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822B1 -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커버리지 분석 서버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커버리지 분석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822B1
KR101425822B1 KR1020080043492A KR20080043492A KR101425822B1 KR 101425822 B1 KR101425822 B1 KR 101425822B1 KR 1020080043492 A KR1020080043492 A KR 1020080043492A KR 20080043492 A KR20080043492 A KR 20080043492A KR 101425822 B1 KR101425822 B1 KR 10142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measurement
coverage
point
simul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444A (ko
Inventor
허영덕
이용희
박상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82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2Traffic simulation tools or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필드 실측 단말에서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커버리지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에서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실측 정보를 반영할 수 있고, 이면 도로나 주택가 등 데이터를 실제로 측정하기 어려운 지점도 고려한 폴리곤 맵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 중계기, 커버리지, 분석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커버리지 분석 서버{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coverage of sector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verage analyzing server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드 실측 단말에 의해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며,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공간 전파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이동통신 가입자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불특정 지역을 이동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기지국과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와 이러한 기지국 제어기 및 다른 통신망과 연동하여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면서 이동통 신 시스템의 호 처리 및 데이터 교환에 따른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하며, 이러한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중계기는 해당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섹터별 커버리지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방법, 필드 실측을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이때,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방법은 각각의 기지국, 중계기 정보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섹터별 서비스 커버리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필드 실측을 이용한 방법은 필드의 실제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섹터별 서비스 커버리지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방법은 실측 정보를 반영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필드 실측을 이용한 방법은 측정상의 한계로 이면 도로 등에서는 데이터를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므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방법과 필드 실측을 이용한 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커버리지 분석 서버로 제공하는 필드 실측 단말,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필드 실측 단말로부터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며,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커버리지 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드 실측 단말에서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커버리지 분석 서버로 전송하고, 커버리지 분석 서버에서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며 상기 전송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함으로써, 실측 정보를 반영할 수 있고, 이면 도로나 주택가 등 데이터를 실제로 측정하기 어려운 지점도 고려한 폴리곤 맵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처리부, 필드 실측 단말에 의해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필드 실측 처리부 및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폴리곤 맵 제작부를 포함하는 커버리지 분석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를 분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커버리지 분석 서버로 제공하는 필드 실측 단말,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필드 실측 단말로부터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며,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커버리지 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는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드 실측 단말은 진단 모니터를 이용하여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측정하여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검색 거리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360도 방향으로 기 설정 단위 마다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가 가장 가까운 거리의 빈과 가장 먼 거리의 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가장 가까운 지점을 -로 설정하고 가장 먼 지점을 +로 설정하며, 상기 점들과 +점들을 기 설정 조건에 따라 연결하여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와 위치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각선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필드 실측 단말에서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커버리지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에서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에서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필드 실측 단말이 진단 모니터를 이용하여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측정하여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검색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360도 방향으로 기 설정 단위 마다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가 가장 가까운 거리의 빈과 가장 먼 거리의 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가장 가까운 지점을 -로 설정하고, 가장 먼 지점을 +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점들과 +점들을 기 설정 조건에 따라 연결하여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와 위치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각선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를 분석하기 위한 커버리지 분석 서버로서,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처리부, 필드 실측 단말에 의해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필드 실측 처리부 및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폴리곤 맵 제작부를 포함하는 커버리지 분석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시뮬레이션 처리부는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드 측정 데이터는 진단 모니터를 이용하여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해 측정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곤 맵 제작부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검색 거리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360도 방향으로 기 설정 단위 마다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가 가장 가까운 거리의 빈과 가장 먼 거리의 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가장 가까운 지점을 -로 설정하고, 가장 먼 지점을 +로 설정하며, 상기 점들과 +점들을 기 설정 조건에 따라 연결하여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데이터를 수신하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폴리곤 맵 제작부는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와 위치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각선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커버리지 분석 서버에서 이동통신망의 섹터별 커버리지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필드 실측 단말에 의해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필드 실측 단말이 진단 모니터를 이용하여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측정하여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검색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360도 방향으로 기 설정 단위 마다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가 가장 가까운 거리의 빈과 가장 먼 거리의 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가장 가까운 지점을 -로 설정하고, 가장 먼 지점을 +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점들과 +점들을 기 설정 조건에 따라 연결하여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와 위치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각선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커버리지 분석 서버로 제공하는 필드 실측 단말,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필드 실측 단말로부터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 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며,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커버리지 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드 실측 단말에서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커버리지 분석 서버로 전송하고, 커버리지 분석 서버에서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며 상기 전송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함으로써, 실측 정보를 반영할 수 있고, 이면 도로나 주택가 등 데이터를 실제로 측정하기 어려운 지점도 고려한 폴리곤 맵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처리부, 필드 실측 단말에 의해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필드 실측 처리부 및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폴리곤 맵 제작부를 포함하는 커버리지 분석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102, 104, 106, 108), 기지국 제어기(110), 교환기(112), 데이터 서비스 노드(114) 및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102, 104, 106, 108)은 무선 신호를 통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등과 같은 이동통신망과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10)는 일반적으로 무선 채널 관리,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의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처리, 핵심망(Core Network)과의 프로토콜 정합, 데이터 서비스 노드(114)와의 접속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교환기(112)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110) 및 다른 통신망과 연동하여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면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및 데이터 교환에 따른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는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 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필드 실측 단말로부터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한다.
이때,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는 빈(bin)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때, 빈은 공간을 일정한 크기로 나눈 단위의 일종이다.
또한,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검색 거리를 설정하고, 기준점을 중심으로 360도 방향으로 기 설정 단위 마다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가 가장 가까운 거리의 빈과 가장 먼 거리의 빈을 추출하고, 추출된 가장 가까운 지점을 -로 설정하고 가장 먼 지점을 +로 설정하며, 점들과 +점들을 기 설정 조건에 따라 연결하여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된 위치 기반 데이터를 참조하여 다각선의 폐곡선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드 실측 단말은 진단 모니터를 이용하여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측정하여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는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때,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는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는 필드 실측 단말에 의해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필드 실측 단말은 진단 모니터를 이용하여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측정하여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는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한다.
그 후,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한다.
이때,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검색 거리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360도 방향으로 기 설정 단위 마다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가 가장 가까운 거리의 빈과 가장 먼 거리의 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가장 가까운 지점을 -로 설정하고, 가장 먼 지점을 +로 설정하며, 상기 점들과 +점들을 기 설정 조건에 따라 연결하여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리지 분석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 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곤 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버리지 분석 서버(200)는 시뮬레이션 처리부(202), 필드 실측 처리부(204), LBS(Location Based Service) 처리부(206), 폴리곤 맵 제작부(208) 및 데이터베이스(210)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210)는 시뮬레이션 결과 정보 저장 영역(212), 필드 실측 정보 저장 영역(214), LBS 정보 저장 영역(216)을 포함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처리부(202)는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 중계기 정보는 높이, 방향, 수신 각도, 출력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시뮬레이션 처리부(202)는 상기 기지국, 중계기 정보를 이용하여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인 Best PN 즉, 각각의 지점에서 가장 강한 수신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필드 실측 처리부(204)는 필드 실측 단말에 의해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필드 측정 데이터는 진단 모니터를 이용하여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해 측정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인 Best PN이다.
한편, 상기 필드 실측 단말은 차량에 탑재되어 도로 위주의 품질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LBS(Location Based Service) 처리부(206)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폴리곤 맵 제작부(208)는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위치 기반 데이터를 참조하여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한다.
이때, 상기 폴리곤 맵 제작부(208)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검색 거리를 설정하고, 기준점을 중심으로 360도 방향으로 기 설정 단위 마다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가 가장 가까운 거리의 빈과 가장 먼 거리의 빈을 추출하고, 추출된 가장 가까운 지점을 -로 설정하고, 가장 먼 지점을 +로 설정하며, 점들과 +점들을 기 설정 조건에 따라 연결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각형의 폐곡선인 폴리곤 맵을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곤 맵 제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리지 분석 서버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한다(S102).
그 후,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검색 거리(예를 들어, 5km)를 설정한다(S104).
그 후,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360도 방향으로 기 설정 단위(예를 들어, 1도 단위) 마다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인 Best PN이 가장 가까운 거리의 빈과 가장 먼 거리의 빈을 추출한다(S106).
그 후,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는 상기 추출된 가장 가까운 지점을 -로 설정하고, 가장 먼 지점을 +로 설정한다(S108).
그 후, 상기 커버리지 분석 서버는 점들과 +점들을 기 설정 조건에 따라 연결하여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한다(S110). 예를 들어, 커버리지 분석 서버는 가장 가까운 지점들인 점들은 오른쪽 끝에서 왼쪽으로 연결하고, 가장 먼 지점들인 +점들은 왼쪽 끝에서 오른쪽으로 연결하며, -점의 연결선은 +점의 왼쪽 끝점과 연결하고, +점의 연결선은 점의 오른쪽 끝점과 연결하여 전체를 연결하는 폐곡선을 완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등과 같이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리지 분석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곤 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곤 맵 제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기지국 110 : 기지국 제어기
112 : 교환기 200 : 커버리지 분석 서버
202 : 시뮬레이션 처리부 204 : 필드 실측 처리부
206 : LBS 처리부 208 : 폴리곤 맵 제작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를 분석하기 위한 커버리지 분석 서버로서,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 처리부;
    필드 실측 단말에 의해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필드 실측 처리부; 및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폴리곤 맵 제작부;
    를 포함하는 커버리지 분석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처리부는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분석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측정 데이터는 진단 모니터를 이용하여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해 측정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분석 서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곤 맵 제작부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검색 거리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360도 방향으로 기 설정 단위 마다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가 가장 가까운 거리의 빈과 가장 먼 거리의 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가장 가까운 지점을 -로 설정하고, 가장 먼 지점을 +로 설정하며, 상기 +점들을 기 설정 조건에 따라 연결하여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분석 서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데이터를 수신하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폴리곤 맵 제작부는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와 위치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각선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리지 분석 서버.
  16. 커버리지 분석 서버에서 이동통신망의 섹터별 커버리지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필드 실측 단말에 의해 수집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기지국, 중계기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지국,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필드 실측 단말이 진단 모니터를 이용하여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측정하여 필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빈 단위의 특정 지점 각각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검색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360도 방향으로 기 설정 단위 마다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가 가장 가까운 거리의 빈과 가장 먼 거리의 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가장 가까운 지점을 -로 설정하고, 가장 먼 지점을 +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점들을 기 설정 조건에 따라 연결하여 다각형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가장 강한 PN(Pseudo Noise)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수신된 필드 측정 데이터와 위치 기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각선의 폐곡선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방법.
KR1020080043492A 2008-05-09 2008-05-09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커버리지 분석 서버 KR10142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492A KR101425822B1 (ko) 2008-05-09 2008-05-09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커버리지 분석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492A KR101425822B1 (ko) 2008-05-09 2008-05-09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커버리지 분석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444A KR20090117444A (ko) 2009-11-12
KR101425822B1 true KR101425822B1 (ko) 2014-08-04

Family

ID=4160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492A KR101425822B1 (ko) 2008-05-09 2008-05-09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커버리지 분석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0676B2 (en) 2017-09-27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processing-based network desig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441B1 (ko) 2012-09-18 2018-07-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 커버리지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960957B1 (ko) 2012-10-30 2019-03-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 커버리지 결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904B1 (ko) * 2005-07-28 2007-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필드 데이터를 이용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070079107A (ko) * 2006-02-01 2007-08-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망 서비스 커버리지 예측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904B1 (ko) * 2005-07-28 2007-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필드 데이터를 이용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070079107A (ko) * 2006-02-01 2007-08-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망 서비스 커버리지 예측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0676B2 (en) 2017-09-27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processing-based network desig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444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5744B1 (en) Using information on neighbor cells of other network types and/or other operators for mobile terminal positioning
US89719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of terminal located in indoor using wireless network
AU2011246184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switching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EP1719360B1 (en) Selective termination of wireless connections to refresh signal information in wireless node location infrastructure
KR100645355B1 (ko) 파일롯 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측위방법 및 시스템
EP130489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for enabling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EP0800319A1 (en) Locating method for mobile radio systems
EP38903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equipment histor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572127B2 (en) Method and device using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for positioning mobile station
CN100539757C (zh) 确定移动终端设备和基站间信号时间的方法、设备及基站
CN103476112B (zh) 一种移动终端定位方法和基站
KR20010050257A (ko)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커버리지 판정 방법
CN103781155A (zh) 移动终端及其搜网方法
WO2008022575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améliorer le positionnement d&#39;équipement d&#39;utilisateur
CN113965874B (zh) 一种波束赋形信号发送方法及基站设备
JP2010057178A (ja) モバイル無線サブスクライバの探索方法及び装置
US7295846B2 (en) Method for localizing a mobile terminal in an area under radio coverage of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and of a localization point,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server and localization point
KR101425822B1 (ko) 이동통신망에서 섹터별 커버리지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커버리지 분석 서버
US20140112178A1 (en) Method, node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 mobile network
US20060240829A1 (en) Discovery of neighbour cell beacon frequencies in mobile networks
KR100748948B1 (ko) 광대역 씨디엠에이 네트워크 기반의 측위방법
EP2320684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0894633B1 (ko) 측위를 위한 지에스엠 패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지에스엠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기지국 정보 생성방법 및 측위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CN112203214A (zh) 终端设备的定位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11385817A (zh) 邻区上报方法、装置、e-smlc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