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912B1 - Dutch coffee machine - Google Patents
Dutch coffee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0912B1 KR101430912B1 KR1020120107261A KR20120107261A KR101430912B1 KR 101430912 B1 KR101430912 B1 KR 101430912B1 KR 1020120107261 A KR1020120107261 A KR 1020120107261A KR 20120107261 A KR20120107261 A KR 20120107261A KR 101430912 B1 KR101430912 B1 KR 101430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ffee
- container
- water supply
- base
- tr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밑면에 다수의 수평조절레그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윗면 일단에는 저장용기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윗면 일단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 수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끼워져서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고, 일단에는 급수용기 안착부가 형성되어 이 급수용기 안착부의 중간이 하향 관통되어 있는 상부트레이; 수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끼워져서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고, 일단에는 커피용기 안착부가 형성되어 이 커피용기 안착부의 중간이 하향 관통되어 있는 하부트레이; 상기 베이스의 저장용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단에 결합되는 저장용기용 캡에는 커피유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용기; 상기 하부트레이의 커피용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하단으로는 커피추출구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용기용 캡의 커피유입구멍으로 끼워지며, 상단에 결합되는 커피용기용 캡에는 급수유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피용기; 및 상기 상부트레이의 급수용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하단에는 급수구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커피용기용 캡의 급수유입구멍으로 끼워지며, 상기 급수구의 중간에 급수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용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조작이 간편하면서, 우수한 품질의 더치 커피를 추출할 수 있어서 일반인들도 쉽게 더치 커피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machine having a base on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 adjustment legs are screwed on a bottom surface and a storage container seating part is formed on a top surface thereof; A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 upper tray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stopper so as to be vertically lifted and supported by the stopper, a feeder receiv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middle portion of the feeder receiving portion being downwardly penetrated; A lower tray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stopper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vertically and supported by a stopper and having a coffee vessel sea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middle portion of the coffee vessel seating portion passing downward; A storage container which is seated in the storage container seating portion of the base and has a coffee inflow hole formed in the cap for the storage container coupled to the upper end; A coffee extracting port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tray so as to be inserted into a coffee inflow hole of the storage container cap and a cap for a coffee contain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is formed with a water inlet opening A coffee pot; A water supply container which is seated in a water supply container seating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has a water supply port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is fitted into a water supply inlet hole of the cap for the coffee container and a water supply valve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ort; And it is easy to operate and can extract a superior quality of Dutch coffee, thereby providing a useful effect for allowing the general public to easily access the Dutch coffee.
Description
본 발명은 더치 커피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까다로운 더치 커피의 추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일반인들도 쉽게 더치 커피를 접할 수 있도록 된 더치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tch coffee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tch coffee machine in which ordinary people can easily access Dutch coffee since it is easy to extract a particularly difficult Dutch coffee.
일반적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은 커피의 원두를 분쇄하여 역삼각 원추형의 필터에 담고, 상압에서 더운물을 흘려내려 추출하게 된다.Generally, coffee is extracted by crushing the coffee beans into a filter having a cone shape and extracting hot water at normal pressure.
이러한 방법은 커피 드립이라는 추출기를 이용하여 커피 분말을 필터 위에 놓고 온수를 부은 후, 추출기의 필터 아래에 컵을 밀어 넣은 후, 추출기를 동작시키면 물이 가열되어 커피 위에 고이고, 커피액이 추출되면서 중력에 의해 아래로 추출되는 형식이 일반적이다.In this method, the coffee powder is placed on the filter using an extractor called coffee drip, the hot water is poured, the cup is pushed under the filter of the extractor, and the extractor is operated so that the water is heated and solid on the coffee, It is common for the format to be extracted downward by.
이러한 일반적인 커피의 추출 방법 외에 독특한 추출방법으로서 더치 커피(Dutch Coffee)가 알려진 바 있는데, 더치 커피는 상온의 물을 사용하여 커피분말이 담긴 커피용기에 한 방울씩 물을 떨어뜨려 여러 시간동안 커피를 추출하는 독특하고 향기로운 커피로서 많은 시간과 기술 및 독특한 기구 등이 필요하여 일반인들로서는 제대로 된 더치 커피를 접하기 어려운 것이었다.In addition to this general method of extracting coffee, Dutch Coffee has been known as a unique extraction method. It uses water at room temperature to drop water into a coffee container containing coffee powder, As a unique and fragrant coffee to extract, it requires a lot of time, skill and unique equipment, so it wa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get a proper Dutch coffee.
종래 더치 커피를 추출하는 기구는 일반인들이 쉽게 사용하도록 된 것이 아닌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특정 용기에 불과하였으며, 특히 더치 커피를 추출할 때에는 커피용기에 떨어지는 물이 정확하게 중심에 떨어지도록 조절하여야 하는데다가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서 일반인들이 종래의 용기를 이용하여 더치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숙련과 기술이 필요하였다.
Conventional Dutch coffee extracting machines are not only easy to use by ordinary people but also are special containers used by professionals. Especially when extracting Dutch coffe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water falling to the coffee container to fall exactly to the center, It was necessary for the general public to have a considerable skill and skill in order to extract the Dutch coffee using the conventional contai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중상급 이상의 고 품질의 더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더치커피머신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tch coffee machine which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and can extract a high-quality Dutch coffee of a middle or higher grade.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밑면에 다수의 수평조절레그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윗면 일단에는 저장용기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윗면 일단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 수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끼워져서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고, 일단에는 급수용기 안착부가 형성되어 이 급수용기 안착부의 중간이 하향 관통되어 있는 상부트레이; 수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끼워져서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고, 일단에는 커피용기 안착부가 형성되어 이 커피용기 안착부의 중간이 하향 관통되어 있는 하부트레이; 상기 베이스의 저장용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단에 결합되는 저장용기용 캡에는 커피유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용기; 상기 하부트레이의 커피용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하단으로는 커피추출구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용기용 캡의 커피유입구멍으로 끼워지며, 상단에 결합되는 커피용기용 캡에는 급수유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커피용기; 및 상기 상부트레이의 급수용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하단에는 급수구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커피용기용 캡의 급수유입구멍으로 끼워지며, 상기 급수구의 중간에 급수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급수용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adjustment legs screw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 upper tray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stopper so as to be vertically lifted and supported by the stopper, a feeder receiv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middle portion of the feeder receiving portion being downwardly penetrated; A lower tray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stopper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vertically and supported by a stopper and having a coffee vessel sea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middle portion of the coffee vessel seating portion passing downward; A storage container which is seated in the storage container seating portion of the base and has a coffee inflow hole formed in the cap for the storage container coupled to the upper end; A coffee extracting port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tray so as to be inserted into a coffee inflow hole of the storage container cap and a cap for a coffee container connected to the upper end is formed with a water inlet opening A coffee pot; A water supply container which is seated in a water supply container seating portion of the upper tray and has a water supply port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is fitted into a water supply inlet hole of the cap for the coffee container and a water supply valve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ort; And the like.
이에 따라, 커피용기와 급수용기가 정확하게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커피를 추출하게 되며, 특별한 기술로서의 조작 없이 안정된 고품질의 더치 커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coffee is extracted in a state where the coffee container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are accurately fixed vertically, and a stable, high-quality Dutch coffee can be obtained without any special technique.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지지대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적당한 위치에서 볼트에 의해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렇게 고정된 스토퍼는 상부트레이 및 하부트레이가 지지대의 적정 위치에 머물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stopper is movable on a support and is fixed by a bolt at an appropriate position, and the fixed stopper allows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to stay in a proper position of the support.
상기 커피용기의 수직 상태는 매우 중요하며, 이 커피용기와 급수용기의 수직 연결상태 또한 중요하여,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의 윗면이나 상부 트레이 또는 하부트레이의 윗면에는 수평계가 더 설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state of the coffee container is very important, and a vert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ffee container and the water container is also important. To this end, a level met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tray or the lower tray.
그리고, 저장용기나 커피용기 및 급수용기에 결합되는 캡은 내부에 패킹이 삽입된 실링캡으로 사용하여 밀폐를 유지할 수 있고, 이는 커피의 고유한 향이 소실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며, 캡 윗부분에 원추형으로 형성된 홈은 각 용기의 하단에 길게 형성된 추출구가 사용자의 부주의나 사용 미숙으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 및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cap coupled to the storage container, the coffee container,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may be used as a sealing cap having a packing therein, so as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The cap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nique fragrance of the coffee is not lost. The grooves serve to prevent and protect the elongated shape of the bottom of each container from being inadvertently damaged by the user's carelessness or insufficient use.
아울러, 각 용기는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ntainer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the use of tempered glass to ensure sufficient strength.
그리고, 상기 상부트레이 및 하부트레이는 지지대 상에서 반복적인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상부트레이 및 하부트레이가 지지대에 끼워지는 부분, 즉 트레이보스부에는 베어링이 더 설치되어 승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repeatedly lifted and lowered on the support table, a bearing is further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fitted to the support, that is, the tray boss, .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저장용기가 안착되는 베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저장용기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열전반도체 방식의 냉각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for placing a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heater for keeping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ntainer warm, and a cooling device of a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type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ntainer at a low temperature will be.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는 중간이 상·하로 분리되어 내부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히터는 필름 히터 또는 열선 히터를 선택할 수 있고, 이러한 온열 및 냉각장치를 위한 제어회로 및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base may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to secure a space therein, and the heater may be a film heater or a hot wire heater, and a control circuit and a switch for such a heating and cooling device may be provided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부트레이와 하부트레이는 지지대에 지지되면서 승강지지대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며, 하부트레이와 승강지지대의 하단은 고정되고, 상부트레이는 승강지지대에 얹혀지도록 된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vertically connected by a lifting support while being supported by a support, the lower ends of the lower tray and the lifting support are fixed, and the upper tray is mounted on the lifting support.
따라서, 하측의 저장용기를 인출하기 위해서 하부트레이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승강지지대에 의해 상부트레이도 함께 들어올려지게 되며, 중간의 커피용기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부트레이를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 때에는 상부트레이만 들어올려지고 하부트레이는 그대로 있게 되어 상황에 따른 적절한 사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ower tray is lifted upward to withdraw the lower storage container, the upper tray is also lifted by the lifting support, and the upper tray is lifted to withdraw the middle coffee container. At this time, And the lower tray is left as it is, so that proper use is made according to the situ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베이스와 상부트레이 및 하부트레이는 좌·우 대칭의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양 쪽에서 커피의 추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ase,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configured in a symmetrical configuration so that coffee can be extracted simultaneously from both sides.
이와 같이 양측으로 각각 한 쌍씩의 구성이 이루어지게 되면, 보다 많은 양의 커피를 한꺼번에 추출할 수 있다.As a result, a larger amount of coffee can be extracted at onc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으로 다른 더치 커피머신의 베이스를 근접하여 연결수단에 의한 연속 연결에 의해 다수의 더치 커피머신을 병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lurality of Dutch coffee machines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continuous connection by the connecting means in the vicinity of the base of the other Dutch coffee machine to the side of the base.
이와 같이 베이스의 측면으로 복수의 더치 커피머신이 배열된 구성에 의해 보다 많은 양의 커피를 한꺼번에 추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Dutch coffee machines on the side of the base, a larger amount of coffee can be extracted at a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커피유입구멍 및 급수유입구멍의 입구에는 상기 커피추출구와 상기 급수구의 삽입을 안내하는 원추형홈부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ffee inflow hole and the water inlet hole are formed with a coffee extracting port and a conical recessed portion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water inlet.
이에 따라 상기 커피추출구와 상기 급수구의 길이가 길더라도 상기 원추형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 간에 삽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though the length of the coffee extraction port and the water supply port is long, the conical groov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between the containers can be conveniently and safely gu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지지대와 승강지지대가 수용되는 끼움홈이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트레이 및 하부트레이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진 탈착식 스토퍼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detachable stopper having a fitting groove in which the support and the lifting support are accommodated, the detachable stop being formed at a side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height that can be fitted between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will be.
따라서, 상기 스토퍼 외에 별도의 탈착식 스토퍼가 구비됨으로써 승강지지대의 상부트레이 및 하부트레이를 조작할 때 상부트레이 또는 하부트레이를 들어 올린 후 스토퍼에 받쳐지도록 승강지지대 및 지지대에 끼워줌으로써 저장용기나 커피용기를 상부트레이나 하부트레이로부터 인출시킬 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안전을 도모하며 사용자가 하부트레이로부터 커피용기를 인출시키지 않고서도 기타 필요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줄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pper tray or the lower tray of the elevating support is operated by installing a separate detachable stopper in addition to the stopper, the upper tray or the lower tray is lift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elevating support and the support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stopp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space for withdrawing from the upper tray or the lower tray to ensure safety and to secure a space for the user to facilitate other necessary operations without withdrawing the coffee container from the lower tray.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머신은 조작이 간편하면서, 우수한 품질의 더치 커피를 추출할 수 있어서 일반인들도 쉽게 더치 커피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The Dutch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ful effect of easily extracting hot coffee of excellent quality and easy access to the Dutch coffee by the general public.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머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더치커피 용기들을 제외한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치 용기들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머신의 요부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머신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에 의한 지지대와 트레이의 결합부분 단면도.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사용되는 캡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용기에서 분말커피를 다지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상부트레이를 들어올린 상태의 측면도 및 부분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하부트레이를 들어올린 상태의 측면도 및 부분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탈착식스토퍼의 구성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utch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Dutch coffee containers; FIG.
Fig.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Dutch kettle containers are mou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Dutch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of a Dutch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part of a support and a tray by a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 and 6 (b) are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cap used in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powdered coffee in a coffe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fined state;
8 is a side view and a partial rear view of the upper tray lif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and a partial rear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wer tray is lif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use state of the detachable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exemplifica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that include components replaceable as equivalents in the elem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 부분의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pplied to the same par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머신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더치커피 용기들을 제외한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치 용기들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머신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머신의 배면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utch coffe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Dutch coffee containers; FIG.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Dutch kettle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Fig. 4 is a rear view of a Dutch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a Dutch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머신은 궁극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용기(300)와, 분말커피를 수용하고 상기 급수용기(300)로부터 물을 내려받는 커피용기(200)와, 상기 커피용기(200)로부터 추출되는 커피를 내려받는 저장용기(100)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고, 필요시에 결합 상태를 조절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1 to 6, a Dutch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20)와, 지지대(20)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트레이(30) 및 하부트레이(40)로 대별 구성된다.The
상기 저장용기(100)는 베이스(10)에 의해 지지되는데, 베이스(10)는 지면에 놓여지는 것으로서, 지면에서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밑면에는 다수의 조절레그(11)가 나사 결합되어 나사의 회전으로 수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조절레그(11)는 원뿔형으로 이루어져서 지면과 점 접촉되도록 되어 있어서 보다 정확한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조절레그(11)는 베이스의 후방 양측 모서리측으로 두 개가 배치되며, 전방 중앙 단부측에 한 개가 배치되어 총 3개의 조절레그(1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이 3 지점 형태의 조절레그(11)에 의하면 후술된 수평계(80)를 보면서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조절레그(11)를 돌려가며,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three-
한편, 베이스(10)의 윗면 일단에는 상기 저장용기(1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저장용기 안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의 다른 일단에는 상기 지지대(2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고정나사(2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storage
지지대(20)는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은 연결대(22)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지지대(20)에는 상부트레이(30)와 하부트레이(40)가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부트레이(30)와 하부트레이(40)의 일단은 지지대(20)와 연결되는 트레이보스부(31,41)로 되어 통공(32,42)이 형성되어 있고, 통공(32,42) 내에는 부싱(61)과 베어링(62)이 설치되어 지지대(20)와의 접촉이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One end of the
상부트레이(30)와 하부트레이(40)는 지지대(20) 상에서 이동이 이루어지는데, 지지대(20)의 어느 지점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해 스토퍼(70)가 사용된다.The
스토퍼(70)는 링 형으로 되어서 지지대(20)에서 자유롭게 승강이 이루어지며, 측면으로부터 볼트(71)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The
따라서, 스토퍼(70)를 정확한 위치에서 볼트(71)로 고정시키면 각 트레이는 스토퍼(70)에 의해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해당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또한, 상기 지지대(20)와 승강지지대(50)가 수용되는 끼움홈(501)이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트레이(30) 및 하부트레이(40)와 상기 스토퍼(7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진 탈착식 스토퍼(50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A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70) 외에 별도의 탈착식 스토퍼(500)가 구비됨으로써 승강지지대(50)의 상부트레이(30) 및 하부트레이(40)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때 상부트레이(30) 또는 하부트레이(40)를 들어올린 후 탈착식 스토퍼(500)를 끼워 그 하단부가 스토퍼(70)에 받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홈(501)을 승강지지대(50) 및 지지대(20)에 끼워주도록 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용기(100)나 커피용기(200)를 상부트레이(30)나 하부트레이(40)로부터 인출시킬 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게 되므로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가 하부트레이(40)로부터 커피용기(200)를 인출시키지 않고서도 기타 필요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securely pull out the
한편, 상부트레이(30)와 하부트레이(40)의 사이에는 승강지지대(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즉 상부트레이(30)와 하부트레이(40)의 각 트레이보스부(31,41)에 수직으로 승강지지대(50)가 연결되며, 이 승강지지대(50)는 하단부가 상기 하부트레이(40)에 접속 고정된 상태로 되고, 승강지지대(50)의 상단부는 상부트레이(30)의 트레이보스부(31)의 하단부에 끼워져 접촉된 상태로 된다.An
따라서, 상부트레이(30)를 들어올릴 때에는 하부트레이(40)와 승강지지대(50)는 그대로 있게 되지만, 하부트레이(40)를 들어올리게 되면 승강지지대(50)에 상부트레이(30)가 밀려서 상부트레이(30)와 하부트레이(40)는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함께 상승하게 된다.When the
여기서, 승강지지대(50)와 상부트레이(30)의 안정된 접속을 위해 상부트레이(30)의 트레이보스부(31) 밑면에는 안착홈(33)이 더 형성될 수 있다.A
상부트레이(30)에는 급수용기(300)가 안착되기 위한 급수용기 안착부(34)가 형성되어 그 중간이 관통되어 있고, 하부트레이(40)에는 커피용기(200)가 안착되기 위한 커피용기 안착부(44)가 형성되어 역시 그 중간이 관통되어 있다.The
베이스(10)와 상부트레이(30) 및 하부트레이(40)에 형성되는 각 용기의 안착부는 용기의 형상에 맞도록 용기의 하단이 밀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대(20)에 조립되었을 때, 각 안착부(44)의 중심은 서로 일치되도록 세팅하여 사용하게 된다.The seating portion of each container formed in the
상부트레이(30)에 안착되는 급수용기(300)는 투명 강화유리로 이루어져서 상단에는 급수용기용 캡(301)이 구비되고, 급수용기용 캡(301)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용기(300) 사이의 밀폐를 위해 패킹(63)이 구비되어 구성된다.The
그리고, 하단에는 급수구(303)가 길게 인출되어 그 중간에 급수조절밸브(304)가 설치되어 있다.At the lower end, a
하부트레이(40)에 안착되는 커피용기(200)는 상단에 커피용기용 캡(201)이 구비되어 있는데, 커피용기용 캡(201)에는 중간에 급수유입구멍(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피용기(200)의 하단에는 커피추출구(203)가 길게 인출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급수유입구멍(202)에는 상측의 급수용기(300)의 급수구(303)가 끼워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급수유입구멍(202)은 윗부분이 확장된 형태로 되어 급수구(303)가 쉽게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커피용기(2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커피의 추출 작용에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저장용기용 캡(101)의 중간에는 커피용기(200)의 커피추출구(203)가 끼워질 수 있는 커피유입구멍(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역시 커피추출구(203)의 원활한 접속을 위하여 윗부분이 확장된 형태로 되어 있다.A
즉,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피유입구멍(102) 및 급수유입구멍(202)의 입구에는 상기 커피추출구(203)와 상기 급수구(303)의 삽입을 안내하는 원추형홈부(103),(204)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며, 저장용기(100)와 커피용기(200)) 사이의 밀폐를 위해 패킹(63)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6 (b), at the entrance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커피추출구(203)와 상기 급수구(303)의 길이가 길더라도 상기 원추형홈부(103),(10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 간에 삽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되며, 패킹(63)에 의해 커피의 향이나 내부의 열이 외부로 쉽게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서 더치 커피의 향과 맛과 따스함을 오랜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though the length of the
이와 같이 각 용기에 구비되는 캡(101,201,301)에는 내부에 패킹(63)이 구비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저장용기(100)와 커피용기(200) 및 급수용기(300)는 도면에서와 같이 서로 상·하로 연결된 상태로 세팅되며, 이 상태에서 커피의 추출이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the
이 때, 급수용기(300)의 하단으로 인출되는 급수구(303)의 중심은 커피용기(200)의 중심으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렇게 세팅을 할 때 전체적인 수평의 조절이 특히 중요하다.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hat the center of the
이를 위해, 베이스(10)의 윗면이나 상부트레이(30) 및 하부트레이(40)의 윗면에는 선택적으로 수평계(80)가 매입 설치될 수 있다.To this end, a level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피머신을 통해 추출된 커피는 저장용기(100)에 저장되는데, 추출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저장용기에 유입되는 커피의 온도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Meanwhile, the coffee extracted through the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the
따라서, 저장용기(100)를 수납하는 베이스(10)의 내부에는 저장용기(100)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필름히터 또는 열선히터를 내장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저장용기(100)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열전반도체 방식의 냉각장치가 함께 설치될 수 있다.Therefore, a film heater or a hot-wire heater can be installed inside the
그리고, 베이스(10)에는 상기 히터(H)나 냉각장치(C)의 조작을 위한 제어회로(미도시)나 스위치(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피용기(200)에는 분말커피가 수납되는데 이 분말커피는 적당하고 균등한 밀도로 다져서 사용하게 되며, 특히, 다져지는 표면이 커피용기(200) 내측면에 대해 직각을 유지하여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In the meantime, the
이를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커피용기(200)를 별도로 안착하여 지지하는 커피용기 받침대(210)가 구비되고, 커피용기(200) 내의 분말커피를 다지는 다지개(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7, there is provided a
상기 커피용기 받침대(210)는 커피용기(200)의 하단 형상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다지개(220)는 커피용기(20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다져지도록 그 두께가 두껍게 구성되며, 일단에는 손잡이(230)이 구비되어 있다.The polygon (220)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ffee container (200). The polygon (220) has a thicker thickness so as to be closely adhered to the inner side surface and a handle (230) is provided at one end.
따라서, 커피를 다질 때 두께가 두꺼운 다지개(220)의 측면이 커피용기(20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다질 수 있게 안내됨으로써 커피의 표면이 항상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다질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offee is densified, the side surface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머신은 정확한 수평도 세팅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베이스(10)의 밑면에 설치된 조절레그(11)를 조작하여 지면과의 수평을 조절하여 고정시키고, 지지대(20)에 설치되는 상부트레이(30)와 하부트레이(40)를 승강 조작하여 각 용기를 정확하게 접속한다.In the Dutch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set the accurate horizontal degree. For this purpose, the adjusting
이렇게 수평 조절을 할 때 수평계(80)를 이용하여 조절하게 되고, 상부트레이(30)와 하부트레이(40)의 높이가 조절되면, 해당 위치에 스토퍼(70)를 고정시켜서 이 스토퍼(70)에 상부트레이(30) 및 하부트레이(40)가 얹혀지는 형태로 세팅된다.When the height of the
이렇게 세팅이 된 상태에서는 저장용기(100)의 상단으로 커피용기(200)의 커피추출구(203)가 인입된 상태가 되고, 커피용기(200)의 상단으로는 급수용기(300)의 급수구(303)가 유입된 상태가 된다.The
커피용기(200)에는 분말커피가 다져진 상태로 담겨져 있고, 급수용기(300)에는 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급수용기(300)의 급수조절밸브(304)를 열면 급수구(303)로부터 물이 커피용기(200)로 떨어지게 되고, 이 물은 천천히 커피를 녹이면서 하측의 저장용기(100)로 추출된다.When the
이러한 커피 추출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서 급수조절밸브(304)의 조작으로 물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This coffee extraction takes a considerable time and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by operating the water
추출된 더치 커피는 저장용기에 저장되며, 취향에 따라 베이스 내부의 히터나 냉각장치를 동작시켜서 필요한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Extracted Dutch coffee is stored in a storage container, and a desired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by operating a heater or a cooling device inside the base according to taste.
세팅된 상태에서 급수용기(300)나 커피용기(20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상부트레이(30)를 들어올려서 급수용기(300)의 급수구(303)가 커피용기(200)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급수용기(300)나 커피용기(200)를 인출하게 되며, 저장용기(100)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하부트레이(4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서 상부트레이(30)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커피용기(200)의 커피추출구(203)가 저장용기(100)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저장용기(100)를 인출하게 된다.8, the
여기서, 상부트레이(30) 또는 하부트레이(40)를 들어올린 후 탈착식 스토퍼(500)를 스토퍼(70) 위에 얹힌 상태에서 끼움홈(501)을 승강지지대(50) 및 지지대(20)에 끼운 다음 상부트레이(30) 또는 하부트레이(40)를 내려 놓으면 용기들을 인출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므로서 안전하게 두 손으로 잡고 용기를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살펴보면 지지대(20)를 중심으로 베이스(10)와 상부트레이(30) 및 하부트레이(40)가 좌·우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다.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따라서, 저장용기(100)와 커피용기(200) 및 급수용기(300)를 한번에 두 세트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한꺼번에 많은 양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치 커피머신은 횡방향 양측으로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다수의 커피머신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Dutch coffe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use a plurality of coffee machines at the same time by being continuously arranged on both sid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즉, 각 커피머신의 베이스(10)를 서로 연결하여 배치하되 베이스(10)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절레그(11)가 구비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400)가 구비된다.That is to say, the plate-shaped connecting
상기 연결부재(400)와 상기 베이스(10)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하도록 베이스(10)의 바닥면과 연결부재(400)가 나사(미도시)로 체결되어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이러한 연결부재(400)에 의해 다수의 커피머신이 횡 방향으로 적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연결 고정되고, 조절레그(11)에 의해 수평 상태을 유지하여 연속 배치됨으로써 더치 커피 판매점 등에서 설치하는 경우 보다 많은 양의 더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coffee machines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proper spacing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connecting
상기 연결부재(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판형의 형태로 일례를 도시하였으나, 파이프 형상이나 기타 여러 가지 형태로서 다수의 커피머신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물론이다.Although the connecting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베이스 11 ; 조절레그
14 ; 저장용기 안착부 20 ; 지지대
21 ; 고정나사 22 ; 연결대
30 ; 상부트레이 31 ; 상부트레이보스부
32 ; 통공 33 ; 안착홈
34 ; 급수용기 안착부 40 ; 하부트레이
41 ; 하부트레이보스부 42 ; 통공
44 ; 커피용기 안착부 50 ; 승강지지대
61 ; 부싱 62 ; 베어링
63 ; 패킹 70 ; 스토퍼
71 ; 볼트 80 ; 수평계
100 ; 저장용기 101 ; 저장용기용 캡
102 ; 커피유입구멍 200 ; 커피용기
201 ; 커피용기용 캡 202 ; 급수유입구멍
203 ; 커피추출구 103,204 ; 원추형홈부
300 ; 급수용기 301 ; 급수용기용 캡
303 ; 급수구 304 ; 급수조절밸브
400 ; 연결부재 500 ; 탈착식스토퍼
501 ; 끼움홈 H ; 히터
C ; 냉각장치10:
14; A storage
21; A fixing
30; An
32; Through
34; A water supply
41; A lower tray boss portion 42; Passage
44; A coffee
61;
63;
71;
100; A
102;
201; A
203; Coffee extracts 103,204; Conical groove
300; A
303;
400; A connecting
501; Fitting groove H; heater
C; Cooling device
Claims (12)
지면에서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밑면에 지면과 점 접촉되는 원뿔형 수평조절레그(11)가 나사 결합되되, 전방 중앙 단부에 한 개가 배치되고, 후방 양측 모서리 단부에 두 개가 배치되며, 윗면 일단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저면 일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저장용기 안착부(14)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10);
한 쌍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10)의 윗면 일단에서 나란하게 간격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연결대(22)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는 상기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와 비 접촉되게 내부에 조립되는 부싱(61)의 상,하부에 상기 지지대(20)와 접촉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62)에 의해 상기 지지대(20)에서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며, 상기 지지대(20)에 볼트(71)로 위치 고정되는 링 형상의 스토퍼(70)에 의해 지지되고, 일단에는 상기 급수용기(300) 및 커피용기(200)의 저면 일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중간이 하향 관통되어 있는 급수용기 안착부(34)와 커피용기 안착부(44)가 각각 형성된 상기 상,하부트레이(30),(40);
상기 베이스(10)의 윗면이나 상부트레이(30)의 윗면 또는 하부트레이(0)의 윗면에 설치되는 수평계(80);
상기 베이스(10)의 저장용기 안착부(14)에 안착되고, 상단에 결합되는 저장용기용 캡(101)에는 커피유입구멍(102)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저장용기(100);
상기 하부트레이(40)의 커피용기 안착부(44)에 안착되고, 하단으로는 커피추출구(203)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용기용 캡(101)의 커피유입구멍(102)으로 끼워지며, 상단에 결합되는 커피용기용 캡(201)에는 급수유입구멍(202)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커피용기(200);
상기 상부트레이(30)의 급수용기 안착부(34)에 안착되고, 하단에는 급수구(303)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커피용기용 캡(201)의 급수유입구멍(202)으로 끼워지며, 상기 급수구(303)의 중간에 상기 급수조절밸브(304)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급수용기(300); 및
상기 커피추출구(203)와 상기 급수구(303)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상기 커피유입구멍(102) 및 급수유입구멍(202)의 입구에 형성되는 원추형홈부(103),(2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20)가 각각 수용되는 끼움홈(501)이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트레이(30) 및 하부트레이(40)와 상기 스토퍼(7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높이로 이루어진 탈착식스토퍼(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머신.
The upper and lower trays each include a base to be seated on the ground, a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ase, and upper and lower trays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spacings, A water supply container having a control valve and a coffee container for accommodating coffee are sequentially installed and a base for receiving coffee extracted from the coffee container is seated thereon,
A pair of conical horizontal adjustment legs 11, which are in point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ar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abinet so as to be horizontally adjustable on the ground surface, one at the front center end and two at the rear end corners, A base (10) having a storage container seating part (14)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A support base 20 having a pair of bars and vertical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thereof by a connecting rod 22;
A pair of bearings 62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20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bushing 61 assembled inside the support 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20, And is supported by a ring-shaped stopper 70 fixed to the support base 20 by bolts 71.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and a part of the bottom of the coffee container 200 are wrapped at one end The upper and lower trays 30 and 40 having a water supply container seating portion 34 and a coffee container seating portion 44, respectively, which are downwardly penetrated;
A horizontal system 8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tray 30,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tray 0;
A storage container 100 having a coffee inlet 102 formed in a storage container seating part 14 of the base 10 and coupled to an upper end thereof;
And a coffee extracting hole 203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tray 40 to be inserted into the coffee inlet hole 102 of the container 101 for the storage container, The coffee container (200) having a water inlet opening (202) formed in a cap (201) for a coffee container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a water supply port 303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mounting portion 34 of the upper tray 30 so as to be inserted into a water supply inlet hole 202 of the coffee container cap 201, The water supply container 300 in which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304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phere 303; And
And conical groove portions 103 and 204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coffee inlet hole 102 and the water inlet hole 202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coffee extracting hole 203 and the water inlet 303 Lt; / RTI &
The upper and lower trays 40 and 40 are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501 in which the support rods 20 are respectively received and a detachable member 50 having a height capable of being fitted between the upper tray 30 and the lower tray 40,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500).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한 히터(H) 및 온도유지 제어회로부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머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10) is provided with a heater (H)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warm and a temperature holding control circuit part.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저장용기(10)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열전반도체 방식의 냉각장치(C) 및 온도유지 제어회로부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10) has a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type cooling device (C)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ntainer (10) at a low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holding control circuit part.
상기 상부트레이(30)와 하부트레이(40)는 승강지지대(50)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며, 하부트레이(40)와 승강지지대(50)의 하단은 고정되고, 상부트레이(30)는 승강지지대(50)에 얹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tray 30 and the lower tray 40 are vertically connected by an elevating support 50. The lower tray 40 and the lower ends of the elevating support 50 are fixed, (50). ≪ / RTI >
상기 커피용기(200)에 담겨지는 분말커피를 다지기 위하여, 커피용기(200)를 별도로 수납 지지하는 커피용기 받침대(210)와, 커피용기(200) 내부의 커피를 다지기 위한 다지개(2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ffee container holder 210 for separately holding and supporting the coffee container 200 and a plurality of dies 220 for chopping coffee inside the coffee container 200 are provided in order to chop up the powdered coffee contained in the coffee container 200 Wherein the coffee machine further comprises:
상기 베이스(10)와 상부트레이(30) 및 하부트레이(40)는 좌·우 대칭의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양쪽에서 커피의 추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 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10), the upper tray (30), and the lower tray (40) are symmetrically arranged so that coffee can be extracted simultaneously from both sides.
상기 베이스(10)의 측면으로 다른 더치 커피머신의 베이스(10)를 근접하여 연결수단(400)에 의한 연속 연결에 의해 다수의 더치 커피머신을 병렬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 커피머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Dutch coffee machines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by being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ase 10 by the connecting means 400 in the vicinity of the base 10 of the other Dutch coffee machine. mach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7261A KR101430912B1 (en) | 2012-09-26 | 2012-09-26 | Dutch coffee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7261A KR101430912B1 (en) | 2012-09-26 | 2012-09-26 | Dutch coffee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0504A KR20140040504A (en) | 2014-04-03 |
KR101430912B1 true KR101430912B1 (en) | 2014-08-18 |
Family
ID=5065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7261A KR101430912B1 (en) | 2012-09-26 | 2012-09-26 | Dutch coffee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0912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4624A (en) * | 2015-02-02 | 2016-08-10 | 김지수 | Liquid intake measuring device for Animal experiments |
KR200481426Y1 (en) | 2015-05-21 | 2016-09-29 | 유준희 | Dutch Coffee Extractor of Closed Type |
KR20190074427A (en) * | 2017-12-20 | 2019-06-28 | 조형래 | Coffee brewing apparatus |
KR20190080210A (en) * | 2017-12-28 | 2019-07-08 | 조형래 |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5996B1 (en) * | 2014-12-15 | 2016-04-28 | 오승진 | Portable device for dripping dutch coffee |
KR101667184B1 (en) | 2016-05-12 | 2016-10-17 | 이용하 | A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59089U (en) * | 1973-09-26 | 1975-06-02 | ||
KR100712900B1 (en) * | 2006-07-06 | 2007-05-02 | 김영수 |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
-
2012
- 2012-09-26 KR KR1020120107261A patent/KR10143091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59089U (en) * | 1973-09-26 | 1975-06-02 | ||
KR100712900B1 (en) * | 2006-07-06 | 2007-05-02 | 김영수 |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4624A (en) * | 2015-02-02 | 2016-08-10 | 김지수 | Liquid intake measuring device for Animal experiments |
KR101708819B1 (en) * | 2015-02-02 | 2017-02-21 | 김지수 | Liquid intake measuring device for Animal experiments |
KR200481426Y1 (en) | 2015-05-21 | 2016-09-29 | 유준희 | Dutch Coffee Extractor of Closed Type |
KR20190074427A (en) * | 2017-12-20 | 2019-06-28 | 조형래 | Coffee brewing apparatus |
KR102027657B1 (en) * | 2017-12-20 | 2019-10-01 | 조형래 | Coffee brewing apparatus |
KR20190080210A (en) * | 2017-12-28 | 2019-07-08 | 조형래 |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
KR102017395B1 (en) * | 2017-12-28 | 2019-09-02 | 조형래 |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0504A (en) | 2014-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0912B1 (en) | Dutch coffee machine | |
ES2674876T3 (en) | Cup holder secured for beverage machine | |
US9066624B2 (en) | Liquid food or beverage machine having a drip tray and a cup support | |
CN102118992B (en) | Beverage machine with carrying handle and configurable appearance & side functions | |
ES2938045T3 (en) | System for heating and frothing a drink, device for heating and frothing a drink suitable for use in said system, frothing rod suitable for use in said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drink using said system | |
CN104053385B (en) | For short cup and the beverage machine of cup high | |
JP2021129999A (en) | Beverage machine with slidingly connectable cup support | |
KR101225535B1 (en) | An automatic extract apparatus of water drip coffee | |
JP6835845B2 (en) | How to drive a coffee maker and a coffee maker | |
KR101395307B1 (en) | Ectract apparatus of water drip coffee | |
EP3206542B1 (en) | Coffee-making apparatus and method | |
US2014007269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solvent and ingredients | |
US20210330114A1 (en) | Portable coffee drip-brewer | |
KR20130091388A (en) | Espresso coffee machine | |
KR20100121538A (en) | Set of articles which are suitable to be used in a process of making a beverage | |
KR101190168B1 (en) | Apparatus for making tea | |
KR101595497B1 (en) | Dutch coffee extractor | |
KR101615996B1 (en) | Portable device for dripping dutch coffee | |
KR101116227B1 (en) | Portable espresso machine | |
KR20090099197A (en) | Apparatus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 |
US6422132B1 (en) | Multi-use brew bowl | |
KR101455150B1 (en) | the dutch combined storage cupboards and coffee powder evenly squeezed tamper holder for coffee brewing | |
US7066080B2 (en) | Automatic drip coffee maker | |
KR200481426Y1 (en) | Dutch Coffee Extractor of Closed Type | |
CN211130689U (en) | Self-dripping type tea and coffee brewing kett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