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452B1 -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 Google Patents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452B1
KR101433452B1 KR1020120072559A KR20120072559A KR101433452B1 KR 101433452 B1 KR101433452 B1 KR 101433452B1 KR 1020120072559 A KR1020120072559 A KR 1020120072559A KR 20120072559 A KR20120072559 A KR 20120072559A KR 101433452 B1 KR101433452 B1 KR 101433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vibration
frame
movable frame
pi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429A (ko
Inventor
강기판
이성진
이상민
문창호
정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7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4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3Means for oscillat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4Treating the molten metal by using agitating or vib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7/00Treating the metal in the mould while it is molten or ductile ; Pressure or vacuum casting
    • B22D27/08Shaking, vibrating, or turning of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주조를 하는 경우 몰드 설비에 전달되는 이상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는 연속으로 주편을 주조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로서,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갖는 몰드와, 상기 몰드의 양측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몰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몰드 유닛과; 상기 한 쌍의 몰드 고정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면서 중앙 하부에는 상하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연결되는 한 쌍의 가동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이 거치되는 한 쌍의 진동 고정 프레임과, 고무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의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의 양측 하부와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오실레이터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APPARATUS FOR MOULD OSCILLATION AND MOULD EQUIPMENT FOR CONTINUOUS CAS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주조를 하는 경우 몰드 설비에 전달되는 이상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기에서 사용되는 몰드 설비는 턴디쉬로부터 공급되는 용강을 냉각시켜 연속적으로 주편을 생산하는 설비로서, 용강을 1차적으로 응고시키는 몰드(Mould)와, 상기 몰드를 상하로 진동시키는 오실레이터(Oscillator)로 구성된다. 그래서 주편의 주조시 오실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몰드를 상하로 진동시킴으로써 몰드벽과 주편의 응고막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응고 막이 터져 용강이 흘러나오는 브레이크아웃(breakout)을 방지하기 위한 윤활제의 유입을 제어한다.
브레이크아웃(Breakout)이 발생하게 되는 요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의 요인은 비정상적인 윤활작용을 유발하는 제어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다. 제어적인 요인에 의한 브레이크아웃은 몰드의 진동으로 인해 몰드벽과 응고막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여주는 윤활제인 파우더가 몰드벽과 응고막 사이에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몰드 진동의 파형과 진폭, 주파수 등을 제어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그 결과 몰드벽과 응고막 사이에 과도한 마찰력 발생에 의해 응고막이 찢어지는 현상이다.
다른 하나의 요인은 기계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서, 기계적인 요인에 의한 브레이크아웃은 상하 진동을 안내하는 장치 또는 유압 설비의 이상으로 몰드가 좌,우,전,후로 비정상적으로 진동함에 따라 주편의 표면에 타격을 가하거나 상,하 운동을 불규칙적으로 방해함으로써 진동 파형(위치 및 속도)을 왜곡시켜 브레이크아웃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한편, 일반적인 주조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주조속도, 예를 들어 주조속도가 2 m/min 이상인 고속 주조시에 몰드의 진동 주파수가 커지면 몰드의 진동으로 인한 진동이 설비의 하부 구조물에 전달되어 작업자가 위치하는 주상 구조물에 이상진동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에는 공진을 일으켜 이상 소음이 발생하여 작업자의 심리를 불안하게 하여 조업이 불가능하며, 탕면의 요동을 일으켜 용강 누출 사고가 발생하거나 표면 품질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몰드 진동기인 오실레이터의 성능은 기계적인 문제가 있으면 제어적인 성능이 우수해도 근본적으로 본래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므로 안정적인 몰드장치 및 오실레이터가 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동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었으나,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롤링 엘리먼트 타입(Rolling Element Type)의 진동장치는 구동 시 좌우의 움직임에 대한 구속기능이 없고 착/탈하는데 문제가 많은 구조로서, 구조물에 이상진동을 전달하여 작업자의 불안감 조성 등 여러 가지의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켰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 스프링형 진동안내장치는 판 스프링(1)의 복원력에 의한 위상차 및 이상진동의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거나 중심축에서 롤링이 발생하여 주편 표면에 타격을 주는 등 상하 진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근래에는 판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을 조합한 주형 진동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판 스프링과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주형 진동장치에 대해서는 "연속 주조 플랜트용 연속 주조 몰드(공개특허 10-2011-0017891)"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1)과 코일 스프링(2)을 조합한 주형 진동장치는 몰드의 진동시 무게중심의 편차에 의해 양측의 코일 스프링(2)이 전술된 중심축 롤링을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공개특허 10-2011-0017891 (2011. 02. 22)
본 발명은 연속 주조기를 이용하여 고속 주조를 실시하는 경우에 정밀한 상하 진동을 유도하여 탕면의 안정을 도모하고, 주편과 주형진동의 상대 속도를 저감하여 마찰력을 줄임으로써 브레이크아웃과 같은 조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몰드 진동장치는 연속 주조용 몰드를 상하로 진동시키는 몰드 진동장치로서, 상기 몰드가 설치되는 한 쌍의 몰드 고정 프레임에 진동을 인가하도록 상부에는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의 단부가 결합되고, 중앙 하부에는 상하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연결되는 한 쌍의 가동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이 거치되는 한 쌍의 진동 고정 프레임과; 고무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의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의 양측 하부와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완충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에서 높낮이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는 조정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조정 플레이트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과 상기 조정 플레이트 사이에는 간격고정블럭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 1 핀하우징과; 상기 조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 2 핀하우징과; 상기 제 1 핀하우징과 제 2 핀하우징을 다수의 암에 의해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제 3 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핀하우징 내지 제 3 핀하우징과 상기 암의 대면부위는 상기 고무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암의 회동을 제한시키면서 진동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암은 양단에 상기 제 1 핀하우징 내지 제 3 핀하우징에 핀결합되는 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핀부는 상기 제 1 핀하우징 내지 제 3 핀하우징에 결합되는 부위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핀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핀하우징 내지 제 3 핀하우징의 이격공간에 상기 고무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수단에 개재된 고무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 상기 조정 플레이트가 배치되도록 상기 간격고정블럭의 높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과,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 프레임은 "T"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부 양측 영역과 하부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 또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 직선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 또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활주되는 운동블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는 연속으로 주편을 주조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로서,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갖는 몰드와, 상기 몰드의 양측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몰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몰드 유닛과; 상기 한 쌍의 몰드 고정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면서 중앙 하부에는 상하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연결되는 한 쌍의 가동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이 거치되는 한 쌍의 진동 고정 프레임과, 고무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의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의 양측 하부와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오실레이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 1 핀하우징과;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 2 핀하우징과; 상기 제 1 핀하우징과 제 2 핀하우징을 다수의 암에 의해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제 3 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핀하우징 내지 제 3 핀하우징과 상기 암의 대면부위는 상기 고무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암의 회동을 제한시키면서 진동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에서 높낮이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는 조정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조정 플레이트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과 상기 조정 플레이트 사이에는 간격고정블럭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수단에 개재된 고무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 상기 조정 플레이트가 배치되도록 상기 간격고정블럭의 높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과,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 또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 직선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 또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활주되는 운동블럭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 프레임은 "T"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부 양측 영역과 하부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실레이터 유닛에 상기 몰드 유닛을 조립할 때 상기 몰드 유닛이 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조립되도록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에는 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가이드 바가 설치되고,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바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 바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대면되면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케이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실레이터 유닛에 상기 몰드 유닛을 조립할 때 상기 몰드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조정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상기 몰드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조정돌기가 인입되는 조정블럭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정블럭 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단부에서 상기 몰드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정 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조정 브래킷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스크류볼트와; 상기 한 쌍의 조정 브래킷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몰드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조정돌기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인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개구된 인입구가 형성되는 조정블럭을 포함한다.
상기 조정돌기 및 상기 조정블럭 수단은 각각 상기 몰드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의 측단부 및 상기 가동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드 유닛은 상기 장변이 설치되는 장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변 프레임의 하부에는 풋롤러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풋롤러는 다수개가 브래킷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일렬로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 프레임의 양측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수의 롱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롱볼트가 상기 장변 프레임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장변 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부위에는 상기 롱볼트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풋롤러를 장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너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주조속도 2 m/min 이상인 고속 주조시 이상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의 진동속도와 주조되는 주편의 상대속도를 줄이도록 주조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몰드의 진동 주파수는 감소시키고, 상기 몰드의 진동 진폭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 서보 밸브와; 상기 유압 서보 밸브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제공수단과; 상기 몰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몰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압 서보 밸브 및 유압 제공수단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가 구비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몰드가 상하로 진동할 때, 특히 고속 주조시 몰드가 상하로 진동할 때 고무 스프링이 개재된 다수의 완충수단을 이용하여 몰드의 진동이 증폭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상 진동을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설비가 공진을 일으켜 이상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심리를 불안하게 하거나 조업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한, 몰드 유닛과 오실레이터 유닛 사이에 몰드 유닛이 진동할 때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수의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을 설치함에 따라 몰드 유닛이 전우좌우 방향으로 요동치면서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탕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아웃과 같은 용강 누출 사고를 방지하여 안정된 운전으로 인한 품질의 안정적인 유지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롤링 엘리먼트 타입(Rolling Element Type)의 유압 주형진동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의 판 스프링 타입(Plate Spring Type)의 유압 주형진동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c는 종래의 판 스프링(Plate Spring)과 코일(Coil Spring)을 조합한 유압 주형진동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격고정블럭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및 요부 정면도이고,
도 7c 및 도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7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운동 가이드수단 및 그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정돌기 및 조정블럭 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풋롤러 및 풋폴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종래의 주조 조업 제어와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조업 제어시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는 용강이 통과되면서 주편으로 주조되는 몰드(110)가 설치되는 몰드 유닛(100)과, 상기 몰드 유닛(100)을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오실레이터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몰드 유닛(Mould Unit; 100)은 용강이 통과되면서 1차 냉각되는 유닛으로서, 한 쌍의 장변(111)과 한 쌍의 단변(113)을 갖는 몰드(110)와, 상기 몰드(110)의 양측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몰드 고정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장변(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장변 프레임(120)에 의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변 프레임(120)의 양측 단부는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13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단변(113)은 상기 장변(1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단변(113)은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130)에 설치되는 유압 실런더(113a)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장변(111)도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어느 하나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유압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설치 위치가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장변(111)과 단변(113)의 각 어느 하나는 고정 설치되고, 각각의 다른 하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설치 위치가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오실레이터 유닛(Oscillator Unit; 200)은 상기 몰드 유닛(100)을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유닛으로서, 상기 몰드 유닛(100)이 결합되어 상하로 진동되는 한 상의 가동 프레임(210)과, 상기 가동 프레임(210)이 거치되는 한 쌍의 진동 고정 프레임(220)과, 상기 가동 프레임(210)과 진동 고정 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다수의 완충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 프레임(210)은 상기 몰드 유닛(100),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130)의 단부가 거치되어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130)과 일체로 상하 진동하는 수단으로서, 상부에는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130)의 단부가 결합되고, 중앙 하부에는 상하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131)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가동 프레임(210)은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유압실린더(131)는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하부 중앙 영역의 저면에 연결된다.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은 상기 가동 프레임(210)을 지지하면서 상기 가동 프레임(21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도록 하는 베이스의 역할을 하는 수단이다. 그래서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은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230)은 고무 스프링(235)이 개재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암(234)이 링크 구조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완충수단(230)은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상부 양측 영역의 저면과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의 양측 단부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양측 단부영역에서 진동을 완충시킨다. 부연하자면, 상기 각각이 완충수단(230)은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상부 양측 영역의 하부, 즉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211)와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에서 높낮이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는 조정 플레이트(221)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조정 플레이트(221)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221a)의 작동에 의해 그 설치 위치가 가변되는데, 상기 조정 플레이트(221)는 그 설치 위치가 설정된 이후에 설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의 상면과 상기 조정 플레이트(221) 저면 사이에 간격고정블럭(223)이 삽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격고정블럭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간격고정블럭(223)은 상기 조정 플레이트(221)의 설치 위치가 가변되는 것에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간격고정블럭(223)이 마련되고,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과 조정 플레이트(221)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간격고정블럭(223)은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과 상기 조정 플레이트(221)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및 요부 정면도이고, 도 7c 및 도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7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230)은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211)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 1 핀하우징(231)과, 상기 조정 플레이트(221)의 상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 2 핀하우징(232)과, 상기 제 1 핀하우징(231)과 제 2 핀하우징(232)을 다수의 암(234)에 의해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제 3 핀하우징(2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핀하우징(231) 내지 제 3 핀하우징(233)과 상기 암(234)의 대면부위는 상기 고무 스프링(235)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암(234)의 회동을 제한시키면서 진동을 완충시킨다.
상기 각각의 암(234)은 양단에는 핀부(23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핀하우징(231) 내지 제 3 핀하우징(233)에 핀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핀하우징(231) 내지 제 3 핀하우징(233)은 상기 암(234)의 핀부(234a)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은 대략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핀부(234a)는 상기 제 1 핀하우징(231) 내지 제 3 핀하우징(233)에 결합되는 부위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을 갖도록 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핀부(234a)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핀하우징(231) 내지 제 3 핀하우징(233)의 이격공간에 상기 고무 스프링(235)이 개재된다.
특히,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230)에 개재된 고무 스프링(235)은 설치시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가 가해지도록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무 스프링(235)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에 상기 조정 플레이트(221)가 배치되도록 상기 간격고정블럭(223)의 높이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간격고정블럭(223)의 높이가 설정된다는 의미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간격고정블럭(223) 중 해당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간격고정블럭(223)을 선택하여 삽입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230)은 도 6e와 같이 가동 프레임(210)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에 암(234)의 핀부(234a)가 제 1 핀하우징(231) 내지 제 3 핀하우징(233)의 내부에서 회동되는데, 이때 각 암(234)의 핀부(234a)는 고무 스프링(235)에 의해 회동되는 것이 탄력적으로 제한되면서 가동 프레임(210)의 계속적인 진동이 완충되는 것이다.
이렇게 고무 스프링(235)에 의해 가동 프레임(210)의 진동이 흡수되면서 완충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진동이 완충되는 경우에 비하여 가동 프레임(210)의 진동을 월등하게 우수한 성능으로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230)은 제시된 실시예에 따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무 스프링(235)을 매개로 가동 프레임(210)과 진동 고정 프레임(220)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 프레임(210)의 진동시 완충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완충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상하방향 진동시 상기 가동 프레임(210)이 전후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진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선형운동 가이드수단(240)이 설치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운동 가이드수단 및 그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운동 가이드수단(240)은 상기 가동 프레임(21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도록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측벽과,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 중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측벽에 대향되는 위치 사이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형운동 가이드수단(240)은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상부 양측 영역과 하부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선형운동 가이드수단(240)은 직선운동을 유도하는 LM 가이드 수단을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각각의 선형운동 가이드수단(240)은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측벽 또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 직선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41)과,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측벽 또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24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활주되는 운동블럭(243)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1)과 운동블럭(243)은 상기 가동 프레임(210) 또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 중 어디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상기 가동 프레임(210)이 상하로 진동되기 때문에 상기 가동 프레임(210)에 운동블럭(243)이 설치되고,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에 가이드 레일(241)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운동블럭(243)은 상기 운동블럭(243)이 설치되는 상기 가동 프레임(210)과 일체로 상하 운동된다.
이렇게 상기 가동 프레임(210)과 진동 고정 프레임(220) 사이에 상하 직선운동을 유도하는 선형운동 가이드수단(240)을 개재함에 따라 상기 가동 프레임(210)이 진동시 전후좌우로 진동되지 않고 상하운동만이 진행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형운동 가이드수단(240)과 더불어 상기 가동 프레임(210)이 진동시 전후좌우로 진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 프레임(210)과 진동 고정 프레임(220) 사이에 다수의 판 스프링(260)이 설치된다.
상기 판 스프링(260)은 상기 가동 프레임(210)과 진동 고정 프레임(22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몰드(110)의 단변(113)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의 판 스프링(26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높이 차를 두고 2개씩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오실레이터 유닛(200)에 상기 몰드 유닛(100)을 거치하여 조립할 때 상기 몰드 유닛(1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몰드 유닛(100)이 설치되는 위치를 거치할 때 또는 거치 후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몰드 유닛(100)의 조립되는 경로를 안내하는 수단과, 몰드 유닛(1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된다.
먼저, 상기 몰드 유닛(100)을 상기 오실레이터 유닛(200)에 조립하기 위하여 오실레이터 유닛(200)의 상부에서 직하방으로 이동시킬 때 몰드 유닛(1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130)의 하부 또는 측부에는 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가이드 바(133)가 설치되고,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220)에는 상기 가이드 바(133)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 바(133)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대면되면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케이스(225)가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몰드 유닛(100)을 오실레이터 유닛(200)에 조립하기 위하여 직하방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가이드 바(133)가 상기 가이드 케이스(225)에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면서 몰드 유닛(100)의 이동이 안내되는 것이다.
또한,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정돌기 및 조정블럭 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측면도로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 유닛(100)이 설치되는 위치를 거치 후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130)의 측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조정돌기(13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측단부에는 상기 몰드(110)의 단변(113)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조정돌기(135)가 인입되는 조정블럭 수단(250)이 설치된다.
상기 조정돌기(135)는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130)의 측단부로 연장되는 수단으로서, 그 형상 및 길이는 특정 형상 및 길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조정돌기(135)가 상기 조정블럭 수단(250)에 인입될 때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130)의 측단부로 연장되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정블럭 수단(250)은 상기 조정돌기(135)의 거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130)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조정블럭 수단(250)은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측단부에서 상기 몰드(110)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정 브래킷(251)과, 상기 한 쌍의 조정 브래킷(251)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스크류볼트(253)와, 상기 한 쌍의 조정 브래킷(251)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볼트(253)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볼트(25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몰드(110)의 단변(113)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조정돌기(135)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인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개구된 인입구가 형성되는 조정블럭(255)을 포함한다.
그래서 상기 몰드 유닛(100)을 오실레이터 유닛(200)에 거치하는 경우에 상기 조정돌기(135)가 상기 조정블럭(255)의 인입구로 인입되도록 상기 몰드 유닛(100)을 하부로 이동시켜 거치한 후에 상기 스크류볼트(253)를 회전시켜 상기 조정블럭(255)이 상기 스크류볼트(253)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조정돌기(135)가 함께 이동되면서 몰드 유닛(100)이 일체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몰드 유닛(100)을 오실레이터 유닛(200)에 거치한 상태에서 그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몰드 유닛(100)과 오실레이터 유닛(200)의 조립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정돌기(135) 및 상기 조정블럭 수단(250)은 원활한 위치 조정을 위하여 각각 상기 몰드(110)의 단변(113)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130)의 측단부 및 상기 가동 프레임(210)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몰드의 하부에는 주편의 주조시 주편이 몰드에서 인출된 후 세그먼트롤러로 안내되도록 풋롤러(Foot Roller)가 배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풋롤러(140)를 상기 몰드 유닛(100)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에 따라 풋롤러(140)의 교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풋롤러 및 풋폴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변 프레임(120)의 하부에 풋롤러(140)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풋롤러(140)는 다수개가 브래킷 프레임(141)에 회전가능하게 일렬로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 프레임(141)의 양측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수의 롱볼트(143)가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롱볼트(143)를 상기 장변 프레임(120)에 연결시킨 다음 너트(145)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풋롤러(140)의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롱볼트(143)가 상기 장변 프레임(120)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장변 프레임(1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장변 프레임(120)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롱볼트(143)의 상단부위에 너트(145)를 나사결합시켜 상기 풋롤러(140)를 장변 프레임(12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주조속도 2 m/min 이상인 고속 주조시 이상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110)의 진동속도와 주조되는 주편의 상대속도를 줄이도록 주조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몰드(110)의 진동 주파수는 감소시키고, 상기 몰드(110)의 진동 진폭을 증가시킨다.
그 이유는 고속주조 시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편과 몰드(110)의 진동 사이의 상대속도를 줄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고속주조 시에 몰드(110) 진동의 상승속도를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부연하자면 몰드진동 속도, Work 및 마찰력은 하기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과 같이 정의 또는 연산된다.
몰드진동 속도(v) ∝ Stroke x Frequency (수학식 1)
Work = ½ mv2 (수학식 2)
마찰력 = Fcast - Fno (수학식 3)
상기 수학식 3에서 알 수 있듯이 주조 시의 힘이 작아야 마찰력이 작아지는데, 이를 위해서는 가속도를 줄여야 한다.
따라서, 몰드(110)의 진동속도와 주조되는 주편의 상대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주조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파수를 줄이고 진폭을 증가하는 패턴을 적용한다. 또한, 주편과 몰드(110)의 마찰력에 의한 인장력의 작용으로 주편이 찢어지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주편에 압축력을 줄 수 있도록 몰드(110)의 하강속도를 주편보다 더 빨리 하강할 수 있는 파형으로 운전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몰드(110)의 하강속도 즉, 진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3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131)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 서보 밸브(310)와, 상기 유압 서보 밸브(310)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제공수단(320)과, 상기 몰드(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330)와, 상기 위치센서(330)에서 감지되는 상기 몰드(1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압 서보 밸브(310) 및 유압 제공수단(3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가 구비되는 제어기(34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패턴 생성을 위한 조업정보는 상위 시스템(레벨2) 또는 HMI 시스템에서 수신하게 되고, 제어된 결과는 상위 시스템으로 피드백된다. 이러한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주조속도에 따라 몰드(110) 진동의 진폭과 진동수를 제어함으로써 고속주조를 위한 패턴을 생성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종래의 주조 조업 제어와 본 발명에 따른 주조 조업 제어시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주조 패턴으로 조업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주조속도가 증가하면 진동 속도가 증가되고, 진동 파워가 계속 증가되어 충격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반면에, 도 1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조 패턴으로 조업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주조속도가 증가해도 진동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진동 파워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안정된 진동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의 작동시 발생되는 현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속주조 시에 제어기(340)에서 발생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유압실린더(131)를 제어하면서 작동시키면 몰드(110)가 상하로 진동패턴이 제어되면서 진동되고, 이에 따라 몰드(110)의 벽과 주편의 응고막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윤활제인 파우더의 유입을 제어된다. 이에 따라 주편의 품질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탕면 요동이 없도록 몰드(110)의 상하 직진성이 유지된다.
특히, 판 스프링(260)에 의해 가동 프레임(210)이 상하운동 할 때 몰드(110)의 전후 움직임을 방지되는 동시에, 선형운동 가이드수단(240)에 의해 몰드(110)의 무게중심 편차로 인해 발생가능한 몰드(110)의 롤링이 방지되고, 완충수단(230)에 개재된 고무 스프링(235)에 의해 상하진동 시에 구조물에 전달되는 이상진동이 방지된다.
한편, 고무 스프링(235)의 탄성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 고무 스프링(235)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가 가해지도록 압축 변위를 조정하는 간격고정블럭(223)의 높이를 설정하여 설치함에 따라 완충수단(230)이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게 되며, 이때 완충수단(230)이 상부로 작용하는 탄성력으로 인한 변위를 제한하는 리미트(236)를 설치하여 조정함에 따라 완충수단(230)의 최대 이완된(상승된) 위치를 원하는 위치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유압실린더(131)의 진폭 제어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몰드 유닛 110: 몰드
111: 장변 113: 단변
120: 장변 프레임 130: 몰드 고정 프레임
131: 유압실린더 133: 가이드바
135: 조정돌기 140: 풋롤러
141: 브래킷 프레임 143: 롱볼트
145: 너트 200: 오실레이터 유닛
210: 가동 프레임 211: 고정 플레이트
220: 진동 고정 프레임 221: 조정 플레이트
223: 간격고정블럭 225: 가이드 케이스
230: 완충수단 231: 제 1 핀하우징
232: 제 2 핀하우징 233: 제 3 핀하우징
234: 암 234a: 핀부
235: 고무 스프링 240: 선형운동 가이드수단
241: 가이드 레일 243: 운동블럭
250: 조정블럭 수단 251: 조정 브래킷
253: 스크류볼트 255: 조정블럭
260: 판 스프링 300: 제어부
310: 유압 서보 밸브 320: 유압 제공 수단
330: 위치센서 340: 제어기

Claims (22)

  1. 연속 주조용 몰드를 상하로 진동시키는 몰드 진동장치로서,
    상기 몰드가 설치되는 한 쌍의 몰드 고정 프레임에 진동을 인가하도록 상부에는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의 단부가 결합되고, 중앙 하부에는 상하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연결되는 한 쌍의 가동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이 거치되는 한 쌍의 진동 고정 프레임과;
    고무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의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의 양측 하부와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완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 1 핀하우징과;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 2 핀하우징과;
    상기 제 1 핀하우징과 제 2 핀하우징을 다수의 암에 의해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제 3 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핀하우징 내지 제 3 핀하우징과 상기 암의 대면부위는 상기 고무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암의 회동을 제한시키면서 진동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진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에서 높낮이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는 조정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조정 플레이트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과 상기 조정 플레이트 사이에는 간격고정블럭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진동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암은 양단에 상기 제 1 핀하우징 내지 제 3 핀하우징에 핀결합되는 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핀부는 상기 제 1 핀하우징 내지 제 3 핀하우징에 결합되는 부위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외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핀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1 핀하우징 내지 제 3 핀하우징의 이격공간에 상기 고무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진동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에 개재된 고무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 상기 조정 플레이트가 배치되도록 상기 간격고정블럭의 높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진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과,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진동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은 "T"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부 양측 영역과 하부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 진동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 또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 직선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 또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활주되는 운동블럭을 포함하는 몰드 진동장치.
  9. 연속으로 주편을 주조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로서,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갖는 몰드와, 상기 몰드의 양측부를 고정하는 한 쌍의 몰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몰드 유닛과;
    상기 한 쌍의 몰드 고정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면서 중앙 하부에는 상하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연결되는 한 쌍의 가동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이 거치되는 한 쌍의 진동 고정 프레임과, 고무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의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가동 프레임의 양측 하부와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오실레이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는 제 1 핀하우징과;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 2 핀하우징과;
    상기 제 1 핀하우징과 제 2 핀하우징을 다수의 암에 의해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제 3 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핀하우징 내지 제 3 핀하우징과 상기 암의 대면부위는 상기 고무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암의 회동을 제한시키면서 진동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에서 높낮이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는 조정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조정 플레이트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과 상기 조정 플레이트 사이에는 간격고정블럭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완충수단에 개재된 고무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 상기 조정 플레이트가 배치되도록 상기 간격고정블럭의 높이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과,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 또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 직선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벽 또는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활주되는 운동블럭을 포함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프레임은 "T"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형운동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부 양측 영역과 하부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오실레이터 유닛에 상기 몰드 유닛을 조립할 때 상기 몰드 유닛이 직하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조립되도록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에는 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가이드 바가 설치되고, 상기 진동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바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 바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대면되면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케이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오실레이터 유닛에 상기 몰드 유닛을 거치할 때 또는 거치가 완료된 후 상기 몰드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조정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단부에는 상기 몰드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조정돌기가 인입되는 조정블럭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조정블럭 수단은
    상기 가동 프레임의 측단부에서 상기 몰드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조정 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조정 브래킷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스크류볼트와;
    상기 한 쌍의 조정 브래킷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크류볼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몰드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조정돌기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인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개구된 인입구가 형성되는 조정블럭을 포함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조정돌기 및 상기 조정블럭 수단은 각각 상기 몰드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몰드 고정 프레임의 측단부 및 상기 가동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19.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몰드 유닛은 상기 장변이 설치되는 장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변 프레임의 하부에는 풋롤러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풋롤러는 다수개가 브래킷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일렬로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 프레임의 양측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다수의 롱볼트가 설치되고, 상기 롱볼트가 상기 장변 프레임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장변 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부위에는 상기 롱볼트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풋롤러를 장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너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2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주조속도 2 m/min 이상인 고속 주조시 이상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의 진동속도와 주조되는 주편의 상대속도를 줄이도록 주조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몰드의 진동 주파수는 감소시키고, 상기 몰드의 진동 진폭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 서보 밸브와;
    상기 유압 서보 밸브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제공수단과;
    상기 몰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와;
    상기 위치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몰드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압 서보 밸브 및 유압 제공수단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가 구비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KR1020120072559A 2012-07-04 2012-07-04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KR101433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559A KR101433452B1 (ko) 2012-07-04 2012-07-04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559A KR101433452B1 (ko) 2012-07-04 2012-07-04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29A KR20140005429A (ko) 2014-01-15
KR101433452B1 true KR101433452B1 (ko) 2014-08-26

Family

ID=5014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559A KR101433452B1 (ko) 2012-07-04 2012-07-04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702B1 (ko) * 2014-09-19 2016-06-1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연속 주조용 오실레이터의 완충장치
KR101649677B1 (ko) * 2014-10-10 2016-08-1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연속 주조용 오실레이터의 완충장치
KR101722077B1 (ko) 2014-12-22 2017-04-11 서영정밀주식회사 진동 응고 성형 장치 및 진동 성형 방법
KR200481418Y1 (ko) * 2015-03-10 2016-09-29 김정현 편백나무 옹이를 포함하는 방향제
KR102162131B1 (ko) 2016-09-21 2020-10-06 서영정밀주식회사 진동 응고 성형 장치 및 진동 성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039A (ko) * 2000-06-29 2002-01-09 이구택 몰드진동 가이드용 롤링플레이트장치
KR20030052574A (ko) *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스프링-롤러레일형 진동안내 장치를 가지는 유압식주형진동기
KR20110017891A (ko) * 2008-05-26 2011-02-22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연속 주조 플랜트용 연속 주조 몰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039A (ko) * 2000-06-29 2002-01-09 이구택 몰드진동 가이드용 롤링플레이트장치
KR20030052574A (ko) *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스프링-롤러레일형 진동안내 장치를 가지는 유압식주형진동기
KR20110017891A (ko) * 2008-05-26 2011-02-22 지멘스 브이에이아이 메탈스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연속 주조 플랜트용 연속 주조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29A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452B1 (ko) 몰드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용 몰드 설비
JP4161063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ガイド装置
JP5216008B2 (ja) 薄鋳造ストリップ鋳造方法
KR100987939B1 (ko) 반력처리장치
KR100740546B1 (ko) 금속, 특히 강의 연속 주조 장치
CN101056727A (zh) 振荡台
CN201320597Y (zh) 连铸结晶器双伺服电动缸非正弦振动台
KR101649677B1 (ko) 연속 주조용 오실레이터의 완충장치
CN205078684U (zh) 竖向可调式调频质量阻尼器
KR100646627B1 (ko) 선형 롤 갭 조절이 가능한 연주기 세그먼트
KR101820527B1 (ko) 연속 주조용 대단면 몰드설비
KR100435871B1 (ko) 스프링-롤러레일형 진동안내 장치를 가지는 유압식주형진동기
KR100392420B1 (ko) 유압 주형진동기의 진동안내 장치
CN101695745A (zh) 门式固定架振动单元
KR101630702B1 (ko) 연속 주조용 오실레이터의 완충장치
CN102139357B (zh) 连铸结晶器多波形电磁激振装置
CN201524775U (zh) 门式固定架振动单元
KR101696049B1 (ko) 오실레이션 가이딩장치
CN2829938Y (zh) 方坯连铸结晶器液压驱动全板簧振动装置
CN201249262Y (zh) 全板簧结晶器振动导向装置及结晶器振动台
KR20200064827A (ko) 주형진동장치
KR20030030390A (ko) 라운드형 판스프링을 이용한 진동안내장치
KR100897357B1 (ko) 연주기의 주형 진동장치
KR101832729B1 (ko) 연속주조기 주형진동장치
KR100448917B1 (ko) 유압 주형진동기의 자동조심형 진동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