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079B1 -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 Google Patents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079B1
KR101435079B1 KR1020130119429A KR20130119429A KR101435079B1 KR 101435079 B1 KR101435079 B1 KR 101435079B1 KR 1020130119429 A KR1020130119429 A KR 1020130119429A KR 20130119429 A KR20130119429 A KR 20130119429A KR 101435079 B1 KR101435079 B1 KR 101435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refractory
furnace
blast furnace
refractor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노성수
문봉학
이재헌
임인상
진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3011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2Casings; Linings; Walls; Roofs incorporating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광로(100)의 복수의 냉각홀(110)에 각각 삽입된 냉각반(50)의 주변에 설치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에 관한 것으로서, 용광로(100)의 냉각홀(110)의 둘레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둘레에 접촉하는 제1 내화부(30)와, 용광로(100)의 냉각홀(110)의 선단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선단에 접촉하는 제2 내화부(40)를 포함하고, 제1 내화부(30)는 용광로(100)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있고, 제2 내화부(40)는 용광로(100)의 내곽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광로의 냉각반 둘레에 제1 내화부와 제2 내화부를 밀착하도록 접촉시켜 배치함으로써, 용광로 외곽의 제1 내화부에 의해 냉각반의 냉각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용광로 내곽의 제2 내화부에 의해 용광로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용광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Apparatus for protecting cooling plate of blast furnace and blast furna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광로의 외벽에 삽입된 냉각반을 보호하기 위해 냉각반 둘레에 설치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에 관한 것이다.
고로 설비란 산업의 기초 소재인 선철을 생산하는 주설비로서, 용광로의 내부에 광석과 코크스 및 부원료를 장입하고 복수 개의 소풍구를 통하여 열풍을 공급하여, 환원 용융과정을 거친 광석을 용융상태의 선철로 제조하는 설비이다.
냉각반은 이와 같은 용광로의 철피의 적열 및 연와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펌프에 의해 공급된 냉각수가 높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냉각반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조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연와 사이에 냉각반이 삽입되어 냉각수에 의해 노내의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방산시켜줌으로써 노벽 연와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각반은 조업 연수가 증가됨에 따라 고로 내에서 장입물과의 기계적인 마찰 또는 화학반응에 의해 노벽연와가 마모됨으로써 노내로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냉각반이 돌출되면 냉각반 선단부의 마모가 발생하여 냉각반에 걸리는 열부하는 더욱 가중되며, 이로 인해 냉각반 내로 순환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증기화되게 된다.
이러한 냉각수의 증기화가 수분간 지속되면, 증기가 열전달을 방해하는 단열 재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냉각수에 의한 효과적인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결국에는 냉각반이 파손되게 된다.
이와 같이 냉각반이 파손되면 길이가 짧은 냉각반으로 교체해 주지만, 냉각반의 길이가 짧아지면 그만큼 노체의 열부하에 대한 냉각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냉각반 둘레의 내화물은 고온의 가스로 가득 차 있는 노 내부의 특성과 장입물과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고로의 벽체는 취약해질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철피 적혈 현상이 일어나 고로의 철피가 갈라지는 위험성이 초래될 수 있어 고로 조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용광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벽으로 형성된 철피부(210)를 보호를 위해 냉각반(260)을 사용하여 용광로(200)를 냉각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냉각반(260)을 둘러싸고 있는 내화물의 재질은, 외곽의 실리콘카바이드(SiC) 내화물(230)과 내곽의 저알루미나 내화물(250)로 구성되거나, 외곽의 고알루미나 내화물(240)과 내곽의 저알루미나 내화물(2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화물은 열전달율이 낮아 냉각효과가 떨어지며 접촉면에 열팽창흡수를 위해 래밍부재(220)를 사용하고 있으나, 소형의 내화물로서 구조적으로 안정하지 못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곽의 저알루미나 내화물(250)의 경우 조기 탈락되어 용광로의 수명이 단축되어 냉각반 및 내화물 손상에 따른 보수가 빈번하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용광로 외곽의 제1 내화부에 의해 냉각반의 냉각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용광로 내곽의 제2 내화부에 의해 용광로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용광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냉각반과 내화부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냉각을 위한 열전달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화부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전체 내화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용광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2 내화부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켜 이들 사이의 탈락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그라파이트 내화물의 전면에 실리콘카바이드 내화물을 축조하여 내화물의 수명을 연장시도록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광로(100)의 복수의 냉각홀(110)에 각각 삽입된 냉각반(50)의 주변에 설치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로서, 용광로(100)의 냉각홀(110)의 둘레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둘레에 접촉하는 제1 내화부(30); 및 용광로(100)의 냉각홀(110)의 선단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선단에 접촉하는 제2 내화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화부(30)는 용광로(100)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내화부(40)는 용광로(100)의 내곽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내화부(30)는, 냉각홀(110)의 하방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하면에 접촉하는 하면부재(31); 냉각홀(110)의 양쪽 측방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양쪽 측면에 접촉하는 측면부재(32); 냉각홀(110)의 상방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면부재(33); 및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일방 냉각홀의 하면부재(31)와 타방 냉각홀의 상면부재(33) 사이에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면부재(31), 상기 측면부재(32) 및 상기 상면부재(33)는, 냉각홀(110)에 삽입되는 냉각반(5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내화부(40)는, 냉각홀(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전면에 접촉하는 단편부재(41, 42); 및 상기 단편부재(41, 4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내화부(30)의 하부에 접촉하는 장편부재(4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내화부(40)는, 외향부위의 길이(d1)가 내향부위의 길이(d2) 보다 길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내화부(40)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끼워맞춤되도록 측면 일방에는 제1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측면 타방에는 제1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내화부(4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끼워맞춤되도록 상하면 중 일방에는 제2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타방에는 제2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내화부(30)는 그라파이트(graphite)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내화부(40)는 실리콘카바이드(silicon carbide)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광로의 냉각반 둘레에 제1 내화부와 제2 내화부를 밀착하도록 접촉시켜 배치함으로써, 용광로 외곽의 제1 내화부에 의해 냉각반의 냉각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용광로 내곽의 제2 내화부에 의해 용광로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용광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1 내화부로 냉각반의 전후좌우 및 중간지지 부위에 내화부재를 분리설치함으로써, 냉각반과 내화부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냉각을 위한 열전달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내화부로 장편 및 단편의 내화부재를 분리설치함으로써, 내화부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전체 내화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용광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내화부의 양쪽 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외부위가 만곡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면 및 양쪽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끼움결합을 위한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형성됨으로써, 제2 내화부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켜 이들 사이의 탈락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내화부를 그라파이트(graphite) 소재로 구성하고 제2 내화부를 실리콘카바이드(silicon carbide)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그라파이트 내화물의 전면에 실리콘카바이드 내화물을 축조하여 내화물의 수명을 연장시도록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절단선 A-A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절단선 B-B에 의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의 제2 내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절단선 A-A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절단선 B-B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의 제2 내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는, 제1 내화부(30) 및 제2 내화부(40)로 이루어져, 용광로(100)의 복수의 냉각홀(110)에 각각 삽입된 냉각반(50)의 주변에 설치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이다.
제1 내화부(30)는, 용광로(100)의 냉각홀(110) 내부의 상하좌우 방향의 둘레에 설치되며 냉각반(50)의 상하좌우 방향의 둘레에 밀착하도록 접촉하게 되어, 냉각반(50)의 상하좌우 방향의 둘레에 대한 열전달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1 내화부(30)는, 용광로(100)의 외곽둘레를 따라 적층되어 설치되며, 하면부재(31), 측면부재(32), 상면부재(33) 및 지지부재(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면부재(31)는, 냉각홀(110)의 하방에 설치되며 냉각반(50)의 하면에 밀착하도록 접촉되어, 냉각반(50)의 하방에 대한 열전달율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냉각반(50)의 하면에 의한 냉각효과를 상승시키게 된다.
측면부재(32)는, 냉각홀(110)의 양쪽 측방에 설치되며 냉각반(50)의 양쪽 측면에 밀착하도록 접촉되어, 냉각반(50)의 양쪽 측방에 대한 열전달율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냉각반(50)의 양쪽 측면에 의한 냉각효과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면부재(33)는, 냉각홀(110)의 상방에 설치되며 냉각반(50)의 상면에 밀착하도록 접촉되어, 냉각반(50)의 상방에 대한 열전달율을 향상시키게 되므로 냉각반(50)의 상면에 의한 냉각효과를 상승시키게 된다.
지지부재(34)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일방 냉각홀의 하면부재(31)와 타방 냉각홀의 상면부재(33) 사이에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하면부재(31)와 상면부재(33) 사이의 열전달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하면부재(31), 측면부재(32) 및 상면부재(33)는, 냉각홀(110)에 삽입되는 냉각반(50)의 삽입깊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냉각반(50)의 전후면 및 좌우 양쪽 측면의 전체면에 밀착하도록 접촉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내화부(30)의 하면부재(31), 측면부재(32), 상면부재(33) 및 지지부재(34)는, 냉각반(50)의 열전달율을 향상시켜 냉각반(50)에 의한 냉각효과를 상승시키도록 그라파이트(graphite)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 내화부(40)는, 용광로(100)의 냉각홀(110) 내부의 선단에 설치되며 냉각반(50)의 선단에 밀착하도록 접촉하게 되어, 냉각반(50)의 선단에 대한 열전달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2 내화부(40)는, 용광로(100)의 내곽둘레를 따라 적층되어 설치되며, 제1 단편부재(41) 및 제2 단편부재(42)로 구성된 단편부재(41, 42)와, 장편부재(43)로 이루어져 있다.
단편부재(41, 42)는, 상면부재(33)와 냉각반(50)의 선단에 접촉하는 제1 단편부재(41)와, 하면부재(31)의 선단에 접촉하는 제2 단편부재(42)로 구성되며, 냉각홀(110)에 대한 냉각반(50)의 삽입방향을 기준해서 전방에 설치된 수평방향의 짧은 길이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단편부재(41, 42)는 냉각반(50)의 전면부위에 밀착하도록 접촉되어, 냉각반(50)의 전면부위에 대한 열전달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장편부재(43)는, 단편부재(41, 42)의 하부에 설치되며 단편부재(41, 42)의 수평방향 길이 보다 긴 길이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층 제1 내화부(30)의 하부와 하층 제1 내화부(30)의 상부 사이에 접촉되도록 상하층의 제1 내화부(30)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제2 내화부(40)는, 외향부위의 길이(d1)가 내향부위의 길이(d2) 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쪽 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향부위와 내향부위는 외향으로 볼록하게 만곡형성되어, 용광로(100)의 중심부위를 기준해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내화부(40)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끼워맞춤되도록 측면 일방에는 제1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측면 타방에는 제1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내화부(4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끼워맞춤되도록 상하면 중 일방에는 제2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타방에는 제2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내화부(40)의 제2 단편부재(4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 측면에 제1 끼움돌기(42a)가 형성되고 타방 측면에 제1 끼움홈(42b)이 형성되어, 좌우 측방으로 서로 이웃한 제2 단편부재(42) 사이의 결합지지력이 이와 같은 끼움결합에 의해 향상된다.
또한, 제2 내화부(40)는, 제2 단편부재(42)의 상면에 제2 끼움돌기(42c)가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끼움홈(42d)이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제1 단편부재(41)와 제2 단편부재(42) 사이, 제2 단편부재(42)와 장편부재(43)사이 및 장편부재(43)와 제1 단편부재(41) 사이의 결합지지력이 이와 같은 끼움결합에 의해 향상된다.
따라서, 제2 내화부(4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외부위가 만곡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면 및 양쪽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끼움결합을 위한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형성되므로, 서로 이웃한 제2 내화부(40)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켜 이들 사이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내화부(40)는, 용광로 내부의 연료 및 원료에 의한 기계적인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한 실리콘카바이드(SiC : silicon carbide) 소재의 내화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2 내화부(10)는 내화물 수명증대를 위해 냉각반(50)의 선단에만 실리콘카바이드(SiC)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냉각반(50) 또는 제1 내화부(30)의 길이를 제1 내화부(30)의 그라파이트의 길이 보다 100 내지 300㎜ 정도로 증대시켜 제1 내화부(30)의 내부에 삽입하므로, 제1 내화부(30)와 제2 내화부(40)의 전체 내화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제1 내화부(10)의 그라파이트 전면에도 수명연장을 위해 제2 내화부(40)의 실리콘카바이드(SiC) 내화물을 축조하여 전체적으로 제1 내화부(30)의 그라파이트 전면에도 실리콘카바이드(SiC)의 보호층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상하층의 냉각반(50) 사이에 삽입되는 장편부재(43)의 실리콘카바이드(SiC)는, 상부의 단편부재(41, 42)의 실리콘카바이드(SiC)를 지지하는 역할도 하므로, 단편부재(41, 42)가 무너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1 내화부(30) 및 제2 내화부(40)의 전체적인 수명을 연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장편부재(43)는 앵커(Anchor)부재의 역할을 하므로, 상하부의 제1 내화부(30) 및 제2 내화부(40)의 안정성을 도모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내화부(40)의 실리콘카바이드는 구조의 안정성을 위하여 용광로 내부로 점점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좌우면에 쐐기형상으로 맞물려 용광로 내부로 탈락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며, 좌우물림(Tongue & Groove) 또는 상하물림(Tongue & Groove)의 결합지지력을 통하여 이들 사이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탈락방지 및 수명연장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를 구비한 용광로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피부(10), 래머부(20), 제1 내화부(30), 제2 내화부(40) 및 냉각반(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철피부(10)는, 제1 내화부(30)의 외부둘레에 설치되어 용광로(100)의 외벽을 구성하게 되며, 용광로(100)를 냉각하기 위해 냉각반(50)을 삽입하도록 복수개의 냉각홀(110)이 천공형성되어 있다.
래밍부(20)는, 철피부(10)와 제1 내화부(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위와, 냉각반(50)과 제1 내화부(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위와, 냉각반(50)과 제2 내화부(4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위에 충진되는 충진재이다.
이러한 래밍부(20)는, 재질적인 측면에서 낮은 열전달율에 의한 냉각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고 접촉면에서의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해 카본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반(50)은, 고온의 용광로(100)를 둘러싸고 있는 철피부(10)를 보호하기 위해 냉각수를 순환하여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으로서, 용광로의 운전중에 문제점이 발생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높이 및 폭을 용광로 내부로 점점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구성한다.
제1 내화부(30)와 제2 내화부(40)는 상기 기재된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의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냉각반의 상하, 좌우 폭은 용광로(100)의 부위별 내부 온도에 따라 결정되며, 냉각반(50)의 형상은 좌우 및 전면이 구형(Round)로 구성되어 인접 내화물과는 공간을 래밍부(20)에 의해 충진되며, 냉각반(50)의 상면 및 하면을 정밀가공하여 냉각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광로의 냉각반 둘레에 제1 내화부와 제2 내화부를 밀착하도록 접촉시켜 배치함으로써, 용광로 외곽의 제1 내화부에 의해 냉각반의 냉각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용광로 내곽의 제2 내화부에 의해용광로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용광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내화부로 냉각반의 전후좌우 및 중간지지 부위에 내화부재를 분리설치함으로써, 냉각반과 내화부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냉각을 위한 열전달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내화부로 장편 및 단편의 내화부재를 분리설치함으로써, 내화부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전체 내화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용광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내화부의 양쪽 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외부위가 만곡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면 및 양쪽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끼움결합을 위한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형성됨으로써, 제2 내화부 사이의 결합지지력을 향상시켜 이들 사이의 탈락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내화부를 그라파이트(graphite) 소재로 구성하고 제2 내화부를 실리콘카바이드(silicon carbide)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그라파이트 내화물의 전면에 실리콘카바이드 내화물을 축조하여 내화물의 수명을 연장시도록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철피부 20: 래밍부
30: 제1 내화부 40: 제2 내화부
50: 냉각반

Claims (9)

  1. 용광로(100)의 복수의 냉각홀(110)에 각각 삽입된 냉각반(50)의 주변에 설치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로서,
    용광로(100)의 냉각홀(110)의 둘레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둘레에 접촉하는 제1 내화부(30); 및
    용광로(100)의 냉각홀(110)의 선단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선단에 접촉하는 제2 내화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화부(30)는 용광로(100)의 외곽둘레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내화부(40)는 용광로(100)의 내곽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화부(30)는,
    냉각홀(110)의 하방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하면에 접촉하는 하면부재(31);
    냉각홀(110)의 양쪽 측방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양쪽 측면에 접촉하는 측면부재(32);
    냉각홀(110)의 상방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면부재(33); 및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일방 냉각홀의 하면부재(31)와 타방 냉각홀의 상면부재(33) 사이에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재(31), 상기 측면부재(32) 및 상기 상면부재(33)는, 냉각홀(110)에 삽입되는 냉각반(5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화부(40)는,
    냉각홀(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냉각반(50)의 전면에 접촉하는 단편부재(41, 42); 및
    상기 단편부재(41, 4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내화부(30)의 하부에 접촉하는 장편부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화부(40)는, 외향부위의 길이(d1)가 내향부위의 길이(d2) 보다 길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화부(40)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끼워맞춤되도록 측면 일방에는 제1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측면 타방에는 제1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화부(4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끼워맞춤되도록 상하면 중 일방에는 제2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타방에는 제2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화부(30)는 그라파이트(graphite)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내화부(40)는 실리콘카바이드(silicon carbide)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KR1020130119429A 2013-10-07 2013-10-07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KR101435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429A KR101435079B1 (ko) 2013-10-07 2013-10-07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429A KR101435079B1 (ko) 2013-10-07 2013-10-07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079B1 true KR101435079B1 (ko) 2014-08-27

Family

ID=5175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429A KR101435079B1 (ko) 2013-10-07 2013-10-07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28B1 (ko) 2017-11-15 2019-05-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용광로의 내화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CN110029198A (zh) * 2019-04-03 2019-07-19 北京科技大学 一种高炉冷却系统的冷却效果的计算机标定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2186B1 (de) 1979-11-28 1983-04-13 Annawerk Keramische Betriebe GmbH Ausmauerung für Industrieöfen, insbesondere Schachtöfen, wie Hochöfen o. dgl.
JPS5916913A (ja) * 1982-07-15 1984-01-28 Nippon Kokan Kk <Nkk> 高炉炉体の冷却構造
JPS59219405A (ja) * 1983-05-26 1984-12-10 Nippon Kokan Kk <Nkk> 冷却函
KR20020087914A (ko) * 2002-10-24 2002-11-23 이호영 냉각판이 구비된 수직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2186B1 (de) 1979-11-28 1983-04-13 Annawerk Keramische Betriebe GmbH Ausmauerung für Industrieöfen, insbesondere Schachtöfen, wie Hochöfen o. dgl.
JPS5916913A (ja) * 1982-07-15 1984-01-28 Nippon Kokan Kk <Nkk> 高炉炉体の冷却構造
JPS59219405A (ja) * 1983-05-26 1984-12-10 Nippon Kokan Kk <Nkk> 冷却函
KR20020087914A (ko) * 2002-10-24 2002-11-23 이호영 냉각판이 구비된 수직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28B1 (ko) 2017-11-15 2019-05-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용광로의 내화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CN110029198A (zh) * 2019-04-03 2019-07-19 北京科技大学 一种高炉冷却系统的冷却效果的计算机标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9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and brick constructions
US20190154338A1 (en) Stave with external manifold
KR100367467B1 (ko) 아크로의 노벽 및 노덮개용 수냉패널
JP6240650B2 (ja) 炉の冷却装置
US8920709B2 (en) Cooling plate for a metallurgical furnace
KR101975328B1 (ko) 용광로의 내화물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US20180149429A1 (en) Stave with external manifold
KR101435079B1 (ko) 용광로의 냉각반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광로
JP2012057905A (ja) 水冷ジャケット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炉体冷却構造及び炉体冷却方法
SU513630A3 (ru) Устройство футеровки стенок шахтной печи
US11384985B2 (en) Furnace stave
JP2014173164A (ja) ステーブクーラーおよびこのステーブクーラーを備えた高炉
RU2718775C1 (ru) Медная холодильная плита с износостойкими вставками для доменной печи
WO2019147920A1 (en) Stave with external manifold
RU2729800C1 (ru) Устройство водя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лещади доменной печи
RU2263150C1 (ru) Доменная печь
JPS6238234Y2 (ko)
AU20102713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and brick constructions
JP2014189885A (ja) 高炉炉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