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631B1 -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631B1
KR101432631B1 KR1020130027025A KR20130027025A KR101432631B1 KR 101432631 B1 KR101432631 B1 KR 101432631B1 KR 1020130027025 A KR1020130027025 A KR 1020130027025A KR 20130027025 A KR20130027025 A KR 20130027025A KR 101432631 B1 KR101432631 B1 KR 101432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ariable
signal
unit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우
손철호
Original Assignee
(주)성진아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아이엘 filed Critical (주)성진아이엘
Priority to KR102013002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는 송수신 회로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전압을 이용하여 위상 정보와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RMS(Root-Mean-Square) 감지부, RMS 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디지털 신호로부터 위상 정보와 이득 정보를 추출하고, 스미스 차트(Smith Chart) 상의 위치를 인식하여 임피던스 매칭이 최적이 되는 임피던스 포인트를 기반으로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전압 조절 신호에 따라서 전압을 생성하는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 그리고 생성된 상기 전압에 따라서 임피던스를 가변시켜 상기 송수신 회로와 상기 가변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매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RMS 감지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는 하나의 집적 회로로 형성된다.

Description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PEDANCE MATCHING OF A TUNABLE ANTENNA MODULE}
본 발명은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 이동 단말기에는 자동으로 주파수 튜닝을 수행하는 가변 안테나 모듈이 장착된다.
이동 단말기에서 안테나는 전파 신호를 송신하거나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인덕터나 커패시터를 가지고 임피던스 매칭을 함으로써 안테나의 송수신 방사 성능을 높인다. 즉, 안테나는 신호의 송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안테나와 신호 송수신 회로 간의 임피던스 매칭이 매우 중요하다.
안테나의 매칭 조건이 변화하면 자동으로 매칭을 변경하여 최적의 안테나 송수신 방사 성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회로를 가변 안테나라고 한다.
가변 안테나에는 상기 안테나와 직렬로 연결된 직렬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된 병렬 커패시터를 포함하는데, 이들 직렬 커패시터와 병렬 커패시터는 가변 커패시터로서, 임피던스 매칭 회로는 이들 커패시터들의 캐패시턴스 값을 변경하여 임피던스 매칭 또는 주파수 튜닝을 수행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8286호를 참고하면, 종래 가변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 회로는 전력 감지 회로(RF Detecter)를 이용하여 수신된 RF 신호의 전력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전력 크기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기반으로 최적의 임피던스 매칭을 찾아낸 후 바이어스 전압 조절 회로를 이용하여 고전압(High-Voltage) 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면 고전압 신호에 따라서 커패시터들의 캐패시턴스 값이 변경되어 송수신 회로와 안테나의 임피던스가 매칭된다.
그러나 전력 감지 회로는 RF 기능을 지원하는 RF 공정을 통해서만 설계되고, 바이어스 조절 회로는 3~30V 범위의 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전압을 지원하는 BCD 공정을 통해서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력 감지 회로와 바이어스 전압 조절 회로를 하나의 집적 회로로 구현할 수가 없다. 이로 인해 가변 안테나 모듈에서 임피던스 매칭 회로에 사용되는 회로 소자들이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안테나의 소형화에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8286호 (공개일: 2010.04.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변 안테나의 소형화(원칩화)를 실현할 수 있는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가 제공된다. 임피던스 매칭 장치는 가변 안테나와 연결되어 있는 송수신 회로를 통해서 입력되는 반사전력신호와 진행전력신호가 입력되면 2개의 RF 입력신호의 전압을 RMS 전류 값으로 변환하고 이득 차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제 1 직류 전압을 생성하고, 2개의 RF 입력신호의 위상차를 계산하여 위상차에 상응하는 제 2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RMS(Root-Mean-Square) 감지부, 상기 RMS 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압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위상 정보와 이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상 정보와 이득 정보를 이용하여 스미스 차트(Smith Chart) 상의 위치를 인식하여 임피던스 포인트를 확인하며, 임피던스 포인트를 기반으로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전압 조절 신호에 따라서 전압을 생성하는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 그리고 생성된 상기 전압에 따라서 임피던스를 가변시켜 상기 송수신 회로와 상기 가변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매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RMS 감지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는 하나의 집적 회로로 형성된다.
상기 매칭부는 상기 매칭부는 상기 가변 안테나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에 의해 가변되는 가변 반응형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반응형 소자는 가변 커패시터 및 가변 인덕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매칭 장치는 상기 가변 안테나와 상기 송수신 회로 사이에 연결되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신호를 상기 RMS 감지부로 전달하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 결합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전압에 따라서 가변되는 튜닝 가능 가변형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튜닝 가능 가변형 소자는 상기 가변 안테나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가변 커패시터 및 가변 인덕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은 상기 튜닝 가능 가변형 소자와 호환되는 전압 범위 내의 전압이다.
상기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는 상기 전압 조절 신호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전압을 상기 매칭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에서 송수신 회로와 가변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임피던스 매칭 방법은 RMS(Root-Mean-Square) 감지부에서 가변 안테나와 연결되어 있는 송수신 회로를 통해서 입력되는 반사전력신호와 진행전력신호가 입력되면 2개의 RF 입력신호의 전압을 RMS 전류 값으로 변환하고 이득 차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제 1 직류 전압을 생성하고, 2개의 RF 입력신호의 위상차를 계산하여 위상차에 상응하는 제 2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서 상기 직류 전압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위상 정보와 이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위상 정보와 이득 정보를 이용하여 스미스 차트 상의 위치를 인식하여 임피던스 포인트를 확인하며, 임피던스 포인트를 기반으로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에서 상기 전압 조절 신호에 따라서 매칭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임피던스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RMS 감지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는 하나의 집적 회로로 형성된다.
상기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전압 스텝에 따라 상기 위상 정보와 상기 이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하나의 집적 회로로 형성할 수 있어서 가변 안테나 모듈을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가변 안테나 모듈의 소형화로 인해 가변 안테나 모듈의 비용이나 모듈 크기 축소 및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에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임피던스 매칭 장치(100)는 결합기(110), RMS(Root-Mean-Square) 감지부(12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analog-to-digital converter, ADC)(130), 제어부(140),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 및 매칭부(160)를 포함한다.
결합부(110)는 송수신 회로(300)와 가변 안테나(200)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송수신되는 RF 신호의 반사 전력 및 진행 전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RMS 감지부(120)로 전달한다. 결합부(110)는 양방향 결합기 또는 단방향 결합기를 포함한다.
RMS 감지부(120)는 결합부(110)에서 감지된 교류에 해당하는 RF 신호의 전압을 이용하여 이득과 위상 정보를 알 수 있는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보다 상술하면, 결합기(110)에 의해서 RMS 감지부(120)에 2개의 RF 전압 즉 반사 전력 신호와 진행전력신호가 입력되면, RMS 감지부(120)는 2개의 로그 검출기에 의해 2개의 신호의 전압 크기를 비교하여 그 이득에 상응하는 제 1 직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득 차이는 2개의 로그검출기에 의해 RF 신호의 전압을 RMS 전류 값으로 변환하고 이득 차이만큼 즉, 이득에 비례하는 크기의 제 1 직류 전압을 생성한다. 그리고, 위상 차이는 2개의 로그검출기 출력 전압의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 차이만큼의 제 2 직류 전압 즉, 위상 차이에 비례하는 크기의 제 2 직류전압을 생성한다. 큰 전압 레벨의 RF 전압이 입력 될 경우 RMS 감지부 내의 회로들에 제공된 입력 신호들의 동적 범위를 감소 시키기 위해 입력 전압 레벨에 의존하여 가변적인 양의 감쇠를 제공할 하는 프로그래머블 감쇠기가 로그 검출기 앞에 포함 할 수 있다.
이러한 RMS 감지부(120)를 이용하면, RF 공정이 아닌 하이볼티지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할 수 있고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와 하나의 집적 회로로 구현이 가능해진다.
ADC(130)는 RMS 감지부(120)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압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이 2 개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이득과 위상 정보를 추출하고, 내장되어 있는 임피던스 정보를 비교하여 스미스 차트 상위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한 위치에 해당하는 임피던스 포인트를 확인하여 임피던스 포인트 기반으로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하여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로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미리 결정된 전압 스텝에 따라 위상 정보와 이득 정보를 이용하여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할 수 있 고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임피던스 포인트를 최소의 스텝으로 달성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메모리 시스템은 최적의 매칭을 달성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부(140)는 주어진 대역(또는 채널)을 위한 최적의 튜닝 시작 위치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각각의 주파수 대역들의 각 그룹을 위한 최적의 매칭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로 하나 이상의 출력을 제공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igital-to-analog converter, DAC)(152), 고전압 구동부(154) 및 변환부(156)를 포함한다.
DAC(152)는 전압 조절 신호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고전압 구동부(154)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시킨다.
변환부(156)는 증폭된 신호의 전압을 낮은 전압에서 높은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변환부(156)는 dc-dc 변환기 또는 전하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는 임피던스 매칭이 최적이 되도록 튜닝 가능 반응형 소자들과 호환 가능한 전압을 생성 할 수 있고 전원 전압으로서 사용되는 것 보다 넓은 범위의 아날로그 튜닝 전압을 제공 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는 고전압 공정으로 설계된다.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는 하나 이상의 출력을 제공한다.
한편, 튜닝 가능 반응형 소자가 저잔압으로 동작하는 경우,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는 DAC(152)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매칭부(160)의 튜닝 가변 반응형 소자의 값을 조절하기 위해 매칭부(16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한다.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는 제어부(140)의 전압 조절 신호에 의해서 매칭부(16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이 최적이 되도록 한다.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는 임피던스 매칭이 최적이 되도록 3~30V 범위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는 BCD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매칭부(160)는 가변 안테나(200)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튜닝 가능 가변형 소자(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튜닝 가능 가변형 소자는 전압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 커패시터, 가변 인덕터, 또는 가변 커패시터와 가변 인덕터로 구성된 튜닝 가능 집적 회로들일 수 있다. 매칭부(160)는 원하는 임피던스 값을 맞추기 위하여 L 또는 파이(π) 형태의 회로를 이용하여 임피던스를 매칭할 수 있다.
매칭부(160)는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에 의해 조절된 전압에 의해 튜닝 가능 가변형 소자의 값을 변경하여 임피던스를 가변시킴으로써, 송수신 회로(300)와 가변 안테나(200)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킨다.
가변 안테나(200)는 매칭부(160)의 양단에서 신호를 주고 받는 소자이다.
이때 RMS 감지부(12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30), 제어부(140) 및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는 하나의 집적 회로(one chip)로 형성된다. 즉, RMS 감지부(120)를 RF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BCD 공정으로 형성하면, RMS 감지부(120), ADC(130), 제어부(140) 및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를 하나의 집적 회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RMS 감지부(120), ADC(130), 제어부(140) 및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를 하나의 집적 회로로 형성함으로써, 가변 안테나 모듈에서 임피던스 매칭 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저전력으로 동작이 가능해져 전력 소모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결합부(110)를 통해서 교류에 해당하는 RF 송신호가 검출되면(S310), 임피던스 매칭 장치(100)의 RMS 감지부(120)는 RF 신호의 전압으로부터 이득과 위상 정보를 알 수 있는 직류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S320).
임피던스 매칭 장치(100)의 ADC(130)는 RMS 감지부(120)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S330).
임피던스 매칭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ADC(1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이득과 위상 정보를 추출하고(S340). 내장되어 있는 임피던스 정보를 비교하여 스미스 차트 상위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한 위치에 해당하는 임피던스 포인트를 확인하여 임피던스 포인트 기반으로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하여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로 출력한다(S350).
임피던스 매칭 장치(100)의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는 임피던스 매칭이 최적이 되도록 매칭부(16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한다.
임피던스 매칭 장치(100)의 매칭부(160)는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150)에 의해 조절된 전압에 의해 가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을 변경하여 임피던스를 가변시킴으로써(S360), 송수신 회로(300)와 가변 안테나(200)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로서,
    가변 안테나와 연결되어 있는 송수신 회로를 통해서 입력되는 반사전력신호와 진행전력신호가 입력되면 2개의 RF 입력신호의 전압을 RMS 전류 값으로 변환하고 이득 차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제 1 직류 전압을 생성하고, 2개의 RF 입력신호의 위상차를 계산하여 위상차에 상응하는 제 2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RMS(Root-Mean-Square) 감지부,
    상기 RMS 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압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위상 정보와 이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상 정보와 이득 정보를 이용하여 스미스 차트(Smith Chart) 상의 위치를 인식하여 임피던스 포인트를 확인하며, 임피던스 포인트를 기반으로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전압 조절 신호에 따라서 전압을 생성하는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 그리고 생성된 상기 전압에 따라서 임피던스를 가변시켜 상기 송수신 회로와 상기 가변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매칭부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RMS 감지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는 하나의 집적 회로로 형성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가변 안테나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압에 의해 가변되는 가변 반응형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반응형 소자는 가변 커패시터 및 가변 인덕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가변 안테나와 상기 송수신 회로 사이에 연결되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F 입력신호를 상기 RMS 감지부로 전달하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 결합기
    를 더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전압에 따라서 가변되는 튜닝 가능 가변형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튜닝 가능 가변형 소자는 상기 가변 안테나와 접지단 사이에 연결되는가변 커패시터 및 가변 인덕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은 상기 튜닝 가능 가변형 소자와 호환되는 전압 범위 내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는 상기 전압 조절 신호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전압을 상기 매칭부로 출력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7.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에서 송수신 회로와 가변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방법으로서,
    RMS(Root-Mean-Square) 감지부에서 가변 안테나와 연결되어 있는 송수신 회로를 통해서 입력되는 반사전력신호와 진행전력신호가 입력되면 2개의 RF 입력신호의 전압을 RMS 전류 값으로 변환하고 이득 차이에 상응하는 크기의 제 1 직류 전압을 생성하고, 2개의 RF 입력신호의 위상차를 계산하여 위상차에 상응하는 제 2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에서 상기 직류 전압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위상 정보와 이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위상 정보와 이득 정보를 이용하여 스미스 차트 상의 위치를 인식하여 임피던스 포인트를 확인하며, 임피던스 포인트를 기반으로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에서 상기 전압 조절 신호에 따라서 매칭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임피던스를 가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RMS 감지부,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바이어스 전압 조절부는 하나의 집적 회로로 형성되는 임피던스 매칭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전압 스텝에 따라 상기 위상 정보와 상기 이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압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임피던스 포인트를 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방법.
KR1020130027025A 2013-03-14 2013-03-14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 KR101432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025A KR101432631B1 (ko) 2013-03-14 2013-03-14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025A KR101432631B1 (ko) 2013-03-14 2013-03-14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631B1 true KR101432631B1 (ko) 2014-09-23

Family

ID=5175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025A KR101432631B1 (ko) 2013-03-14 2013-03-14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937A (ko) * 2014-10-31 2021-08-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더의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932B1 (ko) 2002-01-10 2006-03-3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안테나 장치와 이를 이용한 휴대 장치
KR100785079B1 (ko) * 2006-04-04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하의 임피던스 정합시스템 및 정합방법과, 이를 적용한네트워크 분석기
KR100822844B1 (ko) 2006-11-14 2008-04-17 주식회사 네오펄스 능동형 무선 모듈
KR20130013702A (ko) * 2011-07-28 2013-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932B1 (ko) 2002-01-10 2006-03-3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안테나 장치와 이를 이용한 휴대 장치
KR100785079B1 (ko) * 2006-04-04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하의 임피던스 정합시스템 및 정합방법과, 이를 적용한네트워크 분석기
KR100822844B1 (ko) 2006-11-14 2008-04-17 주식회사 네오펄스 능동형 무선 모듈
KR20130013702A (ko) * 2011-07-28 2013-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937A (ko) * 2014-10-31 2021-08-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더의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2418661B1 (ko) 2014-10-31 2022-07-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더의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9374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thereof
US923141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JP5238884B2 (ja) 無線電力伝送装置
US9184702B2 (en) Peak-to-average ratio detector
US20110269416A1 (en) Transmitter
KR101693862B1 (ko) 그리디 알고리즘을 이용한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 시스템
CN102474294A (zh) 用于控制自适应调谐天线电路中的阻抗的装置
KR20180006176A (ko) 원거리 및 근거리 무선 충전을 위한 다중 주파수 기반의 무선 충전 시스템
CN102664601A (zh) 一种自适应阻抗匹配模块
US8779868B2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adjustable impedance matching network and associated methods
KR20130087976A (ko)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32631B1 (ko) 가변 안테나 모듈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
KR101905783B1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KR101349430B1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및 그 방법
KR101305894B1 (ko) 임피던스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07794A (ko) 무선 통신 기기용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 조정 시스템
WO2008010027A1 (en)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of tuning the transmitting device
KR101283059B1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피던스 매칭 장치
KR101208276B1 (ko) 전처리 모듈 및 이를 갖는 무선 신호 처리 장치
US20170365926A1 (en) Antenna device, contro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1905776B1 (ko) 임피던스 정합 장치 및 방법
JP4362521B2 (ja) 無線装置およびアンテナ方位調整方法
KR20120047615A (ko)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용 무선 주파수 매칭 최적화 시스템
CA2898428C (en) Amplifier circuit, antenna modul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ptis et al. Active tuning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