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034B1 -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볼륨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셋 장치 - Google Patents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볼륨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셋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034B1
KR101430034B1 KR1020130056259A KR20130056259A KR101430034B1 KR 101430034 B1 KR101430034 B1 KR 101430034B1 KR 1020130056259 A KR1020130056259 A KR 1020130056259A KR 20130056259 A KR20130056259 A KR 20130056259A KR 101430034 B1 KR101430034 B1 KR 101430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speaker
speakers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1020130056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Abstract

헤드셋 장치가 개시된다. 본 헤드셋 장치는, 두 개의 이어컵 부재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볼륨조절부와, 제1 볼륨조절부로부터 입력된 제1 감지신호 및 제2 볼륨조절부로부터 입력된 제2 감지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스피커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회로부와, 상기 제1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제1 스피커로 출력할 제1 재생신호의 출력을 증감시키고, 아울러 제2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제2 스피커로 출력할 제2 재생신호의 출력을 증감시키는 출력증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볼륨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셋 장치{HEADSET DEVICE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VOLUMES OF RIGHT AND LEFT SPEAKERS}
본 발명은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양 귀에 착용되는 두 개의 이어컵이 헤드밴드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전화통화 혹은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헤드셋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셋(Headset)은 사용자가 전화 통화 혹은 음악 감상 등을 행할 때, 머리에 직접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헤드셋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화 혹은 음악재생장치 등의 음향장치에 연결되어 음성 혹은 음악 등의 음향신호를 수신한 후, 두 개의 이어컵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종래의 헤드셋은 스피커가 내장된 두 개의 이어컵을 포함하고, 각각의 이어컵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아치형상의 헤드밴드를 통해 인체의 귀부분에 고정된다. 따라서, 헤드셋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통화 혹은 음악 감상을 하면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개인용 휴대단말기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멀티미디어 장치로서 단순한 전화통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원을 재생하는 음향기기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음향기기의 다변화 및 다기능화가 가속됨에 따라 헤드셋 장치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좌측 귀와 우측 귀의 청력이 다른 사용자들, 혹은 스테레오 음원을 재생할 때 두 개의 이어컵을 통해 재생되는 좌측 음원 또는 우측 음원 중 특정 음원에 대하여 음량을 더 크게 하여 청취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좌측 및 우측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 재생신호의 출력을 서로 달리하여 조절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셋 장치에는 두 개의 이어컵에 각각 별도의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 두 개의 스피커의 음량은 일괄적으로 균등하게 제어된다. 따라서, 두 개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 재생신호는 동일한 음량, 즉 동일한 출력을 갖기 때문에, 각각의 음량을 독립하여 재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헤드셋 장치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두 개의 이어컵에 각각 설치된 좌측 및 우측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재생신호의 출력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헤드셋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는, 소정의 음향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향기기로부터 전송된 음향신호를 재생하고, 제1 스피커가 설치된 제1 이어컵 부재; 및 제2 스피커가 설치된 제2 이어컵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헤드셋 장치는, 상기 제1 이어컵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1 볼륨조절부; 상기 제2 이어컵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2 볼륨조절부; 상기 제1 볼륨조절부로부터 입력된 제1 감지신호 및 상기 제2 볼륨조절부로부터 입력된 제2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제어회로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피커로 출력할 제1 재생신호의 출력을 증감시키고, 아울러 상기 제2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스피커로 출력할 제2 재생신호의 출력을 증감시키는 출력증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볼륨조절부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로 출력되는 상기 제 1 및 제2 재생신호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증감시켜 재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음향기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출력증감부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증감부는, 상기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음향신호의 출력을 증감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의 출력을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한 리셋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셋버튼을 통해 초기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회로부가 상기 출력증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로 독립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1 및 제2 재생신호의 출력을 밸런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볼륨조절부 각각은, 평면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상으로 복수의 톱니부가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톱니부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상기 톱니부에 의해 양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의 변위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스피커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상기 제1 또는 제2 감지신호를 감지하는 감지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를 이용하면, 좌측 및 우측 이어컵에 각각 설치된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에서, 좌측 및 우측 이어컵에 각각 설치된 볼륨조절부는 임의의 위치에서 현재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헤드셋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볼륨조절 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상대적 볼륨 조절이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볼륨조절부를 이용하면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는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볼륨이 임의로 조절된 상태에서 리셋버튼을 통해 간단히 양측 스피커의 볼륨을 밸런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조립 상태를 개요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의 이어컵 부재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의 이어컵 부재를 구성하는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를 여러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감지기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8은 볼륨조절부를 구성하는 회동부재 및 감지기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의 전체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어회로부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출력증감부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만이 기술되며, 그 외의 부분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기 위해 생략되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 및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및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는 음향기기로는, 헤드셋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음향기기로서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디지털방송단말기, 개인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인터넷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뿐만 아니라, 컴퓨터, 오디오장치 등 음성 혹은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음향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원은, 음성 정보와 같은 모노 음원 뿐만 아니라, 음악 정보 등과 같은 스테레오 음원도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음향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실장된 헤드셋을 예시할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이외에도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이라면 임의의 통신모듈도 적용이 가능하며,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는 음향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의 개요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는, 사용자의 양 귀에 착용되는 좌측 이어컵(LE) 및 우측 이어컵(RE)이 헤드밴드(HB)에 의해 상호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양 이어컵(LE, RE)는 소정의 힌지구조 즉, 힌지부(5) 및 힌지소켓(6)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양 귀에 착용되는 각각의 이어컵(LE, RE)의 내측면에는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어컵 쿠션(9)이 배치되고, 그 내측으로 스피커(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이어컵 쿠션(9) 및 스피커는 각각의 하우징 본체(12)에 설치된다.
도 2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의 구성요소들 및 이들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헤드밴드(HB)는, 상부 스트랩(1) 및 하부 스트랩(3)과, 그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는 양 이어컵(LE, RE)이 사용자의 양 귀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각각의 이어컵 부재(LE, RE)는, 하우징 본체(12)와, 그 일측에 체결된 후면 이어컵 하우징(11)과, 후면 이어컵 하우징(11)에 장착된 스피커(20)와, 스피커(2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이어컵 쿠션(9)과, 이어컵 쿠션(9)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후면 이어컵 하우징(11)에 체결되는 쿠션 지지부(10)와, 스피커(20)의 노출면을 마감하여 외관을 장식하는 스피커 그릴(8)과, 하우징 본체(12)의 측면에 배치된 키입력부(13)와, 각각의 이어컵 부재(LE, RE)에 설치된 각각의 스피커(20)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부를 구성하는 노브(16) 및 회동부재(15)와, 노브(16)의 가장자리 및 상면을 마감하는 상부트림부(18) 및 로고 플레이트(19)와, 볼륨조절부를 노출시키면서 하우징 본체(12)를 덮는 하우징 커버(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이어컵 부재(LE, RE)는 힌지부(5), 이와 회동가능하게 체결된 힌지소켓(6), 그리고 힌지부(5)를 고정하는 힌지 지지부(4)를 통해 헤드밴드(HB)의 양단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는 양측 이어컵 부재(LE, RE) 각각에 설치된 두개의 스피커(20)의 볼륨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볼륨조절부가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볼륨조절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이어컵 부재(LE, RE)를 구성하는 하우징 본체(12)에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볼륨조절부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하우징 본체(12)의 일측면(바람직하게는, 스피커가 배치된 면과 대향하는 반대쪽 측면)에 베이스(15d)가 배치되고, 이 베이스(15d)에 수직한 가상의 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회동부재(15)가 배치된다. 회동부재(15)는 소정의 높이를 가진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일단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톱니부(15c)가 형성된 플랜지(15b)가 형성된다. 플랜지(15b)는 베이스(15d)의 주면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플랜지(15b)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15c)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두 개의 톱니부(15c) 사이에 감지기 스위치(30)의 레버(31)가 배치된다. 레버(31)의 동작에 따라 감지기 스위치(30)의 내부에 구성된 2개의 신호선(즉, 신호선② 및 신호선③)이 주신호선(즉, 신호선① 및 신호선④)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데, 감지기 스위치(3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회동부재(15)의 둘레에는 고정홈(1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홈(15a)에는 노브(16)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6a)가 끼워지게 된다. 노브(16)는 사용자가 회동부재(15)를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적절한 질감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부재(15)의 상면에는 가장자리의 장식을 위해 상부트림부(18)가 배치되고, 회동부재(15)의 상면 중앙에는 소정의 로고를 장식할 수 있는 로고 플레이트(19)가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노브(16), 상부트림부(18) 및 로고 플레이트(19)가 부착된 회동부재(15)의 일부를 개구(OP)를 통해 노출시키는 하우징 커버(14)가 체결볼트(14b)를 통해 체결홈(12b)에 체결됨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어컵 부재(LE, RE)가 완성된다.
추가적으로, 이어컵 부재(LE, RE)를 구성하는 하우징 본체(12) 및 하우징 커버(14)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고정단(12a, 14a)이 힌지소켓(6)에 고정되어 헤드밴드(HB)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어회로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부(13a)가 구비된 키입력부(13)가 하우징 본체(12)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우징 본체(12)에는 키입력부(13) 및 감지기 스위치(30)를 통한 제어신호를 후술하는 제어회로에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신호선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듯이, 회동부재(15)가 설치된 하우징 본체(12)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반대쪽 타측면에는 장착부(BC)가 마련되어 스피커(20)가 설치된 후면 이어컵 하우징(11)이 장착된다.
한편, 감지기 스위치(30)는 플랜지(15b)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15c) 사이에 끼워져서 회동부재(15)의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두 개의 톱니부에 의해 양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레버(31)를 포함한다. 즉, 도 8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회동부재(15)를 예컨대 "A" 방향(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혹은 "B" 방향(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연접하는 톱니부(15c)에 의해 레버(31)가"a" 방향 혹은 "b" 방향으로 변위되었다가 다시 중앙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레버(31)의 변위에 따라, 감지기 스위치(30)가 좌측 또는 우측 스피커의 출력을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감지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통해 감지기 스위치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감지기 스위치(30)에는 네개의 신호선(신호선①, 신호선②, 신호선③, 및 신호선④)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신호선① 및 신호선④는 상시 접속되어 있고, 신호선② 및 신호선③은 접촉단(30a)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때, 레버(31)가 톱니부(15c)에 의해 'b' 방향으로 변위되면 접촉단(30a)이 신호선②와 접촉되면서, 신호선①, ② 및 ④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례로 감지기 스위치(30)가 'b' 상태를 감지하면, 제어회로는 사용자가 해당 이어컵 부재의 스피커 볼륨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대로, 레버(31)가 톱니부(15c)에 의해 'a' 방향으로 변위되면 접촉단(30a)이 신호선③과 접촉되면서 신호선①, ③ 및④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례로, 감지기 스위치(30)가 'a' 상태를 감지하면, 제어회로는 사용자가 해당 이어컵 부재의 스피커 볼륨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회동부재(15) 및 감지기 스위치(30)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스피커의 볼륨을 단계적으로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감지신호를 제어회로에 전송할 수 있다. 레버(31)가 톱니부(15c) 사이에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신호선② 및 신호선③ 모두에 접촉되지 않은 중립 상태가 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회동부재(15)를 얼마만큼 회전시켰는지에 따라 레버(31)의 변위 횟수가 카운팅되어 증가 혹은 감소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볼륨조절부는 임의의 위치에서 출력 크기를 상대적으로 증감시킬 수 있다. 예컨대, 헤드셋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양측 스피커의 현재 볼륨 상태를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하기 곤란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에 구비된 볼륨조절부는 양측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 음향신호의 현재 출력상태에 대하여, 회동부재를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지기 스위치의 레버를 단계적으로 변위시켜 출력 증감에 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므로, 각각의 스피커로 재생되는 재생신호의 출력을 상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의 좌우 양측 스피커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회로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를 구성하는 전체 회로구성을 개요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하였다.
제어회로부(100)는, 통신모듈(120), 좌측(L측) 음향처리부(130), 우측(R측) 음향처리부(140), 노이즈감쇄연산부(150), 키입력처리부(160), 페어링처리부(170), 오실레이터(18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10)가 이들 각각의 동작 및 신호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모듈(120)은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방식, 지그비 통신 방식, UWB 통신 방식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보급률을 고려할 때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통신모듈(120)은 안테나(360)를 통해 음향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송수신 신호는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부(362)를 통해 필터링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음향처리부(130, 140)는, 양측 이어컵 부재(LE, RE)에 각각 설치된 감지기 스위치(30L, 30R)로부터 입력된 감지신호에 따라 각각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재생신호의 증가 또는 감소 폭을 설정한다. 좌측 및 우측 음향처리부(130, 140)에서 설정된 재생신호의 증감폭은 시리얼 데이터 통신선(IC)를 통해 후술할 출력증감부(200)에 제어신호로 전송된다. 또한, 좌측 및 우측 음향처리부(130, 140)는 음향기기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분리하여 디지털 음향 통신선(IS)를 통해 출력증감부(200)에 전송한다.
노이즈감쇄연산부(150)는, 마이크(330)를 통해 주변 소음을 수집한 후 이를 노이즈감쇄부(340)를 통해 출력증감부(200)에 의해 출력된 좌측 또는 우측 재생신호와 비교하여 주변 소음을 상쇄시킨다. 이를 통해, 음량을 지나치게 올리지 않고도 쾌적한 음악 청취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노이즈감쇄연산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하는 경우, 통화시 수신되는 신호에서 주변소음, 에코 등의 노이즈를 감쇄시킬 수 있어서 더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노이즈감쇄연산부(150)는 시리얼 데이터 통신선(IC)를 통해 노이즈감쇄부(34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노이즈감쇄부(340)는, 좌측 스피커(SL)를 통해 재생되는 재생신호에서 노이즈 감쇄를 수행해는 좌측 노이즈감쇄부(342) 및 우측 스피커(SR)를 통해 재생되는 재생신호에서 노이즈 감쇄를 수행하는 우측 노이즈감쇄부(344)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좌측 및 우측 노이즈감쇄부(342, 344)는 하나의 회로 구성으로 좌측 및 우측 재생신호에 대한 노이즈 감쇄를 분리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별도의 회로구성을 통해 별도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키입력처리부(160)는, 양측 이어컵 부재(LE, RE) 각각에 설치될 수 있는 키입력부(1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제어신호를 처리한다. 예컨대, 좌측 및 우측 하우징 본체(12)에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13)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키입력부(13)는 리셋버튼(301), 빨리감기버튼(302), 되감기버튼(303), 노이즈감쇄동작버튼(304), 전원버튼(305), 페어링버튼(306)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버튼들(301 내지 306)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제어 신호는 키입력처리부(160)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되어 제어부(110)에 의해 대응하는 회로부에서 적절히 처리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예컨대, 노이즈감쇄동작버튼(304)이 눌려지면, 해당 입력신호가 제어부(110)에 전달되고, 제어부(110)는 노이즈감쇄연산부(150) 및 노이즈감쇄부(340)를 구동하여 주변 소음을 감쇄시킨다. 또한, 페이링버튼(306)이 눌려지면, 페어링처리부(170)를 구동하여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주변을 검색한 후, 응답신호를 보내는 음향기기와 헤드셋을 페어링한다. 아울러, 전원버튼(305)이 입력 혹은 해제되면 헤드셋의 동작 상태를 표시기(320)를 통해 외부에 표시한다.
오실레이터(180)는 배터리(310)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발진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만드는 소자로서, 예컨대 제어회로부(100)가 26MHz에서 동작하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탑재된 집적회로칩이 사용된 경우, 오실레이터(180)는 배터리(310)로부터 입력된 전압의 주파수를 26MHz로 발진시킨다.
상술한 제어회로부(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회로블럭은 하나의 집적회로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회로소자를 구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회로부(100)는, 좌측 이어컵 부재(LE)에 설치된 볼륨조절부(특히, 감지기 스위치(30L))를 통해 감지된 제1 감지신호와, 우측 이어컵 부재(RE)에 설치된 볼륨조절부(특히, 감지기 스위치(30R))을 통해 제2 감지신호에 따라 각각 좌측 스피커(SL) 및 우측 스피커(SR)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회로부(100)는 음향기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음향신호를 디지털 음향통신선(IS)를 통해 출력증감부(200)에 전송하고, 동시에 볼륨조절부를 통해 감지된 제1 감지신호 및 제2 감지신호에 따른 출력 증감폭에 대한 제어신호를 시리얼 데이터 통신선(IC)을 통해 출력증감부(200)를 전송한다. 출력증감부(200)는 좌측 출력증감부(210) 및 우측 출력증감부(220)가 분리된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회로로 구성되어 좌측 및 우측 스피커(SL, SR)로 출력될 재생신호를 분리하여 처리하게 할 수도 있다. 출력증감부(200)는 제어회로부(100)로부터 디지털 음향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212, 222)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변환된 아날로그 음향신호의 출력을 제1 또는 제2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증폭부(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회로부(100)는 스피커(SL 또는 SR)를 통해 재생할 음향신호를 통신선(IS1 또는 IS2)을 통해 출력증감부(210 또는 220)에 전송하고, 출력증감부(210 또는 220)는 스피커(SL 또는 SR)로 재생신호(S1 또는 S2)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 볼륨조절부를 조절하여 출력을 높이거나 줄이는 경우, 즉 감지기 스위치(30L 또는 30R)를 통해 출력증가 혹은 출력감소를 나타내는 제1 감지신호(또는 제2 감지신호)가 제어회로부(100)에 수신되면, 통신선(IC1 또는 IC2)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출력증감부(210 또는 220)에 의해 변환 및 출력되고 있는 재생신호(S1 또는 S2)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출력증감부(200)는 제어회로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측 및 우측 감지기 스위치(30L, 30R) 각각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신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좌측 및 우측 스피커(SL, SR)로 출력할 각각의 재생신호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증감시킨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좌측 및 우측 이어컵 부재(LE, RE)에 별도로 마련된 볼륨조절부를 조절함으로써, 좌측 및 우측 스피커(SL,SR)로 출력되는 각각의 재생신호(S1, S2)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독립적으로 출력이 제어된 양측 스피커(SL, SR)를 필요에 따라 균등하게 설정하기를 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 장치에서는 별도로 리셋버튼(301)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때에 양측 스피커(SL, SR)의 출력을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한다. 즉, 키입력부(13)에 마련된 리셋버튼(301)이 눌려지면, 키입력처리부(160)에서 볼륨 초기화 신호로서 수신하고, 제어부(110)는 좌측 및 우측 출력증감부(210, 220)를 제어하여 양측 스피커(SL, SR)로 출력될 각각의 재생신호의 출력을 밸런싱, 즉 동일한 출력으로 조절한다.
상술한 제어회로부(100) 및 출력증감부(200)는 하나의 회로기판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배터리(310)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각각의 소자, 예컨대 마이크(351), 출력증감부(210, 220), 노이즈감쇄부(340)에 특정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레귤레이터(351 내지 3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회로부(100)에는 외부기기(420)가 연결되어 배터리(310)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10)가 방전된 경우 출력증감부(200)에 의해 좌측 및 우측 스피커(SL, SR)의 출력을 조절할 수는 없더라도, 수동모드로서 통상의 헤드셋과 같이 양측 스피커(SL, SR)를 통해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음향기기(410)로부터의 신호선(410)이 출력증감부(200)에 연결되고, 출력증감부(200)는 좌우 볼륨 조절없이 스피커(SL, SR)로 재생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소정의 음향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향기기로부터 전송된 음향신호를 재생하고, 제1 스피커가 설치된 제1 이어컵 부재; 및 제2 스피커가 설치된 제2 이어컵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셋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어컵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1 볼륨조절부;
    상기 제2 이어컵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제2 볼륨조절부;
    상기 제1 볼륨조절부로부터 입력된 제1 감지신호 및 상기 제2 볼륨조절부로부터 입력된 제2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제어회로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피커로 출력할 제1 재생신호의 출력을 증감시키고, 아울러 상기 제2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스피커로 출력할 제2 재생신호의 출력을 증감시키는 출력증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볼륨조절부 각각은,
    평면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원주상으로 복수의 톱니부가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톱니부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상기 톱니부에 의해 양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의 변위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스피커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상기 제1 또는 제2 감지신호를 감지하는 감지기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볼륨조절부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로 출력되는 상기 제 1 및 제2 재생신호의 출력이 독립적으로 증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음향기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음향신호를 상기 출력증감부에 전달하고,
    상기 출력증감부는, 상기 디지털 음향신호를 아날로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음향신호의 출력을 증감시키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의 출력을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한 리셋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셋버튼을 통해 초기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회로부가 상기 출력증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로 독립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1 및 제2 재생신호의 출력을 밸런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장치.
  4. 삭제
KR1020130056259A 2013-05-20 2013-05-20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볼륨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셋 장치 KR101430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259A KR101430034B1 (ko) 2013-05-20 2013-05-20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볼륨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셋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259A KR101430034B1 (ko) 2013-05-20 2013-05-20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볼륨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셋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034B1 true KR101430034B1 (ko) 2014-08-14

Family

ID=5175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259A KR101430034B1 (ko) 2013-05-20 2013-05-20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볼륨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셋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0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106Y1 (ko) * 2002-04-16 2002-07-26 이형구 휴대용 스피커(해드셋, 이어폰 포함)의 절음장치
KR20090008572A (ko) * 2007-07-18 2009-01-22 주식회사 케이엠티 복합형 블루투스 헤드셋
JP2009290383A (ja) 2008-05-28 2009-12-10 Theater House:Kk 補聴器
KR20110049482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이랜텍 헤드셋형 네비게이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106Y1 (ko) * 2002-04-16 2002-07-26 이형구 휴대용 스피커(해드셋, 이어폰 포함)의 절음장치
KR20090008572A (ko) * 2007-07-18 2009-01-22 주식회사 케이엠티 복합형 블루투스 헤드셋
JP2009290383A (ja) 2008-05-28 2009-12-10 Theater House:Kk 補聴器
KR20110049482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이랜텍 헤드셋형 네비게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83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o sharing
CN107438217B (zh) 无线音响设备
JP4832530B2 (ja) 周囲音を出力するヘッドセット
US7590233B2 (en) User configurable headset for monaural and binaural modes
US7734055B2 (en) User configurable headset for monaural and binaural modes
US20100172522A1 (en) Programmable earphone device with customizable controls and heartbeat monitoring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US20160029114A1 (en) Wireless earphone set
US20070258614A1 (en) Headphone and portable speaker system
KR101348505B1 (ko) 이어셋
CN101095370A (zh) 具有无线收发机及模拟音频输入的音频头戴式耳机
US10805703B1 (en) Automatically adjusting a size of headphone cushions
US202000926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o sharing
KR101494306B1 (ko)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
KR20140055716A (ko) 외부음향 청취 헤드폰
JP3489817B2 (ja) ヘッドフォン型送受信機
KR101430034B1 (ko)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의 볼륨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셋 장치
WO2012000042A1 (en) Audio headband system
JP2002077348A (ja) 多機能携帯端末用ヘッドセットおよびヘッドセット付き多機能携帯端末装置
Ruscetta Addressing Hearing Aid User Needs with Binaural Strategies for Enhanced Hearing.
TWM414784U (en) Bluetooth earphone with sound converting and compensating function
TW201531110A (zh) 無線耳機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