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494B1 -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494B1
KR101430494B1 KR1020120102923A KR20120102923A KR101430494B1 KR 101430494 B1 KR101430494 B1 KR 101430494B1 KR 1020120102923 A KR1020120102923 A KR 1020120102923A KR 20120102923 A KR20120102923 A KR 20120102923A KR 101430494 B1 KR101430494 B1 KR 101430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abinet
water
dispens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6612A (en
Inventor
유선일
주정현
조나정
남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494B1/en
Publication of KR2014003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6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4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9/00Housing or supporting of instruments or other apparatus
    • G12B9/02Casings; Housings;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그리고 상기 캐비닛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디스펜서를 선택적으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시키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urifier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dispenser provided outside the cabinet; An internal dispenser provided in the cabinet; And a doo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for selectively exposing the inner dispense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urifier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일반적인 정수기는 수도전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내로 통과시킨 후 필터링을 해서 원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제거하게 된다.In a general water purifier, raw water supplied from a water pipe is passed through a separate filtering means and then filte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및 역삼투압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에 역삼투압식 정수기는 원수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인공적인 삼투막인 멤브레인을 통과시켜 정수를 행하는 것으로 중금속, 박테리아, 발암물질등을 분리제거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과 용존산소만이 통과되도록 하여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학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식수를 위한 가정 및 업소용의 정수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Such a water purifier can be classified into natural filtration type, direct filtration type, ion exchange water type, and reverse osmosis type depending on the purification method. Of these, the reverse osmosis type water purifier is designed to apply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raw water, By passing water through a membrane that is a membrane, purified water, bacteria, carcinogens, etc. are separated and removed, and only purified water and dissolved oxygen are passed through, which is used in the cutting-edge science industry and cleaning of high- Is widely used for water purifiers for household and business use due to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이러한 정수기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수행되고 있다.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when using such a water purifie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4564호(2010.11.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4564 (November 29, 20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stably supplying water to various types of containers.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음용수뿐만 아니라 얼음이나 음료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supplying not only general drinking water but also ice or beverag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높이가 다양한 용기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can stably supply water to various vessels of various heights and is very convenient to use.

본 명의 실시예를 통해, 무거운 용기를 사용자가 들지 않고 한 손만으로 코크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intended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is very convenient to us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ke and supplying water with only one hand without the user carrying the heavy container.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조작하더라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can ensure safety even when the user operates the wet hand.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음용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can supply various types of drinking water at the same time and is easy to us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코크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제조가 간편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can easily increase the number of corks and is easy to manufa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잔수가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is easy to use by draining the remaining water easily.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트레이 분리 시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트레이 내부의 잔수가 넘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can be stably and easily separated at the time of separating the tray so that the remaining water in the tray is not overflowed and is easy to us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정수기로의 기능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능이나 특수가 기능을 부가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satisfying various users' demands by adding new functions or special functions as well as functions to general water purifiers.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캐비닛 외부로 선택적 노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구비하여, 캐비닛 전면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디자인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having a dispenser capable of selectively exposing to the outside of a cabinet so as to be able to utilize various cabinet fronts and meet a demand of a user's design.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복수 개의 디스펜서들에 대응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한 트레이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having a tray that can handle a plurality of dispensers and is easy to handle.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와 함께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 트레이; 상기 내부 트레이를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받기 위해, 상기 내부 디스펜서 하부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An internal dispenser provided in the cabinet; An inner tray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so as to be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inner dispenser; And a main tray provided below the internal dispenser and inside the cabinet for receiving residual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ternal tray.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캐비닛 전방에 구비되고, 풀 다운(pull down) 형태로 회전하여 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tray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cabinet, and may be provided to be fix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state with respect to the ground by rotating in a pull-down manner.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캐비닛 내부까지 연장되는 트레이 연장부; 그리고 상기 트레이 연장부에서 상기 캐비닛 외부로 연장되는 도어 배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tray includes a tray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And a door back portion extending from the tray extension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상기 내부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내부 트레이의 양측 및 상기 트레이 연장부와 도어 배면부의 경계부에 구비되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hing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inner tray and at a boundary between the tray extension part and the door rear part so that the inner tray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cabinet.

상기 내부 트레이는, 트레이 베이스; 상기 트레이 베이스에 형성된 함몰부; 그리고 상기 함몰부의 저면과 소정 높이를 갖는 평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tray includes a tray base; A depression formed in the tray base; And a tray cover provided to have a fla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상기 함몰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depresse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상기 트레이 연장부에는 상기 내부 트레이에서 발생되는 잔수를 상기 메인 트레이로 배출하기 위한 트레이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tray extension may include a tray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residual water generated in the internal tray to the main tray.

상기 트레이 연장부에 위치되는 상기 트레이 커버의 테두리 부분에 상부로 돌출되는 잔수 넘침 방지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And a remainder overflow prevention guide projecting upwardly may be formed at a rim portion of the tray cover located at the tray extension portion.

상기 트레이 베이스에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커버에는 상기 연결홈과 착탈 가능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연결홈에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 connection groove is formed in the tray base,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tray cover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slidably fixed to the connection groove in the cabinet.

상기 메인 트레이는 상기 캐비닛 전방에서 서랍 형태로 탈착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in tray is desorbed in the form of a drawer in front of the cabinet.

상기 메인 트레이를 캐비닛 외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서브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nd a sub tray exposed outside the cabinet to draw the main tray out of the cabinet.

상기 서브 트레이는, 상기 정수기의 전면과 측면의 일부를 이루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 트레이 용기;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서브 트레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ub tray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on; A sub tray container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and mounted detachably through the opening; And a sub tray cover mounted on the opening.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트레이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트레이는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보다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main tray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tray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main tray may be provided below the sub tray.

상기 메인 트레이의 양측에는 상기 메인 트레이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 대응되어 상기 캐비닛에는 레일 슬롯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tray is provided with rails on both sides of the main tray so that the main tray can be easily mounted and separated, and a rail slot is provided in the cabinet corresponding to the rails.

상기 레일 전방에는 롤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 rolle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rail.

상기 레일 슬롯의 후방에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와 형합되도록 상기 레일에 스토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stopper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ail slot, and a stopper groove may be formed in the rail to be engaged with the stopper.

상기 메인 트레이의 후방에 돌출되도록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에 장착될 때 상기 배수홀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상기 캐비닛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 drain hol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of the main tray and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drain hole is inserted when the main tray is mounted in the cabinet is formed in the cabinet.

상기 내부 디스펜서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가 회전되어 상기 내부 트레이의 배면이 상기 서브 트레이의 상면과 소정 갭을 갖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use the inner dispens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tray is rotated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inner tray is fixed to have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tray.

상기 내부 디스펜서 상부에서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내부 트레이의 배면과 상기 서브 트레이의 상면이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dispens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inner tra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tra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디스펜서는 상기 서브 트레이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And an external dispenser provided in front of the cabinet, wherein the external dispenser is positioned above the sub-tray.

상기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서로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eatures of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one another, so long as they are not contradictory or exclusive of the features of the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purifier capable of stably supplying water to various types of containers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음용수뿐만 아니라 얼음이나 음료 등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supplying not only general drinking water but also ice or beverag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높이가 다양한 용기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can stably supply water to various containers having various heights and is very convenient to use.

본 명의 실시예를 통해, 무거운 용기를 사용자가 들지 않고 한 손만으로 코크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cock can be adjusted with only one hand without supplying the heavy container to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water can be supplied, thereby providing a water purifier that is very 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조작하더라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can ensure safety even if the user operates with a wet hand.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음용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drinking water can be supplied at the same time, thereby providing a water purifier that is 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코크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제조가 간편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easily increase the number of corks and is easy to manufa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잔수가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is easy to use by draining the remaining water easily.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트레이 분리 시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트레이 내부의 잔수가 넘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is easy to use, by stably and easily separating the tray by separating the trays from the tray, thereby preventing the tray from overflowing.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일반적인 정수기로의 기능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능이나 특수가 기능을 부가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meet various user's demands by adding new functions or special functions as well as general water purifier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캐비닛 외부로 선택적 노출이 가능한 디스펜서를 구비하여, 캐비닛 전면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디자인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having a dispenser capable of selectively exposing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r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can be utilized variously and the demand for the user's design can be satisfi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복수 개의 디스펜서들에 대응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한 트레이를 갖는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having a tray that can handle a plurality of dispensers and is easy to hand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도어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어 내부의 유로 연결 관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어의 후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어의 후크와 캐비닛 사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어의 회동 메커니즘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내부 트레이와 메인 트레이와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내부 트레이의 트레이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내부 트레이를 통한 메인 트레이로의 잔수 배출 유로 방향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내부 트레이 커버의 장착과 분리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4는 메인 트레이와 서브 트레이가 일체로 형성된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8은 트레이의 장착과 분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9 내지 도 22는 내부 디스펜서 다양한 사용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내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복수 개의 코크 모듈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5와 도 26은 다단계 회전 각도 조절을 위한 코크 모듈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코크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코크 모듈과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9와 도 30은 코크 모듈과 유로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1과 도 32는 외부 디스펜서의 작동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33 내지 도 35는 외부 디스펜서 UI의 작동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urifier in a state in which a door is opened;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with the door closed;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 path connection relationship inside the door;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ok of the door;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hook of a door and a cabinet;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ivoting mechanism of the door;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tray and the main tray;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y cover of the inner tray;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rection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flow path to the main tray through the inner tray;
11 to 13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ounting and separation structure of the inner tray cover;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main tray and a sub tray are integrally formed;
Figs. 15 to 18 show the mounting and separation structure of the tray; Fig.
Figures 19-22 illustrate various uses of an internal dispenser;
Figure 23 illustrates an internal user interface;
24 shows a plurality of cork modules connected;
25 and 26 illustrate a cork module structure for multi-step rotation angle adjustment;
27 is a view showing a frame for installing the cork module;
28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rk module and the frame;
29 and 30 are views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rk module and the flow path;
FIGS. 31 and 32 illustrate operation examples of an external dispenser;
33 to 35 illustrate operation examples of the external dispenser UI;
3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purifi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수기, 즉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여 음용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와 관련된 것이다. 음용수는 온수, 냉수 또는 상온의 정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수기들은 정수를 이용하여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아울러 정수를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water purifier, i.e., a water purifier for purifying raw water such as tap water to supply drinking water. Drinking water may include hot water, cold water or an integer at ambient temperature. Accordingly, such water purifiers may include an apparatus for supply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using an integer, and may also include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supplying ice using purified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의 외부 구조나 형상은 종래의 정수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1 shows an example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external structure or shape of the water purifier may be similar or identical to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정수기(100)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 전방에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20),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0)의 하부에 위치되는 트레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30)는 컵이나 물병을 받치는 한편 잔수를 받기 위한 저장 공간이라 할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100 may include a cabinet 10, a dispenser 20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in front of the cabinet 10, and a tray 30 located under the dispenser 20. The tray 30 is a storage space for receiving cups or water bottles and receiving residual water.

상기 디스펜서(20)는 조작부(22)와 코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2)를 가압하면 코크(21)를 통해 음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The dispenser 20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22 and a cock 21.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ng portion 22, the drinking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cock 21.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20)와 트레이(30)는 캐비닛 외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와 트레이를 각각 외부 디스펜서(20)와 외부 트레이(30)이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The dispenser 20 and the tray 30 shown in Fig. 1 are provided outside the cabinet. Therefore, the dispenser and the tray may be referred to as an external dispenser 20 and an external tray 30, respectively.

정수기(100)는 일반적으로 외부 디스펜서(20)로 컵이나 물병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캐비닛 내측으로 만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캐비닛 전방에서 내측으로 만입되는 만입부(40a)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만입부(40a)의 하부에 상기 외부 트레이(30)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21)로부터 상기 외부 트레이(30)에 이르는 공간이 상기 만입부(40a)를 통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Generally, the water purifier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xternal dispenser 20 is recessed into the cabinet so as to facilitate access to the cup or water bottle. That is, it has a recessed portion 40a which is recessed inward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The outer tray 30 is positioned below the indentation 40a. Therefore, a space from the cock 21 to the outer tray 30 may be formed through the indentation 40a.

이러한 만입부(40a)를 통해 잔수가 캐비닛(100)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컵이나 물병을 위치시켜 상기 조작부(22)를 직접 조작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따라서, 캐비닛(100) 전면에 형성되는 만입부(40a)는 일반적인 구조라 할 수 있다.Since the residue can be minimized through the depressed portion 40a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0 and a space for directly operating the operation portion 22 can be secured by positioning the cup or water bottle, Do. Accordingly, the indentation 40a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0 may be a general structure.

도 1에는 상기 조작부(22)의 일례로 작동 레버가 도시되어 있으며, 작동 레버뿐만 아니라 작동 스위치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FIG. 1, an operation lever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unit 22, and an operation switch as well as an operation lever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40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상기 도어(40)는 상기 외부 디스펜서(20) 그리고 외부 트레이(30)와 함께 외부 디스펜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4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의 적어도 일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도어(40)의 전면에 코크(21)와 조작부(22)가 구비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The door (40) may form an external dispenser space together with the external dispenser (20) and the external tray (30). Accordingly,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dispenser 2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40.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door 21 and an operating portion 22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40.

아울러, 상기 도어(40)의 전면에 만입부(40a)가 형성되어, 상기 만입부(40a)를 통해 캐비닛(10) 외부에서 외부 디스펜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40)는 상기 외부 트레이(3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트레이(30)는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40)가 자유롭게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An indentation 40a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40 so that an external dispenser space can be formed outside the cabinet 10 through the indentation 40a. The door 4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outer tray 30. Therefore, the door (40) can be freely opened or closed while the external tray (30) is fixed to the cabinet (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40)의 후방에는 내부 디스펜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inner dispenser space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door 4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 내부에는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간(50a)을 캐비닛(10)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40)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abinet 10 includes an internal dispenser space 50a. The door 40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pace 50a outside the cabinet 10. [

즉, 상기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캐비닛(10) 외부와 격리되고, 상기 도어(40)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가 캐비닛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oor 40 is closed, the inner dispenser space 50a is isolated from the cabinet 10, and when the door 40 is opened, the inner dispenser space 50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여기서,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된다는 것은, 공간적인 위치로서의 캐비닛(10) 외부가 아닌,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상기 공간(50a)으로 컵, 물병 그리고 사용자의 손 등이 용이하게 출입 가능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Exposure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means that a cup, a water bottle, and a user's hand can easily enter the space 50a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 even if the cabinet is located outside the cabinet 10,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enter and exi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가 열림에 따라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어(40)가 완전히 열리면,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최대의 면적으로 노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dispenser space 50a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as the door 40 is open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door 40 is completely opened, the internal dispenser space 50a can be exposed to a maximum area.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에는 내부 디스펜서(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도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와 마찬가지로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inner dispenser space 50a may include an inner dispenser 50. The internal dispenser 50 may be provided to supply drinking water in the same manner as the external dispenser 20.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가 열리면 상기 도어(40)는 상기 외부 트레이(30)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트레이(30)가 더 이상 트레이 기능을 할 수 없다. 즉,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할 때 상기 외부 트레이(30)가 더 이상 트레이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2, when the door 40 is opened, the door 4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external tray 30. [ Therefore, the external tray 30 can no longer function as a tray. That is, when the internal dispenser 50 is used, the external tray 30 can no longer function as a tray.

여기서, 트레이 기능이라 함은 잔수를 받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 통해서 잔수가 캐비닛(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트레이 기능은 컵이나 물병을 받치는 테이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tray function means receiving a residual amount, and the residual amoun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cabinet 10 through the tray function. Of course, the tray function could include a table function to support cups or water bottles.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할 때, 상기 도어(40)가 트레이로서의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회동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을 외부로 노출시킨다는 점에서는 도어(40)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디스펜서(50) 사용시, 잔수를 받고 컵이나 물병을 지지한다는 점에서는 내부 트레이(60)라 할 수 있다.When the internal dispenser 50 is used, the door 40 can function as a tray. That is, the door 40 can be referred to as being rotatable and selectively exposing the internal dispenser space 50a to the outside. When the inner dispenser 50 is used, the inner tray 60 can receive a residual water and support a cup or a water bottle.

컵이나 물병을 지지하는 트레이 기능을 전제로 하면, 트레이는 실질적으로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어(40) 관점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도어(40)의 위치(도어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내부 트레이(60) 관점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내부 트레이(60)의 위치(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다.Assuming a tray function to support a cup or a water bottl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y is substantially fixed horizontally to the paper.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the door 40, the position of the door 40 shown in Fig. 1 (door closed state) will be described below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inner tray 60, the position of the inner tray 60 shown in FIG. 2 (the door is completely opened)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20)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면 접근이 매우 자유롭기 때문에 편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쉽게 외부 오염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클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50)가 도어(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면, 외부 오염물에 노출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왜냐하면, 디스펜서(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어(40)를 닫아 상기 디스펜서(50)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내부 디스펜서(50)를 많이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도어(4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큰 제약이 없을 것이다.As shown in FIG. 1, if the dispenser 20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access is very easy. However, this can easily lead to exposure to external contaminants. As shown in FIG. 2, when the dispenser 50 is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door 40, the possibility of exposure to external contaminants can be reduced. This is because, when the dispenser 50 is not used, the door 40 can be closed and the dispenser 50 can be isolated from the outside. Of course, when the inner dispenser 50 is used in a large amount, the door 40 can be kept in an open state, so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striction in use.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스펜서(20)나 외부 트레이(30)는 생략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도어(40)의 전면에 디스펜서(20) 구조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40)의 전면은 장식 패널이나 별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 the external dispenser 20 and the external tray 30 can be omitted.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dispenser 20 may not be separately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40. In this case,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40 may be provided with a decorative panel or a separate display panel.

그리고, 정수기로서의 기능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도어(40)를 열어,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펜서(50), 즉 내부 디스펜서(50)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When a function as a water purifier is required, the user can open the door 40 and receive drinking water using the dispenser 50 provided in the cabinet, that is, the internal dispenser 50.

전술한 디스펜서의 기능을 살펴볼 때,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 디스펜서(50)와 외부 디스펜서(20)를 동시에 갖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아울러, 외부 디스펜서(50)의 구조 또는 출수 메커니즘과 동일한 내부 디스펜서(50)를 중복되도록 제공할 필요성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디스펜서(50)와 외부 디스펜서(20)가 구비되며, 양자 간에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 구조 그리고 출수 메커니즘이 서로 다르도록 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view of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dispenser, it would be undesirabl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having an internal dispenser 50 and an external dispenser 20 at the same time to provide the same function.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providing the same internal dispenser 50 as the structure or outflow mechanism of the external dispenser 50 to overlap can be low.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dispenser 50 and the external dispenser 20 are provided, and the water purifier can be provided between the water dispenser 50 and the water dispenser 2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structure, and outflow mechanis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외부 디스펜서(20)는 일반적인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컵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내부 디스펜서(50)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음용수가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디스펜서(20)는 수동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내부 디스펜서(20)는 기설정된 양의 음용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내부 디스펜서(2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스펜서(20)와는 달리, 내부 디스펜서(50)는 얼음이나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디스펜서(20)와는 달리, 내부 디스펜서(50)는 다양한 용량과 높이 그리고 형상을 갖는 물병으로 음용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xternal dispenser 20 may supply drinking water to the cup, and the internal dispenser 50 may supply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drinking water. The external dispenser 20 may be manually supplied with water, and the internal dispenser 20 may be suppli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drinking water. That is, the internal dispenser 20 may be provided to supply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ter. Further, unlike the external dispenser 20, the internal dispenser 50 may be provided to supply beverages such as ice, coffee, and the like. In addition, unlike the external dispenser 20, the internal dispenser 50 can be provided to easily supply drinking water to a water bottle having various capacities, heights and shapes.

이하에서는, 외부 디스펜서(20)가 도어(40)에 구비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external dispenser 20 is provided in the door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스펜서(20)의 코크(21)는 도어(40)에 구비되며, 도어(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릴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10) 내부에서 정수된 물이 회동 가능한 도어(40)를 통해 상기 코크(21)로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1, the cock 21 of the external dispenser 20 is provided in the door 40, and the door 40 can be opened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purified water inside the cabinet 10 must be able to be supplied to the cock 21 through the rotatable door 40.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 또는 내부 트레이(60)에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는 도어(60)에 내장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는 도어(40)의 회동과 무관하게 상기 도어(40) 내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external dispenser flow path 21a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40 or the internal tray 60. Since the external dispenser flow path 21a is embedded in the door 60, the external dispenser flow path 21a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external dispenser flow path 21a can be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40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door 40.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의 일측은 코크(21)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캐비닛(10)에 구비되는 내부 유로(10a)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유로(10a)에서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로 흐르는 물이 상기 코크(21)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external dispenser flow path 21a may be connected to the cock 21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flow path 10a provided in the cabinet 10. Therefore, water flowing from the internal flow path 10a to the external dispenser flow path 21a can be supplied through the cock 21.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와 내부 유로(10a) 사이에는 힌지(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상기 도어(4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아울러 상기 힌지(41) 내부를 통해 내부 유로(10a)의 음용수가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A hinge 4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external dispenser channel 21a and the internal channel 10a. The hinge allows the door 40 to be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cabinet 10 and allows the drinking water in the internal flow path 10a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ispenser flow path 21a through the inside of the hinge 41 .

한편, 상기 도어(40) 내부에는 유로 고정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고정부(42)는 상기 도어(40) 내부에 고정됨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의 타측이 도어(40) 내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 고정부의 일측에서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유로 고정부(42)와 상기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는 상기 도어(4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Meanwhile, the flow path fixing part 42 may be provided in the door 40. The flow path fixing part 42 is preferably fixed inside the door 40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external dispenser flow path 21a can be fixed inside the door 40. [ That is, the outer dispenser flow path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low path fixing part. Therefore, as the door 40 is rotated, the flow path fixing part 42 and the external dispenser flow path 21a rotate integrally with the door 40. [

상기 유로 고정부(42)의 타측에는 상기 힌지(4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 고정부(42)는 상기 힌지(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41)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 고정부(42) 그리고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와 함께 도어(40) 전체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고정부(42)는 힌지 연결 구조를 도어(40) 측면에서 강화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The hinge 41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low path fixing part 42. The flow path fixing part 42 may be connected to the hinge 41 so as to be rotatable. Therefore, when the hinge 41 is fixed, the entire door 40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flow path fixing part 42 and the external dispenser flow path 21a. Therefore, the flow path fixing part 42 may be configured to reinforce the hinge connection structure on the door 40 side.

상기 힌지(41)는 캐비닛(10)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은 고정부재(43)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3)는 내부 유로(10a)와 상기 힌지(41)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를 연결하는 한편, 양자가 캐비닛에 대하여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hinge 41 may be fixed to the cabinet 10. This fixation can be done through the fixing member 43. The fixing member 43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passage 10a and the hinge 41 so that the fixing member 43 and the fixing member 43 can be fixed to the cabinet.

한편, 상기 유로 고정부(42), 힌지(41) 그리고 고정부재(43)는 도어(4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40)가 캐비닛(10)에 대하여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The channel fixing portion 42, the hinge 41 and the fixing member 43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oor 40,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door 40 can be firmly fixed to the cabinet 10.

따라서, 양쪽에 구비되는 이러한 구조들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를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at least two external dispenser flow paths 21a can be formed through these structures provided on both sides.

도 1에는 하나의 코크(21)를 통해, 정수, 온수 그리고 냉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를 통해, 선택적으로 정수, 온수 그리고 냉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내부 유로(10a)가 선택적으로 미도시된 정수 유로, 냉수 유로 그리고 온수 유로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In FIG. 1,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hrough one cock 21. Therefore,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through one external dispenser channel 21a. This can be realized by allowing the internal flow path 10a to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purified flow path, the cold water path, and the hot water path, which are not shown.

반면에, 도 1과는 달리 두 개의 코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코크와 연결되는 두 개의 외부 디스펜서 유로(21a)가 상기 도어(40)에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로 고정부(42), 힌지(41) 그리고 고정부재(43)를 양측에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unlike FIG. 1, two corks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wo external dispenser flow paths 21a connected to the two corks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40. [ Therefore, by providing the flow path fixing portion 42, the hinge 41, and the fixing member 43 on both sides, this variety can be ensured.

상기 내부 트레이(60)는 상기 힌지(41)를 기준으로 캐비닛(10)의 내측으로 더욱 연장된다. 즉,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까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부 트레이(60)에서, 상기 힌지(41)를 기준으로 캐비닛 내측 부분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트레이 연장부(64)라 할 수 있다. The inner tray 60 extends further into the cabinet 10 with respect to the hinge 41. That is, it is preferable to extend to the inner dispenser space 50a. Therefore, in the inner tray 60, a portion extending to the cabinet inn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41 may be referred to as a tray extension portion 64.

상기 트레이 연장부(64)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의 하면을 이루거나, 도어(40)가 닫혔을 때는 캐비닛(10) 내측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항상 캐비닛(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The tray extension 64 forms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nal dispenser space 50a or rotates inside the cabinet 10 when the door 40 is clos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substantially always located inside the cabinet 10.

반면, 상기 힌지(41)를 기준으로 캐비닛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을 트레이 메인부(63)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메인부(63)는 실질적으로 도어(40)의 배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즉,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 전면(42)에 대응되는 배면 부분을 트레이 메인부(63)라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rtion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with respect to the hinge 41 may be referred to as a tray main portion 63. The tray main portion 63 may be substantially the rear portion of the door 40. That is, the rea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oor front surface 4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may be referred to as a tray main portion 63.

상기 트레이 메인부(63)는 실질적으로 물병을 받치는 트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잔수가 상기 트레이 연장부(64)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연장부(64)에는 트레이 배수홀(6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 배수홀(65)을 통해 잔수가 캐비닛(10)의 내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The tray main portion 63 can function as a tray for substantially supporting a water bottle and allow the remaining water to flow to the tray extension portion 64. A tray drain hole 65 may be formed in the tray extension portion 64 and the residue may be drained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through the tray drain hole 65.

한편, 상기 내부 트레이(60)는 베이스(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도어(40)의 후면 부분과 함께 상기 캐비닛(10) 내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61)는 상기 트레이 메인부(63)와 트레이 연장부(64)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The inner tray (60) includes a base (61). Which includes a portion that extends further into the cabinet 10 with the rear portion of the door 40. Therefore, the base 61 may include the tray main portion 63 and the tray extension portion 64.

상기 베이스(61)에는 함몰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62)는 잔수가 트레이(60)를 통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함몰부(62)는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62)에 떨어지는 잔수는 상기 하향 경사로 인해 캐비닛(10)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A depression (62) may be formed in the base (61). The depression 62 may be formed to prevent the residue from overflowing through the tray 60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epressed portion 6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Therefore, the remaining water falling on the depressed portion 62 can be moved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due to the downward inclination.

상기 내부 트레이(60)를 통한 잔수 배출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배수 또는 잔수 저장 구조에 대해서도 추후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The residual water discharging structure through the inner tray 6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In addition, the drainage or residual water storage structur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어의 닫힘과 열림 메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losing and opening mechanism of the do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도어(40)의 배면의 상부, 즉 내부 트레이(60)의 전방에는 후크(7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트레이(60)의 베이스(61)에 상기 후크(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트레이(60)의 베이스(61)는 상기 도어(4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61)의 배면으로부터 나사(71)를 관통시켜 상기 후크(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A hook 7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40, that is, in front of the inner tray 60. Specifically, the hook 70 may be mounted on the base 61 of the inner tray 60. The base 61 of the inner tray 6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40 and the hook 70 may be fixed by passing the screw 71 through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61 .

상기 후크와 대응하여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0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70)가 상기 삽입홈(10b)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도어(40)가 닫힌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70)가 상기 삽입홈(10b)에서 벗어나면, 상기 도어(40)가 열리게 된다.An insertion groove 10b into which the hook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hook. Accordingly, when the hook 7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10b, the door 40 is fixed in a closed state. When the hook 70 is releas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0b, the door 40 is opened.

상기, 삽입홈(10b)에는 상기 후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레치(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70)가 상기 삽입홈(10b)에 삽입된 후 상기 레치(72)와 걸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40)가 닫혀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어(4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닫히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삽입홈(10b)과 레치(72) 사이에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10b)에 구비되는 탄성부재(74)로 인해 후크(70)를 순간적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상기 후크(70)는 상기 삽입홈(10b)을 벗어나 도어(40)가 열리게 된다. The insertion groove 10b may be provided with a latch 72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ook. After the hook 7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b and the latch 72 is engaged with the latch 70, the door 40 is kept closed. When the door 40 is closed in the closed state, the engagement between the insertion groove 10b and the latch 72 can be released. In this state, the hook 70 is momentarily pushed out by the elastic member 74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10b. Therefore, the hook 70 is releas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0b and the door 40 is opened.

여기서, 상기 도어(40)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7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부(73)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73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40.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73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일례로, 상기 도어(40)와 캐비닛(20) 사이의 거리 여부에 따라 감지될 수 있고, 상기 후크(70)의 위치에 따라 감지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t may be sens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40 and the cabinet 20, and may be sen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ok 70.

도 6에는 상기 후크(70)의 위치에 따라 도어 개폐가 감지되는 도어 개폐 감지부(73)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6 shows an example of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73 for detecting door opening / closin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ok 70. As shown in FIG.

도어가 닫히면 후크(70)는 삽입홈(10b)에 삽입된 후 고정된다. 이때, 상기 후크(70)는 삽입되면서 도어 개폐 감지부(73)을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크(70)를 통해 도어 개폐 감지부(73)가 후퇴되면 도어가 닫힌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반대로, 후크가 삽입홈(10b)를 벗어나면,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73)는 탄성부재(74)로 인해 전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73)가 전진한 상태를 도어가 열린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door is closed, the hook 7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b and fixed. At this time, the hook 70 may be inserted and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73 may be pushed out. Accordingly, when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73 is retracted through the hook 70, the door can be detected as being clo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ok is moved out of the insertion groove 10b, the door opening / closing sensing portion 73 can advance due to the elastic member 74. Therefore, the door open / close detecting unit 73 can detect the opened state as the door is opened.

물론, 이러한 도어 개폐 감지부(73)의 위치 변화는, 전후, 좌우, 상하, 회전 위치 등 다양한 위치 변화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73 may be realized through various positional changes such as forward and backward, right and left, up and down, and rotation posi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0)는 상기 도어(40)의 하부에 위치되는 힌지(41)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도어(40)의 하부를 기준으로 상부가 회전하여 개폐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어의 개폐 형태를 풀 다운(pull down) 형태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oor 40 rotates about the hinge 41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40. Accordingly, the upper portion is rota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40 to open and close. 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can be regarded as a pull down type.

상기 도어(40)는 상부를 누르면 상기 후크(70)가 상기 삽입홈(10b)을 벗어나도록 하여 열리도록 이루어진다. 즉, 닫힌 상태에서 닫히는 방향으로 누르면 도어가 열리도록 이루어진다.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40 is pushed, the hook 70 is opened to be releas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0b. That is,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closed state in the closed state, the door is opened.

여기서, 상기 도어(40)는 실질적으로 90도 회전하여 완전히 열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가 완전히 열리면 내부 트레이(60)가 실질적으로 지면에 대해서 수평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door 40 may be rotated by substantially 90 degrees to be fully opened. As shown in FIG. 7, when the door 40 is completely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tray 60 is substantially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그리고, 도어(40)는 초기에는 빠르게 열리고 후기에는 서서히 열리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40)가 빠르게 열리도록 하는 한편, 도어(40)가 완전히 열릴 때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40)에는 댐퍼 구조가 부가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40 is opened early in the early stage and gradually opened in the latter period. Thus, the door 40 is opened quickly, while the door 40 is fully opened to minimize the impact. To this end, the door (40) may be provided with a damper structure.

상기 도어(40)의 양측,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트레이 연장부(64)의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65)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65)에 대응하는 가이드 슬롯(10c)이 상기 캐비닛(10)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돌기(65)와 가이드 슬롯(10c)은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 guide protrusion 65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oor 40, specifically on both sides of the tray extension 64. A guide slot 10c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65 is provided in the cabinet 10 As shown in FIG. Of course, the guide protrusion 65 and the guide slot 10c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댐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65)에 대응되는 가이드 슬롯(10c)의 폭은 상기 도어(40)가 열림에 따라 좁아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65)와 가이드 슬롯(10c)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In order to perform the damping function, the width of the guide slot 10c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65 may be narrowed as the door 40 is opened. That is, friction can be generate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65 and the guide slot 10c.

즉, 도어(40)가 열리는 초기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65)와 가이드 슬롯(10c) 사이의 마찰이 없도록 하고, 도어(40)가 열리는 후기에 상기 가이드 돌기(65)와 가이드 슬롯(10c)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도어(40)가 열릴 수 있다. That is, at the initial stage of opening of the door 40, there is no friction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65 and the guide slot 10c, an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65 and the guide slot 10c Thereby causing friction to occur. Therefore, the door 40 can be opened more stably.

한편, 상기 도어(4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40)의 배면을 내부 트레이(60)라 할 수 있다. 내부 트레이(60) 상부에는 물병 등이 놓일 수 있다. 이러한 하중은 상기 도어(40)를 더욱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트레이(60)가 캐비닛(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40 is fully opened,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40 may be referred to as an inner tray 60. A water bottle or the like may be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tray 60. This load exerts a force in the direction of further rotating the door (40). Therefore, the inner tray 60 must be firmly fixed to the cabinet 10. [

이를 위해서,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단턱(10d)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어(40)가 완전히 열렸을 때, 상기 내부 트레이(60)의 일부가 상기 단턱(10d)에 맞닿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40)가 완전히 열려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중이 있더라도 더 이상 도어(4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For this, a step 10d may be formed in the cabinet 10 and a part of the inner tray 60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ep 10d when the door 40 is fully opened. have. This allows the door 40 to be completely opened and fixed, and prevents the door 40 from rotating further even if there is a load.

따라서, 내부 트레이(60)에서는 상기 단턱(10d) 부분, 상기 가이드 돌기(65) 부분 그리고 상기 힌지(41) 부분에 걸쳐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으로 내부 트레이(60)가 캐비닛(60)에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inner tray 60, the load can be distributed over the step 10d portion, the guide projection 65 portion, and the hinge 41 portion. Therefore, the inner tray 60 can be fixed to the cabinet 60 more stably.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도어(40)의 전면(42)은 외부 트레이(30)의 상면과 소정 갭을 이룸을 알 수 있다. 상기 소정 갭은 소정 하중 이상으로 상기 내부 트레이(60)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메워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소정 이상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내부 트레이(60)의 배면, 즉 도어의 전면(43)이 상기 외부 트레이(30)의 상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중과 상기 도어(40)의 허용 굽힘 변위를 고려하여 상기 갭의 크기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7, when the door 40 is completely opened, the front surface 42 of the door 40 has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rnal tray 30. As shown in FIG. The predetermined gap may be filled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inner tray 60 at a predetermined load or more. That is, when a predetermined excessive load is applied,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tray 60, that is, the front surface 43 of the door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tray 30. That is, the size of the gap is preferab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and the allowable bending displacement of the door 40.

상기 도어의 전면(43)과 상기 외부 트레이(30)의 상면이 접하게 되면, 큰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점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는 점이나 선 지지가 아닌 면 지지일 수 있다. 따라서, 하중으로 인한 도어의 소성 변형 및 파괴를 일정 부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front surface (43) of the doo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tray (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support point for supporting a large load is further increased. This can be a face support rather than a point or line support. Therefore, plastic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door due to the load can be prevented to some extent.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내부 트레이 구조 및 이를 통한 잔수 배출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nner tray and the structure for discharging the residual water through the inner tra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FIG.

도 8은 내부 트레이(60), 특히 트레이 연장부(63)가 캐비닛(10) 내측에 구비되는 메인 트레이(80)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내부 트레이(60)의 베이스(6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61)의 상부에 도 9에 도시된 내부 트레이 커버(69)가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후의 단면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8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inner tray 60, particularly the tray extension portion 63, with the main tray 80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As shown in FIG. The base 61 of the inner tray 60 is shown. The inner tray cover 69 shown in FIG. 9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61, and the cross section after the coupling is shown in FIG.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상기 내부 트레이(60)를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받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50)의 하부 및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된다. The main tray 80 is provided to receive residual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tray 60. The main tray 80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dispenser 50 and the cabinet 1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트레이(60)는 베이스(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61)에는 함몰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함몰부(62)의 함몰 깊이에 대응되는 만큼 잔수가 저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inner tray 60 includes a base 61. A depression (62) may be formed in the base (61). Therefore, the residual water can be stored at least as long as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depression 62.

아울러, 함몰부(62) 테두리 부분에 소정 부분 돌출되어 상기 함몰부(62)를 감싸도록 지지부(62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62a)의 높이만큼 잔수가 더 저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upporting portion 62a may be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portion from a rim portion of the depressed portion 62 to surround the depressed portion 62. Therefore, the remaining number of the reservoir portion 62a can be further increased by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62a.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62)는 저수 기능보다는 많은 양의 잔수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하게 잔수를 배수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함몰부(62)는 캐비닛(10) 내측으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ressed portion 62 is provided so as to drain the remaining water promptly even if a larger amount of remaining water is generated than the water retaining function. For this purpose, the depressed portion 62 may b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상기 베이스(61)는 캐비닛 외측의 트레이 메인부(63)와 캐비닛 내측의 트레이 연장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 외부에서 발생되는 잔수가 상기 트레이 연장부(64)로 안내되고, 캐비닛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base 61 may include a tray main portion 63 outside the cabinet and a tray extension 64 inside the cabinet. Therefore, the remaining amount generated outside the cabinet can be guided to the tray extension portion 64 and discharged into the cabinet.

이러한 잔수 배출을 위해, 상기 트레이 연장부(64)에는 트레이 배수홀(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배수홀(64)은 많은 양의 잔수를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해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잔수의 흐름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속한 잔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In order to discharge such residual water, a tray drain hole 64 may be formed in the tray extension portion 64.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y drain hole 64 is formed to be lo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order to quickly discharge a large amount of residual water. This means that it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emaining wa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residual water quickly.

아울러, 상기 베이스에는 트레이의 길이 방향, 즉, 캐비닛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수 가이드(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가이드(66)는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잔수의 흐름이 상기 트레이 배수홀(64)을 따라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drain guide 6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y, that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binet, may be formed on the base. The drainage guides 66 may be formed on both sides. Therefore, the flow of the residual water can be formed in a linear shape along the tray drain hole 64.

아울러, 상기 배수 가이드(66)의 말단 양측에는 유로 전환 가이드(6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 전환 가이드(67)는 잔수가 함몰부(63)의 외곽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67)는 함몰부(63) 외곽으로 흐르는 잔수를 상기 트레이 배수홀(64)로 모아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low path switching guide 67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rainage guide 66. The passage changing guide 67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residual water from being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pressed portion 63. Therefore, the flow path switching guide 67 can collect the remaining water flowing out of the depression 63 into the tray drain hole 64.

이러한, 배수 가이드(66)와 유로 전환 가이드(67)를 통해 잔수가 발생되면 신속하게 트레이 배수홀(64)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 트레이(60)에서 잔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residual water is generated through the drain guide 66 and the channel switching guide 67, it can be discharged to the tray drain hole 64 quickl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flow in the inner tray (60).

한편,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67)는 전술한 유로 고정부(42)를 상기 함몰부(63)와 격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67) 내측에 상기 유로 고정부(42)가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switching guide 67 functions to isolate the flow path fixing portion 42 from the depression 63. That is, the flow path fixing part 42 can be positioned and fixed inside the flow path switching guide 67.

그리고, 상기 유로 전환 가이드(67)의 양측으로는 힌지 슬롯(6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힌지(41)가 상기 힌지 슬롯(68) 감싸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디자인 및 회동부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hinge slot 68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ow path switching guide 67. That is, the hinge 41 described above can be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hinge slot 68 is enclosed. Therefore, the rotating pa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oreign materia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tuck in the design and the rotating part.

상기 베이스(62) 상에는 내부 트레이 커버(69)가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6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An inner tray cover 69 is located on the base 62. More specifical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62.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는 물병 등과 같은 용기를 받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잔수가 상기 함몰부(62)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의 상면은 상기 함몰부(62)와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The inner tray cover 69 functions to support a container such as a water bottl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inner tray cover 69 is supplied to the depressed portion 62.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tray cover 69 is spaced apart from the depressed portion 62 by a predetermined height.

먼저,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를 통해 잔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의 상면(69a)에는 관통홀(69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 커버(69)의 상면(69a)은 용기를 받치는 기능을 하는 한편, 상기 관통홀(69c)을통해 잔수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홀(69c)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트레이 커버(69)의 가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슬릿 형태의 관통홀(69c)은 복수 개일 수 있다.A through hole 69c may b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69a of the inner tray cover 69 so that residual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tray cover 69. [ Therefore, the upper surface 69a of the tray cover 69 functions to support the container, while the residual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69c. The through holes 69c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tray cover 69 may be formed as a slit extending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ray cover 69.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ch slit-shaped through holes 69c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상면(69a)과 상기 함몰부(62) 사이에 소정 높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면(69a)의 테두리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69b)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면(69a)과 측벽(69b)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은 비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관통홀(69c)과 이러한 빈 공간을 통해 잔수가 상기 함몰부(62)로 배출될 수 있다. In order to form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upper surface 69a and the depressed portion 62, side walls 69b extending downward may be formed on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69a. Therefore,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69a and the side wall 69b becomes empty. Therefore, through the through hole 69c and the empty space described above, the remaining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depressed portion 62.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에는 물병 등이 놓이게 된다. 물병에 물이 찰수록 하중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의 상면(69a)이 하부로 눌려져 변형되어 손상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water bottle or the like is placed on the inner tray cover 69. The more water the water bottle gets, the more the load increases. Therefore, the upper surface 69a of the inner tray cover 69 may be pushed downward to be deformed and damaged.

따라서, 상기 함몰부(62)와 상기 상면(69a) 사이의 갭을 메워 지지하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전술한 배수 가이드(66)와 유로 전환 가이드(6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러한 지지 구조일 수 있다. Therefore, a structure may be required to support the gap between the depressed portion 62 and the upper surface 69a. At least one of the drainage guide 66 and the flow path switching guide 67 may be such a supporting structure.

상기 배수 가이드(66)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69c)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 가이드(66)로 인한 관통홀(69c) 막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수 가이드(66)를 코크(21)와의 위치 관계에서 실질적으로 물통이 놓이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The drain guide 66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rough hole 69c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fore, clogging of the through hole 69c due to the drain guide 66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drain guide 66 at a position where the bucket is substantially placed in relation to the cock 21.

아울러, 상기 지지부(62a)를 통해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62a)의 상면은 소정 폭을 갖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62a)의 상면을 통해서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a)가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tray cover 69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portion 62a.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62a may be formed flat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Therefore, the inner tray cover 69a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62a.

한편, 내부 트레이 커버(69a)를 보다 견고히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62a)의 상면 높이와 상기 배수 가이드(66)의 높이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서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a)의 상면(69a)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order to more firmly support the inner tray cover 69a,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62a and the height of the drainage guide 66 may be the same. Therefore, the upper surface 69a of the inner tray cover 69a can be supported at various positions.

전술한 배수 구조들을 통해서도 상기 함몰부(62)에는 어느 정도의 잔수가 잔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40)를 닫는 경우, 갑자기 잔수가 캐비닛 내측을 향해 몰릴 수 있다. 이러한 잔수의 흐름은 상기 함몰부(62)를 넘어 내부 트레이(60)의 좌우로 오버플로우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캐비닛 내측으로 오버플로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내부 트레이 커버(69) 상부로 잔수로 빠져나와 캐비닛(10)의 전방에서 좌우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캐비닛(10) 내측으로 오버플로우가 되어 메인 트레이(80)와 캐비닛(10) 내벽 사이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A certain amount of residue may remain in the depression 62 through the above-described drainage structures. At this time, when the door (40) is closed, the remaining amount may suddenly be turned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The flow of the residual water can form an overflow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inner tray 60 beyond the depression 62. Of course, an overflow can be formed inside the cabinet. That i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ater is drai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tray cover 69 to flow out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10 to the left and right. There is a possibility of overflow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and to flow out between the main tray 80 and the inner wall of the cabinet 10.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에는 잔수 넘침 방지 가이드(69d)가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 residual water overflow prevention guide 69d may be formed on the inner tray cover 69. [

상기 잔수 넘침 방지 가이드(69d)는 상기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의 후방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부 디스펜스 공간(50a)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remainder overflow prevention guide 69d may protrude from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inner tray cover 69. Specifically, it can be formed at the rear edge portion. And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dispensing space 50a.

따라서, 도어(40)를 닫을 때, 잔수가 내부 트레이 커버(69)로 빠져나와 후방과 양측으로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door 40 is clo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sidual water from escaping to the inner tray cover 69 and overflowing to the rear and both sides.

이러한, 잔수 넘침 방지 가이드(69d)는 도어(40)가 닫힐 때, 상기 내부 트레이(60)에 잔수 저장 공간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잔수 저장 공간이 늘어나는 만큼 상기 트레이 배수홀(65)을 통해 잔수가 배수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The remainder overflow prevention guide 69d may function to temporarily increase the remaining water storage space in the inner tray 60 when the door 40 is closed. Therefore, as the residual water storage space temporarily increase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time for draining remaining water through the tray drain hole 65.

따라서, 도어(40)를 급하게 닫는 경우에도, 상기 내부 트레이(60)의 잔수가 상기 트레이 배수홀(65)을 통해서만 배수되도록 하여, 잔수가 캐비닛 외부나 내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door 40 is quickly close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inner tray 60 can be drained only through the tray drain hole 65, so that leakage of the residue to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cabinet can be minimize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는 상기 베이스(61)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용이하게 분리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69)의 측벽(69b)은 지지부(62a)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베이스(61)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측벽(69b) 내면과 상기 지지부(62a)의 외면이 서로 맞닿도록 상기 커버(69)가 상기 베이스(61)에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tray cover 69 can be seated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61.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easily separable. To this end, the side wall 69b of the cover 69 may be seated on the base 61 in the form of wrapping the support portion 62a. That is, the cover 69 may be coupled to the base 61 such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69b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62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커버(69)는 청소 등을 위해 상기 베이스(61)에 장착과 분리가 용이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 도어(40)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커버(69)는 상기 베이스(61)에 견고히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커버(69)와 베이스(61)의 결합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Meanwhile, the cover 69 should be easy to attach and detach to the base 61 for clean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ver 69 must be firmly fixed to the base 61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door 40. Therefore,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 69 and the base 61 is very important.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트레이 베이스(61)와 상기 내부 트레이 커버(69)와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ray base 61 and the inner tray cover 6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FIG.

상기 트레이 베이스(61)에 연결홈(62b, 62c)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커버(69)에는 걸림돌기(69e, 69f)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홈(62b, 62c)에 상기 걸림돌기(69e, 69f)가 삽입되어 양자가 결합될 수 있다.Connection grooves 62b and 62c are formed in the tray base 61 and locking projections 69e and 69f may be formed in the tray cover 69. [ Therefore, the locking protrusions 69e and 69f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62b and 62c so that they can be coupled.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돌기(69e, 69f)가 상기 연결홈(62b, 62c)으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 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2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69)가 좌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ing protrusions 69e and 69f are slid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by the coupling grooves 62b and 62c. That is,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12, the cover 69 is slid to the left and fixed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또는 좌측으로의 슬라이딩 되어 고정되는 것은, 도어(4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고정 결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Here, sliding and fixing to the inside or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10 is intended to maintain the fixed engagement of the door 40 in spite of the rotation of the door 40.

도 11에 도시된 도어(40)가 닫히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의 위치가 변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40)가 닫혀있는 경우, 상기 커버(69)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려 한다. 여기서, 하부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커버(69)가 상기 베이스(61)에 고정되는 방향이다. When the door 40 shown in Fig. 11 is closed, the position of the door 40 changes as shown in Fig. Here, when the door 40 is closed, the cover 69 tries to move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Here, moving downward is a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69 is fixed to the base 61.

따라서, 이러한 걸림돌기(69e, 69f)와 상기 연결홈(69b, 69c)의 결합 구조로 인하여, 도어(40)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Therefore, due to the engagement structure of the engagement protrusions 69e and 69f and the connection recesses 69b and 69c, the engagement of both can be firmly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door 4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돌기(69e, 69f)는 커버(69)의 양쪽 측벽(69b)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쪽 측벽에는 전후로 두 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atching protrusions 69e and 69f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wall 69b of the cover 69. In addition, two locking projections may be formed in the front side wall on one side wall.

상기 연결홈(62b, 62c)은 외측홈(62b)와 내측홈(62c)를 포함할 수 있고, 사기 걸림 돌기(69e, 69f)는 수직 돌기(69e)와 가로 돌기(69f)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로 돌기는 수직 돌기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측홈은 상기 외측홈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홈의 폭은 상기 걸림 돌기가 여유있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grooves 62b and 62c may include an outer groove 62b and an inner groove 62c and the engaging protrusions 69e and 69f may include vertical protrusions 69e and transverse protrusions 69f . The transvers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extend fo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rotrusion. In addition, the inner groove may be formed to extend forward from the lower groove bottom. The width of the outer groov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atch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with sufficient space.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여유있게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걸림 돌기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 돌기(69f)가 상기 내측홈(69c)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로 인해, 상기 커버(69)가 지지부(62a)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용이하게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2, the latch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with sufficient spac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Thereafter, the latching protrusion can be moved forward. At this time, the transverse protrusion 69f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69c as shown in FIG. Due to such a coupling structure, the cover 69 can be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62a. Of course, it can be easily mounted and detached.

한편,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69) 또는 도어(40)는, 닫혀있는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커버(69)의 하중 방향은 상기 커버(69)의 결합 방향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40)의 개폐 여부와 관계없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y 69 or the door 40 shown in Fig. 12 is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13 in the closed state. The direction of load of the cover 69 becomes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engagement of the cover 69. Therefore, it can be firmly fixed regardless of whether the door 40 is open or closed.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트레이 구조, 트레이 장착 및 분리 구조 그리고 트레이를 통한 배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y structure, the tray mounting and demounting structure, and the drainage structure through the tra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8. FIG.

메인 트레이(80)은 내부 트레이(60)를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받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내부 디스펜서(50) 하부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main tray 80 is provided for receiving residual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tray 6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lower part of the inner dispenser 50 and the inside of the cabinet.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트레이(60)의 트레이 배수홀(68)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트레이 배수홀(68)을 통해 배수되는 잔수가 상기 메인 트레이(80)에 저장되거나, 상기 메인 트레이(80)를 통해 캐비닛 외부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More specifically, it is positioned above the tray drain hole 68 of the inner tray 6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remainder drained through the tray drain hole 68 can be stored in the main tray 80 or can be drained out of the cabinet through the main tray 80.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청소 또는 물 비움을 위해서 캐비닛(10)에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트레이(80)에는 잔수가 많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트레이(80)를 캐비닛에서 분리할 때, 잔수가 출렁거려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물론, 잔수로 인한 무게로 인해 메인 트레이(80)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The main tray 80 needs to be installed in the cabinet 10 for easy cleaning or water discharge. In addition, the main tray 80 can store a large amount of remnants. Therefore, when the main tray 80 is detached from the cabine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main tray 80 may leak out to the outside. Of course, separation of the main tray 80 may not be easy due to the weight due to the residual wat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상기 캐비닛 전방에서 서랍 형태로 장착과 분리가 됨이 바람직하다. 즉, 서랍 형태로 탈착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tray 80 is mounted and separated in a drawer form in front of the cabinet. That is, it desirably desorbs in the form of a drawer.

그리고, 상기 메인 트레이(80) 전방에는 상기 메인 트레이를 캐비닛 외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외부 트레이(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트레이(30)는 상기 메인 트레이(80)를 인출하기 위한 메인 트레이 손잡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외부 트레이(30)는 서브 트레이(30)라고 명칭될 수 있는바, 이하 상기 외부 트레이와 서브 트레이는 같은 구성을 지칭함을 명확히 한다.An external tray 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tray 80 to draw the main tray out of the cabinet. Here, the outer tray 30 may be referred to as a main tray handle for pulling out the main tray 80. In this regard, the outer tray 30 may be referred to as a sub tray 30, and the outer tray and the sub tray hereinafter refer to the same configuration.

상기 서브 트레이(30)는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에 의해 발생되는 잔수를 상기 서브 트레이(30)에서 받을 수 있다.The sub tray 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may be positioned below the external dispenser 20. Therefore, the residual water generated by the external dispenser 20 can be received in the sub tray 30.

상기 서브 트레이(30)는 상기 정수기의 전면과 측면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즉, 캐비닛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The sub tray 30 may form part of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water purifier. That is, it can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abine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 트레이(30)는 하우징(31), 서브 트레이 용기(33) 그리고 서브 트레이 커버(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b tray 30 may include a housing 31, a sub tray container 33, and a sub tray cover 34.

상기 하우징(31)은 상기 정수기의 전면과 측면의 일부를 이루고, 상부에 개구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32)를 통해서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33)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개구부(32)를 통해 장착된 서브 트레이 용기(3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서브 트레이 커버(34)가 장착된다. The housing 31 forms a part of a front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and an opening 32 may be formed in an upper part of the water purifier. The sub tray container 33 can be inserted and mounted through the opening 32 of the housing. Of course, the sub tray vessel 33 mounted through the opening 32 can be easily separated. The sub tray cover 34 is mounted on the opening.

도 14에는 서브 트레이 용기(33)가 하우징(31)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32)에 서브 트레이 커버(34)가 장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14 shows that the sub tray container 33 is mounted on the housing 31 and the sub tray cover 34 is mounted on the opening portion 32. [

상기 하우징은 전면과 양측면이 막혀있고, 후면은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개구된 후면을 통해서 잔수가 누수되더라도, 이러한 잔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트레이(80)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캐비닛과 서브 트레이(30)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잔수가 누출되더라도, 이러한 잔수를 메인 트레이(80)에서 받을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housing is clogged with a front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nd the rear surface is opened. This is because even if the residual water leaks through the open rear surface, such residual water may fall into the main tray 80 as shown in Fig. That is, even if the residual water leak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abinet and the sub tray 30, such residual water can be received in the main tray 80.

한편, 상기 서브 트레이(30)는 상기 하우징(31)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트레이와 일체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어셈블리로서, 서브 트레이(30)와 메인 트레이가 일체로 캐비닛에 장착되고, 다시 캐비닛에서 분리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b tray 3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tray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31. That is, as one assembly, the sub tray 30 and the main tray are integrally mounted in the cabinet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cabinet again.

아울러,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33)의 하면은 상기 메인 트레이(80) 보다 높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메인 트레이(80)에 잔수가 차 있는 경우,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33)의 장착 시, 서브 트레이 용기(33)가 상기 잔수 표면을 누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메인 트레이(80)로부터 잔수가 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 tray container 33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main tray 80. This is because when the sub tray vessel 33 is mounted, the sub tray vessel 33 can press the surface of the residual water when the main tray 80 is full. In this case, residual water may leak from the main tray 80.

한편,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33)의 하면은 막혀있을 수도 있고, 개구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개구되는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 배수가 가능한 환경에서 바람직하고, 막혀있는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 배수가 가능하지 않은 환경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브 트레이 용기(33)의 두 가지 형태 모두 제공될 수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b tray vessel 33 may be closed or open. The opening is preferable in an environment in which automatic drainage is possible as described later, and the case in which it is blocked is preferable in an environment in which automatic drainage is not possible as described later. Accordingly, both of the sub tray vessels 33 may be provided and selectively us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상기 서브 트레이는 상기 내부 트레이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33)의 하부를 통해 양자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트레이로 배수되는 잔수가 상기 서브 트레이를 통해 상기 내부 트레이로 배출될 수 있다.The sub tray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tray. That is,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ub tray vessel 33. Therefore, the remainder discharged to the sub tray can be discharged to the inner tray through the sub tray.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메인 트레이 용기(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트레이 용기(81)는 상기 하우징(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트레이 용기(81)는 상기 하우징(30)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저장될 수 있는 용량을 더욱 키울 수 있다. The main tray 80 may include a main tray 81. The main tray container 8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30. Accordingly, the main tray container 81 can exten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30. [ Through this, the capacity that can be stored can be further increased.

상기 메인 트레이(80)의 후방에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수홀(82)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홀(82)은 메인 트레이 용기(81)의 후방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drain hole may be formed in the rear of the main tray 80. Specifically, the drain hole 82 may b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As shown in FIG. 14, the drain hole 8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main tray container 81.

상기 메인 트레이(8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 내부에 형성되는 트레이 공간(11)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 공간(11)으로 서랍 형태로 인출될 수 있다.The main tray 80 may be inserted into the tray space 11 formed in the cabinet 10 as shown in FIG. That is, it can be drawn out into the tray space 11 in the form of a drawer.

상기 트레이 공간(11) 내측에는 상기 배수홀(82)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홀(82)과 삽입부(14)의 형합에 의해 트레이 공간(11)으로 메인 트레이(80)가 정확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An insertion portion 14 can be formed in the tray space 11 so that the drain hole 82 can be inserted and fixed. The main tray 80 can be fixed in the correct position to the tray space 11 by the combination of the drain hole 82 and the insertion portion 14.

한편, 정수기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배수홀(82)을 막거나 열어 놓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삽입부(14)에는 배수유로가 형성되어 캐비닛(10) 내측에서 캐비닛 외부로 잔수를 배수할 수 있다. 즉, 배수 시설이 마련되는 환경에서는 상기 배수홀(82)을 열어 놓을 수 있고, 반대인 경우에는 배수홀(82)을 막을 수 있다. 전자는 자동 배수라 할 수 있고, 후자는 수동 배수라 할 수 있다. 물론, 자동 배수인 경우에도 트레이 청소를 위해 트레이는 캐비닛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ain hole 82 may be blocked or open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Although not shown, a drainage passage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14 to drain the residual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at is,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drainage facility is provided, the drainage hole 82 may be opened,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drainage hole 82 may be closed. The former can be called automatic drainage, and the latter can be called manual drainage. Of course, even in the case of automatic drainage, the tray needs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binet for tray cleaning.

메인 트레이(80)의 장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레일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트레이(80)와 서브 트레이(30)을 하나의 어셈블리, 즉 트레이 어셈블리로 제작함으로써 트레이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In order to facilitate mounting and dismounting of the main tray 80, a rail structure may be provided.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tray 80 and the sub tray 30 are formed as one assembly, that is, a tray assembly, the mounting and separation of the tray is facilitated.

상기 메인 트레이(80)의 양측에는 레일(83)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레일(83)에 대응되는 레일 슬롯이 캐비닛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 공간(11)의 양 측벽에 상기 레일 슬롯(12)이 구비될 수 있다. Rails 83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tray 80. In addition, a rail slot corresponding to the rail 83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That is, the rail slot 1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tray space 11.

상기 레일(83)은 삽입되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 슬롯은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레일 슬롯과 레일이 구비된 위치는 반대가 될 수 있다. 즉, 레일 슬롯이 메인 트레이(80)에 형성되고, 레일(83)이 캐비닛(10)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rail 83 may be formed to be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erted, and may protrude to both sides. Correspondingly, the rail slot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rail slot and the rail may be reversed. That is, a rail slot may be formed in the main tray 80, and a rail 83 may be formed in the cabinet 10.

상기 레일(83)의 후방, 즉 캐비닛의 더욱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에 롤러(8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84)로 인해 트레이가 장착되는 초기 원활하게 상기 레일 슬롯(12)로 삽입될 수 있다. 물론, 분리될 때에도 캐비닛과 메인 트레이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A roller 84 may be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rail 83, that is, at a position further inside the cabinet. This roller 84 can be inserted into the rail slot 12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tray is mounted. Of course, even when detached, the impact generat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main tray can be minimized.

따라서, 상기 롤러(84)는 상기 레일(83)이 메인 트레이(80) 후방으로 더욱 연장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84)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레일 슬롯(12)의 최후단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양자가 형합되도록 상기 레일 슬롯(12)의 최후단에는 곡면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도 메인 트레이(80)가 정확한 위치까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roller 84 can be said to extend further to the rear of the main tray 8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oller 84, the trailing end shape of the rail slot 12 can be formed. In other words, the curved portion 12a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ail slot 12 so that the two are combined. The main tray 80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correct position through the curved portion 12a.

한편, 상기 메인 트레이(80)의 용기(81) 상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메인 트레이 용기(81)의 후면 면적이 상기 트레이 공간(12)의 면적, 즉, 트레이가 투입되는 면적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큰 구멍에 작은 돌기를 삽입하는 것과 같이 트레이(80)가 원활히 삽입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81 of the main tray 80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is means that the rear surface area of the main tray container 81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tray space 12, that is, the area into which the tray is inserted. Therefore, the tray 80 can be smoothly inserted, such as by inserting a small projection into a large hole.

상기 메인 트레이(80)에 잔수가 많이 남아있는 경우, 메인 트레이(80)를 캐비닛에서 분리할 때 상기 잔수가 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격히 메인 트레이(80)를 분리할 때, 잔수에 출렁거림이 발생될 여지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를 고려하여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메인 트레이를 분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When the main tray 80 is left with a large amount of residual water, the residual water may leak when the main tray 80 is separated from the cabinet. For example, when the main tray 80 is suddenly detached, there is a lot of possibility that the residual water is generated in the residual wa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user to smoothly and stably separate the main tray in consideration of this.

이를 위해서, 상기 레일(83)의 중간 부분에 스토퍼 홈(85)이 형성될 수 있고, 사기 레일 슬롯(12)의 전방에 스토퍼(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트레이(80)가 어느 정도 캐비닛(10)에서 분리될 때, 상기 스토퍼(13)가 상기 스토퍼 홈(85)에 걸린다. 따라서, 메인 트레이(8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반력이 발생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메인 트레이(80)에 걸리는 힘이 발생됨을 느끼고, 메인 트레이(80)을 들어 올리면서 부드럽게 메인 트레이(80)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For this purpose, a stopper groove 85 may be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ail 83, and a stopper 13 may be formed at the front of the rail rail slot 12. That is, when the main tray 80 is separated from the cabinet 10 to some extent, the stopper 13 is caught in the stopper groove 85. Therefore, a reaction forc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 tray 80 is not separated. In this case, the user feels that a force is applied to the main tray 80, and the main tray 80 can be smoothly removed while lifting up the main tray 80.

다시 말하면, 상기 스토퍼(13)와 상기 스토퍼(85)가 서로 형합될 때, 사용자는 메인 트레이(80) 내부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잔수가 얼마만큼 저수되어 있는지와 잔수의 출렁거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잔수의 출렁거림을 확인하면서 조심스럽게 메인 트레이(80)를 캐비닛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트레이(80)에서 잔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stopper 13 and the stopper 8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user can see the inside of the main tray 8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firm how much of the residual water is stored and whether or not the residual water is fluctuated. Therefore, the main tray 8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abinet with care while checking the wobbling of the residual water.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overflow in the main tray (80).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내부 디스펜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dispens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2. FIG.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40)가 열리면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이 캐비닛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에는 음용수나 음료, 또는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40)의 후면은 상기 디스펜서(50) 사용 시 트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40)가 열리면 내부 디스펜서(50)와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가 함께 노출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40 is opened, the inner dispenser space 50a provided in the cabine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e inner dispenser space 50a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for supplying drinking water, beverage, or ice.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40 functions as a tray when the dispenser 50 is used. Accordingly, when the door 40 is opened, the inner dispenser 50 and the inner dispenser tray 60 are exposed together.

상기 도어(40)의 크기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 크기와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는 전술한 외부 트레이(30)에 비해 큰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를 다시 닫아, 캐비닛(10)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size of the door 40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inner dispenser tray 60. Accordingly, the inner dispenser tray 60 can have a larger area than the outer tray 30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when not in use, the inner dispenser tray 60 can be closed again to minimize the portion protruding forward of the cabinet 10.

따라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에서 큰 물병들을 받친 상태에서 용이하게 물을 채울 수 있다. 그러므로, 내부 디스펜서(50)는 물병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받기 위해 매우 적합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Therefore, water can easily be filled in the inner dispenser tray 60 in a state in which large water bottles are supported. Therefore, the internal dispenser 50 provides a very suitable structure for receiving a large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bottle.

상기 디스펜서(50)는 코크부(100, 200, 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크부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에는 코크부가 세 개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코크부는 그 구조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코크부의 세부 구성들은 모두 같을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코크부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The dispenser 50 includes a cork 100, 200, and 300. Specifically, a plurality of the cork portions may be provided. 19 to 22 show that there are three cork portions. Here, the plurality of cork portions may have the same structure. Therefore, since th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cock portions may all be the same, only one of the cock portions can be described in detail.

코크부(100)는 코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크(140)를 통해서 음용수나 음료가 공급된다. 코크가 세 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코크를 제1코크, 제2코크 그리고 제3코크라 할 수 있다. The cock portion 100 includes a cock 140. Drinking water or beverage is supplied through the cock 140. When three corks are provided, each of the cork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ke, a second coke, and a third coke.

여기서, 다양한 크기의 물병에 원활히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코크(140)의 위치는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함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크의 상하 이동으로 인해 상기 코크(140)와 내부 트레이(6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는 높이가 낮은 물병이나 높이가 높은 물병에도 원활히 물이 공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Here, the position of the cock 140 is preferably varied to smoothly supply drinking water to water bottles of various sizes. That is, it is preferable to make it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The gap between the cock 140 and the inner tray 60 can be adjusted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ck. This means that water can be supplied smoothly even to low-height water bottles or high-height water bottles.

구체적으로, 상기 코크(140)는 중심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코크(140)의 회전 중심을 코크 헤더(110)라 할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와 상기 코크(140) 사이에는 코크 바디(1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에서 연장된 파이프 형태를 코크 바디(120)라 할 수 있고, 상기 코크 바디(120)의 말단 부분에 코크(140)가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ock 140 may vary as the cock 140 rotates from the center.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ck 140 may be referred to as a coke header 110. A coke body 120 is provided between the coke header 110 and the coke 140. Accordingly, the pipe shape extending from the coke header 110 may be referred to as a coke body 120, and the coke 140 may be provided at a distal end portion of the coke body 120.

상기 코크 헤더(11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코크 바디(120)는 상기 코크 헤더(110)에서 분지된 형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코크 바디(120)가 코크 헤더(11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코크 헤더(110) 회전 도는 코크 바디(1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코크(140)의 상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The coke header 110 is rotatably provided. In addition, the cork body 120 is branched in the coke header 110. Therefore, the cork body 120 can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cork header 110 by the rotation of the cork header 110. The rotation of the coke header 110 can be varied by the rotation of the coke body 120.

상기 코크(140)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키기 위해 손잡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130)를 잡고 상기 코크 헤더(110)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코크 바디(1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30)를 잡고 코크 바디(12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코크(140)의 상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위치 변경에도 불구하고, 상기 코크 헤더(110)는 회전 가능하지만 병진 이동은 불가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A handle 130 may be provided to easily vary the position of the cock 140. That is, the cork header 110 can be rotated by holding the handle 130. Specifically, the handle 130 may be provided on the cock body 120. As a resul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ock 140 can be changed while holding the handle 130 to lift or lower the cock body 120. Of course, in spite of this position change, it is desirable that the coke header 110 be rotatable, but not translationally movable.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코크 바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130)와 상기 코크 바디(120) 사이에는 손잡이 형상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The handle 13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ck body 120 and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into which a user's finger can be inserted. That is, an arc-shape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handle shape is formed between the handle 130 and the cork body 120.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130)는 상기 코크 바디(1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원호 형태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립(grip)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는 일단이 상기 코크 바디를 감싸면서 상기 코크 헤더(1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코크 바디(120)를 코팅한 형태로 상기 코크 헤더(1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andle 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n arc shape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ck body 120. In addition, the handle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herefore, the grip feeling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handle may extend to the cork header 110 with one end wrapping around the cork body. That is, the cork body 120 may be extended to the cork header 110 in a coated state.

아울러, 상기 손잡이(130)에는 출수 버튼(13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전면(130)에 노출되는 손잡이(130) 상에 출수 버튼(135)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130 may be provided with an outflow button 135. That is, the outflow button 135 may be provided on the handle 130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130 of the user.

상기 출수 버튼(135)의 전면은 멤브레인(membrane) 시트(sheet)로 방수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상기 출수 버튼(135)을 누르더라도, 수분이 상기 출수 버튼(135)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ront surface of the outflow button 135 is waterproofed with a membrane sheet. Therefore,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water-supply button 135 with a wet h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water-supply button 135.

도 21에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30)를 통해 용이하게 코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를 통해 코크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출수 버튼(135)을 눌러 출수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손만을 사용하여 코크의 조절과 출수 버튼 조작을 동시에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Fig. 21 shows a user holding the handle.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cock can be easily changed through the handle 130. [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ke through the handle and press the water-release button 135 to perform water-out. That is,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only one hand to control the cock and to operate the push button at the same time.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코크부(100, 200, 300)은 서로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원위치(코크 바디(120)가 수직으로 놓인 위치)에서 어느 하나의 코크부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코크부를 동일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각도가 각각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9, the plurality of cork portions 100, 200, and 300 may be separately rotatable. That is, only one of the cork portions can be rotated at the home position (the position where the cork body 120 is placed vertically). It is possible to rotate all the cork parts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 20, and to change the rotation angles as shown in Figs. 21 and 22, respectively.

도 22에는 구체적으로, 높이가 다른 두 개의 물병에 각각 코크부의 위치를 달리하여 편리하게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140)의 위치는 상기 디스펜서 공간(50a)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코크(140)의 위치는 항상 상기 내부 디스펜서(60) 상에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디스펜서 공간(50a)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러므로, 코크(140)의 상하 위치 가변으로 인한 코크(140)의 전후 위치 가변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을 마치면, 상기 코크부들은 전술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고, 상기 도어(40)를 닫으면 캐비닛(10)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FIG. 22 shows a state in which water can be conveniently supplied to two water bottles having different heights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cock portions.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sition of the cock 140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dispenser space 50a. Nevertheless, the position of the cock 140 is always located on the inner dispenser 60. In addition, the dispenser space 50a is opened frontward. Therefore, the front and back position of the cock 140 can be changed smoothly due to the vertical position change of the cock 140. After the use, the corks can be returned to the above-described original position, and when the door 40 is closed, the portion protruding forward of the cabinet 10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코크부들(100, 200, 300) 각각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코크 헤더(110), 코크 바디(120) 그리고 코크(140)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은 코크부들의 수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게 한다. 즉, 두 개의 코크부, 세 개의 코크부 그리고 그 이상의 코크부들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코크부가 구비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코크부 또는 코크 모듈(100)에 대해서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Each of the cork parts 100, 200 and 300 may be formed of one module. That is, the cork header 110, the cork body 120, and the cork 140 may be formed of one module. Such a module makes it easy to expand the number of cork parts. That is, two corks, three corks, and further corks can be easily configured. Of cour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cork portions are provi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ck section or the cork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이하에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user interface (UI)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3에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50)에 대응되는 UI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UI(54)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디스펜서(5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부 디스펜서(50) 그리고 내부 디스펜서 트레이(60) 함께 선택적으로 캐비닛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디스펜서(50)가 사용될 경우에, 상기 내부 UI(54)가 캐비닛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FIG. 23 shows a UI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dispenser 50. FIG. This UI 54 may be located on the top of the inner dispenser 5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inner dispenser 50 and the inner dispenser tray 60 may be selectively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That is, when the internal dispenser 50 is used, the internal UI 54 may be exposed outside the cabinet.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디스펜서(50)는 물병과 같은 용기에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아울러, 복수 개의 코크부(100, 200, 300)를 통해 동시에 복수 개의 물병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뿐만 아니라 온수나 냉수도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복수 개의 물병에 서로 다른 음용수를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dispenser 50 is very effective in supplying a large amount of water to a container such as a water bottle. In addition, water can be simultaneously supplied to a plurality of water bottles through the plurality of corks 100, 200, and 300. In addition, not only purified water but also hot water or cold water can be suppli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different drinking water can be simultaneously supplied to a plurality of water bottles having various sizes.

이를 위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내부 디스펜서 UI(53)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내부 디스펜서 UI는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하기 위한 UI라 할 수 있다.To this end, an internal dispenser UI 53 is provided which can be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used by the user. Of course, the internal dispenser UI may be a UI for using the internal dispenser 50.

또한, 상기 UI는 각각의 코크부에 대해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코크부(100)에 대해서 제1UI, 제2코크부(200)에 대해서는 제2UI 그리고 제3코크부(300)에 대해서는 제3UI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물론, UI의 위치는 대응되는 코크부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I may be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cock section. That is, the first UI for the first cock portion 100, the second UI for the second cock portion 200, and the third UI for the third cock portion 300, respectively.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UI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rresponding cock section.

여기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50)는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이 기설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UI에는 용량 선택부(55b, 56b, 57b)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공급되는 음용수의 양을 기설정할 수 있다. 상기 용량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용량은 용량 표시부(55c, 56c, 57c)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3에는 선택 가능한 용량의 일례로 2.0, 1.5, 1.0 그리고 0.5리터가 도시되어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the drink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nternal dispenser 50 can be prese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pacity selection units 55b, 56b, 57b are provided in each UI. Thus,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to be supplied can be preset. The capacity selected through the capacity selection unit may be displayed on the capacity display units 55c, 56c, and 57c. In Fig. 23, for example, 2.0, 1.5, 1.0, and 0.5 liters are shown as selectable capacities.

상기 용량 표시부(55c)를 누름에 따라 선택되는 용량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면, 이는 점등 밝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명확히 표시될 수 있다. If the capacit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depression of the capacity display portion 55c is sequentially changed, it can be clearly displayed to the user by the lighting brightness.

한편, 업소용 정수기의 경우 한 번에 많은 물병에 물을 받아 놓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 개의 코크부는 기본적으로 정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양의 온수를 받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자동으로 많은 양의 온수가 공급되는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로 온수가 넘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리터 용량의 물병에 1리터의 물이 차 있는데, 사용자가 부주의로 2리터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온수가 넘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음용수를 공급하는 경우 온수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ommercial water purifier, it is necessary to receive water from many water bottles at a time. Thus, the three cocks can be provided to supply essentially pure water. However, receiving large quantities of hot water can be dangerous. This is because, if a large amount of hot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hot water may overflow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For example, a 2 liter water bottle contains 1 liter of water, allowing the user to inadvertently supply 2 liters of hot water. In this case, hot water may overflow while the user is away. Therefore, when a large amount of drinking water is supplied, hot water may not be provided.

그러나, 업소용 정수기의 경우 적당한 양의 냉수가 급히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코크부는 냉수와 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에 위치하는 코크부(200)에 대응되는 UI(56)을 통해 정수와 냉수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수 버튼(56a)과 냉수 버튼(56d)을 누름으로써 정수 또는 냉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mmercial water purifier, an appropriate amount of cold water may be urgently nee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one of the cock portions is provided so that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can be selectively supplie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3, constant and cold water can be selected through the UI 56 corresponding to the cock part 200 positioned at the center. The user can select whether the water is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by pressing the water button 56a and the cold water button 56d.

정수기의 경우, 정수는 연속 공급이 가능하다. 그러나, 냉수의 경우 소정 온도를 갖는 냉수를 연속 공급하는 것이 어렵다. 왜냐하면 정수기의 기본 기능이 정수이지 냉각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현재의 냉수 용량이 어느 정도인지 사용자에게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UI(56)는 냉수용량 표시부(56e)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a water purifier, constants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However, in the case of cold water,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supply cold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is is because the basic function of the water purifier is an integer, not a chille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ndicate to the user how much current cold water capacity that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is end, the UI 56 preferably includes a cold water capacity display portion 56e.

한편, 내부 디스펜서를 통해서 얼음이나 커피 등과 같은 음료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제조하는 장치가 캐비닛(10)에 구비될 수 있다. 기본적인 음용수 공급 기능은 외부 디스펜서를 이용할 수 있고, 얼음이나 음료 공급과 같은 특수한 기능은 상기 내부 디스펜서에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supply drinks such as ice and coffee through an internal dispenser. For example, an apparatus for producing coffee using an integer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10. The basic drinking water supply function can use an external dispenser, and special functions such as ice or drink supply may be implemented in the internal dispenser.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디스펜서(50)는 기설정된 양의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정량 모드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얼음이나 음료를 공급하는 부가 모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정수기의 기본 기능이 아닌 얼음이나 음료 공급 기능이 부가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수동으로 조작되어 물이 공급되는 모드를 기본 모드라 할 때, 상기 정량 모드 또는 부가 모드는 특수 모드라 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dispenser 50 can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drinking water. This can be called the quantitative mode. In addition, an additional mode of supplying ice or beverage may be provided. This is because it is not a basic function of a water purifier, but an ice or beverage supply function is added. When the mode in which water is manually supplied and operated is referred to as a basic mode, the quantitative mode or the additional mode may be a special mode.

사용자가 UI(54)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결정하고, 상기 코크부(100)에 구비된 출수 버튼(135)을 누르면 누르는 시간과는 무관하게 기설정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일단 가압이 발생되면 기설정된 양만큼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병을 들고 물이 다 공급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즉, 물이 공급되는 동안 다른 일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물병에 물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편리하다.The user can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hrough the UI 54 and predetermined water can be supplied irrespective of the pressing time by pressing the water out button 135 provided in the cock portion 100. [ That is, once the pressure is generated,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can be supplied.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wait for the water to be supplied while holding the water bottle. That is, other things can be done while water is being supplied. In addition, water can be supplied simultaneously to a plurality of water bottles. It is therefore very convenient.

이하에서는 도 24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전술한 코크부 또는 코크 모듈의 구조, 코크 모듈 사이의 연결 관계, 그리고 코크 모듈의 지지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cork or cork module,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rk modules, and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cork modu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4 to 30.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부(100)는 프레임(40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0)은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코크부들이 하나의 프레임(400)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프레임(400)을 통해서 복수 개의 코크부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4, the cork portion 100 can be rotatably supported through the frame 400. Fig. The frame 400 may b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dispenser space 50a.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rks can be supported through one frame 400. That is, a plurality of cork portion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rame 400, and the connecting portions may be independently rotated.

아울러, 프레임(40)은 캐비닛(10)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유로가 상기 코크부(100)와 연결되도록 하는 매개체일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40)을 통해서 캐비닛(10) 내측의 유로(10f)가 상기 코크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40 may be a medium that allows a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to be connected to the cock portion 100. That is, the passage 10f inside the cabinet 10 can be connected to the cock portion 100 through the frame 40. [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복수 개의 코크부들이 하나의 프레임(400)을 통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코크부의 구조로 인하여 필요에 따라 코크부의 수를 더욱 늘일 수 있다. As shown, the same plurality of corks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ingle frame 400. Due to the structure of each of these cork portions, the number of cork portions can be further increased as necessary.

이하에서는 코크부 또는 코크 모듈(100)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cock or cork modul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술한 바와 같이, 코크부(100)는 코크 헤더(110), 코크 바디(120) 그리고 코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rk portion 100 may include a cork header 110, a cork body 120, and a cork 140.

상기 코크 헤더(110)는 상기 프레임(400)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코크 바디(120)를 통해 음용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캐비닛(10) 내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용수를 상기 코크 바디(120)로 제공하기 위한 매개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크 바디(120)는 상기 코크 헤더(110)를 통해서 내부 디스펜서 공간(50a)에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The coke header 11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ame 400 and is adapted to supply drinking water through the coke body 120. That is, it may be a medium for providing drinking water supplied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to the cock body 120. In addition, the cork body 120 may be supported in the inner dispenser space 50a through the coke header 110.

아울러, 상기 코크 헤더(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기 배선이 연결되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코크 바디(120) 특히 손잡이(130)에 출수 버튼(135)가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출수 버튼(135)의 조작에 의한 전기적 신호가 상기 코크 헤더(110)를 통해 캐비닛 내측에 구비되는 제어부로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ke header 110 may be a medium through which electric wiring is connected. This is because the cock button 120, particularly the handle 130, can be provided with the outflow button 135.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utgoing button 135 must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hrough the cock header 110. [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코크 헤더(110)는 다음과 같은 구성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se various functions, the coke header 110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먼저, 상기 코크 헤더(110)는 코크 헤더 바디(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공간을 통해 유로나 전기 배선 등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the cork header 110 may include a cork header body 111. The coke header body 111 forms an internal space. Therefore, the connection of the flow path, electric wiring, or the like can be made through the internal space.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양측에 각각 제1코크 헤더 커버(112)와 제2코크 헤더 커버(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들(112, 113)은 상기 바디(111)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들(112, 113)은 상기 코크 모듈(10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들(112, 113)은 상기 바디(111)의 회전 중심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들 각각은 중심에 회전축 홀(112a, 114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홀(112a, 114a)에는 회전축(115)이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회전축 홀(112a, 114a)를 대신하여 회전축(115) 자체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A first cork header cover 112 and a second cork header cover 114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rk header body 111, respectively. The covers 112 and 113 may be coupled to the body 111. Here, the covers 112 and 113 can support the cork module 100 in a rotatable manner. That is, the covers 112 and 113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body 111. For this purpose, each of the covers may be formed with rotating shaft holes 112a and 114a at the center thereof. The rotary shaft 115 may be inserted into the rotary shaft holes 112a and 114a. Of course, the rotating shaft 115 itself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rotating shaft holes 112a and 114a.

따라서, 전술한 구조로 인하여, 코크 헤더 바디(111), 제1코크 헤더 커버(112) 그리고 제2코크 헤더 커버(114)는 양측에 구비되는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The first cork header cover 112 and the second cork header cover 114 can be integrally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115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cork header body 111, have.

여기서,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는 회전되는 구성이므로, 그 회전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원주면에는, 상기 코크 바디(120)가 연결되기 위한 바디 홀(111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 홀(111c)을 통해 상기 코크 바디(120)가 상기 바디(111)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111)의 좌우 길이 방향의 중심에 상기 바디홀(111c)이 형성되어 좌우 균형을 이룰 수 있다. Here, since the cork header body 111 is configured to rot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k header body 1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rot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In addition, a body hole 111c may be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k header body 111 to connect the cork body 120 to the body surface. The cork body 12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111 through the body hole 111c. Specifically, the body hole 111c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1, so that the body 111 can be balanced right and left.

한편,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11)의 원주면에는, 외부 유로(10f)가 상기 바디(111) 내부로 연장되기 위한 개구부(111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유로(10f)는, 상기 바디(111)의 허용 회전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캐비닛 전면에서 볼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11d)의 위치는 상기 바디 홀(111c)의 반대편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 유로(10f)는 캐비닛 내측으로부터 상기 코크(140)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 내부로 연장되는 유로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유로뿐만 아니라 전기 배선이 상기 개구부(111d)를 통해 바디(111) 내부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25, it is preferable that an opening 111d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1 so that the external passage 10f extends into the body 111.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rnal flow path 10f can not be seen by the user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within the permissible rotation range of the body 111.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opening 111d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hole 111c. Here, the external flow path 10f may be a flow path extending into the coke header body 111 to supply drinking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cabinet to the coke 140.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not only the flow path but also the electric wiring extend into the body 111 through the opening 111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1d)는 바디(111)의 원주면이 절단된 형태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원주면이 360도를 갖지 않고, 예를 들어 250도에 이르는 원주면만 갖고 110도에 해당되는 원주면은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opening 111d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1. That i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does not have 360 degrees, for example, only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250 degrees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110 degrees may have an incised shape.

여기서, 상기 원주면이 절개된 각도, 예를 들어 110도는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회전 각도, 즉 허용되는 회전 각도와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11d)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는 원주면이 360각도에 따라 모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절개된 110도에 대응되는 원주면이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정 부분에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angle at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cut, for example, 110 degrees, is related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ork header body 111, that is, the allowable rotation angle.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opening 111d is exposed to the outside. However, in order to smoothly rotate the cock header body 111, it is preferable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according to 360 angle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ised 110 degrees is formed at least at a certain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k header body 111. [

따라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는 제1코크 헤더 바디(111a)와 제2코크 헤더 바디(1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111d)는 상기 제1코크 헤더 바디(111a)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코크 헤더 바디(111b)는 상기 개구부(111d)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분을 완전히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4, the cork header body 111 may include a first cork header body 111a and a second cork header body 111b. The opening 111d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rk header body 111a and the second cork header body 111b may be formed to completely cover a portion of the ope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 111d.

이러한 코크 헤더 바디(111)의 구조에 의해,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쪽에는 개구부(111d)가 유지되고, 중앙 부분의 개구부(111d)는 상기 제2코크 헤더 바디(111b)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러한 제2코크 헤더 바디(111b)는 상기 프레임(400)에 대해서 회전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가 상기 프레임(400)에 대해서 원활히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ke header body 111, the opening 111d is held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ke header body 111 and the opening 111d of the center portion is held by the second coke header body 111b ). The second cork header body 111b refers to an area that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ame 400. Therefore, the cork header body 111 can be smooth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ame 400. [

한편,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는 양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코크 헤더 커버(112)와 제2코크 헤더 커버(114)는 각각 개구된 부분을 막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양측면에 개구된 부분을 막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cork header cover 112 and the second cork header cover 114 may be formed to cover the open portions of the first cork header cover 112 and the second cork header cover 114, respectively. That is, they may be provided so as to block the openings on both sides.

상기 코크 헤더(110)는 허용되는 회전 각도가 제한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코크 헤더(110)를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코크 헤더(110)가 고정될 필요가 있다. 즉, 자중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The coke header 110 needs to be limited in the allowable rotation angle. It is also preferable that it can be fixed in a rotated state. 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cork header 110 by 90 degrees, the cork header 110 needs to be fixed. That is, it is necessary to prevent return to the home position due to its own weight.

따라서, 상기 코크 헤더(110)가 회전되는 것이 다단계로 이루어지고, 각 단계에서는 회전이 고정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코크 헤더(110)의 다단계 회전 및 고정을 위한 스토퍼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coke header 110 is rotated in multiple steps, and the rotation is fixed in each step.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opper device for multi-step rotation and fixing of the coke header 110. [

도 25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장치는, 상기 코크 헤더(110)의 원주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돌기(112b)와 상기 돌기와 형합되도록 이루어진 스토퍼(11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크 헤더(110)가 회전되다가 상기 돌기(112b)와 상기 스토퍼(113a)가 형합되면, 상기 코크 헤더(110)의 회전에 대한 양방향으로 저항력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저항력은 자중에 의한 상기 코크 헤더(110)의 원위치로의 복귀력보다 큼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저항력을 이기고 상기 코크 헤더(110)를 더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25 and 26, the stopper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2b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ke header 110 and a stopper 113a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 When the cork header 110 is rotated and the protrusion 112b and the stopper 113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resistance of the cork header 110 increases in both directions against rotation of the cork header 110. [ This resistance force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ke header 110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its own weight. On the other hand, if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further rotate the coke header 110 over the resistive force.

따라서, 상기 돌기(112b)의 수에 따라서 상기 회전 단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회전 위치에서 힘을 가하지 않으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어느 하나의 회전 단계에서 다음 회전 단계로까지 더욱 회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토퍼(113a)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후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13a)를 지지하는 스토퍼 지지부(113)에는 탄성부재(113b)가 구비될 수 있다. Therefore, the rotation step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112b.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xed state unless a force is applied at a specific rotational posi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further rotation from any one of the rotation stages to the next rotation stage. For this purpose, the stopper 113a may be provided to retract radially outward. Therefore, the stopper supporting portion 113 supporting the stopper 113a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113b.

상기 돌기(112b)와 스토퍼(113a)가 형합되는 위치는 상기 스토퍼(113a)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후퇴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코크 헤더(110)가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113a)는 탄성력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전진한다. 회전이 계속되어 다음 스토퍼(113a)를 만나면, 상기 스토퍼(113a)는 순간적으로 후퇴 후 전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12b)가 상기 스토퍼(113a)의 중앙부분으로 위치되어 양자가 형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회전 단계에서 상기 코크 헤더(110)는 회전을 멈춘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A position where the protrusion 112b and the stopper 113a are engaged is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113a is retracted radially outward. In this state, when the coke header 110 rotates, the stopper 113a advances radially inward by an elastic force. When the rotation continues and the next stopper 113a is encountered, the stopper 113a can instantaneously retreat and advance.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12b is locat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topper 113a so that both protrusions can be engaged. Therefore, in each rotation step, the coke header 110 can be fixed in a stopped state.

한편, 상기 돌기(112b)는 구체적으로 제1코크 헤더 바디(112)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구부(111d)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13a)와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직접적인 접촉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코크 헤더 바디의 두께 부분, 즉 개구부(111d) 부분에서의 두께, 상기 돌기(111b)의 위치 그리고 상기 스토퍼(113a)의 위치와의 관계로 인해, 상기 코크 헤더(110)의 회전 제한 범위가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범위를 넘어가는 회전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protrusion 112b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cock header body 112 in detail. And is also located in the opening 111d. Therefore, direct contact between the stopper 113a and the cork header body 111 may not be achieved. In addition, due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rk header body,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opening 111d,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111b, and the position of the stopper 113a, The rotation limit range can be easily set.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rotation exceeding the above range.

아울러, 도 26과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13a)는 프레임(400)의 내면에서 돌출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스토퍼 지지부(113)는 상기 프레임(40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26 and 27, the stopper 113a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400, and the stopper supporting portion 113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400 have.

이러한 스토퍼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다단계로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할 때마다 일일이 코크 헤더(110)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아울러, 하나의 회전 단계와 다음의 회전 단계 사이에도 연속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이 되지는 않지만 필요에 따라 허용되는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연속적인 회전 위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Such a stopper device can gi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rotated in multiple stages, and can be fixed in a rotated stat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rotate the cork header 110 every time it is used, which is convenient to use. In addition, rota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between one rotation step and the next rotation step. That is, it becomes possible to use a continuous rotation position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rotation angles, which is not fixed but can be optionally used.

이하에서는, 도 27과 도 28을 참조하여 코크 모듈(100)과 코크 모듈(200) 사이의 연결 및 지지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ion and support relationship between the cork module 100 and the cork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7 and 28. Fig.

상기 프레임(400)의 내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프레임 지지부(4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지지부(420)의 중앙 부분에는 회전축 홀(421)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회전축 홀(421)는 회전축으로 대체될 수 있다. A frame supporting part 420 protruding forward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400. A rotation shaft hole 421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support part 420. Of course, such a rotary shaft hole 421 can be replaced with a rotary shaft.

상기 프레임 지지부(420)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코크 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The cork module can be rota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supporting part 420.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지지부(420)의 일측에는 제2코크 바디 커버(114) 그리고 타측에는 제1코크 바디 커버(11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회전축 홀들에는 회전축(115)이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cork body cover 114 and the first cork body cover 11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supporting part 420 and the other side of the cork body cover 112, respectively. Of course, each rotary shaft hole may be provided with a rotary shaft 115.

여기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420)는 상기 프레임(400)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400)도 캐비닛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지지부(420)의 양측에서 제1코크 바디 커버(112)와 제2코크 바디 커버(113)가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 지지부(420) 양쪽에서 각각의 코크 모듈이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코크 모듈에 개별적으로 스토퍼 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회전에 의한 고정도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frame supporting part 420 is fixed to the frame 400, and the frame 400 is also fixed to the cabinet. 28, the first cork body cover 112 and the second cork body cover 113 can be rotated individually or independently on both sides of the frame support portion 420. [ Thus, each of the cork modules on either of the frame supports 420 can rotate individually or independently. In addition, since the stopper devices are individually provided in each of the cork modules, fixation by rotation can also be achieved individually.

한편,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00)에는 연결구(4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410)는 상기 프레임(400)을 통해 고정되는 코크 모듈(100, 200, 300)의 수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7, a connector 410 may be formed in the frame 400. Specifically,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The connector 410 may be formed to match the number of the cork modules 100, 200, and 300 fixed through the frame 400.

도 29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410)을 통해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 내부로 유로(10f)가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구(410)는 코크 헤더 바디(111)의 개구부(111d)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유로(10f)가, 프레임(400)의 연결구(410)와 코크 헤더 바디(111)의 개구부(111d)를 통해, 코크 헤더 바디(1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9 and 30, the oil passage 10f may extend into the inside of the coke header body 111 through the connecting hole 410. As shown in FIG. Of course, the connector 410 may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111d of the coke header body 111. [ The flow path 10f provided in the cabinet 10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coke header body 111 through the connection port 410 of the frame 400 and the opening 111d of the coke header body 111 .

상기 유로(10f)와 코크 바디(120) 사이에는 연결부(121, 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코크 바디(12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121)와 상기 유로(10f)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상기 코크 헤더 바디(11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Connections 121 and 12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il passage 10f and the cock body 120. [ 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121 connected to the cork body 120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22 connected to the flow path 10f.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ke header body 111.

상기 제2연결부(122)는 상기 회전축(115)와 동일 축 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부(122)를 통해 코크 바디(120)와 제1연결부(121)가 회전할 수 있다. 물론, 이 때, 상기 유로(10f)는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코크 헤더(1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111d)가 허용 회전 각도 범위에 대응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개구부(111d)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유로(10f)와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22 may be positioned coaxially with the rotation shaft 115. Therefore, the cork body 12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21 can be rotated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22. [ Of cours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path 10f is fixed. In this case, the coke header 110 may also rotate toge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ning 111d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allowable rotation angle range, interference with the flow path 10f can be prevented despite the rotation of the opening 111d.

한편, 상기 제1연결부(121)과 코크 바디(120) 사이에는 고정부(12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3)는 바디홀(111c)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23)은 상기 바디홀(111c) 관경에 대응되는 중앙부(123a)와 양측에 확장된 확장부(1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부(123)를 통해 상기 코크 바디(120)에 길이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상기 코크 바디(120)와 코크 헤더(110) 사이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Meanwhile, a fixing part 12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21 and the cock body 120. The fixing part 123 is provided o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ody hole 111c. The fixing part 123 includes a central part 123a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body hole 111c and an extended part 123b extending on both sides. The coupling between the cork body 120 and the cork header 110 can be firmly maintained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the cork body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fixing part 123. [

이하에서는 도 31과 도 32를 참조하여 외부 디스펜서(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 디스펜서(20)는 변형될 수 있고,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external dispenser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1 and 32. FIG. Of cour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xternal dispenser 20 may be deformed and may be omitted.

도 3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2)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2)의 측면에 컵이나 병 등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22)를 가압할 수 있다. 물론, 컵이나 병의 개구부를 상기 코크(21)에 맞춘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22)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코크(21)에서 음용수가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수동 모드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In the state shown in FIG. 31, the user can rotate the operation unit 22 counterclockwise to discharge water through the cock 21. At this time, the user can press the operating portion 22 in a state in which a cup, a bottle, or the like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operating portion 22. [ Of course, the operating portion 22 can be pressed while the opening of the cup or bottle is aligned with the cock 2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nking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ock 21 while the pressurization is maintained. That is,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passive mode.

한편 사용자는 도 3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작부(22)를 도 31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2, the user can rotate the operation unit 22 counterclockwise in the state shown in FIG. 31 to discharge water through the cock 21.

도 3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작부(22)가 회동되면, 상기 코크(21)의 하부에는 상기 조작부(22)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코크(21)의 하부에 컵이나 병 등을 위치시키는 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특히, 병을 위치시켜 트레이에 올려 놓기 용이하게 된다. 32, when the operating portion 22 is rotated, the operating portion 22 is not positioned below the cock 21, so that a space for placing a cup, a bottle, or the lik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ck 21, Can be increased. In particular, the bottle can be placed and placed on the tray easily.

여기서, 도 32에 도시된 조작부(22)의 위치에서 가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작부(22)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2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31에 도시된 위치로 조작부(22)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또한 수동 모드라 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ng portion 22 can be fixed so that the pressing oper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22 shown in Fig. Therefore, unless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22 is changed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32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31, wat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Likewise, this can also be called manual mode.

즉, 사용자가 도 32에 도시된 위치로 조작부(22)를 위치시키면, 가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물이 계속해서 공급될 수 있다. 이 후 물병에 물이 다 차면 사용자는 조작부(22)의 위치를 도 31에 도시된 위치로 변경하여, 물 공급을 멈출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places the operation portion 22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32, the pressuriza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so that wat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hereafter, when the water bottle is full of water, 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unit 22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31 and stop the water supply.

도 31과 도 32에는 하나의 코크(21)를 통해, 다양한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는 단일 코크(2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일 코크(21)를 통해 냉수나 정수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온수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음용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다이얼(23)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23)을 돌려, 정수, 온수 또는 냉수 중 어느 하나가 출수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31 and 32 show a single coke 21 which can provide various drinking water through one cock 21. Cold water or purified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single cock 21. Of course, hot water can also be provided. And a dial 23 for selecting the kind of drinking water may be provided. Thus, the user can turn the dial 23 to select either purified water, hot water or cold water.

이하에서는, 도 33 내지 도 35를 통하여 외부 디스펜서(20)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r interface for the external dispenser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3 to 35. FIG.

도 33 내지 도 35는 본 실시예에서의 다이얼(23) 회전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외부 디스펜서 UI(25)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33 to 35 are diagrams showing changes of the user interface, i.e., the external dispenser UI 25,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ial 23 in this embodiment.

도 33는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상온의 필터링된 물인 정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34는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냉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35는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온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 33 shows a state in which purified water, which is filtered at normal temperature, can be supplied through the cock 21, FIG. 34 shows a state in which cold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cock 21, And the hot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cock 21.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공급되는 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UI(25)의 정수, 냉수 그리고 온수에 해당하는 창은 활성화, 즉 점등되어서 사용자에게 선택된 물의 정보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3에서와 같이 상기 다이얼(23)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정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에서는, 온수와 냉수에 관한 창은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figure, depending on the kind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ck 21, windows corresponding to the integer, cold water and hot water of the UI 25 are activated, that is, turned on, have.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purified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cock 21 by the rotation of the dial 23 as shown in FIG. 33,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ow relating to hot water and cold water is inactivated.

따라서, 사용자는 UI(25)의 점등을 통해 현재 상기 단일 코크(21)에서 어떠한 물이 공급될 수 있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Therefore,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what kind of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single cock 21 through the lighting of the UI 25, which is very convenient to use.

이러한, 단일 코크(21)와 다이얼(23) 그리고 유저 인터페이스(90)를 통해 외관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미려하며, 사용이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 single cock 21, the dial 23 and the user interface 90 can provide a water purifier which is very simple and beautiful in appearance and is easy to use.

한편, 정수를 중심으로 양측에 냉수와 온수에 관한 창이 배치될 수 있다. 정수는 상온이기 때문에, 냉수의 저온과 온수의 고온의 중간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순차적으로 냉수, 정수, 온수라고 창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indows relating to cold water and hot water can be arrang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an integer. Since the water is at room temperature, it has an intermediate image of cold water and hot water. Therefore, for convenienc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windows sequentially as cold water,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예를 들어, 도 33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수를 공급받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얼(2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For example, if the user desires to receive cold water in the state of FIG. 33, the dial 23 may be rotated clockwise.

한편 사용자가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온수를 공급받고자 하면, 상기 다이얼(23)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ishes to receive hot water through the cock 21, the dial 23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사용자는 도 33의 좌측에 도시된 절전 버튼을 눌러서 온/냉수 꺼짐, 냉수 꺼짐, 온수 꺼짐에 관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절전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온/냉수 꺼짐, 냉수 꺼짐, 온수 꺼짐에 관한 메뉴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세 개의 메뉴가 모두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a menu related to on / cold water off, cold water off, and hot water off by pressing the power save button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presses the power saving button, the menu related to on / cold water off, cold water off, and hot water off may be sequentially changed, and all three menus may not be select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냉수 꺼짐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 내에 구비된 온수 탱크를 가열하는 히터 등의 가열 장치와 냉수 탱크를 냉각하는 압축기 등의 냉각 장치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온수의 남은 용량을 도시하는 표시창과 냉수의 남은 용량을 도시하는 표시창이 모두 꺼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on / cold water off,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apparatus such as the heater for heating the hot water tank provided in the case 10 and the compressor for cooling the cold water tank may be stopped . In this case, both the display window show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hot water and the display window show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cold water can be turned off.

온/냉수 꺼짐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23)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냉수와 온수를 제공받지 못할 수 있다. 온수와 냉수의 제조가 중단되기 때문에 기존에 온수 탱크와 냉수 탱크에 보관된 온수와 냉수만이 공급될 수 있을 뿐 추가적으로 온수와 냉수가 공급될 수 없다. 반면에 온수 탱크와 냉수 탱크에 온수와 냉수가 보관되어 있더라도 사용자에게는 정수만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If on / cold water off is selected, cold water and hot water may not be provided through the cock 21 even if the user rotates the dial 23. Since the manufacture of hot water and cold water is discontinued, only hot water and cold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can be supplied, and hot water and cold water can not be additionally supplied.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are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supply only the water to the user.

사용자가 냉수 꺼짐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 내에 구비된 냉수 탱크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냉수의 남은 용량을 도시하는 표시창이 꺼질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cold water off,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cold water tank provided in the case 10 can be stopped. Also in this case, the display window show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cold water may be turned off.

냉수 꺼짐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23)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냉수를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 냉수의 제조가 중단되기 때문에 기존에 냉수 탱크에 보관된 냉수만이 공급될 수 있을 뿐, 추가적인 냉수는 공급될 수 없다. 반면에 냉수 탱크에 냉수가 보관되어 있더라도 사용자에게는 냉수가 아닌 정수가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When cold water off is selected, cold water may not be supplied through the cock 21 even if the user rotates the dial 23. Since the production of cold water is stopped, only the cold water previously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can be supplied, and no additional cold water can be supplied.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cold water is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upply the non-cold water.

사용자가 온수 꺼짐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 내에 구비된 온수 탱크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온수의 남은 용량을 도시하는 표시창이 꺼질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the hot water off,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hot water tank provided in the case 10 can be stopped. In this case, the display window showing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hot water may be turned off.

온수 꺼짐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23)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코크(21)를 통해서 온수를 공급받지 못할 수 있다. 온수의 제조가 중단되기 때문에 기존에 온수 탱크에 보관된 온수만이 공급될 수 있을 뿐, 추가적인 온수가 공급될 수는 없다. 반면에 온수 탱크에 온수가 보관되어 있더라도 사용자에게는 온수가 아닌 정수가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hot water off is selected, hot water may not be supplied through the cock 21 even if the user rotates the dial 23. Since the production of hot water is stopped, only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can be supplied, and no additional hot water can be supplied.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hot water is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user with non-hot water.

이하에서는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유닛(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수유닛(2)을 통해 원수로부터 정수가 생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정수로부터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온수유닛(3)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수로부터 냉수를 생성하기 위한 냉수유닛(4)이 구비될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purified water unit 2. Constants can be generated from the raw water through the integer unit (2). In addition, a hot water unit 3 for generating hot water from the purified water may be provided. Of course, a cold water unit 4 for generating cold water from the purified water may be provided.

상기 온수유닛(3)에는 온수 통이나 히터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냉수유닛(4)에는 냉수 통이나 칠러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The hot water unit 3 may include a hot water tank or a heater, and the cold water unit 4 may include a cold water tank, a chiller, or the like.

또한, 상기 정수기는 각종 밸브(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종 밸브(5)는 각종 유로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개폐 여부에 따라 공급되는 음용수의 종류가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각종 밸브(5)의 개폐 여부에 따라 냉수 생성이나 온수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종 밸브(5)는 유량계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may include various valves 5. The various valves 5 may be provided on various flow paths, and the type of the drinking water to be supplie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valves 5 are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various valves 5 are opened or closed, cold water generation or hot water generation can be performed. Here, the various valves 5 include a flow meter and a solenoid valve.

따라서, 기본적으로 이러한 각종 밸브(5)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부(1)가 구비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는 이러한 각종 밸브(5)들의 작동과 함께 상기 정수유닛(2), 온수유닛(3) 그리고 냉수유닛(4)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Therefore, basically, the control unit 1 must be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se various valves 5. [ The control unit 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unit 2, the hot water unit 3 and the cold water unit 4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valves 5.

정수기는 UI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UI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음용수의 종류나 공급량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는 이러한 UI를 통한 입력에 대응하여 전술한 각종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The water purifier can be made up including the UI. Through this UI, the user can select the kind of drinking water or the supply amount.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various configurations in response to the input through the UI.

여기서, 상기 UI는 메인 UI(25)와 서브 UI(54)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서로 별개로 구비되는 디스펜서들 각각에 대해서 별도로 UI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외부 디스펜서와 내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메인 UI(25)는 외부 디스펜서 UI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UI(54) 내부 디스펜서 UI라 할 수 있다.Here, the UI may be provided as a main UI 25 and a sub UI 54. That is, a separate UI may be provided for each of the dispensers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dispenser and the internal dispenser are provided, the main UI 25 may be an external dispenser UI. And may be referred to as an internal dispenser UI of the sub UI (54).

전술한 실시예에서, 내부 디스펜서(50)는 도어(40)의 개폐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즉, 내부 디스펜서(5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외부 디스펜서(20)의 사용은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어, 내부 디스펜서 UI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디스펜서 UI의 사용이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ner dispenser 50 is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40. That is, when the internal dispenser 50 is u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 of the external dispenser 20 is excluded. And vice versa.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 of the external dispenser UI is excluded when the internal dispenser UI is used. Of course, the opposite is true.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개폐감지부(74)를 통해 감지된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서, 상기 메인 UI(25)와 서브 UI(54)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ler 1 may control the main UI 25 and the sub UI 54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74.

일례로, 도어(40)가 닫힌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는 상기 서브 UI(54)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서브 UI(54)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어(40)가 열린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는 상기 메인 UI(25)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메인 UI(25)를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oor 40 is detected to be in a closed state, the control unit 1 may turn off the power of the sub UI 54 or disable the sub UI 54. Similarly, when the door 40 is detected as being open, the control unit 1 may turn off the main UI 25 or disable the main UI 25.

상기 제어부(1)는 상기 도어개폐감지부(74)를 통해 감지된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정수 유닛(2), 온수 유닛(3), 냉수 유닛(4) 그리고 각종 밸브(5)의 제어를 달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unit 2, the hot water unit 3, the cold water unit 4 and the various valves 5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s detected through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ion unit 74 are opened or closed. Control can be different.

예를 들어, 현재 메인 UI(25)를 통해서 냉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 그리고 서브 UI(54)를 통해서는 냉수가 공급될 수 없는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냉수유닛(2)을 구동하고, 도어가 닫히면 냉수유닛(2)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set to a state in which cold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main UI 25 and a state in which cold water can not be supplied through the sub UI 54.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 drives the cold water unit 2 in a state where the door is opened, and can control to stop the driving of the cold water unit 2 when the door is closed.

그리고,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외부 디스펜서(20)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를 모두 폐쇄하여, 외부 디스펜서(20)의 조작 여부와 무관하게 음용수가 외부 디스펜서(20)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 unit 1 closes all the valves for supplying the drinking water to the external dispenser 20 so that the drinking water is supplied to the external dispenser 20 regardless of whether the external dispenser 20 is operated or no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upplied.

따라서, 상기 제어부(1)는 도어개폐감지부(74)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술한 각종 구성들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1)는 현재 전원이 인가된 UI 또는 활성화된 UI에 따라 전술한 각종 구성들을 달리 제어한다고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 may control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74. Of course, the control unit 1 may control the above-described variou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currently powered UI or the activated UI.

이를 통해서, 필요없는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예기치 못한 상태에서 음용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is can reduce unnecessary energy wastage and prevent drinking water from being supplied in an unexpected state.

한편, 상기 제어부(1)는 알람장치(6)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설정된 용량의 음용수 공급이 종료되면, 이를 소리를 통해 알릴 수 있는 알람장치(6)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수버튼(135)를 누르고 자리를 비워도, 상기 알람장치(6)를 통해 음용수 공급이 완료됨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 can control the alarm device 6. That is, when the supply of the drinking water of the set capacity is finished, the alarm device 6 can be informed by sound.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water-taking button 135 and vacates the se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at the drinking water supply is completed through the alarm device 6. Therefore,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10 : 캐비닛 20 : 외부 디스펜서
30 : 외부 트레이 40 : 도어
50 : 내부 디스펜서 60 : 내부 트레이
70 : 도어 후크 80 : 메인 트레이
10: cabinet 20: external dispenser
30: External tray 40: Door
50: inner dispenser 60: inner tray
70: Door hook 80: Main tray

Claims (21)

캐비닛;
상기 캐비닛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디스펜서;
상기 캐비닛 외부 그리고 상기 외부 디스펜서 하부에 구비되는 서브 트레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디스펜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와 함께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부 트레이;
상기 내부 트레이를 통해 배출되는 잔수를 받기 위해, 상기 내부 디스펜서 하부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정수기.
cabinet;
An external dispenser provided outside the cabinet;
A sub-tray provided outside the cabinet and below the external dispenser;
An internal dispenser provided in the cabinet;
An inner tray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so as to be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inner dispenser;
And a main tray provided below the inner dispenser and inside the cabinet for receiving residual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ner t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캐비닛 전방에 구비되고, 풀 다운(pull down) 형태로 회전하여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tray is provided in front of the cabinet and rotates in a pull-down manner to be fix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상기 캐비닛 내부까지 연장되는 트레이 연장부; 그리고
상기 트레이 연장부에서 상기 캐비닛 외부로 연장되는 도어 배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tray extension extending into the cabinet interior; And
And a door rear portion extending from the tray extension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내부 트레이의 양측 및 상기 트레이 연장부와 도어 배면부의 경계부에 구비되는 힌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a hing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inner tray and at a boundary between the tray extension part and the door rear part so that the inner tray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cabin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레이는,
트레이 베이스;
상기 트레이 베이스에 형성된 함몰부; 그리고
상기 함몰부의 저면과 소정 높이를 갖는 평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ray base;
A depression formed in the tray base; And
And a tray cover provided to have a fla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depressed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epressed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연장부에는 상기 내부 트레이에서 발생되는 잔수를 상기 메인 트레이로 배출하기 위한 트레이 배출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ray extension part is formed with a tray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residual water generated in the internal tray to the main tra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연장부에 위치되는 상기 트레이 커버의 테두리 부분에 상부로 돌출되는 잔수 넘침 방지 가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water overflow prevention guide projecting upwardly is formed at a rim portion of the tray cover located at the tray extension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베이스에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커버에는 상기 연결홈과 착탈 가능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연결홈에 상기 캐비닛 내측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connection groove is formed in the tray base,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tray cover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fixed to the connection groove by sli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트레이는 상기 캐비닛 전방에서 서랍 형태로 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main tray is detachably attached in a drawer shape in front of the cabine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트레이는 상기 메인 트레이를 캐비닛 외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ub tray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o draw the main tray out of the cabine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트레이는,
상기 정수기의 전면과 측면의 일부를 이루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 트레이 용기;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는 서브 트레이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ub-
A housing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on;
A sub tray container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and mounted detachably through the opening; And
And a sub tray cover mounted on the opening.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 트레이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 트레이는 상기 서브 트레이 용기보다 하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ain tray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tray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main tray is provided below the sub tray contain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트레이의 양측에는 상기 메인 트레이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 대응되어 상기 캐비닛에는 레일 슬롯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 rail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tray to facilitate mounting and dismounting of the main tray, and a rail slot is provided in the cabinet corresponding to the rai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후방에는 롤러가 구비되며, 레일 슬롯의 최후단에는 상기 롤러와 형합되는 곡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 roll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ail,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ail slot is formed with the roll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슬롯의 전방에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와 형합되도록 상기 레일에 스토퍼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a stoppe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rail slot, and a stopper groove is formed in the rail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stopp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트레이의 후방에 돌출되도록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트레이가 상기 캐비닛에 장착될 때 상기 배수홀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상기 캐비닛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 drain hole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of the main tray and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drain hole is inserted when the main tray is mounted in the cabinet is formed in the cabine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트레이가 회전되어 상기 내부 트레이의 배면이 상기 서브 트레이의 상면과 소정 갭을 갖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ner tray is rotated so that a back surface of the inner tray is fixed to have a predetermined gap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sub tray to use the inner dispens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펜서 상부에서 소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내부 트레이의 배면과 상기 서브 트레이의 상면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 back surface of the inner tray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ub tra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ner dispens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트레이는 상기 내부 트레이와 연통되어, 상기 서브 트레이로 배수되는 잔수가 상기 서브 트레이를 통해 상기 내부 트레이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b-tray communicates with the inner tray, and the remainder discharged to the sub-tray is discharged to the inner tray through the sub-tray.
KR1020120102923A 2012-09-17 2012-09-17 Water Purifier KR101430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923A KR101430494B1 (en) 2012-09-17 2012-09-17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923A KR101430494B1 (en) 2012-09-17 2012-09-17 Wate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12A KR20140036612A (en) 2014-03-26
KR101430494B1 true KR101430494B1 (en) 2014-08-14

Family

ID=5064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923A KR101430494B1 (en) 2012-09-17 2012-09-17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4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762B1 (en) * 2018-09-03 2019-09-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A water purifier for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3470A1 (en) * 2004-04-02 2010-07-01 Tana Industries (1991) Ltd. Water dispenser and filter cartridge for use therein
KR20100124564A (en) * 2009-05-19 2010-11-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movable tr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3470A1 (en) * 2004-04-02 2010-07-01 Tana Industries (1991) Ltd. Water dispenser and filter cartridge for use therein
KR20100124564A (en) * 2009-05-19 2010-11-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movable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12A (en)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495B1 (en) Water Purifier
KR101692732B1 (en)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3054242B1 (en) Refrigerator
JP4911634B2 (en) Dispenser for home appliances
WO2008147199A3 (en) Control system for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JP5116461B2 (en) Beverage dispenser
KR101430496B1 (en) Water Purifier
AU2020252476B2 (en) Refrigerator and brew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KR20180118579A (en)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623789B1 (en) Water Purifier
KR101430494B1 (en) Water Purifier
KR20150134158A (en) drinking water supplying device
KR101476210B1 (en) supplying device for drinking water or a water purifier
CN104433811A (en) Coffee and water drinking machine
KR101498084B1 (en) Water Purifier
KR101654065B1 (en) Water Purifier
JP5329258B2 (en) Beverage dispenser
JP5511198B2 (en) Beverage dispenser
US20230240470A1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KR200365863Y1 (en)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KR100625190B1 (en) A water dispenser
KR100625195B1 (en) A water dispenser
KR101781881B1 (en)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0271909Y1 (en) Potable Hot and Cold Water Supply Device with Tea Bag Type of Teas and/or Coffees Supplier
KR100437943B1 (en) Potable Hot and Cold Water Supply Device with Tea Bag Type of Teas and/or Coffees Suppl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