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271B1 -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271B1
KR101424271B1 KR1020070121885A KR20070121885A KR101424271B1 KR 101424271 B1 KR101424271 B1 KR 101424271B1 KR 1020070121885 A KR1020070121885 A KR 1020070121885A KR 20070121885 A KR20070121885 A KR 20070121885A KR 101424271 B1 KR101424271 B1 KR 101424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ortion
button
touch pad
touc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123A (ko
Inventor
권해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27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 패드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에는, 본체부에 형성되는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에 제공되며, 포인팅하고자 하는 위치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는 터치 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터치 패드에 의하여 입력된 상기 위치 정보가 선택되도록 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어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에 의하면, 터치 패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그에 따라 얇고 가벼운 터치패드 버튼이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터치패드 장치, 키보드 데크, 버튼부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 {The touch-pad equipment of a portable comput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일명 노트북 컴퓨터라 불리우는 것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명령어의 해석과 자료의 연산, 비교등의 처리를 제어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서 처리한 사항이 출력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부에는 컴퓨터의 연산 및 제어를 위하여 메인 기판,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내재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는 분해 가능한 케이스가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는, 휴대용 컴퓨터의 휴대시 마우스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포인팅 장치로서 터치패드 장치나 포인팅 스틱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패드 장치에는, 사람의 손이 접촉되는 것이 감지되도록 하는 터치 패드와, 사용자가 포인팅 하고자 하는 위치가 입력되도록 하는 버튼부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패드 장치는, 상기 버튼부가 2개 이상의 bar로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의 하측에는 상기 버튼부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가 제공되어 상기 버튼부가 크고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결국, 상기 버튼부의 작동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터치 패드 장치의 사용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된 바와 같은 배경하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 패드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one bar 타입의 버튼부가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버튼부에 작동 중심이 되는 형상 또는 부재를 추가하여 버튼부의 구조가 얇고 가벼워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를 통하여 입력(클릭)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는, 본체부에 형성되는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에 제공되며, 포인팅하고자 하는 위치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는 터치 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터치 패드에 의하여 입력된 상기 위치 정보가 선택되도록 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어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에는, 키보드 데크에 형성되는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에 제공되며, 접촉이 감지되어 위치가 입력되는 터치 패드;와, 상기 터치 패드에 의하여 입력된 위치가 선택되도록 하며,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양측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키보드 데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 리브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 패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드 장치의 버튼부가 one bar 타입으로 이루어져 얇고 가벼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의 작동이 원활해지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용 컴퓨터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1)에는, 컴퓨터의 연산 및 제어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22)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부(20)와, 상기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20)가 힌지 연결되도록 하는 힌지부(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키보드(11)와, 상기 키보드(11)의 외측에 제공되는 키보드 데크(1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부(10) 내부를 거친 후 배출되는 통기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상기 본체부(10) 내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본체부(10)에서 발생된 열이 냉각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22)는 중량이 적어 휴대가 간편한 액정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힌지부(4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작동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대략 납작한 육면체의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노트북 컴퓨터가 사용될 때에는, 상기 본체부(10)의 저면이 바닥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메인보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등 노트북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상면 선단 중앙에는 또 다른 입력 수단으로서 터치패드 장치(20)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 패드 장치(20)가 설치되는 상기 본체부(10)의 영역을 터치 영역이라 칭한다.
상세히, 상기 터치 패드 장치(20)에는, 사람의 손이 접촉되는 터치 패드(21)와, 상기 터치 패드(21)가 장착되는 패드 기판(27)과, 상기 패드 기판(27)의 상측 에 제공되며 사용자가 입력한 포인팅 위치가 선택되도록 하는 버튼부(26)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터치 패드(21)는 사람의 손이 접촉됨으로써 소정의 신호가 감지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포인팅하고자 하는 위치가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 패드(21)의 일측에는, 외부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부(10)에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22) 및 커넥터(23)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 데크(12)에는, 상기 터치 패드(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패드 관통부(14)와, 상기 버튼부(2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버튼 관통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 관통부(14) 및 버튼 관통부(15)는 상기 터치 패드(21) 및 상기 버튼부(26)가 내측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하 관통되며, 관통부의 크기는 상기 터치 패드(21) 및 버튼부(26)의 크기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패드 기판(27)에는, 상기 터치 패드(21)가 내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패드 하우징(24)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 하우징(24)은 상기 터치 패드(21)의 테두리부에 제공되며, 상기 패드 하우징(24)의 내측에는 상기 터치 패드(21)가 안착되는 안착부(24a)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안착부(24a)는 상기 터치패드(21)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드 기판(27)에는, 상기 패드 기판(27)이 상기 키보드 데크(12)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 보스(25)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보스(25)에는 상기 키보드 데크(12)의 체결 리브(미도시)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26)의 하측에는, 상기 버튼부(26)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튼부(26)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터치 패드(21)를 통해 입력된 위치 정보에 대하여 선택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스위치(28)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28)는 상기 버튼부(26)의 하부 양측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6)의 하측에는, 상기 버튼부(26)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29)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9)에는, 상기 버튼부(26)의 대략 중앙부가 접촉되며, 상기 버튼부(26)는 접촉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동(클릭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9)는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20)에는, 상기 터치 패드(21)에 의하여 입력된 위치가 선택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가압하는 버튼부(26)와, 상기 버튼부(26)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부(26)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29)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버튼부(26)는 one bar 타입으로서 가로 방향의 길이에 비하여 높이가 작은 납작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6)의 대략 중앙부 하면에는, 하방으로 소정 크기만큼 돌출되는 돌출부(2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6a)는 상기 지지부(29)의 상면에 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6)가 상기 돌출부(26a)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26a)는 상기 지지부(29)의 적어도 일부분에 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26a)는 상기 버튼부(26)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부재가 제공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버튼부(26)의 양측에는, 상기 버튼부(26)가 상기 키보드 데크(12)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리브(31)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리브(31)의 일측은 상기 버튼부(26)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리브(31)의 타측은 상기 체결 보스(2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리브(31)는 상기 버튼부(26)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후, 상기 체결 보스(25)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26)와 상기 고정 리브(31)는 스프링(3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5)의 양측에는 상기 스프링(35)이 상기 버튼부(26) 및 고정 리브(31)에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 고정부(36)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6)가 상기 돌출부(26a)를 중심으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35)은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35)은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부(26)는 상기 고정 리브(31)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버튼부(26)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튼부(26)와 상기 고정 리브(31)가 일체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버튼부(26)의 하측에는, 상기 버튼부(26)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 리브(32)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리브(32)는 상기 버튼부(26)가 회동(클릭)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패드 기판(27)의 상면으로부터 다소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26)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어느 일측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버튼부(26)는 상기 지지 리브(32)에 의하여 어느 일정 범위 이상 처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6)와 상기 지지 리브(32)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개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부(26)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 리브(3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버튼부(26)는 자중에 의한 처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클릭 행위에 의하여 상기 버튼부(26)에 상기 탄성력 크기 이상의 가압력이 작용되면 상기 버튼부(26)는 상기 스위치(28)를 누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26)의 양쪽 하측에는, 상기 버튼부(26)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위치(28)에 소정의 가압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누름부(30)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30)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28)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 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30)는 상기 버튼부(26)가 회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8)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26)가 상기 돌출부(26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누름부(30)는 상기 버튼부(26)와 일체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30)는 상기 스위치(28)를 선택 명령이 인식되는 위치까지 누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의한 터치 패드 장치(20)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터치 패드(21)를 조작하여 위치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버튼부(26)를 눌러(클릭 과정) 상기 위치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버튼부(26)는 상기 돌출부(26a)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버튼부(26)는 상기 돌출부(26a)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29)에 지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6)가 어느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에는 회동되는 방향에 제공되는 누름부(30)는 상기 스위치(28)를 누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28)가 사용자의 선택 명령이 인식되는 위치까지 눌러지면,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스위치(28)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본체부(10)는 사용자에 의한 클릭 과정을 인식하고, 포인팅 된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표시부(22)를 통하여 처리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one bar 타입의 버튼부 구조가 간단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는 얇고 가벼운 구조가 구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쉽고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Ⅱ-Ⅱ'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Claims (11)

  1. 본체부에 형성되는 터치 영역;
    상기 터치 영역에 제공되며, 포인팅하고자 하는 위치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는 터치 패드;
    상기 터치 패드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터치 패드에 의하여 입력된 상기 위치 정보가 선택되도록 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
    상기 버튼부의 양측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부가 어느 일방향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지지 리브가 포함되며,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어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 패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부가 회동되는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눌러지는 스위치가 더 포함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 패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 되도록 하는 고정 리브가 더 포함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 패드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버튼부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 패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하나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버튼부의 중앙부에 제공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 패드 장치.
  7. 키보드 데크에 형성되는 터치 영역;
    상기 터치 영역에 제공되며, 접촉이 감지되어 위치가 입력되는 터치 패드;
    상기 터치 패드에 의하여 입력된 위치가 선택되도록 하며,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양측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키보드 데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 리브; 및
    상기 버튼부와 상기 고정 리브를 연결하는 스프링이 포함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 패드 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가 장착되는 패드 기판이 더 포함되며, 상기 버튼부와 패드 기판 사이에는 상기 버튼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가 개입되는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 패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버튼부의 처짐 방지를 위한 지지 리브가 제공되며,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패드 기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휴대 용 컴퓨터의 터치 패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터치 패드 장치.
KR1020070121885A 2007-11-28 2007-11-28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 KR101424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885A KR101424271B1 (ko) 2007-11-28 2007-11-28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885A KR101424271B1 (ko) 2007-11-28 2007-11-28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123A KR20090055123A (ko) 2009-06-02
KR101424271B1 true KR101424271B1 (ko) 2014-07-31

Family

ID=4098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885A KR101424271B1 (ko) 2007-11-28 2007-11-28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704B1 (ko) 2018-05-18 2020-06-23 (주) 테크로스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8507A (ja) * 1997-01-13 1998-07-31 Komota Kk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19980073879A (ko) * 1997-03-20 1998-11-05 임경춘 카오디오 조작용 터치 패드
KR20060099741A (ko) * 2005-03-1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US20090174678A1 (en) 2008-01-04 2009-07-09 Apple Inc. Touchpad and pick button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8507A (ja) * 1997-01-13 1998-07-31 Komota Kk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19980073879A (ko) * 1997-03-20 1998-11-05 임경춘 카오디오 조작용 터치 패드
KR20060099741A (ko) * 2005-03-1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US20090174678A1 (en) 2008-01-04 2009-07-09 Apple Inc. Touchpad and pick butto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123A (ko) 200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920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push button
US8803852B2 (en) Touch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816978B2 (en) Seesaw touchpad with horizontal direction hinge
US20130321272A1 (en) Wheel mouse
KR102113372B1 (ko) 입력 장치 및 전자 기기
US20120229396A1 (en) Touch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7087945A (ja) 多方向ボタン及び多方向ボタンを使用するノートパソコン
US9411475B2 (en) Keyboard
US20120306785A1 (en) Touch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13025422A (ja) コンピュータの入力装置および携帯式コンピュータ
US7176884B2 (en) Displayed viewing area switching device in a computer
US9268359B2 (en) Tablet apparatus
EP2889734B1 (en) Coordinate input device
JP2001318755A (ja) 2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の2方向入力装置を用いた操作装置
CN111026284A (zh) 触控装置与输入模块
US20080186284A1 (en) Dual-mode touch input apparatus and mode-switching method for the same
KR101424271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 장치
JP6757321B2 (ja) クリック可能なコントロールパッド
US11656685B1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keyboard with haptic enhanced membrane trigger
US6778166B2 (en) Keyless pointer input device
US20140267054A1 (en) Pivotable input pad
US200302102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1893156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touchpad with mechanical uniform touch response
KR20080052497A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
US20120154274A1 (e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