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655B1 -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655B1
KR101426655B1 KR1020130038368A KR20130038368A KR101426655B1 KR 101426655 B1 KR101426655 B1 KR 101426655B1 KR 1020130038368 A KR1020130038368 A KR 1020130038368A KR 20130038368 A KR20130038368 A KR 20130038368A KR 101426655 B1 KR101426655 B1 KR 10142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displayed
touch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관현
Original Assignee
조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관현 filed Critical 조관현
Priority to KR102013003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6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6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orean character entering device using a touch screen used for information devices including a smart phone, PDA, and tablet, where vowels and consonants in Korean language are entered with a limited number of input key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Korean character entering device includes a touch keypad realized by software. The touch keypad has 3x3 input keys in a square shape, and as for a basic consonant, ′��������prime; are positioned to each edge and ′��prime; is positioned in the center, whereas as for a basic vowel, ′��������prime; are positioned respectively in the left, right, up, and down around a center input key where ′o′ is positioned. As for the consonants, ′����������prime;are displayed by touch, and the other consonants are displayed by dragging diagonally. As for the vowels, ′��������prime; are displayed by touch, and the other vowels are displayed by dragging horizontally or vertically. Accordingly, the touch screen includes the touch keypad where the alignment of input keys is simple, entering keys is easy, incorrect inputs are reduced, and the speed of entering the keys is improved.

Description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 화면을 가지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정보기기에서 제한된 입력키를 가지고 한글의 모음,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터치 키패드에 대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된 3ⅹ3 입력키를 배치하고, 상기 입력키에는 기본 자음키에 대하여 각모서리에 'ㄱ, ㅅ, ㄴ, ㅁ' 중앙에 'ㅇ'를 배치하고, 기본 모음키에 대하여 상기 'ㅇ'가 배치된 중앙 입력키의 좌우 상하에 'ㅏ. ㅓ, ㅜ, ㅗ' 배치하여, 자음에 대하여 'ㄱ, ㅅ, ㄴ, ㅁ, ㅇ'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그 외 자음키에 대해서는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하며, 모음에 대해서는 'ㅏ, ㅓ,ㅜ, ㅗ' 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그 외 모음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함으로써, 터치 키패드의 입력키 배치가 단순하면서도 키입력이 간편하고 오동작이 발생이 적으며 키입력 속도가 보다 빠른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apable of inputting a collection of Hangul characters and a consonant with limited input keys in information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PDA, and a tablet having a touch screen, A 3x3 input key having a rectangular shape is arranged for the implemented touch keypad, and the input key is provided with a 'ㅇ' in the center of 'a, b, c, k' at each corner with respect to the basic consonant key, Quot; is arranged on the left, right,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enter input key on which the " o " ㅓ, ㅜ, ㅗ ', and' ㄱ, ㅅ, ㄴ, ㅁ, ㅇ 'is touched and displayed for the consonant, and the other consonant keys are display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be displayed. , ㅜ, ㅗ ', and other vowels are displayed by dragging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input key arrangement of the touch keypad is simple, the key input is easy, the malfunction is less, And a Korean input device using a quick touch screen.

최근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소형화된 정보기기에서의 문자 입력에 대한 중요도가 날로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Recently, information devices are getting smaller and smaller due to the development of software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ext input in miniaturized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PDAs, and tablets is increasing.

상기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정보기기는 소형화로 인하여 제한된 입력키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터치 화면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키패드를 사용하고 있다.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PDAs, and tablets have limited input keys due to miniaturization, and they use keypads implemented in software on a touch screen.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과 같은 소형화된 정보기기에서 터치 화면상에 소프트웨어로 된 키패드에서 한글 을 입력하는 장치 또는 방법이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10-0109356호, 10-2011-0048940호, 10-2011-0038426호 등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기존의 한글 입력 방법에서는 한정된 자판 위에서 많은 수의 모음과 자음 입력을 위해 한 개의 글자판에 3개까지의 문자를 중복해서 사용하게 함으로써 문자 입력시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번의 터치를 요구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모음과 자음이 뒤섞인 입력 버튼은 복잡한 형태의 배열을 하고 있어 글자를 쉽게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 device or 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a software keypad on a touch screen in a miniaturized inform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PDA, or a table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s. 10-2010-0109356, 10-2011-0048940, 10- 2011-0038426, etc. However, in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it is possible to use up to three characters on a single keyboard for a large number of vowels and consonant input on a limited keyboar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tries to touch several times, and input buttons having a mixture of vowels and consonants are arranged in complicated shapes, so that letters can not be easily found.

또한, 소형화된 정보기기에서 키패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그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키패드상에서 입력키를 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입력키를 여러 번 눌러야 하는 관계로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lso, in a miniaturized information device, input devices such as a keypad have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size thereof, so that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 input keys on the keypad, and the input speed is slow and is often erroneously input because the input key must be pressed several time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uncomfort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터치 화면을 가지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정보기기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터치 키패드에 대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된 3ⅹ3 입력키를 배치하고, 상기 입력키에는 기본 자음키에 대하여 각모서리에 'ㄱ, ㅅ, ㄴ, ㅁ'과 중앙에 'o'를 배치하고, 기본 모음키에 대하여 상기 'ㅇ'가 배치된 중앙 입력키의 좌우 상하에 'ㅏ, ㅓ, ㅜ, ㅗ' 배치하여, 자음에 대하여 'ㄱ, ㅅ, ㄴ, ㅁ, ㅇ'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그 외 자음키에 대해서는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하며, 모음에 대해서는 'ㅏ, ㅓ, ㅜ, ㅗ' 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그 외 모음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함으로써, 터치 키패드의 입력키 배치가 단순하면서도 키입력이 간편하고 오동작이 발생이 적으며 키입력 속도가 보다 빠른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PDA, and a tablet having a touch screen, Is arranged in each corner with respect to the basic consonant key in the input key, and 'o' is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basic consonant key, and the center input key in which the ' And the other consonant keys are display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display them, and the vowels are display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y arranging 'a, b, t, The touch keypad is simple to input and the key input is easy, and the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by touching " a, ",",", and dragging the other vowels horizontally or vert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orean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 screen having a shorter key input spe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키패드와, 상기 터치 키패드에서 입력되는 자음과 모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터치 키패드의 입력을 판단하여 대응되는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한글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키패드는 사각형 형상으로 된 3ⅹ3 입력키를 배치하고, 상기 입력키에는 기본 자음키에 대하여 각모서리에 ‘ㄱ, ㅅ, ㄴ, ㅁ’과 중앙에 ‘ㅇ’를 배치하며, 기본 모음키에 대하여 상기 ‘ㅇ’가 배치된 중앙 입력키의 좌우 상하에 ‘ㅏ, ㅓ, ㅜ, ㅗ’를 배치하여, 상기 입력키들을 터치 또는 드래그하여 한글의 모든 자음 및 모음을 표시하며, 상기 자음 중 ‘ㄱ, ㅅ, ㄴ, ㅁ, ㅇ’은 상기 기본 자음키인 ‘ㄱ, ㅅ, ㄴ, ㅁ, ㅇ’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ㄷ, ㄹ, ㅂ, ㅈ, ㅊ, ㅋ, ㅌ, ㅍ, ㅎ’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including a touch keypad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a display for displaying consonants and vowels input from the touch keypad on a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judging an input of the touch keypad and extracting corresponding consonants and vowels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consonants and vowels on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touch keypad comprises a rectangular 3 × 3 input key , 'ㅇ', and 'ㅇ' are arranged at each corner of the basic consonant key in the input key, and 'ㅇ' is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basic consonant key. Quot ;, ", ", and touching or dragging the input keys to display all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Korean alphabet, A, b, c, and o 'are displayed by touching the basic consonant keys' a, b, c, and k ', and' c, d, b, c, And " drag " in the diago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음 중 'ㅏ, ㅓ, ㅜ, ㅗ' 는 상기 기본 모음키인 'ㅏ, ㅓ, ㅜ, ㅗ'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ㅑ, ㅕ, ㅛ, ㅠ, ㅡ, ㅣ, ㅐ, ㅔ, ㅖ, ㅢ'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ㅓ, ㅜ, and ㅗ' in the above-mentioned vouchers are displayed by touching the basic vowel keys' a, ㅓ, ㅜ, ㅗ 'and' ㅑ, ㅛ, , ',', ',', And 'are display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o be displayed.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은 ‘ㄲ, ㄸ, ㅃ, ㅆ, ㅉ’ 각각은, ‘ㄱ, ㅅ, ㄴ, ㅁ’이 배치된 모서리 입력키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ㅇ’가 배치된 중앙 입력키 부근까지 길게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하거나, 상기 ‘ㅇ’가 배치된 중앙 입력키 부근에서 상기 ‘ㄱ, ㅅ, ㄴ, ㅁ’이 배치된 모서리 입력키 중 어느 하나까지 길게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ㄲ, ㄸ, ㅃ, ㅆ, ㅉ' is a key input from one of the corner input keys in which 'a, b, c, Or dragging the key to a desired one of the corner input keys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input key in which the 'o' is disposed.

또한, 본 발명은 'ㄲ' 에 대하여 'ㄱ' 입력키의 테두리 주변을 90도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고, 'ㅆ' 에 대해서는 'ㅅ' 입력키의 테두리 주변을 90도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고, 'ㄸ, ㅃ, ㅉ' 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ㅇ' 가 배치된 입력키를 가로질러 대각선 방향인 우상, 우하, 좌상, 좌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iphery of the 'a' input key is dragged and displayed at 90 degrees with respect to 'ㄲ', and the periphery of the 'ㅅ' input key is dragged at 90 degrees to display 'ㅆ' Is displayed in the diagonal direction using any one of an upper right, a lower right, a left upper, and a right and a left across the input key in which the letter 'o' is arranged.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은 'ㅝ'에 대하여 입력키 'ㅜ'와 입력키 'ㅓ'를 동시에 터치하여 표시하거나 입력키 'ㅜ'와 입력키 'ㅓ'를 연결시키는 드래그로 표시하고,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key 't' and the input key 'ㅓ' are simultaneously touched with respect to 'ㅝ', or displayed as a drag that connects the input key 't' and the input key '

'ㅘ'에 대하여는 입력키 'ㅗ'와 입력키 'ㅏ' 를 동시에 터치하여 표시하거나 입력키 'ㅗ' 와 입력키 'ㅏ'를 연결시키는 드래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input key 'ㅗ' and the input key 'a' are simultaneously touched, or the input key 'ㅗ' and the input key '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drag'.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는 터치 화면을 가지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정보기기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터치 키패드에 대하여 사각형 형상으로 된 3ⅹ3 입력키를 배치하고, 상기 입력키에는 기본 자음키에 대하여 각모서리에 'ㄱ, ㅅ, ㄴ, ㅁ' 중앙에 'ㅇ' 를 배치하고, 기본 모음키에 대하여 상기 'ㅇ'가 배치된 중앙 입력키의 좌우 상하에 'ㅏ, ㅓ, ㅜ, ㅗ' 를 배치하여, 자음에 대하여 'ㄱ, ㅅ, ㄴ, ㅁ, ㅇ' 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그 외 자음키에 대해서는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하며, 모음에 대해서는 'ㅏ, ㅓ, ㅜ, ㅗ'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그 외 모음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함으로써, 터치 키패드의 입력키 배치가 단순하면서도 키입력이 간편하고 오동작이 발생이 적으며 키입력 속도가 보다 빠르다는 효과가 있다.A Korean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such that a rectangular 3x3 input key is disposed on a touch keypad implemented in software in an inform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PDA, or tablet having a touch screen, Is arranged at each corner of the basic consonant key in the center of 'a', 'b', and 'k', and 'a', 'b', and ' ,,,, ㅗ 'to touch and display' ㄱ, ㅅ, ㄴ, ㅁ, ㅇ 'with respect to the consonant and to drag the other consonant keys in a diagonal direction to display them. ,,, ㅗ ', and other vowels are displayed by dragging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input key arrangement of the touch keypad is simple, and the key input is simple, There is a more rapid effect.

즉,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함에 있어서, 터치 화면에서 가능한 터치와 드래그 기능을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게 함으로써 터치 키패드상에 표시되는 입력키 수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또한 터치 키패드에 표시되는 기본 자음키들(ㄱ, ㅅ, ㄴ, ㅁ)이 서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기본 모음키들(ㅏ, ㅓ, ㅜ, ㅗ)도 서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자음 입력에 대해서는 대각선 방향의 드래그만을 사용하게 하고 모음 입력에 대해서는 수평 수직 드래그만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 또는 모음에 대하여 키입력의 오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inputting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characters, the number of input keys displayed on the touch keypad can be greatly reduced by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by using the touch and drag functions available on the touch screen, The basic vowel keys a, b, c, and d are spaced sufficiently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basic vowel keys a, b, c, By using only the diagonal direction dragging and us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rag only for the vowel input,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error of the key input with respect to the consonant or vowel to be input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한글의 모든 자음과 모음은 한번의 터치 동작(2개의 입력키를 동시에 터치하는 것 포함) 또는 한번의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표시되게 할 수 있어 키입력 수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키입력 속도가 보다 빠르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ll consonants and vowels in Hangul can be displayed by a single touch operation (including simultaneous touching of two input keys) or a single drag operation, so that the number of key inputs is remarkably reduced, Is fas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의 전체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터치 키패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터치 키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자음 입력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자음 입력방법(겹자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모음 입력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모음 입력방법(ㅝ, 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7에서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1
' 표시는 터치를 의미하고,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2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3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4
등은 수직 수평 방향 드래그를 의미하며,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5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6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7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8
는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을 의미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overall system of a Korean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Korean input device touch keypa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Korean input device touch keypa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onsonant input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consonant input method (double letters)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vowel input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owel input method (v, v) in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1
'Indicates a touch,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2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3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4
The " vertical < / RTI > horizontal direction drag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5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6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7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8
Quot; means dragging in the diagonal direc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Korean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터치 화면을 가지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정보기기에서 제한된 입력키를 가지고 한글의 모음,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키패드(11)와 상기 터치 키패드(11)에서 입력되는 자음과 모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로 구성된 터치 화면(10)과, 상기 터치 키패드(11)에서 터치 및 드래그된 키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키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대응되는 메모리(22)로부터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하게 하는 제어부(2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apable of inputting a collection of Hangul characters and consonants with limited input keys in information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PDA, and a tablet having a touch screen, A touch screen 10 including a touch keypad 11 that can be implemented in software and can input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ul and a display unit 12 that displays consonants and vowels inputted from the touch keypad 11 on the screen,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key input signal from the touch keypad 11 and determining the key input signal to extract consonants and vowels from the corresponding memory 22 and displaying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12, (21) and the like.

상기 키패드(11)의 키입력에 의하여 대응되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는 기술은 기존의 정보기기에서 널리 공지된 것이고 본 발명의 특징부라고 할 수 없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technique of extracting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Hangul characters by key input of the keypad 11 is widely known in existing information devices and can not be said to be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터치 키패드(11)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3ⅹ3 입력키, 즉 가로 3개의 입력키, 세로 3개의 입력키인 9개의 입력키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touch keypad 11 includes a 3 × 3 input key, ie, a 3 × 3 input key in a rectangular shape, and nine input keys, ie, three input keys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입력키에는 자음키로서 사각형상의 각 모서리에 'ㄱ, ㅅ, ㄴ, ㅁ' 입력키를 배치하고, 중앙에 'ㅇ' 입력키를 배치한다(이하 'ㄱ, ㅅ, ㄴ, ㅁ, ㅇ' 입력를 '기본 자음키' 라 함). 또 모음키로서 상기 'ㅇ' 가 배치된 중앙 입력키의 좌우 상하에 'ㅏ, ㅓ, ㅜ, ㅗ' 배치한다. 이와 같이 입력키를 배치한다.In the input key, an 'a', 'an', 'b', and 'k' input keys are arranged at each corner of a square as a consonant key, and ' The input is referred to as a 'basic consonant key'). Also, 'a, ㅓ, ㅜ, ㅗ' are arrang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of the center input key in which the 'ㅇ' is arranged as a vowel key. The input keys are arranged in this mann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자음키 중 'ㄱ' 자음키는 상기 키패드(11)의 우측 상단 모서리에 그 모서리의 테두리 형상인 'ㄱ' 자 형상으로 나타내게 하고, 'ㅅ' 자음키는 상기 키패드(11)의 좌측 상단 모서리에 그 모서리의 테두리 형상인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9
'형상으로 나타내게 하며, 'ㄴ' 자음키는 상기 키패드(11)의 좌측 하단 모서리에 그 모서리의 테두리 형상인 'ㄴ' 자 형상으로 나타내게 하며, 'ㅁ' 자음키는 상기 키패드(11)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그 모서리의 테두리 형상인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10
' 형상으로 나타내게 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nsonant key' of the basic consonant key is displayed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keypad 11 in the shape of a letter 'A', and the 'consonant key'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upper surface 11 has a shape of the edge of the corner,
Figure 112013030573983-pat00009
Quot; consonant key is displayed in a lower left corner of the keypad 11 in a shape of a rim of its edge, and a consonant key 'k'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keypad 11 In the lower corner,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corner,
Figure 112013030573983-pat00010
'Shape.

상기 기본 자음키의 형상은 사용자로 하여금 기본 자음키(ㄱ, ㅅ, ㄴ, ㅁ)를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나타내면 어떤 실시형태라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ㅅ' 자음키에 대하여 'ㅅ' 형상과 유사한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11
' 형상으로 나타내게 할 수 있고, 'ㅁ' 자음키에 대해서는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12
' 나타내게 할 수 있다.The form of the basic consonant key may be any form so long as the user can recognize the basic consonant key (a, b, c).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for the 'g' consonant key, a '
Figure 112013030573983-pat00011
', And for the' ㅁ 'consonant key,
Figure 112013030573983-pat00012
'.

상기와 같이 기본 자음키와 기본 모음키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터치 키패드(11)에 표시되는 기본 자음키들(ㄱ, ㅅ, ㄴ, ㅁ)이 서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기본 모음키들(ㅏ, ㅓ, ㅜ, ㅗ)도 서로 충분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게 된다.The basic consonant keys (a, b, c) displayed on the touch keypad 11 are provided at sufficient intervals from each other by arranging the basic consonant keys and the basic vowel keys as described above, ㅓ, ㅜ, ㅗ) are installed at a sufficient distance from each other.

다음으로 자음이 입력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a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글의 자음은 14개의 일반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5개의 겹자음(ㄲ, ㄸ, ㅃ, ㅆ, ㅉ)으로 구성되어 있다.Hangul consonants consist of 14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ㅆ,,, ㅈ, ㅎ, ㅉ).

본 발명에서 한글의 자음 입력은 터치와 좌상, 좌하, 우상, 우하 방향과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하고 모든 자음이 한번의 키동작(동시에 누르는 것 포함)에 의하여 표시되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principle, the consonant input of Hangul is dragged in the diagonal direction such as the touch, upper left, lower left, upper right, lower right directions, and all consonants are displayed by a single key operation (including simultaneous pressing) .

우선 일반 자음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일반 자음 중 'ㄱ, ㅅ, ㄴ, ㅁ, ㅇ' 상기 기본 자음키인 'ㄱ, ㅅ, ㄴ, ㅁ, ㅇ' 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그 외 일반 자음은 'ㄷ, ㄹ, ㅂ, ㅈ, ㅊ, ㅋ, ㅌ, ㅍ, ㅎ' 각 해당 기본 자음키에서 좌상, 좌하, 우상, 우하 방향과 같이 대각선 방향 드래그하여 표시한다. First, a method of displaying a general consonant is described. The basic consonant keys 'a, b, c, and o' among the common consonants are touched and displayed, The consonant is dragged in the diagonal direction as shown in the upper left, lower left, upper right, and lower right directions of each corresponding basic consonant key 'c, d, d, i, d, k,

예를 들면, 'ㅋ' 은 기본 자음키 'ㄱ' 군에 속하는 것으로서 기본 자음키 For example, 'k' belongs to the basic consonant key 'a'

'ㄱ'에서 우상 방향(바깥쪽)으로 드래그 하면 표시된다. Drag from 'a' to the upper right direction (outside) to display.

'ㄷ, ㅌ, ㄹ' 기본 자음키 'ㄴ' 군에 속하는 것으로서 기본 자음키 'ㄴ'에서 우상 방향(안쪽)으로 드래그하면 'ㄷ'이 표시되고, 기본 자음키 'ㄴ'에서 좌하 방향(바깥쪽)으로 드래그하면 'ㅌ'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ㄹ'의 경우 상기 'ㄷ'과 반대 방향 우하 방향으로 드래그하며 표시할 수도 있고 기본 자음키 'ㄴ' 군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취급하여 기본 자음키 'ㅇ'를 가로질러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할 수 있다.(D), the basic consonant key 'c' is displayed in the upper left consonant key 'c', and the 'c' is displayed in the upper right consonant key ' ) To display 'ㅌ'. In the case of 'd', it can be dragged and displayed in the right lower direction opposite to 'c', and it is treated as not belonging to the basic consonant key 'b', and is dragged in a diagonal direction across the basic consonant key 'o' Can be displayed.

'ㅂ,ㅍ'은 기본 자음키 'ㅁ' 군에 속하는 것으로서 기본 자음키 'ㅁ'에서 좌상 방향(안쪽)으로 드래그하면 'ㅂ'이 표시되고, 기본 자음키 'ㅁ' 에서 우하 방향(바깥쪽)으로 드래그하면 'ㅍ' 이 표시된다.'And' are belonging to the basic consonant key 'ㅁ', and when dragging from the basic consonant key 'ㅁ' to the upper left direction (inside), 'ㅂ' is displayed and the basic consonant key 'ㅁ' ) To display 'py'.

'ㅈ, ㅊ'은 기본 자음 'ㅅ' 군에 속하는 것으로서 기본 자음키 'ㅅ'에서 우하 방향(안쪽)으로 드래그하면 'ㅈ'이 표시되고, 기본 자음키 'ㅅ'에서 좌상 방향(바깥쪽)으로 드래그하면 'ㅊ'이 표시된다.'I' and 'd' belong to the basic consonant 'ㅅ'. Drag from the basic consonant key 'ㅅ' to the lower right direction (inside) Drag 'to' '.

'ㅎ' 은 기본 자음키 'ㅇ' 군에 속하는 것으로서 기본 자음키 'ㅅ'에서 좌상, 좌하, 우상, 우하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표시되게 할 수 있다. 'He' belongs to the group of the basic consonant key 'o', and one of the upper left, lower left, upper right, and lower right directions can be designated and displayed in the basic consonant key 'g'.

상기와 같이 자음키 입력에 대하여 기본 자음키를 기본으로 유사 자음를 해당 자음키 군으로 분류하여 원칙(안쪽, 바깥쪽 등)을 가지고 키입력하게 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키입력을 용이하게 숙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similar consonants are classified in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key group based on the basic consonant key for the consonant key input and the key is input with the principle (inside, outside, etc.), the user can easily understand the key input .

다음으로 겹자음인 'ㄲ, ㄸ, ㅃ, ㅆ, ㅉ'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method of inputting the double letters "ㄲ, ㄸ, ㅃ, ㅆ, ㅉ"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겹자음 'ㄲ, ㄸ, ㅃ, ㅆ, ㅉ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자음키군에 각각의 기본 자음키 ㄱ, ㄴ, ㅁ, ㅅ에서 상기 'ㅇ' 가 배치된 중앙 자음키 부근까지 길게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한다.As shown in FIG. 4, the consonant key group is dragged to each of the basic consonant keys a, b, k, and g to the vicinity of the center consonant key where the letter 'o' is arranged, .

여기에서 겹자음 ㅆ, ㅉ은 해당 자음키군의 기본 자음키가 동일하나, 'ㅆ' 경우 'ㄲ, ㄸ, ㅃ'과 같이 안쪽으로 길게 드래그하고, 'ㅉ'의 경우 'ㅆ'과는 반대 방향으로 길게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한다.In this case, the double consonants ㅆ and ㅉ are the same consonant keys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key group. If the consonant key group is 'ㅆ', drag it to the inside like 'ㄲ, ㄸ, ㅃ'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ㅆ' Long drag to display.

상기 겹자음 'ㄲ, ㄸ, ㅃ, ㅆ, ㅉ'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ㄲ' 에 대하여 'ㄱ' 자음키의 테두리 주변을 90도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고, 'ㅆ' 에 대해서는 'ㅅ' 입력키의 테두리 주변을 90도로 드래그하여 표시하며, 'ㄸ, ㅃ, ㅉ'각각에 대하여 상기 'ㅇ' 가 배치된 입력키를 가로질러 대각선 방향인 우상, 우하, 좌상, 좌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하게 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of displaying the double letters 'ㄲ, ㄸ, ㅃ, ㅆ, ㅉ', as shown in Fig. 5, the periphery of the 'ㄱ' consonant key is dragged at 90 degrees to 'ㄲ'',' 0 ',' 0 ',' 0 ', and' 0 'are displayed by dragging the periphery of the' It can be displayed by using any one of left and right.

다음으로 모음이 입력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a method of inputting a vowe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글의 모음은 21개로서 기본이 되는 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합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ㅙ, ㅟ, ㅝ, ㅞ, ㅢ)로 구성되어 있다.There are 21 vowels in Hangul, and there are 10 vowels (ㅐ, ㅒ, ㅔ, ㅖ, ㅚ, ㅚ, ㅚ, ㅗ, ㅛ, ㅘ, ㅙ, ㅟ, ㅝ, ㅞ, ㅢ).

상기 모음 중 'ㅏ. ㅓ, ㅜ, ㅗ' 는 상기 기본 모음키인 'ㅏ. ㅓ, ㅜ, ㅗ' 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ㅑ, ㅕ, ㅛ,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ㅢ'는 각 해당 기본 모음키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 한다.Among the above vowels' a. ㅓ, ㅜ, ㅗ 'is the basic vowel key' a. ㅓ,,, ㅗ 'and drag them horizontally or vertically on each corresponding basic vowel key to display' ㅑ, ㅕ, ㅛ, ㅠ,,,,, ㅢ, ㅒ, ㅔ, ㅖ, ㅢ ' do.

예를 들면, 'ㅑ, ㅐ, ㅒ'는 기본 모음키 'ㅏ' 군에 속하는 것으로서 기본 모음키 'ㅏ'에서 수평 방향(안쪽)으로 드래그하면 'ㅑ'가 표시되고, 기본 모음키 'ㅏ'에서 수직 방향(하향 또는 상향)으로 드래그하면 'ㅐ'가 표시된다. For example, 'ㅑ, ㅐ, ㅒ' belongs to the basic vowel key 'a'. Dragging from the basic vowel key 'a'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displays 'ㅑ' In the vertical direction (downward or upward), "ㅐ" is displayed.

또, 'ㅒ'는 기본 모음키 'ㅏ'와 기본 모음키 'ㅓ'를 동시에 터치하여도 'ㅒ'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ㅒ' can display 'ㅒ' by touching the basic vowel key 'a' and the basic vowel key '동시에' at the same time.

'ㅕ, ㅔ, ㅖ' 기본 모음키 'ㅓ' 군에 속하는 것으로서 기본 모음키 'ㅓ' 수평 방향(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드래그하면 'ㅕ'되고, 기본 모음키 'ㅓ'에서 수직 방향(하향 또는 상향)으로 드래그하면 'ㅔ'가 표시되며, 기본 모음키 'ㅓ' 에서 수직 방향(상향 또는 하향)으로 드래그하면 'ㅖ'가 표시된다.The basic vowel key 'ㅓ' belongs to the basic vowel key 'ㅓ'. The basic vowel key 'ㅓ' is dragged horizontally (inside or outside) Or up) to display 'ㅔ'. Dragging from the basic vowel key 'ㅓ' to the vertical direction (up or down) will display 'ㅖ'.

'ㅛ, ㅚ, ㅘ, ㅙ'는 기본 모음키 'ㅗ' 군에 속하는 것으로서 기본 모음키'ㅛ, ㅚ, ㅘ, ㅙ' belong to the basic vowel key 'ㅗ'

'ㅗ'에서 수직 방향(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드래그하면 'ㅛ'가 표시되고, 'ㅚ, ㅘ, ㅙ' 경우 일반 PC의 한글 자판에서 2개의 모음키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도 기본 모음키 'ㅗ' 누른 상태에서 중앙 입력키 부근에서 수직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ㅚ'가 표시되며, 기본 모음키 'ㅗ' 와 기본 모음키 'ㅏ'를 동시에 터치하면 'ㅘ'가 표시되며, 기본 모음키 'ㅗ' 누른 상태에서 기본 모음키 'ㅏ'에서 수직 방향(상향 또는 하향)으로 드래그하면 'ㅙ'가 표시된다.If you drag in the vertical direction (outside or inside) in 'ㅗ', 'ㅛ' is displayed. In case of 'ㅚ, ㅘ, ㅙ', two vowel keys are used in the Korean PC keyboard, If you drag in the vertical direction near the center input key while holding down 'ㅗ', 'ㅚ' is displayed. If you touch the basic vowel key 'ㅗ' and the basic vowel key 'a' at the same time, 'ㅘ' While holding down 'ㅗ', drag in the vertical direction (upward or downward) from the basic vowel key 'a' to display 'ㅙ'.

'ㅠ, ㅝ, ㅞ' 기본 모음키 'ㅜ' 군에 속하는 것으로서 기본 모음키 'ㅜ'에서'ㅠ, ㅝ, ㅞ' belong to the basic vowel key 'ㅜ', and the basic vowel key 'ㅜ'

수직 방향(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드래그하면 'ㅠ'가 표시되고, 'ㅝ,ㅞ'의 경우 일반 PC의 한글 자판에서 2개의 모음키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도 기본 모음키 'ㅜ' 와 기본 모음키 'ㅓ'를 동시에 터치하면 'ㅝ'가 표시되며, 기본 모음키 'ㅜ' 누른 상태에서 기본 모음키 'ㅓ'에서 수직 방향(하향 또는 상향)으로 드래그하면 'ㅞ'가 표시된다.If you dra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or outside), 'ㅠ' is displayed. In case of 'ㅝ, ㅞ', two vowel keys are used in the Korean PC keyboar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touch the vowel key 'ㅓ' at the same time, 'ㅝ' will be displayed. While holding down the basic vowel key 'ㅜ', dragging the vertical vowel 'ㅓ' vertically (downward or upward) will display ㅞ.

'ㅡ, ㅣ, ㅢ, ㅟ'는 특정 기본 모음키 군에 속하지 않는 것이므로, 중앙 입력키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ㅡ'의 경우 중앙 입력키에서 수평(좌향 또는 우향)으로 드래그 하여 표시하고, 'ㅣ'의 경우 중앙 입력키에 수직(상향 또는 하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며, 'ㅢ'의 경우 중앙 입력키에 수직(하향 또는 상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며, 'ㅟ'의 경우 기본 모음키 'ㅜ' 누른 상태에서 중앙 입력키에서 수직 방향(하향 또는 상향)으로 드래그하면 'ㅟ'가 표시된다.Since 'ㅡ, ㅣ, ㅢ, ㅟ' does not belong to a specific basic vowel key group, it is displayed by dragging vertically or horizontally to the center input key. For example, 'ㅡ' is dragged horizontally (left or right) from the center input key and 'ㅣ' is displayed by dragging vertically (upward or downward) to the center input key. In case of 'ㅢ' Dragging it vertically (downward or upward) to the center input key, and if it is 'ㅟ', dragging it vertically (downward or upward) from the center input key while holding down the basic vowel key 'ㅜ' .

또한, 'ㅝ’와 ‘ㅘ’에 대해서는 각각 입력키 ‘ㅜ’와 입력키 ‘ㅓ’를 동시에 터치하거나 입력키 ‘ㅗ’와 입력키 ‘ㅏ’를 동시에 터치하여 표시하게 할 수 있지만, 도 7과 같이 입력키 'ㅝ’의 경우‘ㅜ'와 입력키 ‘ㅓ'를 연결시키는 드래그로 표시하고,‘ㅘ’의 경우 입력키‘ㅗ’와 입력키‘ㅏ'를 연결시키는 드래그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key 't' and the input key 'ㅓ' may be simultaneously touched or the input key 'ㅗ' and the input key 'a' may be touched simultaneously for 'ㅝ' and 'ㅘ' The input key 'ㅝ' and the input key '''can be displayed by dragging. In the case of' ㅘ ', the input key' ㅗ 'and the input key' hav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 터치 화면 11: 터치 키패드
12: 디스플레이부 21: 제어부
22: 메모리
10: touch screen 11: touch keypad
12: display unit 21: control unit
22: Memory

Claims (7)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키패드와, 상기 터치 키패드에서 입력되는 자음과 모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터치 키패드의 입력을 판단하여 대응되는 자음 및 모음을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한글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키패드는 사각형 형상으로 된 3ⅹ3 입력키를 배치하고,
상기 입력키에는 기본 자음키에 대하여 각모서리에 ‘ㄱ, ㅅ, ㄴ, ㅁ’과 중앙에 ‘ㅇ’를 배치하며, 기본 모음키에 대하여 상기 ‘ㅇ’가 배치된 중앙 입력키의 좌우 상하에 ‘ㅏ, ㅓ, ㅜ, ㅗ’를 배치하여, 상기 입력키들을 터치 또는 드래그하여 한글의 모든 자음 및 모음을 표시하며,
상기 자음 중 ‘ㄱ, ㅅ, ㄴ, ㅁ, ㅇ’은 상기 기본 자음키인 ‘ㄱ, ㅅ, ㄴ, ㅁ, ㅇ’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ㄷ, ㄹ, ㅂ, ㅈ, ㅊ, ㅋ, ㅌ, ㅍ, ㅎ’은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nsonant and a vowel input from the touch keypad on a screen; a display unit for extracting consonants and vowels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touch keypad, And a control unit for caus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haracter string,
The touch keypad includes a 3x3 input key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 the input key, 'a', 'b', and 'k' are arranged at each corner with respect to the basic consonant key and 'o' is arranged at the center. Quot ;, ",",",", and all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are displayed by touching or dragging the input keys,
',', '', '', And ',' among the consonants are displayed by touching the basic consonant keys' a, b, c, ,,,,,,,,,,,,,,,,,,, including things to display the drag to diagonal direction
And a touch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중 ‘ㅏ, ㅓ, ㅜ , ㅗ’는 상기 기본 모음키인 ‘ㅏ, ㅓ, ㅜ , ㅗ’를 터치하여 표시하고 ‘ㅑ, ㅕ, ㅛ, ㅠ, ㅡ, ㅣ, ㅐ, ㅔ, ㅖ, ㅢ’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a, b, c, and d of the above-mentioned vowel are displayed by touching the basic vowel key 'a, b, t, and t', and 'a, b, c, t, , ㅢ 'means to drag in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to display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제1항에 있어서,
‘ㄲ, ㄸ, ㅃ, ㅆ, ㅉ’ 각각은, ‘ㄱ, ㅅ, ㄴ, ㅁ’이 배치된 모서리 입력키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ㅇ’가 배치된 중앙 입력키 부근까지 길게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하거나, 상기 ‘ㅇ’가 배치된 중앙 입력키 부근에서 상기 ‘ㄱ, ㅅ, ㄴ, ㅁ’이 배치된 모서리 입력키 중 어느 하나까지 길게 드래그하여 표시하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 ',', ', And''are displayed by dragging from one of the corner input keys on which the' a ',' b ', and' Or a corner input key in which 'a', 'b', 'b', and 'k' are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input key where the 'o' is disposed,
And a touch screen.
제1항에 있어서,
‘ㄲ’은 ‘ㄱ’입력키의 테두리 주변을 90도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고,‘ㅆ’은 ‘ㅅ’ 입력키의 테두리 주변을 90도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고,
‘ㄸ, ㅃ, ㅉ’의 각각은 상기 ‘ㅇ’가 배치된 입력키를 가로질러 대각선 방향인 우상, 우하, 좌상, 좌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ㄲ' is displayed by dragging the periphery of the 'a' input key by 90 degrees, 'ㅆ' is displayed by dragging the circumference of the 'o' input key by 90 degrees,
',', ', And' are displayed by using any one of the diagonal direction upper right, lower right, upper left, and right, across the input key in which '
And a touch screen.
제2항에 있어서,
‘ㅒ’는 기본 모음키 ‘ㅏ’에서 수직 방향(상향 또는 하향)으로 드래그하여 표시하거나, 기본 모음키 ‘ㅏ’와 기본 모음키 ‘ㅓ’를 동시에 터치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ㅒ' can be displayed by dragg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upward or downward) from the basic vowel key 'a', or by simultaneously touching the basic vowel key 'a' and the basic vowel key '것'
And a touch screen.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ㅝ’는 입력키 ‘ㅜ’와 입력키 ‘ㅓ'를 동시에 터치하여 표시하거나 입력키 ‘ㅜ’와 입력키 ‘ㅓ’를 연결시키는 드래그로 표시하고,‘ㅘ’는 입력키 'ㅗ’와 입력키 ‘ㅏ' 를 동시에 터치하여 표시하거나 입력키 ‘ㅗ’와 입력키 ‘ㅏ’를 연결시키는 드래그로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ㅝ' is displayed by touching the input key 'ㅜ' and the input key 'ㅓ' at the same time or by dragging the input key 'ュ' and the input key 'ㅓ', and 'ㅘ' Display by touching input key 'a' at the same time or by dragging input key 'ㅗ' and input key 'a'
And a second input unit.
KR1020130038368A 2013-04-09 2013-04-09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KR1014266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368A KR101426655B1 (en) 2013-04-09 2013-04-09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368A KR101426655B1 (en) 2013-04-09 2013-04-09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655B1 true KR101426655B1 (en) 2014-08-06

Family

ID=5174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368A KR101426655B1 (en) 2013-04-09 2013-04-09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65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177B1 (en) * 2010-06-16 2011-04-18 김진수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KR20110043427A (en) * 2009-10-20 2011-04-27 경무수 Method of character arrangement for inputting consonent of korean alphabet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alphab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427A (en) * 2009-10-20 2011-04-27 경무수 Method of character arrangement for inputting consonent of korean alphabet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alphabet
KR101030177B1 (en) * 2010-06-16 2011-04-18 김진수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8654B1 (en) Touch screen operation method and terminal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CN101452354B (en) Input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ontent display method and use thereof
US9298275B2 (en) Hybrid keyboard for mobile device
US20180095547A1 (en) Input device for arabic letters
CN102073442A (en) Method for inputting instruction through touch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069391B2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touch screen
US9262075B1 (en) Thumb typing keyboard
KR20110080682A (en) Method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a touch screen
KR20100121218A (en)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KR101426655B1 (en)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US10101906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ata entering and displaying on touch screen display
US10416781B2 (en) Letter input method using touchscreen
KR201200041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touch-screen
KR101380502B1 (en) Device method to input korean character with drag in electrical appliances with touch screens
JP2012108810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device operation method
KR101016948B1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n-screen direction key
KR20050043541A (en) Fingertip touchscreen with five perceiving area and character inputting method using it
KR101612625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software korean/english/number keypad
KR1011522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acter input window using touchscreen
CN105607802B (e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RU2608148C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ata input and display on touch screen display
KR101373373B1 (en) Software keyboard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screen device
KR101550140B1 (en) The method to input character in touch screen
KR101423449B1 (en) The Keypad To Input Letters Or Symbols draging A Letter Button And Button In A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