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015B1 - 양방향 진단/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진단/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015B1
KR101422015B1 KR1020070107906A KR20070107906A KR101422015B1 KR 101422015 B1 KR101422015 B1 KR 101422015B1 KR 1020070107906 A KR1020070107906 A KR 1020070107906A KR 20070107906 A KR20070107906 A KR 20070107906A KR 101422015 B1 KR101422015 B1 KR 101422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signal
transmitter
diagnostic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037A (ko
Inventor
정수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04N17/045Self-contained tes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진단/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송신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으로 동작 상태를 진단/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는, 각 수신기에서 동작 상태 데이터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송신기로부터 다수 개의 진단 항목 중 상기 제 1 신호와 연관된 각 항목에 대한 진단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해당 수신기에서 상기 수신되는 각 항목에 대한 진단 요청과 연동되는 진단 테스트를 수행하고, 수행된 진단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송되는 해당 수신기의 제 2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각 수신기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기의 동작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경우, 송신기의 요청이 없어도 실시간으로 상기 동작 상태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송신기로 보고하여 해당 문제를 공유할 수 있으며, 수신기에서 실시간으로 양방향으로 해당 문제를 진단/처리할 수 있다.
방송 수신기, 방송국, SNMP, 상호-진단, 자기-진단

Description

양방향 진단/처리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interactively}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각 수신기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수신기에서 양방향 통신 방식에 따라 해당 문제를 진단/처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는 송신기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수신기에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송신기에서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의 이상 유무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에 대한 결과 즉,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의 이상 유무를 상기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신기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송 환경에서는 수신기는 자신에게 문제가 발생한 시점에 송신기의 요청이 있지 않으면,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수신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수신기에 문제가 발생한 시점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어 원하는 방송을 시청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게 되어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송신기 측이나 상기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 간에 불만을 야기하여 분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신기의 요청에 관계없이 수신기의 동작 상태에 문제가 발생한 시점에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기에서 상기 즉각적인 대응을 함에 있어서, 양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진단 방법의 일 예는, 송신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각 수신기에서 동작 상태 데이터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송신기로부터 다수 개의 진단 항목 중 상기 제 1 신호와 연관된 각 항목에 대한 진단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해당 수신기에서 상기 수신되는 각 항목에 대한 진단 요청과 연동되는 진단 테스트를 수행하고, 수행된 진단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송되는 해당 수신기의 제 2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각 수신기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양방향으로 동작 상태를 진단/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른 트랩 패킷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는 해당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될 메시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클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수신기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양방향으로 동작 상태를 진단/처리하는 과정은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진단 방법의 다른 예는, 송신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각 수신기에서 동작 상태 데이터에 오류가 있으면,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제 1 신호를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송되는 해당 수신기의 제 1 신호에 따른 진단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해당 수신기에서 상기 수신되는 송신기의 진단 요청에 따라 동작 상태 데이터와 관련하여 기 정의된 모든 항목에 대하여 진단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한 진단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제 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송되는 해당 수신기의 제 2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각 수신기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양방향으로 동작 상태를 진단/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른 트랩 패킷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는 해당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될 메시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클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수신기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양방향으로 동작 상태를 진단/처리하는 과정은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SNM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진단/처리 시스템의 일 예는, 송신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양방향으로 진단/처리함에 있어서, 자신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제 1 신호와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진단 요청에 연동되는 진단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제 2 신호를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신호에 따른 송신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제 1 신호에 따른 진단 요청과 상기 제 2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해당 수신기로 출력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른 트랩 패킷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는 해당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될 메시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클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처리는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SNM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요청은 상호-진단 요청(interactive-diagnostic)과 자기-진단(self-diagnostic) 요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단 요청이 상호-진단 요청이면, 해당 수신기는 상기 진단 요청된 해당 항목에 연동되는 진단 테스트 결과를 제 2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 요청이 자기-진단 요청이면, 해당 수신기는 기 정의된 진단 항목을 모두 테스트한 결과를 상기 제 2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진단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수신기의 동작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경우, 방송국의 요청이 없어도 실시간으로 상기 동작 상태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방송국으로 보고할 수 있어, 수신기와 방송국이 문제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수신기와 방송국이 함께 문제점을 공유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양방향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송신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각 수신기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각 수신기에서 상기 송신기와 양방향으로 해당 문제를 진단/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각 수신기에서 자신의 동작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에 송신기의 요청과 무관하게 상기 점검된 동작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된 시점에 각 수신기에서 송신기로 먼저 보고를 하고, 상기 보고 후에 해당 수신기에서 양방향 통신 방식에 따라 해당 문제를 능동적으로 진단/처리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양방향 통신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매니저(software manager)와 소프트웨어 에이전트(software agent)를 각각 송수신기에 구비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수신기에서 해당 문제를 양방향으로 진단/처리함으로써, 상기 송신기에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해당 수신기는 자신의 동작 상태를 점검하고, 점검 결과 동작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송신기의 동작 상태 점검 보고 요청이 없더라도 또는 상기 요청과 상관없이 송신기로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보고한다.
이에 따라,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기 간에 실시간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이후 상기 수신기에서 발생된 문제를 송신기와의 양방향 통신 방식으로 진단/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수신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해당 문제의 발생으로부터 조기에 문제를 처리함으로써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송신기는 방송국을 포함하고, 수신기는 셋-탑 박스나 상기 셋-탑 박스를 포함한 일체형 디지털 텔레비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예로 하여 설명하는바, 상기에서 송신기에 구비되는 소프트웨어 매니저는 SNMP 매니저를, 각 수신기에 구비되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는 SNMP 에이전트를 호칭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각 수신기에서 송신기와 양방향으로 진단/처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전에, 상기 SNMP 프로토콜에 따라 양방향으로 통신하기 위해 송신기에 구비되는 SNMP 매니저와 수신기에 구비되는 SNMP 에이전트 간의 통신 방식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SNMP 매니저와 SNMP 에이전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송신기(10)는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면, 네트워크(30)로 연결된 각 수신기(20)에서 현재 통신하는 프로토콜의 통계 자료, 사용하는 프로세서의 정보, TV 제조 업체명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SNMP 프로토콜은 네트워크(30)에 있는 장비나 서버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프로토콜(application layer protocol)의 하나로 보안을 위하여 계속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이러한 SNMP 프로토콜은 여러 업체가 각각 자신들이 만들어 놓은 장치에 대한 제어 및 정보를 기술할 수 있도록 언어를 제공하고, 상기 언어를 이용하여 관리 될 정보(management information base; MIB)를 정의한다. 상기 관리될 정보(MIB)는 구조화된 기술 언어(structure of management information; SMI)로 표현하여 관리자와 객체에 어떤 객체들을 관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객체들이 관리되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
도 1을 보면, 기본적으로 SNMP 매니저(15)와 SNMP 에이전트(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NMP 메시지들을 UDP(user datagram protocol)와 IP(internet protocol)를 거쳐 네트워크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30)을 통해 서로 송수신한다.
SNMP 메시지는 상기 SNMP 매니저(15)와 SNMP 에이전트(25) 간에 서로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SNMP 메시지는 SNMP 프로토콜에서는 주로 패킷 형태로 송수신된다.
예를 들어, SNMP 매니저(15)는 "GetRequest", "GetNextRequest", "SetRequest"와 같은 패킷을 UDP와 IP를 거쳐 네트워크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3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30)에 연결된 각 수신기의 SNMP 에이전트(25)는 UDP와 IP를 거쳐 SNMP 메시지가 포함된 상기 패킷들을 수신한다.
SNMP 에이전트(25)는 예를 들어, "GetResponse"와 "Trap"과 같은 패킷을 UDP와 IP를 거쳐 네트워크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3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30)에 연결된 송신기의 SNMP 매니저(15)는 UDP와 IP를 거쳐 SNMP 메시지가 포함된 상기 패킷들을 수신한다.
SNMP 에이전트(25)는 SNMP 매니저(15)로부터 전송된 특정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패킷이 "GetRequest", "GetNextRequest" 및 "SetRequest" 패킷 중 어떤 패킷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된 패킷에 포함된 메시지에 따른 해당 동작(operation)을 관리 객체(SNMP managed object)에 대하여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GetRequest", "GetNextRequest" 및 "SetRequest" 패킷은 SNMP 매니저(15)에서 SNMP 에이전트(25)로 전송하는 패킷이고, "GetResponse"와 “Trap" 패킷은 SNMP 에이전트(25)에서 SNMP 매니저(15)로 전송하는 패킷이다.
즉, "GetRequest"와 "GetNextRequest" 패킷은 SNMP 매니저(15)에서 SNMP 에이전트(25) 내 관리 객체의 정보를 요청하는 패킷이고, "SetRequest" 패킷은 SNMP 에이전트(25) 내 관리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패킷이다. 예를 들어, SNMP 매니저(15)는 SNMP 에이전트(25)로 "GetRequest"나 "GetNextRequest" 패킷을 전송하여 SNMP 에이전트(25) 내 관리 객체의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된 정보에 따라 상기 관리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포함한 "SetRequest" 패킷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는 예를 들어, 관리 객체에 어떤 동작 수행에 필요한 설정과 관련된 내용일 수 있다.
SNMP 에이전트(25)는 "GetRequest" 또는 "GetNextRequest" 패킷이 수신되면, 해당 패킷에 포함된 메시지가 자신이 관리하는 객체(object)에 대한 요청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자신이 관리하는 객체에 대한 요청이면, "GetResponse" 패킷을 통해 상기 요청된 객체에 대한 값을 전송한다. 그러나 SNMP 에이전트(25)는 상기 패킷에 포함된 메시지가 자신이 관리하는 객체가 아닌 객체에 대한 요청이라고 판단되면, 응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SNMP 에이전트(25)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트랩(trap) 패킷을 SNMP 매니저(15)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트랩 패킷은 SNMP 프로토콜에 기 정의된 내용에 따르거나 정의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관리 객체가 관리될 정보(MIB)에 정의한 범위를 넘거나 특정 값으로 변경하면 상기 SNMP 매니저(15)로 트랩을 전송하여 관리 객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SNMP 에이전트(25)는 상기 SNMP 매니저(15)의 요청과 상관없이 자신이 관리하는 객체들 중에서 중요한 이벤트나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SNMP 매니저(25)로 트랩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즉, SNMP 에이전트(25)는 수신기(20)에서 어떤 특별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관리될 정보(MIB)를 정의하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송신기(10)와 수신기(20)는 방송 서비스를 위해 상기 정의된 관리될 정보(MIB)를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SNMP 기능을 이용하여 각 수신기(20)는 자신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실시간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송신기(10)와 양방향으로 진단/처리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3은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으로 진단/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예시이다.
상기 도 2와 3은 원격 즉, 송신기(10)에서 특정 진단 타입 결정 요청에 따라 수신기(20)에서 결정한 특정 진단 타입에 따른 것으로, 도 2는 상호-진단(interactive-diagnostic)의 경우를, 도 3은 자기-진단(self-diagnostic)의 경우에 상기 송수신기 간에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30)로 연결된 상기 송수신기 간에 양방향으로 진단/처리하기 위한 신호의 송수신은 SNMP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송수신기에 각각 구비된 SNMP 매니저(15)와 SNMP 에이전트(25) 간에 이루어진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수신기(20)로 셋-탑 박스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상호-진단의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신기(20)는 자신의 동작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동작 상태 데이터들을 점검한다. 이때, 상기 점검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수신기(20) 내 모든 동작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도 있으나 송신기(10)와의 약속을 통해 미리 정의된 수신기(20)의 주요한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미리 정의된 수신기(20)의 주요한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만을 예로 하여 설명하되, 주요한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란 예를 들어, 화면의 좋고 나쁨에 대한 판단과 관련된 데이터, 분리형 수신 제한 모듈의 착탈 및 삽입에 관련된 데이터, 또는 RF 신호 선의 착탈 및 삽입에 관련된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수신기(20)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들에 대한 점검 결과로부터 수신기(20)의 동작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수신기(20)의 동작 상태 정상 또는 비정상 판단과 관련하여,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 이상이라고 판단되더라도 비정상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가 이상이라고 판단되어야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여 이상이라고 판단함에 있어서도, 한 번이라도 오류가 발생하면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으나 수신 환경 등 여러 가지 사정을 고려할 때, 이는 상기 판단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 상태 이상 유무 판단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수신기(20)에 기 정의된 횟수 이상 오류로 판단되거나 상기 횟수 이상 지속적으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해당 동작 상태 데이터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신기(20)는 상기와 같이 동작 상태 데이터들을 판단하여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수신기(20)가 비정상임을 송신기로 보고한다(S201). 이때, 해당 수신기(20)는 송신기(10)에서 해당 수신기(20)로 동작 상태 보고와 관련된 요청이 있었는지 유무와 관계없이 상기 비정상이라고 판단된 시점에 바로 송신기(10)로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고와 관련하여, 상기 예시한 바와 같이 SNMP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수신기(20)는 SNMP 프로토콜에 따라 기 구비된 SNMP 에이전트(25)로부터 송신기(10)에 구비된 SNMP 매니저(15)로 해당 수신기(20)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SNMP 메시지를 포함한 특정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보고한다. 이때, SNMP 프로토콜에 따를 때, SNMP 에이전트(25)에서 SNMP 매니저(15)로 패킷을 전송하는바, 상기 패킷은 “Trap" 패킷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Trap" 패킷을 이용함에 있어서, SNMP 프로토콜에 상기 동작 상태 보고와 관련된 내용을 미리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고를 위한 트랩 패킷은 SNMP 트랩 패킷(SNMP trap packet)이라 한다.
송신기(10)는 상기 S201 단계의 보고가 수신되면, 네트워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 중 특정 수신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10)는 해당 수신기(20)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단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여 그에 따른 해결책을 제어 신호로 송부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침에 있어서, 송신기(10)는 해당 수신기(20)로 원격에서 상호-진단 시작을 요청하고(S202), 해당 수신기(20)는 수신되는 송신기(10)의 상호-진단 시작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한다(S203).
송신기(10)는 해당 수신기(20)에서 상호-진단 수락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수신기(20)로 상호-진단을 요청하고(S204), 해당 수신기(20)는 상기 상호-진단 요청을 인지하였다는 응답을 한다(S205).
이때, 상기 S203 단계에서의 응답은 다수 개의 진단 타입 중 상호-진단이라는 타입에 따라 진단할 것인지에 대한 응답이라면, 상기 S205 단계에서의 응답은 해당 상기 S203 단계에서 응답 후에 상호-진단을 시작해도 되는지 수신기(20)의 준비에 대한 응답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10)는 상기 S205 단계에서의 수락 응답이 수신되면, 상호-진단을 위해 미리 정의된 각 항목들에 대한 테스트를 요청하고(S206,S208), 해당 수신기(20)는 각 항목들에 대한 테스트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전송한다(S207,S209).
이때, 수신기(20)는 송신기(10)에서 요청한 각 항목들에 연동된 테스트 결과 를 매 항목에 대한 요청에 따라 바로 응답한다. 즉, 수신기(20)는 송신기(10)에서 요청한 각 항목들에 대한 요청과 연동된 테스트 결과를 모아 한 번에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진단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항목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바로 응답한다. 그리고 다시 송신기(10)로부터 다음 항목에 대한 진단 요청이 수신되면, 또 해당 항목에 대한 테스트 결과를 응답한다.
상술한 진단 요청과 진단 테스트 결과의 응답 과정은 송신기(10)에서 해당 수신기(20)의 매 응답을 수신하고 판단 결과 더 이상의 진단은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전까지 미리 정의된 항목들에 대해 계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송신기(10)에서 해당 수신기(20)의 동작 상태 비정상을 일으킨 원인을 파악할 때까지 상술한 진단 요청 및 응답 과정은 이루어진다.
송신기(10)는 각 항목들에 대한 진단 요청에 따라 해당 수신기(20)에서 연동된 진단 테스트 결과가 수신되면, 해당 수신기(20)의 문제를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파악된 수신기(20)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수신기(20)로 전송한다(S210). 이때, 상기 제어 신호는 해당 수신기(20)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설정 메시지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는 특정 패킷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킷은 예를 들어, 상술한 "SetRequest" 패킷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해당 수신기(20)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수신기(20)의 문제 및 해결책을 알리는 메시지 및/또는 해당 수신기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상기 문제 및 해결책을 알리는 오디오 클립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수신기는 수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원격에 위치한 송신기에서 상호-진단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기 사용자가 상기 상호-진단을 수락한다는 응답을 한 경우에 양방향으로 진단/처리하는 시스템 및 과정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해당 수신기에서 상기 상호-진단 요청을 수락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한 경우 즉, 자기-진단 방식에 따라 양방향으로 진단/처리하는 시스템 및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수신기에서 SNMP 트랩 패킷을 이용하여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보고하는 과정까지는 상술한 도 2의 내용과 동일한바 상술한 내용을 원용한다.
송신기는 어느 수신기로부터 동작 상태가 비정상이라는 보고가 수신되면,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는 해당 수신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단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하여 그에 따른 해결책을 제어 신호로 송부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침에 있어서, 송신기는 해당 수신기로 원격에서 상호-진단 시작을 요청하고(S302), 해당 수신기는 수신되는 송신기의 상호-진단 시작 요청에 대해 거부 응답을 한다(S303).
송신기는 해당 수신기로부터 원격에서 상호-진단 시작 요청에 대한 거부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수신기로 자기-진단을 요청한다(S304).
수신기는 송신기의 자기-진단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자기-진단 요청에 연동된 진단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진단 테스트는 자기-진단 요청 시에 테스트할 항목을 미리 정의해 놓은 것일 수 있으며 수신기의 모든 동작 상태에 대한 진단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도 2에서의 각 항목에 연동된 진단 테스트 모두를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신기는 상기 진단 테스트 수행에 따른 진단 테스트 결과를 송신기로 전송한다(S305).
송신기는 해당 수신기로부터 진단 테스트 결과가 수신되면, 해당 수신기의 진단 결과를 판단하여 문제점과 그에 따른 대응책을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문제점 및/또는 대응책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수신기로 전송한다(S306).
이때, 상기 제어 신호는 설정 메시지 예를 들어, 해당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메시지 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신호는 해당 수신기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상기 문제점 및/또는 해결책을 알리는 오디오 클립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SNMP 매니저에서 SNMP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수신기의 SNMP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SetRequest" 패킷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는 수신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해당 수신기의 문제점 및/또는 대응책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와 3을 통해, 수신기는 방송국과 양방향으로 상호-진단 또는 자기-진단을 통해 해당 수신기 내 동작 상태에 이상이 있음이 확인되면, 방송국의 동 작 상태 보고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보고를 하고 그에 따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나리오의 구체적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수신기는 동작 상태에 대한 점검을 하여 예를 들어, 상기 점검 결과 신호의 SNR(signal-to-noise ratio)과 수신 에러 정보는 정상이나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TS)이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별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수신기는 동작 상태에 이상이 있음을 SNMP 에이전트를 통해 SNMP 트랩 패킷을 방송국의 SNMP 매니저로 전송한다. 방송국은 SNMP 매니저를 통해 상기 SNMP 트랩 패킷을 수신하고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있음을 인지한다.
그리고 방송국은 해당 수신기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분리형 수신 제한 모듈(point of deployment; POD)이 장착된 경우와 탈착된 경우에 수신기의 화면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방송국은 진단 모드에서 수신 제한 모듈(POD)로 인해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비하여 스크램블(scramble)이 걸려 있지 않은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로 채널을 전환하여 진단을 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분리형 수신 제한 모듈(POD)이 장착된 경우에만 문제가 있다면, 상기 분리형 수신 제한 모듈(POD)이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기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확인 결과 분리형 수신 제한 모듈(POD)이 탈착된 경우에만 문제가 있다면, 수신기의 문제일 가능성이 크므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에서는 방송국에서 전송하는 상기 메시지를 통해 문제가 있는 부분을 확인하고, 그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기는 동작 상태에 이상이 생긴 경우 바로 송신기로 이상이 있음을 알릴 수 있어, 송신기에서도 수신기에 이상이 생긴 시간과 그 현상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문제의 유형에 따라 양방향으로 진단을 수행할 수 있어 바로 문제를 분석,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종래 수신기에 문제가 생겨도 송신기에서 해당 수신기의 문제 발생 시점과 현상을 바로 알 수 없어 분쟁 소지가 있을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라 실시간으로 양방향 진단을 통해 그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 상세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수신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블 방송 수신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신기는 호스트(400)와 상기 호스트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한 케이블카드(42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일반적으로 호스트(400)는 케이블 방송 신호만을 수신하거나 또는 지상파 방송과 위성 방송 중 어느 하나의 방송 신호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수신기 및 송신기 간의 양방향 통신 방식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오픈 케이블 내 상향 서비스를 위한 방식으로는 OOB(Out Of Band) 방식과 DSG(DOCSIS Set-top Gateway) 방식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청자는 상기 두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호스트(400)를 통 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볼 수도 있다. 또는 시청자가 방송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OOB 방식 및 DSG 방식을 통하여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OOB 방식은 송신기(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국(헤드엔드))과 셋-톱 박스(set-top box) 내의 인터-섹 장비 간의 전송 규격을 규정한 기준이다.
반면, 상기 DSG 방식은 송신기의 케이블 모뎀 제어 시스템과 셋-톱 박스 내의 DOCSIS 기반 케이블 모뎀(cable modem) 간의 전송 방식을 지칭한다. 이때, 상기 DOCSIS는 케이블 모뎀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첨부된 도 4에서는 상기 OOB 및 DSG 혼합 방식을 적용한 수신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4에서 호스트(400)는 제 1 튜너(401a), 제 2 튜너(401b), 제 1 복조부(402), 다중화부(403), 역다중화부(404), 복호부(405), 제 2 복조부(DOCSIS)(406), OOB 수신부(407), 스위칭부(408), 변조부(409)와 제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튜너(401a)는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지상파 A/V(Audio/Video) 방송이나 케이블을 통해 인-밴드(in-band)로 전송되는 케이블 A/V 방송 중 특정 채널 주파수만을 튜닝하여 제 1 복조부(402)로 출력할 수 있다.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은 전송 방식이 다른데, 상기 제 1 복조부(402)는 서로 다른 복조 방식의 신호에 대해도 다른 복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지상파 A/V 방송은 VSB(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방식으로 변조되어 전송되고, 케이블 A/V 방송은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변 조되어 전송된다면, 제 1 튜너(401a)가 선택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복조부(402)는 VSB 방식으로 신호의 복조를 수행하거나, QAM 방식으로 신호의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복조부(402)에서 복조된 신호는 다중화부(403)에서 서로 다중화되어 케이블 방송은 케이블카드(420)로, 지상파 방송은 역다중화부(404)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4는 상기 케이블카드(420)가 멀티-스트림을 처리할 수 있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카드(420)는 두 개 이상의 스트림(stream)이 다중화되어 입력되는 방송을 사용자가 호스트(400)를 통해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역다중화부(404)는 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다수의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상기 복호부(405)는 상기 역다중화부(404)에서 역다중화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한다. 이렇게 복호되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비디오/오디오 신호로 출력이 된다.
제 2 튜너(401b)는 DSG 방식으로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방송 중 특정 채널 주파수를 튜닝하여 제 2 복조부(406)로 출력한다. 상기 제 2 복조부(406)는 DSG 방식의 데이터 방송을 복조한 후,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를 제어부(4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 3 튜너(407)는 케이블을 통해 OOB 방식으로 전송되는 하향 데이터 방송에 대해서 특정 채널 주파수를 튜닝하여 케이블카드(420)로 출력한다.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경우, 수신기에서 송신기로 전송하는 상향 정보들(예를 들어,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 유료 프로그램 신청, 호스트의 다이어그너스틱 정보 등)은 OOB 방식이나 DSG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첨부된 도 4의 수신기는 상기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스위칭부(408)를 구비하고 있다.
OOB 방식에서는 사용자 정보나 시스템 진단 정보가 케이블카드(420)와 스위칭부(408)를 통해 변조부(409)로 출력되고, 상기 변조부(409)는 상기 출력 신호를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등으로 신호 변조하여 케이블을 통해 케이블 방송국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DSG 방식으로 사용자의 방송 정보가 전송된다면 상기 정보는 제어부(410)와 상기 스위칭부(408)를 통해 변조부(409)로 출력되고, 상기 변조부(409)에서 QAM(Quadrature Amplitute Modulation)-16 변조 등으로 신호 변조된 후 케이블을 통해 케이블 방송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케이블카드(420)는 수신 방송이 지상파 방송일 경우 상기 다중화부(403)로부터 멀티-스트림(multi-stream)의 방송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방송 신호가 스크램블(scramble)되어 있으면, 상기 스크램블된 방송 신호를 디스크램블(descramble)하여 케이블 방송이 정상적으로 시청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호스트의 동작 상태를 점검한다. 그리고 점검 결과 만약 상기 호스트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도 2 내지 3과 같이 호스트에 기 구비된 SNMP 에이전트를 통해 해당 호스트의 동작 상태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SNMP 에이전트는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송신기의 SNMP 매니저로 해당 수신기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SNMP 트랩 패킷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10)는 SNMP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송신기의 SNMP 매니저를 통해 전송되는 특정 진단 시작 요청, 진단 요청 등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송신기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10)는 해당 요청이 진단 요청이면, 해당 요청에 연동된 진단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행된 테스트 결과를 다시 리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10)는 송신기로부터 상기 리턴되는 테스트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그를 복호하도록 제어하여 화면(screen)에 디스플레이(display)되거나 스피커(speaker)를 통해 출력(output)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의 범위 내지 등가적 범위의 변형 모두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치는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SNMP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양방향 진단 시스템에서 처리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양방향 진단 시스템에서 처리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의 상세 구성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송신기 15; SNMP 매니저
20; 수신기(셋-탑 박스) 25; SNMP 에이전트
30; 네트워크 400; 호스트
401a; 제 1 튜너 401b; 제 2 튜너
402; 제 1 복조부 403; 다중화부
404; 역다중화부 405; 복호부
406; 제 2 복조부(DOCSIS) 407; OOB 수신부
408; 스위칭부 409; 변조부
410; 제어부 420; 케이블카드

Claims (18)

  1. 수신기에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양방향으로 동작 상태를 진단 및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작 상태 데이터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면, 수신기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진단 항목에 대한 진단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진단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신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진단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가 포함된 제2 신호를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2 신호에 따른 제3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그에 따라 수신기의 동작 상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른 트랩 패킷이고,
    상기 제3 신호는,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될 메시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클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제어 패킷인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양방향으로 동작 상태를 진단/처리하는 과정은,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수신기에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양방향으로 동작 상태를 진단 및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작 상태 데이터에 오류가 있으면, 수신기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송신기로부터 상기 제1 신호에 따른 진단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진단 요청에 따라 동작 상태 진단과 관련하여 미리 정의된 모든 항목에 대하여 진단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가 포함된 제2 신호를 송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송신기로부터 상기 전송된 제 2 신호에 따른 제3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그에 따라 수신기의 동작 상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양방향으로 동작 상태를 진단/처리하는 과정은,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른 트랩 패킷이고,
    상기 제3 신호는,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될 메시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클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제어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방송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양방향으로 동작 상태를 진단 및 처리함에 있어서,
    자신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제1 신호와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진단 요청에 연동되는 진단 테스트 결과가 포함된 제2 신호를 상기 송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에 따라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제3 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동작 상태를 처리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제1 신호에 따른 진단 요청의 타입을 결정하여 전송하고, 전송된 진단 요청 이후 상기 수신되는 제2 신호에 따라 제3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요청의 타입은,
    상호-진단 요청(interactive-diagnostic)과 자기-진단(self-diagnostic) 요청을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른 트랩 패킷이고,
    상기 제3 신호는, 수신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될 메시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클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제어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처리는, 클리어 채널(clear channel)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요청이 상호-진단 요청이면,
    수신기는 상기 진단 요청과 함께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진단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2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요청이 자기-진단 요청이면,
    수신기는 미리 정의된 진단 항목을 모두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2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70107906A 2007-10-25 2007-10-25 양방향 진단/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422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906A KR101422015B1 (ko) 2007-10-25 2007-10-25 양방향 진단/처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906A KR101422015B1 (ko) 2007-10-25 2007-10-25 양방향 진단/처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037A KR20090042037A (ko) 2009-04-29
KR101422015B1 true KR101422015B1 (ko) 2014-08-13

Family

ID=4076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906A KR101422015B1 (ko) 2007-10-25 2007-10-25 양방향 진단/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0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729A (ja) * 1994-09-07 1996-03-22 Sumitomo Electric Ind Ltd Catvシステムの遠隔監視方法
KR20020009303A (ko) * 2000-07-25 2002-02-01 정해수 디지털 tv의 자체 고장 진단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이용한 아프터 서비스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42122A (ko) * 2001-11-21 200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의 원격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729A (ja) * 1994-09-07 1996-03-22 Sumitomo Electric Ind Ltd Catvシステムの遠隔監視方法
KR20020009303A (ko) * 2000-07-25 2002-02-01 정해수 디지털 tv의 자체 고장 진단 방법 및 그 장치와 이를이용한 아프터 서비스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42122A (ko) * 2001-11-21 200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의 원격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037A (ko)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7744B2 (en) Open cable set-top box diagno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137572B2 (en) Digital cable TV receiver, diagnostic method for the digital cable TV receiver, and data structure of DVI status report
US200701990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emergency alert system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signal thereof and cable broadcast receiver
EP2262174B1 (en) Testing a content-delivery system
KR101233162B1 (ko)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진단 정보 데이터 구조 및 진단정보 전송 방법
US20090133056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emergency alert message
US6211926B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digital cable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EP1835644B1 (en) Broadcast application transmitting method
KR101422015B1 (ko) 양방향 진단/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8572667B2 (en) Host device interfacing with a point of deployment (POD) and a method of processing digital video recorder (DVR) status information
JP2006521056A (ja) 空きチャネルにダウンコンバートすることによって信号を分配する装置及び方法
US20080133782A1 (en) Receptio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nterface information
US20070300276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channel information in broadcasting system
KR101092455B1 (ko) 케이블 카드 및 호스트 진단 방법
EP1863287A2 (en)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diagnostic information
KR101092456B1 (ko)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진단 방법
KR20090080766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외부 장치의 출력 제어 방법
KR20090099271A (ko) 방송 수신기 및 로그 정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