 시점, 중간 시점 및 최후 시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인터는, 공간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는, 디스플레이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영상기기는, 상기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 상기 포인터, 상기 축소영상들 및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인터에 의해 선택된 특정 시점이 포함된 특정 시구간 내에 위치하는 일부의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나타내고, 나타난 축소영상들 중 선택된 축소영상이 위치한 시점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 포인터를 이용한 재생시점의 변경조작을 수차례 거쳐야 하는 불편 없이도 원하는 시점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V와 리모콘의 상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블럭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수신 시스템은 방송수신장치의 일종인 TV(100)와 원격제어장치의 일종인 리모콘(200)으로 구축된다.
TV(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을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TV(100)는 내장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리모콘(200)은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TV(100)로 전달하며, TV(100)는 전달받은 사용자의 조작 내용에 부합하는 기능과 동작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리모콘(200)에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리모콘(200)에는 1개 또는 2개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 앞면은 사용자에 의해 가상의 평면(Virtual Plane : VP) 상에서 이동된다. 즉, 리모콘(200) 앞면은 VP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리모콘(200) 앞면은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VP는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평행한 평면이다.
리모콘(200) 앞면이 VP 상에서 이동되면,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포인터(P)는 리모콘(200)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i) 사용자가 리모콘(200) 앞면을 VP 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ii) 사용자가 리모콘(200) 앞면을 VP 상에서 좌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좌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포인터(P)는 공간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VP와 TV(100)의 디스플레이(D)의 화면은 완전한 평행을 이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VP 역시 완전한 평면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이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은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불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불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TV(100)와 리모콘(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V(100)와 리모콘(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은 이동 감지부(210), 송신부(220), 리모콘 제어부(230) 및 버튼 입력부(240)를 구비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후술할 리모콘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예를 들어, 2축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가능하다.
버튼 입력부(240)에는 전원-버튼, 채널-버튼, 볼륨-버튼, 선택-버튼, 옵션-버튼 등이 마련된다.
리모콘 제어부(230)는 이동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결과를 통해 획득한 이동에 대한 정보(이동 방향, 이동 거리)를 송신부(220)를 통해 TV(100)에 전달한다. 또한, 리모콘 제어부(230)는 버튼 입력부(24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버튼에 대한 정보를 송신부(220)를 통해 TV(100)에 전달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100)는 방송 수신부(110), 메모리 제어부(120), 플래시 메모리(130), HDD 제어부(140), HDD(Hard Disk Drive)(150), 영상처리부(160), GUI 생성부(170), 출력부(180), 제어부(190) 및 수신부(195)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을 수신한다.
메모리 제어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을 플래시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 제어부(120)는 플래시 메모리(130)에 저장된 방송을 읽어들여 후술할 영상 처리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130)는 메모리 제어부(120)에 의해 방송이 임시 저장되는 저장매체로, 플래시 메모리(130)에는 일정 시간 분량(예를 들면, '6시간')의 방송이 선입선출(FIFO : First-In First-Out) 방식에 따라 저장가능하다.
플래시 메모리(130)에는 일정 시간 분량의 방송이 저장되므로, TV(100)는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타임-쉬프트 기능이란, 현재시점 보다 이전시점의 방송(즉, 이미 지나간 방송)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말하며, 이 기능에 의해 사용자는 이전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HDD 제어부(140)는 HDD(15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읽어들여 후술할 영상 처리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HDD 제어부(140)는 방송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을 HDD(150)에 동영상 파일로 저장하거나, 외부 입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 파일을 HDD(150)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60)는 메모리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방송 또는 HDD 제어부(14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에 대해 디코딩, 스케일링 등의 영상신호처리를 수행한다.
GUI 생성부(170)는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를 영상 처리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부가한다.
출력부(180)는 GUI 생성부(170)에서 출력되는 GUI가 부가된 영상을 디스플레이(D)에 표시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예를 들면, 외부 TV)로 출력한다.
제어부(190)는 수신부(195)를 통해 리모콘(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리모콘(200) 앞면의 이동, 버튼 누름)에 따라 TV(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HDD(150)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 재생시, 제어부(190)는 재생시점 변경을 위한 GUI가 제공되도록 GUI 생성부(170)를 제어하고, 이 GUI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시점으로 재생시점이 변경되도록 HDD 제어부(140)를 제어하는 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DD(15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는 중에(S310), 프로그레스 바 표시 명령이 입력되면(S315-Y), 제어부(190)는 프로그레스 바와 포인터(P)가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20).
여기서, 프로그레스 바는 동영상의 전체길이를 바 형상으로 상징시키고, 바 상에서 현재 재생시점을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방법에 의해 현재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의 일종이다.
S315단계에서의 프로그레스 바 표시 명령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특정 버튼 예를 들어, 옵션-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입력가능하다.
S320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90)는 프로그레스 바와 포인터(P)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170)를 제어한다.
S320단계 수행에 의해 프로그레스 바(410)와 포인터(P)가 표시된 디스플레이(D)를 도 4a에 도시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프로그레스 바(410)는 바를 2가지 색상으로 나타내어 현재 재생시점을 나타낸다. 즉, 프로그레스 바(410) 상에서 2가지 색상의 경계가 현재 재생시점에 해당한다.
포인터(P)에 의해 프로그레스 바(410) 상에서 특정 시점이 선택되면(S325), 제어부(190)는 선택된 특정 시점을 중심으로 하는 특정 시구간을 설정한다(S330).
S325단계에서의 선택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앞면을 VP 상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프로그레스 바(410) 상에서 특정 시점을 지시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선택-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S330단계에서 설정되는 특정 시구간의 길이는,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의 전체 길이에 비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전체 길이가 '1시간'이면 특정 시구간의 길이는 '10초'로 설정되고, 동영상의 전체 길이가 '2시간'이면 특정 시구간의 길이는 '20초'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S325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시점은 S330단계에서 설정되는 특정 시구간의 중심이다. 따라서, 동영상의 전체 길이가 '2시간'이고 선택된 특정 시점이 '1:00:00'이면, 특정 시구간은 '0:59:50 ~ 1:00:10'가 된다.
제어부(190)는 설정된 특정 시구간 내에서 M초 간격으로 시점들을 추출한다(S335). 위 예에서 M이 '2'라고 가정하면, S335단계에서 추출되는 시점들은 '0:59:50', '0:59:52', '0:59:54', ... , '1:00:06', '1:00:08' 및 '1:00:10'이 된다.
또한, 제어부(190)는 추출된 시점들 중 N개의 시점들을 지정한다(S340). 제어부(190)에 의해 지정되는 N개의 시점들은 S325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시점과 이 특정 시점에 인접한 시점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위 예에서 N이 '5'라고 가정하면, S340단계에서 지정되는 시점들은 '0:59:56', '0:59:58', '1:00:00', '1:00:02' 및 '1:00:04'가 된다.
이후, 제어부(190)는 지정된 N개의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이 프로스레스 바(410)의 상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45).
S345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90)는, 1) HDD(150)에서 N개의 시점들에 대한 영상들을 읽어들이도록 HDD 제어부(140)를 제어하고, 2) HDD 제어부(140)가 읽어들인 N개의 영상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생성하도록 영상 처리부(160)를 제어하며, 3) 영상 처리부(160)에서 생성된 N개의 축소영상들을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17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S325단계에서 선택된 특정 시점과 S345단계에서 표시되는 N개의 축소영상들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50).
S350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90)는 특정 시점과 N개의 축소영상들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방송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170)를 제어한다.
S345단계 및 S350단계가 수행된 디스플레이(D)를 도 4b에 도시하였다. 도 4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1) 프로그레스 바(410)의 상부에는 N(=5)개의 축소영상들(430-1, 430-2, 430-3, 430-4 및 430-5)이 표시되어 있으며, 2) 특정 시점(420)과 N(=5)개의 축소영상들(430-1, 430-2, 430-3, 430-4 및 430-5)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440)이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D)에는 "◀" 아이콘(450-1)과 "▶" 아이콘(450-2)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 아이콘들은 특정 시구간 내의 다른 축소영상들을 호출하기 위한 아이콘들이다.
구체적으로, "◀" 아이콘(450-1)은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축소영상들(430-1, 430-2, 430-3, 430-4 및 430-5) 보다 앞선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이며, "▶" 아이콘(450-2)은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축소영상들(430-1, 430-2, 430-3, 430-4 및 430-5) 보다 뒤진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아이콘이다.
한편, 포인터(P)에 의해 축소영상들(430-1, 430-2, 430-3, 430-4 및 430-5)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S355-Y), 제어부(190)는 현재 재생시점을 선택된 축소영상이 위치한 시점으로 변경한다(S360).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P)에 의해 2번째 축소영상(430-2)이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2번째 축소영상(430-2)이 위치한 시점부터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HDD 제어부(140)를 제어한다.
S355단계에서의 선택은, 사용자가 리모콘(200)의 앞면을 VP 상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에 의해 원하는 축소영상을 포인터(P)가 지시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선택-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한편, 포인터(P)에 의해 "◀" 아이콘(450-1) 또는 "▶" 아이콘(450-2)이 선택되면(S365-Y),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축소영상들 보다 앞선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 또는 뒤진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370).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5번째 축소영상(430-5)이 위치한 시점이 '1:00:04'인 경우, 포인터에 의해 "▶" 아이콘(450-2)이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04' 보다 뒤진 시점들('1:00:06', '1:00:08' 및 '1:00:10')에 대한 축소영상들(430-6, 430-7 및 430-8)이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S370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90)는, 1) HDD(150)에서 앞선 또는 뒤진 시점들에 대한 영상들을 읽어들이도록 HDD 제어부(140)를 제어하고, 2) HDD 제어부(140)가 읽어들인 영상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생성하도록 영상 처리부(160)를 제어하며, 3) 영상 처리부(160)에서 생성된 축소영상들을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동영상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170)를 제어한다.
지금까지, 동영상 파일 재생시 재생시점 변경을 위한 GUI를 제공하는 과정 및 이 GUI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시점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하는 과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으로 프로그레스 바를 예로 들었다. 하지만, 프로그레스 바는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의 일 예에 해당하므로, 프로그레스 바와 다른 형상의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특정 시구간의 길이는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의 전체 길이에 비례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고정된 길이로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고정된 길이는 필요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만약 고정된 길이가 '20초'라면, 동영상의 전체 길이가 '1시간'인 경우나 '2시간'인 경우 모두 특정 시구간의 길이는 '20초'로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특정 시점은 특정 시구간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일 예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특정 시점이 특정 시구간의 최초나 최후에 위치하는 경우나 이와 다른 지점에 위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N은 디스플레이(D)에 한번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의 개수에 해당한다. 따라서, 표시되는 축소영상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경우에는 N을 크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된 특정 시구간 내에서 M초 간격으로 시점들을 추출하는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특정 시구간 내에서 K개의 시점들을 추출하는 것으로도 구현가능하다. 이때, K개는 디스플레이(D)에 한번에 표시가능한 축소영상의 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D)에 한번에 표시가능한 축소영상의 개수가 5개이고 특정 시구간이 특정 시구간은 '0:59:50 ~ 1:00:10'인 경우, 추출되는 시점들은 '0:59:52', '0:59:56', '1:00:00', '1:00:04' 및 '1:00:08'이 된다.
또한, 축소영상들은 프로그레스 바의 상부가 아닌 다른 위치에 표시되어도 무방하며, 특정 시점과 축소영상들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은 도 4b에 도시된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TV가 내장된 저장매체의 일종인 HDD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재생시점을 변경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경우를 상정하였다. TV에 HDD가 아닌 다른 저장매체가 내장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TV가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을 이용하여 타임-쉬프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HDD 제어부(140)를 제어하는 대신 메모리 제어부(120)를 제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수신장치로 TV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TV 이외의 방송수신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적용가능한 다른 방송수신장치로 STB(Set Top Box),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수신장치, 방송수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 모듈이 내장된 포터블 기기(예를 들면, DMB 수신용 모듈이 내장된 모바일 폰) 등을 들 수 있다. 포터블 기기의 경우에는 리모콘이 아닌 터치패드를 통해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가 아니더라도 저장매체에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기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영상기기의 종류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리모콘은 터치패드나 마우스 등으로 교체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GUI 생성부(510)와 제어부(520)를 구비한다. GUI 생성부(510)는 GUI를 생성하여 표시될 영상에 부가한다.
제어부(520)는 현재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 및 포인터를 생성하여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5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20)는 포인터에 의해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 상에서 특정 시점이 선택되면 특정 시점이 포함된 특정 시구간 내의 시점들 중 일부의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5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20)는 축소영상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현재 재생시점을 선택된 축소영상이 위치한 시점으로 변경한다.
도 6에 도시된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에 따르면, 먼저 제어부(520)는 현재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 및 포인터를 생성하여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510)를 제어한다(S610).
그리고, 포인터에 의해 재생시점 안내 그래픽 상에서 특정 시점이 선택되면, 제어부(520)는 특정 시점이 포함된 특정 시구간 내의 시점들 중 일부의 시점들에 대한 축소영상들을 표시될 영상에 부가하도록 GUI 생성부(510)를 제어한다(S620).
이후, 축소영상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520)는 현재 재생시점을 선택된 축소영상이 위치한 시점으로 변경한다(S630).
이에 의해서도, 재생시점 변경을 위한 GUI를 제공하고 이 GUI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시점으로 재생시점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TV 170, 510 : GUI 생성부
190, 520 : 제어부 200 : 리모콘
410 : 프로그레스 바 420 : 특정 시점
430-1 ~ 430-8 : 축소영상 440 : 연결라인
P : 포인터

Claims (16)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시점 변경용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및 현재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를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 특정 재생 시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제1 축소영상 및 상기 특정 재생 시점이 포함된 특정 시구간 내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재생 시점과는 다른 시점들에 대한 제2 축소영상들을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축소영상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축소영상에 대응되는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레스 바 상에 나타난 상기 특정 재생 시점과 상기 축소영상들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구간의 길이는,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시점들은,
    상기 선택된 특정 재생 시점보다 앞선 재생 시점들 및 뒤진 재생 시점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재생 시점은,
    상기 특정 시구간의 최초 시점, 중간 시점 및 최후 시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 특정 재생 시점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공간 상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디스플레이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리모컨의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8. 재생되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생성하여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에 부가하는 GUI 생성부; 및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및 현재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를 생성하여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 특정 재생 시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제1 축소영상 및 상기 특정 재생 시점이 포함된 특정 시구간 내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재생 시점과는 다른 시점들에 대한 제2 축소영상들을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며, 상기 축소영상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축소영상에 대응되는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레스 바 상에 나타난 상기 특정 재생 시점과 상기 축소영상들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시구간의 길이는,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시점들은,
    상기 선택된 특정 재생 시점보다 앞선 재생 시점들 및 뒤진 재생 시점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재생 시점은,
    상기 특정 시구간의 최초 시점, 중간 시점 및 최후 시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 특정 재생 시점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포인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2차원적 움직임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는,
    디스플레이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상기 리모컨의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재생 시점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26242A 2014-03-05 2014-03-05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437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242A KR101437940B1 (ko) 2014-03-05 2014-03-05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242A KR101437940B1 (ko) 2014-03-05 2014-03-05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530A Division KR101437653B1 (ko) 2007-01-26 2007-01-26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494A KR20140038494A (ko) 2014-03-28
KR101437940B1 true KR101437940B1 (ko) 2014-09-12

Family

ID=5064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242A KR101437940B1 (ko) 2014-03-05 2014-03-05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9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0141A1 (en) 2001-05-23 2006-04-2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large digital multimedia object collec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0141A1 (en) 2001-05-23 2006-04-2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large digital multimedia object coll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494A (ko)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653B1 (ko)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1060654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5398719B2 (ja) ユーザ命令の入力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映像機器と入力機器
US1096315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80071452A (ko) 리스트 생성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2034590B1 (ko) 리모컨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리모컨 유저 인터페이스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1372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1931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low motion display, analysis and/or editing of audiovisual content on a mobile device
KR2012001764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2409A (ko) 오브젝트 부가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 및 오브젝트 부가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CN104244064A (zh) 操作图像显示设备的方法
KR101411586B1 (ko) 방송 프로그램 선택을 위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av 기기
KR20080100609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콘텐츠 재생방법
US2013021943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witching method
KR20080094200A (ko) 포인터가 위치한 영역에 메뉴 아이템을 나타내는 gui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437940B1 (ko) 재생시점 변경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JP5500972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90007B1 (ko) 영상제공장치,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KR2021005288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46808B1 (ko) 영상표시장치, 미디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30171470A1 (en) Customized clock based skip functionality
US20170308509A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0884406B1 (ko)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995423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및 채널 리스트를 이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26728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화면 인터페이스 피드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