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207B1 - Apparatus for Fixing Terminal Clip of Batter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xing Terminal Clip of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207B1
KR101435207B1 KR1020080071706A KR20080071706A KR101435207B1 KR 101435207 B1 KR101435207 B1 KR 101435207B1 KR 1020080071706 A KR1020080071706 A KR 1020080071706A KR 20080071706 A KR20080071706 A KR 20080071706A KR 101435207 B1 KR101435207 B1 KR 101435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clip
battery
clip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0710A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207B1/en
Publication of KR2010001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7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단자의 외주면을 감싸며 밀착 접촉하는 터미널 클립의 일측단부와 연동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재를 결합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결합너트의 체결 및 체결해제를 통해 가이드부재 및 터미널 클립의 일측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오랜 시간 단자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잃은 터미널 클립에 대해서도 별도의 공구 없이 결합너트의 체결 해제만으로 단자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 해제시켜 배터리 교환 및 정비 작업이 용이해지는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terminal clip fixing device, which comprises a guide member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one end of a terminal clip which closely contact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battery terminal and is free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olt, And the one end of the guide member and the terminal clip is moved through the unclamping operation, thereby releasing the terminal clip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by unfastening the coupling nut without any additional tool, A battery terminal clip fixing device is provided which facilitates maintenance work.

배터리, 터미널 클립, 단자, 가이드부재 Battery, terminal clip, terminal, guide member

Description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Terminal Clip of Battery}Apparatus for Fixing Terminal Clip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단자의 외주면을 감싸며 밀착 접촉하는 터미널 클립의 일측단부와 연동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재를 결합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결합너트의 체결 및 체결해제를 통해 가이드부재 및 터미널 클립의 일측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오랜 시간 단자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잃은 터미널 클립에 대해서도 별도의 공구 없이 결합너트의 체결 해제만으로 단자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 해제시켜 배터리 교환 및 정비 작업이 용이해지는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terminal clip faste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ide member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one end of a terminal clip that closely contacts and contact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battery terminal, is free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olt, The battery terminal clip which is detach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by releasing the fastening of the coupling nut without any additional tool for the terminal clip that has lost elasticity a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for a long time by moving one end of the terminal clip To a fixing device.

일반적으로 차량용 배터리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전기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전기를 만들어 내고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차량의 엔진이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충전장치가 작동하여 각부로 전기를 공급하지만 엔진이 정지 또는 저속회전일 때에는 충전장치를 대신하여 시동 시와 마찬가지로 배터리에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Generally, vehicle batteries are devices for operating various electric devices used in a vehicle, and for generating electricity and supplying electricity. Whe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rotating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or more, the charging device operates to supply electricity to each part. However, when the engine is at a stop or low speed rotation,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in place of the charging device.

이러한 배터리는 내부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페이스트로 도포되고 양극판과 음극판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두 극판 사이에 격리판이 설치되며 전해액 충전 후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각각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는 배터리의 외부에 돌출 형성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short circuit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 separator is provided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nd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are respectively installed after the electrolyte is fille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rotrudes outside the battery.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배터리는 안정적인 거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룸 바닥에 설치되는데, 차량용 배터리 주위에는 엔진이나 밋션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변 구성품들과 각종 호스나 케이블 등이 복잡하게 설치된다.The vehicle battery thus constructed is generall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so as to maintain a stable mounting state.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battery, surrounding components used for operating the engine or the transmission and various hoses and cables are installed in a complicated manner .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배터리 터미널 클립의 고정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attery terminal clip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용 배터리(10)는 배터리(10)의 상부면에 양극 및 음극 2개의 단자(11)가 외향 돌출되고, 이러한 단자(11)에는 차량에 사용되는 전기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케이블(40)이 연결된다.1, a general automotive battery 10 has two terminals 11 of an anode and a cathode protruded out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a battery 10, and an electric device used in a vehicle is operated The cable 40 is connected.

케이블(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1)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단자(11)의 외주면에 장착된 터미널 클립(20)을 통해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터미널 클립(20)은 단자(11)의 외주면을 감싸며 외주면에 밀착 접촉되게 결합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일측방향에서 단자(11)의 외주면을 감싸며 양측단부가 한 지점에서 결합되는 방식으로 단자(11)에 결합된다.The cable 40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1 bu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1 through the terminal clip 20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1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terminal clip 20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11 and is tightly contact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clip 20 generally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11 in one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terminal 11 in a combined manner.

따라서, 터미널 클립(20)의 양측단부는 하나의 볼트(31)에 의해 관통되며 볼 트(31)와 너트(32) 사이에 양측단부가 개재되도록 너트(32)를 통해 체결되며, 이에 따라 터미널 클립(20)이 단자(11)의 외주면에 더욱 밀착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너트(32)가 체결 해제되면 터미널 클립(20)이 탄성력에 의해 단자(11)의 외주면으로부터 접촉 해제되며 단자(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Both ends of the terminal clip 20 are inserted through the bolts 31 and fastened through the nuts 32 so that both ends are interposed between the bolts 31 and the nuts 32, The clip 20 is engaged so as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11. When the nut 32 is disengaged, the terminal clip 20 is relea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11 by elastic force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terminal 11. [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는 터미널 클립(20)이 오랜 시간 단자(11)에 결합되어 있어 탄성력을 잃고 소성 변형됨으로써, 터미널 클립(20)에 대한 볼트(31)와 너트(32)의 체결을 해제하더라도 터미널 클립(20)이 탄성 복원되지 않고 따라서 단자(1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배터리(10)의 교환 및 정비시에 터미널 클립(20)을 해제하는 경우 터미널 클립(20)이 단자(11)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 별도의 공구를 통해 단자(11)로부터 터미널 클립(20)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배터리(10)의 교환 및 정비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attery terminal clip fixing device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rminal clip 20 is coupled to the terminal 11 for a long time, the elasticity of the terminal clip 20 is lost and plastic deformed, The terminal clip 20 is not resiliently restored but is not released from the terminal 11 even if the fastening of the terminal clip 32 is released. Therefore, when releasing the terminal clip 20 at the time of replacement and maintenance of the battery 10, the terminal clip 20 is kept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11 and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 11 by a separate tool,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battery 20, so that th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work of the battery 10 is not easy.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배터리 단자의 외주면을 감싸며 밀착 접촉하는 터미널 클립의 일측단부와 연동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재를 결합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결합너트의 체결 및 체결해제를 통해 가이드부재 및 터미널 클립의 일측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오랜 시간 단자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잃은 터미널 클립에 대해서도 별도의 공구 없이 결합너트의 체결 해제만으로 단자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 해제시켜 배터리 교환 및 정비 작업이 용이해지는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pack in which a guide member, which is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one end of a terminal clip which closely contact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battery terminal,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terminal clip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by releasing the fastening of the coupling nut without any additional tool even for the terminal clip which has been connected to the terminal for a long time and has lost the elastic force, by moving the one end of the guide member and the terminal clip,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terminal clip fixing device that facilitates replacement and maintenance work.

본 발명은, 배터리의 상부면에 외향 돌출되는 배터리 단자(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밀착 접촉하도록 형성된 터미널 클립(200); 상기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를 관통하는 결합볼트(310); 상기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가 개재되도록 상기 결합볼트(310)에 체결되는 결합너트(320); 및 상기 결합너트(320)가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며 상기 결합볼트(310) 상에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너트(320)와 동시에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볼트(310)에 삽입 장착되는 가이드부재(330)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재(330)와 연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3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harger comprising: a terminal clip (200) formed to closely contac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battery terminal (110) protruding out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n engaging bolt (310) penetrating both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A coupling nut 320 fastened to the coupling bolt 310 so that both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are interposed; And a guide member 330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lt 310 so as to move simultaneously with the coupling nut 320 as the coupling nut 320 linearly moves on the coupling bolt 310, And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is coupled to the guide member 330 to interlock with the guide member 330.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단자의 외주면을 감싸며 밀착 접촉하는 터미널 클립의 일측단부와 연동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재를 결합볼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결합너트의 체결 및 체결해제를 통해 가이드부재 및 터미널 클립의 일측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오랜 시간 단자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잃은 터미널 클립에 대해서도 별도의 공구 없이 결합너트의 체결 해제만으로 단자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 해제시켜 배터리 교환 및 정비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member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one side end of a terminal clip that closely contacts and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battery terminal is free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olt, and through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coupling nut, And the terminal clip is moved at one end to separate the terminal clip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by unfastening the coupling nut without a separate tool even if the terminal clip has lost its elasticity by being connected to the terminal for a long time. have.

본 발명은, 배터리의 상부면에 외향 돌출되는 배터리 단자(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밀착 접촉하도록 형성된 터미널 클립(200); 상기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를 관통하는 결합볼트(310); 상기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가 개재되도록 상기 결합볼트(310)에 체결되는 결합너트(320); 및 상기 결합너트(320)가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며 상기 결합볼트(310) 상에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너트(320)와 동시에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볼트(310)에 삽입 장착되는 가이드부재(330)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재(330)와 연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3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harger comprising: a terminal clip (200) formed to closely contac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battery terminal (110) protruding out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n engaging bolt (310) penetrating both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A coupling nut 320 fastened to the coupling bolt 310 so that both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are interposed; And a guide member 330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lt 310 so as to move simultaneously with the coupling nut 320 as the coupling nut 320 linearly moves on the coupling bolt 310, And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is coupled to the guide member 330 to interlock with the guide member 33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battery terminal clip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terminal clip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briefly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battery terminal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0)의 상부면에 외향 돌출되는 배터리 단자(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밀착 접촉되도록 형성된 터미널 클립(200)과, 이러한 터미널 클립(200)을 단자(11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310) 및 결합너트(320)와, 결합너트(320)의 체결 또는 체결해제에 따라 터미널 클립(200)을 단자(110)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시키도록 결합너트(320)와 동시에 이동하는 가이드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터미널 클립(200)을 통해 케이블(400)이 배터리(100)의 단자(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2, the battery terminal clip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lip 200 formed to closely contac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battery terminal 110 protruding out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a battery 100, A coupling nut 310 and a coupling nut 320 for coupling the terminal clip 200 to the terminal 110 and the terminal clip 200 to the terminal 110 in accordance with the fastening or disengagement of the coupling nut 320. [ And a guide member 330 which cooperates with the coupling nut 320 to couple or disengage the battery 110 to the battery 110. The cable 40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10 of the battery 100 through the terminal clip 200 ).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터미널 클립(200)은 단자(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양측단부가 한 지점에서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는 하나의 결합볼트(310)에 의해 관통되어 결합너트(320)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부재(330)는 결합너트(320)가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며 결합볼트(310) 상에서 직선 이동함에 따라 결합너트(320)와 동시에 이동하도록 결합볼트(310)에 삽입 장착되고,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는 이러한 가이드부재(330)와 연동하도록 가이드부재(3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clip 200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110, and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are coupled and fixed at one point. Both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coupling bolt 310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coupling nut 320 and the coupling nut 320. At this time, the guide member 3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lt 310 so as to move simultaneously with the coupling nut 320 as the coupling nut 320 is fastened or unlocked and moves linearly on the coupling bolt 310,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guide member 33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guide member 330 to interlock with the guide member 330.

즉, 가이드부재(330)는 결합볼트(310)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러한 가이드부재(330)는 결합너트(320)가 회전하며 결합볼트(310)의 길이 방향으로 체결되는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합너트(320)와 함께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가이드부재(330)에는 터미널 클립(200)의 결합 고정된 양측단부 중의 어느 하나가 결합됨으로써, 터미널 클립(200)의 일측단부가 가이드부재(330)와 연동하여 이동하며 터미널 클립(200)이 단자(110)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guide member 3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lt 310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uide member 33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nut 320 is rotated and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olt 310 The guide member 330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move with the coupling nut 320 as the terminal clip 20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guide member 330 and the terminal clip 200 is engaged with or disengaged from the terminal 110. [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는 배터리의 교환 및 정비시에 터미널 클립(200)을 해제하는 경우 오랜 시간 터미널 클립(200)이 단자(11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잃었다고 하더라도, 결합너트(320)를 결합볼트(310)로부터 체결 해제함에 따라 가이드부재(330)가 동시에 체결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가이드부재(330)를 따라 터미널 클립(200)의 일측단부가 동시에 이동하게 됨으로써, 터미널 클립(200)이 단자로부터 해제 이탈되는 구조이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terminal clip 200 is released during battery exchange and maintenance, the battery terminal clip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cts the terminal 110 for a long time, The guide member 33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member 330 is disengaged at the same time as the engaging nut 320 is disengaged from the engaging bolt 310 and also moves along the guide member 330 to one side of the terminal clip 200 The terminal clip is simultaneously moved so that the terminal clip 200 is released from the terminal.

즉, 종래 기술과 달리 별도의 공구 사용없이 결합너트(320)를 해제하는 과정을 통해 서로 결합 고정된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가 서로 이격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터미널 클립(200)을 단자(110)로부터 해제 이탈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In other words, unlike the prior art, the end portions of the terminal clip 200 fixed to each oth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coupling nut 320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11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330)의 구성을 좀 더 살펴보면, 가이드부재(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볼트(310)에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331a)이 형성된 가이드판(331)과, 가이드판(331)의 일측면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로드(332)와, 연결로드(332)의 선단부에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3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너트(320)는 연결로드(332)에 삽입되어 가이드판(331)과 가이드돌기(333)를 통해 위치 구속되어 가이드판(331)과 가이드돌기(333) 사이 구간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3, the guide member 330 has a through hole 331a at the center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lt 310, as shown in FIG. 3, A connecting rod 332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the guide plate 331 and a guide protrusion 332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connecting rod 33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333). At this time, the coupling nut 32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rod 332 and positioned and restrained through the guide plate 331 and the guide protrusion 333,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plate 331 and the guide protrusion 333 It will be possible.

또한, 결합볼트(3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330)의 연결로드(332)가 삽입되어 결합볼트(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311)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3, a guide groove 311 is formed in the coupling bolt 310 to allow the coupling rod 332 of the guide member 330 to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olt 310, .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가이드부재(330)는 가이드판(331)의 관통홀(331a)을 통해 결합볼트(310)와 결합되고 연결로드(332)가 결합볼트(310)의 가이드홈(311)에 삽입되어 결합볼트(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너트(320)는 결합너트(320)의 너트홀에 가이드부재(330)의 연결로드(332)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가이드판(331)과 가이드돌기(333) 사이 구간에서 가이드부재(330)와의 상대 위치가 구속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330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bolt 310 through the through hole 331a of the guide plate 331 and the coupling rod 33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11 of the coupling bolt 310 And may be freely movably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olt 310. At this time, the coupling nut 3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ion rod 332 of the guide member 330 is inserted into the nut hole of the coupling nut 320, and the guide member 331 and the guide protrusion 333, 330 are constrained relative to each other.

따라서, 결합너트(320)가 회전하여 결합볼트(310)로부터 체결 해제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 가이드부재(330) 또한 가이드돌기(333)를 통해 결합너트(320)와 함께 결합볼트(310)로부터 체결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가이드부재(330)와 동시에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며 터미널 클립(200)이 단자(110)로부터 이탈 해제된다.When the coupling nut 320 is rotated and linearly moved in the direction of unlocking the coupling bolt 310, the guide member 330 is also coupled to the coupling bolt 310 together with the coupling nut 320 through the guide protrusion 333, The terminal clip 200 is moved away from the terminal 110. At this time, at the same time as the guide member 330, any one of both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moves and the terminal clip 200 is released from the terminal 110.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는 가이드부재(330)와 연동하여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는 가이드판(331)과 결합너트(320)의 사이에 삽입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one of the opposite end portions of the terminal clip 200 is configured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guide member 330 at the same time. For this configuration, Any one of the ends may be inserted between the guide plate 331 and the coupling nut 320.

이때, 가이드판(331)과 결합너트(320) 사이에 터미널 클립(200)이 위치하여 결합되면, 결합너트(320)가 체결 해제되며 회전하는 경우 터미널 클립(200)이 결합너트(320)의 회전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여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마찰 방지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너트(320) 사이에는 결합너트(320)와는 별개의 보호플레이트(340)가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terminal clip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plate 331 and the coupling nut 320 and the coupling nut 320 is unlocked and rotated, 3 and 4, there is provided a coupling nut 320 between any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and the coupling nut 320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uch friction, A separate protective plate 340 may be inserted.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너트(320)를 결합볼트(310)에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너트(320)와 가이드부재(330) 사이에 결합된 터미널 클립(200)의 일측단부가 나머지 일측단부 측으로 이동하며 터미널 클립(200)이 단 자(110)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너트(320)를 결합볼트(310)로부터 체결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너트(320)와 가이드부재(330) 사이에 결합된 터미널 클립(200)의 일측단부가 나머지 일측단부 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며 터미널 클립(200)이 단자(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탈 해제되도록 구성된다.4 (a), when the coupling nut 3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fastening the coupling nut 320 to the coupling bolt 310, as shown in FIG. 4 (a) One end of the terminal clip 200 coupled between the nut 320 and the guide member 330 moves to the other end side and the terminal clip 200 is tight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110. 4 (b), when the coupling nut 320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from the coupling bolt 310, the coupling nut 320 and the guide clip 330, The terminal clip 200 moves away from the other end side so that the terminal clip 200 is relea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11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용이하게 터미널 클립(200)을 단자(110)에 결합 및 결합해제할 수 있는 구조이다.Accordingly, the battery terminal clip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terminal clip 200 to and from the terminal 110 without a separate too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배터리 터미널 클립의 고정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attery terminal clip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a battery terminal clip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terminal clip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briefly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battery terminal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배터리 110: 단자100: Battery 110: Terminal

200: 터미널 클립 310: 결합볼트200: terminal clip 310: coupling bolt

320: 결합너트 330: 가이드부재320: engaging nut 330: guide member

340: 보호플레이트 400: 케이블340: protective plate 400: cable

Claims (5)

배터리의 상부면에 외향 돌출되는 배터리 단자(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밀착 접촉하도록 형성된 터미널 클립(200);A terminal clip (20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so as to close and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terminal (110) protruding outward; 상기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를 관통하는 결합볼트(310);An engaging bolt (310) penetrating both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상기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가 개재되도록 상기 결합볼트(310)에 체결되는 결합너트(320); 및A coupling nut 320 fastened to the coupling bolt 310 so that both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are interposed; And 상기 결합너트(320)가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며 상기 결합볼트(310) 상에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결합너트(320)와 동시에 이동하도록 상기 결합볼트(310)에 삽입 장착되는 가이드부재(330)A guide member 330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lt 310 so as to move simultaneously with the coupling nut 320 as the coupling nut 320 is fastened or unclamped and linearly moved on the coupling bolt 310, 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재(330)와 연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3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Wherein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is coupled to the guide member (330) to interlock with the guide member (33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이드부재(330)는The guide member (330) 상기 결합볼트(310)에 삽입되도록 관통홀(331a)이 형성된 가이드판(331);A guide plate 331 having a through-hole 331a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lt 310; 상기 가이드판(331)의 일측면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로드(332); 및A connection rod 332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the guide plate 331; And 상기 연결로드(332)의 선단부에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333)A guide protrusion 333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rod 332,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너트(320)는 상기 연결로드(332)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판(331)과 가이드돌기(333) 사이 구간에서 위치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Wherein the coupling nut (32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rod (332) and is positioned in a position between the guide plate (331) and the guide protrusion (333).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결합볼트(31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연결로드(332)가 삽입되어 상기 결합볼트(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3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Wherein a guide groove (311) is formed in the coupling bolt (310) so that a connecting rod (332) of the guide member (330) is inserted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bolt (310) Clip fixing devic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가이드판(331)과 상기 결합너트(320)의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Wherein one of the opposite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is inserted between the guide plate (331) and the coupling nut (320). 제 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터미널 클립(200)의 양측단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결합너트(320)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플레이트(340)가 삽입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 클립 고정장치.Wherein a separate protection plate (340) is interposed between any one of opposite ends of the terminal clip (200) and the coupling nut (320).
KR1020080071706A 2008-07-23 2008-07-23 Apparatus for Fixing Terminal Clip of Battery KR101435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706A KR101435207B1 (en) 2008-07-23 2008-07-23 Apparatus for Fixing Terminal Clip of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706A KR101435207B1 (en) 2008-07-23 2008-07-23 Apparatus for Fixing Terminal Clip of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10A KR20100010710A (en) 2010-02-02
KR101435207B1 true KR101435207B1 (en) 2014-08-28

Family

ID=4208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706A KR101435207B1 (en) 2008-07-23 2008-07-23 Apparatus for Fixing Terminal Clip of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20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362U (en) * 1993-02-19 1994-09-09 矢崎総業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for battery
KR970047285U (en) * 1995-12-31 1997-07-31 Intermediate port of battery terminal
KR20060064770A (en) * 2004-12-09 2006-06-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Battery terminal attachment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362U (en) * 1993-02-19 1994-09-09 矢崎総業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for battery
KR970047285U (en) * 1995-12-31 1997-07-31 Intermediate port of battery terminal
KR20060064770A (en) * 2004-12-09 2006-06-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Battery terminal attachmen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710A (en)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63612A1 (en) Battery holder, power transfer device, electric vehicl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power transfer device
US8294293B2 (en) High-voltage electrical component unit for vehicles
CN107134583B (en) Fuel cell unit
US20130189549A1 (en) Electric storage apparatus
WO2013103073A1 (en) Connector for cell unit, and cell unit provided with same
US8415047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a portion of a coupling unit free of any screw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JP6808283B2 (en) Batteries
KR101435207B1 (en) Apparatus for Fixing Terminal Clip of Battery
KR101783333B1 (en) Terminal for module
WO2021033920A1 (en) Connector
JP2011009023A (en) Battery pack
US9647470B2 (en) Rechargeable battery system
KR100986436B1 (en) Apparatus for Fixing Terminal Clip of Battery
JP6285003B1 (en) Assembled battery
JP5088445B2 (en) Plug device
CN103730626A (en) Storage battery electrode connecting structure and storage battery electrode connection method
CN210015879U (en) Vehicle storage battery and housing thereof
JP2018101496A (en) Battery pack
CN214313115U (en) Fuse box and battery pack
CN220138608U (en) Battery pack
WO2018117049A1 (en) Battery pack
CN212257706U (en) Cable and electronic equipment
CN220138847U (en) Wire harness terminal structure and vehicle
JP2008047516A (en) Connector for battery discharge countermeasure
JP2018101492A (e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