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024B1 -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024B1
KR101437024B1 KR1020130023292A KR20130023292A KR101437024B1 KR 101437024 B1 KR101437024 B1 KR 101437024B1 KR 1020130023292 A KR1020130023292 A KR 1020130023292A KR 20130023292 A KR20130023292 A KR 20130023292A KR 101437024 B1 KR101437024 B1 KR 10143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ource
sub
main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김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3002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0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 H02J3/44Synchronising a generator for connection to a network or to another generator with means for ensuring correct phase seque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난방기와 같은 부하를 태양광 발전에 의해 생산된 전력에 의해 운영되도록 하고, 부족한 전력을 다른 전력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아 운영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부족을 해소하고, 전력계통의 역률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발전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 상기 발전전력이 충전되는 충전지, 상기 발전전력 또는 상기 충전지에 충전된 충전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주전원; 상기 주전원과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부전원; 상기 주전원 또는 상기 부전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부하; 및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전원간의 절체를 수행하여 상기 주전원으로부터의 주전력 또는 상기 부전원으로부터 부전력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무순단절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Photovoltaic System For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난방기와 같은 부하를 태양광 발전에 의해 생산된 전력에 의해 운영되도록 하고, 부족한 전력을 다른 전력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아 운영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부족을 해소하고, 전력계통의 역률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 사용은 크게 증가하는 반면, 발전 설비의 설치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면서 전력 수급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때문에 최근에는 큰 전력을 필요로 하는 부하의 사용을 제한하는 등의 임시적인 조치를 통해 부족한 전력을 분배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으로 최근에는 신재생 에너지의 이용 및 보급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는 기존 화력, 원자력, 수력에 비해 입지에 의한 주민 피해, 반대, 환경 오염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과 비교적 소형으로 시설할 수 있는 차이점으로 인해 부족한 전력의 확보를 위한 주요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신재생 에너지는 풍력, 태양광, 태양열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 중 소규모로 시설이 가능하고, 다른 신재생 에너지에 비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이용이 적극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비롯한 신재생 에너지는 일부 대규모 발전설비를 제외하곤 계통과 연계되어 에너지 분담에 이용되지 못하고, 독립적인 소규모 발전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중·소 규모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발전된 전력을 부하로 전달하거나, 계통에 전달하기 위해 릴레이 형태의 자동 절체 스위치를 주로 이용한다. 이를 이용하여 절체를 하는 경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태양광 발전과 사용전력 사이에서 절체되는 과정에서 전력 공급의 단절이 발생되어 부하의 연속적인 운영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유와 함께 소규모로 시설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계통과 연계되는 과정에서 계통의 고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고장이 계통으로 전달되어 전력 공급에 차질을 발생시키는 등의 불안정 운전이 빈번하게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난방기와 같은 부하를 태양광 발전에 의해 생산된 전력에 의해 운영되도록 하고, 부족한 전력을 다른 전력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아 운영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부족을 해소하고, 전력계통의 역률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 전력과 기타 전력 공급원 사이의 전력 절체시 전력 공급의 중단없이 연속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하의 안정적인 운전 및 전력 공급이 가능한게 한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발전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 상기 발전전력이 충전되는 충전지, 상기 발전전력 또는 상기 충전지에 충전된 충전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주전원; 상기 주전원과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부전원; 상기 주전원 또는 상기 부전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부하; 및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전원간의 절체를 수행하여 상기 주전원으로부터의 주전력 또는 상기 부전원으로부터 부전력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무순단절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순단절체부는 상기 주전력과 상기 부전력의 위상이 일시적으로 일치되는 시점에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전원 간의 절체를 수행한다.
상기 무순단절체부는 상기 주전력과 상기 부전력 각각의 전력값, 전류값, 전압값 및 위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력정보를 전달받아 위상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절체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절체제어부; 상기 절체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부전원과 상기 주전원 간의 절체를 수행하는 절체부; 및 절체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절체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순단 절체부는 상기 주전력과 상기 부전력의 위상 일치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저장되는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강제절체를 수행한다.
상기 무순단 절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저장되는 동기화비율에 의해 절체를 위한 위상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동기화비율은 상기 주전력과 상기 부전력의 위상 일치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전원의 전압비 또는 전류비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는 상기 태양광 발전의 종료 예정 또는 상기 충전지의 충전전력 소진에 따른 전원 공급 중단 이전에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전원의 절체가 이루어지도록 절체시점 정보를 상기 무순단 절체부에 전달하고, 상기 무순단절체부는 상기 절체시점정보에 따라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전원 간의 절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냉난방기와 같은 부하를 태양광 발전에 의해 생산된 전력에 의해 운영되도록 하고, 부족한 전력을 다른 전력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아 운영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부족을 해소하고, 전력계통의 역률 저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전력과 기타 전력 공급원 사이의 전력 절체시 전력 공급의 중단없이 연속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하의 안정적인 운전 및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무순단절체부(3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3 내지 도 7은 위상 동기화에 의한 절체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8 및 도 9는 절체에 따른 측정전류를 나타낸 예시도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주전원부(10), 부전원부(20), 무순단절체부(30) 및 부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무순단 절체부(30)와 부하(50)의 사이에 연결되어 회로를 차단 또는 연결하는 차단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전원부(1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부하(50)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주전원부(10)는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 발전된 전력 또는 잉여 전력의 저장을 위한 충전지(12) 및 충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전력 또는 발전전력(이하에서'충전전력 및 발전전력'을 포함하는 의미로 '주전력'이라 함)을 부하(50)에서 사용 가능한 전력 형태 및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인버터(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주전원부(10)는 태양전지(11)를 통해 발전을 수행하여 발전전력을 생산한다. 이 발전전력은 부하(50)가 가동되는 경우 부하(50)에 공급되고, 부하(50)가 가동되지 않는 동안은 충전지(12)에 저장된다. 여기서, 발전전력이 부하(50)에 공급되는 경우에도 부하(50)에서 사용되고 남은 전력은 충전지(12)에 저장된다.
충전지(12)는 태양전지(11)로부터 공급되는 발전전력을 저장하고, 인버터(13)의 제어에 따라 충전된 전력을 인버터(13)에 공급한다. 이러한 충전지(12)는 연축전지, 리튬 산화물 충전지, 카드뮴 산화물 충전지와 같은 2차전지이면 어떠한 형태의 전지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인버터(13)는 태양전지(11) 또는 충전지(12)로부터 공급되는 주전력을 부하(50)에서 이용 가능한 형태의 전력 또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무순단절체부(30)에 공급한다. 특히, 인버터(13)는 태양전지(11)가 최대전력의 발전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11)에 대한 최대전력점 추종을 수행한다. 그리고, 태양전지(11)와 충전지(1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충전지(12)에 대한 충전, 발전전력의 공급을 위한 변환을 수행한다. 더불어 인버터(13)는 부전원(20)의 공급시점을 파악하여 무순단절체부(30)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인버터(13)는 발전전력의 생산이 종료되는 시점, 충전지(12)에 의한 전원공급이 가능한 시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각 정보에 따라 부전원(20)의 공급될 절체시점을 산출하여, 무순단절체부(30)에 전달한다. 한편, 인버터(13)는 충전지(12)에 의한 전력 공급 가능 시간을 판단하기 위해 충전지(12)의 충전시간, 단자전압, 온도와 같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버터(13) 외에 충방전을 위한 별도의 제어기를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어기의 역할을 인버터(13) 및 이에 구성된 제어부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부전원부(20)는 무순단절체부(3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부전원을 부하(50)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부전원부(20)는 상용전력이거나 주전원(10)과 별도로 구성되는 발전시스템일 수 있다.
무순단절체부(30)는 주전원(10) 또는 부전원(20)을 부하(50)에 공급한다. 특히, 무순단절체부(30)는 주전원(10)과 부전원(20) 간의 절체시 순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절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무순단 절체부(30)는 인버터(13)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과 부전원(20)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의 위상이 일시적으로 같아지는 순간에 절체를 수행하여 부하(50)에 주전원(10) 또는 부전원(20)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러한 절체에 있어서 무순단절체부(30)는 인버터(13)로부터 절체시점 정보를 제공받아 절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순단절체부(30)는 검출부, 절체제어부, 절체부, 입력부,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단부(40)는 무순단절체부(30)와 부하(50)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몰드차단기(MCCB)와 같은 차단기(41)와 분전을 위한 분전반(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하(50)는 무순단절체부(30)로부터 공급되는 주전원(10) 또는 부전원(20)에 의해 구동되어 난방 또는 냉방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부하(50)는 에어콘, 모터, 라디에이터, 전열기구, 전기 보일러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도로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 하부에 시설되는 전열 수단의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무순단절체부(3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순단절체부(30)는 절체부(31), 절체제어부(32), 검출부(33), 입력부(34), 출력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체부(31)는 절체제어부(32)의 절체제어부(32)로부터의 절체제어신호에 따라 부하(50)로 공급되는 전원 즉, 주전원(10)과 부전원(20)의 절체를 수행한다.
절체제어부(32)는 검출부(33)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정보에 의해 주전원(10)과 부전원(20)의 절체를 수행한다. 특히, 절체제어부(32)는 전력정보에 의해 주전원(10)과 부전원(20)의 위상이 일시적으로 일치되는 시점에 고속(4ms 이내)으로 절체를 수행하도록 절체부(31)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절체제어부(32)는 구동중인 부하(50)에 공급되는 전력의 끊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절체제어부(32)는 인버터(13)로부터 전달되는 절체시점 정보에 의해 이러한 절체를 수행함으로써 주전원(10)에 의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동안 절체를 수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주전원(10)의 전력 품질이 저하되거나 끊기기 전에 부전원(20)을 부하(50)에 공급하게 된다.
검출부(33)는 주전원(10) 및 부전원(20)의 전력, 전압, 전류 및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력정보를 절체제어부(32)에 전달한다. 절체제어부(32)는 이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주전원(10)과 부전원(20)의 동기화 및 스위칭시점을 판단하여 절체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검출부(33)는 주전원의 전력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제1검출기(36a)와 부전원(20)의 전력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제2검출기(36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검출기(36a, 36b)는 전류계(CT), 전압계(PT) 또는 위상 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34)는 절체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34)를 통해 절체 제어에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임계시간값, 동기화 판단 비율과 같은 정보가 입력되어 절체제어부(32)에 전달되고, 절체제어부(32)는 이러한 임계시간값 또는 동기화 판단 비율에 의해 절체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임계시간값은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강제절체를 위한 한계 시간값으로 미리 정해진 임계시간값이 경과하여 절체제어부(32)는 동기화 여부에 관계없이 절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동기화 판단 비율은 주전원(10)과 부전원(20)에 대해 검출된 전력정보를 비교하여 동기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 위상이 일체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전압값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출력부(35)는 절체제어부(35)의 동작 정보 예를 들면 부하(50)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주체, 고장 여부와 같은 정보가 출력된다.
도 4 내지 도 10은 위상 동기화에 의한 절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이 중 도 3 내지 도 7은 위상 동기화에 의한 절체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고, 도 8 및 도 9는 절체에 따른 측정전류를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9에는 각각 주전원(10)과 부전원(20)의 전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원(10)과 부전원(20)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은 검출기(36 : 36a, 36b)에 의해 전압(또는 전력 또는 전류 중 어느 하나의 위상을 측정하여 동기화 판단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전압의 위상을 통해 동기화를 설명하기로 한다)의 위상을 측정하면 검출되며, 거의 같은 주파수의 같은 진폭을 가지는 위상(G, S)이 측정된다. 이들은 각각 주전원(10)으로부터의 전압(G)과 부전원(20)으로부터의 전압(S)의 위상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전압 파형은 동기 상태 전으로, 실제 상황에서 주전원(10)과 부전원(20)의 주파수가 정확히, 이상적(ideal)으로 일치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주전원(10)과 부전원(20)의 위상은 도 3 내지 도 5 또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동기 및 비동기 즉, 일치와 불일치를 반복하게 된다. 물론 인버터(13)의 변환 주파수를 조정하여 어느 정도까지 조절할 수는 있지만, 실제론 주파수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의 무순단절체부(30)는 주전원(10)과 부전원(20)의 위상이 동일해지는 시점에 고속으로 절체를 수행하여, 끊김없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시점의 범위를 입력부(34)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게 하며, 절체제어부(32)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절체시점에 절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주전원(10)과 부전원(20)의 위상 동기화가 99.5%, 99%, 98.5%, 98% 등에서도 진행될 수 있게 하여 좀더 빠른 절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기화비율을 98%로 설정한 경우 전압의 위상이 동기화되는 시점에 절체를 수행하는 경우 측정시점의 주전원(10)의 전압이 부전원(20)의 전압에 대해 98% 값을 가지는 경우 동기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절체를 수행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전력끊김에 의해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무순단 시간은 4ms 이내의 시간으로 측정되지만, 부하의 종류에 따라 다른 시간 값을 가지며 위상 동기화의 설정 범위는 무순단 시간 이내의 임의의 값을 가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더불어, 절체제어부(32)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도록 위상의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강제절체를 통해 전원의 절체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주전원(10)과 부전원(20) 간의 위상 동기화를 위해 인버터(13)의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도, 주전원(10)과 부전원(20) 간의 미묘한 주파수 차이를 이용한다. 주전원(10)이 부전원(20)과 동일한 주파수의 전력을 생산하도록 제어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이용에 있어서 주전원(10)과 부전원(20)으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의 주파수는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동기와 비동기를 반복하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반복 과정에서 동기화되는 시점을 포착하고, 이때 절체를 수행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주파수의 동기와 비동기의 반복은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시간을 동기화를 위해 할애하는 경우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주전원(10)과 부전원(20)의 동기화 즉, 일시적인 위상 일치에 의한 절체가 가능해진다.
또한, 동기와 비동기화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시간 경과 후 강제 절체를 수행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전원 절체를 수행하고, 전력공급이 이루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순단절체부(30)는 무순단 절체를 수행한다. 이러한 무순단 절체는 도 8 및 도 9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도 8에서 위의 그래프는 주전원(10)으로부터 부하(50)에 공급되는 전원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고, 아래의 그래프는 부하에 입력되는 전원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 전압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는 절체시점(X)에 부전원(20)에 의해 전력이 부하(50)에 공급되고, 주전원(10)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은 중단된다. 이때의 파형을 살펴보면, 주전원(10)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어 전압의 파형이 일정한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부하로 입력되는 전압파형은 변함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는 절체시점(Y)까지는 주전원(10)에 의해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고, 절체시점(Y)부터 부전원(20)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절체시점(Y)에 주전원(10)과 부하(50)가 연결되어 주전원(10)에 의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전압파형이 측정된다.
반면, 아래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부하(50)에 입력되는 전력은 절체에 무관하게 연속적인 전압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순단절체부(30)는 주전원(10)과 부전원(20)의 절체시 주전원(10)과 부전원(20)간의 위상 동기화 시점에 고속으로 절체를 수행하게 되고, 이를 통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 바와 같이 무순단 절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주전원 11 : 태양전지
12 : 충전지 13 : 인버터
20 : 부전원 30 : 무순단절체부
40 : 차단부 50 : 부하

Claims (6)

  1. 발전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 상기 발전전력이 충전되는 충전지, 상기 발전전력 또는 상기 충전지에 충전된 충전전력을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주전원;
    상기 주전원과 별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부전원;
    상기 주전원 또는 상기 부전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부하; 및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전원간의 절체를 수행하여 상기 주전원으로부터의 주전력 또는 상기 부전원으로부터 부전력을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무순단절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순단절체부는
    상기 주전력과 상기 부전력 각각의 전력값, 전류값, 전압값 및 위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전력정보를 전달받아 위상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절체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절체제어부; 상기 절체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부전원과 상기 주전원 간의 절체를 수행하는 절체부; 및 절체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절체제어부에 전달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순단절체부는
    상기 주전력과 상기 부전력의 위상이 일시적으로 일치되는 시점에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전원 간의 절체를 수행하되,
    상기 주전력과 상기 부전력의 위상 일치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저장되는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강제절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순단 절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저장되는 동기화비율에 의해 절체를 위한 위상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동기화비율은
    상기 주전력과 상기 부전력의 위상 일치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전원의 전압비 또는 전류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태양광 발전의 종료 예정 또는 상기 충전지의 충전전력 소진에 따른 전원 공급 중단 이전에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전원의 절체가 이루어지도록 절체시점 정보를 상기 무순단 절체부에 전달하고,
    상기 무순단절체부는
    상기 절체시점정보에 따라 상기 주전원과 상기 부전원 간의 절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130023292A 2013-03-05 2013-03-05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43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292A KR101437024B1 (ko) 2013-03-05 2013-03-05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292A KR101437024B1 (ko) 2013-03-05 2013-03-05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024B1 true KR101437024B1 (ko) 2014-09-04

Family

ID=5175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292A KR101437024B1 (ko) 2013-03-05 2013-03-05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0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099A (ko) * 2014-11-05 2016-05-16 나병옥 자전거 거치대
KR20160073470A (ko) * 2014-12-16 2016-06-27 주성엔지니어링(주) 에어컨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17A (ko) * 2000-05-18 2000-10-05 김동명 자동동기투입 무순단 전원절체장치
KR20110106150A (ko) * 2010-03-22 201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KR101225198B1 (ko) * 2011-06-03 2013-01-22 (주)인텍에프에이 계통 연계형 전력 변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17A (ko) * 2000-05-18 2000-10-05 김동명 자동동기투입 무순단 전원절체장치
KR20110106150A (ko) * 2010-03-22 201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KR101225198B1 (ko) * 2011-06-03 2013-01-22 (주)인텍에프에이 계통 연계형 전력 변환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099A (ko) * 2014-11-05 2016-05-16 나병옥 자전거 거치대
KR101638698B1 (ko) 2014-11-05 2016-07-12 나병옥 자전거 거치대
KR20160073470A (ko) * 2014-12-16 2016-06-27 주성엔지니어링(주) 에어컨 및 그 구동 방법
KR102303048B1 (ko) 2014-12-16 2021-09-17 주성엔지니어링(주) 에어컨 및 그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95716B (zh) 分布式电源系统
US20150229131A1 (en) Grid tie solar inverter system with storage
CN103997058B (zh) 一种风光储微电网系统的控制方法
CN102810909B (zh) 一种可实现分布式电源与负载匹配的能量管理方法
US9899871B2 (en) Islanded operating system
US20120056588A1 (en) Use of Battery Energy for Power Grid Optimization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US20180248374A1 (en) Stand-alone micro-grid autonomous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4065157A (zh) 一种改进供电可靠性的不间断电源
KR101147205B1 (ko) 대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전력 저장 장치
KR20110068640A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3733465A (zh) 充电装置
TW201325004A (zh) 電能管理裝置及其操作方法
CN105207341A (zh) 一种并离网型光伏储能充电桩的控制装置及方法
CN105337306A (zh) 一种光储一体化发电系统
CN102780267A (zh) 一种电能路由器
CN105470997A (zh) 一种微电网控制系统
CN109768571B (zh) 一种并网微电网控制系统及方法
CN105529810A (zh) 储能式光伏电站光伏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437024B1 (ko) 냉난방 운영을 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5008522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965129B2 (en) Mobile micro-grid unit and micro-grid system
KR10225790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4600751A (zh) 新能源发电装置并网接入系统
US20200067315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CN204967410U (zh) 零功耗直流ups切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