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727B1 -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727B1
KR101429727B1 KR1020140019526A KR20140019526A KR101429727B1 KR 101429727 B1 KR101429727 B1 KR 101429727B1 KR 1020140019526 A KR1020140019526 A KR 1020140019526A KR 20140019526 A KR20140019526 A KR 20140019526A KR 101429727 B1 KR101429727 B1 KR 10142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heat
heat protector
reinforced plastic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수
임옥동
공영식
홍수빈
강창우
송선갑
Original Assignee
(주)오토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젠 filed Critical (주)오토젠
Priority to KR102014001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a press ; Diffusion bonding
    • B23K20/023Thermo-compression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705/02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와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부재들을 알루미늄 부재,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 및 알루미늄 부재의 순으로 적층하되, 상기 각 부재를 에폭시 수지로 접합하여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열간프레스 내로 공급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큐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히트 프로텍터에 적용함으로써, 외측 알루미늄 부재에 의해 1차적인 복사열 차단효과와 내측의 고분자 재료의 낮은 열전도율에 의한 전도열 차단효과가 있어, 종래의 히트 프로텍터에 비해 열차폐 성능이 현저히 상승되며, 높은 단가의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되 알루미늄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어 고성능 히트 프로텍터의 양산화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EAT PROTECTOR USING HYBRID COMPOSITES}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복합소재(Hybrid Composites)를 적용하여 열차폐 성능을 개선시킨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주행할 때 엔진에서는 연료의 연소에 따른 고온의 배기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엔진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는 배기 매니폴드를 통하여 모아진 후 배기관을 통해 차량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상기 배기가스는 그 온도가 약 900℃에 이르기 때문에, 배기 매니폴드 외측면에는 히트 프로텍터(Heat Protector)라는 장치가 적용되어 고온의 배기열을 차단하여 엔진룸 내부의 부품을 보호한다.
특히, 엔진룸 내부에 위치하는 센서와 전장부품은 제품의 특성상 온도에 따른 수명의 변화폭이 크기 때문에, 엔진룸 내부는 고온의 배기열로부터 효과적인 열차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히트 프로텍터는 단순히 두 장의 스틸(Steel)나 알루미늄(Aluminum) 시트를 적층한 형태이므로, 단열 성능에 한계가 존재해 왔다.
상기 히트 프로텍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두 시트 사이에 석면 계열 무기질 단열재를 삽입한 히트 프로텍터가 제조되었으나, 접착이 아닌 단순 삽입형태로 제품의 성형단계 혹은 완성 후 사용 시 단열재의 이동에 따른 부분적 단열재 공백 부분이 발생하여 품질 안정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열차폐 성능을 위하여 일부 차종, 바이크(Bike)에서는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CFRP)과 같은 고분자 재료(Polymer Materials)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가 제작된 바 있으나,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의 높은 단가로 인하여 양산형 제품 제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262939호를 통해 금속(metal)과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CFRP)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복합소재 부품을 개발하였으나, 상기한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는 통공이 형성되는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CFRP) 부재와 한 쌍의 금속(metal) 부재를 준비하는 재료 준비단계; 상기 통공에 금속 재질의 인서트를 배치하는 인서트 배치단계; 상기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으로 상기 금속 부재를 하나씩 배치하는 재료 배치단계; 및 상기 인서트가 배치되는 영역의 용접라인(welding line)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금속 부재와 상기 인서트를 용접하는 재료 용접단계로 제조되어, 제품의 인서트 배치 부위, 즉 용접부위 내측에는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이 삽입되지 않아 단열성능이 떨어짐으로써, 히트 프로텍터로서의 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라인을 따라 용접함으로써, 제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262939 B1 KR 10-0612751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 시트와 고분자 소재인 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부재로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복합소재(Hybrid Composites)를 적용하여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를 제조함으로써, 열차폐 성능이 향상되어 신뢰할만한 열해(Thermal damages) 성능을 갖는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종래의 히트 프로텍터보다 열차폐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기존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단가를 낮춰 가격 경쟁력 역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은,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와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부재들을 알루미늄 부재,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 및 알루미늄 부재의 순으로 적층하되, 상기 각 부재를 에폭시 수지로 접합하여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열간프레스 내로 공급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큐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루미늄 부재는 99~100중량%의 순수 알루미늄 시트 또는 알루미늄 합금 시트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알루미늄 합금 시트는 Al-Cu, Al-Mn, Al-Si, Al-Mg, Al-Mg-Si 및 Al-Zn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 단계의 압력은 0.1~4MPa이며, 상기 큐어링 단계의 온도는 130~200℃이고, 시간은 10~6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는 0.01 ~ 0.03W/m.℃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히트 프로텍터에 적용함으로써, 외측 알루미늄 부재에 의해 1차적인 복사열 차단효과와 내측의 고분자 재료의 낮은 열전도율에 의한 전도열 차단효과가 있어, 종래의 히트 프로텍터에 비해 열차폐 성능이 현저히 상승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높은 단가의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되 알루미늄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어 고성능 히트 프로텍터의 양산화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합소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합소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프로텍터의 열차폐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 부재와 고분자 재료를 이용하여서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적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히트 프로텍터에 적용시키는 것이다.
히트 프로텍터(Heat Protector)는 고온의 배기열을 차단하는 부품에 필요한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엔진용 히트 프로텍터가 있다. 상기 엔진용 히트 프로텍터는 배기계의 고온을 효과적으로 차단해야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소재의 높은 열차폐 능력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는 두 장의 스틸이나 알루미늄 시트를 적층한 형태의 경우 차폐성능이 좋지 못했고, 고분자 재료를 이용한 형태의 경우, 높은 단가로 인해 양산형 제품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알루미늄(Aluminum) 부재와 고분자 재료(Polymer Materials)인 섬유 강화플라스틱(FRP)을 적층시킨 형태인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로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를 제조함으로써, 열차폐 성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제조단가를 낮춰 양산형 제품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합소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복합소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프로텍터의 열차폐 개념도이다.
(a)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1)와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를 준비하는 단계.
먼저,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1)와 고분자 소재인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1)와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의 크기와 형상은 히트 프로텍터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그 크기와 형상은 제한하지 않지만, 열차폐 성능을 우수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1)와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의 크기는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1)와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의 두께는 차종에 따른 배기량과 히트 프로텍터의 형상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두께를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1)로는 알루미늄 시트가 사용되는데, 상기 알루미늄 시트로는 99~100중량%의 순수 알루미늄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알루미늄 합금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으로는 알루미늄(Al)-구리(Cu) 합금, 알루미늄(Al)-망간(Mn) 합금, 알루미늄(Al)-규소(Si) 합금, 알루미늄(Al)-마그네슘(Mg) 합금, 알루미늄(Al)-마그네슘(Mg)-규소(Si) 합금 및 알루미늄(Al)-아연(Zn)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알루미늄 시트 중 어느 하나는 순수 알루미늄 시트를 이용하고, 다른 하나는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할 수도 있고, 둘 다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되 다른 종류의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알루미늄 부재(1), 즉 알루미늄 시트를 이용하는 이유는 열원으로부터 복사열을 차단하기 위한 것은 물론, 경량의 소재인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를 경량화하기 위함이다. 즉, 기타의 금속재가 아닌 알루미늄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경량화를 추구하며, 히트 프로텍터의 취급 또한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섬유 강화플라스틱(FRP)으로는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과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는데, 상기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은 카본 필라멘트를 와인딩 모양이나 직물 모양으로 한 후, 수지(樹脂)를 함침(含浸)하여 경화시킨 것으로서, 고강도, 고탄성의 경량소재이며, 열차폐 성능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는 유리섬유와 열경화성수지를 결합한 물질로서, GFRP 역시 고강도, 고탄성의 경량소재이며, 열차폐 성능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CFRP 또는 GFRP로 되는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를 선택한 것인바, 상기 섬유 강화플라스틱은 등급에 따라 그 열차폐 성능 및 가격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섬유 강화플라스틱의 등급을 제한하지는 않지만 가격을 고려하여, 0.01 ~ 0.03W/m.℃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열전도율이 너무 높으면 히트 프로텍터의 열차폐 성능이 좋지 못하고, 열차폐 성능이 너무 낮을 경우 섬유 강화플라스틱의 가격이 높아져 양산화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b) 상기 준비된 부재들(1)(2)을 알루미늄 부재(1),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 및 알루미늄 부재(1)의 순으로 적층하되, 상기 각 부재(1)(2)를 에폭시 수지로 접합하여 하이브리드 복합소재(A)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a) 단계를 통해 준비된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1)와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를 알루미늄 부재(1),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 및 알루미늄 부재(1)의 순으로 적층한다. 그리고 상기 각 부재(1)(2) 간을 에폭시 수지로 접합한다.
여기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바, 1액형은 물론 주제와 경화제로 구성된 2액형의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 수지의 사용량 역시 한정하지 않는바, 상기 각 부재들(1)(2)의 일면에 도포하여 각 부재들(1)(2)이 서로 접합할 수 있는 정도면 족한 것으로, 예를 들면 각 부재(1)(2)의 일면에 건조중량으로 약 1~150mg/㎡ 정도를 도포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1액형의 에폭시 수지는 YD128(비스페놀-A계, 국도화학 상표명) YDF-170(국도화학 상표명), YDCM-631(Phenol Novolac, 국도화학 상표명), 첨가제, 흐름방지제, 접착보강제, DICY(dicyandiamide), BGE( Butyl Glycidyl Ether), YDCM-638(국도화학 상표명), 침강방지제, 희석제 등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액형의 에폭시 수지로는 주제는 YD128(Bisphenol-A), YDF-170, YDCN-631, 첨가제, 흐름방지제, 접착보강제로 구성되고, 경화제는 DICY, BGE, YDCN-638, 첨가방지제 및 희석제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1)와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를 적층시켜 접합한 것을 하이브리드 복합소재(A)라 한다.
즉, 상기 (a) 단계와 (b) 단계는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에 적용할 하이브리드 복합소재(A)를 제조하여 준비하는 단계(S1)로서, 상기한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부재(1),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 및 알루미늄 부재(1)의 순으로 적층된 형태이다.(도면에서 접합제인 에폭시 수지는 미도시하였다.)
(c) 상기 준비된 하이브리드 복합소재(A)를 열간프레스(hot pressing)내로 공급하여 성형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a) 단계와 (b) 단계를 통해 하이브리드 복합소재(A)가 준비(S1)되면, 상기 준비된 하이브리드 복합소재(A), 즉 상기한 접합물을 열간프레스 내로 공급하여 히트 프로텍터로서 성형한다.
이때, 상기 히트 프로텍터의 형상은 제한하지 않는바, 차종, 배기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간프레스의 압력은 0.1~4MPa인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상기 압력이 0.1MPa보다 낮을 경우 불충분한 가압으로 인하여 에폭시 수지에 기포가 생성되며, 복합소재의 강도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0.4MPa보다 높을 경우 지나친 압력으로 인하여 에폭시 수지가 다량 유출될 수 있으며, 복합소재의 강도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열간프레스의 온도는 200℃ 정도가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알루미늄 부재(1), 즉 알루미늄 시트의 종류(합금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간프레스의 시간 역시 제한하지 않으며, 30초~5분 정도로 진행할 수 있다.
(d)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큐어링하는 단계.
상기의 (c) 단계와 같이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큐어링(Curing) 한다. 상기 큐어링 단계는 경화를 진행시키는 단계로서, 성형 직후부터 130~200℃의 온도에서 10~60분간 진행한다.
상기 큐어링 온도, 즉 경화온도를 130~200℃로 하는 이유는, 경화온도 미달시에는 소재의 강도가 저하되고, 경화온도를 초과할 경우 고온 공정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여 제작 원가가 상승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큐어링 시간, 즉 경화시간을 10~60분으로 하는 이유는, 경화시간 미달시 소재의 강도가 저하되고, 경화시간을 초과할 시 제작 시간이 길어져 제품의 생산성 및 양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c) 단계와 (d) 단계는 히트 프로텍터의 성형 및 경화단계(S2)로서, 상기 (d) 단계, 즉 (S2) 단계를 완료하면, 우수한 열차폐 성능을 갖는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1)와 하나의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를 접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1) 사이에 2개의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를 적층시키고, 접합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그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는 알루미늄 부재(1),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 및 알루미늄 부재(1)의 순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각 부재(1)(2)는 에폭시 수지로 접합된 것이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알루미늄 부재(1)는 99~100중량%의 순수 알루미늄 시트 또는 알루미늄 합금 시트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알루미늄 합금 시트는 Al-Cu, Al-Mn, Al-Si, Al-Mg, Al-Mg-Si 및 Al-Zn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의 것이고, 상기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는 0.01 ~ 0.03W/m℃의 열전도율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프로텍터의 열차폐 개념도에서와 같이, 열원으로부터 열이 가해질 경우 하층의 알루미늄 부재(1)로부터 1차적으로 복사열 차단효과, 즉 열 반사효과를 가지게 되고, 고분자 소재인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에 의해 2차적인 전도열 차단효과를 가지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층의 알루미늄 부재(2)를 통과하여 다시 한번 복사열 차단효과를 됨으로써,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히트 프로텍터를 통과하면서 그 온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히트 프로텍터는 차량의 엔진과 배기계의 요소로서, 고열의 차단이 필요한 곳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고분자 소재를 알루미늄과 혼합 적용함으로써, 고효율의 열차폐 성능에 대비하여 낮은 단가를 유지할 수 있어 종래의 고분자 소재와는 달리 양산화가 가능한 것이다.
이하,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알루미늄 부재(1), 즉 알루미늄 합금별 화학적 성분을 살펴보면 하기 표 1과 같다.
알루미늄 합금 별 화학적 성분(단위:중량%)
구분
(합금계열)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순 Al Al-Cu Al-Mn Al-Si Al-Mg Al-Mg-Si Al-Zn
Si 0.006~0.35 0.05~7.50 0.08~1.80 0.6~21.5 0.01~0.5 0.2~1.80 0.06~0.5
Mn 0.002~0.3 0.05~1.30 0.05~1.80 0.03~1.50 0.01~1.40 0.02~1.10 0.02~0.8
Mg 0.006~0.3 0.02~2.20 0.05~1.50 0.01~2.0 0.2~6.20 0.2~1.6 0.1~3.70
Zn 0.006~0.1 0.05~1.30 0.05~1.30 0.05~10.7 0.01~2.80 0.03~2.40 0.8~12
Cu 0.003~0.350 0.1~6.8 0.03~0.9 0.03~5.00 0.03~0.5 0.01~1.20 0.05~2.6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각 알루미늄 합금은 상기와 같은 성분비를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합금계열 중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알루미늄 부재 2 :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

Claims (6)

  1. 삭제
  2. (a) 한 쌍의 알루미늄 부재(1)와 섬유 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부재(2)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준비된 부재들(1)(2)을 알루미늄 부재(1),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 및 알루미늄 부재(1)의 순으로 적층하되, 상기 각 부재(1)(2)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접합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복합소재(A)를 제조하는 단계와,
    (c) 상기 준비된 하이브리드 복합소재(A)를 열간프레스 내로 공급하여 0.1~4 MPa의 압력으로 30초~5분간 성형하는 단계와,
    (d) 상기 성형된 성형물을 130~200℃에서 10~60분간 큐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b) 단계에서 에폭시 수지는 각 부재(1)(2)의 일면에 건조중량으로 1~150mg/㎡ 만큼 도포되고,
    상기 섬유 강화플라스틱 부재(2)는 0.01 ~ 0.03W/m.℃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것이며,
    상기 알루미늄 부재(1)는 99~100중량%의 순수 알루미늄 시트 또는 알루미늄 합금 시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알루미늄 합금 시트는 Al-Cu, Al-Mn, Al-Si, Al-Mg, Al-Mg-Si 및 Al-Zn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19526A 2014-02-20 2014-02-20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 KR101429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526A KR101429727B1 (ko) 2014-02-20 2014-02-20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526A KR101429727B1 (ko) 2014-02-20 2014-02-20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727B1 true KR101429727B1 (ko) 2014-08-14

Family

ID=5175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526A KR101429727B1 (ko) 2014-02-20 2014-02-20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7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0589A (en) * 1981-01-09 1985-02-19 Technische Hogeschool Delft Laminate of aluminum sheet material and aramid fibers
JP2010149350A (ja) 2008-12-25 2010-07-08 Tomoegawa Paper Co Ltd 複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45400A (ja) * 2009-04-08 2010-10-28 Kobe Steel Ltd 複合積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06503A (ja) 2011-03-17 2012-10-25 Toray Ind Inc 金属複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0589A (en) * 1981-01-09 1985-02-19 Technische Hogeschool Delft Laminate of aluminum sheet material and aramid fibers
JP2010149350A (ja) 2008-12-25 2010-07-08 Tomoegawa Paper Co Ltd 複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45400A (ja) * 2009-04-08 2010-10-28 Kobe Steel Ltd 複合積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06503A (ja) 2011-03-17 2012-10-25 Toray Ind Inc 金属複合体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3978B1 (en) Layered product, electromagnetic-shielding molded objec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se
CN100421924C (zh) 层压品及其制造方法
JP6325545B2 (ja) フランジ付き構成要素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11950A (ko) 프리폼 요소,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프리폼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092072A (ja) 熱接着用基材が用いられてなるプリフォーム、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CN109822949B (zh) 一种火箭用轻质夹芯结构长排罩的制备方法
CN109849455B (zh) 一种镁/钢层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A2638037A1 (en) A wiring component
CN107958972A (zh) 一种金属及复合材料板混合设计的电池壳结构及制备工艺
KR940011167A (ko) 금속-폴리프로필렌-금속 적층판 및 상기 적층판으로된 성형시이트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23381B1 (ko) 보강 복합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JP2007110138A (ja) 電磁波シールド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038824A1 (en) Circuit board carrier/solder pallet
JPWO2019188195A1 (ja) 繊維強化樹脂の製造方法
KR101429727B1 (ko) 하이브리드 복합소재를 이용한 히트 프로텍터의 제조방법
US10583642B2 (en) Honeycomb structural bod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neycomb structural body
US10422234B2 (en) Compliant attachment for an organic matrix composite component
CN104175058B (zh) 一种碳纤维预浸料修复铝合金裂纹管的补片包裹工艺
US2013013382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joints of metallic sheets and polymer composites using adhesive
WO2015005125A1 (ja) 補強構造体の製造方法
CN108749043A (zh) 一种轻质封装复合装甲及其制造工艺
CN105109160A (zh) 高强度防弹热塑性聚丙烯复合板材及其制造方法
JP7066383B2 (ja) 高分子リン酸化アミドを含むアブレーティブ材料
CN105109159A (zh) 高强度防弹热塑性尼龙复合板材及其制造方法
US6565690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structures of composit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