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180B1 -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180B1
KR101422180B1 KR1020140008356A KR20140008356A KR101422180B1 KR 101422180 B1 KR101422180 B1 KR 101422180B1 KR 1020140008356 A KR1020140008356 A KR 1020140008356A KR 20140008356 A KR20140008356 A KR 20140008356A KR 101422180 B1 KR101422180 B1 KR 101422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roduction
service
criterion
servic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호
김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디
Priority to KR102014000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4Environments for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10Requirements analysis; Spec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와 서비스 경로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OF MEASURING APPLICATION USABILITY,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터치, 음성인식, 증강현실, 소셜 네트워크(SNS) 등과 같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기획, 개발 및 사용 과정이 알맞게 설계되었는지 알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얼마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성이 좋을수록 잘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2446호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행위 로그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을 분석할 수 있는 사용자의 행위 로그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분석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사용성 분석 장치는 사용자 행위에 대한 객관적이고 수치화된 분석 결과를 산출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후 사용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5995호는 앱스토어 서비스 시스템에서 앱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설치되어 있는 앱의 분포 및 사용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에게 개인화된 앱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및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한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개인화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개인화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호하거나 활용 목적에 부합되는 앱의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자에제 제공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244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0599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준수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계열에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플로우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의 개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와 서비스 경로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플로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종 카테고리에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플로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개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개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상 제어 객체를 바인딩하여 상기 대상 제어 객체를 통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개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개선 정보에 따라 특정 서비스 노드의 추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 정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S 버전 정보 및 해상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S 버전 정보 및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제작 기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작 기준을 검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작 기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특정 제작 기준에 대한 추가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 제작 기준에 대한 실용도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용도가 기준 실용도 이상이면 상기 특정 제작 기준을 상기 제작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단계는 대상 제어 객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경로를 통해 연결된 제1 서비스 노드와 제2 서비스 노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연관하여 플로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작 기준에 대한 일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한 지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정도를 상기 제작 기준 별로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제작 기준 수신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와 서비스 경로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는 제작 기준 체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정도를 상기 제작 기준 별로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기능,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와 서비스 경로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기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준수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은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계열에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플로우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의 개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에서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목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상세 설명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정도를 그래프화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및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12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장치 및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목록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작 기준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액션을 인식할 수 있는 화면(예를 들어,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대상 제어 객체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팅 장치(또는 측정 가상 머신)에 설치되어 특정 작업을 위해 실행 가능한 응용 소프트웨어이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120)는 단일 컴퓨팅 장치로 제한되지 않고 분산 처리 가능한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120)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된 가상 머신 접속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공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배포, 가상 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컴퓨터 프로그램 실행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또는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대상 제어 객체와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12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120)는 제작 기준 수신부(210),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220), 제작 기준 체크부(230),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을 수신한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은 어플리케이션 설계에 따른 사용자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검증하는 요소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운용성, 조작의 용이성, 호환성, 접근성, 기능성, 표준성, 성능, 품질, 보안성, 유지보수성, 확장성, UI(User Interface)일관성, 인식 용이성, 효율성, 유효성 및 학습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사용자로부터 기 정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 제작 기준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정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 제작 기준은 [소프트웨어의 국제표준 품질 가이드라인], [모바일 플랫폼 품질 가이드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S 버전 정보 및 해상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S 버전 정보 및 해상도 정보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S 버전 정보 및 해상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S 버전 정보 및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제작 기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작 기준을 검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작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제작 기준 데이터베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대한 OS 버전 정보 및 해상도 별로 제작 기준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제작 기준에 대한 추가 요청을 수신하면 특정 제작 기준에 대한 실용도를 체크할 수 있다. 실용도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이 얼마나 유용한지 나타내는 지표에 해당한다.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제작 기준에 대한 수정 요청, 삭제 요청 및 업그레이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실용도가 기준 실용도 이상이면 특정 제작 기준을 제작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실용도가 기준 실용도 미만이면 특정 제작 기준을 제작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보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실용도는 5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22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와 서비스 경로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한다. 서비스 노드는 서비스 플로우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하나의 플로우 개체에 해당하고, 서비스 경로는 서비스 노드를 연결하는 방향성을 가지는 경로에 해당한다.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220)는 대상 제어 객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여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할 수 있다.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220)는 대상 제어 객체를 어플리케이션에 연관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노드를 추출하고 서비스 노드에 포함된 오브젝트 별로 이벤트를 검출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대상 제어 객체는 사용자 단말(110)에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에뮬레이터(Emulator)에 배포되어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대상 제어 객체가 설치되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에뮬레이터는 대상 제어 객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 및 복수의 제작 기준들을 측정할 수 있다.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220)는 서비스 경로를 통해 연결된 제1 서비스 노드와 제2 서비스 노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연관하여 플로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플로우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경로의 식별 정보와 서비스 경로의 입력 서비스 노드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제1 서비스 노드) 및 서비스 경로의 출력 서비스 노드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제2 서비스 노드)를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대상 제어 객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모니터링하여 제작 기준에 대한 일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허용 범위를 수신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허용 범위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한 지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이 준수하지 않을 때 준수하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서비스 플로우와 어플리케이션의 동종 카테고리에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플로우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개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종 카테고리는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애니팡과 사천성은 [게임]의 동종 카테고리에 해당하고, 네이트 온과 카카오 톡은 [메신저]의 동종 카테고리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상 제어 객체를 바인딩하여 대상 제어 객체를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할 수 있다.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플로우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플로우 간의 비교를 통해 획득한 서비스 개선 정보에 따라 특정 서비스 노드의 추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추출되었지만 어플리케이션에서 추출되지 않은 특정 서비스 노드를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서비스 노드의 추가 여부는 서비스 노드에 대한 실용도를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24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정도를 제작 기준 별로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24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정도를 점 그래프, 선 그래프, 막대 그래프 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24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정도와 어플리케이션의 동종 카테고리에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정도를 비교하는 그래프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1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제작 기준 수신부(210),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220), 제작 기준 체크부(230) 및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24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에서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을 수신한다(단계 S301).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 운용성, 조작의 용이성, 호환성, 접근성, 기능성, 표준성, 성능, 품질, 보안성, 유지보수성, 확장성, UI(User Interface)일관성, 인식 용이성, 효율성, 유효성 및 학습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제작 기준에 대한 추가 요청을 수신하면 특정 제작 기준에 대한 실용도를 체크할 수 있다. 실용도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이 얼마나 유용한지 나타내는 지표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용도는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U = S_ben - F_cos - T_cost
여기에서, S_ben는 특정 제작 기준을 도입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도가 증가하였을 때 이익에 해당하고, F_cost는 특정 제작 기준을 도입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도가 감소하였을 때 비용에 해당하며, T_cost는 특정 제작 기준을 도입하는데 드는 비용에 해당한다. 이익 및 비용은 수치화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용도는 특정 제작 기준을 도입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도가 증가하였을 때 이익이 80, 특정 제작 기준을 도입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도가 감소하였을 때 비용이 20, 특정 제작 기준을 도입하는데 드는 비용이 30이면 30(80-20-30)에 해당하고, 특정 제작 기준을 도입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도가 증가하였을 때 이익이 90, 특정 제작 기준을 도입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도가 감소하였을 때 비용이 10, 특정 제작 기준을 도입하는데 드는 비용이 30이면 50(90-10-30)에 해당한다.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실용도가 기준 실용도 이상이면 특정 제작 기준을 제작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실용도가 기준 실용도 미만이면 특정 제작 기준을 제작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보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실용도는 5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예를 들어, 서비스 플로우 적합성, 화면 전환 속도, 앱 시작, 앱 종료 등), 제작 기준에 따른 상세 정보(예를 들어, 서비스 플로우 추출 및 게시, 기준 측정 시간 내 화면 전환 등) 및 제작 방법(예를 들어, 성공 개수, 실패 개수 등)을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S 버전 별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한 날짜 및 제작 기준에 따른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서,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작 기준 수신부(210)는 제작 기준 표시 방법(예를 들어, Bar chart), 제작 기준 상세 설명(예를 들어, 앱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 중 하나로 앱에서 활용하는 권한 범위를 점수화 한다.), 제작 기준 측정 값(예를 들어, 키 값 및 속성 값)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22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와 서비스 경로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한다(단계 S302).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220)는 서비스 경로를 통해 연결된 제1 서비스 노드와 제2 서비스 노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연관하여 플로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03).
일 실시예에서,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모니터링하여 제작 기준에 대한 일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을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일치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치도는 높을수록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가능성이 높아지고, 낮을수록 제작 기준의 준수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제작 기준 체크부(230)는 서비스 플로우와 어플리케이션의 동종 카테고리에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플로우를 비교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개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24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정도를 제작 기준 별로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04).
도 6에서,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24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운용성], [품질], [효율성] 각각의 준수 정도를 막대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운용성]의 준수 정도는 55%,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품질]의 준수 정도는 40%,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효율성]의 준수 정도는 60%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24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운용성]에 대해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클릭)을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S 버전 별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운용성]의 준수 정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b). 즉, (a)에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운용성]의 준수 정도는 (b)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S 버전 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 [운용성]의 준수 정도의 평균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210: 제작 기준 수신부
220: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
230: 제작 기준 체크부
240: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
250: 제어부

Claims (16)

  1.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에 있어서,
    제작 기준 수신부에서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와 서비스 경로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제작 기준 체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한 지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종 카테고리에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플로우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개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개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상 제어 객체를 바인딩하거나 또는 상기 대상 제어 객체를 통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개선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개선 정보에 따라 특정 서비스 노드의 추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 정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S 버전 정보 및 해상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OS 버전 정보 및 해상도 정보를 기초로 제작 기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제작 기준을 검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작 기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특정 제작 기준에 대한 추가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 제작 기준에 대한 실용도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용도가 기준 실용도 이상이면 상기 특정 제작 기준을 상기 제작 기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단계는
    대상 제어 객체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경로를 통해 연결된 제1 서비스 노드와 제2 서비스 노드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연관하여 플로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제작 기준에 대한 일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정도를 상기 제작 기준 별로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14.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제작 기준 수신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와 서비스 경로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한 지표 정보를 제공하는 제작 기준 체크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정도를 상기 제작 기준 별로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작 기준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16.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작 기준 수신부에서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을 수신하는 기능;
    서비스 플로우 추출부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와 서비스 경로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출하는 기능; 및
    제작 기준 체크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작 기준의 준수 여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에 대한 지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0140008356A 2014-01-23 2014-01-23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422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56A KR101422180B1 (ko) 2014-01-23 2014-01-23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56A KR101422180B1 (ko) 2014-01-23 2014-01-23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180B1 true KR101422180B1 (ko) 2014-07-22

Family

ID=5174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356A KR101422180B1 (ko) 2014-01-23 2014-01-23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1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016B1 (ko) * 2015-10-15 2017-11-08 주식회사 비디 분산 컴퓨팅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객체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객체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230140682A (ko) 2022-03-30 2023-10-10 이수진 리지회귀, 라소회귀 복합추정 딥러닝에 기반한 앱 사용 성향분석에 따른 사용자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726B1 (ko) * 2006-09-20 2009-06-19 (재)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KR20120033920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서비스 운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58336A (ko) * 2011-11-25 2013-06-0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의 행위 로그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30075455A (ko) * 2011-12-27 2013-07-0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상황 인식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경로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726B1 (ko) * 2006-09-20 2009-06-19 (재)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데이터 품질 관리 성숙도 평가 시스템
KR20120033920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서비스 운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58336A (ko) * 2011-11-25 2013-06-0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의 행위 로그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30075455A (ko) * 2011-12-27 2013-07-0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상황 인식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경로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016B1 (ko) * 2015-10-15 2017-11-08 주식회사 비디 분산 컴퓨팅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객체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객체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230140682A (ko) 2022-03-30 2023-10-10 이수진 리지회귀, 라소회귀 복합추정 딥러닝에 기반한 앱 사용 성향분석에 따른 사용자 예측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37641B (zh) 使用屏幕截图元数据确定应用测试结果
JP2015060598A (ja) 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デイリーユーザの関与スコアおよびユーザプロフィール
US9442832B2 (en) User workflow replication for execution error analysis
CN111061956B (zh)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CN107943840B (zh) 数据处理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312446B1 (ko) 사용자의 행위 로그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423030B1 (ko) 컴퓨터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객체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객체 분석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10929491B2 (en) Social sharing path user interface insights
CN110110000B (zh) 展示方法及装置
WO2020119173A1 (zh) 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422180B1 (ko)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측정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N110599278B (zh) 聚合设备标识符的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CN108228611B (zh) 单据信息抄写方法和装置
CN104468616A (zh) 一种图片验证码的生成方法及客户端
CN106294104B (zh) 一种测试用例的执行方法及移动终端
CN111832254B (zh) 图纸标注显示处理方法及装置
KR20150038983A (ko) 객체 추출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CN114218496A (zh) 对象推荐的方法、装置和设备、介质及产品
CN114048137A (zh) 一种应用测试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966201A (zh) 对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2596725A (zh) 编程作品的评分方法、评分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4809060B (zh) 应用上线指标的检测方法及装置
CN112417259A (zh) 媒体资源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985513A (zh) 一种快速判识网络资产归属系统及其识别分析方法
CN104809059B (zh) 应用上线指标的检测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