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996B1 -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 - Google Patents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996B1
KR101435996B1 KR1020120132539A KR20120132539A KR101435996B1 KR 101435996 B1 KR101435996 B1 KR 101435996B1 KR 1020120132539 A KR1020120132539 A KR 1020120132539A KR 20120132539 A KR20120132539 A KR 20120132539A KR 101435996 B1 KR101435996 B1 KR 101435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afety cap
cap
safe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248A (ko
Inventor
임준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탭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탭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탭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13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99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atchet-and-pawl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closure skirt or the tamper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약품, 화학약품, 화장품, 세제류 등과 같이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캡을 어린이들의 힘만으로 쉽게 개봉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부정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내용물의 위변조 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의약품, 화학약품, 화장품 등의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개폐토록 하는 안전캡으로서, 상기 용기(10)는 주입구(11)의 외주연상에 나사(12)가 설치됨과 동시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래칫기어(13)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캡(20)은 용기의 주입구에 나사체결되도록 내경에 너트(22)가 구비됨과 동시에 끝단의 내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경사진 스톱퍼(2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23)가 위치되는 외주연상에는 이의 사출성형을 위한 몰드공(24)이 상향으로 오픈되게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A Safety Cap of Preventing Illegal Usage}
본 발명은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약품, 화학약품, 화장품, 세제류 등과 같이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캡을 어린이들의 힘만으로 쉽게 개봉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부정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내용물의 위변조 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에 관한 것이다.
액체 상태의 각종 내용물을 수용토록 하는 용기들은 필연적으로 캡에 의해 밀봉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고, 특히 의약품이나 화학약품, 화장품, 세제류 등 어린이들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액체용기일 경우에는 용기의 캡을 어린이들이 쉽게 개방할 수 없도록 견고한 체결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최초 생산시 액체용기내에 내용물을 충진시킨 상태에서 한번 체결된 캡은 어린이의 작은 힘만으로는 절대 열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액체용기의 캡을 어린이들이 쉽게 열지 못하도록 안전캡으로 형성한 것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예를 들어 종래에 제안된 안전캡을 살펴보면, 이는 등록특허 제10-740876호를 들수 있는데, 내부캡을 외부캡과 결합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되, 내부캡의 외주면 상,하부와 외부캡의 내주면 상,하부에 각각 상,하측 돌기를 통해 체결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제작하여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여 제품의 제작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내부캡의 상면 중앙과 외부캡의 하면 중앙에도 일정한 힘에 의해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기어형태의 원형 돌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내,외부캡의 상부에 형성된 상측 돌기가 망실되더라도 보조 체결수단인 원형 돌기를 통해 안전캡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용기의 주입구상에 내,외부캡으로 이루어지는 캡을 설치한 구성임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가 쉽게 개방하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이나 그 구조적인 특성상 내,외부캡을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제조하여야 함에 따라 제조가 어렵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종래 특허등록 제10-2012-50813호를 들수 있는데, 이는 안전캡을 내,외캡의 이중구조로 형성하면서도 외캡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에 외캡의 걸림돌기가 내캡의 돌출편과 맞닿으며 외캡과 내캡이 함께 회전되도록 구조를 설계한 것이므로 폐쇄가 용이하고, 생산과정에서 자동캡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 역시 안전캡을 내,외캡의 이중구조로 형성한 것임으로써 그 구조적인 특성상 제조가 쉽지않고 양산의 어려움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불량품도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어린이들이 쉽게 개봉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캡외에도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안전캡도 제안되어 주로 의약품이나 또는 화학약품을 수용하는 액체용기에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제품을 구입한 후, 최초 충진된 내용물을 위조 내지는 변조함으로써 공급자에게 억울한 타격을 입히도록 하기 위한 등 여러 가지 부정한 목적으로서 안전캡을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캡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도 종래에 다수 제안되어 널리 적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구조들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거나 제조단가가 지나치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캡을 개방시 별도의 해제수단을 제거하여야만 함으로써 실제로 사용시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주로 공급자가 공급하는 최초의 상태에서 부정의 목적으로 캡을 개방하여 사용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면서도 어린이나 노약자의 약한 힘만으로는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하는 용기의 안전캡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초 공급자의 의도와 달리 캡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용기를 개방하였을 경우에는 캡의 고정편이 파괴되어 완전히 식별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부정의 목적으로 사용한 사실을 쉽게 알수 있도록 하는 용기의 안전캡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기의 주입구상에 내용물을 강제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에어리스 펌프가 설치되는 형태의 용기에 매우 적합하도록 하는 용기의 안전캡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선된 형태의 안전캡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주로 용기의 주입구상에 내용물을 강제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에어리스 펌프가 설치되는 형태의 용기에 매우 적합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 용기의 안전캡은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상기 용기 주입구를 밀폐토록 설치되면서도 나사결합 방식과 동시에 래치기어 방식에 의한 결속의 이중구조로 결합되는 밀폐캡; 상기 밀폐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누름작동에 의해 용기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펌핑토록 하는 에어리스 토출펌프;를 갖추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밀폐캡을 용기의 개구부에 체결시 나사방식과 동시에 래치기어 방식에 의해 이중으로 결속되어 밀폐력 및 결속력을 향상시키게 되면서도 어린이나 노약자와 같이 약한 힘만으로는 역방향으로 돌리더라도 개방되지 않아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이며, 또한 부정사용의 목적으로 용기를 개방하고자 상기 결속력보다 더 강한 힘을 가할 경우에는 래치기어의 스톱편이 파괴되어 용기를 개방하였다는 것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의약품 및 화학품, 화장품, 세제류 등 주로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개구부를 안전캡으로서 밀폐토록 구성하되, 안전캡을 나사결합 방식과 동시에 래치기어 방식에 의한 이중구조로 결속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결속력 및 밀폐력을 월등히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안전캡은 어린이나 노약자 등의 약한 힘만으로는 용기를 개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고, 더 나아가 부정한 목적을 사용하기 위하여 강한 힘을 가해 개방할 경우에는 래키기어의 스톱퍼가 파괴됨으로써 용기가 개방된 상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안전캡의 제조시 한 번의 사출공정에 의해 제조가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생산성의 증대로 제작 단가의 현저한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기에 안전캡이 긴밀히 체결되는 결속수단의 구성이 안전캡이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안전캡의 외형에 따른 디자인은 임의대로 성형할 수 있게 되어 여러 가지 다양한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안전캡상에 별도의 에어리스 펌프를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이의 에어리스 펌프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편리하고도 용이하게 토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약품용기를 보인 일실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1의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도1의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용기와 안전캡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용기의 평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안전캡의 평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안전캡의 저면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용기에 안전캡이 체결되는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도 10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4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약품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일실시예로 나타내고 있고, 도5 내지 도8에서는 본 발명 용기에 안전캡이 체결되는 이들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도9 이하에서는 본 발명 체결상태에 따른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약품용기는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에 체결되어 밀폐토록 하는 안전캡(20)과, 상기 안전캡(20)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용기(10)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강제 펌핑토록 하는 에어리스 펌프(3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개구부(11)의 외주연에는 안전캡(20)이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산(12)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의 하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래칫기어(13)가 외향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래칫기어(13)는 도면에서도 보듯이 시계방향을 따라 완만한 경사면을 가지면서 반대측은 이보다 급격한 경사면을 갖도룩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래칫 형태의 스톱퍼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은 허용하면서도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1)에 체결되는 안전캡(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지는 다단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에어리스 펌프(30)가 설치되는 체결관(21)이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 하부에는 용기(10)의 개구부(11)와 나사결합되는 너트(2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안전캡(20)의 하단 내주면에는 다수 개의 래칫 형태의 스톱퍼(23)가 경사지게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의 상면에는 스톱퍼(23)를 사출성형시 성형이 가능하도록 몰드가 슬라이드식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몰드공(24)이 단턱의 상부를 향해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23)는 래칫기어(13)에 결합되는 걸림쇠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주면을 따라 3개가 설치되며, 내측을 향해 약간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합성수지가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게 된다.
즉, 안전캡(20)의 내주면과 일측만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로 사출성형됨에 따라 이를 지지점으로 탄성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안전캡(20)을 용기(10)에 나사결합시 래칫기어(13)에 걸려져 안전캡(20)이 역방향으로 열려지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몰드공(24)은 안전캡(20)을 사출성형시 스톱퍼(23)를 성형하기 위한 해당 몰드가 출입되는 구멍으로서, 스톱퍼(23)는 작은 편으로 형성되면서도 그 내측단이 안전캡의 몸체와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져야만 최대한의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톱퍼(23)는 안전캡(20)의 몸체와 연결되는 연결부분을 지지점으로 충분한 탄성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안전캡(20)을 용기(10)에 나사 결합시 원활한 결합력을 제공하면서도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캡(20)에 설치되는 에어리스 펌프(30)는 안전캡(20)의 상부에서 이를 감싸는식으로 체결되면서 하우징(31)과, 안전캡(2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압축실린더(32)를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1)은 외주연상에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누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누름판(31a)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의 중심부에는 하부와 연통되어 내용물을 최종적으로 토출시키도록 하는 노즐(31b)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31)의 내측 하부에는 노즐(31b)과 연결되는 안내관(33) 및 이 안내관(33)의 하부에 역시 수직으로 작동관(34)이 나란히 서로 연통되게 설치되고, 작동관(34에는 밸브(35) 및 개폐관(36)이 스프링(37)에 의해 탄력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작동관(34)과 밸브(35), 개폐관(36), 스프링(37)은 압축실린더(32)내의 압축실(32a)내에 위치하게 되고, 작동관(34)은 승강작동에 의해 압축실(32a)을 압축 및 팽창시키도록 하는 피스톤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작동관(34)의 작동에 의한 밸브(35) 및 개폐관(36)의 승강작동에 따라 압축실(32a)내에 충진되는 내용물을 압축하여 밸브(35)와 작동관(34)의 내경 사이를 통해 안내관(33)을 거쳐 노즐(31b)로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리스 펌프(30)는 통상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안전캡(20)상에 내용물을 강제적으로 토출시키는 수단으로 설치되는 것임에 따라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은 다른 구조를 갖추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용기(10)의 내부에 개구부(11)를 통하여 필요로 하는 내용물을 충진시킨 후, 안전캡(20)을 닫아서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안전캡(20)에는 에어리스 펌프(30)가 일체형으로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즉 안전캡(20)의 중심에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관(21)을 통하여 상부에는 하우징(31)과 하부에는 압축실린더(32)를 각각 조립하면서, 이들의 사이에는 안전관(33), 작동관(34), 밸브(35), 개폐관(36), 스프링(37)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에어리스 펌프(30)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리스 펌프(30)는 이미 공지된 에어리스 펌프로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관련부품들을 상향으로 밀어올리게 됨으로써 작동관(34)의 통로를 완전히 폐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공기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용기(10)내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에어리스 펌프(30)가 조립된 안전캡(20)을 용기(10)의 개구부(11)에 체결하게 되면, 즉 나사식으로 돌려서 체결하게 되면, 안전캡(20)의 내경에 형성된 너트(22)가 용기(10)의 개구부(11) 외주연상에 형성된 나사(12)와 1차적으로 나사결합된다.
이와 동시에 안전캡(20)이 상기와 같이 나사결합되면, 그 하단의 내경에 다수 개가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 스톱퍼(23)들이 용기(10)의 개구부(11) 외경에 형성된 래칫기어(13)을 따라 회동됨으로써 2차적으로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스톱퍼(23)는 안전캡(20)이 시계방향으로 진행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안전캡(20)의 회전작동시 합성수지 재질이 가지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래칫기어(13)들을 타고 넘으면서 회전은 허용하는데 반하여, 역회전은 허용하지 않게된다.
즉, 상기와 같은 작동원리는 래칫구동 방식에 의해 안전캡(20)의 스톱퍼(23)들이 용기(10)의 래칫기어(13)과 맞물려 회전은 허용하면서도 역회전은 허용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안전캡(20)을 용기(10)에 완전히 조여주게 되면, 나사결합방식과 더불어 래칫구동방식에 의해 이중으로 결속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용기(10)로 부터 안전캡(20)은 견고하고도 긴밀히 체결되어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정한 목적으로 안전캡을 열고자 하거나 또는 어린이들이 안전캡을 열고자 한다 하더라도 이중의 결속력에 의해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쉽게 열리지 않게 되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어린이들이 작은 힘만으로는 절대 열리지 않음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구조는 의약품이나 화학약품을 수용하는 용기에 적용함으로써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만약 상기와 같은 이중의 결속력을 능가하는 힘을 가하여 안전캡(20)을 열게 된다면, 안전캡(20)의 내경에 형성된 스톱퍼(23)들이 용기(10)의 래칫기어(13)에 이맞물림되어 있음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파괴됨으로써 안전캡(20)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된다.
즉, 누군가 부정한 목적으로 용기내의 내용물에 첨가물을 넣거나 위변조시키기 위하여 안전캡(20)을 무리하게 개방하였을 경우에는 안전캡(20)의 스톱퍼(23)가 무조건 파괴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용기로부터 캡이 분리된 것을 쉽게 알 수가 있음으로써 용기내에 저장된 내용물의 위변조 여부를 누구나 식별할 수가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10:용기 11:개구부
12:나사 13:래칫기어
20:안전캡 21:체결관
22:너트 23:스톱퍼
30:에어리스 펌프 31:하우징
31a:누름판 31b:노즐
32:압축실린더 32a:압축실
33:안내관 34:작동관
35:밸브 36:개폐관
37:스프링

Claims (2)

  1. 액체상태의 각종 내용물을 수용하면서도 주입구의 외주연상에 나사가 설치됨과 동시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래칫기어가 형성되는 용기와, 용기의 주입구에 나사체결되는 안전캡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심부에는 에어리스 펌프(30)가 체결되는 체결관(21)이 형성되고, 내경에는 용기(10) 주입구(11)의 나사(12)와 나사체결되도록 너트(22)가 구비됨과 동시에, 끝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용기(10) 주입구(11)의 래칫기어(13)와 이맞물림되는 다수 개의 경사진 스톱퍼(2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23)가 위치되는 외주연상에는 스톱퍼(23)의 사출성형을 위한 몰드공(24)이 상향으로 오픈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
  2. 삭제
KR1020120132539A 2012-11-21 2012-11-21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 KR10143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539A KR101435996B1 (ko) 2012-11-21 2012-11-21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539A KR101435996B1 (ko) 2012-11-21 2012-11-21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248A KR20140065248A (ko) 2014-05-29
KR101435996B1 true KR101435996B1 (ko) 2014-09-02

Family

ID=50892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539A KR101435996B1 (ko) 2012-11-21 2012-11-21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9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366B1 (ko) * 2020-03-20 2020-09-01 주식회사 창신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20200116677A (ko) * 2019-04-02 2020-10-13 김성용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8623A (ko) 2021-12-10 2023-06-2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열방성 액정 폴리머 섬유로 보강된 저유전상수 인쇄회로기판(pcb)용 프리프레그 및 해당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성형판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103U (ko) * 1997-02-28 1998-10-26 서문기철 용기 마개의 열림방지 구조
KR19990012295U (ko) * 1997-09-06 1999-04-06 서문기철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363554Y1 (ko) * 2004-06-22 2004-10-06 허무춘 용기마개 구조체
KR200410361Y1 (ko) 2005-12-16 2006-03-08 임효빈 안전 마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103U (ko) * 1997-02-28 1998-10-26 서문기철 용기 마개의 열림방지 구조
KR19990012295U (ko) * 1997-09-06 1999-04-06 서문기철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363554Y1 (ko) * 2004-06-22 2004-10-06 허무춘 용기마개 구조체
KR200410361Y1 (ko) 2005-12-16 2006-03-08 임효빈 안전 마개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677A (ko) * 2019-04-02 2020-10-13 김성용 화장품 용기
KR102216090B1 (ko) 2019-04-02 2021-02-17 김성용 화장품 용기
KR102150366B1 (ko) * 2020-03-20 2020-09-01 주식회사 창신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248A (ko)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2526B (zh) 用于儿童防启闭合件的外盖、儿童防启闭合件、具有此种闭合件的容器和其用途
CN1882481B (zh) 具有药丸分配插入物的容器
CA2307046C (en) Bayonet-type finish for a container
KR100561958B1 (ko) 일체형 자동밀봉 밸브를 구비한 디스펜싱 클로우져
KR20045965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
US6973945B2 (en) Vacuum bottle cap
KR102141247B1 (ko) 디스펜서 캡 장치
KR101435996B1 (ko) 용기의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캡
CN103648923A (zh) 具有用于将添加剂引入到容器的内含物中的机构的容器封闭装置
CN107735335B (zh) 显窃启封闭件
KR20100099660A (ko) 용기 마개
KR200449631Y1 (ko) 수동식 드롭퍼
CN109475888A (zh) 泵分配器
FR2918041A1 (fr) Dispositif de fermeture a securite enfant,a vis et a bague temoin de premiere ouverture
JP6514297B2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KR20120124958A (ko) 정,역방향 체크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EP2090419B1 (en) Sealing apparatus
KR101847272B1 (ko) 정량 배출 및 안전사고 방지용 용기뚜껑
JP5961968B2 (ja) 二重キャップ付き口栓およびパウチ
CN113853342B (zh) 用于容器的封闭盖
KR200480820Y1 (ko) 밀봉작업의 불량률을 최소화한 액체저장용기
KR20090009785U (ko) 펌프를 가지는 튜브형 이중화장품용기
US8613378B2 (en) Axially stationary plug with one-way rotation
CN110027793A (zh) 一种防盗容器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