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678B1 -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and cable connection section using same - Google Patents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and cable connection section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678B1
KR101436678B1 KR1020117016042A KR20117016042A KR101436678B1 KR 101436678 B1 KR101436678 B1 KR 101436678B1 KR 1020117016042 A KR1020117016042 A KR 1020117016042A KR 20117016042 A KR20117016042 A KR 20117016042A KR 101436678 B1 KR101436678 B1 KR 101436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end
end surface
washer
pressing met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6129A (en
Inventor
펭 리
노부유키 세마
Original Assignee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1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6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Abstract

스트레스 콘 압축장치의 간소화,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한다.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는, 선단부 내주에 선단부를 향해 확경하는 나팔형 테이퍼부를 갖는 원통형 가압금구와, 가압금구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자체의 선단면이 부싱의 후단면에 설치되는 중공 원반형 가압금구 플랜지와,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와셔와, 와셔 및 가압금구 플랜지를 관통하고 가압금구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 샤프트와, 제1 샤프트의 외주에 끼움결합되고, 선단면이 가압금구의 후단면에 맞닿고, 후단면이 와셔의 선단면에 맞닿는 코일형 스프링과, 제1 샤프트의 외주에 끼움결합되고, 와셔에 의해 압축되는 코일형 스프링과, 와셔를 관통하고 가압금구 플랜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 샤프트와, 가압금구 플랜지와 와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대표도] 도 1
The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is simplified, miniaturized and lightweighted.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comprising a cylindrical presser member having a trumpet-shaped tapered portion which is pierced toward the front end portion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surface of the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er member, And a plurality of first shafts which penetrate the washer and the press fitting flange and ar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 fitting, A coil spring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ft and having a distal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the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er foot and a rear surface abutting against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washer, A plurality of second shafts passing through the washer and fixed to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a plurality of second shafts penetrating the washer and fixed to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a government material.
[Representative view] Fig. 1

Description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접속부{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AND CABLE CONNECTION SECTION USING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and a cable connec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접속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압축기능을 구비한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접속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and a cable connecting unit using th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having an over-compressing function and a cable connecting unit using the apparatus.

일반적으로, 초고압 CV케이블(가교 폴리에틸렌 케이블)의 케이블 단말 접속부에서는, 케이블 절연체 상에 설치되는 스트레스 콘을 축방향 선단부를 향해 누름으로써, 스트레스 콘과 에폭시 부싱의 단말 삽입부와의 계면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Generally, in a cab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of an ultra high-pressure CV cable (crosslinked polyethylene cable), a stress cone provided on a cable insulator is pressed toward an axial front end portion, there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stress cone and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of the epoxy bushing have.

그러나, 동일한 구조의 케이블 단말 접속부에서는, 정격 전압이 높아질수록 스트레스 콘과 단말 삽입부와의 계면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 계면에 미세한 보이드가 남기 쉬워져, 정격 전압이 높을수록 해당 계면에 미세한 보이드를 잔존시키지 않게 배려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the cab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having the same structure, the higher the rated voltage is, the longer the interface between the stress cone and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becomes, and the smaller the void is liable to remain at this interface. As the rated voltage becomes higher, It is necessary to take care not to leave it.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예를 들면 220kV 이상의 초고압 CV케이블의 단말 접속부에서는, 케이블 단말 접속부로서 완전히 조립하기 전에, 스트레스 콘을 과압축함으로써, 계면에서의 미세 보이드를 적극적으로 제거하여 조립된 제품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From this point of view, for example, in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of an ultra high-pressure CV cable of 220 kV or more, stress coins are over-compressed before fully assembled as a cab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to actively remove fine voids at the interface, .

도 9는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상기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사용한 케이블 단말 접속부의 일부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and FIG. 10 is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able terminal connecting unit using the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도 9에 있어서,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는, 선단부(도면에서 상부방향의 단부를 말함. 이하 동일함.) 내주에 선단부를 향해 확경하는 나팔형 테이퍼부(111)를 갖는 원통형의 가압 파이프(110)와 가압 파이프(110)의 후단부(도면에서 아래방향의 단부를 말함. 이하 동일함.) 부근의 외주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절연통 플랜지(120)와, 후단부에 직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는 원반형 플랜지(131)를 가지고, 원통부(132)가 가압 파이프(110) 후단부의 내주에 끼워지는 원통형 가압금구(130)와, 가압금구(130)의 후단부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후술하는 스프링(200)의 후단부측을 지지하는 링 형상의 와셔(140)와, 와셔(140)를 관통하여 가압금구(130)의 플랜지(131)에 원주 방향을 따라 등배치되도록 고정된 복수개의 제1 샤프트(150)와, 와셔(140)를 관통하여 가압금구(130)의 플랜지(131)에 원주 방향을 따라 등배치되도록 고정된 복수개의 제2 샤프트(160)와, 제1 샤프트(150) 및 제2 샤프트(160)의 외주에 각각 끼워진 코일형 스프링(200)과, 와셔(140)를 관통하여 절연통 플랜지(120)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3 샤프트(17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3 샤프트(170)는 케이블 단말을 삽입하는 에폭시 부싱(220)(도 10 참조)의 수용구(240)(도 10 참조)의 내경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4 등).9, a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comprises a cylindrical pressurizing pipe (not shown) having a trumpet-shaped tapered portion 111 which is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front end portion (the upper end in the drawing, Shaped insulating tubular flange 120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near the rear end (lower end in the figure) of the pressurizing pipe 110, and a ring- And a cylindrical flange 131 protruding toward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ipe 130. The cylindrical pressing member 130 has a cylindrical flange 131 protruding toward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ipe 110, Shaped washer 140 which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pring 200 and which supports the rear end side of the spring 20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be disposed on the flange 131 of the pressing metal fitting 130 through the washer 140, A plurality of fixed first shafts 150, a washer 140, A plurality of second shafts 160 fixed to the flange 131 of the first shaft 150 and the second shaft 160 so as to b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oil spring 200 And a plurality of third shafts 170 passing through the washer 140 and fixed to the insulating tubular flange 120. The plurality of third shafts 170 are connected to an epoxy bushing 10)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 240 (see FIG. 10) of the inner case 220 (see FIG. 10) (see Patent Documents 1 to 4, for example).

여기서, 제2 샤프트(160)의 후단부 외주에는 스프링(200)을 프리세팅하기 위한 너트(161)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상기 프리세팅 기능을 갖는 제2 샤프트(160)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샤프트(150)와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A nut 161 for presetting the spring 200 is screw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shaft 160. The second shaft 160 having the presetting function has a nut 1 shafts 150 of the first embodiment.

또, 제3 샤프트(170)의 후단부 외주에는 와셔(140)를 선단부를 향해 밀어 올리기 위한 2개의 너트(171, 17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Further, two nuts 171 and 172 for screwing up the washer 140 toward the front end portion are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end of the third shaft 170.

이러한 구성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서는, 제1 샤프트(150)와 제2 샤프트(160)를 사용함으로써, 가압금구(130), 스프링(200) 및 와셔(140)가 조립 고정되고, 미리 너트(161)를 조임으로써 스프링(200)에 프리세팅 하중이 부여된다.The compression spring 130 and the spring 200 are assembled and fixed by using the first shaft 150 and the second shaft 160 and the nut 160 The spring 200 is given a presetting load.

이와 같이 프리세팅 된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절연통 플랜지(120)를 가압 파이프(110) 후단부 부근의 외주에 끼우고, 가압금구(130)의 원통부(132)의 외주에 가압 파이프(110)의 내주를 끼워, 절연통 플랜지(120)를 절연통(210)을 개재하여 에폭시 부싱(220)의 후단부에 고정한 다음, 와셔(140)를 관통하여 선단부가 절연통 플랜지(120)에 고정되는 제3 샤프트(170)의 와셔(140)보다 후단부측에 나사결합된 2개의 너트(171, 172)를 조이면 와셔(140)가 선단부를 향해 밀어올려지고 스프링(200)이 더욱 압축되어 스프링(200)에 과압축력이 부여된다.As shown in Fig. 10, the pre-set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is sandwiched by inserting the insulating tubular flange 120 around the periphery of the rear end of the pressurizing pipe 110, The insulating tube flange 120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epoxy bushing 220 through the insulating tube 210 by insert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ressurizing pipe 110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sher 132, Tightening the two nuts 171 and 172 screw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washer 140 of the third shaft 170 whose tip end is fixed to the insulating tube flange 120 pushes the washer 140 toward the front end The spring 200 is further compressed and an overpressure axial force is applied to the spring 200.

이러한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의하면, 제3 샤프트(170)를 사용해 프리세팅 된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절연통 플랜지(120)에 고정하고 너트(171, 172)를 조임으로써, 스프링(200)에 소정의 압축력(과압축력)을 부여할 수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such a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by fixing the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preliminarily set using the third shaft 170 to the insulating cylinder flange 120 and tightening the nuts 171 and 172, A compression force (overpressure axial force) can be imparted, but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encountered.

첫째, 우선, 공장에서 가압금구(130), 와셔(140), 제1 샤프트(150), 제2 샤프트(160) 및 너트(161)를 이용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해 두고, 이것을 현장에서, 가압 파이프(110), 절연통 플랜지(120), 제3 샤프트(170) 및 너트(171, 172)를 이용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싱(220)에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즉,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00)가 공장에서 조립하는 부분과 현장에서 장착하는 부분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00)의 구조가 복잡해진다.First, the plant is assembled as shown in Fig. 9 by using the press fitting 130, the washer 140, the first shaft 150, the second shaft 160, and the nut 161, It is necessary to mount it on the bushing 220 as shown in Fig. 10 by using the pressure pipe 110, the insulating barrel flange 120, the third shaft 170 and the nuts 171 and 172, The structure of the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100 is complicated because the portion where the cone compressing apparatus 100 is assembled at the factory and the portion where the cone compress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at the factory are separated.

둘째, 3종류의 제1 샤프트(150), 제2 샤프트(160), 제3 샤프트(170)가 필요하여, 과압축도 현장 관리 하에서 신중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다.Second, three types of first shaft 150, second shaft 160, and third shaft 170 are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carry out the overpressure shafts under the field management.

셋째,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00)의 프리세팅 작업 및 현장에서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00)의 부싱(220)에의 설치공사에 시간이 걸린다.Third, since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it takes time to preset the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100 and to install the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100 on the bushing 220 in the field.

넷째, 원주 방향으로 등배치한 제1 샤프트(150) 및 제2 샤프트(160)의 외주에 제3 샤프트(170)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배치되기 때문에, 제3 샤프트(170)가 존재하는 분만큼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00)의 외경이 커지고, 나아가서는 케이블 단말 접속부의 외경이 커진다.Fourthly, since the third shaft 170 is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haft 150 and the second shaft 160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ess-relief compressing apparatus 100 becomes larg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abl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becomes large.

다섯째, 제3 샤프트(170)는, 케이블 단말을 삽입하는 에폭시 부싱(220)의 수용구(240)의 내경보다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00)의 외경이 커지고, 나아가서는 케이블 단말 접속부의 외경이 커진다.Fifth, since the third shaft 170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 240 of the epoxy bushing 220 for inserting the cable terminal,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100 is increased, The outer diameter of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becomes large.

여섯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00)의 가압 파이프(110)를 제외한 제1 샤프트(150), 제2 샤프트(160), 제3 샤프트(170) 등 부품이 부싱(220)의 후단부측에 돌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1 샤프트(150), 제2 샤프트(160), 제3 샤프트(170) 등 부품이 돌출되게 설치되는 부분만큼 축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고, 나아가서는, 케이블 단말 접속부의 길이가 길어진다.Sixth, the components such as the first shaft 150, the second shaft 160, and the third shaft 170 except for the pressure pipe 110 of the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100 are protrud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bushing 220 The axial length of the first shaft 150, the second shaft 160, and the third shaft 170 is increased by the portion where the first shaft 150, the second shaft 160, and the third shaft 170 are installed so as to protrude. In addition, The length becomes longer.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1] 일본특허 공개 평 9-224325호 공보(도 6, 도 7) [Patent Document 1] JP-A-9-224325 (Figs. 6 and 7)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 6-077439호 공보(도 1) [Patent Document 2]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6-077439 (Fig. 1)

[특허문헌 3] 일본특허 공개 평 9-023559호 공보(도 2, 도 3) [Patent Document 3] JP-A-9-023559 (Figs. 2 and 3)

[특허문헌 4]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 5-15629호 공보(도 1)[Patent Document 4] 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Publication No. 5-15629 (Fig. 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소화,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고,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which can be simplified in size, size and weight, and which can be easily assembled in the field, and a cable connecting portion using the device. .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는, 선단부 내주에 선단부를 향해 확경하는 나팔형 테이퍼부를 갖는 원통형 가압금구와, 가압금구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자체의 선단면이 부싱 또는 절연통의 후단면에 설치되는 중공 원반형의 가압금구 플랜지와,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와셔와, 와셔 및 가압금구 플랜지를 관통하여 가압금구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 샤프트와, 제1 샤프트의 외주에 끼워지며, 선단면이 가압금구의 후단면에 맞닿고, 후단면이 와셔의 선단면에 맞닿는 코일형 스프링과, 와셔를 관통하여 가압금구 플랜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 샤프트와, 가압금구 플랜지와 와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부재를 구비한다.A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having a cylindrical presser member having a trumpet-shaped tapered portion which is diametrically expanded toward the front end portion in the inner periphery of a tip end portion, A ring-shaped washer which is provided 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barrel and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surface sid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a washer which penetrates the washer and the press fitting flange, A coil spring which is fitt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ft and whose front end faces the rear end face of the pressing metal fitting and whose rear end faces the front end face of the washer; A plurality of second shafts fixed to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a gap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the washer.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 샤프트 및 복수개의 제2 샤프트는 부싱 또는 절연통에 설치된 단말 삽입부의 내경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In a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shafts and a plurality of second shafts are arranged to be accommodated within a range of an inner diameter of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a bushing or an insulating cylinder It is.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제1 샤프트 중의 적어도 2개는 그 자체의 후단부에 헤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In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are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at the rear end thereof.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 내지 제3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있어서, 제2 샤프트의 선단부 부근의 외주에는 돌기부가 설치되고, 돌기부의 선단면은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에 맞닿아 있는 것이다.In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the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icinity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shaft, And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face of the flange.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는, 제4 실시형태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있어서, 돌기부의 외주에는 평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In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a smooth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jecting portion.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 내지 제5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있어서, 와셔의 후단부측에는 제1 샤프트의 헤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In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hird to fifth aspects, a recessed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shaft is provid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washer .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는, 제4 실시형태 내지 제6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있어서, 제2 샤프트의 돌기부로부터 후단부측의 외주에는 마킹오프라인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다.In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ourth to sixth aspects, the marking offline is display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end side of the projection of the second shaft.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 내지 제7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있어서, 와셔의 내주 둘레측에는 제1 샤프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와셔의 외주 둘레측에는 제2 샤프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a through hole for passing the first shaf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sher And a through hole for passing the second shaf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washer.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인 케이블 접속부는, 케이블 절연체 상에 스트레스 콘이 장착된 케이블 단말부와, 제1 실시형태 내지 제 8 실시형태 중의 어느 하나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구비하고,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구성하는 가압금구의 테이퍼부는, 스트레스 콘을 구성하는 반도전부의 테이퍼부에 맞닿아 있는 것이다.A cabl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le terminal portion having a stress cone mounted on a cable insulator and a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The tapered portion of the pressing metal constituting the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tapered portion of the semiconductive portion constituting the stress cone.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는, 제9 실시형태인 케이블 접속부에 있어서,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구성하는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에 케이블 단말부를 구성하는 케이블 보호 금구가 장착되는 것이다.In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bl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a cable protecting bracket constituting a cable terminal portion is mounted on a rear end surface of a press fitting flange constituting a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내지 제 8 실시형태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압축부(가압금구, 와셔 등)와 부싱 또는 절연통에의 장착부(가압금구 플랜지 등)가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에 의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간소화,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compression portion (press fitting, washer, etc.) and the mounting portion (press fitting flange or the like) in the bushing or the insulation tube are integrally constituted by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The size and weight can be reduced.

둘째, 공장에서, 미리 스프링을 제1 샤프트를 통해, 가압금구와 와셔를 고정하는 것만으로 스프링의 프리세팅 상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치수 관리가 필요없는 프리세팅 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Second, in the factor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pre-setting state of the spring only by fixing the press fitting and the washer through the first shaft in advanc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the pre-setting state in which the dimension management is not required.

셋째,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와 약 동일한 과압축기능을 가지면서,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보다 스프링이나 샤프트의 개수를 대폭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Third, since the number of springs and shaf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while having the same compression function as the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the number of parts can be greatly reduced.

넷째, 모든 샤프트(복수개의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가, 부싱에 설치된 단말 삽입부의 내경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Fourth, since all of the shafts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and the second shafts) are arranged to be accommodated within the rang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bush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can be reduced.

다섯째, 제2 관통공에, 동일 구성의 제1 샤프트(숄더볼트)를 관통시켰을 경우에는, 3종류의 샤프트를 사용하는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비해, 2종류의 샤프트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더욱이, 현장의 조립이 간단해지고, 또, 과압축기능을 갖는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조립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Fifth, when the first shaft (shoulder bolt) having the same structure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using three kinds of shafts, two types of shafts can solve the problem.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further simplify the assembling of the field assembly and also to assemble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having the over compressing function.

여섯째,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비해, 스프링의 자유 길이를 30% 정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Sixth, since the free length of the spring can be shortened by about 30%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the axial length of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can be shortened.

일곱째, 제2 샤프트의 돌기부에 평활부를 마련한 경우에는, 상기 평활부를 스패너 등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너트 및 제2 너트의 조정 작업(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 즉 가압금구 플랜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Seventh, when the smooth portion is provided 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shaft, the smooth portion can be fitted and fixed by a spanner or the like. Therefore, the adjustment operation (tightening or unscrewing the nut) of the first nut and the second nut, Can be easily adjusted.

또, 제9 실시형태 또는 제10 실시형태의 케이블 접속부(단말 접속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able connecting portion (terminal connecting portion) of the ninth or tenth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케이블 단말 접속부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number of parts is small, the cab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can be assembled easily.

둘째, 와셔의 선단면이 돌기부의 후단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제1 너트 및 제2 너트를 조임으로써 소정의 과압축 상태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기 등으로 치수를 관리하지 않고도 과압축 상태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first and second nuts are tightened to the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face of the washer abuts against the rear end face of the projection, a predetermined over-compression state can be constituted. It can be easily configured.

셋째, 부싱의 후단부에 프리세팅 된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장착하고, 와셔를 소정의 위치(돌기부의 후단면에 맞닿는 위치)에서 고정하고, 스트레스 콘에 소정 시간 과압축력을 부여한 후, 와셔를 소정의 위치(마킹오프라인의 위치)까지 되돌린 후 케이블 보호 금구를 설치하기 때문에, 즉, 스프링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과압축력의 부여 작업 단계에서 스프링을 얼마만큼 휠 수 있는 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치수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도 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출하 시의 프리세팅 상태로부터, 현장에서의 과압축 상태 및 조립 상태까지 측정기 등으로 치수를 관리할 필요가 없고, 간단하게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조립 작업을 할 수 있다.Third, the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pre-set at the rear end of the bushing is fixed, the washer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position where the washer contacts the rear end face of the protrusion), a stress cone is applied to the stress con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can be mounted in a state in which the spring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in the work step of applying the overpressure axial force, You can visually confirm how much the springs can be turned, and it is easier to check if you want to check the dimensions. Thereby, it is not necessary to manage the dimensions from the pre-setting state at the time of shipment to the over-compression state and the assembled state at the field by a measuring instrument, etc., and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can be assembled easily.

넷째, 모든 샤프트(복수개의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가, 부싱에 설치된 단말 삽입부의 내경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금구 및 복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 샤프트의 선단부측을 부싱의 단말 삽입부 내에 수용할 수 있고, 더욱이, 가압금구 및 복수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 샤프트의 선단부측이 부싱의 단말 삽입부 내에 수용되는 부분만큼 케이블 단말 접속부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Fourthly, since all of the shafts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and the second shafts) are arranged to be accommodated within the rang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bushing,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shaft including the press fitting and the plurality of springs The axial length of the cab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can be shortened by the portion of the first shaft including the press fitting and the plurality of springs is received in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of the bushing, have.

다섯째, 와셔의 후단부측에 함몰부를 마련한 경우에는, 간격조정부재에 의한 과압축 상태에의 조정이나 조립 상태에의 조정 작업 시에 제1 샤프트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fth, in the case where the depressed portion is provid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washer, workabilit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first shaf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djustment to the overcompressed state by the gap adjusting member or the adjustment to the assembled state.

여섯째, 제2 샤프트에, 마킹오프라인을 표시한 경우에는, 과압축 작업을 실시한 후의 사용 상태까지의 압축력 부여 작업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Sixth, in the case where the marking offline is displayed on the second shaft,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a compressing force applying operation up to the use state after the over-compression operation.

일곱째, 와셔의 내주 둘레측에 제1 샤프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2 관통공을 마련하고, 외주 둘레측에 제2 샤프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3 관통공을 마련한 경우에는, 제1 샤프트의 간섭을 받지 않고 제1 너트 및 제2 너트의 조정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Seventhly,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washer to penetrate the first shaft and the third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to penetrate the second shaft, The adjusting operation of the first nut and the second nut can be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일부 종단면도(도 2의 A'-O-A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있어서의 가압금구 플랜지의 반절단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있어서의 와셔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있어서의 제2 샤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있어서의 스프링자유 길이나 개수 등을 비교예와 함께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사용한 케이블 단말 접속부의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프링의 과압축 상태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일부 종단면도(도 2의 A'-O-A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와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일부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사용한 케이블 단말 접속부의 일부 종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 view taken along the line A'-OA in Fig. 2) of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half cut-away plan view of a press fitting flange in the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washer in the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shaft in the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pring free path, a number, and the like in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comparative example.
6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using the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OA in Fig. 2) of the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showing the over-compression state of the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10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b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using a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이하,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및 케이블 접속부를 적용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부싱, 스트레스 콘, 가압금구, 가압금구 플랜지, 와셔, 제1 샤프트, 제2 샤프트, 돌기부 및 스프링의 「선단부(선단면)」란 케이블 단말부의 선단측의 단부(단면)를 말하고, 각각 도면에서 상부 방향에 상당하고, 또, 부싱, 스트레스 콘, 가압금구, 가압금구 플랜지, 와셔, 제1 샤프트, 제2 샤프트, 돌기부 및 스프링의 「후단부(후단면)」란 선단부(선단면)와 반대측의 단부(단면)를 말하며, 각각 도면에서 아래 방향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nd the cable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inafter, the term " front end (front end face) " of the bushing, the stress cone, the pressure fitting, the press fitting flange, the washer, the first shaft, the second shaft, (Back end face) "of the bushing, the stress cone, the press fitting, the press fitting flange, the washer, the first shaft, the second shaft, the protrusions and the spring corresponds to the upper direction in the drawings, (End 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end face (end face), respectively, and will be described as corresponding to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drawing.

[실시예 1] [Example 1]

도 1은, 220kV급 초고압 CV케이블의 가스중 종단 접속부(케이블 접속부)에 적합한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종단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e for a gas end connecting portion (cable connecting portion) of a 220 kV class ultra high pressure CV cable.

도 1에서,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는, 원통형의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압금구(2)와, 가압금구(2)의 후단면측에 소정 길이 이격되고, 가압금구(2)와 동심으로 설치되는 링 형상의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압금구 플랜지(3)와, 가압금구 플랜지(3)의 후단면측에 소정 길이 이격되고, 가압금구(2)와 동심으로 설치되는 링 형상의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와셔(4)와, 와셔(4) 및 가압금구 플랜지(3)를 관통하고, 가압금구(2)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샤프트(5)(이하 "제1 샤프트"라고 함)와, 제1 샤프트(5)의 외주에 끼워지고, 선단면이 가압금구(2)의 후단면에 맞닿고, 후단면이 와셔(4)의 선단면에 맞닿는 코일형 스프링(7)과, 와셔(4)를 관통하여 가압금구 플랜지(3)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샤프트(6)(이하 "제2 샤프트"라고 함)와, 제2 샤프트(6)의 와셔(4)의 후단부측의 외주에 나사결합되는 간격조정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1,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ess fitting 2 made of a cylindrical aluminum alloy or the like and a press fitting 2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face of the press fitting 2 by a predetermined length, Like annular aluminum alloy or the like which is concentrically provided on the rear fac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3 and a ring-shaped metal ring 3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fac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3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which is provided concentrically with the pressing metal 2 A plurality of shafts 5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shafts") which penetrate through the washer 4 and the press fitting flange 3 and are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tal 2, A coil spring 7 which is fit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ft 5 and whose distal end faces the rear end face of the pressing metal 2 and whose rear end faces the front end face of the washer 4, A plurality of shafts 6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shafts") that are fixed to the press fitting flange 3 through the washer 4 Hereinafter), a and a screw coupled to spacing member 8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end portion after the washer 4 of the second shaft (6).

가압금구(2)는, 후술하는 스프링(7)의 외경과 약 동등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약간 큰 두께를 갖는 원통부(2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원통부(21)의 선단부 내주에는 선단부를 향해 확경하는 나팔형 테이퍼부(22)가 설치되고, 후단부측에는 제1 샤프트(5)의 선단부를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나사구멍(23)(이하 "제1 나사구멍"이라고 함)이 원주 방향으로 등배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12개의 제1 나사구멍(23)이 동일한 원주 상에 등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압금구(2)의 외경은 후술하는 스트레스 콘(14)의 상부의 외경과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고, 후술하는 부싱(11)의 단말 삽입부(12)(도 6 참조) 내에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pressing metal fitting 2 has a cylindrical portion 21 having a thickness approximate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a spring 7 to be described later, A plurality of screw holes 23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screw holes") for screwing the tip end portion of the first shaft 5 are provided in the rear end 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welve first screw holes 23 are arranged on the same circumference on the same circumfere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 fitting 2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tress cone 14 described later and is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2 (see Fig. 6) of the bushing 11 .

가압금구 플랜지(3)의 내주 둘레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1 샤프트(5) 및 스프링(7)을 삽통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반원형 노치부(31)가 원주선(31a)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 인접하는 노치부(31)의 사이로, 원주선(31a)보다 직경이 약간 큰 원주선(32a) 상에는, 샤프트(6)(이하 "제2 샤프트"라고 함)의 선단부를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2 나사구멍(32)이 원주 방향을 따라 등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12개의 노치부(31)와 12개의 제2 나사구멍(32)이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등배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치부(31)의 반경은 스프링(7)의 반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 가압금구 플랜지(3)의 외주 둘레측에는, 후술하는 볼트(V1)(이하 "제1 볼트"라고 함, 도 6 참조)의 선단부를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하지 않는 나사구멍(34)(이하 "제3 나사구멍"이라고 함)과, 후술하는 볼트(V2)(이하 "제2 볼트"라고 함, 도 6 참조)를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33)(이하 "제1 관통공"이라고 함)이 원주선(34a) 상에 원주 방향으로 등 배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10개의 제3 나사구멍(34)과 10개의 제1 관통공(33)이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등배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압금구 플랜지(3)의 외경은 가압금구(2)의 외경보다 큰 직경이고, 후술하는 부싱(11)의 후단부의 외경보다 소경이고, 내경은 가압금구(2)의 외경보다 소경으로 되어 있다.2, a plurality of semicircular notch portions 31 for inserting a first shaft 5 and a spring 7 to be described later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press fitting metal flange 3 by a circumferential line 31a, And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circumferential line 32a having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circumferential line 31a between the adjacent notch portions 31, there is provided a screw portion 32a for screwing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haft 6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shaft" A plurality of second screw holes 32 are arranged on the back sid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welve notch portions 31 and twelve second screw holes 32 are provided so as to be alternately arranged back-to-back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adius of the notch 31 is slightly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spring 7. A plurality of non-penetrating screw holes 34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3 for screwing the tip end of a bolt V1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bol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3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through holes ") for passing through a bolt V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bolt " Quot; ball ") is arranged on the circumferential line 34a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en third screw holes 34 and ten first through holes 33 are provided so as to be alternately arranged back-to-back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3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ing metal 2 an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ar end of the bushing 11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inner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essing metal 2 have.

제1 샤프트(5)로서는 스텐레스로 만들어진 헤드부를 갖는 샤프트(예를 들면, 숄더볼트)가 사용되고, 제2 샤프트(6)로서는 스텐레스로 만들어진 헤드부를 가지지 않는 둥근 봉 형상의 샤프트가 사용된다.A shaft having a head portion made of stainless steel (for example, a shoulder bolt) is used as the first shaft 5, and a shaft having a round bar shape having no head portion made of stainless steel is used as the second shaft 6.

도 3은 와셔(4)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와셔(4)의 중심원으로부터 약간 내주 둘레측의 원주선(41a) 상에는 제1 샤프트(5)를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41)(이하 "제2 관통공"이라고 함)이 원주 방향으로 등배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와셔(4)의 중심원으로부터 약간 외주 둘레측의 원주선(42a) 상에는 제2 샤프트(6)를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42)(이하 "제3 관통공"이라고 함)이 원주 방향으로 등배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12개의 제2 관통공(41)과, 12개의 제3 관통공(42)이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등배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와셔(4)의 후단부측에는 제1 샤프트(5)의 헤드부(51)를 수용 할 수 있는 함몰부(43)가 제2 관통공(41)과 동심이면서 제2 관통공(41)과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와셔(4)의 외경 및 내경은 가압금구(2)의 외경 및 내경보다 각각 약간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Fig. 3 shows a plan view of the washer 4. Fig. 3,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through holes") for penetrating the first shaft 5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line 41a on the slightly inner peripheral side from the center circle of the washer 4 Are arranged so as to be equally sp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through holes") for penetrating the second shaft 6 are formed on a circumferential line 42a slightly outside of the center circle of the washer 4 And are arranged so as to b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welve second through holes 41 and twelve third through holes 42 are provided so as to be alternately arranged back-to-back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depression 43 capable of receiving the head portion 51 of the first shaft 5 is formed concentrically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41 and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41 at the rear end side of the washer 4, Respectively. The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washer 4 are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and inner diameter of the pressing metal 2, respectively.

도 4는 제2 샤프트(6)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제2 샤프트(6)는, 선단부측과 후단부측에 나사부(6a,6b)를 구비하고 있고, 선단부 부근의 외주에는, 가압금구 플랜지(3)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돌기부(9)가 설치되고, 또 돌기부(9)의 후단부측의 외주에는 미리 마킹오프라인(6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9)의 외주에는 후술하는 스패너 등을 걸기 위한 평활부(9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돌기부(9)로서 육각 너트와 같은 육각형 평활부(9a)가 설치되어 있다.Fig. 4 shows a front view of the second shaft 6. Fig. 4, the second shaft 6 is provided with threaded portions 6a and 6b on the front end side and the rear end side, and on the outer periphery in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portion, protrusions 9 for positioning the pressing metal flange 3 And the marking off-line 61 is previously display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end side of the projection 9. A smooth portion 9a for fastening a spanner or the like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jection 9. In this embodiment, a hexagonal smoothing portion 9a such as a hexagonal nut is provided as the projection 9.

간격조정부재(8)는, 와셔(4)와 대향하는 측에 나사결합되는 축 길이가 긴 너트(81)(이하 "제1 너트」라고 함)와, 제1 너트(81)의 후단부측에 나사결합되는 너트(82)(이하 "제2 너트"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너트(81)와 제2 너트(82)의 사이에는 와셔(83)가 설치되어 있다.The gap adjusting member 8 includes a nut 81 having a long shaft length which is screw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washer 4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nut") and a rear end side And a washer 83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nut 81 and the second nut 82. The first nut 81 and the second nut 82 are provided with a washer 83. [

다음에,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assembling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와셔(4)의 제3 관통공(42)에 제2 샤프트(6)를 삽통하고, 제2 샤프트(6)의 선단부를 제2 나사구멍(32)에 나사결합시키며, 제2 샤프트(6)의 돌기부(9)의 선단면을 가압금구 플랜지(3)의 후단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가압금구 플랜지(3)가 소정 부위에 위치 결정되며, 제2 샤프트(6)와 가압금구 플랜지(3)가 나사잠금으로 일체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제1 너트(81) 및 제2 너트(82)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임으로써, 제2 샤프트(6)와 가압금구 플랜지(3)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First, the second shaft 6 is inserted into the third through hole 42 of the washer 4, the tip of the second shaft 6 is screwed into the second screw hole 32, and the second shaft 6 6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end fac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3 so that the pressing metal flange 3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second shaft 6 and the pressing metal flange 3 3) are integrally fixed by a screw lock. Thus, by loosening or tightening the first nut 81 and the second nut 82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shaft 6 and the press fitting flange 3 move integrally.

다음에, 와셔(4)의 제2 관통공(41) 및 가압금구 플랜지(3)의 노치부(31)에 제1 샤프트(5)를 삽통하고, 스프링(7)을 제1 샤프트(5)의 외주에 끼운 다음 제1 샤프트(5)의 선단부를 제1 나사구멍(23)에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제1 샤프트(5)를 조임으로써, 필연적으로 스프링(7)이 프리세팅 상태가 될 때까지 압축된다. 이에 의해, 제1 샤프트(5)를 개재하여 와셔(4), 가압금구 플랜지(3) 및 가압금구(2)가 일체화됨과 동시에 스프링(7)에 소정의 프리세팅 하중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공장에서 출하 시의 스프링(7)의 프리세팅 작업이 완료한다. 이와 같이, 공장에서, 미리 스프링(7)을 제1 샤프트(5)에 의해 가압금구(2)와 와셔(4)를 고정하는 것만으로 스프링(7)의 프리세팅 상태가 얻어지기 때문에 치수 관리가 불필요한 프리세팅 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금구 플랜지(3)는 가압금구(2)와 와셔(4)의 사이에, 제2 샤프트(6)를 통해 고정되어 있지만, 임의의 위치에서 가고정되어 있으면 좋다.Next, the first shaft 5 is inserted into the notched portion 31 of the second through hole 41 of the washer 4 and the press fitting flange 3, and the spring 7 is inserted into the first shaft 5,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shaft 5 is screwed into the first screw hole 23. Then, as shown in Fig. Then, by tightening the first shaft 5, the spring 7 is inevitably compressed until it is in a preset state. Thus, the washer 4, the press fitting flange 3 and the press fitting 2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via the first shaft 5, and at the same time, the spring 7 is given a predetermined preset load. Thus, the presetting operation of the spring 7 at the factory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in the factory, since the presetting state of the spring 7 can be obtained by simply fixing the pressing tool 2 and the washer 4 to the spring 7 by the first shaft 5, An unnecessary pre-setting state can be configured. In this case, the press fitting metal flange 3 is fixed between the press fitting 2 and the washer 4 via the second shaft 6, but may be fixed at any position.

도 5는, 후술하는 케이블 단말 접속부(도 6 참조)에 있어서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스프링의 자유길이나 개수 등을 비교예(도 10에 나타내는 종래의 케이블 단말 접속부)와 함께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도 5a에 있어서의 "자유길이"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스프링 본래의 길이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길이보다 30% 정도 짧게 되어 있다. 또, 「전(全) 휨(all deflection)」이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을 최대한 압축한 상태에서의 휨 치수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전 휨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개수"란,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의 수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스프링의 수보가 25% 정도 적게 되어 있다. "압축 시 하중"이란, 케이블 단말 조립 후의 실제 사용 상태에서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전체 하중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압축 시의 하중과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free path and a number of springs of a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in a cabl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see Fig. 6) to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a comparative example (a conventional cabl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shown in Fig. 10). Here, the "free length" in Fig. 5A is the original length of the spring in a state in which no load is applied to the spring, and is 30% shorter than the conventional length in the present embodiment . As shown in Fig. 5C, "all deflection" is a bending dimension in a state where the spring is compressed to the maximum, and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full bending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is the number of springs used in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conventional springs is reduced by about 25%. The term "compressive load" is a total load of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in an actually used state after assembling a cable terminal, and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load at the time of the conventional compress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도 5a에는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본 출원인의 검증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서도,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와 대략 동등한 과압축력의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addition, although not particularly shown in FIG. 5A, it has been confirmed by the applicant's test that the level of the overpressure force can be maintained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even in the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서도,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와 대략 동등한 압축력이나 과압축력의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보다 스프링의 개수를 25% 정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샤프트(5)의 개수도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을 알았다.Therefore, in the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level of compressive force or overpressure compressive force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springs can be reduced by about 25% as compared with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the first shafts 5 can be greatly reduc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압축부(가압금구(2), 와셔(4) 등)와 후술하는 부싱(11)에의 장착부(가압금구 플랜지(3) 등)가 제1 샤프트(5) 및 제2 샤프트(6)에 의해 일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간소화,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First, a pressing portion (press fitting 2, a washer 4, etc.) and a mounting portion (press fitting flange 3 or the like) to a bushing 11 to be described later are attached to the first shaft 5 and the second shaft 6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can be simplified, downsized and lightened.

둘째, 공장에서, 미리 스프링(7)을 제1 샤프트(5)에 의해 가압금구(2)와 와셔(4)를 고정하는 것만으로 스프링(7)의 프리세팅 상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치수 관리가 불필요한 프리세팅 상태를 구성할 수 있다.Secondly, in the factory, since the presetting state of the spring 7 can be obtained only by fixing the pressing tool 2 and the washer 4 to the spring 7 by the first shaft 5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n unnecessary pre-setting state.

셋째,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와 약 동등한 과압축기능을 가지면서,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보다 스프링이나 샤프트의 개수를 대폭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Thirdly, since the number of springs and shaf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while having the over-compression function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at of the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the number of parts can be greatly reduced.

넷째, 모든 샤프트(복수개의 제1 샤프트(5) 및 제2 샤프트(6))가, 부싱(11)에 설치된 단말 삽입부(12)의 내경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다.Fourth, since all the shafts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5 and the second shafts 6) are arranged to be accommodated within the rang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2 provided in the bushing 11, The outer diameter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다섯째, 3종류의 샤프트를 사용하는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비해, 제1 샤프트(5) 및 제2 샤프트(6)의 2종류의 샤프트로 해결되기 때문에,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현장에서의 조립이 간단해지고, 또, 과압축기능을 갖는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조립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Fifth,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using three kinds of shafts, since the two types of shafts of the first shaft 5 and the second shaft 6 are solved, the number of parts can be greatly reduced, Assembly of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having an over-compression fun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여섯째, 종래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에 비해, 스프링의 자유길이를 30% 정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Sixth, since the free length of the spring can be shortened by about 30%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the axial length of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can be shortened.

일곱째, 제2 샤프트(6)의 돌기부(9)에 평활부(9a)를 마련한 경우에는, 상기 평활부(9a)를 스패너 등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너트(81) 및 제2 너트(82)의 조정 작업(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작업), 즉 가압금구 플랜지(3)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Seventhly, when the smooth portion 9a is provided on the protruding portion 9 of the second shaft 6, since the smooth portion 9a can be fixed with a spanner or the like, the first nut 81 and the second nut (The operation of tightening or unscrewing the nut)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82, that is,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3 can be easily adjusted.

[실시예 2] [Example 2]

도 6은,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이용한 220kV급 초고압 CV케이블의 가스중 단말 접속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 1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 한다.6 is a partial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in a gas of a 220 kV-class high-pressure CV cable using the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the parts common to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6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의 케이블 단말 접속부는, 개폐기나 변압기 등 전력용 기기(도시하지 않음)를 기밀적으로 수용하는 기기 케이스(10)와, 선단부가 기기 케이스(10) 내에 위치하도록 기밀적으로 설치되는 부싱(11)과, 부싱(11) 내에 설치된 단말 삽입부(12) 내에 플러그 인 접속되는 케이블 단말부(13)와, 케이블 단말부(13)의 케이블 절연체(13a) 상에 장착되는 스트레스 콘(14)을 축 방향 선단부를 향해 가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6, the cab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case 10 for hermetically accommodating power devices (not shown) such as switches and transformers, A cable terminal portion 13 plugged in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12 provided in the bushing 11 and a cable terminal portion 13 which is mounted on the cable insulator 13a of the cable terminal portion 13 And the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essing the stress cone (14) toward the axial front end.

부싱(11)은, 선단부에 탄환 형상의 헤드부(11a)를 가지고, 후단부에 후술하는 절연부(11d)를 구비하고 있으며, 절연부(11d) 부근의 외주에는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원반형 플랜지(11b)가 설치되어 있다. 또, 헤드부(11a)와 플랜지(11b)의 연결 설치부분에는 차폐부(11c)가 설치되어 있고, 차폐부(11c)의 외주에는 플랜지(11b)의 상단면에 이르는 위치 즉 기기 케이스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은 페인트 등의 도전 도료를 도포하여, 플랜지(11b)의 후단부측에 절연통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절연부(11d)가 설치되어 있다.The bushing 11 has a head portion 11a having a bullet shape at its tip end and an insulating portion 11d to be described later at a rear end portion. The bushing 11 has a disc-like shape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y in the vicinity of the insulating portion 11d And a flange 11b is provided. A shielding portion 11c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head portion 11a and the flange 11b and the shielding portion 11c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ielding portion 11c at a position reaching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lange 11b, A conductive paint such as a paint is applied to a position where the flange 11b is located and an insulating portion 11d having a function as an insulating cylinder is provid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flange 11b.

단말 삽입부(12)는, 부싱(11)의 후단면(절연부(11d)의 후단면)에서 안쪽부(부싱(11)의 선단부)를 향해 설치되며, 후술하는 스트레스 콘(14)을 수용하는 안쪽부측 수용부(12a)와, 부싱(11)의 후단부측(절연부(11d)의 후단부측)에 설치되며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의 선단부(가압금구(2) 및 스프링(7)이 장착된 제1 샤프트(5)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입구측 수용부(12b)를 구비하고 있고, 입구측 수용부(12b)는 안쪽부측 수용부(12a)와 동심이면서 안쪽부측 수용부(12a)와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2 is provided toward the inner side portion (distal end portion of the bushing 11) of the rear end surface (rear end surface of the insulating portion 11d) of the bushing 11 and accommodates the stress cone 14 (The rear end side of the insulating portion 11d) of the bushing 11 and the front end portion (the press fitting 2 and the spring 7) of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re provided on the inner side accommodating portion 12a, And the inlet side accommodating portion 12b is concentric with the inside side accommodating portion 12a and the inside side accommodating portion 12a (the front end of the mounted first shaft 5) As shown in Fig.

이러한 구성의 부싱(11) 및 기기측 접지와 케이블측 접지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통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절연부(11d)는 에폭시 수지 등 경질의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부 도체(도시하지 않음) 및 후술하는 매입 금구(11e)와 함께 일체에 몰딩되어 있다.The insulating portion 11d having the function as the insulating cylinder for insulating the bushing 11 and the cable ground of the apparatus from this configuration is made of a hard insulator such as an epoxy resin and has an inner conductor And is mold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metal 11e.

또한, 부싱(11) 헤드부(11a)의 중심부에는 구리 또는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도체(도시하지 않음)가 헤드부와 동심으로 매설되고 있다. 또, 부싱(11)의 차폐부(11c)의 외경은 기기 케이스(10)의 개구부(10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플랜지(11b)의 외경은 기기 케이스(10)의 개구부(10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내부 도체의 선단부는 헤드부(11a)의 상부로부터 돌출되고, 내부 도체의 후단부에는 도체 삽입공(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며, 상기 도체 삽입공은 안쪽부측 수용부(12a)와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n internal conductor (not shown) made of copper or a copper alloy is buried in the center of the head portion 11a of the bushing 11 concentrically with the head por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shielding portion 11c of the bushing 11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10a of the equipment case 1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11b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pening 10a of the equipment case 10. [ And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Further,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is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1a, and a conductor insertion hole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The conductor insertion hole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ide receiving portion 12a .

케이블 단말부(13)는, CV케이블의 단말을 단계적으로 박리하여 노출시킨 케이블 절연체(13a) 및 케이블 도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케이블 절연체(13a)의 외주에는 케이블 외부 반도전층(13b) 상에 마련한 차폐 처리층(13c)에 걸쳐 스트레스 콘(14)이 장착되며, 케이블 도체의 선단부에는 도체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스트레스 콘(14)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고무)나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형상의 탄성을 갖는 절연부(14a)와 반도전부(14b)로 이루어지고, 절연부(14a)의 선단부에는 안쪽부측 수용부(12a)의 내벽면에 장착되는 끝이 가는 형상의 콘형상 부(141)가 설치되며, 반도전부(14b)의 후단부에는 가압금구(2)의 테이퍼부(22)의 내벽면과 대응하는 테이퍼부(142)가 설치되어 있다. The cable terminal portion 13 is provided with a cable insulator 13a and a cable conductor (not shown) exposing the ends of the CV cable in a stepwise manner and exposed. The cable insulator 13a is provided with a cable outer semiconductive layer The stress cone 14 is mounted on the shielding treatment layer 13c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3a and the lower surface 13b of the cable conductor 13. A conductor terminal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ble conductor. The stress cone 14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portion 14a and a semiconductive portion 14b having rubber elasticity such as ethylene propylene rubber (EP rubber) or silicone rubber, Shaped conical portion 141 moun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side accommodating portion 12a is provided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mi- conductive portion 14b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apered portion 22 of the press- A tapered portion 142 corresponding to the wall surface is provided.

또한, 도면에서, 부호 11e는 부싱(11)의 후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등배치하도록 매설된 매입 금구, 13d는 케이블 단말을 감싸는 알루미늄 합금 철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보호 금구, 13e는 접지선, O1, O2는 O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케이블 보호 금구(13d)의 후단부로부터 케이블 시스에 걸쳐 방식층(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1e denotes a filler metal buried so as to be arranged backward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bushing 11, 13d denotes a cable protective metal made of an aluminum alloy steel or the like surrounding the cable terminal, 13e denotes a ground wire, And O2 is an O-ring. In addition, a method layer (not shown) is provided from the rear end of the cable protective metal 13d to the cable sheath.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케이블 단말 접속부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assembling the cabl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먼저, 부싱(11)의 헤드부(11a)를 기기 케이스(10) 내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부싱(11)의 플랜지(11b)의 상면을 기기 케이스(10)의 외벽에 맞닿게 하고, 도시하지 않는 볼트의 고정에 의해 부싱(11)을 기기 케이스(10)에 기밀적으로 장착한다.The head portion 11a of the bushing 11 is positioned in the equipment case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1b of the bushing 1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equipment case 10, The bushing 11 is hermetically mounted to the device case 10 by fixing of the bolt.

다음에, 케이블 단말부(13)를 부싱(11) 내에 삽입하고, 도체 단자를 도체 삽입공에 플러그 인 접속함과 함께, 미리 케이블에 끼워 둔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를 소정의 위치에 되돌린다.Next, the cable terminal portion 13 is inserted into the bushing 11, the conductor terminal is plug-connected to the conductor insertion hole, and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1 previously fitted in the cable is plac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urn it.

그 다음에,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의 가압금구 플랜지(3)의 선단면을 부싱(11)의 후단면(절연부(11d)의 후단면)에 맞닿게 하고, 가압금구 플랜지(3)의 제1 관통공(33)에 제2 볼트(V2)를 삽통하고, 그 선단부를 부싱(11)의 매입 금구(11e)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제2 볼트(V2)를 취부한다. 이에 의해,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가 O링(O1)을 통해 부싱(11)의 후단부(절연부(11d)의 후단부)에 기밀적으로 장착된다.Then the front end fac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3 of the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end face of the bushing 11 (the rear end face of the insulating portion 11d) A second bolt V2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33 of the bushing 11 and the second bolt V2 is attached by screwing the tip end of the second bolt V2 to the fillet metal piece 11e of the bushing 11. Thereby, the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1 is hermetically mounted to the rear end of the bushing 11 (the rear end of the insulating portion 11d) through the O-ring O1.

다음에, 스패너 등으로 제2 샤프트의 돌기부(9)(평활부(9a))를 끼워 고정하면서 간격조정부재(8)로서의 제1 너트(81) 및 제2 너트(82)를 조임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셔(4)를 밀어 올려 와셔(4)의 선단면이 돌기부(9)의 후단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취부한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7)에 소정의 과압축력이 부여되고, 나아가서는 스트레스 콘(14)에 소정의 과압축력이 부여된다. 또, 이 과압축이 부여된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하는 것에 의해 스트레스 콘(14)과 단말 삽입부(12)의 계면에서의 미세 보이드를 적극적으로 없앨 수 있다.Next, by fastening the first nut 81 and the second nut 82 as the gap adjusting member 8 while fixing the protruding portion 9 (smooth portion 9a) of the second shaft with a spanner or the like, 7, the washer 4 is pushed up so that the front end face of the washer 4 is fitted to the rear end face of the projection 9. As a result, a predetermined overpressure force is applied to the spring 7, and a predetermined overpressure force is applied to the stress cone 14. In addition, by holding the state in which this compression is a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icrovoid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tress cone 14 and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2 can be positively eliminated.

이러한 과압축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스패너 등으로 제2 샤프트의 돌기부(9)(평활부(9a))를 끼워 고정하면서 간격조정부재(8)로서의 제1 너트(81) 및 제2 너트(82)를 느슨하게 해, 와셔(4)의 선단면이 제2 샤프트(6)의 마킹오프라인(61) 위치에 올때까지 낮추어, 제1 너트(81) 및 제2 너트(82)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7)의 압축력을 사용 상태까지 약하게 할 수 있다. The first nut 81 serving as the gap adjusting member 8 is fixed while holding the protruding portion 9 (smooth portion 9a) of the second shaft with a spanner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nut 81 and the second nut 82 are loosened so that the front end face of the washer 4 is lowered to the marking off line 61 position of the second shaft 6, . Thereb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7 can be made weak to the use state.

그 다음에, 미리 케이블 단말부(13) 측에 끼워 둔 케이블 보호 금구(13d)를 소정 위치에 되돌려, 케이블 보호 금구(13d)의 선단부에 설치된 플랜지(13f)를 가압금구 플랜지(3)의 후단면에 설치하고 양자를 제1 볼트(V1)에 의해 체결한다.Next, the cable protection metal fitting 13d sandwiched in advance to the cable terminal portion 13 is return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flange 13f provided 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cable protection fitting 13d is pressed against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3 And the both are fastened by the first bolt (V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단말 접속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b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케이블 단말 접속부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number of parts is small, the cable terminal connection part can be assembled easily.

둘째, 와셔(4)의 선단면이 돌기부(9)의 후단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제1 너트(81) 및 제2 너트(82)를 조임으로써 소정의 과압축 상태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자 등으로 치수를 관리하지 않아도 과압축 상태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Secondly, since the first nut 81 and the second nut 82 are tightened to a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washer 4 abuts against the rear end surface of the projection 9,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gure the compression state and the compression state without managing the dimensions with a ruler or the like.

셋째, 부싱(11)의 후단부에 프리세팅 된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를 설치하고, 와셔(4)를 소정의 위치(돌기부(9)의 후단면에 맞닿는 위치)에서 고정하여, 스트레스 콘(14)에 소정 시간 과압축력을 부여한 후, 와셔(4)를 소정의 위치(마킹오프라인(61)의 위치)까지 되돌린 다음 케이블 보호 금구(13d)를 설치하기 때문에, 즉, 스프링(7)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과압축력의 부여 작업의 단계에서 스프링(7)을 얼마만큼 휠 수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 치수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출하 시의 프리세팅 상태로부터, 현장에서의 과압축 상태 및 조립 상태까지 측정기 등으로 치수를 관리할 필요가 없고, 간단하게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1)의 조립 작업을 할 수 있다.Third, the stress cone compression apparatus 1 preset at the rear end of the bushing 11 is installed and the washer 4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position where it abuts the rear end surface of the projection 9) Since the washer 4 is return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marking off line 61) and the cable protection metal fitting 13d is provided after applying the overpressure axial force to the spring 14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how much the spring 7 can be rotated at the stage of the work of applying the overpressure axial forc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firmation even when it is desired to confirm. Thereby, it is not necessary to manage the dimension from the pre-setting state at the time of shipment to the over-compression state and the assembled state at the field by a measuring instrument, etc., and the stress cone compressing apparatus 1 can be easily assembled.

넷째, 모든 샤프트(복수개의 제1 샤프트(5) 및 제2 샤프트(6))가, 부싱(11)에 설치된 단말 삽입부(12)의 내경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금구(2) 및 복수개의 스프링(7)을 포함한 제1 샤프트(5)의 선단부측을 부싱(11)의 단말 삽입부(12) 내에 수용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가압금구(2) 및 복수개의 스프링(7)을 포함한 제1 샤프트(5)의 선단부측이 부싱(11)의 단말 삽입부(12) 내에 수용되는 부분만큼 케이블 단말 접속부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Fourth, since all of the shafts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5 and the second shafts 6) are arranged to be accommodated within the range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12 provided in the bushing 11, And the tip end side of the first shaft 5 including the plurality of springs 7 can be accommodated in the end insertion portion 12 of the bushing 11 and furthermore, The axial length of the cabl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can be shortened by the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haft 5 including the distal end portion 7 of the bushing 11 accommodated in the distal end insertion portion 12 of the bushing 11. [

다섯째, 와셔(4)의 후단부측에 함몰부(43)를 마련한 경우에는, 간격조정부재(8)에 의한 과압축 상태로의 조정이나 조립 상태로의 조정 작업 시에 제1 샤프트(5)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ifthly, when the depressed portion 43 is provid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washer 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shaft 5 from being deformed by the gap adjusting member 8 during the adjustment to the over- So that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여섯째, 제2 샤프트(6)에, 마킹오프라인(61)을 표시한 경우에는, 과압축 작업을 한 후의 사용 상태까지의 압축력 부여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Sixth, in the case where the marking off-line 61 is displayed on the second shaft 6,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work of applying the compression force to the use state after the over-compression operation.

일곱째, 와셔(4)의 내주 둘레측에 제1 샤프트(5)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2 관통공(41)을 마련하고, 외주 둘레측에 제2 샤프트(6)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3 관통공(42)를 마련한 경우에는, 한층 더 제1 샤프트(5)의 간섭을 받지 않고 제1 너트(81) 및 제2 너트(82)의 조정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Seventhly, a second through hole 41 for penetrating the first shaft 5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washer 4, and a third through hole 41 for passing the second shaft 6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ide is provided. The adjustment of the first nut 81 and the second nut 82 can be performed without interference of the first shaft 5.

[실시예 3] [Example 3]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와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서, 도 3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the parts common to FIG. 3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와셔(4)의 중심원으로부터 약간 내주 둘레측의 원주선(41a) 상에 제1 샤프트(5)로서의 헤드부를 갖는 샤프트(예를 들면 숄더 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2 관통공(41)과, 제1 샤프트(5)로서의 헤드부를 가지지 않는 둥근 봉 형상의 샤프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41`)(이하 "제4 관통공"이라고 함)이 원주 방향으로 등배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6개의 제2 관통공(41)과 6개의 제4 관통공(41')이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등배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제4 관통공(41')의 내경은, 제2 관통공(41)의 내경과 동일하며, 제4 관통공(41')에는 함몰부(43)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shafts (for example, shoulder bolts) having a head portion as a first shaft 5 are passed through a circumferential line 41a which is slightly circumferentially spaced from the center circle of the washer 4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urth through holes") for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41 and a round rod shaft having no head portion as the first shaft 5, As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six second through holes 41 and six fourth through holes 41 'are provided so as to b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fourth through-hole 41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hole 41, and the depressed portion 43 is not provided in the fourth through-hole 41'.

이러한 구성의 와셔에 의하면, 제2 관통공(41)에 제1 샤프트(5)로서의 헤드부를 갖는 샤프트(숄더 볼트)를 관통시키고, 제4 관통공(41')에 제1 샤프트(5)로서의 헤드부를 가지지 않는 샤프트를 관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와셔와 비교하면, 헤드부를 갖는 샤프트(숄더 볼트)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헤드부를 갖는 샤프트(숄더 볼트)의 개수가 적어지는 부분만큼 헤드부를 갖는 샤프트(숄더 볼트)의 조임 작업, 즉 프리세팅 상태로 하는 작업을 줄일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도 절감된다.According to the washer having such a construction, a shaft (shoulder bolt) having a head portion as a first shaft 5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41, and a shaft (shoulder bolt) as a first shaft 5 is inserted into the fourth through hole 41 ' The number of the shafts (shoulder bolts) having the head portion can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the shafts (shoulder bolts) having the head portion can be made smaller than that of the washer shown in Fig.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duce the work of tightening the shaft (shoulder bolt) having the head portion by the reduced portion, that is, the work for setting it in the preset state, but also the cost is reduced.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나타낸 특정 실시 형태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as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첫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샤프트(6)로서 돌기부(9)와 제2 샤프트(6)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제2 샤프트(6)의 외주에 별도의 너트를 끼움 결합·고정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The first shaft 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truding portion 9 and the second shaft 6 but the second shaft 6 is provided with a separate nut · Fixed ones may be used.

둘째, 상술한 실시예 2에서는, 부싱(11)과 일체화된 절연통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절연부(11d)의 후단면에 가압금구 플랜지(3)를 취부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절연통을 가지지 않는 부싱의 후단면, 또는 부싱(11)과 분리된 별도의 절연통의 후단면에 가압금구 플랜지(3)를 취부해도 좋다.Secondly,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as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press fitting flange 3 is attached to the rear end surface of the insulating portion 11d having the function as an insulating cylinder integrated with the bushing 11. However, The press fitting metal flange 3 may be mounted on the rear end face of the bushing or the rear end face of the separate insulating case separate from the bushing 11. [

셋째, 상술한 실시예 1, 3에서는, 각각 12개, 6개의 제1 샤프트(5)로서의 헤드부를 갖는 샤프트(숄더 볼트)를, 각각 같은 수량의 제2 관통공(41)에 관통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적어도 2개의 제2 관통공(41)에 제1 샤프트로서 헤드부를 갖는 샤프트(숄더 볼트)를 관통시키고, 나머지의 제2 관통공(41) 또는 제4 관통공(41')에 제1 샤프트로서 헤드부를 가지지 않는 둥근 봉 형상의 샤프트를 관통시켜도 좋다. 단, 헤드부를 갖는 샤프트(숄더 볼트)는 원주 방향으로 등배치 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면 2개를 사용한 경우는 180도 각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이에 의해, 소정의 프리세팅 상태를 얻을 수 있다. 4개 이상의 헤드부를 갖는 제1 샤프트를 등배치하는 경우는, 보다 균등하게 와셔(4)를 선단측에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균등하게 스프링을 프리세팅 상태까지 압축할 수 있다. 또, 헤드부를 갖는 샤프트는 숄더 볼트에 한정되지 않고, 헤드부를 갖는 다른 볼트여도 좋다.Thir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third embodiments, when a shaft (shoulder bolt) having head portions as twelve and six first shafts 5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s 41 of the same number A shaft (shoulder bolt) having a head portion as a first shaft is passed through at least two second through holes 41, and the remaining second through hole 41 or fourth through hole 41 ' A shaft of a round rod shape having no head portion may be passed through as a first shaft. However, the shaft (shoulder bolt) having the head portion needs to b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example, when two are used, the shaft is arranged at an angle of 180 degrees). Thereby, a predetermined preset state can be obtained. When the first shaft having four or more head portions is arranged on the back, the washer 4 can be pressed to the tip end more evenly, so that the spring can be compressed evenly to the preset position. The shaft having the head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shoulder bolt, but may be another bolt having the head portion.

넷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너트(81)로서 축 길이가 긴 제1 너트를 사용하고 있지만, 제2 너트(82)와 같은 구성의 너트를 사용해도 좋다.Fourth,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nut 81 having the long shaft length is used as the first nut 81, but a nut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cond nut 82 may be used.

다섯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샤프트(6)의 모두에 제1 너트(81) 및 제2 너트(82)를 나사결합하고 있지만, 하나의 너트만 나사결합해도 좋다. 또, 접지선(13e)은 모든 간격조정부재(8) 또는 복수 부위의 간격조정부재(8)에 장착해도 좋다.Fifthl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nut 81 and the second nut 82 are screwed to all the second shafts 6, but only one nut may be screwed. The grounding line 13e may be attached to all the gap adjusting members 8 or the gap adjusting members 8 at a plurality of positions.

여섯째, 가압금구(2), 가압금구 플랜지(3) 및 와셔(4)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리, 구리합금제 또는 알루미늄제 등의 금속으로 형성해도 좋다.Sixth, the pressing metal fitting 2, the pressing metal flange 3, and the washer 4 are not limited to those formed of an aluminum alloy, but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copper, copper alloy, or aluminum.

일곱째, 상술한 실시예서는, 케이블 접속부로서 가스중 말단 접속부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오일중 말단 접속부, 기중 말단 접속부에 적용해도 좋으며, 또, 중간 접속부(조인트)에 적용해도 좋다. 더욱이, 케이블 접속부로서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Seventh, 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pplied to a gas end connection portion as a cable connection portion, it may be applied to an oil end connection portion and a gas end connection portion, or to an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joint). Furthermore, the shape of the cable connecting portion is not limited.

여덟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220kV급 케이블 접속부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전압은 한정되지 않는다.Eighth,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220kV-class cable connec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voltage is not limited.

1: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2: 가압 금구
3: 가압 금구 플랜지
31: 노치부
4: 와셔
43: 함몰부
5: 샤프트(제1 샤프트)
6: 샤프트(제2 샤프트)
61: 마킹오프라인
7: 스프링
8: 간격조정부재
9: 돌기부
11: 부싱
12: 단말 삽입부
13: 케이블 단말부
13a: 케이블 절연체
14: 스트레스 콘
1: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2: Press fitting
3: Press fitting metal flange
31:
4: Washer
43:
5: shaft (first shaft)
6: shaft (second shaft)
61: Marking offline
7: Spring
8:
9: protrusion
11: Bushing
12:
13: Cable terminal section
13a: Cable insulation
14: Stress cone

Claims (1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선단부 내주에 선단부를 향해 확경하는 나팔형 테이퍼부를 갖는 원통형 가압금구와,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자체의 선단면이 부싱 또는 절연통의 후단면에 설치되는 중공 원반형의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와셔와,
상기 와셔 및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에 끼워지며, 선단면이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에 맞닿고, 후단면이 상기 와셔의 선단면에 맞닿는 코일형 스프링과,
상기 와셔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 샤프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와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샤프트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샤프트는, 상기 부싱 또는 절연통에 설치된 단말 삽입부의 내경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샤프트 중 적어도 2개는 그 자체의 후단부에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선단부 부근의 외주에는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의 선단면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A cylindrical press-fitting portion having a trumpet-shaped tapered portion which is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distal end portion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portion,
A press-fitting metal flange spaced apart from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and having a distal end surface provided on a rear end surface of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barrel,
A ring washer provided on the rear end face sid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t an interval,
A plurality of first shafts penetrating the washer and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tal;
A coil spring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ft, the coil spring having a front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member and a rear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front end surface of the washer,
A plurality of second sharps passing through the washer and fixed to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a gap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the washer,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hafts are arranged so as to be accommodated within a range of an inner diameter of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cylinder,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each having a head portion at a rear end thereof,
Wherein a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haft near the front end thereof, and a distal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abuts against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선단부 내주에 선단부를 향해 확경하는 나팔형 테이퍼부를 갖는 원통형 가압금구와,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자체의 선단면이 부싱 또는 절연통의 후단면에 설치되는 중공 원반형의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와셔와,
상기 와셔 및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에 끼워지며, 선단면이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에 맞닿고, 후단면이 상기 와셔의 선단면에 맞닿는 코일형 스프링과,
상기 와셔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 샤프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와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샤프트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샤프트는, 상기 부싱 또는 절연통에 설치된 단말 삽입부의 내경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샤프트 중 적어도 2개는 그 자체의 후단부에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선단부 부근의 외주에는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의 선단면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에 맞닿으며,
상기 돌기부의 외주에는 평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A cylindrical press-fitting portion having a trumpet-shaped tapered portion which is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distal end portion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portion,
A press-fitting metal flange spaced apart from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and having a distal end surface provided on a rear end surface of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barrel,
A ring washer provided on the rear end face sid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t an interval,
A plurality of first shafts penetrating the washer and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tal;
A coil spring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ft, the coil spring having a front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member and a rear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front end surface of the washer,
A plurality of second sharps passing through the washer and fixed to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a gap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the washer,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hafts are arranged so as to be accommodated within a range of an inner diameter of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cylinder,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each having a head portion at a rear end thereof,
Wherein a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y of a distal end of the second shaft,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abuts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a smooth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truding portion.
선단부 내주에 선단부를 향해 확경하는 나팔형 테이퍼부를 갖는 원통형 가압금구와,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자체의 선단면이 부싱 또는 절연통의 후단면에 설치되는 중공 원반형의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와셔와,
상기 와셔 및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에 끼워지며, 선단면이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에 맞닿고, 후단면이 상기 와셔의 선단면에 맞닿는 코일형 스프링과,
상기 와셔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 샤프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와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샤프트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샤프트는, 상기 부싱 또는 절연통에 설치된 단말 삽입부의 내경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샤프트 중 적어도 2개는 그 자체의 후단부에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선단부 부근의 외주에는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의 선단면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에 맞닿으며,
상기 돌기부의 외주에는 평활부가 설치되고,
상기 와셔의 후단부 측에는 상기 제1 샤프트의 헤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A cylindrical press-fitting portion having a trumpet-shaped tapered portion which is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distal end portion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portion,
A press-fitting metal flange spaced apart from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and having a distal end surface provided on a rear end surface of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barrel,
A ring washer provided on the rear end face sid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t an interval,
A plurality of first shafts penetrating the washer and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tal;
A coil spring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ft, the coil spring having a front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member and a rear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front end surface of the washer,
A plurality of second sharps passing through the washer and fixed to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a gap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the washer,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hafts are arranged so as to be accommodated within a range of an inner diameter of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cylinder,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each having a head portion at a rear end thereof,
Wherein a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y of a distal end of the second shaft,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abuts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 smooth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a depressed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shaft is provided at a rear end side of the washer.
선단부 내주에 선단부를 향해 확경하는 나팔형 테이퍼부를 갖는 원통형 가압금구와,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자체의 선단면이 부싱 또는 절연통의 후단면에 설치되는 중공 원반형의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와셔와,
상기 와셔 및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에 끼워지며, 선단면이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에 맞닿고, 후단면이 상기 와셔의 선단면에 맞닿는 코일형 스프링과,
상기 와셔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 샤프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와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샤프트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샤프트는, 상기 부싱 또는 절연통에 설치된 단말 삽입부의 내경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샤프트 중 적어도 2개는 그 자체의 후단부에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선단부 부근의 외주에는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의 선단면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에 맞닿으며,
상기 돌기부의 외주에는 평활부가 설치되고,
상기 와셔의 후단부 측에는 상기 제1 샤프트의 헤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샤프트의 상기 돌기부보다 후단부측의 외주에는 마킹오프라인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A cylindrical press-fitting portion having a trumpet-shaped tapered portion which is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distal end portion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portion,
A press-fitting metal flange spaced apart from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and having a distal end surface provided on a rear end surface of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barrel,
A ring washer provided on the rear end face sid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t an interval,
A plurality of first shafts penetrating the washer and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tal;
A coil spring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ft, the coil spring having a front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member and a rear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front end surface of the washer,
A plurality of second sharps passing through the washer and fixed to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a gap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the washer,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hafts are arranged so as to be accommodated within a range of an inner diameter of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cylinder,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each having a head portion at a rear end thereof,
Wherein a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y of a distal end of the second shaft,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abuts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 smooth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truding portion,
A recessed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shaft is provid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washer,
And a marking offline line is display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haft at the rear end side than the projecting portion.
선단부 내주에 선단부를 향해 확경하는 나팔형 테이퍼부를 갖는 원통형 가압금구와,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자체의 선단면이 부싱 또는 절연통의 후단면에 설치되는 중공 원반형의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와셔와,
상기 와셔 및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에 끼워지며, 선단면이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에 맞닿고, 후단면이 상기 와셔의 선단면에 맞닿는 코일형 스프링과,
상기 와셔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 샤프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와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샤프트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샤프트는, 상기 부싱 또는 절연통에 설치된 단말 삽입부의 내경의 범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샤프트 중 적어도 2개는 그 자체의 후단부에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선단부 부근의 외주에는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의 선단면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에 맞닿으며,
상기 돌기부의 외주에는 평활부가 설치되고,
상기 와셔의 후단부 측에는 상기 제1 샤프트의 헤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샤프트의 상기 돌기부보다 후단부측의 외주에는 마킹오프라인이 표시되며,
상기 와셔의 내주 둘레측에는 상기 제1 샤프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와셔의 외주 둘레측에는 상기 제2 샤프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A cylindrical press-fitting portion having a trumpet-shaped tapered portion which is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distal end portion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portion,
A press-fitting metal flange spaced apart from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and having a distal end surface provided on a rear end surface of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barrel,
A ring washer provided on the rear end face sid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t an interval,
A plurality of first shafts penetrating the washer and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tal;
A coil spring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ft, the coil spring having a front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member and a rear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front end surface of the washer,
A plurality of second sharps passing through the washer and fixed to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a gap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the washer,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hafts are arranged so as to be accommodated within a range of an inner diameter of a terminal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cylinder,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each having a head portion at a rear end thereof,
Wherein a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y of a distal end of the second shaft,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abuts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 smooth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truding portion,
A recessed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shaft is provid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washer,
A marking offline line is display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end side of the projection of the second shaft,
A through hole for passing through the first shaf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sher and a through hole for passing the second shaf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washer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선단부 내주에 선단부를 향해 확경하는 나팔형 테이퍼부를 갖는 원통형 가압금구가와,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자체의 선단면이 부싱 또는 절연통의 후단면에 설치되는 중공 원반형의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와셔와,
상기 와셔 및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를 관통하고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외주에 끼움결합되어, 선단면이 상기 가압금구의 후단면에 맞닿고, 후단면이 상기 와셔의 선단면에 맞닿는 코일형 스프링과,
상기 와셔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제2 샤프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와 상기 와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간격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선단부 부근의 외주에는 돌기부가 설치되며, 상기 돌기부의 선단면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에 맞닿고,
상기 돌기부의 외주에는 평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상기 돌기부보다 후단부측의 외주에는 마킹오프라인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
A cylindrical pressing tool having a trumpet-shaped tapered portion which is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distal end portion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portion,
A press-fitting metal flange spaced apart from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and having a distal end surface provided on a rear end surface of the bushing or the insulating barrel,
A ring washer provided on the rear end face sid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t an interval,
A plurality of first shafts penetrating the washer and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tal;
A coil spring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ft and having a distal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member and a rear end surface abutting against a distal end surface of the washer,
A plurality of second sharps passing through the washer and fixed to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a gap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pressing metal flange and the washer,
Wherein a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periphery of a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shaft,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abuts against a rear end surfac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A smooth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a marking offline line is display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haft on the rear end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케이블 절연체 상에 스트레스 콘이 장착된 케이블 단말부와,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9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구성하는 가압금구의 테이퍼부는 상기 스트레스 콘을 구성하는 반도전부의 테이퍼부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부.
A cable end portion having a stress cone mounted on a cable insulator, and a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9,
Wherein the tapered portion of the press fitting constituting the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abuts the tapered portion of the semiconductive portion constituting the stress cone.
케이블 절연체 상에 스트레스 콘이 장착된 케이블 단말부와,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9 중의 어느 한 항 기재의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구성하는 가압금구의 테이퍼부는 상기 스트레스 콘을 구성하는 반도전부의 테이퍼부에 맞닿고,
상기 스트레스 콘 압축 장치를 구성하는 가압금구 플랜지의 후단면에, 상기 케이블 단말부를 구성하는 케이블 보호 금구가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부.
A cable end portion having a stress cone mounted on a cable insulator, and a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9,
Wherein the tapered portion of the compression fitting constituting the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abuts against the tapered portion of the semiconductive portion constituting the stress cone,
Wherein a cable protecting bracket constituting said cable end portion is mounted on a rear end surface of a press-fitting bracket constituting said stress cone compressing device.
삭제delete 제 4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샤프트는,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내주 둘레측에 설치되는 반원형 노치부를 삽통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상기 노치부를 삽통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 샤프트는 선단부가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의 상기 노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압금구 플랜지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와셔의 후단부측에는 상기 제1 샤프트의 헤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콘 압축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9,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shafts insert a semicircular notch portion provided on an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Wherein the spring inserts the notch portion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 shafts are screwed into a screw hole provided at a tip end portion adjacent to the notch portion of the pressing metal flang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shaft is fixed integrally with the press fitting flange,
And a depressed por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head portion of the first shaft is provided at a rear end side of the washer.
KR1020117016042A 2009-02-17 2010-01-29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and cable connection section using same KR1014366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3520A JP4555381B2 (en) 2009-02-17 2009-02-17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and cable connection using the same
JPJP-P-2009-033520 2009-02-17
PCT/JP2010/000546 WO2010095371A1 (en) 2009-02-17 2010-01-29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and cable connection section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129A KR20110116129A (en) 2011-10-25
KR101436678B1 true KR101436678B1 (en) 2014-09-01

Family

ID=4263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042A KR101436678B1 (en) 2009-02-17 2010-01-29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and cable connection section using sam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55381B2 (en)
KR (1) KR101436678B1 (en)
CN (1) CN102292892B (en)
TW (1) TWI491130B (en)
WO (1) WO201009537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6623B1 (en) * 2011-06-20 2013-06-28 Snecma DECOUPLING DEVICE FOR DOUBLE FLOW TURBOMOTEUR
JP6880536B2 (en) * 2017-12-22 2021-06-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Power cable terminal structure
CN109167329A (en) * 2018-11-13 2019-01-08 特变电工昭和(山东)电缆附件有限公司 A kind of 500kV and 500kV or more AC and DC power cable combination prefabricated transition joint
EP4033502A1 (en) * 2021-01-21 2022-07-27 Hitachi Metals, Ltd. Bushing unit and power cable connection structure for a railway vehicle
CN113725637B (en) * 2021-08-31 2022-08-09 长园电力技术有限公司 Intelligent quick recovery connec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1528U (en) * 1988-05-20 1989-12-05
JP2003235147A (en) * 2002-02-01 2003-08-22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Prefabricated joi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190Y2 (en) * 1988-09-30 1994-11-24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Cable termination
JP2000069657A (en) * 1998-08-20 2000-03-03 Fujikura Ltd 'of' cable connector
JP2000324672A (en) * 1999-05-12 2000-11-24 Mitsubishi Cable Ind Ltd Insulating plug for cable joint
CN2845261Y (en) * 2005-10-11 2006-12-06 上海三原电缆附件有限公司 Outdoor terminal of 220 KV crosslinked c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1528U (en) * 1988-05-20 1989-12-05
JP2003235147A (en) * 2002-02-01 2003-08-22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Prefabricated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5371A1 (en) 2010-08-26
TW201041260A (en) 2010-11-16
KR20110116129A (en) 2011-10-25
JP2010193572A (en) 2010-09-02
TWI491130B (en) 2015-07-01
JP4555381B2 (en) 2010-09-29
CN102292892B (en) 2014-06-11
CN102292892A (en)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678B1 (en) Stress cone compression device and cable connection section using same
US5644104A (en) Assembly for permitting the transmission of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areas of different pressure
US5830009A (en) Device for connecting a coaxial plug to a coaxial cable
US8079860B1 (en) Cable connector having threaded locking collet and nut
US8348697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slotted post member
EP1503462A1 (en) Axial compression electrical connector
US10141683B2 (en) Cable fitting for connecting a high-voltage cable to a high-voltage component or another high-voltage cable
CA2171139A1 (en) Apparatu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coaxial cable and a connector
AU738716B2 (en) A connector for a coaxial radio frequency cable
KR950702751A (en) COAXIAL CABLE CONNECTION PROTECTION SYSTEM
CN1138920A (en) Cable termination
US6293824B1 (en) Connector element for mounting on a electric cable having a helically-corrugated outer conductor, and a method of mounting it
JP6404302B2 (en) Method for assembling terminal connection part of power coaxial cable
CN106952701B (en) Surge arrester
TWI452789B (en) A cable sealing end
KR20120035111A (en) Device for fixating cables with pull relief
US6156979A (en) Bushing device and bushing assembly including it
JP3369472B2 (en) CV cable connection method and structure of prefabricated connection part
KR101442524B1 (en) Test kit of cable plug type electric transformer
JP2003235147A (en) Prefabricated joint
JPH10126911A (en) Conductor fixing device
CN117506787A (en) Centering installation tool for test tap
KR100387609B1 (en) Sealing structure with non-soldering of high-voltage oil-filled electric power cable
WO2023083495A1 (en) Cable gland with torque sensor
JPH09266621A (en) Junction box using prefabricated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