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753B1 -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 Google Patents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753B1
KR101435753B1 KR1020130068982A KR20130068982A KR101435753B1 KR 101435753 B1 KR101435753 B1 KR 101435753B1 KR 1020130068982 A KR1020130068982 A KR 1020130068982A KR 20130068982 A KR20130068982 A KR 20130068982A KR 101435753 B1 KR101435753 B1 KR 101435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andle
gear
moving gear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찬
Original Assignee
이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찬 filed Critical 이승찬
Priority to KR102013006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7/00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 A45B7/005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crank-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의 상단에 마련되는 브라켓; 브라켓에 회전이 억제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손잡이가 몸체로부터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손잡이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슬라이딩결합부가 마련되는 고정축; 고정축의 외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손잡이의 내측에 고정되고, 제 1 치가 다수로 형성되는 고정기어; 고정축의 슬라이딩결합부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기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고정기어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제 1 치에 결합되는 제 2 치가 다수로 형성되는 이동기어; 이동기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 2 치가 제 1 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 1 복귀스프링; 손잡이에 끝단이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레버; 푸시레버의 다른 끝단에 힌지 결합되고, 푸시레버의 누름에 의해 이동기어가 고정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가압하는 래치; 및 래치가 이동기어의 가압력을 해제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의 형태를 I자와 T자, 그 밖의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 환경이나 사용 용도에 따라 적합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며, 손잡이의 형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각도를 변경한 손잡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MULTI-STICK FOR ADJUSTING ANGLE OF HANDLE}
본 발명은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의 형태를 I자와 T자, 그 밖의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변경시키기 위한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틱은 산악 보행시 또는 노약자가 보행을 위하여 사용하는 지팡이로서, 자신의 체중과 짐의 무게를 분산시켜서 체력 소모를 줄이고, 이동 속도를 높이도록 할 뿐만 아니라, 허리와 무릎 등의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부상이나 통증을 감소시키며, 특히, 산행시에는 지면이 미끄럽거나 보행에 험난한 지형의 경우 보행자의 균형을 쉽게 유지하도록 하면서 안전한 보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스틱은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경량성과 강도 등이 우수한 알루미늄, 카본파이버, 두랄루민 등의 소재로 제작되며, 최근에는 우수한 물성을 가진 티타늄이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스틱은 일정한 길이로 고정된 제품이 있는 반면, 사용자의 신장에 알맞도록 조절하기 위하여 3단 또는 4단의 조인트를 가짐으로써 조인트를 돌려서 풀거나 조여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손잡이의 형태에 따라 I자와 T자로 분류되고 있다.
종래의 스틱에서 I자의 경우는 일반적인 산행이나 장거리 산행 등에서의 효율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T자의 경우는 워킹용이나 근거리 산행 또는 지팡이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틱은 손잡이의 형태가 I자와 T자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 환경이나 사용 용도가 변경될 경우 I자와 T자를 서로 전환시켜서 사용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효용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194306호의 "원버튼 방식의 멀티 스틱"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본 출원인이 발명하여 제안한 특허로서, 몸체의 상단에 마련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수평되게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에 I자 또는 T자로 배열되도록 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치가 형성되는 회전기어; 상기 고정축에 고정되고, 가장자리에 다수의 치가 형성되는 고정기어; 상기 회전기어의 치와 상기 고정기어의 치에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손잡이의 회전 여부를 결정하는 걸림쇠; 상기 걸림쇠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로부터 끝단이 돌출되고, 상기 끝단의 누름에 의해 상기 걸림쇠가 상기 회전기어와 상기 고정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푸시레버; 및 상기 걸림쇠가 상기 회전기어의 치와 상기 고정기어의 치에 걸리도록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멀티 스틱은 손잡이의 형태를 I자와 T자, 그 밖의 다양한 각도로 변경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 환경이나 사용 용도에 따라 적합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여 스틱의 효용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이러한 멀티 스틱에서 손잡이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의 신뢰성을 보다 높이도록 하고, 각도를 변경한 손잡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잡이의 형태를 I자와 T자, 그 밖의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 환경이나 사용 용도에 따라 적합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여 스틱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서, 손잡이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각도를 변경한 손잡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부재로 이루어진 몸체의 상단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스틱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에 마련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이 억제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로부터 I자 또는 T자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슬라이딩결합부가 마련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고정되고, 제 1 치가 다수로 형성되는 고정기어; 상기 고정축의 슬라이딩결합부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기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상기 고정기어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 1 치에 결합되는 제 2 치가 다수로 형성되는 이동기어; 상기 이동기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2 치가 상기 제 1 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 1 복귀스프링; 상기 손잡이에 끝단이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레버; 상기 푸시레버의 다른 끝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푸시레버의 누름에 의해 상기 이동기어가 상기 고정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가압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가 상기 이동기어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축은, 상기 몸체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상기 브라켓에 양쪽 끝단이 각각 고정되는 다각형 단면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내측으로 인접하여 상기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형 단면의 회전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결합부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결합부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은, 상기 회전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가 분할되고, 상기 회전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에 각각 형성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도록 중공부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손잡이에 수평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기어가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푸시레버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이 측부에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에 커버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튜브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에 커버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브라켓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복귀스프링은, 상기 래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고정튜브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어는, 상기 고정축이 유격을 가지도록 삽입되는 삽입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 1 치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어는,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홀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 2 치가 다수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래치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기어는, 상기 걸림부가 플랜지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는, 상기 제 2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기어의 외측면에 지지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레버의 누름에 의해 회동시 상기 이동기어가 상기 고정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걸림부를 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복귀스프링은, 상기 고정기어와 상기 이동기어에 끝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기어와 상기 이동기어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에 의하면, 손잡이의 형태를 I자와 T자, 그 밖의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 환경이나 사용 용도에 따라 적합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여 스틱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서, 손잡이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각도를 변경한 손잡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에서 손잡이가 I자 형태로 전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에서 손잡이가 T자 형태로 전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의 요부에 대한 잠금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의 요부에 대한 잠금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의 요부에 대한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의 요부에 대한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해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에서 손잡이가 I자 형태 및 T자 형태로 각각 전환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100)은 길이부재로 이루어진 몸체(110)의 상단에 각도 전환이 가능한 손잡이(120)가 마련되고, 푸시레버(180)의 누름에 의해 손잡이(120)의 각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잠금이 해제되고, 푸시레버(180)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손잡이(120)의 각도 변경이 억제되도록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100)은 크게, 브라켓(130), 고정축(140), 고정기어(150), 이동기어(160), 제 1 복귀스프링(170), 푸시레버(180), 래치(190) 및 제 2 복귀스프링(210)을 포함한다.
브라켓(130)은 몸체(110)의 상단에 마련되고, 예컨대 몸체(110)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수직되게 한 쌍으로 마련됨으로써 서로의 사이에 손잡이(12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30)은 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몸체(11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볼트 등과 같은 나사결합부(131)가 하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몸체(110)로부터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브라켓(130)과 손잡이(120)의 일측에는 보호커버(230)가 설치될 수 있고,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되는 탄성편(미도시)이 손잡이(120) 하단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걸리도록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편(미도시)이 손잡이(120) 하단의 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버튼(132)이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커버(230)는 브라켓(130)과 손잡이(120) 사이의 갭을 차단하도록 하고, 브라켓(130) 또는 손잡이(1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거나 이들 모두에 고정될 수 있는데, 손잡이(120)가 몸체(110)로부터 회전시 일측, 예컨대 상부가 힌지축에 의해 접히도록 폴딩부(231)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110)는 스틱으로서의 역할을 위하여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하단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팁이 결합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카본파이버, 두랄루민, 티타늄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길이 조절이 안되도록 고정된 길이를 가지거나, 3단 또는 4단의 조인트를 가짐으로써 조인트의 회전 조작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140)은 브라켓(130)에 회전이 억제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손잡이(120)가 몸체(110)로부터 I자 또는 T자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손잡이(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슬라이딩결합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결합부(141)는 중심을 이루는 축으로부터 외측면까지 거리가 상이한 단면, 예컨대 타원형, 다각형, 요철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고정축(140)은 몸체(110; 도 1 및 도 2에 도시)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브라켓(130)에 양쪽 끝단이 각각 고정되는 다각형 단면의 고정부(142)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142)에 내측으로 인접하여 손잡이(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형 단면의 회전결합부(1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결합부(143) 사이에 슬라이딩결합부(141)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42)는 그 단면 형상과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도록 브라켓(130)에 형성되는 고정홀(133)에 고정됨으로서 브라켓(130)으로부터 고정축(14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손잡이(120)는 회전결합부(143)와의 결합을 위하여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축(140)은 조립성을 높이기 위하여, 분할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처럼 회전결합부(143)와 슬라이딩결합부(141)가 분할될 수 있는데, 이들이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기 위하여, 회전결합부(143)와 슬라이딩결합부(141)에 각각 형성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결합돌기(145)와 결합홈(144)에 의해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위치를 다수로 분할하여 여러 가지의 결합방식에 의해 일렬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기어(150)는 고정축(140)의 외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손잡이(120)의 내측에 고정되고, 제 1 치(151)가 다수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기어(150)는 고정축(140)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축(140)이 유격을 가지도록 삽입되는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홀의 내주면을 따라 제 1 치(151)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기어(160)는 고정축(140)의 슬라이딩결합부(141)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기어(15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고정기어(150)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제 1 치(151)에 결합되는 제 2 치(161)가 다수로 형성된다. 또한 이동기어(160)는 슬라이딩결합부(141)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위한 슬라이딩홀(162)이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기어(150)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미도시)의 외주면을 따라 제 2 치(161)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래치(190)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163)가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홀(162)은 이동기어(160)가 고정축(140)으로부터 회전하지 못하도록 슬라이딩결합부(141)의 단면 형상과 상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부(163)는 일례로 플랜지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복귀스프링(170)은 이동기어(16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 2 치(161)가 제 1 치(151)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고정기어(150)와 이동기어(160)에 끝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고정기어(150)와 이동기어(160)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설치되거나, 이와 달리, 이동기어(160)에 고정되어 끝단이 손잡이(120)의 내측면이나 후술하게 될 고정튜브(22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푸시레버(180)는 손잡이(120)에 끝단이 돌출되도록 손잡이(12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손잡이(120)는 푸시레버(180)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홀이나 홈 또는 돌기 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가이드부가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래치(190)는 푸시레버(180)의 다른 끝단에 힌지축(181)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푸시레버(180)의 누름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기어(160)가 고정기어(150)로부터 분리되도록 가압한다.
래치(190)는 푸시레버(180)의 누름에 의해 힌지축(181)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하여, 예컨대 손잡이(120) 내측이나 후술하게 될 고정튜브(220)의 내측에 축이나 돌기 또는 홈 등의 회동가이드부에 의해 회동하도록 가이드되거나, 링크 구조를 가지도록 이동기어(160)에 힌지 결합되거나, 고정기어(150)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이동기어(160)측으로 이동하여 걸림부(163)를 측방향으로 가압하거나, 본 실시예에서처럼 이동기어(160)에 지지되어 회동에 의해 이동기어(160)의 걸림부(163)를 측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회동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기어(160)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치(190)는 제 2 복귀스프링(21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기어(160)의 외측면에 지지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푸시레버(180)의 누름에 의해 회동시 이동기어(160)가 고정기어(150)로부터 분리되도록 걸림부(163)를 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 2 복귀스프링(210)은 래치(190)가 이동기어(160)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즉,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푸시레버(180)를 상태에서 푸시레버(18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복귀스프링(210)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190)가 이동기어(160)에 가하던 힘이 해제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푸시레버(180)도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제 2 복귀스프링(210)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래치(190)의 단부에 고정되어 끝단이 손잡이(120)의 내측면 또는 후술하게 될 고정튜브(22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복귀스프링(210)은 래치(190)에 대한 복귀에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주변 구성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나, 적절한 탄성계수나 길이 등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복귀스프링(210)은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홀이나 고리와 같은 돌기 등에 끝단이 고정될 수 있다.
고정기어(150) 및 이동기어(160) 등의 설치를 위하여, 고정튜브(220)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튜브(220)는 고정축(140)이 관통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재로 이루어져서 손잡이(120)에 수평되게 고정될 수 있고, 고정기어(150)가 내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푸시레버(180)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221)이 측부에 형성될 수 있고, 개방된 일측에 커버(223)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커버(223)는 브라켓(130)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복귀스프링(210)은 래치(190)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일단이 고정튜브(22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튜브(220)는 손잡이(120)에 형성된 홈 또는 홀 또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장착부(121) 내에 설치됨으로써 손잡이(120)의 일부를 이루게 되는데, 고정축(140)의 회전결합부(143)에 결합되기 위한 홀(222)이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홀(222)이 형성되는 일단이 볼트(226)에 의해 손잡이(120) 내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커버(223)를 관통하는 볼트(225)가 다른 일단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구성 부품의 내부 조립 및 교체를 가능하도록 커버(223)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커버(223)에는 고정축(140)의 회전결합부(14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홀(224)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튜브(220)는 내측에 고정기어(150)가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고정기어(150)는 플랜지(152)를 형성하고, 플랜지(152)가 볼트(153)로 고정튜브(22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복귀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기어(160)가 고정기어(150)에 결합되어 제 1 및 제 2 치(151,161)가 서로 결합되면, 브라켓(130), 고정축(140), 이동기어(160), 고정기어(150), 그리고 손잡이(120)가 일체를 이루게 되어 손잡이(120)가 몸체(110)로부터 회전하지 못하도록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0)에 돌출된 푸시레버(180)의 끝단을 눌러서, 래치(190)를 눌러주면, 래치(190)가 힌지축(18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이동기어(160)의 걸림부(163)를 가압하여 이동기어(160)가 고정기어(15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손잡이(120)는 고정기어(150)가 고정축(140)으로부터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손잡이(120)를 도 6에서와 같이,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고, 푸시레버(180)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제 2 복귀스프링(210)에 의해 래치(190)와 푸시레버(180)가 복귀하면서 제 1 복귀스프링(170)에 의해 이동기어(160)와 고정기어(150)가 치(151,161)들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손잡이(120)가 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손잡이(120)의 각도 조절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0)를 몸체(110)에 대하여 I자 또는 T자를 이루도록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치(151,161)간의 결합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미세한 각도 조절까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몸체 120 : 손잡이
121 : 장착부 122 : 홀
130 : 브라켓 131 : 나사결합부
132 : 잠금버튼 133 : 고정홀
140 : 고정축 141 : 슬라이딩결합부
142 : 고정부 143 : 회전결합부
144 : 결합홈 145 : 결합돌기
150 : 고정기어 151 : 제 1 치
152 : 플랜지 153 : 볼트
160 : 이동기어 161 : 제 2 치
162 : 슬라이딩홀 163 : 걸림부
170 : 제 1 복귀스프링 180 : 푸시레버
181 : 힌지축 190 : 래치
210 : 제 2 복귀스프링 220 : 고정튜브
221 : 관통홀 222 : 홀
223 : 커버 224 : 홀
225,226 : 볼트 230 : 보호커버
231 : 폴딩부

Claims (11)

  1. 길이부재로 이루어진 몸체의 상단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스틱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에 마련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이 억제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로부터 I자 또는 T자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슬라이딩결합부가 마련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고정되고, 제 1 치가 다수로 형성되는 고정기어;
    상기 고정축의 슬라이딩결합부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기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상기 고정기어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 1 치에 결합되는 제 2 치가 다수로 형성되는 이동기어;
    상기 이동기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2 치가 상기 제 1 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제 1 복귀스프링;
    상기 손잡이에 끝단이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레버;
    상기 푸시레버의 다른 끝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푸시레버의 누름에 의해 상기 이동기어가 상기 고정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가압하는 래치; 및
    상기 래치가 상기 이동기어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상기 몸체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상기 브라켓에 양쪽 끝단이 각각 고정되는 다각형 단면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내측으로 인접하여 상기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형 단면의 회전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결합부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결합부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상기 회전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가 분할되고, 상기 회전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에 각각 형성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서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도록 중공부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손잡이에 수평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기어가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푸시레버가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이 측부에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에 커버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튜브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에 커버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브라켓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복귀스프링은,
    상기 래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고정튜브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어는,
    상기 고정축이 유격을 가지도록 삽입되는 삽입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 1 치가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어는,
    상기 슬라이딩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홀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 2 치가 다수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래치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어는,
    상기 걸림부가 플랜지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제 2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기어의 외측면에 지지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레버의 누름에 의해 회동시 상기 이동기어가 상기 고정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걸림부를 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귀스프링은,
    상기 고정기어와 상기 이동기어에 끝단이 각각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기어와 상기 이동기어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KR1020130068982A 2013-06-17 2013-06-17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KR101435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982A KR101435753B1 (ko) 2013-06-17 2013-06-17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982A KR101435753B1 (ko) 2013-06-17 2013-06-17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753B1 true KR101435753B1 (ko) 2014-09-17

Family

ID=5175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982A KR101435753B1 (ko) 2013-06-17 2013-06-17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7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687B1 (ko) 2016-06-03 2017-11-08 신광의료기산업(주) 재활운동기구용 핸들구조체
CN109939417A (zh) * 2019-03-06 2019-06-28 吉林大学 一种手部手指神经康复训练装置
KR20190135117A (ko) * 2018-05-28 2019-12-06 정경현 나사빼기금형의 나사빼기코어 조립체
CN111860021A (zh) * 2020-07-29 2020-10-30 广西科技大学 一种数据调用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4328B1 (en) * 1998-11-18 2003-11-11 Klaus Lenhart Stick similar to a ski stick or walking stick
KR20040108123A (ko) * 2003-06-16 2004-12-23 정선희 지팡이용 손잡이의 각도조절장치
KR20120086946A (ko) * 2011-01-27 2012-08-06 이승찬 원버튼 방식의 멀티 스틱
KR101205987B1 (ko) 2011-02-09 2012-11-28 이승찬 투버튼 방식의 멀티 스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4328B1 (en) * 1998-11-18 2003-11-11 Klaus Lenhart Stick similar to a ski stick or walking stick
KR20040108123A (ko) * 2003-06-16 2004-12-23 정선희 지팡이용 손잡이의 각도조절장치
KR20120086946A (ko) * 2011-01-27 2012-08-06 이승찬 원버튼 방식의 멀티 스틱
KR101205987B1 (ko) 2011-02-09 2012-11-28 이승찬 투버튼 방식의 멀티 스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687B1 (ko) 2016-06-03 2017-11-08 신광의료기산업(주) 재활운동기구용 핸들구조체
KR20190135117A (ko) * 2018-05-28 2019-12-06 정경현 나사빼기금형의 나사빼기코어 조립체
KR102073637B1 (ko) * 2018-05-28 2020-02-05 정경현 나사빼기금형의 나사빼기코어 조립체
CN109939417A (zh) * 2019-03-06 2019-06-28 吉林大学 一种手部手指神经康复训练装置
CN109939417B (zh) * 2019-03-06 2020-03-06 吉林大学 一种手部手指神经康复训练装置
CN111860021A (zh) * 2020-07-29 2020-10-30 广西科技大学 一种数据调用设备
CN111860021B (zh) * 2020-07-29 2022-11-29 广西科技大学 一种数据调用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753B1 (ko) 손잡이 각도 조절형 멀티 스틱
RU2662390C2 (ru) Палка регулируемой длины и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акой палки
US6220261B1 (en) Adjustable static umbrella
US10856630B1 (en) Automatic telescopic pole
US8006711B2 (en) Trekking pole clamp and methods
RU2586827C2 (ru) Складная пал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кандинавской ходьбы
CA2795393C (en) Adjustable handle assembly with locking mechanism
EP2215323B1 (en) A telescopic ladder assembly
EP2175942B1 (en) Fixing device of sports stick with variable length
US4121605A (en) Walking cane assembly
EP2168641B1 (de) Stockgriff
US20120256386A1 (en) Three-piece folding scooter
US7007344B2 (en) Safety unit of hinge for folding ladder
AU2005232287A1 (en) Extendable handle for drywall tools
EP1366865B1 (en) Shaft of a tool or the like
JP2010508917A (ja) スキーポールバスケット
US20170113089A1 (en) Rotatable Handle for a Dumbbell Bar
US3757807A (en) Orthopedic device
US9763371B2 (en) Rotatable shovel handle
WO2006074633A1 (de) Stock mit einstellbarer griffigkeit
US20080072943A1 (en) Crutch
EP2213974B1 (en) Structure of shield for personal protection
KR101205987B1 (ko) 투버튼 방식의 멀티 스틱
KR101194306B1 (ko) 원버튼 방식의 멀티 스틱
US9468271B2 (en) Supporting devices that include convertible mech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