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039B1 -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039B1
KR101432039B1 KR1020130017781A KR20130017781A KR101432039B1 KR 101432039 B1 KR101432039 B1 KR 101432039B1 KR 1020130017781 A KR1020130017781 A KR 1020130017781A KR 20130017781 A KR20130017781 A KR 20130017781A KR 101432039 B1 KR101432039 B1 KR 101432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ser device
server
us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만식
이찬영
김동언
이일철
Original Assignee
(주)가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비아 filed Critical (주)가비아
Priority to KR102013001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04L61/2575NAT traversal using address mapping retrieval, e.g. simple traversal of user datagram protocol through 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STU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08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인증 서버에게 제1 사용자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 제1 사용자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가 인증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접속 정보 및 스트리밍 서버와의 제2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일회용 인증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트리밍 서버에게 일회용 인증 정보가 포함된 제2 사용자 인증 요청을 전송한 후, 제2 사용자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IP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Method for remote monitoring using IP camera}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나 아이피 카메라(IP Camera, Network Camera)를 이용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개인이 제공받기 위해서는 CCTV와 DVR(Digital Video Recorder)을 구매하여 설치하고, 모니터링 룸 및 모니터링 장비를 설치하는 방식이거나, 보안 전문업체를 통하여 장비를 구매 혹은 대여하고, 전문업체의 시스템과 설치된 DVR에 직접 접속하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식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CCTV, DVR과 같은 장비 구매 비용과 설치비용이 높고, 서비스 이용을 위한 작동방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가 인증 서버에게 제1 사용자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접속 정보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와의 제2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일회용 인증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상기 일회용 인증 정보가 포함된 제2 사용자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IP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효 기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접속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IP 카메라의 MAC 주소가 포함된 카메라 인증 요청을 상기 인증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접속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촬영한 영상을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IP 카메라가 전송한 상기 촬영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며, IP 카메라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는 카메라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IP 카메라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상기 IP 카메라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IP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간의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위한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2P 연결 요청을 상기 IP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P2P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IP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각각이 공인 IP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 중 어느 IP 주소를 사용하는지 여부 또는 방화벽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IP 카메라가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 기반으로 상기 IP 카메라에 접속하는 제1 프로세스, 상기 IP 카메라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IP 카메라에 대한 사설 IP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을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IP 카메라에 대한 사설 IP 주소를 이용하여 RTSP 프로토콜 기반으로 상기 IP 카메라에 접속하는 제2 프로세스,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모두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서버를 통한 홀 펀칭(Hole Punching)을 이용하여 상기 IP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P2P 통신 링크를 생성하는 제3 프로세스 및 상기 제1 프로세스 내지 제3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P2P 통신 링크 생성에 실패하면,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중계를 통한 통신 링크를 생성하는 제4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서버에 항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IP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IP 카메라와 사용자 디바이스간의 P2P 연결을 요청하는 P2P 연결 요청을 상기 IP 카메라가 랑데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랑데부 서버에게 상기 IP 카메라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위한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P2P 통신 링크가 생성되면,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실시간으로 전송 중인 상기 촬영한 영상을 상기 P2P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위한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수행한 결과 상기 P2P 통신 링크의 생성에 실패하면,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실시간으로 전송 중인 상기 촬영한 영상을 계속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어느 장소에서 있던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간편하게 IP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방화벽이 설치된 환경의 IP 카메라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간에도 단시간에 P2P 통신 링크를 생성하여 IP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IP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인증 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IP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110)가 사용자 인증 정보가 포함된 제1 사용자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120)에게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형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효 기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ID, 패스워드, 주민등록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 유형은 저장형 서비스, 실시간형 서비스, 동작 감지형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형 서비스는 IP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을 촬영한 영상을 지속적으로 저장하면서 사용자 디바이스(110)가 영상을 요청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 그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는 방식이고, 실시간형 서비스는 IP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을 촬영하되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 디바이스(110)가 영상을 요청하면 IP 카메라가 현재 촬영하고 있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하는 방식이고, 동작 감지형 서비스는 평상시에는 IP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을 촬영하되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지 않다가 그 지역 내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영상을 저장하였다가 사용자 디바이스(110)가 영상을 요청하면 그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다만, 모니터링 서비스 유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서비스 유형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서비스는 유효 기간이 설정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IP 카메라를 구매하면서, 제공받고자 하는 모니터링 서비스와 서비스 기간을 선택한 후 그에 해당하는 금액을 결제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저장형 서비스의 1년 사용료에 해당하는 금액을 결제했다면 그 저장형 서비스의 유효 기간은 1년이 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인증 서버(120)가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사용자에 대한 제1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인증 서버(120)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사용자가 기존에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할 때 인증 서버(120)에 전송하였던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형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효 기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 디바이스(110)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상호 비교를 통해 제1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인증 서버(12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라고 판단하여 스트리밍 서버(130)와의 제2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일회용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
만일, 인증 서버(12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를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라고 판단하였다면, 인증 서버(120)는 일회용 인증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인증 서버(120)가 일회용 인증 정보 및 스트리밍 서버(13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인증 서버(12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를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라고 판단하였다면, 인증 서버(120)는 일회용 인증 정보 및 스트리밍 서버(13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하지 않는다.
이때, 스트리밍 서버(130)에 대한 접속 정보는 스트리밍 서버(130)의 공인 IP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 MAC 주소, 포트 정보 등일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130)에 대한 접속 정보는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저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실시간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동작 감지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각각 상이한 서버일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 각각의 서버는 상이한 IP 주소 및 MAC 주소를 가진다.
또한, 인증 서버(120)는 스트리밍 서버(130) 하나에 지나치게 많은 IP 카메라들이 연결되어 스트리밍 서버(130)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스트리밍 서버(130)에게 적정한 개수의 IP 카메라들을 할당하고, 그 개수를 초과하는 IP 카메라들은 다른 스트리밍 서버에게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110)가 일회용 인증 정보가 포함된 제2 사용자 인증 요청을 스트리밍 서버(130)에게 전송한다.
여섯 번째 단계에서는, 스트리밍 서버(13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한 일회용 인증 정보가 포함된 제2 사용자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120)에게 전송한다.
이는, 스트리밍 서버(130)가 사용자 인증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인증 기능이 있는 인증 서버(120)에게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일곱 번째 단계에서는, 인증 서버(120)가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제2 사용자 인증 요청에 포함된 일회용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인증 서버(120)는 자신이 생성한 일회용 인증 정보와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일회용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라고 판단한다.
여덟 번째 단계에서는, 인증 서버(120)가 제2 사용자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스트리밍 서버(130)에게 전송한다.
아홉 번째 단계에서는, 제2 사용자 인증 결과 메시지에서 사용자 디바이스 (110)의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라고 표시되는 경우에는 스트리밍 서버(130)가 IP 카메라(미도시)가 촬영한 영상을 IP 카메라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한다.
이때, 스트리밍 서버(130)는 IP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IP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을 저장하였다가 그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만일, 제2 사용자 인증 결과 메시지에서 사용자 디바이스 (110)의 사용자가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라고 표시되는 경우에는 스트리밍 서버(130)가 IP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130)는 정당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만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사용자 인증 결과 메시지에서 사용자 디바이스 (110)의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라고 표시되는 경우에 스트리밍 서버(130)가 그 제2 사용자 인증 결과 메시지를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트리밍 서버(130)가 제2 사용자 인증 결과 메시지를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한 후에, 스트리밍 서버(130)가 인증 서버(120)에게 새로운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였음을 통지할 수 있고, 인증 서버(120)는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를 모니터링 서비스 등록자로 추가하고 스트리밍 서버(130)에게도 그 등록자 추가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증 서버(120)와 스트리밍 서버(130)가 하나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IP 카메라(140)가 IP 카메라(140)의 MAC 주소가 포함된 카메라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120)에게 전송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인증 서버(120)가 IP 카메라(140)의 MAC 주소를 이용하여 IP 카메라(140)에 대한 카메라 인증을 수행한다.
예컨대, 인증 서버(120)는 IP 카메라(140)가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자가 판매한 IP 카메라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IP 카메라(140)의 MAC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인증 서버(120)는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자가 판매한 IP 카메라들의 MAC 주소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IP 카메라(140)로부터 카메라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그 카메라 인증 요청에 포함된 MAC 주소가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IP 카메라들의 MAC 주소들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카메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인증 서버(120)가 IP 카메라(140)를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자가 판매한 적법한 카메라인 것으로 판단하여 스트리밍 서버(130)에 대한 접속 정보를 IP 카메라(140)에게 전송한다.
만일, 인증 서버(120)가 IP 카메라(140)를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자가 판매하지 않는 부적법한 카메라인 것으로 판단한다면, 스트리밍 서버(130)에 대한 접속 정보를 IP 카메라(140)에게 전송하지 않는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IP 카메라(140)가 IP 카메라(140)의 MAC 주소가 포함된 카메라 인증 요청을 스트리밍 서버(130)에게 전송한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스트리밍 서버(130)가 IP 카메라(140)의 MAC 주소가 포함된 카메라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120)에게 전송한다.
여섯 번째 단계에서는, 인증 서버(120)가 스트리밍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인증 요청에 포함된 IP 카메라(140)의 MAC 주소를 이용하여 카메라 인증을 수행한다.
일곱 번째 단계에서는, 인증 서버(120)가 카메라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스트리밍 서버(130)에게 전송한다.
여덟 번째 단계에서는, 스트리밍 서버(130) 인증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카메라 인증 결과 메시지를 IP 카메라(140)에게 전송한다.
아홉 번째 단계에서는, 카메라 인증 결과 메시지에서 IP 카메라(140)가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자가 판매한 적법한 카메라라고 표시되는 경우에, IP 카메라 (140)가 촬영한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130)에게 전송한다.
만일, 카메라 인증 결과 메시지에서 IP 카메라(140)가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자가 판매하지 않는 부적법한 카메라임을 나타낸다면 IP 카메라(140)는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130)에게 전송하지 않는다.
이때, 스트리밍 서버(130)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IP 카메라(140)로부터 수신한 촬영 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110)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서버에서 IP 카메라에 먼저 접속했던 종래 기술과는 달리 IP 카메라(140)가 카메라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120)에게 먼저 전송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IP 카메라(140)가 방화벽을 사용하거나 사설 IP 주소를 이용하여 외부의 서버가 IP 카메라(140)에 접속하지 못하는 경우라도 IP 카메라(140)와 외부의 서버간의 접속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자신의 접속 정보가 포함되며, IP 카메라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는 카메라 접속 요청을 랑데부 서버(32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랑데부 서버(320)는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20)간의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지원하는 서버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랑데부 서버(320)가 사용자 디바이스(310)에 대한 접속 정보를 IP 카메라(330)에게 전송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IP 카메라(330)가 자신의 접속 정보를 랑데부 서버(320)에게 전송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310)에 대한 접속 정보와 IP 카메라(330)에 대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랑데부 서버(320)가 사용자 디바이스 (310)와 IP 카메라(330)간의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위한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결정한다.
이때, 링크 생성 프로세스는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 각각이 공인 IP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 중 어느 IP 주소를 사용하는지 여부 또는 방화벽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랑데부 서버(320)는 IP 카메라(330)가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고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 기반으로 IP 카메라(330)에게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1 프로세스를 링크 생성 프로세스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랑데부 서버(320)는 IP 카메라(330)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고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IP 카메라(330)가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IP 카메라(330)에 대한 사설 IP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을 전송한 후,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IP 카메라(330)에 대한 사설 IP 주소를 이용하여 RTSP 프로토콜 기반으로 IP 카메라(330)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제2 프로세스를 링크 생성 프로세스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랑데부 서버(320)는 IP 카메라(330)와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모두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랑데부 서버(320)를 통한 홀 펀칭(Hole Punching)을 이용하여 IP 카메라(330)와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P2P 통신 링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3 프로세스를 링크 생성 프로세스로서 결정할 수 있다. 홀 펀칭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랑데부 서버(320)는 IP 카메라(330)와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제1 프로세스 내지 제3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P2P 통신 링크 생성에 실패하면 IP 카메라(330) 및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스트리밍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IP 카메라(330)와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스트리밍 서버의 중계를 통한 통신 링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4 프로세스를 링크 생성 프로세스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랑데부 서버(320)가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2P 연결 요청을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에게 전송한다.
여섯 번째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가 랑데부 서버(320)에 의해 결정된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따라 P2P 통신 링크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 (310)와 IP 카메라(330)가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따라 P2P 통신 링크를 생성하게 되면, 상호간에 시행착오를 겪을 필요 없이 단시간에 P2P 통신 링크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일곱 번째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간의 P2P 통신 링크가 성공적으로 생성되면, 그 생성된 P2P 통신 링크를 통해 IP 카메라(330)가 촬영한 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한다.
만일,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간의 P2P 통신 링크 생성이 실패하게 된다면,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는 스트리밍 서버(미도시)에 각각 접속한 후, IP 카메라(330)가 촬영한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에게 전송하고, 스트리밍 서버가 IP 카메라(33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IP 카메라(330)가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IP 카메라(330)가 랑데부 서버(320)에게 접속한 후 연결을 유지한 채 대기한다.
이와 같이, IP 카메라(330)는 랑데부 서버(320)에 항상 접속한 채로 대기하고 있는데, 이는 IP 카메라(330)가 랑데부 서버(320)에 항상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랑데부 서버(320)에게 IP 카메라(330)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는 카메라 접속 요청을 전송하더라도 랑데부 서버(320)가 사용자 디바이스(310)를 IP 카메라(330)와 즉각적으로 연결시켜줄 수 없기 때문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IP 카메라(330)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는 카메라 접속 요청을 랑데부 서버(320)에게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310)는 IP 카메라(33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기를 원하여 카메라 접속 요청을 랑데부 서버(320)에게 전송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랑데부 서버(320)가 스트리밍 서버(34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에게 전송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IP 카메라(330)가 촬영한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340)에게 전송한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스트리밍 서버(340)가 IP 카메라(33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IP 카메라(330)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는 카메라 접속 요청을 랑데부 서버(320)에게 전송한 경우라도, 랑데부 서버(320)가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간의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대신에, 랑데부 서버(320)가 IP 카메라(330)가 촬영한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340)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여섯 번째 단계에서는, IP 카메라(330)가 촬영한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340)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중에, 사용자 디바이스 (310)가 자신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고, IP 카메라(330)와의 P2P 연결을 요청하는 P2P 연결 요청을 랑데부 서버(320)에게 전송한다.
일곱 번째 단계에서는, 랑데부 서버(320)가 사용자 디바이스 (310)에 대한 접속 정보가 포함된 P2P 연결 요청을 IP 카메라(330)에게 전송한다.
여덟 번째 단계에서는, IP 카메라(330)가 자신의 접속 정보를 랑데부 서버(320)에게 전송한다.
아홉 번째 단계에서는, 랑데부 서버(320)가 IP 카메라(33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한다.
열 번째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20)가 P2P 통신 링크를 생성하기 위한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20)는 전술한 제1 프로세스 내지 제3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따라 P2P 통신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열한 번째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간의 P2P 통신 링크가 성공적으로 생성되면, IP 카메라(330)가 스트리밍 서버(340)로의 영상 전송을 중단하고, 영상을 P2P 통신 링크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직접 전송한다.
즉, IP 카메라(330)는 촬영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340)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하는 방식에서 스트리밍 서버(340)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직접 전송하는 방식으로 영상 전송 루트를 스위칭 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간에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위한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수행한 결과 P2P 통신 링크의 생성에 실패하면, IP 카메라(330)는 계속해서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340)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하게 된다.
도 3의 실시예와 도 4의 실시예의 차이점은, 도 3의 실시예는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간의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시도한 후, P2P 통신 링크 생성에 실패하게 되면 그때서야 IP 카메라(330)가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340)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하는 방식인 반면에, 도 4의 실시예에서는 IP 카메라(330)가 스트리밍 서버(340)를 통해 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하다가 IP 카메라(330)와 사용자 디바이스(310)간의 P2P 통신 링크가 생성되면 IP 카메라(330)가 그 새롭게 생성된 P2P 통신 링크를 통해 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하는 방식이라는 점이다.
이와 같은 차이점으로 인하여,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IP 카메라(330)와의 P2P 통신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 디바이스(310)는 IP 카메라(330)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없게 되는 반면에,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링크 생성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할 필요 없이 스트리밍 서버(340)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다가 사용자 디바이스(310)와 IP 카메라(330)간의 P2P 통신 링크 생성이 성공하면 P2P 통신 링크를 통해 영상을 수신하게 되는 것이어서, 도 4의 실시예가 도 3의 실시예에 비해서 사용자 디바이스(310)가 랑데부 서버(320)에게 카메라 접속 요청을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훨씬 짧은 시간 내에 IP 카메라(330)로부터 촬영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장치(510)는 사용자 디바이스(미도시)에 탑재되며, 인증 요청 생성부(512), 전송부(514) 및 수신부(516)를 포함한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증 서버(520) 및 스트리밍 서버(530)를 더 도시하였다.
인증 요청 생성부(512)는 사용자 인증 정보가 포함된 제1 사용자 인증 요청을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형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효 기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ID, 패스워드, 주민등록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514)는 인증 서버(520)에게 제1 사용자 인증 요청을 전송한다.
수신부(516)는 제1 사용자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 서버(520)로부터 스트리밍 서버(530)에 대한 접속 정보 및 스트리밍 서버(530)와의 제2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일회용 인증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다음으로, 인증 요청 생성부(512)는 수신부(516)를 통해 수신한 일회용 인증 정보가 포함된 제2 사용자 인증 요청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전송부(514)는 스트리밍 서버(530)에게 제2 사용자 인증 요청을 전송한다.
수신부(516)는 제2 사용자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서버(530)로부터 IP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IP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610)는 인증 요청 생성부(612), 전송부(614) 및 수신부(616)를 포함한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증 서버(620) 및 스트리밍 서버(630)를 더 도시하였다.
인증 요청 생성부(612)는 IP 카메라(610)의 MAC 주소가 포함된 카메라 인증 요청을 생성한다.
전송부(614)는 카메라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620)에게 전송한다.
수신부(616)는 카메라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 서버(620)로부터 스트리밍 서버(63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수신부(616)가 스트리밍 서버(63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면 전송부 (614)는 IP 카메라(610)가 촬영한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630)에게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인증 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710)는 수신부(712), 결정부(714) 및 전송부(716)를 포함한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720) 및 IP 카메라(730)를 더 도시하였다.
수신부(712)는 사용자 디바이스(720)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720)에 대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며, IP 카메라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는 카메라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
전송부(716)는 사용자 디바이스(720)에 대한 접속 정보를 IP 카메라(730)에게 전송한다.
다음으로, 수신부(712)는 IP 카메라(730)로부터 IP 카메라(73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
결정부(714)는 수신부(712)를 통해 수신된 접속 정보들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720)와 IP 카메라(730)간의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위한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전송부(716)는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2P 연결 요청을 사용자 디바이스(720)와 IP 카메라(730)에게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IP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810)는 전송부(812), 제어부(814) 및 수신부(816)를 포함한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트리밍 서버(820), 랑데부 서버(830) 및 사용자 디바이스(840)를 더 도시하였다.
전송부(812)는 IP 카메라(810)가 촬영한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82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전송부(812)를 통해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820)에게 전송하는 중에, 수신부(816)는 IP 카메라(810)와 사용자 디바이스(840)간의 P2P 연결을 요청하는 P2P 연결 요청을 랑데부 서버(83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P2P 연결 요청에는 사용자 디바이스(840)에 대한 접속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송부(812)는 랑데부 서버(830)에게 IP 카메라(81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부(814)는 링크 생성 프로세스와 관련된 메시지들을 생성하고, 전송부 (812) 및 수신부(816)를 제어하여 사용자 디바이스(840)와 메시지들을 송수신함으로써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위한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전송부(812)는 IP 카메라(810)와 사용자 디바이스(840)간에 P2P 통신 링크가 생성되면, 스트리밍 서버(820)에게 촬영한 영상의 전송을 중단하고, 촬영한 영상을 P2P 통신 링크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840)에게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인증 서버에게 제1 사용자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접속 정보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와의 제2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일회용 인증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상기 일회용 인증 정보가 포함된 제2 사용자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증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IP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접속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인증 결과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형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모니터링 서비스의 유효 기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IP 카메라의 MAC 주소가 포함된 카메라 인증 요청을 상기 인증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접속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촬영한 영상을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IP 카메라가 전송한 상기 촬영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
  5. 서버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정보를 포함하며, IP 카메라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는 카메라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정보를 상기 IP 카메라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상기 IP 카메라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수신된 접속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IP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간의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위한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2P 연결 요청을 상기 IP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된 P2P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IP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각각이 공인 IP 주소 또는 사설 IP 주소 중 어느 IP 주소를 사용하는지 여부 또는 방화벽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생성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는
    상기 IP 카메라가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 기반으로 상기 IP 카메라에 접속하는 제1 프로세스,
    상기 IP 카메라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상기 IP 카메라에 대한 사설 IP 주소를 포함하는 접속 요청을 전송한 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IP 카메라에 대한 사설 IP 주소를 이용하여 RTSP 프로토콜 기반으로 상기 IP 카메라에 접속하는 제2 프로세스,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모두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서버를 통한 홀 펀칭(Hole Punching)을 이용하여 상기 IP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P2P 통신 링크를 생성하는 제3 프로세스 및
    상기 제1 프로세스 내지 제3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P2P 통신 링크 생성에 실패하면, 상기 IP 카메라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중계를 통한 통신 링크를 생성하는 제4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서버에 항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
  10. IP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스트리밍 서버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중에, 상기 IP 카메라와 사용자 디바이스간의 P2P 연결을 요청하는 P2P 연결 요청을 상기 IP 카메라가 랑데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랑데부 서버에게 상기 IP 카메라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위한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P2P 통신 링크가 생성되면,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실시간으로 전송 중인 상기 촬영한 영상을 상기 P2P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P2P 통신 링크 생성을 위한 링크 생성 프로세스를 수행한 결과 상기 P2P 통신 링크의 생성에 실패하면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실시간으로 전송 중인 상기 촬영한 영상을 계속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20130017781A 2013-02-20 2013-02-20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1432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81A KR101432039B1 (ko) 2013-02-20 2013-02-20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81A KR101432039B1 (ko) 2013-02-20 2013-02-20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039B1 true KR101432039B1 (ko) 2014-08-21

Family

ID=5175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781A KR101432039B1 (ko) 2013-02-20 2013-02-20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0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370B1 (ko) * 2016-10-19 2017-04-19 큐브바이트 주식회사 패킷 분석을 통한 영상정보송출기기의 고유정보 인식 방법
CN110430164A (zh) * 2019-07-01 2019-1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摄像头监控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EP3720120A1 (en) * 2019-04-04 2020-10-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amera and communic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071A (ko) * 2004-03-18 2005-09-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한 영상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3469A (ko) * 2008-07-31 2010-02-1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실시간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실시간 영상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3071A (ko) * 2004-03-18 2005-09-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한 영상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3469A (ko) * 2008-07-31 2010-02-1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실시간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실시간 영상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370B1 (ko) * 2016-10-19 2017-04-19 큐브바이트 주식회사 패킷 분석을 통한 영상정보송출기기의 고유정보 인식 방법
EP3720120A1 (en) * 2019-04-04 2020-10-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amera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0430164A (zh) * 2019-07-01 2019-1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摄像头监控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81478A1 (en) Configuring secure wireless networks
EP39056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request
US20190245713A1 (en) Management device of internet-of-thing device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2843546B (zh) 网络摄像机与视频工作站的连接方法及视频监视系统
US9986276B2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73133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US20130067544A1 (en) System for authentication management of a sensor node having a subscription processing func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US9674181B2 (en) Surveillance camera renting service
KR20150073827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CN108027808A (zh) 互联网安全和管理设备
US200902048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a security panel and a security server
CN104113443A (zh) 一种网络设备检测方法、装置及云检测系统
CN104935883A (zh) 一种远程监控方法和服务器
KR101432039B1 (ko)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
US11290434B2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606438B1 (ko) 홈 네트워크 관리
KR20130052966A (ko) 월패드 기반의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854930A (zh) 用于允许与新检测到的装置进行通信的方法、控制节点、网关和计算机程序
US10511671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controlle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8768969B (zh) 一种网络穿透系统
KR101853786B1 (ko) Cctv의 펌웨어 검증코드를 검사하는 보안 디바이스 유닛
US202100369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mera authentication using a video management system
JP2006217078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設定方法
JP6783272B2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110769264B (zh) 多媒体传输方法及其装置、介质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