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871B1 -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 - Google Patents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871B1
KR101429871B1 KR1020140014733A KR20140014733A KR101429871B1 KR 101429871 B1 KR101429871 B1 KR 101429871B1 KR 1020140014733 A KR1020140014733 A KR 1020140014733A KR 20140014733 A KR20140014733 A KR 20140014733A KR 101429871 B1 KR101429871 B1 KR 101429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air vent
way valve
discharg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찬
Original Assignee
신우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09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the valve having a particular passage, e.g. provided with a filter, throttle or safety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3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three-wa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 매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삼방 밸브가 설치되는 열교환관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본체부; 및 상기 삼방 밸브에 설치되며, 유동되는 상기 열교환 매체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삼방 밸브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에어 밴트부를 포함하는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FAN COIL UNIT HAVING A AIR VENT PORTION}
본 발명은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되는 냉매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 배출을 위해 구비되는 에어 벤트를 냉매의 유출 없이 교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코일 유니트(Fan coil unit)는 건물의 냉, 난방시 냉동기 또는 보일러로부터 냉수나 온수를 공급 받아 열교환기를 통과시키면서 주변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 다음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팬의 구동에 따라 실내로 배출시킴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종래의 팬코일 유니트는 제작 시공상 입수관이 하부에 형성되고, 배수관이 상부에 형성됨에 따라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된 기포가 모집부인 상부측 헤더에서 상시 잔류되어 냉매(온수 또는 냉수)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고, 그에 따라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열교환시 헤더에서 발생되는 잔류 기포를 자동으로 제거하도록 배수관 상에 에어밴트를 설치하여 해결하였다.
통상, 이러한 경우, 에어 밴트는 배수관에 설치되는 삼방밸브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에어 밴트를 새로운 에어 밴트를 교체 설치하는 경우, 배수관으로 배수되는 냉매가, 에어밴트가 분리된 삼방 밸브의 단부를 통해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4367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자동식 잔류 기포 제거용 에어밴트를 갖는 팬코일 유니트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밴트 교체를 위해 팬코일 유니트 본체의 출수관으로부터 탈거하는 경우, 냉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 밴트를 통해 유동되는 냉매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를 제거하는 경우, 냉매에 섞인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팬코일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바림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열교환 매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삼방 밸브가 설치되는 열교환관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본체부; 및 상기 삼방 밸브에 설치되며, 유동되는 상기 열교환 매체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삼방 밸브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에어 밴트부를 포함하는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에어 밴트부는, 상기 삼방 밸브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밴트부는, 상기 삼방 밸브에 스크류 체결되는 중공 형상의 체결 부재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에 삽입되고, 일단이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 부재의 내측 단부에 걸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로에 노출되는 유로홀이 형성되는 개폐 부재와, 상기 체결 부재와 상기 개폐 부재의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체결 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기 체결 부재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열교환 매체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의 이동을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 부재의 내측 단부와 상기 개폐 부재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열교환 매체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포 배출 부재는, 상기 체결 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며, 중공을 이루는 제 1기포 배출 부재와, 상기 제 1기포 배출 부재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잔류 기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제 2기포 배출 부재와, 상기 제 1기포 배출 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기 잔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홀이 형성되는 제 3기포 배출 부재와, 상기 배출홀에 체결되는 기포 배출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포 배출 안내 부재에는, 상기 잔류 기포를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 튜브가 더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에어 밴트 교체를 위해 팬코일 유니트 본체의 출수관으로부터 탈거하는 경우, 냉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밴트를 통해 유동되는 냉매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를 제거하는 경우, 냉매에 섞인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가 삼방 밸브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가 삼방 밸브로부터 분리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팬코일 유니트는 크게 팬코일 유니트 본체부(10)와, 에어 밴트부(1)로 구성된다.
팬코일 유니트 본체부(100)에는 열교환을 이루기 위한 열교환관이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관은 팬코일 유니트 본체부(10)로부터 돌출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12)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관을 따라 냉매는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관(12) 상에는 삼방 밸브(20)가 설치된다.
상기 삼방 밸브(20)에는 상기 에어 밴트부(1)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 밴트부(1)는 유출관(12)을 통해 유동되는 냉매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에어 밴트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에어 밴트부(1)는 삼방 밸브(20)에 설치되며, 유동되는 상기 열교환 매체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삼방 밸브(20)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상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밴트부(1)는, 상기 삼방 밸브(20)에 스크류 체결되는 중공 형상의 체결 부재(100)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100)에 삽입되고, 일단이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 부재(100)의 내측 단부에 걸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로에 노출되는 유로홀(210)이 형성되는 개폐 부재(200)와, 상기 체결 부재(100)와 상기 개폐 부재(200)의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300)와, 상기 체결 부재(100)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기 체결 부재(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열교환 매체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의 이동을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 부재(40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 부재(100)의 내측 단부와 상기 개폐 부재(200)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열교환 매체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부재(500)가 설치된다.
상기 기포 배출 부재(400)는, 상기 체결 부재(100)의 상단에 체결되며, 중공을 이루는 제 1기포 배출 부재(410)와, 상기 제 1기포 배출 부재(4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잔류 기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421)이 형성되는 제 2기포 배출 부재(420)와, 상기 제 1기포 배출 부재(410)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기 잔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홀(431)이 형성되는 제 3기포 배출 부재(430)와, 상기 기포 배출홀(431)에 체결되는 기포 배출 안내 부재(440)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제 1기포 배출 부재(410)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부(41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 부재(100)는 상기 체결 부재(411)에 스크류 체결된다.
상기 체결 부재(100)가 상기 체결부(411)에 스크류 체결이 완료되는 경우, 개폐 부재(200)는 체결되는 체결부(411)의 하단에 눌리면서, 체결 부재(41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개폐 부재(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로홀(210)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100)가 체결부(411)로부터 분리되면, 개폐 부재(200)는 개폐 부재(200)의 상단과 체결 부재(100)의 내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유동된다.
따라서, 개폐 부재(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로홀(210)은 체결 부재(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로 하여, 에어 밴트부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가 삼방 밸브에 설치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삼방 밸브에 에어 밴트부가 설치되는 예
도 5를 참조 하면, 에어 밴트부(1)의 체결 부재(100)는 삼방 밸브(20)의 연결부위에 스크류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 부재(100)는 제 1기포 배출 부재(410)의 체결부(411)에 스크류 체결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체결 부재(10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개폐 부재(200)는 체결되는 체결부(411)에 눌려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이루고, 개폐 부재(200)의 하단은 체결 부재(100)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 개폐 부재(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로홀(210)은 삼방 밸브(20)에 형성되는 유로에 노출되어 냉매의 흐름을 형성하고, 유로를 체결 부재(100)의 내부 공간에 노출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냉매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는 체결 부재(100)의 내부 공간 및, 제 2기포 배출 부재(420)의 안내홈(421)을 따라 유동되어, 기포 배출홀(431) 및 기포 배출 안내 부재(4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체결 부재(100)의 내측에서, 개폐 부재(200)의 상단과 제 1기포 배출 부재(410)의 체결부(411)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링 부재(500)에 의해, 잔류 기포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은 필터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밴트부가 삼방 밸브로부터 분리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삼방 밸브로부터 에어 밴트부가 분리되는 예
도 6을 참조 하면, 상술한 예에서, 에어 밴트부(1)를 삼방 밸브(20)로부터 분리 또는 탈거 하는 경우, 체결 부재(100)와 체결되는 기포 배출 부재(400)를 분리하여야 한다.
이때, 기포 배출 부재(400)를 역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 부재(100)와 체결부(411)와의 스크류 체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기포 배출 부재(400)의 체결부(411)를 체결 부재(100)로부터 상기와 같이 역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부(411)는 체결 부재(100)로부터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411)의 단부에 눌려져 있는 개폐 부재(200)의 상단은 체결부(411)의 하단과 이격되고, 체결 부재(410)의 내측 단부와 개폐 부재(200)의 상단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3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개폐 부재(200) 역시 상방으로 탄성 유동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개폐 부재(200)가 상승됨에 따라, 개폐 부재(2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유로홀(210)은 체결 부재(100)의 내측 공간으로 위치되고, 삼방 밸브(20)의 유로와 차단될 수 있다.
삼방 밸브의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냉매는 유로홀(210)이 차단됨에 따라, 체결 부재(10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포 배출 부재(400)를 교체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유로홀(210)을 차단함으로써, 냉매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기포 배출 부재를 다시 설치하는 경우, 상술한 "삼방 밸브에 에어 밴트부가 설치되는 예"와 같은 동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기포 배출 안내 부재(440)에는, 상기 잔류 기포를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 튜브가 더 연결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의 구성에 의해, 기포 배출 안내 부재(440)를 통해 기포가 배출되는 경우, 기포에 포함되는 유체 성분은 안내 튜브를 따라 안정적으로 유동하여 외부로 기포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안내 튜브를 설치함으로써, 기포에 포함되는 유체 성분이 기포 배출 안내 부재의 단부에서 배출되어 팬코일 유니트 본체부의 일부에 누수되어 본체부에 녹을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에어 밴트 교체를 위해 팬코일 유니트 본체의 출수관으로부터 탈거하는 경우, 냉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에어 밴트를 통해 유동되는 냉매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를 제거하는 경우, 냉매에 섞인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 : 팬코일 유니트 본체부 11 : 유입관
12 : 유출관 20 : 삼방 밸브
1 : 에어 밴트부 100 : 체결 부재
200 : 개폐 부재 210 : 유로홀
300 : 탄성 부재 400 : 기포 배출 부재
410 : 제 1기포 배출 부재 411 : 체결부
420 : 제 2기포 배출 부재 430 : 제 3기포 배출 부재
431 : 기포 배출홀 440 : 기포 배출 안내 부재
O1, O2 : 오링

Claims (5)

  1. 열교환 매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삼방 밸브가 설치되는 열교환관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본체부; 및
    상기 삼방 밸브에 설치되며, 유동되는 상기 열교환 매체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삼방 밸브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에어 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밴트부는, 상기 삼방 밸브에 스크류 체결되는 중공 형상의 체결 부재와, 상기 삼방 밸브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에 삽입되고, 일단이 돌출되도록 상기 체결 부재의 내측 단부에 걸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로에 노출되는 유로홀이 형성되는 개폐 부재와, 상기 체결 부재와 상기 개폐 부재의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체결 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기 체결 부재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열교환 매체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의 이동을 안내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기포 배출 부재는, 상기 체결 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며, 중공을 이루는 제 1기포 배출 부재와, 상기 제 1기포 배출 부재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잔류 기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제 2기포 배출 부재와, 상기 제 1기포 배출 부재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기 잔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포 배출홀이 형성되는 제 3기포 배출 부재와, 상기 기포 배출홀에 체결되는 기포 배출 안내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안내홈은, 상기 제 2기포 배출 부재의 외측벽에서 상하를 잇는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잔류 기포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제 2기포 배출 부재의 상단은, 상기 안내홈의 상단은 상기 안내홈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과 연결되도록 U형상의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포 배출홀과 연결되고,
    상기 기포 배출 안내 부재에는, 상기 잔류 기포를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 튜브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의 내측 단부와 상기 개폐 부재의 상단 사이에는, 상기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열교환 매체에 포함되는 잔류 기포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
  5. 삭제
KR1020140014733A 2014-02-10 2014-02-10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 KR101429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733A KR101429871B1 (ko) 2014-02-10 2014-02-10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733A KR101429871B1 (ko) 2014-02-10 2014-02-10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871B1 true KR101429871B1 (ko) 2014-08-13

Family

ID=5175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733A KR101429871B1 (ko) 2014-02-10 2014-02-10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8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61Y1 (ko) * 2009-06-24 2011-02-14 홍성화 공기배출 필터드레인 밸브
KR101134367B1 (ko) * 2011-04-26 2012-04-09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자동식 잔류 기포 제거용 에어밴트를 갖는 팬코일 유니트
KR101295885B1 (ko) * 2012-04-18 2013-08-12 주식회사 와이엔브이 유지보수용 체크밸브 부착형 안전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61Y1 (ko) * 2009-06-24 2011-02-14 홍성화 공기배출 필터드레인 밸브
KR101134367B1 (ko) * 2011-04-26 2012-04-09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자동식 잔류 기포 제거용 에어밴트를 갖는 팬코일 유니트
KR101295885B1 (ko) * 2012-04-18 2013-08-12 주식회사 와이엔브이 유지보수용 체크밸브 부착형 안전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455B1 (ko) 보일러의 급기부 필터
US202102605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circulating in a plumbing and heating system
WO20120340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t recovery
EA038125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фильтрации текучей среды, циркулирующей в водопроводно-канализационной и отопительной системе
US11826679B2 (en) Filter for the treatment of a fluid in a heating and/or cooling system
KR101429871B1 (ko) 에어밴트부가 구비된 팬코일 유니트
JP418703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CA3114537A1 (en) Deaerator for the evacuation of gases in heating systems
RU2019118968A (ru) Воздухопроводящи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EP3969185B1 (en) Filter for treating a fluid in a piping of a heating and/or cooling system, in particular of domestic and/or industrial type
KR101935256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배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0643343B1 (ko) 압축기의 응축수 배수 시스템
KR20170116731A (ko) 노즐 교체형 스팀트랩
KR100770410B1 (ko) 열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 시스템
KR101691548B1 (ko) 공기조화 장치
JP201028146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20080041456A1 (en) Air Vent
KR101945410B1 (ko) 기수분리기
KR20160087407A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CN220980418U (zh) 排气阀
TWM565780U (zh) 氣體阻隔裝置
KR101402159B1 (ko)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증기 트랩
JP201814157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60080365A (ko) 다기능 자동 에어벤트 밸브 장치
JP6086457B2 (ja) ストレーナ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