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786B1 -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786B1
KR101425786B1 KR1020120063448A KR20120063448A KR101425786B1 KR 101425786 B1 KR101425786 B1 KR 101425786B1 KR 1020120063448 A KR1020120063448 A KR 1020120063448A KR 20120063448 A KR20120063448 A KR 20120063448A KR 101425786 B1 KR101425786 B1 KR 101425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reinforcing
grounded
binder
glas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0250A (ko
Inventor
이필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Priority to KR102012006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786B1/ko
Publication of KR2013014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단열재는, 반원 또는 엘보형상으로 제조되는 단열체가 배관체를 수용하도록 상호 접지되는 부위와 원형의 단열체의 단부가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부위에서 발생되는 틈새를 밀폐하는 보강체로 하여금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배관체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1단열체의 내, 외주연에 제1, 2보강층이 형성되어 별도의 보강작업없이 제1, 2인입부로 하여금 제1단열체에 발생되는 틈새를 밀폐하면서도 제1단열체와 더불어 배관체를 2중으로 단열하여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배관체를 계속적으로 수용하는 다수의 제2단열체의 내, 외주연에 제3, 4보강층이 형성되어 별도의 보강작업없이 제2단열체가 계속적으로 연결됨으로서 발생되는 틈새를 1차적으로 밀폐하고 제1, 2마찰부로 하여금 제2단열체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에 2차적으로 밀폐하여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The insulation for Reinforcing and manufacture of insulation for Reinforcing}
본 발명은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원 또는 엘보형상으로 제조되는 단열체가 배관체를 수용하도록 상호 접지되는 부위와 원형의 단열체의 단부가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틈새를 밀폐하여 주어 단열의 효율을 향상시켜주는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 및 석유 화학 플랜트의 냉ㆍ난방설비, 산업용기기의 냉ㆍ난방설비, 각종 제조장치의 냉ㆍ난방설비, 공조기기의 냉ㆍ난방설비에 설비되는 배관체에는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재질의 보온재 또는 보냉재(이하 '단열재'라 한다)가 설치되어 배관체를 통한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생산원가 절감을 달성하고 있다.
상기 단열재는 단열성이 우수한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발전소 등의 산업시설에 설치된 배관체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단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는 내열성이 강해 불에 타지 않으며 흡수성과 흡습성이 적어서 화학적 내구성이 강하고, 인장강도 및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단열재는 유리섬유매트가 다층으로 권취되어 형성되며, 각 유리섬유매트는 그 표면에 도포된 바인더에 의해 상호 접착됨으로써 하나의 단열재로 생산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열재는 단열하고자 하는 배관체에 형태에 맞게 원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배관체의 직경이 큰 경우나 배관체가 타원과 같은 완벽한 원형이 아닐때 에는 단열재를 반원 또는 엘보 형상으로 제조한 후에 배관체의 외측에 시공하여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반원 또는 엘보 형상의 단열재를 배관체에 시공할 때에는 단열재가 상호 접지되는 부위는 완벽히 밀폐되지 못해 단열재로서의 보온, 보냉의 기능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왔다.
그리고 원형으로 이루어진 단열재의 경우에도 길이가 긴 배관체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단열재를 계속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연결하는 부위 또한 완벽히 밀폐되지 못하여 상기와 같이 단열재로서의 보온, 보냉의 기능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왔다.
그래서 배관체에 시공되기 위한 여러 가지 조건에서도 단열재의 보온, 보냉의 기능이 유지되어 보온단열용으로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원 또는 엘보형상으로 제조되는 단열체가 배관체를 수용하도록 상호 접지되는 부위와 원형의 단열체의 단부가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되는 부위에서 발생되는 틈새를 밀폐하는 보강체로 하여금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용 단열재는, 단열을 요하는 배관체를 단열하는 단열재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가 반원 및 엘보형태로 이루어져 단부가 각각 접지되어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는 제1단열체; 상기 다수의 제1단열체가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기 위해 접지되는 외주연 부위에 원호상으로 수용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단열체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 사이에 인입되어 밀폐하는 제1인입부가 형성되는 제1보강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단열을 요하는 배관체를 단열하는 단열재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가 반원 및 엘보 형태로 이루어져 단부가 각각 접지되어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는 제1단열체; 상기 다수의 제1단열체가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기 위해 접지되는 내주연 부위에 원호상으로 수용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단열체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 사이에 인입되어 밀폐하는 제2인입부가 형성되는 제2보강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단열을 요하는 배관체를 단열하는 단열재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가 원의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의 단부가 계속적 접지되어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는 제2단열체; 상기 다수의 제2단열체가 배관체의 외측을 계속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제2단열체의 단부가 각각 계속적으로 접지되는 부위의 외주연을 일부 수용하여 밀폐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체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에 각각 마찰되어 밀폐하도록 링 형상의 제1마찰부가 형성되는 제3보강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단열을 요하는 배관체를 단열하는 단열재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가 원의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의 단부가 계속적 접지되어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는 제2단열체; 상기 다수의 제2단열체가 배관체의 외측을 계속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제2단열체의 단부가 각각 계속적으로 접지되는 부위의 내주연에 일부 수용되어 밀폐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체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에 각각 마찰되어 밀폐하도록 링 형상의 제2마찰부가 형성되는 제4보강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강체, 제2보강체, 제3보강체, 제4보강체의 재질은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가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을 이용한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를 제1단열체의 형태로 제조하는 제1단열체제조단계;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를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 제1보강체 또는 제2보강체의 형태와 동일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내부온도가 60 ~ 80℃로 유지되는 금형에 상기 제1혼합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인입시켜 제1, 2보강체의 형태로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 상기 제1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실온에서 냉각한 후 제1단열체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다수의 제1단열체로 하여금 배관체를 수용하도록 제1단열체의 단부를 각각 접지시킬 때 제1보강체 또는 제2보강체에 형성된 제1, 2인입부로 하여금 접지되는 부위에 인입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제1단열체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 제1보강체 또는 제2보강체가 원호상으로 접지하는 제1연결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을 이용한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를 제2단열체의 형태로 제조하는 제2단열체제조단;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를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 제3보강체 또는 제4보강체의 형태와 동일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내부온도가 60 ~ 80℃로 유지되는 금형에 상기 제2혼합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인입시켜 제3, 4보강체의 형태로 성형하는 제2성형단; 상기 제2성형단계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실온에서 냉각한 후 제2단열체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다수의 제2단열체로 하여금 배관체를 수용하도록 제2단열체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계속적 접지시킬 때 제3보강체 또는 제4보강체로 하여금 제2단열체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의 외주연 또는 내주연을 일부 밀폐함과 동시에 제3보강체 또는 제4보강체에 형성된 제1, 2마찰부로 하여금 제2단열체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을 밀폐하는 제2연결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배관체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1단열체의 내, 외주연에 제1, 2보강층이 형성되어 별도의 보강작업없이 제1, 2인입부로 하여금 제1단열체에 발생되는 틈새를 밀폐하면서도 제1단열체와 더불어 배관체를 2중으로 단열하여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체를 계속적으로 수용하는 다수의 제2단열체의 내, 외주연에 제3, 4보강층이 형성되어 별도의 보강작업없이 제2단열체가 계속적으로 연결됨으로서 발생되는 틈새를 1차적으로 밀폐하고 제1, 2마찰부로 하여금 제2단열체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에 2차적으로 밀폐하여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 3, 4보강체를 단열체와 동일한 재질은 바인더가 침지된 유리섬유매트로 제조함으로서 유리섬유매트가 가지는 높은 단열성능이 구비되며 제1, 2, 3, 4보강체가 제1, 2단열체의 틈새에 용이하게 인입되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2, 3, 4보강체를 이루는 유리섬유매트와 바인더가 본 발명에 따른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유리섬유매트의 단열능력을 유지하면서도 바인더로 하여금 유리섬유매트 간의 접착이 쉽게 이루어져 생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a), (b)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2보강체가 제1단열체에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b)는 도 1(a), (b)의 A-A'부와 B-B'부의 바람직한 단면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보강체가 제1단열체에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보강체가 제1단열체에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a), (b)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4보강체가 제2단열체에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b)는 도 5(a), (b)의 A-A'부와 B-B'부의 바람직한 단면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3보강체가 제2단열체에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4보강체가 제2단열체에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제조방법에 의하여 보강용 단열재가 제조됨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제조방법에 의하여 보강용 단열재가 제조됨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b)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2보강체가 제1단열체에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 (b)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4보강체가 제2단열체에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발전 및 석유 화학 플랜트의 냉ㆍ난방설비, 산업용기기의 냉ㆍ난방설비, 각종 제조장치의 냉ㆍ난방설비, 공조기기의 냉ㆍ난방설비와 같은 단열을 요하는 배관체의 외측에 시공되어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하여 단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는 배관체에 형태에 맞게 원형으로 제조하여 배관체에 바로 시공될 수도 있고 반원 또는 엘보 형상으로 제조한 후에 배관체의 외측에 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용 단열재는 배관체의 외측에 단열재를 시공할 때 발생되는 공간을 밀폐하여 단열재의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관체를 수용하는 단열체와 상기 단열체가 배관체를 수용할 때 발생되는 공간을 밀폐하는 보강체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단열체는 반원 또는 엘보 형상과 원의 형상으로 각각 구분되는 제1, 2단열체(10, 40)로 구성되어진다.
도 1,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열체(10)는 다층으로 적층되는 유리섬유매트로 이루어진 층에 바인더가 침지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각각 단면이 반원 및 엘보 형태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반원 및 엘보 형태로 형성된 제1단열체(10)로 하여금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단열체(10)의 단부를 각각 접지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관체를 수용하는 제1단열체(10)는 그 단부가 각각 접지된다 하더라도 접지되는 단부에 각각 미세하게 이격되는 틈새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이격되는 틈새로 열교환이 발생될 수 있어 이를 밀폐하는 제1, 2보강체(20, 3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보강체(20)는 다수의 제1단열체(10)가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기 위해 제1단열체(10)의 단부가 접지되는 외주연 부위를 원호상으로 수용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단열체(10)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 사이에 인입되어 밀폐하는 제1인입부(2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보강체(30)는 다수의 제1단열체(10)가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기 위해 제1단열체(10)의 단부가 접지되는 내주연 부위를 원호상으로 수용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단열체(10)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 사이에 인입되어 밀폐하는 제2인입부(3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2보강체(20, 30)는 제1단열체(10)의 외주연 및 내주연에 각각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제1, 2보강체(20, 30)로 하여금 배관체를 수용하는 제1단열체(10)의 외주연 또는 내주연에서 제1단열체(10)가 배관체를 수용할 때 발생되는 틈새를 밀폐함으로서 제1단열체(10)와 더불어 배관체를 2중으로 단열하여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열체(40)는 제1단열체(10)와 동일하게 다층으로 적층되는 유리섬유매트로 이루어진 층에 바인더가 침지되어 이루어지며 다만 그 형태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단열체(10)와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원의 형태로 형성된 제2단열체(40)로 하여금 배관체의 외측을 계속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단부를 계속적 접지시킴으로서 배관체를 수용하여 단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관체의 길이방향에 따라 계속적으로 수용하는 제2단열체(40)는 길이방향의 단부가 각각 접지된다 하더라도 접지되는 단부에 각각 미세하게 이격되는 틈새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이격되는 틈새로 열교환이 발생될 수 있어 이러한 틈새를 밀폐하는 제3, 4보강체(50, 60)가 구성된다.
상기 제3보강체(50)는 다수의 제2단열체(40)가 배관체의 외측을 계속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계속적으로 접지되는 부위의 외주연을 일부 수용하여 밀폐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에 각각 마찰되어 밀폐하도록 링 형상의 제1마찰부(5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4보강체(60)는 다수의 제2단열체(40)가 배관체의 외측을 계속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계속적으로 접지되는 부위의 내주연에 일부 수용되어 밀폐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에 각각 마찰되어 밀폐하도록 링 형상의 제2마찰부(6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3, 4보강체(50, 60)는 제2단열체(40)의 외주연 및 내주연에 각각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구분되며, 상기 제3, 4보강체(50, 60)로 하여금 배관체를 수용하는 제2단열체(40)가 계속적으로 연결되는 부위를 1차적으로 밀폐하고 제3, 4보강체(50, 60)에 형성된 제1, 2마찰부(51, 61)로 하여금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에 2차적으로 밀폐하여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보강체(20), 제2보강체(30), 제3보강체(50), 제4보강체(60)의 재질은 길이가 5 ~ 10mm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가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토나이트 용액은 바인더의 주성분이 되며 벤토나이트가 가지는 특유의 팽창성에 의해 벤토나이트가 포함된 바인더는 겔화가 되어 물을 방수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제1보강체(20), 제2보강체(30), 제3보강체(50), 제4보강체(60)의 방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난연제는 바인더를 이루는 원재료들 중 기체상에서 연소될 수 있는 물질들의 농도를 희석시켜 주게 되고 또 연소물질의 연소시에는 연기의 방출량을 현저히 감소시켜 주게 되므로 바인더가 고열에도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착제는 바인더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유리섬유매트와의 접착을 도모하게 된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접착제와 더불어 바인더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에 의해 바인더의 접착력 및 점성을 유리시켜 주는 역활을 한다.
상기 불소발수제는 바인더의 발수성능을 부여시켜 바인더가 단열재에 포함될 경우 단열재가 눈, 비에 누출되거나 또는 외부와의 온도차이로 응결수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한 발수가 이루어져 상시 높은 단열성능을 유지할 수가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리섬유매트와 바인더의 중량비율을 8 ~ 9 : 1 ~ 2로 한정하는 것은 이의 범위를 벗어나면 유리섬유매트의 비율이 떨어져 제1보강체(20), 제2보강체(30), 제3보강체(50), 제4보강체(60)의 단열능력이 저하되며 또한 바인더로 하여금 유리섬유매트 간의 접착을 도모할 수 없게 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제1단열체(10)와 제1보강체(20) 또는 제2보강체(30)로 이루어지는 제1제조방법과, 제2단열체(40)와 제3보강체(50) 또는 제4보강체(60)로 이루어지는 제2제조방법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제조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열체제조단계(S110), 제1혼합단계(S120), 제1성형단계(S130), 제1연결단계(S140)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단열체제조단계(S110)는 제1단열체(10)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를 반원 및 엘보 형태로 제조하여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하게는 유리섬유를 니들펀칭하여 얻은 유리섬유매트에 바인더를 침지하고 바인더가 침지된 유리섬유매트를 롤링기를 이용하여 매트형태로 다층으로 적층한 후 반원 및 엘보 형태로 성형하여 일정시간 건조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단열체(10)의 제조는 공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유리섬유매트에 바인더가 침지되어 제1단열체(10)를 제조하는 것은 본 발명에 모두 포함됨은 당연하다.
상기 제1혼합단계(S120)는 제1, 2보강체(20, 30)를 이루는 유리섬유매트와 바인더를 혼합하는 단계로서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를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성형단계(S130)는 제1혼합단계(S120)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제1단열체(10)가 배관체를 수용하기 위해 접지되는 외주연 부위에 원호상으로 수용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단열체(10)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 사이에 인입되어 밀폐하는 제1인입부(21)가 형성되는 제1보강체(20) 또는 제1단열체(10)가 접지되는 내주연 부위에 원호상으로 수용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단열체(10)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 사이에 인입되어 밀폐하는 제2인입부(31)가 형성되는 제2보강체(30)의 형태와 동일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내부온도가 60 ~ 80℃로 유지되는 금형에 인입시켜 제1보강체(20) 또는 제2보강체(30)와 동일한 형태로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단계(S140)는 제1성형단계(S130)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실온에서 냉각한 후 제1단열체제조단계(S110)에서 제조된 다수의 제1단열체(10)로 하여금 배관체를 수용하도록 제1단열체(10)의 단부를 각각 접지시킬 때 제1보강체(20) 또는 제2보강체(30)에 형성된 제1, 2인입부(21, 31)로 하여금 접지되는 부위에 인입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제1단열체(10)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 제1보강체(20) 또는 제2보강체(30)가 원호상으로 접지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열체제조단계(S210), 제2혼합단계(S220), 제2성형단계(S230), 제2연결단계(S240)가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단열체제조단계(S210)는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를 원의 형태인 제2단열체(40)로 제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혼합단계(S220)는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를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성형단계(S230)는 제2혼합단계(S220)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의 외주연을 일부 수용하여 밀폐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에 각각 마찰되어 밀폐하도록 링 형상의 제1마찰부(51)가 형성되는 제3보강체(50) 또는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의 내주연에 일부 수용되어 밀폐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에 각각 마찰되어 밀폐하도록 링 형상의 제2마찰부(61)가 형성되는 제4보강체(60)의 형태와 동일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내부온도가 60 ~ 80℃로 유지되는 금형에 인입시켜 제3보강체(50) 또는 제4보강체(60)의 형태와 동일하게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연결단계(S240)는 제2성형단계(S230)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실온에서 냉각한 후 제2단열체제조단계(S210)에서 제조된 다수의 제2단열체(40)로 하여금 배관체를 수용하도록 제2단열체(40)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계속적 접지시킬 때 제3보강체(50) 또는 제4보강체(60)로 하여금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의 외주연 또는 내주연을 일부 밀폐함과 동시에 제3보강체(50) 또는 제4보강체(60)에 형성된 제1, 2마찰부(51, 61)로 하여금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을 밀폐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10 : 제1단열체 20 : 제1보강체
21 : 제1인입부 30 : 제2보강체
31 : 제2인입부 40 : 제2단열체
50 : 제3보강체 51 : 제1마찰부
60 : 제4보강체 61 : 제2마찰부
S110 : 제1단열체제조단계 S120 : 제1혼합단계
S130 : 제1성형단계 S140 : 제1연결단계
S210 : 제2단열체제조단계 S220 : 제2혼합단계
S230 : 제2성형단계 S240 : 제2연결단계

Claims (7)

  1. 단열을 요하는 배관체를 단열하는 단열재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가 반원 및 엘보형태로 이루어져 단부가 각각 접지되어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는 제1단열체(10);
    상기 다수의 제1단열체(10)가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기 위해 접지되는 외주연 부위에 원호상으로 수용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단열체(10)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 사이에 인입되어 밀폐하는 제1인입부(21)가 형성되며,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가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보강체(20);
    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단열재.
  2. 단열을 요하는 배관체를 단열하는 단열재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가 반원 및 엘보 형태로 이루어져 단부가 각각 접지되어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는 제1단열체(10);
    상기 다수의 제1단열체(10)가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기 위해 접지되는 내주연 부위에 원호상으로 수용하는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단열체(10)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 사이에 인입되어 밀폐하는 제2인입부(31)가 형성되며,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가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보강체(30);
    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단열재.
  3. 단열을 요하는 배관체를 단열하는 단열재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가 원의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의 단부가 계속적 접지되어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는 제2단열체(40);
    상기 다수의 제2단열체(40)가 배관체의 외측을 계속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계속적으로 접지되는 부위의 외주연을 일부 수용하여 밀폐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에 각각 마찰되어 밀폐하도록 링 형상의 제1마찰부(51)가 형성되며,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가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3보강체(50);
    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단열재.
  4. 단열을 요하는 배관체를 단열하는 단열재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가 원의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의 단부가 계속적 접지되어 배관체의 외측을 수용하는 제2단열체(40);
    상기 다수의 제2단열체(40)가 배관체의 외측을 계속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계속적으로 접지되는 부위의 내주연에 일부 수용되어 밀폐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에 각각 마찰되어 밀폐하도록 링 형상의 제2마찰부(61)가 형성되며,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가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4보강체(60);
    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단열재.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을 이용한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를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1단열체(10)의 형태로 제조하는 제1단열체제조단계(S110);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를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S120);
    제1항의 제1보강체(20) 또는 제2항의 제2보강체(30)의 형태와 동일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내부온도가 60 ~ 80℃로 유지되는 금형에 상기 제1혼합단계(S120)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인입시켜 제1, 2보강체(20, 30)의 형태로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S130);
    상기 제1성형단계(S130)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실온에서 냉각한 후 제1단열체제조단계(S110)에서 제조된 다수의 제1단열체(10)로 하여금 배관체를 수용하도록 제1단열체(10)의 단부를 각각 접지시킬 때 제1보강체(20) 또는 제2보강체(30)에 형성된 제1, 2인입부(21, 31)로 하여금 접지되는 부위에 인입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제1단열체(10)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 제1보강체(20) 또는 제2보강체(30)가 원호상으로 접지하는 제1연결단계(S140);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방법.
  7. 제3항 또는 제4항을 이용한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인더가 침지되어 다층으로 형성되는 유리섬유매트를 제3항 또는 제4항의 제2단열체(40)의 형태로 제조하는 제2단열체제조단계(S210);
    유리섬유매트와 벤토나이트용액, 난연제, 접착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실란커플링제, 불소발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바인더를 8 ~ 9 : 1 ~ 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S220);
    제3항의 제3보강체(50) 또는 제4항의 제4보강체(60)의 형태와 동일한 캐비티가 형성되어 내부온도가 60 ~ 80℃로 유지되는 금형에 상기 제2혼합단계(S220)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인입시켜 제3, 4보강체(50, 60)의 형태로 성형하는 제2성형단계(S230);
    상기 제2성형단계(S230)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실온에서 냉각한 후 제2단열체제조단계(S210)에서 제조된 다수의 제2단열체(40)로 하여금 배관체를 수용하도록 제2단열체(40)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계속적 접지시킬 때 제3보강체(50) 또는 제4보강체(60)로 하여금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부위의 외주연 또는 내주연을 일부 밀폐함과 동시에 제3보강체(50) 또는 제4보강체(60)에 형성된 제1, 2마찰부(51, 62)로 하여금 제2단열체(40)의 단부가 각각 접지되는 면을 밀폐하는 제2연결단계(S240);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20120063448A 2012-06-14 2012-06-14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425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448A KR101425786B1 (ko) 2012-06-14 2012-06-14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448A KR101425786B1 (ko) 2012-06-14 2012-06-14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250A KR20130140250A (ko) 2013-12-24
KR101425786B1 true KR101425786B1 (ko) 2014-08-05

Family

ID=4998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448A KR101425786B1 (ko) 2012-06-14 2012-06-14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682B1 (ko) * 2015-12-08 2017-04-19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가열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5074B (zh) * 2014-06-17 2016-04-20 潘文丽 可拆卸保温管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837A (ja) * 2003-10-30 2005-05-26 Meisei Ind Co Ltd 断熱用カバー部材
KR20090076517A (ko) * 2008-01-09 2009-07-13 (주)에스케이아이 관형 보온재킷 간 연결틈새를 커버하기 위한 연결용 보온재
JP2009299760A (ja) * 2008-06-12 2009-12-24 Imae Kogyo Kk 熱機器の断熱装置
KR100941057B1 (ko) * 2007-12-11 2010-02-05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유리섬유 단열파이프 성형용 바인더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837A (ja) * 2003-10-30 2005-05-26 Meisei Ind Co Ltd 断熱用カバー部材
KR100941057B1 (ko) * 2007-12-11 2010-02-05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유리섬유 단열파이프 성형용 바인더의 제조방법
KR20090076517A (ko) * 2008-01-09 2009-07-13 (주)에스케이아이 관형 보온재킷 간 연결틈새를 커버하기 위한 연결용 보온재
JP2009299760A (ja) * 2008-06-12 2009-12-24 Imae Kogyo Kk 熱機器の断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682B1 (ko) * 2015-12-08 2017-04-19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가열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250A (ko)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9941C2 (ru) Многослойное изо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обогрева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способ
EA039608B1 (ru) Изолированная труба
KR101425786B1 (ko) 보강용 단열재 및 보강용 단열재의 제조방법
CN205621515U (zh) 一种同轴电缆
KR20140048069A (ko) 나선형 호스, 특히 스트립-와운드 호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나선형 호스, 나선형 호스를 구비하는 유연한 안내 부재
KR101339856B1 (ko) 신축이음관 제조방법
CN109818148B (zh) 一种舰载耐高温隔热天线罩及其制备方法
KR102551336B1 (ko) 반도체 장비의 냉각라인에 사용되는 벨로우즈형 배관
KR20170120457A (ko) 진공단열패널을 이용한 hvac 덕트 및 그 연결체
RU2007139589A (ru) Сверхпроводящий кабель
CN204605072U (zh) 透光保温膜
KR102197060B1 (ko) 파이프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CN110848476A (zh) 一种复合式保温管
US20080265564A1 (en) Multi-chamber vacuum insulated pipe systems and methods
CN207149276U (zh) 一种弹性电缆
KR101339867B1 (ko) 이중 신축이음관
CN111911747A (zh) 一种耐海水浸泡保温结构及其制备方法
CN219473094U (zh) 一种带保温层的高温管道
FI127375B (fi) Putki ja menetelmä putken valmistamiseksi
CN207112226U (zh) 一种新型保温管道
CN210510567U (zh) 一种加厚型空调连接管
CN108493504B (zh) 一种具有吸热灭火功能的防火棉
CN220471015U (zh) 一种新型硬质闭孔阻燃型聚氨酯泡沫塑料pur管壳
CN211475108U (zh) 一种耐高温改性输送管材
US11892116B2 (en) Fluid coupling and sleev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