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342B1 - 부하의 세그먼테이션을 고려한 풀 브릿지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부하의 세그먼테이션을 고려한 풀 브릿지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342B1
KR101427342B1 KR1020127016530A KR20127016530A KR101427342B1 KR 101427342 B1 KR101427342 B1 KR 101427342B1 KR 1020127016530 A KR1020127016530 A KR 1020127016530A KR 20127016530 A KR20127016530 A KR 20127016530A KR 101427342 B1 KR101427342 B1 KR 10142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urned
load
leg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165A (ko
Inventor
전성즙
조동호
임춘택
정구호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13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풀 브릿지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풀 브릿지 인버터는, DC(Direct Current) 입력전압의 포지티브(positive)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negative)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및 각각의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된 각각의 접점들을 접속단자로 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복수의 부하에 선택적으로 DC/AC 변환된 전압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반도체 소자의 수를 최소로 하여 비용을 줄이면서도, 부하전류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부하의 세그먼테이션을 고려한 풀 브릿지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Load-Segmentation-Based Full Bridge I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풀 브릿지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부하에 선택적으로 DC/AC 변환된 전압을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반도체 소자의 수를 최소로 하여 비용을 줄이면서도, 부하전류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풀 브릿지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종래에는 싸이러트론(thyratron), 수은 정류기(mercury rectifier) 등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직류송전과 같은 대용량 고전압회로를 제외한 일반 인버터는 대부분 싸이리스터(thyristor)로 대체되었다.
일반적으로 인버터는 단상 인버터와 3상 인버터로 분류된다. 그 중 단상 인버터는 하나의 단상 부하에 교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온라인 전기 자동차 등과 같은 전기기기는 교류를 공급하여야 하는 부하를 다수 구비하고 있으며, 그러한 각각의 부하에 대응하여 단상 인버터를 설치하는 것은 해당 전기기기의 설계비용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부하에 대응하여 양방향 반도체 스위치와 같은 절체 스위치를 설치하고, 설치된 절체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해당 부하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절체 스위치는 두 개의 스위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스위칭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부하에 대응하여 절체 스위치가 설치된다고 가정할 경우 풀 브릿지 인버터에 설치되는 반도체 소자의 총수는 12개가 된다. 이와 같은 반도체 소자의 증가는 부하전류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풀 브릿지 인버터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버터를 통해 복수의 세그먼트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절체 스위치가 없어도 반도체 스위치의 턴온/오프 제어만으로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수를 최소화하여 시설비를 감소시키고 부하전류가 거치는 소자의 수를 줄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풀 브릿지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 인버터는, DC(Direct Current) 입력전압의 포지티브(positive)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negative)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및 각각의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된 각각의 접점들을 접속단자로 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각각이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풀 브릿지 인버터는, 각각의 제1 스위치 및 각각의 제2 스위치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는, 복수의 제1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스위치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턴온된 제1 스위치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스위치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턴온된 제2 스위치에 연결된 제1 스위치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부하 중 어느 하나의 부하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가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부하 중 어느 하나의 부하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가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부하 중 어느 하나의 부하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에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가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되며,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에 연결된 제1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에 부하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가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제어방법은, DC 입력전압의 포지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 및 각각의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되는 각각의 접점들을 접속단자로 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를 구비한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 및 턴온된 제1 스위치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턴온된 제1 스위치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제어방법은, 턴온된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는 단계; 복수의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 및 턴온된 제2 스위치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턴온된 제2 스위치에 연결된 제1 스위치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부하 중 턴온된 제1 스위치에 일단이 연결된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온된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부하 중 턴온되는 제1 스위치에 일단이 연결된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온되는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부하 중 턴온된 제1 스위치에 일단이 연결된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온된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 턴온된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는 단계; 턴온된 제2 스위치를 턴오프하는 단계; 및 제2 스위치에 연결된 제1 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제어방법은, 부하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온하는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제어방법은,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부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부하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스위치를 턴온한 후, 선택된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턴온하는 제1 스위치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버터를 통해 복수의 세그먼트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절체 스위치가 없어도 반도체 스위치의 턴온/오프 제어만으로 세그먼트를 선택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수를 최소화하여 시설비를 감소시키고 부하전류가 거치는 소자의 수를 줄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다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부하를 위한 풀 브릿지 인버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 인터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 인버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각각의 레그를 구성하는 스위치에 대한 제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각각의 부하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 인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 인버터는, DC(Direct Current) 입력전압(VDC)의 포지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 DC 입력전압(VDC)의 네거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 및 각각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된 각각의 접점들을 접속단자로 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 및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는, 각각이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 인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 인버터는, DC(Direct Current) 입력전압(VDC)의 포지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 DC 입력전압(VDC)의 네거티브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 및 각각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의 타단과 각각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된 각각의 접점들을 접속단자로 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 및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는, 각각이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대일로 연결된 제1 스위치(Su1) 및 제2 스위치(Sd1)를 레그 1이라고 명명하며, 제1 스위치(Su2) 및 제2 스위치(Sd2)를 레그 2라고 명명한다. 또한, 제1 스위치(Su3) 및 제2 스위치(Sd3)를 레그 3이라고 명명하며, 제1 스위치(Su4) 및 제2 스위치(Sd4)를 레그 4라고 명명하고, 제1 스위치(Su5) 및 제2 스위치(Sd5)를 레그 5라고 명명한다.
또한,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와 제2 스위치(Sd1) 사이의 접점을 A1이라고 하며, 레그 2의 제1 스위치(Su2)와 제2 스위치(Sd2) 사이의 접점을 A2라고 하고, 레그 3의 제1 스위치(Su3)와 제2 스위치(Sd3) 사이의 접점을 A3이라고 한다. 또한, 레그 4의 제1 스위치(Su4)와 제2 스위치(Sd4) 사이의 접점을 A4이라고 하고, 레그 5의 제1 스위치(Su5)와 제2 스위치(Sd5) 사이의 접점을 A5라고 한다.
여기서, 도 4에는 각각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는 각각 레그 1과 레그 2 사이, 레그 2와 레그 3 사이, 레그 3과 레그 4 사이, 및 레그 4와 레그 5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각각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의 위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각각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레그 1와 레그 2 사이, 레그 1과 레그 3 사이, 레그 1과 레그 4, 및 레그 1과 레그 5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 경우, 세그먼트는 각각의 부하를 기준으로 그 부하에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합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도 2에는 각각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는 각각 레그 1과 레그 2 사이, 레그 2와 레그 3 사이, 레그 3과 레그 4 사이, 및 레그 4와 레그 5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각각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의 위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각각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레그 1와 레그 2 사이, 레그 1과 레그 3 사이, 레그 1과 레그 4, 및 레그 1과 레그 5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 경우, 세그먼트는 각각의 부하를 기준으로 그 부하에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합하여 결정된다.
한편, 풀 브릿지 인버터는, 각각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 및 각각의 제2 스위치(Sd1, Sd2, Sd3, Sd4, Sd5)에 대한 온/오프 제어를 하는 제어부(4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410)는 복수의 제1 스위치(Su1, Su2, Su3, Su4, Su5)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스위치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턴온된 제1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한 레그 내에 있는 제2 스위치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Su1)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턴온된 제1 스위치(Su1)에 연결되어 있으며 동일한 레그 1 내에 있는 제2 스위치(Sd1)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제어부에 의한 스위칭 제어에 의해 임의의 세그먼트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세그먼트 1에 대하여, 레그 1 및 레그 2의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한 경우의 부하(load1)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나타내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도 5는 제어부에 의한 스위칭 제어에 의해 임의의 세그먼트에서 출력되는 전압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세그먼트 1에 대하여, 레그 1 및 레그 2의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한 경우의 부하(load1)에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나타내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410)는 복수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 중 부하(load1)와 접점 A1에서 연결된 제1 스위치(Su1)를 턴온하는 경우, 그 부하(load1)와 접점 A2에서 연결된 제2 스위치(Sd2)가 제1 스위치(Su1) 보다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Su1)의 턴온에 대응하여 레그 1의 제2 스위치(Sd1)은 턴오프를 유지하며, 제2 스위치(Sd2)의 턴온에 대응하여 레그 2의 제1 스위치(Su2)도 턴오프를 유지한다. 이 경우, 레그 1은 레그 2에 대해 지상레그라고 하며, 레그 2는 레그 1에 대해 진상레그라고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부(410)는 부하(load1)와 접점 A1에서 연결된 제1 스위치(Su1)를 턴온하는 경우, 그 부하(load1)와 접점 A2에서 연결된 제2 스위치(Sd2)가 제1 스위치(Su1) 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그 1은 레그 2에 대해 진상레그가 되며, 레그 2는 레그 1에 대해 지상레그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410)는 각각의 세그먼트들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 중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부하를 선택한다(S601). 여기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제1 부하(load1)가 선택된 것으로 설명하며, 처음에 모든 스위치들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 인버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풀 브릿지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410)는 각각의 세그먼트들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 중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부하를 선택한다(S601). 여기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제1 부하(load1)가 선택된 것으로 설명하며, 처음에 모든 스위치들은 턴오프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부하(load1)가 선택되면, 제어부(410)는 선택된 부하(load1)를 기준으로 양 단에 연결된 레그 1 및 레그 2의 제1 스위치(Su1, Su2) 및 제2 스위치(Sd1, Sd2) 중의 어느 하나를 온/오프 제어한다(S603).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의 턴온에 의해 DC 입력전압으로부터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 부하(load1) 및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를 경유하는 경로가 형성되며, 부하(load1)의 양단에는 DC 인가전압이 걸리게 된다. 부하(load1)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다음에, 제어부(410)는 레그 1의 접점 A1에 연결된 제1 스위치(Su1)를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보다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한다(S607).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가 턴온으로 유지되는 동안,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와 쌍을 이루는 제2 스위치(Sd1)는 턴오프로 유지된다(S609).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의 턴온에 의해 DC 입력전압으로부터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 부하(load1) 및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를 경유하는 경로가 형성되며, 부하(load1)의 양단에는 DC 인가전압이 걸리게 된다. 부하(load1)에 인가되는 전압의 파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여기서는, 레그 1이 레그 2에 대하여 지상레그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가 먼저 턴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레그 1을 레그 2에 대하여 진상레그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레그 1의 제2 스위치(Su1)이 먼저 턴온될 수도 있다.
다음에, 제어부(410)는 턴온된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를 턴오프시키며(S611), 턴오프된 제2 스위치(Sd2)와 쌍을 이루는 레그 2의 제1 스위치(Su2)를 턴온시킨다(S613). 이때,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를 턴오프하더라도 레그 2의 제1 스위치(Su2)가 턴온될 때까지는 제2 스위치(Sd2)의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부하(load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DC 인가전압으로 유지된다(여기서,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가 턴오프된 후 레그 2의 제1 스위치(Su2)가 턴온되기까지의 시간 동안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은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레그 2의 제1 스위치(Su2)가 턴온되면, 부하(load1)의 양단에는 동일한 전압이 걸리게 되므로, 출력전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0이 된다. 여기서는 각각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가 순수 저항인 것으로 가정하여 각각의 스위치의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이 유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으로는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 또는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가 턴오프되면 각각의 부하(load1, load2, load3, load4)에 포함된 인덕턴스에 의해 턴오프한 해당 스위치(레그 2의 제2 스위치(Sd2) 또는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 쪽의 전압은 다른 쪽의 전압으로 변해가게 된다.
다음에, 부하(load1)의 접점 A1에 연결된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를 턴오프하며(S615), 레그 1의 턴오프로 유지되어 있던 제2 스위치(Sd1)를 턴온한다(S617). 이때,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를 턴오프하더라도 레그 1의 제2 스위치(Sd1)가 턴온될 때까지는 제1 스위치(Su1)의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의해 부하(load1)의 양단에는 동일한 전압이 걸리게 된다. 또한, 레그 1의 제2 스위치(Sd1)가 턴온되면, 레그 2의 제1 스위치(Su2), 부하(load1) 및 레그 1의 제2 스위치(Sd1)에 의한 경로가 형성되며, 부하(load1)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방향의 DC 인가전압이 걸리게 된다. 이때, 턴오프된 레그 1의 제1 스위치(Su1)은 턴오프 유지되며(S619), 부하(load1)의 양단에는 턴오프 상태의 레그 2의 제2 스위치(Sd2)가 턴온될 때까지 역방향의 DC 인가전압이 유지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410)는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부하를 선택하고 해당 세그먼트의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해당 부하에 DC 인가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부하를 선택하는 것은 해당 세그먼트의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며, 별도의 절체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4개의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증가되는 반도체 소자는 8개로서 전체적인 반도체 소자의 수는 10개이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반도체 소자의 감소를 가져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N 개(N은 3이상의 자연수)의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며, DC(Direct Current) 입력전압의 포지티브(Positive) 단자에 상기 제 1 스위치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1 스위칭부;
    N 개(N은 3이상의 자연수)의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DC 입력전압의 네거티브(Negative) 단자에 상기 제 2 스위치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 제2 스위칭부; 및
    각각의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과 각각의 상기 제2 스위치의 타단이 일대일로 연결된 각각의 접점들 중 서로 다른 두 개의 접점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N-1(N은 3이상의 자연수) 개의 부하
    를 포함하되, 일대일로 각각 연결된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2 스위치는 N 개(N은 3이상의 자연수)의 레그를 형성하며,
    상기 N 개의 레그 중 선택된 두 개의 레그와 그 사이에 연결되는 부하를 포함하여 세그먼트를 형성하며,
    상기 두 개의 레그의 스위칭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두 개의 레그 및 그에 연결된 부하를 포함하는 세그먼트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브릿지 인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는,
    각각이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브릿지 인버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제1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스위치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턴온된 상기 제1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브릿지 인버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제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스위치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턴온된 상기 제2 스위치에 직접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브릿지 인버터.
  6.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부하 중 어느 하나의 부하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제2 스위치가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브릿지 인버터.
  7.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부하 중 어느 하나의 부하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제2 스위치가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브릿지 인버터.
  8.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부하 중 어느 하나의 부하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에 상기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제2 스위치가 소정시간 뒤진 시간에 턴온되며, 상기 부하의 타단에 연결된 상기 제2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제1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에 상기 부하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2 스위치가 소정시간 앞선 시간에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브릿지 인버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7016530A 2009-12-23 2009-12-23 부하의 세그먼테이션을 고려한 풀 브릿지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 KR101427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7695 WO2011078424A1 (ko) 2009-12-23 2009-12-23 부하의 세그먼테이션을 고려한 풀 브릿지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165A KR20120130165A (ko) 2012-11-29
KR101427342B1 true KR101427342B1 (ko) 2014-08-06

Family

ID=4419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530A KR101427342B1 (ko) 2009-12-23 2009-12-23 부하의 세그먼테이션을 고려한 풀 브릿지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19762A1 (ko)
KR (1) KR101427342B1 (ko)
WO (1) WO2011078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425A1 (ko) * 2009-12-23 2011-06-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부하의 세그먼테이션을 고려한 3-레벨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
US9531293B2 (en) 2011-07-11 2016-12-27 Sinewat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olar photovoltaic energy collection and conversion
US9263971B2 (en) * 2011-12-16 2016-02-16 Empower Micro Systems Inc. Distributed voltage source inverters
US9099938B2 (en) 2011-12-16 2015-08-04 Empower Micro Systems Bi-directional energy converter with multiple DC sources
US9143056B2 (en) 2011-12-16 2015-09-22 Empower Micro Systems, Inc. Stacked voltage source inverter with separate DC sources
KR101379712B1 (ko) * 2012-12-28 2014-04-02 (주)그린파워 유도급전용 세그먼테이션의 설정이 용이한 공진 타입의 트랙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트랙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1418A (en) * 1996-12-23 1998-07-14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witching scheme for power supply having a voltage-fed inverter
KR19980028346A (ko) * 1996-10-18 1998-07-15 윤문수 풀 브릿지 dc/dc 컨버터의 영전압/영전류 스위칭을 위한 회로
US6034489A (en) * 1997-12-04 2000-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R&D Laboratory, Inc. Electronic ballast circuit
KR20090123231A (ko) * 2008-05-27 2009-12-02 센텍(주) 풀 브릿지 인버터의 다출력 구조인 전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3467B2 (en) * 2005-03-31 2007-02-06 Chang Gung University Modified high-efficiency phase shift modulation method
JP2009303298A (ja) * 2008-06-10 2009-12-24 Denso Corp 交流モ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346A (ko) * 1996-10-18 1998-07-15 윤문수 풀 브릿지 dc/dc 컨버터의 영전압/영전류 스위칭을 위한 회로
US5781418A (en) * 1996-12-23 1998-07-14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witching scheme for power supply having a voltage-fed inverter
US6034489A (en) * 1997-12-04 2000-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R&D Laboratory, Inc. Electronic ballast circuit
KR20090123231A (ko) * 2008-05-27 2009-12-02 센텍(주) 풀 브릿지 인버터의 다출력 구조인 전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165A (ko) 2012-11-29
WO2011078424A1 (ko) 2011-06-30
US20130119762A1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7023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for pre charging DC-Bus capacitors therein
US10374505B2 (en) Power coupler
US11101740B2 (en) Modular power supply system
KR101427342B1 (ko) 부하의 세그먼테이션을 고려한 풀 브릿지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
EP2720365A2 (en)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US10263429B2 (en)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power conditioner, and distributed power system
KR101723094B1 (ko) Mmc 컨버터의 서브모듈 제어기용 전원장치
US11496053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with dc-bus pre-charge
US20130286699A1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564832B2 (en) Circuit for synchronously switching series connected electronic switches
US10873254B2 (en) Electrical circuit for zero-voltage soft-switching in DC-DC converter under all load conditions
US10855167B2 (en) Power converter apparatus and methods using adaptive node balancing
EP1450476B1 (en) Power converter circuit
US9571002B2 (en) Voltage adjusting apparatus
Nguyen et al. A modified cascaded multilevel converter topology for high power bidirectional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with the reduction of switching devices and power losses
KR20170064076A (ko) 자속 공유형 대전압용 전원 공급 장치
Zhang et al. Flexible‐structured phase‐shifted multiple‐full‐bridge DC–DC power supply with wide range output
WO2017216914A1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80106543A (ko) 인버터 제어방법
KR101449573B1 (ko) 부하의 세그먼테이션을 고려한 3-레벨 인버터 및 그 제어방법
CN110572058B (zh) 可延长保持时间的电源供应器
KR20220096958A (ko) 변압기 자화를 고려한 그리드 연계 인버터 장치 및 스위치 동작 방법
US20170099019A1 (en) High Efficiency Commutation Circuit
KR20230066956A (ko) 초기충전회로를 갖는 전력변환장치
WO2021130965A1 (ja) 受電装置及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