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126B1 -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126B1
KR101424126B1 KR1020120084170A KR20120084170A KR101424126B1 KR 101424126 B1 KR101424126 B1 KR 101424126B1 KR 1020120084170 A KR1020120084170 A KR 1020120084170A KR 20120084170 A KR20120084170 A KR 20120084170A KR 101424126 B1 KR101424126 B1 KR 101424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needle
fixture
receiving portion
fixtur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769A (ko
Inventor
허달영
Original Assignee
허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달영 filed Critical 허달영
Priority to KR102012008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12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2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nchoring barbs or pins extending outwardly from suture ancho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 suture-receiving opening, e.g. lateral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27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nchoring barbs or pin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ancho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with a threaded shaft, e.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6Means for attaching and blocking the suture in the suture anchor
    • A61B2017/0458Longitudinal through hole, e.g. suture blocked by a distal suture kn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고정구 본체 상기 고정구 본체에서 상기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중공 형성되어 봉합침을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고정구와, 봉합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봉합사와의 연결부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게 되고, 상기 봉합사와의 연결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첨단부는 상기 수용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는 봉합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Fixing assembly comprising the suturer needle}
본 발명은 신체 조직 파열시에 봉합을 위한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이러한 고정구 조립체에서 봉합침과 고정구를 분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봉합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어깨 관절에 있는 관절와순의 파열시 파열된 관절와순을 봉합하는데 사용되는 봉합침이 분리될 수 있도록 부착되어 구비된 고정 나사못 형상의 고정구 조립체, 이러한 고정구 조립체에서 봉합침과 고정부를 분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봉합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대한 것이다.
어깨 관절에 있는 '관절와순'은 관절을 이루는 어깨뼈 가장자리의 섬유질의 연골이다. 특히 위쪽 관절와순은 팔뚝의 이두박건의 긴 건과 연결되어 있고 무릎관절의 반월상연골판과 비슷하게 뼈에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어 손상을 받기 쉽다. 이 때, 위쪽 관절와순이 이두박건의 건과 함께 앞쪽으로부터 뒤쪽까지 어깨뼈로부터 이탈되는 질환이 '상부 관절와순 파열'이다.
도 1a는 어깨관절(J)에서의 이두박근의 위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1b는 이두박근(M)에 정상적인 관절와순(N)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1c는 파열된 관절와순(F)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 질환은 어깨를 부딪쳐 다치거나 팔을 짚고 넘어질 때, 공을 무리하게 던지거나 팔을 머리 위로 휘두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할 경우, 이두박건(M)의 길다란 건의 견인손상 등으로 생길 수 있다. 젊은 나이에 주로 많이 발생하며 대부분 공을 다루는 운동을 즐기는 사람에게 잘 발생한다. 증상은 어깨 통증, 염발음, 빠지는 느낌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관절와순 파열의 경우 진단시에는 대부분 진찰과 관절조영 MRI를 이용하게 되는데, 팔의 위치에 따라 정밀검사에서도 발견되지 않을 때에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하기도 한다. 관절와순 파열의 치료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파열된 관절와순을 봉합해 줌으로써 안정성을 회복하게 된다.
그런데, 어깨 관절 자체의 내시경 수술시 어깨 관절의 협소한 공간 내에서 봉합침을 움직여 가면서 파열한 전방와순 및 상부와순을 봉합하는 것은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간도 많이 소요되었다. 특히 의사가 어깨 관절 내에서 봉합침을 이용하여 봉합을 수행할 때, 단순히 고정기구를 이용하여 봉합침을 잡아주는 것만으로는 지지된 상태의 봉합침을 움직여서 봉합을 수행하는데 많은 불편이 있었을 뿐 아니라 봉합침의 이동 경로에 대한 확보가 미흡하여 수술이 부정확하게 수행될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손상된 신체 조직, 예를 들어 관절와순을 봉합할 때 봉합을 위한 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고정구 조립체의 분리방법, 및 봉합침용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고정구 본체 상기 고정구 본체에서 상기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중공 형성되어 봉합침을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고정구와, 봉합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봉합사와의 연결부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게 되고, 상기 봉합사와의 연결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첨단부는 상기 수용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는 봉합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구 본체의 측면을 따라 대응하여 형성된 2개 이상의 수용부를 구비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구 조립체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는 일측면이 고정구 본체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봉합침은 상기 봉합사와의 연결부에서 봉합사 관통하는 봉합사 관통홈을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고정구 조립체는 2개 이상의 상기 수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에서, 2개 이상의 상기 수용부에는 2개 이상의 봉합침이 각각 수용된다.
여기서, 2개 이상의 상기 봉합침에 각각 연결된 봉합사는 상기 봉합침이 각각 수용된 2개 이상의 수용부 중 다른편 수용부로 연장되어 가이드된다.
이때, 상기 봉합사는 상기 봉합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는 상기 수용부에서 개방된 일측면에 상기 봉합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연장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고정구 본체의 외측면에는 돌출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출 나선부에 의해 고정구가 회전할 때 수용부 내부의 봉합침이 고정구의 회전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는 길이로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의 반경방향 길이(d1)는 아래의 수식 1을 만족하며,
수식 1: d1 > 고정구 본체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 나선부의 높이{(D1-D2)/2},
봉합침 본체의 외경(d2)은 아래의 수식 2를 만족하되,
수식 2: d2 < d1 (D1-D2)/2
여기서, D1은 고정구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 나선부의 외경을 D1 이라 하고, D2는 고정구 본체(102)의 외경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구 본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 본체는 선단부를 향하여 반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구 본체의 측면에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서 상기 고정구 본체의 외측면에는 봉합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의 분리방법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고정구 본체와 상기 고정구 본체에서 상기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중공 형성되어 봉합침을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고정구와, 봉합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봉합사와의 연결부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게 되고, 상기 봉합사와의 연결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첨단부는 상기 수용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는 봉합침을 포함하는 고정구 조립체의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분리 방법은 상기 봉합침이 상기 고정부의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고정구 조립체를 고정 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수용부 외측으로 돌출된 봉합침의 첨단부에 피봉합체를 가압하여 봉합침이 피봉합체를 천공하는 천공 단계 상기 봉합침 본체가 상기 피봉합체를 관통하도록 당겨서 상기 봉합침 본체와 상기 고정구를 분리시키는 분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봉합침용 고정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고정구 본체와 상기 고정구 본체에서 상기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중공 형성되어 봉합침 첨단부가 노출되도록 봉합침의 일부를 길이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고정구 조립체의 분리 방법 및 봉합침용 고정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첫째, 봉합침을 이용하여 좁고 민감한 공간에서 피봉합체를 용이하게 천공하여 봉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봉합침이 피봉합체를 천공/관통하는 과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되어 봉합침이 피봉합체 이외에 다른 부분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셋째, 봉합침이 고정된 상태에서 피봉합체를 천공시킬 수 있으므로 피봉합체의 천공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넷째, 봉합침이 피봉합체를 천공 관통하는데 힘이 적게 소요된다.
다섯째, 봉합침이 피봉합체를 천공 관통 후에 봉합침을 고정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고 후속 매듭 공정도 간편해진다.
도 1a는 어깨관절(J)에서의 이두박근의 위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1b는 이두박근(M)에 정상적인 관절와순(N)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1c는 파열된 관절와순(F)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고정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고정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의 분해된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를 이용한 전방와순 봉합 수술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고정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고정구내에서 봉합침과 봉합사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고정구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고정구의 좌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 부분의 크기가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간의 크기의 비례는 반드시 본 발명의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실질적으로 길이방향' 및 '실질적으로 나란한'의 기재의 의미는 오차 범위 내에서 길이방향과 동일하거나 오차 범위 내에서 나란한 정도의 각도까지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고정구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고정구의 좌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의 분해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400)는 봉합사(300)가 연결되어진 봉합침(200)과 이러한 봉합침이 수용되는 고정구(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고정구 본체(102)와, 상기 고정구 본체(102)에서 상기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중공 형성되어 봉합침(200)을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 1 수용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 본체(102)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되다가 선단부(106)에서 그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구 본체(102)는 그 전체에 있어서 선단부를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봉합침(200)은, 가느다란 형상의 봉합침 본체(202)의 일측 단부에는 뾰족하고 날카로운 첨단부(206)을 구비하고, 그 타단부에는 봉합사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는 봉합침의 봉합사 연결부에 봉합사 관통홈(204)이 형성되고 봉합사(300)는 이러한 관통홈(204)을 실이 바늘귀를 통과하듯 관통하여 있다.
이때, 봉합사가 봉합사 관통홈(204)을 관통하여 연결된 상태인 상기 봉합사(300)와의 봉합침(200)의 연결부는 상기 제 1 수용부(112)내부에 수용되게 되고, 상기 봉합사와의 연결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첨단부(206)는 상기 제 1 수용부(112)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구(100)는 상기 고정구 본체(102)의 측면을 따라 대응하여 쌍을 이루어 형성된 복수개의 수용부, 예를 들어 2개의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원에서 2개의 수용부는 제 1 수용부(112)와 제 2 수용부(110)로 도시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수용부(112)는 일측면이 고정구 본체(102)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수용부(112)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 2 수용부(110) 역시 고정구 본체(102)에 대하여 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제 1 수용부(112) 및 제 2 수용부(110) 사이를 연결하도록 고정구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즉 고정구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연결 통로부(116)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용부(112)의 봉합사 관통홈(204)을 통과하여 연결된 봉합사(300)는 제 1 수용부(112), 연결 통로부(116) 및 제 2 수용부(110)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1 수용부(112)에는 봉합침(200)도 수납되고 봉합사(300)의 일부도 수납된다.
한편, 상기 제 1 수용부(112)에서 개방된 일측면에는 상기 봉합침(20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연장부(107)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수용부(112)는 길이방향으로 측면이 개방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내부에 배치되는 봉합침(200)가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단면 구조에서 볼 때 오목한 형상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 본체(102)의 외측면에는 고정구를 골격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 나사부(10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100)는 고정구 자체를 회전시켜 스크류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골격부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구 본체(102)의 측면에 돌출 나선부가 형성되지 않고 고정부 자체가 못(nail)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가 못 형상일 경우, 고정구 본체의 외측면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 환형부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여기서, 고정구 본체(102)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 나선부의 외경을 D1 이라 하고, 고정구 본체(102)의 외경을 D2라 할 경우, 상기 제 1 수용부(112)의 반경방향 길이(d1)는 고정구 본체(102)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 나선부의 반경방향 높이((D1-D2)/2)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수용부의 반경방향 길이(d1)는 수용부 내부에 봉합침(200)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봉합침(200) 본체의 외경(d2) 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 1 수용부의 반경방향 길이(d1)와 봉합침 본체의 외경(d2)은 아래의 두가지 조건을 만족한다.
(1) 제 1 수용부의 반경방향 길이(d1) > 고정구 본체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 나선부의 높이((D1-D2)/2)
(2) 봉합침 본체의 외경(d2) < (d1 (D1-D2)/2)
중공의 홈 형상인 제 1 수용부가 고정구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 나선부의 높이보다 반경방향으로 깊게 형성되므로, 제 1 수용부는 충분한 크기로 고정구 본체에 깊숙하게 형성되고, 제 1 수용부(112)에 수용되는 봉합침(200)은 돌출 나선부의 높이(D1-D2)/2에서 나선부의 피치 사이에 골격부 구조가 진입되더라도 나선 회전 작용시에 제 1 수용부 내부에 수납된 봉합침은 고정구(100)의 나선 회전에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를 이용하여 파열된 전방와순을 복원하는 수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봉합침(200)이 고정구(100)의 수용부에 수납된 상태인 고정구 조립체(400)가 손잡이(504)에 길다란 로드(502)가 연결되어 구성된 푸시 수단(500)에 의해 골격부(600)인 관절와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푸시 수단은 나사를 회전하기 위한 의료용 드라이버일 수도 있고, 후방에서 타격력을 제공하는 의료용 망치의 충격력을 전달하는 의료용 드라이버일 수도 있다.
상기 고정구 조립체(400)를 골격부(600)인 관절와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전에 골격부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수술을 시행하는 의료진은 겸자 등의 파지 수단(550)을 이용하여 고정구(100)의 수용부에서 돌출된 봉합침(200)의 날카로운 첨단부(206)에 피봉합체(700)인 관절와순을 당겨와 봉합침(200)의 첨단부에 찔려 봉합침(200)이 피봉합체(700)인 관절와순을 천공 후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봉합침(200)은 첨단부의 반대편 단부가 고정구(100)에 의해 후방 지지되고 있어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피봉합체(700)인 관절와순을 천공 통과하게 된다.
도 7d를 참조하면, 의료진은 피봉합체(700)인 관절와순을 천공하여 통과한 후 관절와순에 끼워져 있는 봉합침(200)을 파지 수단(550)인 겸자를 이용하여 피봉합체(700)인 관절와순을 완전히 통과하여 빠져나오도록 당기게 된다. 이때 봉합침(200)에는 봉합사(30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봉합사(300)의 일측 단부도 피봉합체(700)인 관절와순을 통과하게 된다.
도 7e를 참조하면, 의료진이 봉합침(200)과 봉합사(300)을 분리한 후, 봉합사(300)를 매듭지음으로써 봉합사가 피봉합체(700)인 관절와순을 견고하게 봉합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가 도시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였고,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2개의 상기 수용부, 즉 제 1 수용부(112) 및 제 2 수용부(110)에는 각각 제 1 봉합침(200a)와 제 2 봉합침(200b)가 수납된다.
여기서, 제 1 봉합침(200a)에는 제 1 봉합사(300a)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제 2 봉합침(200b)에는 제 2 봉합사(300b)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각 봉합침 단부에 봉합사 관통홈이 형성되어 각각이 관통홈에 제 1 봉합사 및 제 2 봉합사가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2개의 제 1 봉합침(200a)에 연결된 제 1 봉합사(300a) 및 제 2 봉합침(200b)에 연결된 제 2 봉합사(300b)는 각각의 봉합침이 수용된 제 1 수용부(112) 및 제 2 수용부(110) 중 서로 반대편 수용부로 연장되어 가이드된다.
즉, 제 1 봉합침(200a)은 제 1 수용부(112) 내부에 수용되지만 그에 연결되어 형성된 제 1 봉합사는 연결 통로부(116)를 통하여 제 2 봉합침(200b)이 수용되어 있는 제 2 수용부(110)로 연장되어 가이드된다. 또한, 제 2 봉합침(200b)은 제 2 수용부(110) 내부에 수용되지만 그에 연결되어 형성된 제 2 봉합사(300b)는 연결 통로부(116)를 통하여 제 1 봉합침(200a)이 수용되어 있는 제 1 수용부(112)로 가이드 되어 연장된다.
이 경우, 제 1 봉합침(200a)와 제 2 봉합침(200b)의 각각의 첨단부는 고정구의 각각의 제 1 수용부(112) 및 제 2 수용부(110)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정구 조립체에 의하면 피봉합체에 한번에 두개의 봉합침이 천공 관통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가 도시된다.
도 2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수용부(112) 및 제 2 수용부(110)는 고정구(100')의 고정구 본체(102)에 대하여 측면이 개방된 구조가 아니라, 상기 고정구 본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폐쇄 단면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고정구 본체(102)는 선단부(106)를 향하여 반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용부(112) 및 제 2 수용부(110)는 상기 고정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최종적으로는 제 1 수용부(112)와 제 2 수용부(110)는 상기 고정구 본체(102)의 측면에 각각의 제 1 개구(150a) 및 제 2 개구(150b)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개구(150a) 및 제 2 개구(150b)를 통하여 봉합사(300)가 연장된다.
봉합사(300)가 고정구(100')의 선단부에서 가이드되어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개구(150a) 및 제 2 개구(150b)와 상기 선단부(106) 사이에서 상기 고정구 본체(102)의 외측면에는 봉합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3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홈(130)은 고정구(100')가 골격부(600)에 고정되도록 나사 회전하여 진입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크기의 폭으로 형성된다.
봉합침(200)이 고정구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즉 피봉합체를 봉합침(200)의 첨단부에 대하여 가압시켜도 봉합침(200)이 물러나지 않고 버틸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개구(150a)에 인접하게 제 1 수용부(112) 내부에는 실질적으로 'V'자 형태의 시트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는 파손된 관절와순을 봉합하는 것을 기준으로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람이 아니라 동물을 포함하여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서 신체 내의 조직, 연골 등을 봉합하는 시술 내지 수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고정구 102: 고정구 본체
104: 나사부 106: 고정구 선단부
108: 고정구 후단부 112: 제 1 수납부
110: 제 2 수납부 107: 연장부
116: 연결통로부 200: 봉합침
202: 봉합침 본체 204: 봉합사 관통홈
206: 첨단부 300: 봉합사
400: 고정구 조립체 500: 푸시 수단
502: 로드 504: 손잡이
550: 파지 수단
600: 골격부 700: 관절와순

Claims (16)

  1.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고정구 본체
    상기 고정구 본체에서 상기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중공 형성되어 봉합침을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분리가능하며, 봉합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봉합사와의 연결부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수용되게 되고, 상기 봉합사와의 연결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첨단부는 상기 수용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는 봉합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구 본체의 측면을 따라 대응하여 쌍을 이루어 형성된 2개 이상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일측면이 고정구 본체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침은 상기 봉합사와의 연결부에서 봉합사 관통하는 봉합사 관통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수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6. 제 2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는 2개 이상의 봉합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봉합침에 각각 연결된 봉합사는 상기 봉합침이 각각 수용된 2개 이상의 수용부 중 다른편 수용부로 연장되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는 상기 봉합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서 개방된 일측면에 상기 봉합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한 연장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의 외측면에는 돌출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돌출 나선부에 의해 고정구가 회전할 때 수용부 내부의 봉합침이 고정구의 회전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는 반경방향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반경방향 길이(d1)는 아래의 수식 1을 만족하며,
    수식 1 : d1 > 고정구 본체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 나선부의 높이{(D1-D2)/2}

    봉합침 본체의 외경(d2)은 아래의 수식 2를 만족하되,
    수식 2: d2 < d1 (D1-D2)/2
    여기서, D1은 고정구 본체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 나선부의 외경을 D1 이라 하고, D2는 고정구 본체(102)의 외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구 본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는 선단부를 향하여 반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구 본체의 측면에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서 상기 고정구 본체의 외측면에는 봉합실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15. 삭제
  16. 삭제
KR1020120084170A 2012-07-31 2012-07-31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KR101424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170A KR101424126B1 (ko) 2012-07-31 2012-07-31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170A KR101424126B1 (ko) 2012-07-31 2012-07-31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769A KR20140016769A (ko) 2014-02-10
KR101424126B1 true KR101424126B1 (ko) 2014-07-31

Family

ID=5026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170A KR101424126B1 (ko) 2012-07-31 2012-07-31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1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417A (en) 1990-07-13 1992-03-31 American Cyanamid Company Suture anchor and driver assembly
EP0829233A1 (en) * 1996-09-17 1998-03-18 Amei Technologies Inc. Bone anchor having a suture trough
US20030171764A1 (en) * 2002-03-06 2003-09-11 Debbas Elie G. Medical instrument for closure of trocar site openings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6773450B2 (en) 2002-08-09 2004-08-10 Quill Medical, Inc. Suture anchor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417A (en) 1990-07-13 1992-03-31 American Cyanamid Company Suture anchor and driver assembly
EP0829233A1 (en) * 1996-09-17 1998-03-18 Amei Technologies Inc. Bone anchor having a suture trough
US20030171764A1 (en) * 2002-03-06 2003-09-11 Debbas Elie G. Medical instrument for closure of trocar site openings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6773450B2 (en) 2002-08-09 2004-08-10 Quill Medical, Inc. Suture ancho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769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0080C (en) Minimally invasive stitching device
US87409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rthroscopic transhumeral rotator cuff repair
AU737090B2 (en) Knotless suture system and method
US66525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connective tissues to bone using a perforated suture anchoring device
KR100922064B1 (ko) 뼈 고정구 삽입 장치
JP4995091B2 (ja) 回旋腱板(rtc)腱または靭帯の修復方法および装置
US7833244B2 (en) Suture fix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rgical repair
EP2692298A2 (en) Surgical instruments with a cannulated, resilient bushing
US201100987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Soft Tissue to Bone
US20150366654A1 (en) Arthroscopic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or Cuff Repair
KR20110028260A (ko) 봉합사 기반 조직 치료
CA2605251A1 (en) Suture fix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rgical repair
CN105848592A (zh) 用于腹腔镜穿刺口部位闭合装置的外科缝合线
JP2014524787A (ja) 縫合糸挿通器および皮質下結紮
EP1688095A1 (en) Suture thread shifting device
KR101424126B1 (ko) 봉합침을 구비한 고정구 조립체
KR102700228B1 (ko) 수술 드라이버
CA260518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ture pla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