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862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862B1
KR101436862B1 KR1020120127952A KR20120127952A KR101436862B1 KR 101436862 B1 KR101436862 B1 KR 101436862B1 KR 1020120127952 A KR1020120127952 A KR 1020120127952A KR 20120127952 A KR20120127952 A KR 20120127952A KR 101436862 B1 KR101436862 B1 KR 101436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0958A (en
Inventor
김민수
황제영
표준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황제영
표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황제영, 표준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12012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862B1/en
Publication of KR2014006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8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작업하는 소정의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것으로서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주 메모리와, 착탈 가능한 보조 메모리와, 상기 메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상기 보조 메모리에 주기적으로 자동 저장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automatically storing data of contents selected by a user among predetermined contents to be operated by a user and displaying a menu screen including contents, A detachable auxiliary memory, and a controller for periodically and automatically storing data of contents selected from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in the auxiliary memor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storing dat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stor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000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0003]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을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작업하는 소정의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utomatically storing data of contents selected by a user among predetermined contents that a user work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and a data storing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설치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들에 관련된 각종 컨텐츠들을 다운로드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installe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s, and can download and use various content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s.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소정의 컨텐츠를 실행시키거나 또는 소정의 작업을 하는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 오거나 또는 사용자의 키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하여 상기 작업중인 컨텐츠를 저장하지 못하고, 삭제시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nable to store or delete the content due to the execution of a predetermined content or a call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use or a user is not satisfied with the key operation .

상기 삭제시킨 컨텐츠들 중 일부는 복구시킬 수 있으나, 복구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정상 상태로 복구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또한 일부 컨텐츠들은 복구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Although some of the deleted contents can be restored, it takes a long time to recover the content, and many cases can not be restored to a normal state, and some contents can not be restored.

그러므로 사용자가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저장하여, 컨텐츠를 저장하지 못하고, 삭제시키더라고 원래대로 복구시킬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automatically restore the data of the contents to perform the predetermined job, to restore the original contents after the contents are not sto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자동 저장할 컨텐츠를 간편하게 설정하고, 설정한 컨텐츠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재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제공한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stor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user can easily set contents to be automatically stored and automatically re-store data of the set content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저장 주기를 설정하고, 설정한 저장 주기에 따라 콘텐츠를 자동으로 재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tor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user sets a storage period and automatically re-stores content according to the set storage period.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컨텐츠의 데이터에 변경이 발생할 경우에 자동으로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tor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utomatically stores a content data change when a user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the content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re will be.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주 메모리와, 착탈 가능한 보조 메모리와, 상기 메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에서 선택된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상기 보조 메모리에 주기적으로 자동 저장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including contents, a main memory for storing data of the contents, a detachable auxiliary memory, and data of contents selected from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And a controller for periodically and automatically storing data in the auxiliary memory.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에 주기적으로 자동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Fur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ler may periodically and automatically transmit the data of the selected contents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외부 전자기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일 수 있다.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a service provider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저장함에 따른 비용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결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ceive cost information by storing data of the selected contents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settle the paym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의 데이터에 변동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변동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상기 보조 메모리에 자동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a change has occurred in the data of the selected contents, and automatically store data of the selected contents in the auxiliary memory when a change occurs.

그리고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메뉴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자동 저장으로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보조 메모리에 주기적으로 자동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tor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utomatically selecting at least one of contents included in a menu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nd storing it.

상기 제어부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메뉴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자동 저장으로 선택되는 단계는, 메뉴 표시명령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자동 저장으로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저장으로 선택되는 컨텐츠들의 자동 저장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the controlle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menu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a menu screen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menu display command,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as automatic storage, and setting an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of contents selected by the automatic storage.

상기 자동 저장으로 선택되는 컨텐츠들의 자동 저장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 저장으로 선택되는 컨텐츠들을 상기 보조 메모리에 자동 저장하는 것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저장으로 선택되는 컨텐츠들의 자동저장 주기 또는 외부 전자기기의 자동저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tting the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of the contents selected by the automatic storage may include a step of automatically storing the contents selected by the automatic storage in the auxiliary memory, And setting an automatic storag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상기 보조 메모리는, 착탈이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일 수 있다.The auxiliary memory may be an external memory capable of being detached.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은,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tor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eriodically transmitting and storing data of the selected content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via a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외부 전자기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일 수 있다.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be a service provider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은, 상기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함에 따른 비용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storing dat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ceiving and paying cost information for storing the selected content data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은,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에 변동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변동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보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tor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occurs in data of the selected content; storing data of the selected content in the auxiliary memory when the change occurs;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은, 상기 변동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method of storing dat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data of the selected content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storing the data when the change occurs.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동 저장할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자동 저장으로 선택한 컨텐츠는 주기적으로 자동 저장한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storing dat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selects contents to be automatically stored, and the contents selected by the automatic storing are automatically stored periodical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택한 컨텐츠의 데이터에 변경 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자동으로 저장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aves the selected content when a change occurs in the data.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의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에 자동으로 저장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stores data of contents selected by a user in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그러므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실행시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작업 중인 컨텐츠의 데이터를 일일이 저장하지 않고 삭제시키더라도 원래의 컨텐츠 데이터로 간단히 복원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deletes the data of the current content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executes the content by executing the conten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original content data can be easily restor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따라, 자동 저장할 컨텐츠를 선택하고 자동 저장할 환경을 설정할 경우에 화면의 표시상태를 예로 들어 보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에서 클라우드 이용료를 결제할 경우에 화면의 표시상태를 예로 들어 보인 도면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 method of stor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to FIG. 5 illustrate display states of a screen when an environment for selecting and automatically storing contents to be automatically stored is set according to the method of storing dat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tate of a screen when paying a fee for use of a cloud in a method of stor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and is mere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being most useful and readily explaining.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Accordingly, it is not intended to provide a more detailed structure than is necessary for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forms that can be practic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모듈(110)과, 주 메모리(120)와, 보조 메모리(130)와, 표시부(140)와, 사용자 입력부(150)와,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data s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main memory 120, an auxiliary memory 130, a display unit 140, a user input unit 150, and a controller 160 .

상기 통신모듈(110)은 외부 저장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모듈(11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 등과 같은 클라우드용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d transmit data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communicate with a server for a cloud such as a service provider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data to each other.

상기 주 메모리(1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메모리(12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업 데이터 및 사용자가 조작하는 소정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main memory 120 may store an operation pro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vance. In addition, the main memory 120 may store work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determined data operated by the user, and the like.

예를 들면, 상기 주 메모리(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CF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memory 12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CF or XD memory), a RAM At least one of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nd a programmable read- Type storage medium.

상기 보조 메모리(130)는 외장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 메모리(120)를 보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업 데이터 및 사용자가 조작하는 소정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The auxiliary memory 130 is external and removabl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auxiliary memory 130 may be used to assist the main memory 120 to store oper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determined data operated by the user, and the like.

예를 들면, 상기 보조 메모리(130)는 SD 메모리 및 CF 메모리 등과 같은 카드 타입의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uxiliary memory 130 may be a card type memory such as an SD memory and a CF memory.

상기 표시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업 데이터 및 현재 동작상태 등이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0 may display the oper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urrent operation state, and the like.

상기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명령을 발생한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입력부(150)는 복수 개의 기능키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키를 조작함에 따른 해당 기능키의 동명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5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150 generates an operation comman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may generate a corresponding command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key when the user operates the predetermined function key. Also, the user input unit 150 may input an operation comman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rough a touch screen.

상기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자동으로 저장할 아이템의 데이터들을 설정하고,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 사용자가 설정한 아이템의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저장하는 것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entir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sets the data of the item to be automatically stored by the user, and automatically stores the data of the item set by the user when the event occurs.

이러한 구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자동으로 저장할 아이템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표시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0).2,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a menu display command for setting an item to be automatically stored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10 (step < RTI ID = 0.0 > (S200).

메뉴 표시명령이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160)는 표시부(140)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 화면(300)을 표시한다(S202).When a menu display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a menu screen 300 as shown in FIG. 3 (S202).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하는 메뉴 화면(300)은 "자동 저장할 컨텐츠들을 선택하여 주십시오"라는 메시지(301)와 함께 자동 저장을 설정할 수 있는 사진, 동영상, 주소록, 음악 또는 전자책(E-BOOK) 등의 컨텐츠(303)와, 해당 컨텐츠(303)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선택한 컨텐츠(303)임을 표시하기 위한 선택표시부(305)와, "다음"을 요청하는 키(307) 및 "취소"를 선택할 수 있는 키(309)를 포함하고 있다.The menu screen 30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a message 301 indicating " Please select contents to be automatically stored "along with a photograph, a moving picture, an address book, a music or an electronic book , A selection display unit 305 for indicating that the content 303 is selected when the content 303 is selected, a key 307 for requesting "next " And a selectable key 309.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뉴 화면(300)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저장할 컨텐츠를 설정한다(S204).In this state, the controller 160 sets contents to be automatically stor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n the menu screen 300 (S204).

예를 들면, 상기한 도 3의 메뉴 화면(300)에서 사용자가 사진 및 동영상을 자동으로 저장할 컨텐츠(305)로 선택할 경우에 사진 및 동영상의 선택표시부(305)에 해당 컨텐츠(305)가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다음" 키(307)를 조작하여 다음으로 진행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305 to automatically store a photograph and a moving image on the menu screen 300 shown in FIG. 3,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305 is selected in the selection display unit 305 of the photograph and moving picture And the user operates the "Next" key 307 to proceed to the next step.

사용자가 상기 메뉴 화면(300)에서 "다음" 키(307)를 조작할 경우에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저장환경을 설정한다(S206).When the user operates the "Next" key 307 in the menu screen 300, the controller 160 sets an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206).

상기 자동저장환경의 설정은, 먼저 상기 제어부(160)가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자동저장환경 설정화면(400)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In the setting of the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the controller 160 first displays the first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400 shown in FIG. 4 on the display unit 140, for example.

상기 제 1 자동저장환경 설정화면(400)은 "보조 메모리에 저장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401)와 함께 "예"를 선택할 수 있는 키(403) 및 "아니오"를 선택할 수 있는 키(405)가 포함되어 있다.The first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400 includes a key 403 for selecting "Yes" and a key 405 for selecting "No" along with a message 401 "Do you want to store in the auxiliary memory? .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예" 키(403)를 선택할 경우에 자동 저장을 설정한 컨텐츠들을 보조 메모리(130)에 저장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아니오" 키(403)를 선택할 경우에 자동 저장을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후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자동저장환경 설정화면(500)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Yes" key 403,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the contents for which automatic storage has been set are stored in the auxiliary memory 130. When the user selects the "Yes" key 403, For example, a second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500 as shown in FIG. 5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after determining that automatic storage is not to be performed.

상기 제 2 자동저장환경 설정화면(500)은 자동저장 주기로 "1일"을 선택할 수 있는 키(501)와, "1주일"을 선택할 수 있는 키(503)와, "1개월"을 선택할 수 있는 키(505)를 포함하고 있고, 클라우드 자동 저장을 "예"로 선택할 수 있는 키(507)와, "아니오"로 선택할 수 있는 키(509)를 포함하고 있으며, "완료"를 선택할 수 있는 키(611) 및 "취소"를 선택할 수 있는 키(513)를 포함하고 있다.The second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500 includes a key 501 for selecting "one day" as an automatic storage period, a key 503 for selecting "one week", and "one month" Includes a key 505 including a key 507 for selecting "Yes" for the automatic cloud storage and a key 509 for selecting "No" Key 611 and a key 513 for selecting "cancel ".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표시부(140)에 상기 제 2 자동저장환경 설정화면(500)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1일"을 선택할 수 있는 키(501), "1주일"을 선택할 수 있는 키(503) 또는 "1개월"을 선택할 수 있는 키(505)를 선택하여 자동저장 주기를 설정하고, "예"로 선택할 수 있는 키(507) 또는 "아니오"로 선택할 수 있는 키(509)를 선택하여 클라우드 자동 저장 또는 해제를 선택한 후 "완료" 키(511)를 선택할 경우에 자동저장환경의 설정동작을 종료하고, "취소" 키(513)를 선택할 경우에 자동 저장할 컨텐츠의 선택 및 자동 저장 환경의 설정을 취소한다.The control unit 160 may select a key 501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one day "," one week "in a state where the second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5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A key 503 for selecting "Yes" or a key 509 for selecting "No" can be selected by selecting a key 503 or a key 505 for selecting "1 month" ) Is selected to terminate the setting operation of the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when the automatic storage or release of the cloud is selected and the "complete" key 511 is selected and the selection of the contents to be automatically stored when the "cancel" Cancel setting of auto save environment.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자동 저장을 설정한 컨텐츠들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8).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contents that have been set to be automatically stored (S208).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50)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자동 저장을 설정한 컨텐츠들의 데이터에 변경이 있을 경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the user operates the user input unit 150, the control unit 160 may determine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data of the contents for which the automatic storage is set.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자동 저장을 설정한 컨텐츠들의 자동 저장 주기가 되었을 경우에 해당 컨텐츠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that an event has occurred in the content when the automatic storage period of the contents set for the automatic storage is reached.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를 주 메모리(120) 또는 보조 메모리(130)에 자동으로 재 저장한다(S210).When the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60 automatically re-stores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main memory 120 or the auxiliary memory 130 (S210).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클라우드 저장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2).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cloud storage is set (S212).

상기 클라우드 저장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160)는 통신모듈(110)을 통해 클라우드용 서버에 접속 즉, 외부 저장장치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의 데이터를 전송 및 재 저장한다(S214).When the cloud storage is set, the control unit 160 accesses the server for the clou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hat is, connects to the service provider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d stores it again (S214).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모듈(110)을 통해 비용 청구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6).In this state,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charge is input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S216).

상기 비용 청구가 입력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160)는 비용 결제를 수행하고(S218),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종료한다.When the charge is input, the control unit 160 performs cost settlement (S218), and ends the operation of storing data of contents.

상기 비용 결제는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표시부(140)에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용결제 화면(600)을 표시한다.In the cost settlement, the controller 160 displays a cost settlement screen 600 on the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 6, for example.

상기 비용 결제 화면(600)은 "클라우드 이용료 000원"이라는 메시지(601)와, "결제"를 선택할 수 있는 키(603)와, "취소"를 선택할 수 있는 키(605)를 포함하고 있다.The cost settlement screen 600 includes a message 601 of "cloud usage fee 000 won ", a key 603 for selecting" settlement ", and a key 605 for selecting "cancel ".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비용 결제 화면(600)에서 사용자가 "결제" 키(603)를 선택할 경우에 해당 클라우드 이용료를 결제한 후 종료하고, 사용자가 "취소" 키(605)를 선택할 경우에 해당 클라우드 이용료를 결제하지 않고 종료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 payment "key 603 on the cost settlement screen 600, the controller 160 proceeds to settle the cloud fee and then ends the process. When the user selects the" Terminate without paying the corresponding cloud fee.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10 : 통신모듈 120 : 주 메모리
130 : 보조 메모리 140 : 표시부
150 : 사용자 입력부 160 : 제어부
300 : 메뉴 화면 301, 401, 601 : 메시지 창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main memory
130: auxiliary memory 140: display
150: user input unit 160:
300: Menu screen 301, 401, 601: Message window

Claims (14)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주 메모리;
착탈 가능한 보조 메모리;
통신모듈; 및
상기 메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에서 자동저장환경 설정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상기 보조 메모리에 주기적으로 자동 저장하게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에 주기적으로 자동 전송하여 저장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의 데이터에 변동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변동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에 전송하여 자동 저장하고, 상기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저장함에 따른 비용 정보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결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including contents;
A main memory in which data of the content is stored;
Detachable auxiliary memory;
Communication module; And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o automatically store data of contents set by the user on the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amo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in the auxiliary memory periodically and to transmit data of the selected contents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utomatically transmits the data of the selected contents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utomatically stores the data of the selected contents when the change occurs,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cost information by storing data of the selected contents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making a paymen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기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인,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cludes: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ervice provider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메뉴 표시명령에 따라 표시부에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자동저장환경 설정화면을 통해 자동 저장으로 선택되는 컨텐츠들을 보조 메모리에 자동 저장하는 것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동 저장으로 선택되는 컨텐츠들의 자동저장 주기 또는 외부 전자기기의 자동저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뉴 화면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에서 자동 저장되도록 설정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자동 저장으로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보조 메모리에 주기적으로 자동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함에 따른 비용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에 변동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동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보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변동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
Displaying a menu screen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 menu display command;
Setting an automatic storage of contents selected by automatic storage through an automatic storage environment setting screen in an auxiliary memory;
Setting an automatic storage period of contents selected by the automatic storage or automatic storage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Selecting automaticall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t to be automatically stored among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menu screen;
Automatically storing data of the selected content periodically in an auxiliary memory;
Periodically transmitting data of the selected content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via a communication module and storing the data;
Receiving cost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storing the selected content data;
Determining whether a change in the data of the selected content occurs;
Storing data of the selected contents in the auxiliary memory when the variation occurs; And
And transmitting the data of the selected content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storing the data when the change occu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메모리는,
착탈이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ub-
A method for stor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n external memory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기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자 서버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저장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method of stor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 service provider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27952A 2012-11-13 2012-11-1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368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952A KR101436862B1 (en) 2012-11-13 2012-11-1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952A KR101436862B1 (en) 2012-11-13 2012-11-1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958A KR20140060958A (en) 2014-05-21
KR101436862B1 true KR101436862B1 (en) 2014-09-12

Family

ID=5089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952A KR101436862B1 (en) 2012-11-13 2012-11-1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86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959A (en) * 2004-02-17 2005-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automatical back up of wireless terminal using external memory
KR20060125220A (en) * 2005-06-02 2006-1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ata shar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070022671A (en) * 2004-02-27 2007-02-27 퓨전원 인코포레이티드 Wireless telephone data backup system
JP2007258895A (en) * 2006-03-22 2007-10-04 Nec Saitama Lt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959A (en) * 2004-02-17 2005-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automatical back up of wireless terminal using external memory
KR20070022671A (en) * 2004-02-27 2007-02-27 퓨전원 인코포레이티드 Wireless telephone data backup system
KR20060125220A (en) * 2005-06-02 2006-1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ata shar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JP2007258895A (en) * 2006-03-22 2007-10-04 Nec Saitama Lt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958A (en)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4666B (en) Application skip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CN101304451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9582402B (en) P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CN104412214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CN101606145A (en) Be computer system customization operations system
CN104424333A (en) Method and system for loading table data
CN105376719A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device
US88122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langu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4932784A (en) Picture display method and terminal
CN103365672B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processing the descriptor of application program
CN112148395A (en) Page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5554254A (en) Notification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143686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3365678A (en) Updating method of vehicle-mounted system
CN113721936A (en)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intelligent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6302821B (en) Data request method and equipment thereof
CN109858993A (en) A kind of car insurance order generation method, server and system
KR101753359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isplaying use records
CN113987453A (en)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system, mobile terminal,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EP31855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KR1008662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eting data file according to whether data file is backed up
CN101106783A (en) Method and device for self-adapted display of multi-message records in mobile terminal
CN114840113B (en)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N111930391A (en) Applicatio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user terminal
JP5480937B2 (en)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