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512B1 - 서지방호장치 - Google Patents

서지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512B1
KR101436512B1 KR1020140023357A KR20140023357A KR101436512B1 KR 101436512 B1 KR101436512 B1 KR 101436512B1 KR 1020140023357 A KR1020140023357 A KR 1020140023357A KR 20140023357 A KR20140023357 A KR 20140023357A KR 101436512 B1 KR101436512 B1 KR 10143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rge
unit
equip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제욱
김정빈
우웅식
우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라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라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라운드
Priority to KR1020140023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4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comprising means to limit the absorbed power or indicate damaged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05Varistor cores
    • H01C7/108Metal 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3Preventing or reducing surge voltages; osci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3/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of short duration, e.g. light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지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보호 설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입력단과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피보호 설비와 전원공급장치의 서지(Surge) 전류를 감쇄시키는 서지 감쇄부 및 전원공급장치, 서지 감쇄부 및 피보호 설비의 접지단이 각각 연결되는 주접지부(Main Ground Board, MGB)를 포함하여, 전원공급장치, 서지 감쇄부 및 피보호 설비의 접지단을 등전위로 유지하는 공통접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지방호장치{SURGE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서지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델타결선방식의 전원계통을 간단하게 공통접지방식으로 변경하고, 서지로부터 전원계통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서지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델타(Δ)결선 전원공급방식에서는 독립접지방식이 이용되고, 중성선(Neutral conductor)을 갖는 와이(Y)결선 전원공급방식에서는 공통접지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일본을 비롯한 소말리아, 과테말라, 온두라스, 북한, 필리핀 등 10여개 국가에서는 독립접지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공통접지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종래에 와이결선 전원공급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독립접지방식을 도입하였기 때문에 많은 혼란이 있었으나, 2005년도에 한국산업규격이 개정되면서 국제기술규격에 적합한 공통접지방식을 채택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0015726 호(2001.02.26.공개, 발명의 명칭 : 서지 억제 장치)가 있다.
그러나 아직도 기존의 델타결선방식의 전원공급계통을 유지하고 있는 설비들은 독립접지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낙뢰 등으로 인한 서지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델타결선방식의 전원계통을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와이결선 전원공급방식과 공통접지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종래에는 낙뢰 등으로 인한 서지에 대한 대책으로 입력전원과 출력전원이 분리된 복권(절연)변압기를 전원공급장치로 형성하였으나, 복권변압기의 1차측이 파손되거나 2차측으로 전자기 유도가 발생하면서 서지를 차단하는데 실패하였고, 전원선 뿐만이 아니라 대지나 접지를 통한 서지에 대해서는 방호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첨단 전원공급장치인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인버터, 컨버터,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등의 컨트롤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각종 전자제어장치는 고주파수 및 고전압 특성의 서지에 취약하기 때문에 고장이 잦았으며, 이로 인해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피보호 설비에도 서지가 유입되어 피해가 발생하고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전원계통에 포함된 전원공급장치, 피보호 설비 및 부속설비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델타결선 전원계통에는 전원(10), 각 피보호 설비(30)에 필요한 형태로 전원(10)을 변경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0), 전원(10)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각종 피보호 설비(30) 및 부속설비(40)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델타결선 전원계통에서의 전원공급장치(20), 피보호 설비(30) 및 부속설비(40)는 각각 독립접지방식으로 접지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원공급장치(20), 피보호 설비(30) 및 부속설비(40) 간에 전위치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전위차로 인해서 낙뢰로 인한 서지가 유입되어 부하설비(40) 등이 파손되거나 오동작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델타결선방식의 전원계통을 간단하게 공통접지방식으로 변경하고, 서지로부터 전원계통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서지방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지방호장치는 피보호 설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입력단과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피보호 설비와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서지(Surge) 전류를 감쇄시키는 서지 감쇄부;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 상기 서지 감쇄부 및 상기 피보호 설비의 접지단이 각각 연결되는 주접지부(Main Ground Board, MGB)를 포함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 상기 서지 감쇄부 및 상기 피보호 설비의 접지단을 등전위로 유지하는 공통접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지 감쇄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입력단과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입력단과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기준주파수 차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준주파수 차단부의 접지단은 상기 주접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준주파수 차단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입력단과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복권변압기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중선선과 상기 주접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지 감쇄부는 산화금속 바리스터(MOV), 산화아연 바리스터(ZOV), 가스방전관(GDT), 제너 다이오드, 서지 어레스터,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바리스터(Varistor)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공급장치의 입력단이나 피보호 설비측에 위치하는 서지 감쇄부 및 기준주파수 차단부를 통해서 서지로 인한 과전류, 서지전압 등을 다중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전원계통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전압공급장치에 내장된 복권변압기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등전위의 접지단을 형성하기 때문에, 변압기 추가로 인한 비용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원계통에 포함된 전원공급장치, 피보호 설비 및 부속설비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의 서지 감쇄부가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의 서지 감쇄부가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기준주파수 차단부가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가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가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의 서지 감쇄부가 1상 2선의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의 서지 감쇄부가 1상 2선의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기준주파수 차단부가 1상 2선의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의 서지 감쇄부가 3상 4선의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기준주파수 차단부가 3상 4선의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인 복권변압기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를 통한 서지의 차단 성능을 각각 시험하기 위한 설비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의 서지 감쇄부가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의 서지 감쇄부가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기준주파수 차단부가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는 서지 감쇄부(150), 공통접지부(170) 및 기준주파수 차단부(190)를 포함한다.
서지 감쇄부(150)는 피보호 설비(30)로 전원(10)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과 출력단(24)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피보호 설비(30)와 전원공급장치(20)의 서지(Surge) 전류를 감쇄시킨다.
즉, 낙뢰 등으로 인한 서지 전류로 인해서 전원공급장치(20) 또는 피보호 설비(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서지 감쇄부(150)는 서지 전류를 방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장치(20) 또는 피보호 설비(30)로 전달된 서지를 방전시키기 위해서 서지 감쇄부(150)는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과 출력단(24)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서지 감쇄부(150)는 산화금속 바리스터(MOV), 산화아연 바리스터(ZOV), 가스방전관(GDT), 제너 다이오드, 서지 어레스터,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바리스터(Varisto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통접지부(170)는 전원공급장치(20), 서지 감쇄부(150) 및 피보호 설비(30)의 접지단(GND)이 각각 연결되는 주접지부(Main Ground Board, MGB)(171)를 포함하며, 전원공급장치(20), 서지 감쇄부(150) 및 피보호 설비(30)의 접지단을 등전위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장치(20), 서지 감쇄부(150) 및 피보호 설비(30) 각각의 접지단을 등전위로 유지함으로써, 간단하게 TN 방식의 공통접지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TN 방식의 전원계통에서의 접지란, 전원부는 접지되어 있고, 간선의 중성선과 보호하고자 하는 설비를 결합하여 등전위의 공통접지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장치(20)가 복권변압기인 경우, 전원공급장치(20)의 중성선과 주접지부(171)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부(180)를 더 포함함을써, 중성선 접지를 구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는 서지 감쇄부(150)를 통해서 전원공급장치(20) 또는 피보호 설비(30)의 정격전압을 초과하는 서지가 유입되었을 때, 서지 전류를 대지로 방전시킴으로써 전원공급장치(20)와 피보호 설비(3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는 기준주파수 차단부(190)를 더 포함하여 기준주파수를 초과하는 서지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기준주파수란 전력계통을 손상시킬 수 있을 정도의 주파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소자 또는 회로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전원공급장치(20) 또는 피보호 설비(30)는 서지 전압의 절대적인 크기가 큰 경우 뿐만 아니라, 서지 전압이 특정 주파수를 초과하여 변동되는 경우에도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주파수 차단부(190)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서지 감쇄부(150)를 통해서 차단되지 못한 서지로부터 전원공급장치(20)와 피보호 설비(30)를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주파수 차단부(190)는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과 출력단(24) 중 적어도 하나에 직렬로 연결된다.
즉, 기준주파수를 초과하지 않는 서지는 서지 감쇄부(150)를 통해서 방전될 수 있으므로, 기준주파수 차단부(190)는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 또는 출력단(24)에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기준주파수를 초과하는 서지만을 차단하고, 직류 성분의 전압이나 기준주파수를 초과하지 않는 서지는 전원공급장치(20)로 전달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기준주파수 차단부(190)는 Toroidal 방식의 권선방식으로 구성된 인덕터나 리액터 코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철, 페라이트(Ferrite), 퍼말로이(Permalloy), 코발트 화합물 등의 자성체 코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복권변압기 형태의 전원공급장치(20)에 대해 입력부(22) 또는 출력부(24)에 서지 감쇄부(150)와 기준주파수 차단부(190)를 구비함으로써, 다중적인 양방향의 서지로부터 전원공급장치(20)와 피보호 설비(30)를 보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피보호 설비(30)와 연결된 부속설비(40)의 접지단을 주접지부(171)와 연결함으로써, 부속설비(40)를 직접 보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가 전원(10), 전원공급장치(20) 및 피보호 설비(30) 사이에서 연결되는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의 서지 감쇄부(150)는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 또는 출력단(24)에 대해서 병렬로 연결되고, 기준주파수 차단부(190)는 직렬로 연결됨을 기재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지 감쇄부(150) 및 기준주파수 차단부(190)를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 또는 출력단(24)에 대해서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서, 각 구성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가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가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지방호장치(100)는 1차 입, 출력단(110)과 2차 입, 출력단(130)을 포함하는데, 1차 입력단(112)은 전원(10)에 연결되고, 1차 출력단(114)은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에 연결되고, 2차 입력단(132)은 전원공급장치(20)의 출력단(24)에 연결되고 2차 출력단(134)은 피보호 설비(3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직렬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이 전원(10)에 연결되고 출력단(24)이 피보호 설비(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서지방호장치(100)의 1차 입력단(112)은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에 연결되고, 2차 입력단(132)은 전원공급장치(20)의 출력단(24)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병렬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연결 방식을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의 서지 감쇄부가 1상 2선의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의 서지 감쇄부가 1상 2선의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기준주파수 차단부가 1상 2선의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의 서지 감쇄부가 3상 4선의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기준주파수 차단부가 3상 4선의 전원과 피보호 설비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에 포함된 서지 감쇄부(150)의 연결회로를 살펴보면, 서지 감쇄부(150)는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과 출력단(24)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공급장치(20), 서지 감쇄부(150) 및 피보호 설비(30)는 각각 주접지부(171)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는 전원공급장치(20), 서지 감쇄부(150) 및 피보호 설비(30)의 접지단(GND)을 등전위로 유지함으로써, 서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20)가 복권변압기로 형성된 경우에, 전원공급장치(20)의 중성선과 주접지부(171)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부(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추가로 서지 감쇄부(150) 각각에는 이상 발생시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차단부(12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에 포함된 서지 감쇄부(150) 및 기준주파수 차단부(190)의 연결회로를 살펴보면, 서지 감쇄부(150)는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과 출력단(24)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준주파수 차단부(190)는 전원공급장치(20)의 입력단(22)과 출력단(24)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장치(20), 서지 감쇄부(150), 기준주파수 차단부(190) 및 피보호 설비(30)는 각각 주접지부(171)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는 전원공급장치(20), 서지 감쇄부(150), 기준주파수 차단부(190) 및 피보호 설비(30)의 접지단(GND)을 등전위로 유지함으로써 서지의 유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력계통을 손상시킬 수 있을 정도의 주파수를 갖는 서지가 유입된 경우에도 차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통해서는, 1상 2선의 전원(10)과 연결된 전원공급장치(20)를 서지로부터 보호하는 회로를 살펴 보았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 4선의 전원(10)이 연결된 전원계통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기타 도시하지 않은 다양한 방식의 전원계통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은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인 복권변압기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를 통한 서지의 차단 성능을 각각 시험하기 위한 설비의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오픈 서킷 1.2/50㎲ 전압파형과 쇼트 서킷 8/20㎲ 전류파형을 발생시키는 LSS(Lightning Surge Simulator)를 이용하여 1차 입력전압을 인가하고 2차 출력전압을 측정하였고, 표 1은 도 9 및 도 10의 설비에 의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복권변압기가 사용된 경우에 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는 2차 출력을 더 낮출 수 있고, 방전 전류량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100)의 사용으로 낙뢰 등으로 인한 서지로부터 전원공급장치(20)와 피보호 설비(30)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차 입력전압(V) 2차 출력전압(V) 인가 시험전류(A) 방전 전류(A)
복권변압기 6 5.6 3 0.5
TN 공통접지장치 6 2.2 3 1.2
본 실시예에 따른 서지방호장치 6 1.2 3 2.1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공급장치의 입력단이나 피보호 설비측에 위치하는 서지 감쇄부 및 기준주파수 차단부를 통해서 서지로 인한 과전류, 서지전압 등을 다중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전원계통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기존의 전압공급장치에 내장된 복권변압기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등전위의 접지단을 형성하기 때문에, 변압기 추가로 인한 비용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전원
20: 전원공급장치
30: 피보호 설비
40: 부속설비
100: 서지방호장치
110: 1차 입, 출력단
112: 1차 입력단
114: 1차 출력단
120: 전원차단부
130: 2차 입, 출력단
132: 2차 입력단
134: 2차 출력단
150: 서지 감쇄부
170: 공통접지부
171: 주접지부
180: 스위치부
190: 기준주파수 차단부

Claims (6)

  1. 피보호 설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입력단과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피보호 설비와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서지(Surge) 전류를 감쇄시키는 서지 감쇄부;
    상기 전원공급장치, 상기 서지 감쇄부 및 상기 피보호 설비의 접지단이 각각 연결되는 주접지부(Main Ground Board, MGB)를 포함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 상기 서지 감쇄부 및 상기 피보호 설비의 접지단을 등전위로 유지하는 공통접지부;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입력단과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기준주파수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주파수 차단부의 접지단은 상기 주접지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방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감쇄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입력단과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방호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주파수 차단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입력단과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방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복권변압기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중선선과 상기 주접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방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 감쇄부는 산화금속 바리스터(MOV), 산화아연 바리스터(ZOV), 가스방전관(GDT), 제너 다이오드, 서지 어레스터,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바리스터(Varistor)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방호장치.
KR1020140023357A 2014-02-27 2014-02-27 서지방호장치 KR10143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357A KR101436512B1 (ko) 2014-02-27 2014-02-27 서지방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357A KR101436512B1 (ko) 2014-02-27 2014-02-27 서지방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512B1 true KR101436512B1 (ko) 2014-09-02

Family

ID=5175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357A KR101436512B1 (ko) 2014-02-27 2014-02-27 서지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5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7100B1 (en) * 2018-01-30 2022-03-16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Surge arrestor dimensioning in a dc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608952B1 (ko) * 2022-12-21 2023-11-30 이수열 서지 및 노이즈 예방용 전기 플랜트 전원 공급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621B1 (ko) 1995-10-07 1999-06-15 배동만 서지전압 차단회로
JP2008130986A (ja) 2006-11-24 2008-06-05 Otowa Denki Kogyo Kk 電気施設の耐雷方法
KR101074663B1 (ko) 2010-09-17 2011-10-19 주식회사 그라운드 쌍방향 서지보호기
KR101142280B1 (ko) * 2010-11-18 2012-05-07 주식회사 그라운드 Tn-c 공통접지를 이용한 낙뢰방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621B1 (ko) 1995-10-07 1999-06-15 배동만 서지전압 차단회로
JP2008130986A (ja) 2006-11-24 2008-06-05 Otowa Denki Kogyo Kk 電気施設の耐雷方法
KR101074663B1 (ko) 2010-09-17 2011-10-19 주식회사 그라운드 쌍방향 서지보호기
KR101142280B1 (ko) * 2010-11-18 2012-05-07 주식회사 그라운드 Tn-c 공통접지를 이용한 낙뢰방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7100B1 (en) * 2018-01-30 2022-03-16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Surge arrestor dimensioning in a dc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2608952B1 (ko) * 2022-12-21 2023-11-30 이수열 서지 및 노이즈 예방용 전기 플랜트 전원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2074C (en) Surge protection device
US5136455A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device
US4389695A (en) Equipment for protecting electronic equipment and personnel against inadvertent occurrence of extended or transient high voltages and method
US4675772A (en) Protector network for A-C equipment
US852035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ient voltage protection
EP2577701B1 (en) A very fast transient suppressing device
US88547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rge protection
US20130208380A1 (en) Transient control technology circuit
KR100957833B1 (ko) 써지 보호기
KR101436512B1 (ko) 서지방호장치
EP24866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rge protecion
CN113748479A (zh) 多相ac电力触头电弧抑制器
US20130229733A1 (en) Lightening Protection Apparatus Using TN-C Common Ground
US20140153146A1 (en) Connection apparatus circuit and high voltage surge protection method thereof
KR20150059076A (ko) 노이즈 필터를 겸하는 서지보호장치
AU772117B2 (en) Total electrical transient eliminator
US201603228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rge protection
KR101544573B1 (ko) 서지 보호 시스템
KR100900913B1 (ko) 이중화 낙뢰 전원용 보안장치
KR101456569B1 (ko) 서지 보호 장치
CN113439372A (zh) 对交流电压状况的保护
KR102345726B1 (ko) 다중 접지형 서지 보호장치
KR101037549B1 (ko) 저압 전원용 피뢰기
Marz et al. Protecting load devices from the effects of low-side surges
EP3262901B1 (en) Operating device for an illumin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