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278B1 - Pallet Truck - Google Patents

Pallet Tru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278B1
KR101426278B1 KR1020120138908A KR20120138908A KR101426278B1 KR 101426278 B1 KR101426278 B1 KR 101426278B1 KR 1020120138908 A KR1020120138908 A KR 1020120138908A KR 20120138908 A KR20120138908 A KR 20120138908A KR 101426278 B1 KR101426278 B1 KR 10142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eight
adjusting
pallet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9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1038A (en
Inventor
이상원
황권태
이동우
조창래
문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278B1/en
Publication of KR2014007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0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1쌍의 포크를 이용하여 파렛트를 이송하는 파렛트 트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기 포크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피스톤부를 조절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llet truck for transporting a pallet by using a pair of forks mounted on a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the pallet comprising: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goggle; a height adjusting portion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at least one piston part positioned between the seat part and the height adjusting part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wherein the frame has an operation par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by adjusting the piston part .

Description

파렛트 트럭{Pallet Truck}Pallet Truck

본 발명은 파렛트 트럭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포크에 위치하는 높이조절부를 이용하여, 포크가 화물 하부면에 밀착되는 부분의 형태가 불규칙하여도 화물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파렛트 트럭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llet tru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llet truck capable of safely transporting a cargo even if the shape of the portion where the for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argo is irregular, .

일반적으로 파렛트는 화물의 운송, 하역 및 보관에 쓸 수 있는 깔판으로서, 일반적으로 형태가 정형화되어 있어, 화물의 규격화에 의한 하역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 화물을 일정한 규격의 크기가 되도록 파렛트 위에 정해진 치수로 쌓고 파렛트와 화물을 함께 묶어서 규격화한다.Generally, a pallet is a pallet that can be used for the transportation, unloading and storage of cargo. The pallet is generally shaped,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nloading by standardizing the cargo, the pallet is dimensioned The pallet and cargo are bundled together and standardized.

파렛트 트럭은 화물이 적재된 상기 파렛트의 저면을 들어 파렛트와 함께 화물을 소정의 장소로 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파렛트 트럭은 파렛트를 들어올리기 위한 포크와 상기 포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피스톤부를 포함하고 있다.A pallet truck is a device for moving the cargo to a predetermined place together with the pallet by lif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pallet on which the cargo is loaded. To this end, the pallet truck includes a fork for lifting the pallet and a pist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rk.

즉, 파렛트 트럭은 상기 포크를 파렛트에 천공되어 있는 홀에 삽입되거나, 파렛트의 저면에 밀착되어, 포크를 피스톤부를 이용하여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시켜, 화물을 소정의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pallet truck is inserted into the hole drilled in the pallet, o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allet, and the fork is lift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using the piston, thereby moving the cargo to a predetermined place.

그러나, 종래의 파렛트 트럭은 파렛트의 형태가 정형화 되어 있는 것만 운반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물품, 즉 하부면이 평면이 아니라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는 물품을 이송하는데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allet truck is capable of transporting only pallets of which the shape of the pallet is regula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eneral article, that is, the bottom surface is not suitable for transporting an article having irregular shape, not a flat surface.

한국공개특허 10-2010-013316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316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의 하부면이 불규칙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화물에 재적재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파렛트 트럭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llet truck which can be safely transported even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go is made irregularly,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1쌍의 포크를 이용하여 파렛트를 이송하는 파렛트 트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기 포크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피스톤부를 조절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llet truck for transporting a pallet using a pair of forks mounted on a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let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fork, And at least one piston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a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wherein the frame controls the piston port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operating portion for adjusting a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부면에 복수개의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on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피스톤부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면이 상기 포크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in a state in which the piston is not operated.

또한, 상기 피스톤부는 상부가 구형으로 제작되고, 상하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는 피스톤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ston unit may include a piston having an upper portion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moving up and down, and a piston fixing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또한, 상기 조작부는 각각의 상기 높이조절부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복수개의 높이스위치, 상기 근접센서를 작동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센서스위치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전체동작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ight switches capable of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s, a sensor switch for selecting whether to operate the proximity sensors, and a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entir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

본 발명에 의하면, 포크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높이조절부와 높이조절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피스톤부를 포함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의 하부면이 불규칙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화물을 재적재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lower surface of the cargo to be transported is formed in an irregular shape by including a plurality of height regulating por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and a plurality of piston portions located under the height regulating portion, It has an effect that it can be carried saf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트럭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트럭의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트럭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작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트럭 작동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llet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ed state of a pallet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allet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of a pallet truck ope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 트럭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allet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트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트럭의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llet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ed state of a pallet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렛트 트럭의 전체적인 형태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1 and 2, a general configuration and configuration of a pallet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파렛트 트럭(10)은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1쌍의 포크(100)를 이용하여 파렛트를 이송하는 장치이다.The pallet tru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transferring a pallet using a pair of forks (100) installed in a frame.

본 발명의 파렛트 트럭(10)은 크게 포크(100), 프레임(200), 조작부(300)를 포함한다.A pallet tru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fork (100), a frame (200), and an operation unit (300).

상기 포크(100)는 파렛트의 하부 또는 포크가 삽입되기 위한 파렛트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삽입되어 파렛트를 지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ork 100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llet or the pallet for inserting the fork, thereby separating the pallet from the ground in the upper direction.

상기 포크(100)는 복수개의 안착부(110), 복수개의 높이조절부(120), 및 복수개의 피스톤부(130)를 포함한다.The fork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110,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portions 120, and a plurality of piston portions 130.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포크(100)의 상부면에 하부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피스톤부(130)가 안착되며, 상기 피스톤부(130)의 상부에 높이조절부(120)가 위치한다.The seating part 11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100 so as to be downwardly recessed and the piston part 130 is mounted inside the seating part 110. The height adjusting part 120 ).

상기 안착부(110)는 하부면에 상기 피스톤부(130)가 안착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10 to seat the piston 130 thereon.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상기 안착부(110)에 안착되고,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상부면과 상기 포크(100)의 상부면이 상기 피스톤부(130)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adjusting part 120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110.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100 do not operate the piston part 130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근접센서(121)가 위치한다. 상기 근접센서(12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proximity sensor 121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er 120. The proximity sensor 121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상기 피스톤부(130)는 상기 안착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130)는 하나의 상기 높이조절부(1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ston part 130 is located inside the seating part 110 and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120. In addition, at least one height adjuster 120 may be provided to the piston 130. [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피스톤부(130)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에 한 개가 설치될 경우,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 중앙부에 상기 피스톤부(130)의 상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부(120)가 상승하여 물체를 지지할 경우 상기 피스톤부(130)의 상부면과 멀어질수록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휨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부(130)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when one piston unit 13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unit 130 is positioned at a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 The bending strength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120 decreases as the height adjusting part 120 moves up and awa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130 when the object is supported, And is located at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regulating portion 120.

상기 피스톤부(130)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피스톤부(130)가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부(12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piston portion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so that the height of the piston portion 130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piston portion 130 up and down. Can be moved up and down.

상기 피스톤부(130)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에 복수개가 설치될 경우,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이동하고자 하는 물체의 하부면이 평편하지 않은 상태여도 물체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부(130)는 상기 근접센서(121)에서 신호를 받아, 물체와 상기 높이조절부(130)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피스톤(131)의 유동거리를 조절한다. When a plurality of the piston units 130 ar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the angle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can be adjusted. Even if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moved is not flat It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and moved safely. At this time, the piston 1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proximity sensor 121 and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height adjuster 130 to adjust the flow distance of the piston 131.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피스톤부(130)를 조절하여,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121)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300 may adjust the height and angle of the height adjuster 120 by adjusting the piston 130. Also, the angle of the height adjuster 120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sensor 121.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pist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피스톤부(130)는 피스톤(131)과 피스톤고정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131)은 상부가 구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피스톤고정부(132)는 상기 피스톤(131)의 상부에 결합된다.The piston portion 130 includes a piston 131 and a piston fixing portion 132.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131 is spherical, and the piston fixing portion 13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131.

상기 피스톤고정부(132)는 상기 피스톤(131)의 상부가 삽입되기 위해서, 하부에 홈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고정부(132)와 상기 피스톤(131)의 연결 관계와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fixing portion 132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131 is inserte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iston fixing portion 132 and the piston 131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피스톤부(130)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에 한 개만 형성될 경우, 상술하였듯이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중심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근접센서(121)는 필수구성요소가 아니다.When only one piston unit 130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the piston unit 130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It is not an element.

상기 높이조절부(120)에 이동하고자 하는 물체의 하부면이 평편하지 않고,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더라고, 상기 피스톤(131)의 상부가 구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물체의 하중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각도가 조절되어, 물체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상기 물체가 하부로 더 돌출된 부분에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한쪽 모서리(편의상 제1 모서리부라고 명명한다.)에 먼저 닿게 되며, 상기 피스톤(131)이 상승함에 따라서, 제1 모서리부는 상승하지 않고 나머지 모서리부만 상기 물체의 하부면에 닿을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moved is not flat and has an irregular shap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131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i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120) is adjusted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hat is, the height adjuster 120 first touches one edge of the height adjuster 120 (referred to as a first corner for convenience) to the portion where the object further protrudes downward, and the piston 131 The first corner portion does not rise but only the remaining corner portion rises until it touches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작부(3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조작부(300)는 복수개의 높이스위치(310), 센서스위치(320), 및 선택스위치(330)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height switches 310, a sensor switch 320, and a selection switch 330.

상기 높이스위치(310)는 상기 높이조절부(120)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개수와 상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120)가 10개가 상기 포크(100)에 위치할 경우, 상기 높이스위치(310) 또한 10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switch 310 may adjust the height adjuster 120 and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height adjusters 120.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en height adjusting portions 120 are located on the fork 100, ten height switches 310 are also formed.

상기 높이스위치(310)를 작동하면, 상기 높이스위치(310)와 대응되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피스톤(131)이 작동하여 상기 높이조절부(12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height switch 310 is operated, the piston 131 located below the height adjuster 120 corresponding to the height switch 310 operates to move the height adjuster 120 up and down do.

상기 피스톤(130)이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면에 복수개가 위치할 경우, 상기 피스톤(131)은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상기 근접센서(121)의 신호를 받아, 각각의 피스톤(131)이 적절한 높이까지 상승하게 된다.When the piston 13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the piston 13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of the proximity sensor 121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And each of the pistons 131 is raised to a proper height.

이때, 상기 근접센서(121)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상부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proximity sensors 12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er 120.

좀 더 상세하게는, 각각의 근접센서(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피스톤부(130)가 위치하고, 상기 근접센서(121)에서 받는 신호를 상기 조작부(300)에서 감지하여, 물체의 하부면에 밀착될 경우, 상기 피스톤(131)이 멈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상부면에 이동하고자 하는 물체의 하부면에 밀착될 경우, 상기 피스톤(120)이 멈추게 되고, 피스톤(131)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each piston unit 13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proximity sensor 121, and a signal received from the proximity sensor 121 is sensed by the operation unit 300, The piston 131 is stopped. Therefore,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er 120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moved, the piston 120 is stopped, and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er 1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istons 131. [ The angle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상기 센서스위치(320)는 근접센서(121)의 작동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동하고자 하는 물체의 하부면이 평편하거나 작업자가 판단하여 근접센서(121)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센서스위치(320)를 작동시켜 상기 근접센서(121)를 작동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The sensor switch 320 can select whether to operate the proximity sensor 12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moved is flat or the operator does not need the proximity sensor 121, The switch 320 can be operated to operate the proximity sensor 121 without operating it.

상기 선택스위치(330)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전체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스위치(330)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높이조절부(120)가 동시에 작동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각각의 높이조절부(120)마다 하나의 높이스위치(310)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높이스위치(310)를 작동시킬 경우, 높이스위치(310)와 대응되는 높이조절부(12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지만, 상기 선택스위치(330)를 작동시킬 경우, 상기 높이스위치(310) 중 하나를 작동시키면, 모든 높이조절부(12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선택스위치(330)는 이동하고자 하는 물체의 하부가 평편할 경우 작동시켜,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The selection switch 330 may select the entir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er 120. When the selection switch 330 is operated,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is simultaneously operated. More specifically, the height adjuster 120 has one height switch 310 for each height adjuster 120. When each height switch 310 is operated, the height switch 310 When one of the height switches 310 is operated, all the height adjusting portions 120 are raised or lowered when the selecting switch 330 is operated. However, when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is raised or lowered, . The selection switch 330 is operated when the lower part of the object to be moved is flat,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120.

도 2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에 피스톤부(130)가 4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화한 것으로서, 상기 높이조절부(120) 하부면의 모서리 부근에 상기 피스톤부(130)의 상부가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부(130)는 상기 피스톤(131)과 피스톤고정부(132)를 포함하여, 상기 피스톤(131)의 상부가 구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피스톤고정부(132)의 하부면에 피스톤(131)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각도를 이동하고자 하는 물체의 하부면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2 shows a state in which four piston portions 130 ar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includes a low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Respectively. The piston part 130 includes the piston 131 and the piston fixing part 132. The upper part of the piston 131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the piston 131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iston fixing part 132. [ So that the angle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120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moved.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130)와 높이조절부(120)가 작동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operation of the piston portion 130 and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피스톤부(130)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근접센서(121)는 상기 피스톤부(130)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부(13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근접센서(121)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the piston parts 130 ar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120 and the proximity sensor 121 formed on the height adjusting part 120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he piston parts 130 And the proximity sensor 12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130. [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피스톤부(130) 중 하나의 피스톤(131)만 상승하면 나머지 피스톤(131)은 상승하지 않고,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상승한 피스톤(131)은 높게 되고, 상승하지 않은 피스톤(131)은 상대적으로 낮게 되어, 경사진 모습을 가지게 된다. 이에, 상기 근접센서(121)를 이용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물체의 하부면과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상부면의 거리 또는 근접도를 측정하여, 각각의 피스톤(131)이 상이하게 작동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물체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된다.When the piston 131 of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piston portions 13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is lifted, the remaining piston 131 does not rise, and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moves upward 131 are higher, and the piston 131 which has not been raised is relatively lowered to have a tilted shape. The distance or proximity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mov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is measured using the proximity sensor 121 so that the respective pistons 131 operate differently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moved.

상기 근접센서(12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체사이의 근접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장착할 수도 있고,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물체의 접촉여부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근접센서(121)를 압전소자로 이용할 경우, 이동하고자하는 물체의 하부면이 상기 압전소자에 밀착되어 일정하중 이상을 가할 경우 상기 압전소자와 대응되는 피스톤(131)은 상승하지 않게 작동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121 may be equipped with a sensor for measuring the proximity between the generally used objects, or may measure the contact of the object us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In this case, when the proximity sensor 121 is used as a piezoelectric element,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object to be move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exerts a certain load or more, the piston 131 corresponding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does not rise can do.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포크(100)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높이조절부(120)와 높이조절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피스톤부(130)를 포함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의 하부면이 불규칙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화물을 재적재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portions 120 and a plurality of piston portions 130 positioned below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12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100, Even i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go is made irregularly, the cargo can be safely transported without reloading.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 : 파렛트 트럭
100 : 포크
110 : 안착부 120 : 높이조절부
121 : 근접센서 130 : 피스톤부
131 : 피스톤 132 : 피스톤고정부
140 : 바퀴
200 : 프레임
300 : 조절부 310 : 높이조절스위치
320 : 센서스위치
330 : 선택스위치
10: Pallet truck
100: Fork
110: seat part 120: height adjustment part
121: Proximity sensor 130: Piston part
131: piston 132: piston fixing portion
140: Wheel
200: frame
300: adjusting part 310: height adjusting switch
320: Sensor switch
330: Select switch

Claims (5)

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1쌍의 포크를 이용하여 파렛트를 이송하는 파렛트 트럭에 있어서,
상기 포크는
상기 포크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스톤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피스톤부를 조절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부는
상부가 구형으로 제작되고 상하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결합되는 피스톤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트럭.
1. A pallet truck for transporting a pallet using a pair of forks which are installed in a frame and can be elevated,
The fork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ork;
A height adjuster tha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At least one piston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a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Lt; / RTI >
The frame
And an operation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by adjusting the piston unit on the upper part,
The piston
A piston having an upper portion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moving up and down, and
And a piston fixing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부면에 복수개의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트럭.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adjuster includes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피스톤부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면이 상기 포크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트럭.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regulating portion is such that the upper surface is located i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in a state in which the piston is not operated.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각각의 상기 높이조절부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복수개의 높이스위치;
상기 근접센서를 작동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센서스위치;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전체동작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트럭.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ng portion
A plurality of height switches capable of individually adjusting each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s;
A sensor switch capable of selecting whether to operate the proximity sensor; And
And a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entir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er.
KR1020120138908A 2012-12-03 2012-12-03 Pallet Truck KR101426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908A KR101426278B1 (en) 2012-12-03 2012-12-03 Pallet Tr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908A KR101426278B1 (en) 2012-12-03 2012-12-03 Pallet Tru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038A KR20140071038A (en) 2014-06-11
KR101426278B1 true KR101426278B1 (en) 2014-08-05

Family

ID=5112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908A KR101426278B1 (en) 2012-12-03 2012-12-03 Pallet Tru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27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9590A1 (en) * 2003-11-25 2005-05-26 Chi-Hung Shen Reconfigurable magnetic fixturing pallets for an assembly line
KR20100133161A (en) * 2009-06-11 2010-12-21 수성정밀기계(주) Apparatus for palate moving for construction of ha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9590A1 (en) * 2003-11-25 2005-05-26 Chi-Hung Shen Reconfigurable magnetic fixturing pallets for an assembly line
KR20100133161A (en) * 2009-06-11 2010-12-21 수성정밀기계(주) Apparatus for palate moving for construction of h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038A (en)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2363B2 (en) Automatic warehouse
US9139408B2 (en) Industrial truck,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an industrial truck
EP3581540B1 (en) Multi-position load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EP3309112B1 (en) Forklift truck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858795B2 (en) Pallet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KR101426278B1 (en) Pallet Truck
JP2006160506A (en) Article installation state detection sensor and article carrying device
JP4873262B2 (en) Stacker crane
KR102299046B1 (en) Fork Camera Mounting Structure of Forklift
JP7024249B2 (en) Automated warehouse system
JP4038807B2 (en) Stacker crane
KR20140140156A (en) Lifting Apparatus for Ship
EP2269926B1 (en) Unload system
JPH09278397A (en) Stable housing device to multistage shelf in automated forklift truck
JP6167923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JP7456266B2 (en) Automatic warehouse
JP6673305B2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KR20230120473A (en) Fork-type freight transport robot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CN117049086A (e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trays on a bottom shuttle
JP2006327729A (en) Transferring equipment
JP6052198B2 (en) Support
JP4698216B2 (en) forklift
KR20160049156A (en) Lifting device
JP5482213B2 (en) Transport vehicle
JP2021178693A (en) Forklift with 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