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010B1 -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010B1
KR101430010B1 KR1020120017774A KR20120017774A KR101430010B1 KR 101430010 B1 KR101430010 B1 KR 101430010B1 KR 1020120017774 A KR1020120017774 A KR 1020120017774A KR 20120017774 A KR20120017774 A KR 20120017774A KR 101430010 B1 KR101430010 B1 KR 10143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ush button
panel
button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6378A (en
Inventor
이한주
김종우
손호성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010B1/en
Publication of KR2013009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3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0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리턴 시 버튼 가이드의 후크부와 패널의 스토퍼 간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패널 및 가압력에 의해 패널로부터 원위치로 탄성 복귀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은 후크부를 갖는 버튼 가이드를 포함하고, 패널은 푸쉬 버튼의 복귀 시 후크부를 걸림 고정하여 푸쉬 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후크부와 스토퍼의 사이에 푸쉬 버튼의 복귀 방향으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푸쉬 버튼이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의 단면에 후크부의 단면이 닿는 순간의 충격을 완화하여 스토퍼의 단면과 후크부의 단면이 접촉하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을 일시적으로 흡수함에 따라, 스토퍼와 후크부 간의 부딪힘에 의한 리턴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A controller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whose structure is improved to mitigate the impact between the hook portion of the button guide at the time of return and the stopper of the panel is disclosed. The controller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panel and a push button that is elastically returned from the panel to the panel by a pressing force. The push button includes a button guide having a hook portion. The panel locks the hook portion when the push button is returned, And a stopper for preventing release of the button, and a buffer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hook portion and the stopper for relieving the impact in the return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Therefore, when the end face of the stopp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face of the stopper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and returned, the impact at the moment when the end face touches the end face of the stopp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face of the hook, The return noise due to the collision can be minimized.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0001]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 상에 공조장치의 각종 모드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푸쉬 버튼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ler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having a push button installed on a panel for controlling various mode environments of the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쾌적한 탑승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 등을 조절하여 냉,난방 및 송풍 모드를 수행하는 공조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컨트롤러에는 각종 공조 환경을 제어하기 용이하도록 푸쉬 버튼이 마련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a vehicle to perform a cooling, heating, and air blowing mode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vehicle interior in order to create a comfortable ride environment. Such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by a controller provid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on an instrument panel, and a push button is provided on the controller to facilitate control of various air conditioning environments.

도 1은 일반적인 컨트롤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general controll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ush button and panel connection structure,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push button and panel connection structur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는 각종 공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가 구비되며, 이러한 컨트롤러(1)는 차량 실내의 냉방, 난방 및 송풍을 위한 공조장치를 제어하고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에는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패널(11) 상에 누름 방식으로 동작하는 푸쉬 버튼(10)이 다수개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a controller 1 for controlling various air conditioning functions is provid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ler 1 controls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cooling, heating, and blowing air in the vehicle interior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ush buttons 10 which operate in a pushing manner on the panel 11 for the operator's convenience.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푸쉬 버튼(10)은 버튼 가이드(13) 및 버튼 캡(14)으로 구성되며, 버튼 가이드(13)는 버튼 캡(14)에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 가이드(13)는 버튼 캡(14)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푸쉬 버튼(10)은 차량 전방에 설치된 패널(11)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푸쉬 버튼(10)은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 측으로 삽입되며, 또 다른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로부터 돌출되어 리턴 되도록 이루어진다.2, the conventional push button 10 includes a button guide 13 and a button cap 14. The button guide 13 may be fastened to the button cap 14 or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is case, the button guides 13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utton cap 14. The push button 10 thus configured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panel 11 installed forward of the vehicle in the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In addition, the push button 10 is inserted into the panel 11 side by one pushing operation, and is projected from the panel 11 by another pushing operation and is returned.

도 3을 참조하면, 패널(11)에는 버튼 가이드(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토퍼(1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버튼 가이드(13)에는 스토퍼(12)에 걸려 버튼 가이드(13)가 패널(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1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후크부(16)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푸쉬 버튼(10)의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12)의 걸림부(15)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푸쉬 버튼(10)이 패널(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버튼 가이드(13)와 패널(11)의 스토퍼(12)의 사이에 일정 갭이 유지되며, 푸쉬 버튼(10)의 눌림 후 리턴 시 후크부(16)와 스토퍼(12)는 걸림부(15)의 일정 면적에서 접촉하게 된다.3, a stopper 1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nel 1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guide 13. The button guide 13 is hooked on the stopper 12 and a button guide 13 A hook portion 16 for preventing detachment from the panel 11 is integrally formed. In this case, the hook portion 16 has a hook shape and is hooked and fixed to the latching portion 15 of the stopper 12 when the push button 10 is returned after being pressed, whereby the push button 10 is detached from the panel 11 . In this case, a constant gap is maintained between the button guide 13 and the stopper 12 of the panel 11. When the push button 10 is pressed and returned, the hook portion 16 and the stopper 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15).

하지만, 종래의 푸쉬 버튼(10)은 눌림 후 리턴 시 원복되는 속도로 인한 충격을 후크부(16)와 스토퍼(12)가 온전히 받아 구조적으로 내구성의 저하 문제가 있었으며 후크부(16)에 대한 스토퍼(12)의 걸림부(15)와의 충격에 의해 리턴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ush button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ok portion 16 and the stopper 12 are totally impacted due to the speed at which the push button 10 returns after being pressed, There is a problem that a return noise is generated due to an impact with the engaging portion 15 of the base 12.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리턴 시 버튼 가이드의 후크부와 패널의 스토퍼 간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ler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improved in structure to mitigate impact between a hook portion of a return button guide and a stopper of a panel.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패널 및 가압력에 의해 패널로부터 원위치로 탄성 복귀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은 후크부를 갖는 버튼 가이드를 포함하고, 패널은 푸쉬 버튼의 복귀 시 후크부를 걸림 고정하여 푸쉬 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후크부와 스토퍼의 사이에 푸쉬 버튼의 복귀 방향으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된다.The controller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nel and a push button that is resiliently returned from the panel by a pressing force, wherein the push button includes a button guide having a hook portion, And a stopper for preventing detachment of the push button by fixing the stopper. A buffer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hook portion and the stopper for relieving the impact in the return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푸쉬 버튼이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의 단면에 후크부의 단면이 닿는 순간의 충격을 완화하여 스토퍼의 단면과 후크부의 단면이 접촉하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을 일시적으로 흡수함에 따라, 스토퍼와 후크부 간의 부딪힘에 의한 리턴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controller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the moment when the end face of the hook portion touches the end face of the stopper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and returns to temporarily absorb the moment generated when the end face of the stopper contacts the end face of the hook portion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minimize the return noise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stopper and the hook portion.

도 1은 일반적인 컨트롤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에 따른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변형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에 따른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general controll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push button and panel connection structure,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according to a combination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5,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according to a joining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차량 실내의 냉방, 난방 및 송풍과 같은 공조장치의 모드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차량 전방에 설치되는 패널(110) 및 푸쉬 버튼(120)을 구비한다. 이 경우, 푸쉬 버튼(120)은 가압력에 의해 패널(110)로부터 원위치로 탄성 복귀되며, 이와 같은 누름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패널(110)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다.4 and 5, the controlle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mode of the air conditioner such as cooling, heating and blowing in the vehicle interior, (110) and a push button (120). In this case, the push button 120 is resiliently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from the panel 110 by a pressing force, and a plurality of the push buttons 120 are provided on the panel 110 so as to operate in such a pushing manner.

또한, 푸쉬 버튼(120)은 버튼 가이드(140) 및 버튼 캡(141)으로 구성되며, 버튼 가이드(140)와 버튼 캡(141)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버튼 가이드(140)는 버튼 캡(14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푸쉬 버튼(120)은 차량 전방에 설치된 패널(110)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0) 측으로 전진하여 삽입되며, 다른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0)로부터 후진하여 리턴된다.The push button 120 may include a button guide 140 and a button cap 141. The button guide 140 and the button cap 141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fastened or integrally formed. In this case, the button guides 140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button cap 141. The push button 120 is slidable forward and rearward relative to the panel 110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push button 120 is advanced to the panel 110 side by a single pushing operation and inserted into the panel 110, And is returned back from the panel 110 in operation.

또한, 버튼 가이드(140)는 후크부(130)를 구비하며, 패널(110)은 스토퍼(150)를 구비한다. 스토퍼(150)는 버튼 가이드(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패널(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후크부(130)를 걸림 고정하여 푸쉬 버튼(120)이 패널(1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후크부(130)는 패널(11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버튼 가이드(14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스토퍼(150)에 걸려 스토퍼(150)와 더불어 버튼 가이드(140)가 패널(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후크부(130)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푸쉬 버튼(120)의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150)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푸쉬 버튼(120)이 패널(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button guide 140 has a hook 130 and the panel 110 has a stopper 150. The stopper 150 protrudes from the panel 1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guide 140. The stopper 150 fixes the hook portion 130 when the push button 120 is returned to secure the push button 120 to the panel 150 from being detach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hook portion 130 is protruded from the button guide 140 in a direction facing the panel 110, so that the button guide 140 is caught by the stopper 150,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user from leaving. In this case, the hook portion 130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is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stopper 150 when the push button 120 is returned after being pressed, thereby preventing the push button 12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anel 110.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완충수단을 더 구비한다. 완충수단은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에 발생하는 푸쉬 버튼(120)의 복귀 방향으로의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uffer means. The buffer means functions to mitigate the impact in the return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120 generated between the hook portion 130 and the stopper 150.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통해, 푸쉬 버튼(120)이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150)의 단면에 후크부(130)의 단면이 닿는 순간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완충수단은 스토퍼(150)의 단면과 후크부(130)의 단면이 접촉하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을 일시적으로 흡수한다. 이후에, 일시적으로 충격을 흡수한 완충수단은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복되어 푸쉬 버튼(120)을 고정하게 된다. 결국, 푸쉬 버튼(120)의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150)와 후크부(130) 간의 부딪힘에 의한 리턴 노이즈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ushbutton 120 is pressed, the shock of the instant when the end face of the hook portion 130 touches the end face of the stopper 150 at the time of return can be alleviated. In this case, the buffer means temporarily absorbs the impact that occurs when the end face of the stopper 150 and the end face of the hook portion 1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after, the shock absorbing means temporarily absorbs the shock, and the push button 120 is fix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itself. As a result, when the push button 120 is pressed and returned, the return noise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stopper 150 and the hook 130 is minimized.

이 경우, 완충수단은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두 가지의 형태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buffering mean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tructures, and two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로, 완충수단은 텐션리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리브(220)는 스토퍼(150)로부터 후크부(130)의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푸쉬 버튼(120)의 복귀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First, the buffer means may include a tension rib 220. The tension rib 220 protrudes from the stopper 15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hook 130 and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return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120 as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에 따른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according to a combination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5는 푸쉬 버튼(120)이 눌러져 패널(110) 측으로 전진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후크부(130)가 스토퍼(15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후에, 푸쉬 버튼(120)이 다시 눌러져 패널(110)로부터 후진 리턴하면, 후크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50) 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자체로 탄성 변형력을 갖는 판 형상의 텐션리브(220)는 후크부(130)가 스토퍼(150)와 접촉하는 순간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미세하게 휘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push button 120 is pushed forward and inserted into the panel 110 side. The hook portion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stopper 150. As shown in FIG. Thereafter, when the push button 120 is pressed again to return back from the panel 110, the hook portion 130 moves toward the stopper 15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plate-shaped tension rib 220 having an elastic deformation force by itself absorbs an impact that occurs when the hook portion 130 contacts the stopper 150, and is slightly bent as shown by a chain line, Thereby absorbing the impact between the hook portion 130 and the stopper 150.

텐션리브(220)는 스토퍼(150)에 별도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일체로 함께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별도의 부재의 추가 구성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충격으로 인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 tension ribs 220 may be separately coupled to the stopper 150, but they may be integrally formed together.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noise due to the impact between the hook portion 130 and the stopper 150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without additional configuration of a separate member.

또한, 도 7은 도 5의 변형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FIG. 5. Referring to FIG.

둘째로, 완충수단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10)는 후크부(130)와 스토퍼(150)의 접촉면에 개재된다. 탄성부(210)를 고무 재질의 합성수지나 스프링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탄성부(210)는 전술한 텐션리브(220)와 동일하게 푸쉬 버튼(120)의 리턴 시 발생하는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충격 소음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국, 탄성부(210)는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충격을 더욱 우수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Secondly, the buffering means may include the elastic portion 210 as shown in FIG. The elastic portion 210 is interposed between the hook portion 130 and the stopper 150. The elastic portion 210 may be realized in the form of synthetic resin, spring, or the like made of rubber. The elastic part 210 functions to absorb the impact between the hook part 130 and the stopper 150 that occurs when the push button 120 is returned as in the tension rib 220 described above, Effect can be obtained. As a result, the elastic portion 210 can further reduce the impact between the hook portion 130 and the stopper 150.

이 경우, 탄성부(210)는 스토퍼(150)에 고정되거나 후크부(1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스토퍼(150) 및 후크부(130) 모두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탄성부(210)는 스토퍼(150) 및 후크부(130)에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portion 210 may be fixed to the stopper 150 or fixed to the hook 130, and may be fixed to both the stopper 150 and the hook 130. In addition, the elastic portion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opper 150 and the hook 130.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쉬 버튼과 패널의 결합 구조에 따른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structur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llustrates an operation example of a push button and a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this case, the controller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4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차량 전방에 설치되는 패널(110) 및 푸쉬 버튼(120)을 구비한다. 이 경우, 푸쉬 버튼(120)은 가압력에 의해 패널(110)로부터 원위치로 탄성 복귀되며, 이와 같은 누름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패널(110) 상에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FIG. 8 and FIG. 9, the controller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nel 110 and a push button 120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push button 120 is resiliently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from the panel 110 by a pressing force, and a plurality of the push buttons 120 are provided on the panel 110 so as to operate in such a pushing manner.

또한, 푸쉬 버튼(120)은 버튼 가이드(140) 및 버튼 캡(141)으로 구성되며, 버튼 가이드(140)와 버튼 캡(141)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버튼 가이드(140)는 버튼 캡(14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푸쉬 버튼(120)은 차량 전방에 설치된 패널(110)에 대해 전방 및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0) 측으로 전진하여 삽입되며, 다른 일 회의 누름 동작으로 패널(110)로부터 후진하여 리턴된다.The push button 120 may include a button guide 140 and a button cap 141. The button guide 140 and the button cap 141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fastened or integrally formed. In this case, the button guides 140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button cap 141. The push button 120 is slidable forward and rearward relative to the panel 110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push button 120 is advanced to the panel 110 side by a single pushing operation and inserted into the panel 110, And is returned back from the panel 110 in operation.

또한, 버튼 가이드(140)는 후크부(130)를 구비하며, 패널(110)은 스토퍼(150)를 구비한다. 스토퍼(150)는 버튼 가이드(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패널(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후크부(130)를 걸림 고정하여 푸쉬 버튼(120)이 패널(1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후크부(130)는 패널(11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버튼 가이드(14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스토퍼(150)에 걸려 스토퍼(150)와 더불어 버튼 가이드(140)가 패널(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후크부(130)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푸쉬 버튼(120)의 눌림 후 리턴 시 스토퍼(150)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푸쉬 버튼(120)이 패널(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button guide 140 has a hook 130 and the panel 110 has a stopper 150. The stopper 150 protrudes from the panel 1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guide 140. The stopper 150 fixes the hook portion 130 when the push button 120 is returned to secure the push button 120 to the panel 150 from being detach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hook portion 130 is protruded from the button guide 140 in a direction facing the panel 110, so that the button guide 140 is caught by the stopper 150,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user from leaving. In this case, the hook portion 130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is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stopper 150 when the push button 120 is returned after being pressed, thereby preventing the push button 12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anel 110.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보강 리브(300)를 더 구비한다. 보강 리브(300)는 버튼 가이드(140)와 스토퍼(15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후크부(130)와 스토퍼(150)의 접촉 이전에 버튼 가이드(140)와 스토퍼(150)를 접촉시킨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rib 300. The reinforcing rib 30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button guide 140 and the stopper 150 so that the button guide 140 and the stopper 150 are positioned before the hook 130 and the stopper 150 contact each other when the push button 120 is returned. The stopper 150 is brought into contact.

도 8은 푸쉬 버튼(120)이 눌러져 패널(110) 측으로 전진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후크부(130)가 스토퍼(15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후에, 푸쉬 버튼(120)이 다시 눌러져 패널(110)로부터 후진 리턴하면, 후크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50) 측으로 이동한다.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push button 120 is pushed and inserted forwardly to the panel 110 side, in which the hook portion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stopper 150. As shown in FIG. Thereafter, when the push button 120 is pressed again to return back from the panel 110, the hook portion 130 moves toward the stopper 150 as shown in FIG.

결국, 보강 리브(300)가 버튼 가이드(140)와 스토퍼(150)의 사이 공간에서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후크부(130)와 스토퍼(150)의 접촉 이전에 버튼 가이드(140)와 스토퍼(150)를 접촉함에 따라, 버튼 가이드(140)와 패널(110) 간의 마찰 면적을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푸쉬 버튼(120)의 리턴 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150)는 푸쉬 버튼(120)의 리턴 시 일차로 보강 리브(300)와 접촉한 후 최종적으로 후크부(130)의 단부와 접촉하여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접촉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when the reinforcing rib 300 contacts the button guide 140 and the stopper 150 before the hook 130 and the stopper 15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push button 120 returns from the space between the button guide 140 and the stopper 150, The contact area of the stopper 150 increases the friction area between the button guide 140 and the panel 110 and thereby reduces the return speed of the push button 120. Accordingly, the stopper 150 first contacts the reinforcing rib 300 at the time of the return of the push button 120, and eventual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d of the hook portion 130, and the contact between the hook portion 130 and the stopper 150 It can reduce noise.

이 경우, 보강 리브(300)는 후크부(13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별도의 부재를 추가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도 후크부(130)와 스토퍼(150) 간의 접촉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rib 30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hook portion 13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act noise between the hook 130 and the stopper 150 even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without adding a separate member.

아울러, 보강 리브(300)는 직선부(310) 및 경사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직선부(310)는 후크부(13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120)의 리턴 시 스토퍼(150)와 일차로 접촉하면서 마찰 면적을 증대시켜 푸쉬 버튼(120)의 리턴 속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경사부(320)는 직선부(310)로부터 버튼 가이드(140)의 측벽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푸쉬 버튼(120)의 리턴 시 스토퍼(150)의 단부에 걸림 현상 없이 푸쉬 버튼(120)이 원활한 작동을 수행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rib 300 may include a straight line portion 310 and an inclined portion 320. The rectilinear section 310 extends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hook section 130 and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150 at the return of the push button 120 to increase the friction area,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ducing the return speed. The inclined portion 320 extends obliquely from the linear portion 310 toward the side wall of the button guide 140. When the push button 120 is returned to the push button 120, 120) to perform smooth operation.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controller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is merely an example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 패널 120 : 푸쉬 버튼
130 : 후크부 140 : 버튼 가이드
150 : 스토퍼 210 : 탄성부
220 : 텐션리브 300 : 보강리브
310 : 직선부 320 : 경사부
110: Panel 120: Push button
130: hook portion 140: button guide
150: stopper 210: elastic part
220: tension rib 300: reinforcing rib
310: straight line portion 320:

Claims (6)

패널(110) 및 가압력에 의해 상기 패널(110)로부터 원위치로 탄성 복귀되는 푸쉬 버튼(120)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120)은 후크부(130)를 갖는 버튼 가이드(140)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110)은 상기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상기 후크부(130)를 걸림 고정하여 상기 푸쉬 버튼(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150)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130)와 상기 스토퍼(150)의 사이에 상기 푸쉬 버튼(120)의 복귀 방향으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버튼 가이드(140)와 상기 스토퍼(15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푸쉬 버튼(120)의 복귀 시 상기 후크부(130)와 상기 스토퍼(150)의 접촉 이전에 상기 버튼 가이드(140)와 상기 스토퍼(150)를 접촉시키는 보강 리브(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A controller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panel (110) and a push button (120) elastically returned to the panel (110) by a pressing force,
The push button 120 includes a button guide 140 having a hook 130. The panel 110 fixes the hook 130 when the push button 120 is returned, And a stopper (150) for preventing release of the button (120)
And buffer means for relieving an impact in the return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120) between the hook portion (130) and the stopper (150)
The buffer means may comprise:
The button guide 14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button guide 140 and the stopper 150 so that the button guide 140 can be rotated before the hook 130 and the stopper 150 contact each other when the push button 120 is returned. Wherein the stopper (150) is a reinforcing rib (300) for contacting the stopper (15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300)는,
상기 후크부(13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rib (300)
Wherein the hook portion (1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hook portion (13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300)는:
상기 후크부(13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310); 및
상기 직선부(310)로부터 상기 버튼 가이드(140)의 측벽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einforcing rib 300 includes:
A straight line portion 310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hook portion 130; And
And an inclined portion (320) extending from the rectilinear portion (310) in an inclined manner in a sidewall direction of the button guide (140).
KR1020120017774A 2012-02-22 2012-02-22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300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74A KR101430010B1 (en) 2012-02-22 2012-02-22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74A KR101430010B1 (en) 2012-02-22 2012-02-22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378A KR20130096378A (en) 2013-08-30
KR101430010B1 true KR101430010B1 (en) 2014-08-13

Family

ID=4921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774A KR101430010B1 (en) 2012-02-22 2012-02-22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0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23436B4 (en) * 2017-12-20 2023-01-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hicle with a head-up display integrated in the instrument pa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443A (en) * 2002-08-13 2004-0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tructure for heater control button for vehicles
KR20050093106A (en) * 2004-03-18 2005-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ow operating noise typed heater control butt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443A (en) * 2002-08-13 2004-0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tructure for heater control button for vehicles
KR20050093106A (en) * 2004-03-18 2005-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Low operating noise typed heater control butt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378A (en) 201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8850B2 (en) Wiper blade
CN107428224B (en) Air vent handle of automobile
EP3127744B1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US8801075B2 (en) Vehicle door trim
US9630573B2 (en) Clip mounting seats of interior components or exterior components
JP6665148B2 (en) Pillar trim assembly for vehicles
KR101430010B1 (en)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5210670B2 (en) Engagement structure and automotive interior memb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17178158A (en) Cowl top garnish
US8702155B2 (en) Cowl louver sealing structure
US10363901B2 (en) Belt buckle for a safety belt system
KR101816684B1 (en) Switch apparatus for power seat of vehicle
JP7152269B2 (en) vehicle door
KR102418585B1 (en) Rail structure of console tray for vehicle
US9640348B2 (en) Pushbutton switch
CN110785326A (en) Interior part for vehicle
JP7078518B2 (en) Vehicle door
JP6824207B2 (en) Panel device
US10549786B2 (en) Cowl cover
EP3566909A1 (en) Door trim
US9931915B2 (en) Sliding member, sunshade device provided with the sliding member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the sunshade device
KR101509751B1 (en) Mode control switch unit
JP2020111086A (en) Assist grip
KR102228237B1 (en) Door armrest
JP7491044B2 (en) Push butt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