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695B1 -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및 잔류 분광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및 잔류 분광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695B1
KR101431695B1 KR1020130079011A KR20130079011A KR101431695B1 KR 101431695 B1 KR101431695 B1 KR 101431695B1 KR 1020130079011 A KR1020130079011 A KR 1020130079011A KR 20130079011 A KR20130079011 A KR 20130079011A KR 101431695 B1 KR101431695 B1 KR 101431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reducing
storage bin
furnace
spectrosc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김동원
이선중
정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7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1/00Making pig-iron other than in blast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073Selection or treatment of the reduc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14Multi-stage processes processes carried out in different vessels or furnaces
    • C21B13/143Injection of partially reduced ore into a molten b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2017/009Cyclone for separating fines from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09Monitoring the pressure in an enclosure or kiln 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환원로 내 잔류하는 분광을 건식 방식으로 처리하고, 환원로 내에서 배출 처리되는 분광의 재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환원철이 장입되는 용융가스화로와, 상기 용융가스화로에 연결되고 환원철을 제공하는 다단의 환원로, 상기 환원로에 잔류하는 분광을 배출 처리하기 위한 덤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덤핑부는 상기 각 환원로에 연결되어 잔류 분광과 환원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에 연결되어 배출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잔류 분광을 저장하는 저장빈, 상기 저장빈에 설치되어 잔류 분광과 환원가스를 분리하는 사이클론, 상기 저장빈에 설치된 환원가스 이송라인에 설치되어 환원로와 저장빈의 내부 압력 차이를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및 잔류 분광 처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UMPING FINE IRON IN FLUIDIZED FURNACE}
본 발명은 용철 제조를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환원로의 잔류 분광을 건식으로 배출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및 잔류 분광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융환원제철법에서는 철광석을 환원하는 환원로와 환원된 철광석을 용융하는 용융가스화로를 사용한다. 용융가스화로에서 철광석을 용융하는 경우, 철광석을 용융할 열원으로서 성형탄을 용융가스화로에 장입한다. 여기서, 환원철은 용융가스화로에서 용융된 후, 용철 및 슬래그로 전환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용융가스화로에 장입된 성형탄은 석탄충전층을 형성한다.
산소는 용융가스화로에 설치된 풍구를 통하여 취입된 후 석탄충전층을 연소시켜서 연소 가스를 생성한다. 연소가스는 석탄충전층을 통하여 상승하면서 고온의 환원 가스로 전환된다. 고온의 환원가스는 용융가스화로의 외부로 배출되어 환원가스로서 유동 환원로에 공급된다.
유동 환원로는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온의 분광은 최상단의 환원로로 연속적으로 장입되고 복수의 환원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용융가스화로에서 발생된 고온 환원성 가스에 의해 환원된다. 이렇게 생성된 분환원철은 단광 처리공정을 거쳐 용융가스화로 내로 연속적으로 장입되고 석탄 연소열에 의해 용융되어 용선 및 슬래그로 배출된다.
상기한 조업 과정에서 유동 환원로 내에서 유동층이 무너진 상태로 분광이 장시간 체류하게 되면 환원로 내의 분산판 상부에 고착광이 생성되거나 하부 위핑(weeping)현상 발생으로 조업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조업 중단 후나 환원로의 흐름 불량 등이 발생되었을 때, 환원로 내부의 분광을 배출 처리하는 조업(Dumping)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에는 유동 환원로에 잔존하는 분광을 유동 환원로에서 배출시 광석과 고온의 환원가스 분리 및 냉각을 위하여 공정수를 이용하였다. 냉각에 사용된 공정수와 환원광석은 혼합된 상태로 수처리 설비의 스크러버(scrubber)에서 습식처리하여 공정수와 슬러지로 분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 처리 구조는 용철 제조 설비에서 유동 환원로의 덤핑 조업시에만 가동되므로 가동율이 매우 적고 설비 구성 및 처리과정이 복잡하여 전체 수처리 설비 용량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처리 과정에서 많은 양의 분광이 손실되고, 습식 처리로 인해 공정수의 수질 악화나 배관 내에 스케일 형성 등으로 처리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환원로 내 잔류하는 분광을 건식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및 잔류 분광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환원로 내에서 배출 처리되는 분광의 재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및 잔류 분광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방법은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환원로를 통해 분광을 환원하고, 환원철을 용융가스화로에서 용융하여 용철을 제조하는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환원로에 잔류하는 분광을 배출 처리하는 덤핑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덤핑 단계는 복수개의 환원로로부터 환원가스와 함께 잔류 분광을 배출하는 단계, 잔류 분광과 환원가스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잔류 분광을 저장빈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류 분광 배출 단계는 저장빈의 내부 압력을 환원로의 내부압력보다 낮게 유지하는 단계, 환원로과 저장빈 사이의 압력 차이를 통해 환원로에서 환원가스와 잔류 분광을 저장빈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류 분광과 분리된 환원가스를 냉각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빈 내의 잔류 분광과 공기를 열교환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단계를 거쳐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환원로로 공급되는 분광석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는 환원철이 장입되는 용융가스화로와, 상기 용융가스화로에 연결되고 환원철을 제공하는 다단의 환원로, 상기 환원로에 잔류하는 분광을 배출 처리하기 위한 덤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덤핑부는 상기 각 환원로에 연결되어 잔류 분광과 환원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에 연결되어 배출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잔류 분광을 저장하는 저장빈, 상기 저장빈에 설치되어 잔류 분광과 환원가스를 분리하는 사이클론, 상기 저장빈에 설치된 환원가스 이송라인에 설치되어 환원로와 저장빈의 내부 압력 차이를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원로에 연결되어 환원로의 배가스를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냉각장치에 연결되어 환원가스를 냉각장치로 공급하여 처리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덤핑부는 상기 이송라인에 설치되어 환원가스에서 잔류 분광을 분리하는 2차사이클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덤핑부는 상기 저장빈에 설치되어 고온의 잔류 분광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저장빈에 설치되어 고온의 잔류분광과 에어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라인과 에어라인에 설치되는 공기 공급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원로에 연결되어 환원로로 공급되는 분광석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건조기와 연결되어, 열교환된 고온의 공기를 건조기로 공급하여 분광석을 건조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환원로 내의 잔류 분광을 습식이 아니라 건식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분광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원료 처리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습식 방식에 의한 슬러지가 발생되지 않아 공정수의 수질 악화를 방지하고, 배관내 스케일 형성으로 인한 조업 원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원로 내에서 배출 처리되는 분광의 고열을 광석 건조를 위한 열원으로 재활용함으로써, 광석 건조를 위한 버너 등의 설비 구성을 줄일 수 있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잔류 분광 처리 장치를 구비한 용철 제조 설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잔류 분광을 처리하는 용철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공정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잔류 분광을 처리하는 용철 제조 설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용철 제조 설비(100)는 용융가스화로(120), 복수개의 유동층형 환원로(110), 환원철 압축장치(130) 및 압축 환원철 저장조(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 환원철 저장조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철 제조 설비는 환원로(110)에서 배출되는 배가스를 냉각 처리하는 냉각장치(150)와, 상기 환원로(110)로 공급되는 광석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160)를 더 포함한다. 이외에 용철제조 설비(100)는 필요에 따라 기타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160)를 통해 건조된 분광과 분부원료는 최상단의 환원로로 연속적으로 장입되고 3단으로 배치된 환원로(11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용융 가스 화로(120)에서 발생된 고온 환원성 가스에 의해 환원된다. 환원로(110)를 거친 환원철은 환원철 압축장치(130)의 압축성형기(132)를 거쳐 압축된 후 용융가스화로(120)에 장입된다. 용융가스화로(120)에서 발생된 환원가스는 환원로에 공급된다. 분광은 용융가스화로(120)로부터 유동층형 환원로(110)에 공급된 환원가스에 의해 유동되면서 분환원철로 제조된다. 분환원철은 환원철 압축장치의 압축성형기에 의해 압축된 후 압축 환원철 저장조(140)에 저장된다. 압축된 환원철은 압축 환원철 저장조로부터 용융가스화로(120)에 공급되어 용융가스화로(120)에서 용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환원로(110)는 3개가 연속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3단으로 배치된다. 분광은 상단에서부터 각 환원로(110)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가장 하단에 배치된 환원로에서 배출되어 환원철 압축장치(130)로 이송된다. 상기 환원로의 단 수는 3개 외에 4개 등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용철제조 설비(100)는 환원로(110) 내에 잔류하는 잔류 분광을 처리할 수 있도록 덤핑부를 포함한다.
상기 덤핑부는 상기 각 환원로(110)에 연결되어 환원가스와 함께 잔류 분광이 배출되는 배출라인(10)과, 상기 배출라인(10)에 연결되어 배출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잔류 분광을 저장하는 저장빈(20), 상기 저장빈(20)에 설치되어 잔류 분광과 환원가스를 분리하는 사이클론(30), 상기 저장빈(20)에 설치된 환원가스 이송라인(34)에 설치되어 환원로(110)와 저장빈(20)의 내부 압력 차이를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4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라인(10)은 환원로(110) 각각에 연결되어 환원로(110)에 잔류하는 분광이 배출되기 최적화된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원로(110)에서 분광이 누적되어 잔류하는 위치는 환원로(110) 내의 분산판 위쪽이므로, 배출라인(10)은 분산판의 위쪽에서 환원로(110)에 연결된다. 상기 각 배출라인(10)에는 배출라인(10) 개폐를 위한 밸브(12)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라인(10)은 저장빈(20) 상부에 연장되어 저장빈(20)과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빈(20)은 내부에 잔류 분광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저장빈(20)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저장빈(20)은 상부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배출라인(10)과 연결되고, 하단에 형성된 출구에는 저장된 잔류 분광을 배출하는 배출장치(22)가 설치된다. 이에, 필요시 배출장치(22)가 구동되어 저장빈(20)에 저장된 잔류 분광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빈(20)의 내부에는 배출라인(10)을 통해 저장빈(20) 내부로 유입된 환원가스와 잔류 분광을 1차 분리하는 사이클론(30)이 설치된다. 즉, 상기 배출라인(10)을 통해 환원가스와 함께 저장빈(20)으로 유입되는 잔류분광은 저장빈(20) 내에 설치된 사이클론(30)으로 유입되어 분리된다. 사이클론(30)에서 분리된 잔류 분광은 저장빈(20)에 수용되고, 분리된 환원가스는 저장빈(20) 상단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된 이송라인(34)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이송라인(34)은 저장빈(20) 내에 설치되는 사이클론(3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덤핑부는 상기 이송라인(34)에 설치되어 환원가스에서 잔류 분광을 다시 한번 분리하는 2차사이클론(32)을 더 포함한다.
상기 2차사이클론(32)은 하단이 저장빈(20)과 연결되어, 이송라인(34)을 지나는 환원가스에서 재차 분리된 잔류 분광을 저장빈(20)으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압력조절밸브(40)는 저장빈(20)과 환원로(110) 간의 내부 압력 차이를 조절하여 환원로(110)로부터 잔류 분광을 저장빈(20)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조절밸브(40)는 이송라인(34)을 따라 상기 2차사이클론(32) 후단에 설치된다.
상기 덤핑부는 환원로(110)와 저장빈(20)의 압력 차이를 통해 건식 방식으로 잔류 분광을 환원로(110)에서 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조절밸브(40)는 이송라인(34)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저장빈(20)의 내부압력이 상대적으로 상기 환원로(110)의 내부 압력보다 작도록 유지시킨다. 상기 저장빈(20)의 내부압력과 환원로(110)의 내부 압력 차이는 예를 들어 1바(bar) 미만 값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설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압력조절밸브(40)가 제어작동되어 이송라인(34)을 통해 환원가스가 배출되면 저장빈(20) 내부 압력은 상대적으로 환원로(110)의 내부 압력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환원로(110)와 저장빈(20)의 내부 압력 차이에 의해 환원로(110) 내부의 환원가스는 배출라인(10)을 통해 저장빈(20)으로 배출된다. 이에, 상기 환원로(110)에 잔류하는 분광이 환원가스와 함께 배출라인(10)을 통해 저장빈(20)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종래와 달리 공정수를 사용하지 않고 건식 방식으로 환원로(110)에서 잔류 분광을 배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라인(34)은 상기 환원로(110)에 연결되어 환원로(110)의 배가스를 냉각하는 냉각장치(150)에 연결된다. 2차사이클론(32)을 거친 환원가스는 이송라인(34)을 따라 고온 상태로 상기 냉각장치(150)에 공급되어 처리된다. 냉각장치(150)를 거친 환원가스는 발전소 등 공정 내의 필요한 곳으로 이송되어 재활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덤핑부는 상기 잔류 분광의 고열을 재활용하기 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덤핑부는 저장빈(20)에 설치되어 잔류 분광의 고열을 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저장빈(20)에 설치되어 고온의 잔류분광과 에어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50)와, 상기 열교환기(50)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라인(52)과 에어라인(52)에 설치되는 공기 공급팬(5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부를 통해 가열된 공기는 분광석 건조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환원로(110)에 공급되는 분광석을 건조하는 건조기(160)와 상기 열교환기(50) 출측 사이에 공급라인(56)이 설치된다. 열교환기(50)를 통해 200 ~ 400℃로 가열된 공기는 공급라인(56)을 통해 건조기(160)로 공급되어 분광석 건조용 열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열교환기(50)는 저장빈(20)의 하단 출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50)는 공기와 잔류 분광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면 충분하며 그 구조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빈(20) 내부에 저장된 고온의 잔류 분광은 열교환기(50)를 통해 열교환되어 적정 배출 온도에 도달시 배출장치(22)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장치(22)를 통해 배출된 잔류 분광은 환원로(110) 또는 공정 내의 필요한 곳으로 이송되어 재활용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환원로(110)에서 배출된 잔류 분광은 종래와 달리 공정수와 접촉되지 않아 고환원율 상태로 광석이 유지되며, 수분 함유가 없어 바로 환원로(110)에 공급하여 재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용철 제조 과정에서 환원로 내의 잔류 분광을 처리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용철 제조 방법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용철 제조 방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법은,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환원로를 통해 분광을 환원하고, 환원철을 용융가스화로에서 용융하여 용철을 제조하는 용철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환원로에 잔류하는 분광을 배출 처리하는 덤핑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덤핑 단계는 환원로에 잔류하는 분광을 건식 방식으로 배출 처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환원로로부터 환원가스와 함께 잔류 분광을 배출하는 단계(S100), 잔류 분광과 환원가스를 분리하는 단계(S200), 분리된 잔류 분광을 저장빈에 저장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외에, 필요에 따라 용철 제조 방법은 다른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3개의 환원로에 각각 잔류하고 있는 분광을 저장빈으로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잔류 분광 배출 단계(S100)는 저장빈의 내부 압력을 환원로의 내부압력보다 낮게 유지하는 단계(S110), 환원로과 저장빈 사이의 압력 차이를 통해 환원로에서 환원가스와 잔류 분광을 저장빈으로 배출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환원로 내부의 잔류 분광은 압력차에 의해 저장빈 내부로 배출된다. 압력조절밸브의 제어 구동에 의해 저장빈 내부 압력은 환원로의 내부 압력보다 낮게 유지된다. 이에, 환원로 내부의 환원가스는 배출라인을 통해 저장빈으로 흐르게 되고, 환원가스의 흐름에 따라 환원로 내의 잔류 분광이 저장빈으로 배출된다.
단계 (S200)에서 환원로에서 저장빈으로 배출된 환원가스와 잔류 분광은 사이클론을 거쳐 분리된다. 분리된 환원가스는 냉각 처리 단계(S400)를 거쳐 발전소 등 필요한 곳으로 이송되어 재활용된다.
사이클론을 거쳐 분리된 잔류 분광은 저장빈 내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환원로 내의 잔류 분광을 압력차를 이용하여 환원가스와 함께 배출함으로써, 종래 습식 방식과 비교하여 슬러지가 발생되지 않아 분광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공정수의 수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저장빈 내의 잔류 분광과 공기를 열교환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장빈 내에 저장된 잔류 분광은 고온 상태로 적정 온도로 냉각 후 배출 처리하게 된다. 잔류 분광은 저장빈 내에서 공기와 열교환되어 냉각되고 저장빈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조 방법은 상기 가열 단계를 거쳐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환원로로 공급되는 분광석을 건조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
상온의 공기는 잔류 분광과 열교환되어 200 ~ 400℃로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광석을 건조하는 건조기로 공급되어 건조용 열원으로 재활용된다. 이와 같이 잔류 분광의 고열을 회수하여 공정에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환원로에 잔류하는 분광을 압력차를 이용하여 건식으로 배출 처리함으로써, 분광을 전량 재이용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경우 습식 덤핑 방법을 이용하여 잔류 분광을 처리함에 따라 슬러지로 처리된 광석은 한 해에 3,000톤/년을 넘는다. 이에,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건식 방식으로 잔류 분광을 처리하는 경우 년간 3억원 이상의 원가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 비교하여 공정수 수질 개선으로 배관내 스케일의 형성을 억제하고 용수 사용 감소로 향후 수처리 설비의 슬림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배출라인 20 : 저장빈
30 : 사이클론 32 : 2차사이클론
34 : 이송라인 40 : 압력조절밸브
50 : 열교환기 52 : 에어라인
54 : 공급팬 56 : 공급라인

Claims (10)

  1.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환원로를 통해 분광을 환원하고, 환원철을 용융가스화로에서 용융하여 용철을 제조하는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환원로에 잔류하는 분광을 배출 처리하는 덤핑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덤핑 단계는 복수개의 환원로로부터 환원가스와 함께 잔류 분광을 배출하는 단계, 잔류 분광과 환원가스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잔류 분광을 저장빈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잔류 분광 배출 단계는 저장빈의 내부 압력을 환원로의 내부압력보다 낮게 유지하는 단계, 환원로과 저장빈 사이의 압력 차이를 통해 환원로에서 환원가스와 잔류 분광을 저장빈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분광과 분리된 환원가스를 냉각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빈 내의 잔류 분광과 공기를 열교환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를 거쳐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환원로로 공급되는 분광석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방법.
  5. 환원철이 장입되는 용융가스화로와, 상기 용융가스화로에 연결되고 환원철을 제공하는 다단의 환원로, 상기 환원로에 잔류하는 분광을 배출 처리하기 위한 덤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덤핑부는 상기 각 환원로에 연결되어 잔류 분광과 환원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에 연결되어 배출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잔류 분광을 저장하는 저장빈, 상기 저장빈에 설치되어 잔류 분광과 환원가스를 분리하는 사이클론, 상기 저장빈에 설치된 환원가스 이송라인에 설치되어 환원로와 저장빈의 내부 압력 차이를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로에 연결되어 환원로의 배가스를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냉각장치에 연결되어 환원가스를 냉각장치로 공급하여 처리하는 구조의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덤핑부는 상기 이송라인에 설치되어 환원가스에서 잔류 분광을 분리하는 2차사이클론을 더 포함하는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덤핑부는 상기 저장빈에 설치되어 고온의 잔류 분광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저장빈에 설치되어 고온의 잔류분광과 에어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라인과 에어라인에 설치되는 공기 공급팬을 포함하는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로에 연결되어 환원로로 공급되는 분광석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구비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건조기와 연결되어, 열교환된 고온의 공기를 건조기로 공급하여 분광석을 건조하는 구조의 용철 제조 장치.
KR1020130079011A 2013-07-05 2013-07-05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및 잔류 분광 처리 방법 KR101431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011A KR101431695B1 (ko) 2013-07-05 2013-07-05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및 잔류 분광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011A KR101431695B1 (ko) 2013-07-05 2013-07-05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및 잔류 분광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695B1 true KR101431695B1 (ko) 2014-08-20

Family

ID=5175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011A KR101431695B1 (ko) 2013-07-05 2013-07-05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및 잔류 분광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6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450B1 (ko) * 1992-12-31 1994-09-15 한국신철강기술연구조합 입자분급효율을 높인 유동층 환원방법 및 장치
KR20110018183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포스코 환원철 제조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용철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450B1 (ko) * 1992-12-31 1994-09-15 한국신철강기술연구조합 입자분급효율을 높인 유동층 환원방법 및 장치
KR20110018183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포스코 환원철 제조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용철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57035A1 (en) Fluidized bed gas distributor system for elevated temperature operation
TW201400601A (zh) 藉由與來自焦炭乾燥冷卻設備之冷卻氣體進行熱交換而改進煤的預加熱之方法及裝置
US4530101A (en) Electric arc fired cupola for remelting of metal chips
RU2686127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загрузка руды
CN101124434A (zh) 用于循环流化床反应器的旋风式分离器旁路
CN110520507B (zh) 利用碳质原料的器件和方法及其用途
CN101473048B (zh) 具有废热回收单元的直接熔炼设备
CN117222858A (zh) 并流蓄热式竖窑和用于燃烧碳酸盐岩的方法
EP3924524B1 (en) Direct reduction system and related process
CN100431957C (zh) 煤系高岭土的流态化瞬间煅烧工艺
EA016569B1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зернистых твердых частиц
JP4787528B2 (ja) 湿潤原料の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KR101431695B1 (ko) 용철 제조 설비의 잔류 분광 처리 장치 및 잔류 분광 처리 방법
CN110520506B (zh) 用于在含碳原料的焦化期间回收气体的器件和方法及用途
KR101561278B1 (ko) 용철 제조 설비의 환원가스 제진장치 및 제진방법
CN103335514A (zh) 一种带有能量回收设备的回转窑装置
KR101242701B1 (ko) 수직형 열환원 마그네슘 제조장치
RU137292U1 (ru) Обжиг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 зоной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KR101664828B1 (ko) 환원철 제조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용철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2787193A (zh) 一种焦化还原冶炼装置
JP2013507527A (ja) 溶融ユニットへの装入方法及び装置
KR100851806B1 (ko) 용철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철제조방법
GB2520578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blast to a blast furnace
KR20050113529A (ko) 유동층식 석회 소성로를 이용한 석회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회 제조 방법
KR101431689B1 (ko) 용철 제조 장치 및 용철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