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123B1 - 기울어진 전극판을 가지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기울어진 전극판을 가지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123B1
KR101433123B1 KR1020120094282A KR20120094282A KR101433123B1 KR 101433123 B1 KR101433123 B1 KR 101433123B1 KR 1020120094282 A KR1020120094282 A KR 1020120094282A KR 20120094282 A KR20120094282 A KR 20120094282A KR 101433123 B1 KR101433123 B1 KR 10143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rilizing water
sterilizing
electrode pl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316A (ko
Inventor
김만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렌텍
Priority to KR102012009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123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using electrical dischar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에 대한 것으로, 특히 입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중방전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출수부로 상기 살균수를 배출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물을 수중방전하기 위한 음전극판과 양전극판을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유닛;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이 상기 물이 공급되는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게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전극판에 물이나 기포가 맺히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살균수 생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울어진 전극판을 가지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Cartridge for creating sterilized water having tilted electrode plate}
본 발명은 살균수를 생성하는 카트리지에 대한 것으로, 특히 기울어진 전극판을 가지는 살균수 생성 유닛에 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판에 물이나 기포가 맺히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살균수 생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에 대한 것이다.
최근 대기나 토양의 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알러지나 아토피와 같은 환경성 질환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세탁기, 비데, 식기 세척기, 정수기 등 물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장치들은 주로 공급수로서 수돗물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수돗물 속에는 세균,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수돗물과 접촉하는 의류, 식기 또는 사람의 피부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청결성이나 위생상태를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돗물을 살균하여 살균수를 공급하는 살균수 생성장치가 개발되어져 왔다. 종래에는 수조내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격막을 구비하여 물과 염수를 섞어 희석식염수를 만들어 전기분해하여 얻어지는 산성수를 살균수로 이용하는 장치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시간당 살균수 생성량에 대한 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보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생과 안전을 위하여 살균수를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하며 제작이 용이한 살균수 제조 장치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7445호(명칭 : 살균수 생성 유닛, 이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및살균 세탁기)는, 내부에 기다란 슬롯이 복수개 형성된 한쌍의 전극판과 상기 한쌍의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쌍의 전극판을 서로 이격시키는 중공의 전극분리판으로 이루어진 극판모듈; 상기 한쌍의 전극판에 서로 다른 전극을 인가하는 한쌍의 전극봉; 및 상기 극판모듈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한쌍의 전극봉을 수용하는 전극봉수용부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판의 둘레에는 상기 한쌍의 전극봉이 관통하는 한쌍의 전극봉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전극봉홀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 유닛(도 1 참조)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살균수 생성 유닛도, 상기 전극판에 물이나 기포가 맺힘으로 인하여, 살균수 생성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극판에 물이나 기포가 맺히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살균수 생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살균수 생성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수 생성 유닛의 전극판에 맺혀진 물이나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살균수 생성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는, 입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중방전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출수부로 상기 살균수를 배출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물을 수중방전하기 위한 음전극판과 양전극판을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유닛;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이 상기 물이 공급되는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게 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중방전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출수부로 상기 살균수를 배출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물을 수중방전하기 위한 음전극판과 양전극판을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유닛;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이 상기 입수부 형성방향 또는 상기 입수부 형성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예각 범위 내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게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과 상기 입수부 사이에는 존재하는 구형 또는 다각형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입자는 접촉여재 또는 활성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울어진 전극판을 가지는 살균수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고, 이에 따라 전극판에 물이나 기포가 맺히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살균수 생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수 생성 유닛 아래에 존재하는 구형 또는 다각형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입자에 의해 전극판에 맺혀진 물이나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살균수 생성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에서, 살균수 생성 유닛이 기울어지는 방향의 일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에서, 살균수 생성 유닛이 기울어지는 방향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에서, 입자가 포함된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유닛(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의 조립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입수부(71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중방전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출수부(721)로 상기 살균수를 배출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에 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물을 수중 플라즈마 이온상태로 만드는 수중방전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발생된 음이온(O-, O3 -, OH-, HOCl, H2O2)을 이용하여 물속의 각종 세균,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살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는, 살균수 생성 유닛(10); 케이스(70); 및 지지부;를 포함하고, 그 중에서도 상기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과 케이스(70)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형태의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7445호에 개시된 살균수 생성 유닛(10)과 케이스(70)일 수 있다.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을 수중방전하기 위한 음전극판과 양전극판(2a, 2b)을 포함한다. 즉, 물 분자를 수중 방전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해함으로써 살균력을 가질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만드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은, 한쌍의 전극판(2a, 2b)과 그 사이에 위치한 전극분리판(3)으로 이루어진 극판모듈(m), 한쌍의 전극판에 서로 다른 전극을 인가하여 양 극판 사이에서 수중방전을 일으키도록 전극을 인가하는 한쌍의 전극봉(4a, 4b) 및 이 한쌍의 전극봉을 수용하고 극판모듈(m)을 고정시키는 링형 프레임(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판(2)의 내부에는 기다란 슬롯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롯을 통해 물이 통과하면서 수중방전을 통해 살균수가 생성된다. 전극판(2)의 둘레에는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둘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둘레부에는 전극판에 전극을 인가하는 전극봉(4)이 관통되는 한쌍의 전극봉홀(23a, 23b)과, 극판모듈(m)의 고정을 위한 극판고정홈(24)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전극봉홀(23a, 23b)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데, 이는 극판모듈(m)의 한쌍의 전극판(2a, 2b)에 서로 다른 전극을 손쉽게 인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프레임(5)은 극판모듈(m)을 고정시키고, 전극봉(4)을 수용 및 지지한다. 프레임(5)은 내부에 중공(51)이 형성된 링형이며, 둘레에 전극봉수용부(52) 및 고정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봉수용부(52)에는 전극봉이 삽입되는 전극봉삽입홀(53)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55)에는 극판모듈(m)을 프레임(5)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54)가 삽입되는 고정부재홈(56)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봉(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삽입,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나사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살균수 생성 유닛(10)은 복수개의 극판모듈(m1, m2, ...)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7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균수 생성 유닛(10)을 수용하고, 상기 케이스(70)는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게 하부 케이스(71) 및 상부 케이스(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71)의 하면(712)에는 입수부(711)가 구비되고, 상부 케이스(72)의 측면(722)에는 출수부(72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유닛(10)은 케이스 내부, 바람직하게는 하부 케이스(71) 내부에 구비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는 그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반드시 전극판(4)의 슬롯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별히, 본 발명은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케이스 내부, 바람직하게는 하부 케이스(71) 내부에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물이 공급되는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지지부는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카트리지(100) 또는 케이스(70) 내부에서 상기 카트리지(100) 또는 케이스(70)가 세워지는 방향 또는 그것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도록 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전극봉(4)이거나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고정부재(54)이거나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합부(717)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전극봉(4)일 수 있다. 하부 케이스(71)에는 전극봉(4)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접속단자(713)가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접속단자(713)의 내부에는 전극봉을 수용할 수 있는 접속공(715)이 형성되어, 이 접속공에 전극봉(4)을 삽입함으로써 접속단자(713)와 전극봉(4)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극봉(4)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전극봉(4a, 4b)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극봉(4a, 4b)은 나사선을 가져서, 살균수 생성 유닛(10)과 결합하면서 접속공(715) 또는 접속단자(713)에 연결될 수 있는데,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전극봉(4a, 4b)에 의하여,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은 카트리지(100) 또는 케이스(70)의 수평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가 있다. 다시 말해서, 도 3에서처럼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711)가 하부 케이스(71)의 하면(712)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물이 공급되는 방향이나 그것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소정의 각도라 함은 그 기준에 따라서 예각 또는 둔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에 형성된 전극봉수용부(52) 및/또는 전극봉삽입홀(53)이나 전극봉(4)은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 또는 전극판(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록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 또는 전극판(2)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한쪽으로는 예각 및 다른쪽으로는 둔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물이 공급되는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되면, 유입되는 물이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에 포함된 전극판(2)에 접촉하는 경우 물 흐름의 저항이 작아져서, 전극판(2)에 물이나 기포가 맺히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살균수 생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입되는 물이 경사진 살균수 생성 유닛(10)을 타고 흘러내릴 수 있기 때문에, 그 표면에 맺히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의 하단에 구비된 전극판(2), 즉 유입된 물과 처음으로 접촉되는 전극판(2b)의 슬릿이 상기 유입된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물이 상기 슬릿을 타고 흐를 수 있기 때문에 물 흐름의 저항을 더욱 작게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는 하부 케이스(71)의 입수부(711)로부터 공급되는 물(공급수)이 살균수 생성 유닛(10)의 전극판(4)의 전면적에 걸쳐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유로가이드부재(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가이드부재(6)는 살균수 생성 유닛(10)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입수부(711)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로가이드부재(6)는 원판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물이 통과하는 안내공(61)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가이드부재(6)의 양측에는 전극봉(4)이 접촉없이 통과하도록 하는 전극봉통과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봉통과부는(62) 유로가이드부재(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이 유로가이드부재(6)와 조립될 때 이들 사이에 물이 이동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전극봉(4)은 전극봉통과부(62)의 전극봉안내홀(63)을 통과하여 하부 케이스(71)의 접속단자(7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극봉안내홀(63)의 크기는 전극봉의 외경보다 충분히 큰 크기로 형성되므로 전극봉은 유로가이드부재(6)와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고정부재(54)인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의 조립 단면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고정부재(54a, 54b)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즉, 하부 케이스(71)에는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안착되고,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은 하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재수용부(716)에 고정부재(54)를 삽입 고정함으로써 하부 케이스(71)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54a, 54b)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져서,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에 형성된 고정부(55) 및/또는 고정부재홈(56)이나 고정부재(54)가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 또는 전극판(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록 기울어진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합부(717)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의 조립 단면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부는 살균수 생성 유닛(10)을 카트리지(100) 내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수단이다.
상기 결합부(717)는 카트리지(100) 케이스(70)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부 또는 돌출부일 수 있고, 접철식 결합수단이거나, 슬라이딩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결합부(717)는 살균수 생성 유닛(10) 아래에 위치하는 하단결합부(717a) 및/또는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 위에 위치하는 상단결합부(717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717)는 카트리지(100) 또는 케이스(70)의 양쪽 내면에 높이를 달리하여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에서,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기울어지는 방향의 일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은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입수부(711) 형성방향(Y) 또는 상기 입수부(711) 형성방향의 수직 방향(X)에 대하여 예각(y 또는 x) 범위 내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게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일 수 있다.
여기서, 입수부(711)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에서 위아래 방향,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술한 바와 같고,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입수부(711)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에 포함된 전극판(2)에 접촉할 때 물 흐름의 저항이 작아져서, 전극판(2)에 물이나 기포가 맺히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살균수 생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에서, 살균수 생성 유닛(10)이 기울어지는 방향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여기서, 입수부(711)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에서 좌우 방향,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수부(711) 형성방향(Y)으로 다수개가 나열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입수부(711) 형성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적층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유닛(10)은 입수부(711) 형성방향(Y) 또는 상기 입수부(711) 형성방향의 수직 방향(X)에 대하여 예각 범위 내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를 위한 지지부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에서, 입자(80)가 포함된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입자(80)는 구형 또는 다각형 파티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유닛(10) 아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과 상기 입수부(711) 사이에는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8에서는 유로가이드부재(6) 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입자(80)를 담고 있는 별도의 수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입자(80)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유닛(10) 아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물이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10)으로 이동될 때 상기 입자(80)도 함께 이동하면서 전극판(2)에 부딪힘으로써, 상기 전극판(2) 표면에 맺힌 물이나 기포를 제거해 주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자(80)는 전극판(2)의 슬롯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0.1mm ~ 50mm 범위 내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mm ~ 10mm 범위 내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입자(80)의 움직임이 덜하고 전극판(2) 표면에 고르게 부딧힐 수 없어서, 물이나 기포를 제거해 주는 기능이 떨어진다.
만약, 상기 입자(80)가 접촉여재 또는 활성탄인 경우에는 부가적으로 유입되는 물을 정화시킬 수 있어서, 수중 방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효과적인 살균수 생성이 가능하다.
한편,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수부(711)가 케이스(70) 하면의 일측에 편중되어 있는 경우, 유로가이드부재(6)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공(61)은 상기 입수부(711)에 대응하는 유로가이드부재(6)의 일측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그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살균수 생성 유닛(10)의 전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는 살균수 생성 유닛(10), 그 중에서도 전극판(2)의 온도를 센싱 및/또는 제어할 수 있는 온도조절수단(9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온도조절수단(9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온도를 센싱하거거나 주변의 온도를 높게 또는 낮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모든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전원에 의해 주변 전극판(2)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게 할 수 있다.
전극판(2) 사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즈마는 유입되는 물의 온도, 전극판의 온도 또는 주변 환경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온도조절수단(90)을 이용하여, 플라즈마가 가장 효과적으로 발생하는 최적의 온도를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전극판(2) 자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전극판(2)에 맺히는 물이나 기포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온도조절수단(90)을 통하여, 전극판(2)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물이나 기포가 맺히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100)는 초음파진동자(57)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균수 생성 유닛(10)의 프레임(5)에 초음파진동자(57)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초음파진동자(57)는 물의 전기분해시 전극판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거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전극판 표면에 형성된 물기나 기포를 제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초음파진동자(57)의 설치 위치는 반드시 프레임(5)에 한정되지 않으며, 초음파진동자(57)에 의한 물리적 진동이 전극판(2)에 전달될 수 있는 곳이라면 카트리지(100) 내부의 어느 곳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2 : 전극판 3 : 전극분리판
4 : 전극봉 5 : 프레임
6 : 유로가이드부재 7 : 케이스
10 : 살균수 생성 유닛 23 : 전극봉홀
24 : 극판고정홈 51 : 중공
52 : 전극봉수용부 53 : 전극봉삽입홀
54 : 고정부재 55 : 고정부
56 : 고정부재홈 57 : 초음파진동자
61 : 안내공 62 : 전극봉통과부
63 : 전극봉안내홀 70 : 케이스
71 : 상부 케이스 72 : 하부 케이스
80 : 입자 90 : 온도조절수단
100 :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711 : 유입구
712 : 하면 713 : 접속단자
714 : 안착부 715 : 접속공
716 : 고정부재수용부 717 : 결합부
721 : 출수부

Claims (4)

  1. 삭제
  2. 입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중방전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고 출수부로 상기 살균수를 배출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물을 수중방전하기 위한 음전극판과 양전극판을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유닛;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이 상기 입수부 형성방향 또는 상기 입수부 형성방향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예각 범위 내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게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 유닛과 상기 입수부 사이에는 존재하는 구형 또는 다각형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접촉여재 또는 활성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KR1020120094282A 2012-08-28 2012-08-28 기울어진 전극판을 가지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KR101433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282A KR101433123B1 (ko) 2012-08-28 2012-08-28 기울어진 전극판을 가지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282A KR101433123B1 (ko) 2012-08-28 2012-08-28 기울어진 전극판을 가지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316A KR20140028316A (ko) 2014-03-10
KR101433123B1 true KR101433123B1 (ko) 2014-08-25

Family

ID=5064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282A KR101433123B1 (ko) 2012-08-28 2012-08-28 기울어진 전극판을 가지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1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163A (ko) * 2000-09-06 2002-03-14 사와다 유이치 전해수 생성장치
KR100927445B1 (ko) 2009-03-04 2009-11-19 조금일 살균수 생성 유닛, 이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및살균 세탁기
KR20100088727A (ko) * 2009-02-02 2010-08-11 신태철 수도꼭지용 전해수기
KR20110042868A (ko) * 2009-10-20 2011-04-27 (주)이알씨 컨트롤러 일체형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163A (ko) * 2000-09-06 2002-03-14 사와다 유이치 전해수 생성장치
KR20100088727A (ko) * 2009-02-02 2010-08-11 신태철 수도꼭지용 전해수기
KR100927445B1 (ko) 2009-03-04 2009-11-19 조금일 살균수 생성 유닛, 이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및살균 세탁기
KR20110042868A (ko) * 2009-10-20 2011-04-27 (주)이알씨 컨트롤러 일체형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316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445B1 (ko) 살균수 생성 유닛, 이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및살균 세탁기
US20130152982A1 (en) Device for cleaning medical device
KR100597503B1 (ko) 은이온수 제조장치
JP2008079725A (ja) 空気除菌装置
KR100899516B1 (ko) 공기 제균 장치
KR101433125B1 (ko) 베이스 부재와 결합이 용이한 살균수 생성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무좀치료용 족욕기
KR101433123B1 (ko) 기울어진 전극판을 가지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JP5648867B2 (ja) 一方向入出水部を持つ殺菌水生成カートリッジ
KR101433128B1 (ko) 전극판 아래 입자를 가지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CN113993262A (zh) 等离子体活化水发生装置及其控制方法及清洗设备
KR100199509B1 (ko) 수중방전용 셀 및 이를 이용한 기포 발생장치
KR101433131B1 (ko) 전극판 간격 유지를 위한 극판지지봉을 가지는 살균수 생성 유닛
KR101739123B1 (ko) 바이패스부를 가지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KR101433122B1 (ko) 전극판 결합을 위한 돌출형 체결부를 가지는 살균수 생성 유닛
KR101695854B1 (ko) 살균수 순간 제조장치
KR101459346B1 (ko) 슬라이딩부를 가지는 대용량 중성 살균수 생성 유닛 및 장치
KR20150115313A (ko) 정수기의 전해조 장치
KR102310728B1 (ko) 살균수 제조장치
KR20190047594A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가전 제품
KR20040067803A (ko) 수중방전 발생 코어와 이를 이용한 살균수 공급 장치
CN216291547U (zh) 等离子体活化水发生装置及清洗设备
KR20230080742A (ko) 전해모듈이 설치된 가습기용 증기토출관 및 이를 이용한 살균 가습기
KR20090096267A (ko) 전기분해 샤워장치
KR101534925B1 (ko) 살균수 분사 노즐 및 이를 갖는 비데
JP4878851B2 (ja) 空気除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