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508B1 - 세척기기 - Google Patents

세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508B1
KR101436508B1 KR1020070089096A KR20070089096A KR101436508B1 KR 101436508 B1 KR101436508 B1 KR 101436508B1 KR 1020070089096 A KR1020070089096 A KR 1020070089096A KR 20070089096 A KR20070089096 A KR 20070089096A KR 101436508 B1 KR101436508 B1 KR 101436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duct
washing machine
steam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3951A (ko
Inventor
강병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5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40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기는, 케이스 내에 포함되는 세제통에 일체로 형성되고, 증기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수증기가 유동하는 덕트를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탁기의 조립공정시,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기기의 수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세척기기{Apparatus for cleaning or washing}
본 발명은 세척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증기발생장치에서 발생한 증기가 유동하는 덕트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세척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세탁기 내의 터브 내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발생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증기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증기는 덕트를 통하여 터브내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덕트를 세탁기 내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증기가 유동하는 덕트를 용이하게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세척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세제통과, 상기 세제통에 일체로 형성되며, 증기발생기에서 생성된 수증기가 유동하는 덕트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세척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적인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기에서 증기가 유동하는 덕트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상기 세척기기내에 포함되는 세제통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가 상기 고정부재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기기는 상기 덕트의 조립시간이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세척기기는 세탁기와 식기세척기, 의류처리기 등과 같이 물건을 세척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세척기기의 일 예로서 세탁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제통(162)의 부 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조립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구(163b)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탁기(100)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에 지지되는 터브(120)와, 상기 터브(1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드럼(121)과, 상기 드럼(121)을 구동시키는 모터(130)와,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17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케이스 본체(111)와, 상기 케이스 본체(111)의 전면에 위치하는 케이스 커버(112)와, 상기 케이스 커버(112)의 상측에 위치하는 컨트롤패널(115)과, 상기 컨트롤패널(115)과 상기 케이스 커버(112)의 상측에 결합하는 탑 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커버(112)는 포의 출입할 수 있도록 포 출입 홀(114)이 형성되며, 상기 포 출입 홀(114)을 개폐하기 위하여 회동가능한 도어(113)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120)에는 외부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140)와, 상기 터브(120)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장치(150)가 연결된다. 상기 급수장치(140)는, 외부의 세탁수가 상기 터브(120)로 급수되는 급수호스(141)와, 상기 급수호수(14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세탁수를 조절하는 급수밸브(142)와, 상기 급수호스(141)가 연결되는 세제공급장치(160)와, 상기 세제공급장치(160)을 통과한 세탁수를 상기 터브(120)로 안내하는 급수 밸로우즈(143) 포함한다. 상기 배수장치(150)는, 상기 터브(12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터브(120) 내의 세탁수를 안내하는 배수 밸로우즈(151)와, 상기 배수 밸로우즈(151)에 안내된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152)와, 상기 배수펌프(152)에서 펌핑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호스(153)를 포함한다.
상기 증기발생기(170)는 상기 급수호수(141)로 유입된 세탁수를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장치(171)와, 상기 증기발생장치(171)에서 형성된 증기를 상기 터브(120)로 안내하는 덕트(172)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세탁기(100)는 컨트롤패널(115)의 일측에 형성되는 세제공급장치(160)을 포함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160)는 세제통(162)과, 착탈가능하고 세제를 보관하는 세제보관박스(161)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63)가 상기 세제통(162)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63)는 상기 덕트(162)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재(163)는 여러가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63) 후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63)는 상기 세제통(162)으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되는 고정부재 지지부(163a)와, 상기 덕트(172)를 고정하도록 상측이 개방된 고정부재 결합부(163b)를 포함한다. 도 5에 있는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163b)는 상기 고정부재의 지지부(163a)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163b)의 내측으로 굴곡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재(163)은 탄성을 가질 수 있어서, 상기 덕트(172)의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리시 덕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63)의 소재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63)는 상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 덕트(172)를 조립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체결한다. 상기 고정부재(163)는 상기 결합부(163b)의 내측에 형성된 홀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63)는 상기 덕트(172)의 외경보다 상기 홀의 내경이 다소 작게 형성되어 작은 공차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덕트(172)는 보통의 경우 고무와 같은 신축 가능한 부재가 사용된다. 상기 덕트(172)는 조립시에는 증기가 유동하지 않으므로 내압이 없어 수월하게 상기 결합부(136b)와 결합이 가능하다. 반면, 상기 증기발생장치(171)에서 발생한 증기가 상기 덕트(172)를 통해 유동하게 되면 증기압에 의하여 내압이 상승하여 상기 결합부(163b)와 상기 덕트(172)의 결합은 견고해진다. 따라서 상기 덕트(17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덕트(172)내에 증기가 유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63)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부재로 형성되므로 상기 덕트(163)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63)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상기 세제통(162)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체결구(163b)의 변경예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체결구(163b)의 다른 변경예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는 도 4의 체결구(163b)와는 다른 형상을 가지는 체결구(163)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163b´)는 사각형태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63b´)는 90°의 각도를 가지고 구부러져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상측의 일 부분이 개방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63b´)는 약 90°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63b´)의 좌, 우측 및 하측이 상기 덕트(172)와 면접촉을 통하여 유동하는 증기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163b˝)의 어느 하나는 상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하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63b˝)는 상기 덕트(172)의 전체 면과 접촉하도록 결합한다. 상측 결합부(163b˝)의 일측에는 걸림돌기(163c)가 형성된다. 하측 결합부(163b˝)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돌기(163c)와 결합하는 걸림돌기 홈(163d)이 형성된다. 상기 상측 결합부(163b˝)와 하측 결합부(163b˝)는 서로 분리가 가능하다. 조립자는 상기 결합부(163b˝)의 상측을 분리시켜 상기 상측과 하측의 사이에 형성된 홀에 상기 덕트(172)를 결합한다.
상기 덕트(172)를 결합한 후 상기 걸림돌기(163c)를 상기 걸림돌기 홀(163d)에 끼워 맞춘다. 상기 덕트(172)가 상기 결합부(163b˝)의 상측과 하측에 완전하게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합부(163b˝)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것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16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덕트(172)를 케이블 타이 등으로 체결하는 것보다 체결력이 향상된다. 상기 고정부재(183)을 후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자는 용이하고 신손하게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62)가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가짐으로 상기 세탁 기(100)의 고장시 상기 케이블 타이 등을 절단하지 않고 편리하게 착탈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세탁기(100)는 수리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수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제통의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조립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체결구의 변경예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체결구의 다른 변경예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세탁기 150 : 배수장치
110 : 케이스 151 : 배수밸로우즈
111 : 케이스 본체 152 : 배수펌프
112 : 케이스 커버 160 : 세제공급장치
113 : 도어 161 : 세제보관박스
114 : 포 출입홀 162 : 세제통
115 : 컨트롤패널 163,163´,163˝ : 고정부재
116 : 탑 플레이트 163a: 고정부재의 지지부
120 : 터브 163b,163b´,163b˝: 고정부재의 결합부
122 : 드럼 163c: 걸림돌기
130 : 모터 163d: 걸림돌기 홈
140 : 급수장치 170 : 증기발생기
141 : 급수호스 171 : 증기발생장치
142 : 급수밸브 181 : 덕트
143 : 급수밸로우즈

Claims (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세제통;
    상기 세제통에 일체로 형성되며, 증기발생기에서 생성된 수증기가 유동하는 덕트를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세제통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덕트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세척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세제통 측면에 형성된 세척기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후크형상을 가지는 세척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탄성적으로 상기 덕트를 고정하는 세척기기.
KR1020070089096A 2007-09-03 2007-09-03 세척기기 KR101436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096A KR101436508B1 (ko) 2007-09-03 2007-09-03 세척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096A KR101436508B1 (ko) 2007-09-03 2007-09-03 세척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951A KR20090023951A (ko) 2009-03-06
KR101436508B1 true KR101436508B1 (ko) 2014-09-01

Family

ID=4069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096A KR101436508B1 (ko) 2007-09-03 2007-09-03 세척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676B1 (ko) * 2010-04-28 201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이드부재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CN103857879B (zh) 2011-10-04 2016-08-24 磪焃善 轴流式涡轮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817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KR20070074862A (ko) * 2006-01-10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0817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KR20070074862A (ko) * 2006-01-10 2007-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951A (ko) 200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5325B2 (en)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US10472758B2 (e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US10428452B2 (en)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US10260190B2 (en)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US10301758B2 (e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US10570555B2 (e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US10174451B2 (en) Wall-mounted drum-type washing machine
US20050172678A1 (en) Pedestal assembly of washing machine
KR102165604B1 (ko) 세탁기
KR101436508B1 (ko) 세척기기
KR102557404B1 (ko) 세탁기
KR20060098841A (ko) 세탁기의 배수호스 홀더
KR20150039480A (ko) 드럼 세탁기
JP7017883B2 (ja) 洗濯乾燥機
KR100872788B1 (ko) 드럼세탁기
KR20030056074A (ko) 세탁기의 세제박스 하우징 구조
KR20130026355A (ko) 세탁기
KR20050121981A (ko) 세탁기 배수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