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154B1 - Power conn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Power connec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5154B1 KR101435154B1 KR1020120133143A KR20120133143A KR101435154B1 KR 101435154 B1 KR101435154 B1 KR 101435154B1 KR 1020120133143 A KR1020120133143 A KR 1020120133143A KR 20120133143 A KR20120133143 A KR 20120133143A KR 101435154 B1 KR101435154 B1 KR 101435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terminal
- receptacle
- lower side
- suppor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는, 콘센트에 구비되는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전기기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플러그 및 콘센트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전원연결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제시한다.In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electric shock by preventing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socket-outle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power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of a power connection device which can easily be cut off and can reduce the thickness of a plug and an outle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원과 전기기기를 연결하는 전원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a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device.
일반적으로, 전원연결장치는, 전기기기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며 2개 또는 3개의 막대형상의 단자가 돌출되는 플러그와, 플러그의 일부가 수용되며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전원과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콘센트로 구성되며, 플러그의 단자가 콘센트의 수용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전원이 콘센트 및 플러그를 통하여 전기기기로 인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Generally, the power connection device has a receptacle in which two or three rod-shaped terminals are connected through an electric device and a cable, and a receptacle in which a part of the plug is received and in whic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terminal of the plug is inserted is formed And a receptacl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hrough a cable, and the terminal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receptacle of the receptacle so that the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electric appliance through the receptacle and the plug.
그러나, 종래의 전원연결장치는, 삽입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wer connection apparatus is disadvantageous in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electric shock may occur because the insertion hole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종래의 전원연결장치는, 전기기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플러그의 단자가 콘센트의 삽입공으로부터 빠지도록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당겨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비교적 큰 힘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Further, in order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apparatus, the conventional power connection apparatus must pull the plug from the outlet so that the user removes the terminal of the plug from the insertion hole of the outlet. In this process, .
또한, 종래의 전원연결장치는, 플러그의 단자가 막대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플러그의 두께가 비교적 크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wer connection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plug is relatively large because the terminal of the plug has a rod shap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센트에 구비되는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전원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전기기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는 전원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easily cutting off a power source applied to an electric device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및 콘센트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전원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plugs and receptacl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폭에 비하여 길이가 크게 형성되며, 하측면에 제1단자가 마련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바닥면에 제2단자가 마련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단자가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폭에 비하여 길이가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가지는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conn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plug having a length larger than a width thereof and having a first terminal at a lower side thereof;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g, And a second terminal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cover an area where the second terminal is disposed. The length of the second terminal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terminal, And an outlet having a cover portion in which an insertion port into which the plug is inserted is formed.
여기에서, 상기 플러그는, 반경방향으로 내입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제1부와, 상기 요홈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하측면에 상기 제1단자가 마련되는 제2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의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제2부가 수용되고, 상기 삽입구와 상기 요홈부는 서로 끼워질 수 있다.Here, the plug includes a recessed portion which is radially inwardly extended and extend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first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recessed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disposed at a low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recessed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plug is accommodated in the receptacle portion of the receptacle, and the insertion port and the recess portion can be fit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plug is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또한, 상기 플러그의 하측면과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상에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plug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ug and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plug.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러그의 하측면에 마련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상에 마련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어느 하나는 원통형상의 돌기이고,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 lower side surface of the plug,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wherein o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comprises a projectio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ed.
한편,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안내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terminal is disposed inside a ring-shaped guide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플러그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콘센트의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terminal is protruded from a lower side of the plug, the lower side is formed in a plane, the second terminal is protruded from a bottom surface of a receiv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and the upper side is formed in a plane .
여기에서, 상기 제1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제2단자의 일측 및 상기 제2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제1단자의 일측은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of the second terminal facing the first terminal and one side of the first terminal facing the second terminal are formed as inclined surfaces.
한편, 상기 수용부의 주변에는,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서로 접촉될 때의 상기 플러그의 회전위치 및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서로 이격될 때의 상기 플러그의 회전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rotation position of the plug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rotation position of the plug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osi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플러그의 측면에는 제1접지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 측면에는 상기 제1접지단자와 대응되는 제2접지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A first ground terminal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plug,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may be provid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상기 플러그에는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ble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plu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상기 플러그에는 전기기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접속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connection terminal of a connection plug connected with an electric device and a cable is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제1단자를 가지는 플러그가 수용되며 제2단자가 마련되는 콘센트의 수용부의 내부에 제2단자가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는 커버부가 배치됨으로써, 커버부에 의하여 제2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ver portion covering an area in which a plug having the first terminal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terminal is disposed inside a receptacle portion of an outlet where a second terminal is provided is disposed, 2 terminal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electric shoc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플러그가 콘센트의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플러그를 회전시키면서, 제1단자가 제2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제1단자와 제2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의 막대형상의 단자를 콘센트의 삽입공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전원을 연결하고 막대형상의 단자를 삽입공으로부터 뽑아내는 방식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종래의 전원연결장치와 비교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전원을 연결하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ower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g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the firs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terminal to each other, or the second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So that the rod-shaped terminal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receptacle, so that the power is disconnected and the rod-shaped terminal is pulled out from the insertion hol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power source or shut off the power source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as compared with the apparatus,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power sou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제1단자의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2단자의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제1단자와 제2단자가 면접촉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의 막대형상의 단자가 콘센트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종래의 전원연결장치와 비교하여, 플러그의 두께 및 콘센트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in a plan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is formed in a plane,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hickness of the plug and the thickness of the socket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ower connection apparatus in which the rod-shaped terminal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socket.
도 1 및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플러그의 측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콘센트와, 콘센트에 플러그가 연결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콘센트와, 콘센트에 플러그가 연결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콘센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플러그에 구비되는 제1단자와 콘센트에 구비되는 제2단자가 접촉되는 동작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플러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1 and 2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ide view of a plug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ocket of a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plug connected to the socket.
Fig. 4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ocket of a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plug connected to the socke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let of th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in which a first terminal provided in a plug and a second terminal provided in a socket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ug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전자기기(미도시)와 제1케이블(1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30)와, 전원(미도시)과 제2케이블(2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4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power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플러그(30)는 폭(W1)에 비하여 길이(L1)가 크게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30)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단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The
플러그(30)의 하측면(321)에는 제1단자(T1)가 마련된다. 제1단자(T1)는 제1케이블(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단자(T1)는 플러그(30)의 하측면(321)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자(T1)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종류가, 2상교류인 경우에 2개의 제1단자(T1)가 마련될 수 있으며, 3상교류인 경우에는 3개의 제1단자(T1)가 마련될 수 있다.A first terminal T1 is provided on the
또한, 전원의 연결 시 접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플러그(30)의 측면에는 접지를 위한 제1접지단자(T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지단자(T3)는 플러그(3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grounding is required when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 first ground terminal T3 for grounding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플러그(30)의 상하방향으로의 대략 중간이 부위에는 플러그(30)의 반경방향으로 내입되며 플러그(3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부(33)가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30)는, 요홈부(33)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제1부(31)와, 요홈부(33)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2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부(31)에는 제1케이블(10)이 연결되며, 제2부(32)의 하측면(321)에는 제1단자(T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부(31)는 사용자가 플러그(30)를 조작할 때, 손잡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A
콘센트(40)는, 플러그(30)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바닥면(415)에 제2단자(T2)가 마련되는 수용부(41)와, 수용부(41)의 상부에서 제2단자(T2)가 배치되는 영역(T)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플러그(3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폭(W2)에 비하여 길이(L2)가 크게 형성되어 플러그(30)가 삽입되는 삽입구(421)가 형성되는 커버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41)와 커버부(42)는 콘센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수용부(41)는 플러그(30)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41)의 직경은 플러그(30)의 길이(L1)에 비하여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서 회전될 때, 플러그(30)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단이 원통형상의 수용부(41)의 내면에 안내되면서, 플러그(3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41)는 플러그(30)의 제2부(32)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2부(32)는 수용부(41)의 중심수직축(Z)과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2부(32)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된 때에는, 요홈부(33)는 커버부(42)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고, 제1부(31)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부(32)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플러그(30)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요홈부(33)와 삽입구(421)는 서로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3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플러그(30)가 수용부(41)로부터 임의대로 이탈되지 않는다.4, the
제2단자(T2)는 수용부(41)의 바닥면(415)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안내홈(41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면(415)에 안내홈(416)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될 때, 제1단자(T1)의 적어도 일부가 안내홈(416)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러그(30)가 회전될 때, 제1단자(T1)가 안내홈(416)에 안내되어 제2단자(T2)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3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단자(T1)가 제2단자(T2)가 배치된 정확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T2 may be disposed inside a ring-
제2단자(T2)는 제2케이블(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단자(T1)는 제1단자(T1)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단자(T1) 및 제2단자(T2)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제2단자(T2) 사이의 간격은 복수의 제1단자(T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고, 복수의 제2단자(T2) 사이의 각도는 복수의 제1단자(T1) 사이의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T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제2단자(T2)는 제1단자(T1)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단자(T2)는 수용부(41)의 바닥면(415)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단자(T1)와 제2단자(T2)는 면접촉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러그의 막대형상의 단자가 콘센트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종래의 전원연결장치와 비교하여, 플러그(30)의 두께 및 콘센트(4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T2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T1. The second terminal T2 protrudes from the
한편, 수용부(41)의 내부 측면에는 플러그(30)의 제1접지단자(T3)와 대응되는 제2접지단자(T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지단자(T4)는 플러그(3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ground terminal T4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T3 of the
커버부(42)는 수용부(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42)는 제2단자(T2)가 배치되는 영역(T)을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제2단자(T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제2단자(T2)가 커버부(42)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감전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The
플러그(30)가 삽입구(421)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421)의 폭(W2)은 플러그(30)의 폭(W1)에 비하여 약간 크게 설정되고, 삽입구(421)의 길이(L2)는 플러그(30)의 길이(L1)에 비하여 약간 크게 설정된다. 플러그(30) 및 삽입구(421)는 각각 폭(W1, W2)에 비하여 길이(L1, L2)가 크게 형성되므로, 플러그(30)의 제2부(32)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된 후,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요홈부(33)와 삽입구(421)가 서로 끼워지게 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30)가 수용부(41)로 임의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플러그(30)의 제1부(31)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제1부(31)의 폭방향으로의 양단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플러그(30)를 파지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The width W2 of the
한편, 콘센트(40)에는, 수용부(41)의 주변에, 제1단자(T1)와 제2단자(T2)가 서로 접촉될 때의 플러그(30)의 회전위치 및 제1단자(T1)와 제2단자(T2)가 서로 이격될 때의 플러그(30)의 회전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51)가 마련될 수 있다. 위치표시부(51)는, 예를 들면, 수용부(41)의 주변에 소정의 각도의 간격을 두고 표시되는 ON표지 및 OFF표지가 될 수 있다. 위치표시부(51)는 마크,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또한, 플러그(30)에는 위치표시부(51)와 대응되는 별도의 위치표시부(5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30)의 위치표시부(52)는 화살표 형상의 마크나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플러그(30)가 폭(W1)에 비하여 길이(L1)가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러그(30)의 길이방향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통하여 사용자가 플러그(30)의 회전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30)에는 콘센트(40)의 위치표시부(51)와 대응되는 위치표시부(52)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41)에는 플러그(3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41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회전제한부(413)는 수용부(41)의 측면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플러그(30)의 측면이 회전제한부(413)에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플러그(3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회전제한부(413)에 의하여 플러그(3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서 임의대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원연결상태에서, 제1단자(T1)가 제2단자(T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hat a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와 접촉되는 방향(도 3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플러그(30)가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에 접촉된 후 제2단자(T1)의 상면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제1단자(T1)와 마주보는 제2단자(T2)의 일측(T21) 및 제2단자(T2)와 마주보는 제1단자(T1)의 일측(T11)은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플러그(30)가 회전될 때,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의 경사면(T21)을 따라 상승하면서 제2단자(T2)의 상면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3 and 6, in a state in which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42)의 하측면(422)과 수용부(41)의 바닥면(415) 사이의 높이(H1)는, 제2부(32)의 하측면(321)과 상측면(322) 사이의 높이(H2), 제1단자(T1)의 높이(H3) 및 제2단자(T2)의 높이(H4)를 합한 것과 일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의 상면에 위치될 때, 제2부(32)의 상측면(322)이 커버부(42)의 하측면(422)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제1단자(T1)와 제2단자(T2) 사이의 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플러그(30)가 임의대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4, the height H1 between the
또한, 플러그(30)의 하측면(321)과 수용부(41)의 바닥면(415)상에는 플러그(30)의 회전중심축(Z)을 기준으로 플러그(30)를 지지하는 지지부(60)가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upporting
지지부(60)는, 플러그(30)의 하측면(321)에 마련되는 제1지지부(61)와, 수용부(41)의 바닥면(415)상에 마련되는 제2지지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지지부(61)는 플러그(30)의 하측면(321)에서 원통형으로 내입되는 돌기삽입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지지부(62)는 수용부(41)의 바닥면(415)으로부터 돌출되는 원통형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통형의 돌기삽입홈 및 원통형의 돌기는 수용부(41)의 중심수직축(Z)과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될 때, 제2지지부(62)가 제1지지부(61)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61)가 돌기삽입홈으로 이루어지고, 제2지지부(62)가 돌기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지지부(61)가 플러그(30)의 하측면(321)으로부터 돌출되는 원통형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지지부(62)가 수용부(41)의 내부에서의 원통형으로 내입되는 돌기삽입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ing
이와 같이, 플러그(30)의 하측면(321)과 수용부(41)의 바닥면(415)상에는 플러그(30)의 회전중심축(Z)을 기준으로 플러그(30)를 지지하는 지지부(60)가 마련되므로, 플러그(30)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될 때, 수용부(41)의 내부에서의 플러그(30)의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플러그(30)가 지지부(60)에 지지되어 회전중심축(Z)을 중심으로 정확하게 회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 the
플러그(30)의 제1지지부(61)와 수용부(41)의 제2지지부(62)는 항상 접촉되어 있는 부분이므로, 제1지지부(61)와 제2지지부(62)에는 각각 접지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ing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플러그(30)와 삽입구(421)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플러그(30)를 삽입구(421)에 삽입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플러그(30)의 제2부(32)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부(32)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된 때에는, 요홈부(33)는 커버부(42)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고, 제1부(31)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power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has an operation of inserting the
이때, 제2부(32)가 수용부(4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플러그(30)가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와 접촉되는 방향(도 3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T1)가 제2단자(T2)상에 위치되면서, 제1단자(T1)가 제2단자(T2)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자(T1)가 제2단자(T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3에서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플러그(30)가 회전되면 제1단자(T1)가 제2단자(T2)로부터 이격되면서 제1단자(T1)와 제2단자(T2)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제1단자(T1)를 가지는 플러그(30)가 수용되며 제2단자(T2)가 마련되는 콘센트(40)의 수용부(41)의 내부에 제2단자(T2)가 배치되는 영역(T)을 커버하는 커버부(42)가 배치되며, 이에 따라, 커버부(42)에 의하여 제2단자(T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the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플러그(30)가 콘센트(40)의 수용부(41)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플러그(30)를 회전시키면서, 제1단자(T1)가 제2단자(T2)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제1단자(T1)와 제2단자(T2)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의 막대형상의 단자를 콘센트의 삽입공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전원을 연결하고 막대형상의 단자를 삽입공으로부터 뽑아내는 방식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종래의 전원연결장치와 비교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전원을 연결하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전원의 온/오프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owe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또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는, 제1단자(T1)의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2단자(T2)의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제1단자(T1)와 제2단자(T2)가 면접촉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의 막대형상의 단자가 콘센트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종래의 전원연결장치와 비교하여, 플러그(30)의 두께 및 콘센트(4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T1 is formed in a plan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T2 is formed in a plane, and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second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T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urface contact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a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ortions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에서, 플러그(30)는 전기기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전기기기와 제1케이블(10)을 통하여 연결되는 종래의 접속플러그(70)과 연결되는 어댑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7, in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이를 위하여, 플러그(30)에는 접속플러그(70)에 구비되는 막대형상의 접속단자(71)가 삽입되는 삽입공(3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접속플러그(70)의 접속단자(71)는 삽입공(39)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제1단자(T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30)를 종래의 접속플러그(70)의 접속단자(71)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전자기기의 접속플러그(70)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30)로 교체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이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나머지 구성 및 작용효과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와 동일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remaining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power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30: 플러그 33: 요홈부
40: 콘센트 41: 수용부
42: 커버부 421: 삽입구
T1: 제1단자 T2: 제2단자30: plug 33:
40: receptacle 41: receptacle
42: Cover part 421:
T1: first terminal T2: second terminal
Claims (12)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바닥면에 제2단자가 마련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단자가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폭에 비하여 길이가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가지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반경방향으로 내입되고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를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제1부와, 상기 요홈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하측면에 상기 제1단자가 마련되는 제2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의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의 제2부가 수용되고, 상기 삽입구와 상기 요홈부는 서로 끼워지고,
상기 플러그의 하측면과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상에는 상기 플러그의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플러그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A plug having a larger length than the width and having a first terminal on the lower side; And
A receptacle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plug is rotatably received and a second terminal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portion; And a receptacle having a cover portion formed with a length larger than the width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sertion port into which the plug is inserted,
The plug includes a first groove portion radially extending and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first portion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groove portion, a second portion disposed at a low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groove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provided,
And a second portion of the plug is accommodated in the receptacle portion of the receptacle, the insertion port and the recess portion are fitted to each other,
Wherein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lug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lug an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with respect to a rotation center axis of the plug.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러그의 하측면에 마련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상에 마련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어느 하나는 원통형상의 돌기이고, 상기 제1지지부 또는 상기 제2지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 lower side surface of the plug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Wherein on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is a cylindrical projection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is a projectio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ed.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안내홈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econd terminal is disposed inside a ring-shaped guide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바닥면에 제2단자가 마련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단자가 배치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폭에 비하여 길이가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가지는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는 상기 플러그의 하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하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콘센트의 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상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A plug having a larger length than the width and having a first terminal on the lower side; And
A receptacle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plug is rotatably received and a second terminal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portion; And a receptacle having a cover portion formed with a length larger than the width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sertion port into which the plug is inserted,
The first terminal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plug and the lower side is formed in a plane,
And the second terminal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of the receptacle,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formed in a flat surface.
상기 제1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제2단자의 일측 및 상기 제2단자와 마주보는 상기 제1단자의 일측은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one side of the second terminal facing the first terminal and one side of the first terminal facing the second terminal are formed as inclined surfaces.
상기 콘센트에는,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서로 접촉될 때의 상기 플러그의 회전위치 및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가 서로 이격될 때의 상기 플러그의 회전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Wherein the socket is provided with a position indicating portion for indicating a rotational position of the plug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rotational position of the plug wh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spaced from each other, Wherein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상기 플러그의 측면에는 제1접지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 측면에는 상기 제1접지단자와 대응되는 제2접지단자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Wherein a first ground terminal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plug and a second ground terminal is provid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상기 플러그에는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And a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plug.
상기 플러그에는 전기기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접속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장치.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Wherein the plug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connection terminal of a connection plug connected with an electric device and a cable is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3143A KR101435154B1 (en) | 2012-11-22 | 2012-11-22 | Power connec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3143A KR101435154B1 (en) | 2012-11-22 | 2012-11-22 | Power connecti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987A KR20140065987A (en) | 2014-05-30 |
KR101435154B1 true KR101435154B1 (en) | 2014-09-01 |
Family
ID=5089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3143A KR101435154B1 (en) | 2012-11-22 | 2012-11-22 | Power connec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515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2809B1 (en) * | 2020-01-20 | 2021-05-14 | 최의진 | A Conc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5064U (en) * | 1997-10-10 | 1999-05-15 | 전주범 | Safety socket for electric shock prevention |
KR20000015207A (en) * | 1998-08-27 | 2000-03-15 | 문상우 | Safety wall outlet and plug |
KR200214710Y1 (en) * | 2000-09-05 | 2001-02-15 | 최상국 | Outlet and plug to prevent electric shock |
KR20110080111A (en) * | 2010-01-04 | 2011-07-12 | 탁도윤 | Rotary plugs and corresponding outlets |
-
2012
- 2012-11-22 KR KR1020120133143A patent/KR10143515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5064U (en) * | 1997-10-10 | 1999-05-15 | 전주범 | Safety socket for electric shock prevention |
KR20000015207A (en) * | 1998-08-27 | 2000-03-15 | 문상우 | Safety wall outlet and plug |
KR200214710Y1 (en) * | 2000-09-05 | 2001-02-15 | 최상국 | Outlet and plug to prevent electric shock |
KR20110080111A (en) * | 2010-01-04 | 2011-07-12 | 탁도윤 | Rotary plugs and corresponding outle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987A (en) | 2014-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565129A (en) | Power connector system | |
US8814583B2 (en) | USB connector | |
CN103972688B (en) | swivel plug | |
CN101783463B (en) | Incorrect fitting-preventing keys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 |
EP3166187B1 (en) | Adaptable electrical plug assembly | |
US8360788B2 (en) | Freely rotatable electrical conduction structure and receptacle using the same | |
US11201437B2 (en) | Insulating connector for an electrical cable | |
CN104349630A (en) | Rotective cover structure | |
KR20140065890A (en) | Power supply adaptor plug | |
KR101265584B1 (en) | Plug type concentric socket cover set, and setting method thereof | |
KR101435154B1 (en) | Power connection device | |
KR101233437B1 (en) | Plug and Outlet Assembly | |
KR101437036B1 (en) | Power connection device | |
KR101478044B1 (en) | Power connection device | |
US10790607B2 (en) | Tamper resistant plug-able socket adapter | |
US12149019B2 (en) | Pin and sleeve device with features to facilitate easier assembly | |
KR101435142B1 (en) | Power connection device | |
JP2010055896A (en) | Receptacle, plug, and wiring device | |
KR20160150192A (en) | Rotating Outlet | |
KR101533310B1 (en) | Plug socket | |
KR20180092343A (en) | Multiple-tap having dummy plug | |
EP4346019A1 (en) | Space-saving schuko electrical plug and contact body suited to be arranged in different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plug body and the cable guide | |
TW201203737A (en) | Receptacle | |
JP5975298B2 (en) | Plug-in plug, plug-in plug receptacle, and plug-in connection structure | |
EP2388866A1 (en) | Plug-Guiding attachment and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