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654B1 - 렌즈 탈부착형 안경 - Google Patents

렌즈 탈부착형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654B1
KR101432654B1 KR1020120038570A KR20120038570A KR101432654B1 KR 101432654 B1 KR101432654 B1 KR 101432654B1 KR 1020120038570 A KR1020120038570 A KR 1020120038570A KR 20120038570 A KR20120038570 A KR 20120038570A KR 101432654 B1 KR101432654 B1 KR 10143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ixing
sides
fixing pa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853A (ko
Inventor
주행동
Original Assignee
(주)쓰리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옵틱스 filed Critical (주)쓰리옵틱스
Priority to KR102012003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65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10Special mounting grooves in the rim or on th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탈부착형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부와 다리부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양쪽의 상부 테 및 하부 테의 바깥쪽으로는 안경테의 다른 부위보다 얇은 두께의 약 연결판으로 각각 연결된 렌즈고정부를 설치하고, 렌즈부 양쪽의 상부 테 및 하부 테의 안쪽으로는 상기 렌즈고정부를 수용하는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렌즈부 양쪽의 상부 테 및 하부 테와 약 연결판 및 렌즈고정부는 일자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이와 같이 렌즈를 렌즈고정부와 걸림스토퍼에 의해 고정하거나 분리함으로써 렌즈의 고정이 더욱 확실하면서도 교체가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렌즈 탈부착형 안경{GLASS FRAME OF LENSE CHANGE TYPE}
본 발명은 렌즈 탈부착형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렌즈부와 다리부로 구성되는 상기 렌즈부 양쪽의 상부 및 하부에 얇은 두께의 약 연결판으로 연결된 렌즈고정부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렌즈고정부가 힌지로 작동하는 약 연결판에 의해 회동하여 렌즈부 안쪽의 고정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렌즈부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렌즈를 자유롭게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렌즈 탈부착형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렌즈를 자유롭게 교체하는 안경이 있으며, 이러한 렌즈 교체형 안경의 대부분은 안경테에 렌즈를 걸어 고정하거나 분리하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보통은 렌즈가 고정되어 있는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렌즈가 안경테로부터 임의로 분리되거나 하는 일이 없어 문제가 없지만, 필요에 따라 렌즈를 교체하여 사용하기 위해 안경테로부터 렌즈가 분리되는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 안경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렌즈가 안경테에 확실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다가 렌즈를 교체하려 할 때에는 렌즈가 수월하게 안경테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렌즈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종래 안경의 경우, 상기 렌즈가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지 못하는 안경이 있어 안경 사용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렌즈를 확실하게 고정한 안경인 경우에는 안경테로부터 상기 렌즈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렌즈의 교체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렌즈 교체형의 안경의 경우 안경에 렌즈를 고정하여 사용할 때에는 상기 렌즈가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다가, 렌즈를 교체하기 위해 안경테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좀더 수월하게 상기 안경테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4683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7881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렌즈부와 다리부로 구성되는 안경의 상기 렌즈부의 상부 및 하부의 바깥쪽으로 얇은 두께의 약 연결판으로 각각 연결된 렌즈고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렌즈부의 상부 및 하부의 안쪽으로는 상기 렌즈고정부가 수용되는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렌즈부의 상부 및 하부와 약 연결판 및 렌즈고정부는 일자형으로 형성한 렌즈 탈부착형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힌지로 작동하는 약 연결판에 의해 렌즈고정부가 렌즈부 쪽으로 회동하여 고정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렌즈부의 양쪽에 배치되어 렌즈고정부와 고정홈 사이에 끼워지는 렌즈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렌즈고정부를 렌즈부의 바깥쪽으로 간단하게 회동시켜 고정홈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렌즈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렌즈 탈부착형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렌즈부 안쪽의 양쪽 및 중간 면상에 렌즈를 걸어 좌우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스토퍼를 각각 형성한 렌즈 탈부착형 안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렌즈 탈부착형 안경은, 렌즈부와 다리부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양쪽의 상부 테 및 하부 테의 바깥쪽으로는 안경테의 다른 부위보다 얇은 두께의 약 연결판으로 각각 연결된 렌즈고정부를 설치하고, 렌즈부 양쪽의 상부 테 및 하부 테의 안쪽으로는 상기 렌즈고정부를 수용하는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렌즈부 양쪽의 상부 테 및 하부 테와 약 연결판 및 렌즈고정부는 일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단면이 ㄱ자 형으로 된 상기 렌즈고정부는 약 연결판을 힌지로 하여 렌즈부의 안쪽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렌즈고정부의 일부가 렌즈부 안쪽의 고정홈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렌즈부의 양쪽에 배치되는 렌즈를 각각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 렌즈부 안쪽의 양쪽 및 중간 면 상에는 렌즈를 걸어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스토퍼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렌즈 탈부착형 안경에 의하면, 상기 렌즈부에는 힌지로 작동하는 얇은 두께의 약 연결판이 연결된 렌즈고정부가 있어 렌즈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교체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렌즈의 분리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렌즈부에는 걸림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어 렌즈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렌즈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여 상기 렌즈를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경이 극장용의 일회용 3D 안경인 경우 렌즈로 사용하는 필름이 확실하게 고정되고 필름으로 된 상기 렌즈의 분리도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부착형 안경의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부착형 안경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부착형 안경에서 상기 도 2의 A-A선에 따른 렌즈고정부의 작동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부착형 안경의 사용상태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부착형 안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부착형 안경의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부착형 안경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부착형 안경은 2개의 렌즈가 고정되는 렌즈부(1)와 이 렌즈부(1)의 양쪽 옆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치는 다리부(2a)(2b)로 각각 이루어지되, 상기 렌즈부(1) 양쪽의 상부 및 하부의 바깥쪽으로는 얇은 두께의 판으로 된 약 연결판(3)으로 연결된 렌즈고정부(4)가 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렌즈부(1) 양쪽의 상부 및 하부의 안쪽에는 상기 렌즈고정부(4)가 수용되는 고정홈(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약 연결판(3)이 힌지로 작동할 수 있도록 렌즈부의 상부 및 하부와 약 연결판(3) 및 렌즈고정부는 일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고정부(4)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의 확대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1) 양쪽의 상부 및 하부의 바깥쪽으로는 중간부위에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얇아 힌지로 작동하는 약 연결판(3)이 판상의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약 연결판(3)에 렌즈고정부(4)의 중간이 연결되며, 상기 렌즈고정부(4)는 단면이 ㄱ자인 바 형태로 설치된다. 또, 상기 렌즈부(1) 양쪽의 상부 및 하부의 안쪽으로는 상기 렌즈고정부(4)가 수용되는 고정홈(5)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5)은 렌즈고정부(4)와 대략 같은 길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약 연결판(3)의 힌지 작동에 의해 상기 렌즈고정부(4)가 렌즈부(1)의 안쪽으로 회동하여 상기 렌즈부(1)의 고정홈(5)에 수용됨으로써 고정되며, 여기에서 렌즈부(1)의 상부 및 하부와 상기 약 연결판(3)은 물론 렌즈고정부(4)를 일자형으로 형성였기 때문에, 약 연결판(3)이 힌지로 작동하여 렌즈고정부(4)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부(1) 안쪽의 양쪽에는 아래위로 2개, 중간의 면 상에는 1개의 걸림스토퍼(6)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렌즈고정부(4)에 의해 렌즈를 고정하기 전에 렌즈부(1)에 놓이는 각 렌즈를 상기 걸림스토퍼(6) 하단부의 걸림홈(6a)에 걸고나서 렌즈고정부(4)에 의해 상기 렌즈를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렌즈가 상기 렌즈고정부(4)에 의해 고정됨과 동시에 걸림스토퍼(6)에 의해 좌우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렌즈를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부착형 안경에서 상기 도 2의 A-A선에 따른 렌즈고정부의 작동상태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 탈부착형 안경에서 렌즈고정부(4)는 약 연결판(3)을 힌지로 하여 렌즈부(1)의 안쪽으로 회동하면서 고정홈(5)에 수용되는데, 이때 렌즈고정부(4)가 회동하면서 단면 ㄱ자의 한쪽에 형성되는 고정돌기(4a)가 회동에 의해 렌즈부(1) 양쪽의 상부 및 하부의 안쪽을 타고 넘다가 완전히 넘어가면, 렌즈부(1) 양쪽의 상부 및 하부의 안쪽에 형성된 고정홈(5)에 상기 고정돌기(4a)가 삽입되면서 렌즈고정부(4)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렌즈고정부(4)의 고정돌기(4a)가 렌즈부(1) 양쪽의 상부 및 하부를 타고 넘어갈 때 모서리가 곡선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월하게 타고 넘어가지만, 타고 넘어간 후 상기 고정돌기(4a)가 렌즈부(1)의 고정홈(5)에 삽입되면 걸려있는 관계로 인해 상기 고정돌기(4a)가 삽입된 렌즈고정부(4)는 자연적으로는 분리되지 않고 강제로 약간의 힘을 주어야만 고정홈(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고정부(4)의 회동으로 고정홈(5)에 삽입함으로써 렌즈(7)를 확실하게 고정하게 되지만 상기 고정홈(5)에 삽입된 렌즈고정부(4)를 억지로 분리하지 않은 한 렌즈(7)는 렌즈부(1)로부터 절대로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렌즈고정부(4)에 의해 렌즈(7)를 렌즈부(1)에 고정하였다 하더라도 아래위로만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렌즈(7)가 좌우로 유동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나, 상기 걸림스토퍼(6)의 걸림홈(6a)에 렌즈(7)의 좌우 양쪽이 각각 걸려 있기 때문에 좌우로 유동할 수 없어 상기 렌즈(7)를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부착형 안경의 사용상태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 탈착형 안경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2개의 렌즈(7)를 렌즈부(1) 양쪽 및 중간의 걸림스토퍼(6)의 걸림홈(6a)에 각각 걸고나서, 상부 및 하부의 렌즈고정부(4)를 힌지로 작동하는 약 연결판(3)에 의해 회동시키면서 렌즈부(1)의 고정홈(5)에 각각 수용하여 렌즈를 고정한 후, 안경을 착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사용자의 귀에 상기 각 다리부(2a)(2b)를 걸쳐 사용한다. 이때, 상기 렌즈가 필름과 같은 소프트한 재질로 되어 있다면 상관없지만, 유리와 같은 하드한 재질로 되어 있다면 걸림스토퍼(6)를 유연한 재질로 하여, 렌즈가 상기 걸림스토퍼(6)의 상부에서 하부로 타고넘다 아래쪽의 걸림홈(6a)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7)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렌즈고정부(4)를 렌즈부의 바깥쪽으로 강제로 회동시켜 고정홈(5)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걸림스토퍼(6)의 걸림홈(6a)에 걸려 있는 렌즈(7)를 분리하고, 다른 렌즈를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렌즈부(1)의 양쪽에 각각 고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탈부착형 안경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렌즈부 2a,2b : 다리부
3 : 약 연결판 4 : 렌즈고정부
4a : 고정돌기 5 : 고정홈
6 : 걸림스토퍼 6a : 걸림홈
7 : 렌즈

Claims (5)

  1. 렌즈부(1)와 다리부(2a)(2b)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1) 양쪽의 상부 테 및 하부 테의 바깥쪽으로는 안경테의 다른 부위보다 얇은 두께의 약 연결판(3)으로 각각 연결된 단면이 ㄱ자 형으로 된 렌즈고정부(4)를 설치하고, 렌즈부(1) 양쪽의 상부 테 및 하부 테의 안쪽으로는 상기 렌즈고정부(4)를 수용하는 고정홈(5)을 형성하며, 상기 렌즈부(1) 양쪽의 상부 테 및 하부 테와 약 연결판(3) 및 렌즈고정부(4)는 일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탈부착형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고정부(4)는 약 연결판(3)을 힌지로 하여 렌즈부(의 안쪽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렌즈고정부(4)의 일부가 렌즈부(1) 안쪽의 고정홈(5)에 각각 수용되어, 상기 렌즈부(1)의 양쪽에 배치되는 렌즈(7)를 각각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탈부착형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렌즈부(1) 안쪽의 양쪽 및 중간 면 상에는 렌즈(7)를 걸어 좌우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스토퍼(6)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탈부착형 안경.
  4. 삭제
  5. 삭제
KR1020120038570A 2012-04-13 2012-04-13 렌즈 탈부착형 안경 KR10143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570A KR101432654B1 (ko) 2012-04-13 2012-04-13 렌즈 탈부착형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570A KR101432654B1 (ko) 2012-04-13 2012-04-13 렌즈 탈부착형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853A KR20130115853A (ko) 2013-10-22
KR101432654B1 true KR101432654B1 (ko) 2014-08-25

Family

ID=4963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570A KR101432654B1 (ko) 2012-04-13 2012-04-13 렌즈 탈부착형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6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120A (ko) * 2010-04-19 2010-05-24 강수진 사용자 맞춤형 입체영상용 안경
KR20100005402U (ko) * 2008-11-18 2010-05-27 김동진 렌즈를 본테와 분리하여 전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는 안경
KR20110053214A (ko) * 2011-04-21 2011-05-19 (주) 디 테크놀로지 입체영상용 안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402U (ko) * 2008-11-18 2010-05-27 김동진 렌즈를 본테와 분리하여 전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는 안경
KR20100054120A (ko) * 2010-04-19 2010-05-24 강수진 사용자 맞춤형 입체영상용 안경
KR20110053214A (ko) * 2011-04-21 2011-05-19 (주) 디 테크놀로지 입체영상용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853A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38005A (en) Spectacle frame comprising a support frame and pivoted lens frame
JP5071907B2 (ja) 眼鏡
US9016855B2 (en) Eye-lens device
JP2009528123A (ja) 眼鏡レンズ保護ケース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KR101800954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JP2006317817A (ja) 多焦点用眼鏡フレーム
KR101106877B1 (ko) 안경 및 안경의 조립 방법
KR101432654B1 (ko) 렌즈 탈부착형 안경
KR20120100577A (ko) 렌즈교체형 안경
KR20120001964U (ko) 렌즈 교환이 편리한 안경
KR20190143263A (ko) 렌즈 교환형 안경
CN211318900U (zh) 一种眼镜
KR200472592Y1 (ko) 안경용 다리 교환장치
KR101432653B1 (ko) 원피스형 3d 안경테
KR20110035498A (ko) 조립식 안경 및 그 안경의 휴대용 케이스
KR101062269B1 (ko) 안경용 힌지 조립체
JP3189038U (ja) 老眼用レンズつきサングラス
KR20130101713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 연결구조
KR20110134052A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 구조
TWM535816U (zh) 眼鏡之鉸鏈
CN216387633U (zh) 一种具有快装结构的眼镜
KR101961352B1 (ko) 안경용 착탈식 선글라스
KR101851065B1 (ko) 다리 교체가 용이한 안경
KR101396472B1 (ko) 원편광 3d안경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