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520B1 - 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 Google Patents

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520B1
KR101437520B1 KR1020120024219A KR20120024219A KR101437520B1 KR 101437520 B1 KR101437520 B1 KR 101437520B1 KR 1020120024219 A KR1020120024219 A KR 1020120024219A KR 20120024219 A KR20120024219 A KR 20120024219A KR 101437520 B1 KR101437520 B1 KR 10143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lid
container
present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2975A (en
Inventor
배수원
Original Assignee
배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수원 filed Critical 배수원
Priority to KR102012002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520B1/en
Priority to PCT/KR2012/005332 priority patent/WO2013005998A2/en
Publication of KR20130102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9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5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봉 후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덮개를 덮은 후 덮개가 개봉되지 않도록 협지하여 수증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라면이 단시간 내에 충분히 익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포크를 결속하여 포크를 이용하여 라면과 반찬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에 복수 개의 포크 날(11)이 형성되고 타측에 결속구멍(13)이 형성된 포크(10)와, 일측 단부에 상기 결속구멍에 결속되는 결속바(21)가 돌출되고, 상기 결속판(21)의 타측 단부에 컵라면 용기(30)의 상단턱(31) 및 덮개(32)가 끼워지도록 고정공간이 마련된 용기고정부로 이루어진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lid of a cup for a fork, more specifically, after pouring hot water, opening the lid, A fork 10 having a plurality of fork blades 11 formed on one side and a binding hole 13 formed on the other side in order to bind the fork and use the fork to easily eat the side dish and the ramen And an upper jaw 31 and a lid 32 of the cup-like container 30 are f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binding plate 21, A holder for holding a lid for a fork,

Description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본 발명은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라면 용기를 개봉 후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덮개을 덮고 열리지 않도록 협지하여 수증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포크(fork)를 결속하여 라면이나 김치 등을 먹을 수 있도록 한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lid of a cup,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holder for a lid of a f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for holding a f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lid of a cup for a combined use of fork to be able to eat ramen and kimchi.

일반적으로 스틸렌 수지 등으로 제작된 용기에 식품 내용물을 넣고 에칠렌 수지 등으로 코팅된 종이 덮개를 용기 상부에 가열 압착하여 생산되는 컵라면은 조리를 위하여 덮개의 일부를 개봉하고 스프류와 끓는 물을 부은 후 개봉했던 부분의 덮개를 다시 덮어서 요구되는 조리시간 동안 유지한 후 덮개를 재 개봉하여 먹도록 되어 있다.Generally, the contents of the food are put into a container made of styrene resin, etc., and a paper cover coated with an ethylene resin or the like is heated and pres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The cup noodle is opened by opening a part of the cover for cooking and pouring boiling water The cover of the unsealed part is then covered again, held for the required cooking time, and re-opened to cover it.

이때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개봉했던 덮개 부분을 다시 덮어 고정하는 방법이 개봉 시 손잡이로 이용되는 덮개의 돌출부를 용기의 상단턱 하부로 접어서 고정하였다.At this time, in the conventional cup noodle container, a method of covering and reattaching the opened lid portion is fixed by folding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lid which is used as a handle at the time of open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jaw of the container.

그러나 손잡이 부분의 고정력이 약할 뿐 아니라 수증기로 인해 덮개가 쉽게 변형되어 덮개가 쉽게 열리므로 뜨거운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서 라면이 잘 익지 않는 등의 폐단이 있다.However, not only is the holding force of the handle part weak, but also the cover is easily opened because of the steam, so the hot water vapor escapes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대부분의 소비자는 라면을 익히는 조리시간 동안 종이뚜껑 상부에 책 등의 물체를 올려 놓는 방법으로 덮개가 개봉되지 않도록 하였다.Accordingly, most consumers do not open the cover by placing a book or other object on top of the paper lid during the cooking time to learn ramen.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불편할 뿐 아니라 하부가 상부보다 작은 면적으로 되어 있는 용기의 형태의 특성을 비롯하여 상부쪽에 위치하게 되는 무게중심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용기가 넘어질 우려가 높은 위험한 방법이었으며, 또한 야외와 같이 평탄하고 안정된 장소가 없을 경우는 종이뚜껑 상부에 물체를 올려 놓는 것 자체가 불가능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 중의 이동과 같이 내용물이 출렁거리게 될 경우 쉽게 그 내용물이 흘러 넘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is method wa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a dangerous method that the container would fall over even a small impact due to the center of gravity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s well as the shape of the container shape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smaller than the upper por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put an object on the top of the paper lid itself.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contents are shaken, such as movement during cooking, the content easily flows over.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개봉 후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덮개를 덮은 후 덮개가 개봉되지 않도록 협지하여 수증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라면이 단시간 내에 충분히 익을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포크를 결속하여 포크를 이용하여 라면과 반찬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한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water vapor from being leaked by pouring hot water after open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der for a lid of a cup for a combined use for a fork so that the fork can be easily mixed while allowing the fork to be sufficiently cook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복수 개의 포크 날(11)이 형성되고 타측에 결속구멍(13)이 형성된 포크(10)와, 일측 단부에 상기 결속구멍에 결속되는 결속바(21)가 돌출되고, 상기 결속판(21)의 타측 단부에 컵라면 용기(30)의 상단턱(31) 및 덮개(32)가 끼워지도록 고정공간이 마련된 용기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rk having a fork having a plurality of fork blades on one side and a binding hole on the other side, a binding bar And a container fixing part having a fixing spac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inding plate so that the upper jaw 31 and the lid 32 of the container 30 can be fitted into the containe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포크 날(11) 중 적어도 하나는 파형으로 굴곡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ork blades 11 has a curved portion 110 formed in a waveform.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최 외곽에 위치한 포크 날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칼날(120)이 형성되어 나이프 대용으로 사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a blade 120 is formed at the edge of any one of the outermost fork blades to be used as a knife substitute.

본 발명에 따르면 컵라면 용기의 상단척과 덮개를 동시에 끼움 고정하는 구조를 통해 덮개의 일부를 개봉 후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다시 덮개를 덮고 열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협지하여 수증기의 유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라면이 단시간에 충분히 익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chuck and the lid of the container are fitted and fixed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lid is opened, hot water is poured, and then the lid is covered with the lid. Ramen can be fully cooked in a short time.

또한, 홀더의 일측에 포크를 연장 설치하는 경우 포크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먹을 수 있게 되어 편리하며, 포크 날의 가장자리를 날카롭게 하는 경우 음식물을 자를 수 있는 나이프(knife)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ork is extended to one side of the holder, it is convenient to eat food by using the fork, an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as a knife for cutting the food when the edge of the fork blade is sharpen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배면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평면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평면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배면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평면측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배면측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에서 포크의 변형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d holder for a combined use cup for a for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lid holder for a combined use cup for a for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 lid holder for a combined use cup for a for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5 is a plan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side perspective view of a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a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lid holder for a combined use cup for a for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side perspective view of a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a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lid holder for a combined use cup for a for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ormed structure of a fork in a cup lid holder for a combined for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lid holder for a fork combination cup nood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lan view of a lid holder for a combined use cup for a for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lid holder for a fork combination cup nood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d holder for a fork combination cu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lid holder for a fork combination cu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a lid holder for a combined fork cu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마련된 포크(10)와, 상기 포크(10)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용기고정부(210)로 이루어진다.1 to 3,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k 10 provided for eating food, and a container fixing part 210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ork 10.

상기 포크(10)는 통상적인 형태와 같이 일측에 복수 개의 포크 날(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부에서 내측으로 결속구멍(13)이 형성된다.The fork 10 has a plurality of fork blades 11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binding hole 13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at an inner side thereof.

상기 용기고정부(210)는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컵라면 용기(30)의 상단턱(31) 및 덮개(32)가 끼워지도록 하는 고정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용기고정부(21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속구멍(13)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결속바(21)가 돌출 형성된다.6, the container fixing part 210 is provided with a fixing space for fixing the upper jaw 31 and the lid 32 of the cup-like container 30, And a tie bar 21 inserted and bound in the binding hole 13 is protruded from the end.

이때 상기 결속구멍(13) 내부에는 단턱(14)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바(21)의 단부에는 결속바(21)가 결속구멍(13)에 삽입되었을 때 다시 빠지지 않도록 상기 단턱(14)에 체결되는 돌기(22)가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기의 돌출 형상은 직각삼각형 형태이다.At this time, a step 14 is formed in the binding hole 13, and at the end of the binding bar 21, the binding bar 21 is attached to the step 14 so as not to fall off again when the binding bar 21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hole 13 The protrusions 22 to be fastened are protruded outwardly, and the projecting shape of the protrusions is a right triangle.

이와 같이 하면 용기고정부(210)를 이용하여 컵라면 용기(30)와 덮개(32)를 고정하여 라면을 익한 다음, 포크(10)를 결속하여 라면을 취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ainer 30 and the lid 32 can be fixed by using the container fixing unit 210, and then the ram 10 can be tied to the ram 10 by gripping the ram.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포크 날(11) 중 적어도 하나는 파형으로 굴곡이 진 굴곡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골국부(110)는 라면과 같이 길이가 긴 음식물을 걸어서 잘 빠지지 않도록 하므로 포크(10)에 라면을 걸었을 때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ork blades 11 may be formed with a curved bent portion 110, and the borehole portion 110 may be provided with a long food such as a ram nood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k 10 from falling easily when the ramp is hooked on the fork 10.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평면측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고정부(210)는, 상기 결속바(21)의 타측 단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대(23)와, 상기 연결대(23)의 양 측벽에서 접이부(211)를 통해 연결된 한 쌍의 측벽(212)이 상기 접이부(211)를 통해서 굽힘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벽(212)은 각각 호(弧) 형으로 연장된다.4 to 6, the container fixing part 210 includes a connecting rod 23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ther end of the binding rod 21 and a connecting rod 23 extending from both side walls of the connecting rod 23, A pair of sidewalls 212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211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nd through the folding portion 211 and each of the pair of sidewalls 212 extends in an arc shape.

상기 접이부(211)는 상기 연결대(23)와 측벽(212)을 선 형태로 연결하되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여 상호 굽힘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재조하면 구성할 수 있다.The folding part 211 connects the linking part 23 and the side wall 212 in a line form, but the thickness of the connected part is thinned to enable mutual bending. The folding part 211 can be constructed by using a material such as plastic .

또한, 상기 각 측벽(212)의 상단에는 각 측벽(212)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부플랜지(213)가 연장 돌출되며, 상기 용기고정부(210)가 컵라면용기(3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상부플랜지(213)의 하면은 덮개(32)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An upper flange 213 is extended and protru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ide walls 212 face each other at an upper end of each of the side walls 212. When the container fixing part 210 is a cup,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32.

또한, 상기 각 측벽(212)의 하단에는 각 측벽(212)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부플랜지(214)가 연장 돌출되며, 상기 용기고정부(210)가 컵라면용기(3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하부플랜지(214)의 상면은 용기의 상단턱(32)의 하면에 접하게 된다.A lower flange 214 is extended and protru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ide walls 212 face each other at a lower end of each of the side walls 212. When the container fixing part 210 is a cup,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21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jaw 32 of the container.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고정부(210)의 고정공간(215)은 한 쌍의 각 측벽(212)과, 상부플랜지(213) 및 하부플랜지(214) 사이에 위치한다.The fixing space 215 of the container fixing part 2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s 212 and the upper flange 213 and the lower flange 214. [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상부플랜지(213)의 돌출 단부를 직선 형태로 하고, 상기 하부플랜지(214)의 돌출 단부를 호(弧) 형으로 하면 상부플랜지(213)와 덮개(32)의 접촉면을 늘리게 되므로 덮개(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protruding end of the upper flange 213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projecting end of the lower flange 214 is arc shaped so th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upper flange 213 and the lid 32 So that the lid 32 can be stably supported.

[실시예 2][Example 2]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평면측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7 is a plan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se of the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마련된 포크(10)와, 상기 포크(10)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용기고정부(220)로 이루어진다.7 to 10,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k 10 provided for eating food, and a container fixing part 220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ork 10.

상기 포크(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용기고정부(220)와의 결속 구조는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fork 10 and the binding structure with the container fixing part 22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기고정부(220)는, 상기 결속바(21)의 타측 단부에서 바 형태로 일정 길이 연장된 측벽(221)을 포함한다.The container fixing part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sidewall 221 having a certain length extending in a bar shape at the other end of the binding bar 21. [

상기 측벽(221)은 길이 방향의 일 측면은 개방된 형태로 되나 세개의 측면은 폐쇄된 형태를 가진다. 즉 길이 방향의 양 측면 중 일측은 개방되어 고정공간(224)의 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은 폐쇄된 형태이며,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는 각각 폐쇄되어 있다.The side wall 221 has an open shape at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has a closed shape at three sides. In other words, one side of both longitudinal sides is opened to form an inlet of the fixing space 224, the other side is closed, and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are closed.

또한, 상기 측벽(211)의 상단에는 세개의 측면을 가진 측벽(211)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플랜지(222)가 형성되고, 측벽(211)의 하단에는 세개의 측면을 가진 측벽(211)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플랜지(223)가 형성된다.An upper flange 222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211 to close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211 having three sides and a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211 having three sides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ide wall 211 A lower flange 223 is formed.

이 경우 상기 고정공간(224)은 세개 측면을 가진 측벽(211), 상부플랜지(222) 및 하부플랜지(223) 사이에 위치하고 이 공간(224)에 용기(30)의 상단턱(31)과 덮개(32)를 끼울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fixing space 224 is located between the side walls 211 having the three sides, the upper flange 222 and the lower flange 223, and the upper jaw 31 of the container 30 and the cover (32).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측벽(211) 중 길이방향의 폐쇄된 측면은 호(弧) 형으로 하고, 또한 상부플랜지(222)의 돌출 단부를 직선 형태로 하며, 상기 하부플랜지(223)의 돌출 단부를 호(弧) 형으로 하면 상부플랜지(222)와 덮개(32)의 접촉면을 늘리게 되므로 덮개(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form, the closed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rcuate,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upper flange 222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and the protruding end of the lower flange 223 is referred to as arc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upper flange 222 and the lid 32 is increased, so that the lid 32 can be stably supported.

[실시예 3][Example 3]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평면측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11 is a plan side perspective view of a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a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of the cup noodle lid hold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마련된 포크(10)와, 상기 포크(10)의 일측면에 탈부착 가능한 용기고정부(230)로 이루어진다.11 to 14,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ork 10 provided for eating food, and a container fixing part 230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ork 10.

상기 포크(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용기고정부(230)와의 결속 구조는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fork 10 and the binding structure with the container fixing part 230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repetiti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기고정부(230)는, 상기 결속바(21)의 타측 단부에서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고 직선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직선연장부(231)와, 상기 직선 연장부(231)의 단부에서 호 형으로 연장된 원호연장부(232) 및 상기 원호연장부(232)의 내주면 전체 길이에서 내측으로 홈이 패여 컵라면 용기와 덮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홈(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ainer fixing part 2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straight extending part 23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the other end of the binding bar 21 and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 straight line, 231), and a fixing groove 233 (233) which forms a fixing space for fixing the container and the cover, if the cup is poured inwardly in the entire length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rled elastic member (232) ).

상기 고정홈(233)은 도시한 것과 같이 직선연장부(231)에서 더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품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사출 성형시 두께에 의한 수축 변형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xing groove 233 can be further extended from the straight extension 231.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 weight and to minimize the shrinkage deformation due to the thickness during injection molding.

도시한 것과 같이 용기고정부(230)가 포크(10)와 결속되었을 때 용기고정부(230)가 손잡이 기능을 가지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원호연장부(232)의 원호 돌출 방향은 포크(10)의 상면으로 돌출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그 돌출 방향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The arcuat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arcuate section 210 of the fork 10 is set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fork 10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container fixing section 230 has a gripping function when the container fixing section 230 is engaged with the fork 10. [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4][Example 4]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에서 포크의 변형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FIG. 1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structure of a fork in a lid holder for a combined cup for a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기재된 포크(10)를 변형한 것으로, 최외곽에 위치한 포크 날(11)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를 날카로운 칼날(120)을 형성하여 나이프(knife)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포크(10)를 세운 상태에서 상기 칼날(120)을 이용하여 라면이나 김치 등 소정의 음식물을 절단할 수 있으므로 나이프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ification of the fork 10 describ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dge of any one of the outermost fork blades 11 is formed as a sharp blade 120 So that it can be used as a knife substitute. In this case, since the predetermined food such as ramen or kimchi can be cut by using the knife 120 in the state where the fork 10 is set up, the knife can be used instead of the knife, which improves the convenience.

[실시예 5][Example 5]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holder for a fork combinat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lan view of a lid holder for a fork combination cu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lid holder for a fork combination cup nood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A5)는, 음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마련된 포크(10)와, 상기 포크(10)에 연결된 자루(15)에 형성되어 끼움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6 to 20, the fork cup lid holder A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k 10 provided to be able to eat food, and a fork 10 connected to the fork 10 And a fitting portion (50) formed on the bag (15).

상기 끼움부(50)는 컵라면 용기(30)의 상단턱(31) 및 덮개(32)가 끼워지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52)을 포함한다.The fitting portion 50 includes an elongated hole 5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upper jaw 31 of the container 30 and the lid 32 are fitted.

또한 끼움부(50)의 후면, 즉 컵라면 용기(30)와 접촉되는 면에는 장공(52)의 외주연에 돌출되어 단턱(54)이 형성되어 가압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ep 54 protrudes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lot 52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50, that is, the surface that contacts the container 30, so that the pressing area can be increased.

또한 장공(52)에 형성된 단턱(54) 중 하부의 단턱(542)에는 컵라면 용기와 밀착될 수 있도록 곡률을 갖는 곡면부(55)가 형성된다.The lower step 542 of the step 54 formed in the slot 52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portion 55 having a curvatur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따라서 곡면부(55)가 컵라면 용기(3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 홀더(A5)의 견고한 장착이 가능해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55 is a cup, the lid holder A5 is firm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3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irmly mount the lid holder A5 for both the fork and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장공(52)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돌기(56)가 더 형성되어 협지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a plurality of protrusions 56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ongated hole 52 so that the clamping force can be increased.

다수의 돌기(56)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장공(52)의 내주면 양측에 대응되게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56 ar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ongated hole 52.

따라서 끼움부(50)의 장공(52)에 컵라면 용기(30)의 상부의 단턱(541) 및 덮개(32)를 끼워 넣으면 다수의 돌기(56)가 상부의 단턱(541)과 덮개(32)를 견고하게 협지함으로써 고정력이 배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pper step 541 and the lid 32 of the container 30 are inserted into the slot 52 of the fitting part 50, a plurality of projections 56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step 541 and the lid 32 The holding force can be doubled.

상기 포크(10)와 자루(15)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ork 10 and the bag 15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formed separately as shown in Fig.

분리형인 경우 포크(10)의 후단에 장착공(102)이 형성되고, 자루(15)의 선단에 후크(162)를 갖는 체결부(16)가 형성됨으로써 포크(10)와 자루(15)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A mounting hole 102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ork 10 and a fastening portion 16 having a hook 162 at the tip of the bag 15 is formed so that the fork 10 and the bag 15 Coupling and separation can be made possible.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포크(fork) 11: 포크 날
12: 연결대 13: 결속구멍 14: 단턱
110: 굴곡부 120: 칼날
21: 결속바 22: 돌기 23: 연결대
210: 용기고정부 211: 접이부
212: 측벽 213: 상부플랜지
214: 하부플랜지 215: 고정공간
220: 용기고정부 221: 측벽
222: 상부플랜지 223: 하부플랜지 224: 고정공간
230: 용기고정부 231: 직선연장부
232: 원호연장부 233: 고정홈
30: 컵라용 용기 31: 상단턱 32: 덮개
10: fork 11: fork blade
12: connecting rod 13: binding hole 14:
110: bent portion 120: blade
21: coupling bar 22: projection 23: connecting rod
210: container fixing part 211: folding part
212: side wall 213: upper flange
214: Lower flange 215: Fixed space
220: container fixing part 221: side wall
222: upper flange 223: lower flange 224: fixed space
230: container fixing part 231: straight extension part
232: Hanging head holder 233: Fixing groove
30: cup tray container 31: upper jaw 32: cover

Claims (16)

일측에 복수 개의 포크 날(11)이 형성되고 타측에 결속구멍(13)이 형성된 포크(10); 일측 단부에 상기 결속구멍에 결속되는 결속바(21)가 돌출되고, 상기 결속판(21)의 타측 단부에 컵라면 용기(30)의 상단턱(31) 및 덮개(32)가 끼워지도록 고정공간이 마련된 용기고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고정부는,
상기 결속바(21)의 타측 단부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대(23)와,
상기 연결대(23)의 양 측벽에서 접이부(211)를 통해 굽힘 가능하고 호(弧) 형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212)과,
상기 각 측벽(212)의 상단에서 각 측벽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덮개(32)의 상면에 접하도록 한 상부플랜지(213)와,
상기 각 측벽(212)의 하단에서 각 측벽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상단턱(32)의 하면에 접하도록 한 하부플랜지(214)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공간이 측벽,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A fork (10) having a plurality of fork blades (11) formed on one side and a binding hole (13) on the other side; And the upper jaw 31 and the lid 32 of the container 30 are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binding plate 2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space 21, A container fixing part provided with the container holding part; , ≪ / RTI &
The container-
A connecting rod 23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inding bar 21 by a predetermined length,
A pair of sidewalls 212 extending in an arc-like shape bendable from both side walls of the connecting rod 23 through the folding portion 211,
An upper flange 213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side walls 21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ide walls and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32,
And a lower flange 214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side walls 212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ide wall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jaw 32,
Wherein the fixing space is located between the side wall,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멍(13) 내부에 단턱(14)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바(21)의 단부에 상기 단턱(14)에 체결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trusion (22) protruding outwardly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tep (14)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binding bar (21), the step (14) being formed in the binding hole (13) Holder of cup lid ca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날(11) 중 적어도 하나는 파형으로 굴곡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ork blades (11) has a bent portion (110) formed in a wave shape.
제 1항에 있어서,
최 외곽에 위치한 포크 날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칼날(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lade (120) is formed on an edge of any one of the fork edges located at the outermost periphery of the hold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213)의 돌출 단부는 직선이고, 상기 하부플랜지(214)의 돌출 단부는 호(弧)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ng end of the upper flange (213) is straight and the projecting end of the lower flange (214) is arc-shap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24219A 2011-07-05 2012-03-09 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KR1014375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219A KR101437520B1 (en) 2012-03-09 2012-03-09 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PCT/KR2012/005332 WO2013005998A2 (en) 2011-07-05 2012-07-05 Device for fixing cover of cup noodl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219A KR101437520B1 (en) 2012-03-09 2012-03-09 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975A KR20130102975A (en) 2013-09-23
KR101437520B1 true KR101437520B1 (en) 2014-09-03

Family

ID=4945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219A KR101437520B1 (en) 2011-07-05 2012-03-09 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52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9781U (en) * 1975-05-02 1976-11-11
JP2006046625A (en) * 2004-08-05 2006-02-16 Shinji Morita Clip mounted to edge of opening of instant noodle container
KR20060097511A (en) * 2005-03-18 2006-09-14 한복환 Combination knife and fork
KR20090122785A (en) * 2008-05-26 2009-12-01 박창진 Spo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9781U (en) * 1975-05-02 1976-11-11
JP2006046625A (en) * 2004-08-05 2006-02-16 Shinji Morita Clip mounted to edge of opening of instant noodle container
KR20060097511A (en) * 2005-03-18 2006-09-14 한복환 Combination knife and fork
KR20090122785A (en) * 2008-05-26 2009-12-01 박창진 Spo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975A (en)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7785B2 (en) Push button flip top with second container
MX2008005087A (en) Tamper evident plastic dispensing container.
US11072471B2 (en) Lid for a container and cutlery produced from a lid of that kind
KR101308006B1 (en) 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KR101437520B1 (en) 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KR200475771Y1 (en) Structure of instant food double spaced bowl having water hole
KR20140003532U (en) Locking structure of food packing case
US20010033882A1 (en) Food container with a utensil receiving structure
KR20130106233A (en) Holder for cup ramen cover
KR101574013B1 (en) Holder for cup ramen cover with fork
JP3113943U (en) Cup-shaped container holder
US20130153586A1 (en) Package for ice cream
KR101287978B1 (en) Disposable container
EP1787919A1 (en) Container for foodstuffs provided with a drawing utensil
KR101854759B1 (en) Assembly disposable spoon
KR200341650Y1 (en) Cooking pan
JP7430078B2 (en) container
KR101439341B1 (en) Disposable Vessel for Food
JP6284411B2 (en) Exterior container and filling container
JP5841920B2 (en) Eating and drinking utensils
JP6054641B2 (en) Microwave cooking box and food
KR200386475Y1 (en) can lid capable of twist-opening
KR200429167Y1 (en) Disposable packing container with joint's structure
CA2701024A1 (en) Sift-resistant dispensing closure
JP5081530B2 (en) Container with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